KR20230109934A -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 Google Patents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934A
KR20230109934A KR1020220005777A KR20220005777A KR20230109934A KR 20230109934 A KR20230109934 A KR 20230109934A KR 1020220005777 A KR1020220005777 A KR 1020220005777A KR 20220005777 A KR20220005777 A KR 20220005777A KR 20230109934 A KR20230109934 A KR 20230109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king
ramp
correcting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희
박준현
배정경
서윤수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준현
배정경
서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준현, 배정경, 서윤수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934A/ko
Publication of KR2023010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보행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바퀴를 정지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바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A walking aid for using a ramp and correcting walking posture}
본 발명은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지 외에 경사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노약자 또는 재활치료자의 활동범위를 넓히고 보행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노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뇌질환 환자, 교통사고로 인한 척수손상환자 증가함에 따라 독립적 보행능력이 결여된 환자들에게 병원이나 기관 등에서 워커를 이용한 보행재활 및 운동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워커는 환자가 몸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다리가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 후 연결되고, 후면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환자가 개구된 후면에 위치하여 워커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환자가 워커에 몸을 지지하면서 보행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워커는 환자가 보행 중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가 보행할 때 환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대상작용을 이용한 보행을 하거나 보행시 올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721000호는 재활치료용 보조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또는 노인들의 보행을 보조하는 재활치료용 보행기에 있어서, 재활치료용 보행기 상단에서 환자의 팔이 걸쳐지는 지지대, 연결끈에 의해 지지대에 연결되어 환자의 겨드랑이를 고정하는 겨드랑이고정벨트, 지지대에 수직 결합하여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다리, 지지다리의 각각의 하단에 결합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지지다리는 상부지지다리 및 하부지지다리로 구성되고, 지지다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높이조절부는 상부지지다리가 하부지지다리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도록 구성되고, 상부지지다리와 하부지지다리가 겹쳐지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여러 개의 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4개의 바퀴에 의해 미끄러지듯이 이동하기 때문에 오르막이나 내릭막과 같은 경사로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환자가 혼자서 재활훈련을 하기 때문에 워커가 쓰러지면서 환자가 다치거나 속도를 제어할 수 없어 재활훈련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72100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 사용되는 경우 보행 보조기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다양한 지형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환자 또는 노약자의 활동반경을 넓힐 수 있는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활치료 또는 근력훈련을 통해 사용자가 보행할 때 표준 보행 자세에 맞춰 보폭이나 자세가 교정되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보행습관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보행할 때 지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환자에게 부담을 최소화하고, 보행 횟수를 표시하여 재활치료 진행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는 상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보행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바퀴를 정지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바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가 보행할 때 좌우 발을 내딛는 위치를 레이저로 표시하여 보행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마그네틱을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홀센서는 상기 바퀴가 회전될 때 상기 바퀴 내측면에 형성된 마그네틱을 감지하여 상기 바퀴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보행횟수를 측정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행횟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프레임이 경사로에 위치된 경우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부가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에 의하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 사용되는 경우 보행 보조기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다양한 지형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환자 또는 노약자의 활동반경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에 의하면, 재활치료 또는 근력훈련을 통해 사용자가 보행할 때 표준 보행 자세에 맞춰 보폭이나 자세가 교정되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보행습관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행할 때 지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환자에게 부담을 최소화하고, 보행 횟수를 표시하여 재활치료 진행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때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보행 횟수를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지 외에 경사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노약자 또는 재활치료자의 활동범위를 넓히고 보행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할 때 수평 상태로 유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바퀴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보행 횟수를 감지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는 상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보행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프레임(100)을 이동시키는 바퀴(200)와, 프레임(100)의 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프레임(100)이 이동되지 않도록 바퀴(200)를 정지시키는 지지대(130)와, 바퀴(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프레임(100)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300)와, 지지대(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지대(13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10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사용자가 보행할 때 좌우 발을 내딛는 위치를 레이저(510)로 표시하여 보행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높이조절장치(400)는 프레임(100)이 경사로에 위치된 경우 지지대(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프레임(100)의 상부가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100)에는 마그네틱(220)을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210)가 마련되어 있고, 홀센서(210)는 바퀴(200)가 회전될 때 바퀴(200) 내측면에 형성된 마그네틱(220)을 감지하여 바퀴(200)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보행횟수를 측정하고, 프레임(10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보행횟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100)에 형성되어 바퀴(200), 높이조절장치(400), 자세교정기(5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전면은 막혀있고 후면은 개구되어 있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바가 형성되어 하중을 분산시키고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프레임(100)은 다수 개의 파이프 또는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무게가 가벼워 노약자나 환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100)에는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20)가 장착되어 있으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퀴(200)는 프레임(10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프레임(100) 상부를 파지한 상태로 전방으로 밀게 되면 바퀴(200)가 회전되면서 프레임(100)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바퀴(200)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을 자체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보행 보조기를 이용하여 이동한 거리나 보행횟수를 측정하기 위해 바퀴(200)의 내측면에는 마그네틱(2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00)의 전면 하단에는 홀센서(210)가 마련되어 있어 바퀴(200)와 함께 회전되는 마그네틱(220)을 홀센서(210)가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홀센서(210)는 홀효과를 이용해 물체의 회전 속도, 방향 등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홀센서(210)를 통해 재활치료 중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를 바퀴(200)의 외경과 회전수를 통해 산정하고 사용자의 보폭에 따른 걸음수를 측정하여 재활치료 진행 정도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100)의 전면 상부에는 홀센서(210)를 통해 측정된 보폭, 거리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재활훈련시간, 보행횟수, 훈련 진척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 스위치(61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환시킬 수도 있다.
지지대(130)는 프레임(100)의 후면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있으며 지면과 접촉되면 마찰력에 의해 프레임(100)이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지지대(130)의 지면과 접촉되는 끝단에는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무캡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캡을 통해 지면과 접촉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완충장치(300)는 바퀴(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바퀴(200)와 프레임(10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완충장치(300)는 코일 스프링과 댐퍼를 포함하는 서스펜션으로 이루어져 있어 바퀴(200)와 프레임(100) 사이에서 발생되는 하중, 충격,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바퀴(200)가 지면에 접촉되어 굴러갈 때 지면에 형성된 굴곡이나 홈에 따라 프레임(100)이 수직으로 요동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은 완충장치(300)에 의해 흡수되어 프레임(100) 상부를 파지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만 이용한 경우 스프링이 압축과 복원이 반복되기 때문에 오히려 사용자의 손에 진동을 전달하게 되므로 코일 스프링 중앙에 댐퍼를 위치시켜 댐퍼에 의해 코일 스프링이 압축과 복원이 반복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높이조절장치(400)는 지지대(13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의 회전 동작을 선형 또는 직선 동작으로 변환하는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지지대(130)가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되어 프레임(100)의 상부가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높이조절장치(40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된 스위치(610)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오르막길 또는 내리막길에 프레임(100)이 진입하였을 때 지지대(13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100)의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자세교정기(500)는 프레임(10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지면을 향해 레이저(510)를 조사하여 사용자가 보행을 위해 발을 딛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자세교정기(5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510)는 발 모양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발을 내딛을 때 레이저(510)에 조사된 발모양과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폭이나 발을 내딛는 위치를 조정하여 보행 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재활치료사가 부재중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혼자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세교정기(500)는 사용자의 보행자세, 보폭, 발사이즈에 따라 출력되는 레이저(510)의 형태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자세교정기(500)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맞춰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600)는 바퀴(200), 디스플레이(110), 홀센서(210), 높이조절장치(400), 자세교정기(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스위치(61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프레임(100)에 형성된 배터리(120)를 통해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디스플레이(110), 홀센서(210), 높이조절장치(400), 자세교정기(50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각 구성이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600)에 포함되는 센서는 경사감지센서(620)와 속도감지센서(6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경사감지센서(620)는 자이로센서나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프레임(100)이 경사로에 진입하는 것을 자동으로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사로에 프레임(100)이 진입하는 경우 경사감지센서(620)가 경사 각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제어부(600)는 측정된 경사각도에 따라 지지대(130)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높이조절장치(40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경사로에 진입할 때마다 프레임(10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스위치(610)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제어부(600)에 의해 자동으로 프레임(100)의 수평을 맞추게 되므로 사용자는 보행훈련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속도감지센서(630)는 프레임(100)의 이동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측정된 속도를 기반으로 바퀴(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바퀴(200)에는 바퀴(200)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기(230)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어부(600)는 감속기(230)를 이용하여 바퀴(2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속시켜 프레임(100)이 사용자의 보행속도 보다 빠르거나 느려지지 않도록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경사로에 진입한 경우 오르막길에서는 바퀴(200)의 회전속도를 높여 사용자가 프레임(100)을 밀어 올리는 힘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내리막길에서는 바퀴(2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중력에 의해 프레임(100)이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600)는 경사감지센서(620)를 통해 경사 각도를 파악한 후 속도감지센서(630)를 이용하여 프레임(100)이 이동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경사로에서 사용자의 평소 보폭에 따른 프레임(100)의 이동거리만큼 이동되면 바퀴(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감속기(230)를 통해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재활치료사는 제어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자세, 보폭, 보행횟수, 훈련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습관이나 체형에 맞춰 각 구성을 세부적으로 저장하여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에 의하면,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 사용되는 경우 보행 보조기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다양한 지형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환자 또는 노약자의 활동반경을 넓힐 수 있고, 재활치료 또는 근력훈련을 통해 사용자가 보행할 때 표준 보행 자세에 맞춰 보폭이나 자세가 교정되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보행습관을 가지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행할 때 지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환자에게 부담을 최소화하고, 보행 횟수를 표시하여 재활치료 진행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
110 : 디스플레이
120 : 배터리
130 : 지지대
200 : 바퀴
210 : 홀센서
220 : 마그네틱
230 : 감속기
300 : 완충장치
400 : 높이조절장치
500 : 자세교정기
510 : 레이저
600 : 제어부
610 : 스위치
620 : 경사감지센서
630 : 속도감지센서

Claims (4)

  1. 상부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보행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프레임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바퀴를 정지시키는 지지대와;
    상기 바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와;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가 보행할 때 좌우 발을 내딛는 위치를 레이저로 표시하여 보행 자세를 교정하는 자세교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마그네틱을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홀센서는 상기 바퀴가 회전될 때 상기 바퀴 내측면에 형성된 마그네틱을 감지하여 상기 바퀴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보행횟수를 측정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보행횟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프레임이 경사로에 위치된 경우 상기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프레임의 상부가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KR1020220005777A 2022-01-14 2022-01-14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KR20230109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777A KR20230109934A (ko) 2022-01-14 2022-01-14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777A KR20230109934A (ko) 2022-01-14 2022-01-14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934A true KR20230109934A (ko) 2023-07-21

Family

ID=8742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777A KR20230109934A (ko) 2022-01-14 2022-01-14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9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00B1 (ko) 2006-02-03 2007-05-28 백동석 재활치료용 보조보행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000B1 (ko) 2006-02-03 2007-05-28 백동석 재활치료용 보조보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2153B2 (en) Therapeutic device for improving neuromuscular balance and pain conditions
KR101602728B1 (ko) 고정훈련과 이동훈련이 가능한 분리형 하지 재활로봇
KR101433284B1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763214B1 (ko) 보행 훈련 보조 장치
JP2009066194A (ja) 自力歩行訓練器
KR101471856B1 (ko) 능동형 보행보조장치
CN109091827B (zh) 偏瘫康复用姿势平衡训练装置
KR20120025916A (ko) 파워 보행기
KR101433281B1 (ko)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20120086995A (ko) 보행보조용 플랫폼
US20180221239A1 (en) Gait rehabilita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thereof
KR20230109934A (ko) 경사로 이용 및 보행 자세교정이 가능한 보행 보조기
ES2924056T3 (es) Andador terapéutico
Wojtara et al. Artificial balancer–Supporting device for postural reflex
KR20120009681A (ko) 보행 보조 장치
JP3349687B2 (ja) 一輪歩行車
EP2767313A1 (en) Therapeutic device for improving neuromuscular balance and pain conditions
KR102479107B1 (ko)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JP3133880U (ja) 電動式杖
KR200342380Y1 (ko) 척추교정용 운동기구
KR102027250B1 (ko) 회전형 발판이 형성된 보행보조용 전동목발
KR101509452B1 (ko) 전동 인공발
KR101828179B1 (ko) 골반회전이 제한되는 보행치료용 보조장치의 동작방법
KR101907755B1 (ko) 트래드밀용 보행치료 보조장치
CN219819733U (zh) 一种协同康复机器人的下肢康复治疗结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