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455A -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455A
KR20230109455A KR1020220005456A KR20220005456A KR20230109455A KR 20230109455 A KR20230109455 A KR 20230109455A KR 1020220005456 A KR1020220005456 A KR 1020220005456A KR 20220005456 A KR20220005456 A KR 20220005456A KR 20230109455 A KR20230109455 A KR 20230109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diet
terminal
custom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정
Original Assignee
김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정 filed Critical 김다정
Priority to KR102022000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455A/ko
Publication of KR20230109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4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부에서 입력된 목표정보를 저장하는 목표 설정부,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하는 기록부 및 식단정와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목표정보로의 도달에 관한 추세정보를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통해 특수한 맞춤형 식단의 공유 및 획득이 용이하게 되면서 상기 식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밀집되기 때문에, 이를 겨냥한 광고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Management server, method for proving customized diet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상기 서버를 이용한 맞춤형 식단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식생활이 개선되면서 섭취하는 영양, 열량 등의 공급과잉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비만, 당뇨 등 식이요법이 필요한 대상자들이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식단 관리 자체에 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이방법으로서 케톤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키토제닉을 사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시장규모 또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식단과 상이한 키토제닉 식단에 관한 레시피가 공유되기 어렵고, 공유가 가능하더라도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키토제닉 제품을 판매하는 업체의 입장에서는 관련 광고의 클릭률이 적어 과도한 고객 획득 비용이 소모되며, 시장 조사가 상대적으로 어려워 한정적인 제품 개발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고도 키토제닉과 관련된 맞춤형 식단의 제공 및 식단의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키토제닉 식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밀집한 공간에서 마케팅을 실시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부에서 입력된 목표정보를 저장하는 목표 설정부,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하는 기록부 및 식단정보와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목표정보로의 도달에 관한 추세정보를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가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목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추세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유사군을 형성하고 유사군에 대응되는 유사정보 및 유용 재료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유용 재료정보를 기반으로 제1구매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식단의 제공 및 공유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특수한 맞춤형 식단의 공유 및 획득이 용이하게 되면서 상기 식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밀집되기 때문에, 이를 겨냥한 광고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표 설정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표 설정 기능에 관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기록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른 가이드부를 통해 산출되는 그래프 및 추세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군 분석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유되는 레시피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형성을 위한 화면이 단말부 상에 게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사용자”는 후술할 단말부를 통해 각종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맞춤형 식단을 공유 및 제공하는 주체이다.
단말부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휴대한다. 또한, 단말부는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 및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100)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100)는 단말부(200)와의 통신연결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부(200)에 각종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100)는 목표 설정부(110), 기록부(120), 가이드부(130), 개인화부(140), 저장부(150), 구매부(160) 및 모임부(17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서버 내 각 구성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목표 설정부(110)는 목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10)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목표 설정 기능을 갖는다.
기록부(120)는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록하는 단계(s120)를 수행하고, 이를 위해 식단 기록 기능을 구현한다. 추가로, 기록부(120)는 서버 내 각 구성을 통해 산출할 수 있는 정보들에 관하여 단말부(200)에 제공함으로써 의료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데이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기록부(120)에서 식단 기록 기능을 통해 획득한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가이드부(130)는 추세정보를 형성하는 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가이드 기능으로 실현된다.
개인화부(140)는 유사군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유사정보 및 유용 재료정보를 형성하는 단계(s140)를 수행하고 이는 유사군 분석 기능으로 구비된다.
저장부(150)는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개인화부(140)와 연결되어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추천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유용 재료정보를 기반으로 식재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다.
구매부(160)는 개인화부(140) 및 저장부(150)와 연계하여, 식재료의 구매에 관한 구매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160)를 수행한다.
모임부(170)는 복수의 단말부(200)를 그룹핑하고, 레시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커뮤니티 기능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표 설정 기능에 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표 설정 기능에 관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목표부는 단말부(200)를 통해 입력된 목표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목표부는 단말부(200)와 통신연결된 상태에서 단말부(200)의 입력에 따라 형성되는 목표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목표정보는 사용자가 달성하고자 하는 생체정보에 관한 수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몸무게, 혈압, 체지방, 칼로리 등에 관한 정보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생체정부는 단말부(200) 상에서 터치 입력되거나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촬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단말부(200)에 구비된 카메라 등의 촬상수단을 이용하여 디지털 측정계, 혈당계, 혈압계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촬상하고, 목표부는 촬상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목표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목표부는 텍스트 마이닝 및 이미지 리더를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목표부는 목표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 폼(Form)에 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생체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11)를 수행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부(200)에서 입력 폼에 기반한 생체정보의 입력을 완료할 시 상기 생체정보는 목표정보로 변환되고, 목표부는 이에 대응하여 변환된 목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2)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표 설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목표부를 통해, 식단 관리를 위한 생체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어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기록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기록부(120)는 단말부(200)의 입력을 통해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식단 기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 기록부(120)는 목표정보의 저장이 완료된 후,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단말부(200)를 통해 전달받는다. 이를 위해, 단말부(200)를 통해 식단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21) 및 단말부(200)를 통해 생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22)가 각각 수행된다. 식단정보의 입력 및 생체정보의 입력에 관한 순서는 동시에 진행되거나 순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순서가 뒤바뀌어 입력 요청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형성된 식?ㅑㅊ? 및 생체정보가 기록부(120)에 의해 저장됨으로써, 현재 사용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는 선술한 변환부를 통해 단말부(200)에서 촬상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에서 변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록부(120)는 변환부와도 연결될 수 있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기능에 관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른 가이드부(130)를 통해 산출되는 그래프 및 추세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이드부(130)는 추세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기능을 구현하는 목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가이드부(130)는 입력된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목표정보로의 도달에 관한 추세정보를 형성한다. 즉, 가이드부(130)는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에 도달하기까지 예상되는 소요시간, 추세 등에 관한 정보를 형성한다.
가이드부(130)는 기록부(120)와 연결되어 식단정보를 전달받는다. 전달받은 식단정보를 대상으로 가이드부(130)가 분석을 실시하는 단계(s131)를 수행하고, 이어 그래프를 산출하는 단계(s132)를 실시한다. 상기 그래프는 체중, 혈당, 최고 혈압, 최저혈합,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등 생체정보에 관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꺾은선 그래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중의 경우 목표정보에 포함된 체중을 기준으로 그래프가 형성되고, 혈당 및 혈압의 경우 미리 지정되어 저장된 정상 수치를 기반으로 그래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30)는 형성된 그래프를 기반으로 해당 식단으로 지속 섭취 시 선술한 생체정부의 변화 예상치에 관한 추세정보를 형성하는 단계(s133)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추세정보는 먼저 형성된 그래프에서 점선과 같은 가상의 선이 표시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그래프 및 추세정보는 가이드부(130)를 통해 단말부(200) 상에 출력되도록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13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식단 분석 및 식단 관리의 방향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립할 수 있어, 건강 관리의 편의성 및 정확도 측면에서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해당 식단이 사용자 본인에게 적합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사군 분석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개인화부(140)는 궁극적으로 유사정보 및 유용 재료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개인화부(140)는 사용자와 섭취하는 식재료 또는 생체정보가 유사한 타 사용자와의 비교를 통해, 유사군을 형성한 후 유사정보 및 유용 재료정보를 산출하고 단말부(200)에 이를 제공하는 유사군 분석 기능을 구현한다.
개인화부(140)는 기록부(120) 및 가이드부(130)와 연결되고, 가이드부(130)로부터 형성된 식단정보, 생체정보 및 추세정보를 전달받는다. 이와 같이 복수의 단말부(200)를 대상으로 생체정보 및 추세정보를 전달받은 개인화부(140)는 생체정보별 유사군을 형성하는 단계(s141)를 수행한다. 상세하게, 개인화부(140)는 생체정보의 변화 또는 생체정보가 유사한 단말부(200)들을 대상으로 유사군을 형성한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개인화부(140)는 섭취하는 식단정보 내 식재료가 유사한 단말부(200)들을 대상으로 유사군을 형성할 수도 있다.
유사군을 형성하는 단계(s141) 이후, 개인화부(140)는 유사군에 포함되는 단말부(200)를 통해 입력된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유사정보로 추출하는 단계(s142)를 실시한다. 즉, 유사정보는 유사군에 포함되는 타 사용자가 섭취한 식재료 및 상기 타 사용자의 생체정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와 유사한 표본으로 지정 후 후술할 유용 재료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개인화부(140)는 추세정보를 기반으로 목표정보로의 근접을 유도하는 식재료에 관한 유용 재료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143)를 실시한다. 상세하게, 개인화부(140)는 유사군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부(200)에 각각 대응되는 타 사용자를 대상으로 추세정보를 목표정보와 비교한 후, 목표정보에 근접하는 식단정보에 포함하는 어느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유용 재료정보로 산출한다.
일례로, 유사군 내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 조건을 갖는 복수의 타 사용자가 토마토가 함유된 식단을 사용하여 추세정보가 목표정보와 근접할 경우, 개인화부(140)는 토마토가 유용한 식재료인 것으로 판단하고 유용 재료정보를 산출한다. 이를 통해, 토마토는 신체 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식재료로서 후술할 추천 기능을 통해 구매정보가 산출되어 구매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신체 데이터의 변화, 섭취하는 음식 또는 생체정보가 유사한 복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신체 변화에 효과가 있는 식재료를 분석 및 추천함으로써, 신체의 긍정적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식단 관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기능에 관한 도면이다.
저장부(150)는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저장 및 게시함으로써 추천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저장부(150)는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상태에서 유용 재료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와 대응되는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50)는 개인화부(140)와 연결된다.
저장부(150)는 유용 재료정보를 개인화부(140)로부터 전달받은 후, 상기 유용 재료정보에 포함된 식재료를 미리 저장된 식재료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150)를 실시한다. 즉, 선술한 일례로 살펴보면, 저장부(150)는 토마토에 관한 식재료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미리 저장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정보는 식단정보에 가장 많이 포함되는 식재료를 검출하거나, 후술할 계류부에 포함된 식재료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저장부(150)는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식재료를 선정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저장부(150)는 추출한 식재료 정보를 후술할 구매부(160)에 전달한다.
구매부(160)는 식재료의 구매에 대한 구매정보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식재료를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구매부(160)는 저장부(150)와 연결된 상태에서 식재료 정보를 전달받는다. 구매부(160)는 전달받은 식재료 정보에 대응되는 제1구매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160)를 실시한다. 즉, 구매부(160)는 사용자와 유사한 타 사용자가 효과를 본 식재료에 대한 유용 재료정보에 대응되는 제1구매정보를 형성한다. 이후 구매부(160)는 상기 제1구매정보를 단말부(200)로 전송하고, 단말부(200)에서 전달받은 제1구매정보를 기반으로 결제를 실시함으로써, 식재료의 구매가 완료된다. 여기서, 제1구매정보는 식재료의 이름, 원산지, 가격 등에 관한 구매정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는 별도의 결제부가 더 구비되어, 제1구매정보에 따른 식재료에 관한 결제를 단말부(200) 대신 대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단말부(200)와 통신연결되어 구매 전의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일시 저장하는 별도의 계류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계류부는 후술할 모임부(170)와 연계되어 제2구매정보의 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뮤니티 기능에 관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유되는 레시피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룹 형성을 위한 화면이 단말부(200) 상에 게시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임부(170)는 커뮤니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미리 지정된 기준규칙에 따라 복수의 단말부(200)를 그룹핑하고, 레시피 정보를 공유하며, 제2구매정보가 선술한 구매부(160)에 의해 산출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모임부(170)는 구매부(160) 및 저장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모임부(170)는 복수의 단말부(200)와 연결된 상태에서 그룹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 모임부(170)는 미리 지정된 기준규칙을 통해 복수의 단말부(200)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규칙은 도 11과 같이 단말부(200)가 미리 등록하거나 실제 인식되는 위치를 기반으로 정해진 기준거리 내에 위치한 타 단말부끼리 묶어 그룹화한다. 또한,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규칙은 도 11과 같이 어느 하나의 단말부(200)가 그룹의 소속을 유도하는 컨텐츠를 게시하고, 타 단말부가 상기 컨텐츠의 조회 후 그룹에 가입하는 것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그룹 형성 방법이 구비될 수 있다.
그룹에 소속된 단말부(200)는 모임부(170)를 향해 선소유한 레시피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171)를 실시하고, 모임부(170)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레시피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s173)를 실시한다.
이후, 모임부(170)를 통해 중첩재료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174)를 수행한다. 상세하게, 모임부(170)는 복수의 레시피 정보 중 겹치는 식재료의 종류가 많은 레시피 정보를 대상으로 중첩재료 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중첩재료 정보를 구매부(160)에 전송한다. 이후, 구매부(160)는 상기 중첩재료 정보에 대응하는 제2구매정보를 형성하는 단계(S175)를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모임부(170)를 통해 복수의 단말부(200)를 그룹화하고 레시피 정보의 송수신을 중개하며, 레시피 정보로부터 중첩재료 정보를 형성함으로써, 레시피 간의 겹치는 재료가 많은 어느 하나의 레시피를 바로 추천받아 구매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계류부에 일시 저장한 식재료 또는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식재료에 관한 정보가 모임부(170)에 전달되는 단계(s172)가 실시된 이후, 모임부(170)가 레시피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s173)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모임부(170)는 레시피 정보에 포함된 식재료 및 전달된 식재료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중첩되는 식재료를 대상으로 중첩재료 정보로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되거나 단말부(200)를 통해 주로 입력된 식재료가 사과, 토마토 및 호박이고, 공유된 레시피에 토마토, 아보카도 및 치즈가 포함될 시, 모임부(170)는 중첩되는 토마토에 관한 중첩재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시하고, 구매부(160)는 중첩재료 정보를 기반으로 제2구매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단말부(200)를 기준규칙에 따라 그룹화한 후, 다수 기입력되거나 구매 예정인 식재료에 관한 정보가 먼저 저장된 상태에서 그룹 내에서 공유된 레시피와 겹치는 특정 식재료를 추천해주는 커뮤니티 기능이 모임부(170)에 의해 구현됨으로써, 구매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입장에서는 본인과 유사한 식단을 사용하는 타 사용자와의 교류를 이룰 수 있어, 키토제닉 식단과 같은 특수한 맞춤형 식단의 활성화를 보다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모집부를 통해 구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세하게, 모집부는 단말부를 대상으로 구독 기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단말부와 통신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모집부는 키토제닉 등 특이 맞춤형 식단을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부 또는 상기 맞춤형 식단 관련 홍보를 실시하려는 타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독 기능은 사용자가 식재료 또는 레시피를 정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목적으로 구비된다.
모집부는 단말부 및 기록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생체정보 및 식단정보를 공급받는 단계를 실시한다. 여기서, 생체정보 및 식단정보 외에도 단말부에 관한 정보를 더 공급받을 수도 있다. 단말부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 또는 광고를 게시하려는 타 사용자에 관한 정보 및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모집부는 타 사용자에게 식재료 또는 레시피에 관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를 실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타 사용자가 소유한 타 단말부의 입력에 의해 상기 식재료 또는 레시피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식재료 또는 레시피에 관한 정보는 가격, 조리 시간, 영양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집부는 판매 또는 홍보하려는 식재료 또는 레시피에 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이후 모집부는 획득한 식재료 또는 레시피에 관한 정보 및 구독을 문의하는 구독정보를 합산하여 단말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단말부는 식재료 또는 레시피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되는 정보들을 확인하고, 구독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부의 입력을 통해 구독을 결정한 경우, 모집부는 단말부 및 타 단말부를 연결시키고 타 단말부에서 제공하는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단말부로 이동시켜 결제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단말부가 결제를 완료하면 타 단말부에서 단말부에게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식재료 또는 레시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독 기능을 제공하는 모집부가 구비됨으로써, 맞춤형 식단을 홍보 및 판매하려는 타 사용자(판매자) 입장에서는 상기 맞춤형 식단을 먼저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밀집한 상황에서 홍보를 실시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맞춤형 식단에 사용되는 식재료 또는 레시피를 주기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편의성 측면에서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목표 설정부 120: 기록부
130: 가이드부 140: 개인화부
150: 저장부 160: 구매부
170: 모임부 200: 단말부

Claims (10)

  1. 단말부에서 입력된 목표정보를 저장하는 목표 설정부;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기록부; 및
    상기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정보로의 도달에 관한 추세정보를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상기 단말부 상에서 터치 입력하거나,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촬상함으로써 형성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정보, 생체정보 및 추세정보를 기반으로 생체정보별 유사군을 형성하는 개인화부;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부는,
    상기 유사군의 형성 이후, 상기 유사군에 포함된 둘 이상의 단말부를 대상으로 유사정보를 산출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부는,
    상기 유사군에 포함된 둘 이상의 단말부를 대상으로 상기 목표정보로의 근접을 유도하는 식재료에 관한 유용 재료정보를 산출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저장 및 게시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미리 저장된 기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식단정보에 포함된 식재료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식재료의 구매에 관한 구매정보를 형성하는 구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매부는 상기 식재료에 대응하는 제1구매정보를 산출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기준규칙에 따라 복수의 단말부를 그룹으로 포함시키는 모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룹 내에서 공유되는 레시피 정보에 대응하는 제2구매정보를 산출하는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9.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가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목표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추세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유사군을 형성하고, 상기 유사군에 대응되는 유사정보 및 유용 재료정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용 재료정보를 기반으로 제1구매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맞춤형 식단 제공 방법.
  10.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가 맞춤형 식단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단말부를 통해 입력된 목표정보를 저장하는 목표 설정 기능;
    단말부를 통해 입력된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저장하는 식단 기록 기능;
    저장된 상기 식단정보 및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추세정보를 형성하여 상기 단말부로 제공하는 가이드 기능;
    복수의 단말부를 대상으로 저장된 생체정보별 유사군을 형성하고, 상기 유사군을 대상으로 유사정보 및 유용 재료정보를 산출하여 단말부로 제공하는 유사군 분석 기능; 및
    상기 유용 재료정보에 대응되는 제1구매정보를 산출하여 단말부로 제공하는 추천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005456A 2022-01-13 2022-01-13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KR20230109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56A KR20230109455A (ko) 2022-01-13 2022-01-13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456A KR20230109455A (ko) 2022-01-13 2022-01-13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455A true KR20230109455A (ko) 2023-07-20

Family

ID=8742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456A KR20230109455A (ko) 2022-01-13 2022-01-13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94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749B1 (ko) 2023-07-24 2023-12-19 주식회사 쏘렐라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식단 관리 컨설팅 정보 생성의 자동화 처리 및 이를 이용한 식단 관리 서비스 및 멘탈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749B1 (ko) 2023-07-24 2023-12-19 주식회사 쏘렐라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식단 관리 컨설팅 정보 생성의 자동화 처리 및 이를 이용한 식단 관리 서비스 및 멘탈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01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od analysis,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and health management
US20180293638A1 (en) Blood and saliva biomarker optimized food consumption and deliver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thimopoulos et al. Computer vision-based carbohydrate estimation for type 1 patients with diabetes using smartphones
Waki et al. DialBetics with a multimedia food recording tool, FoodLog: smartphone-based self-management for type 2 diabetes
KR102005195B1 (ko) 건강관리 시스템
JP201122163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229349A1 (en) Facilitating a personal data market
CN107004214A (zh) 用户状态调控的产品选择
KR102278646B1 (ko) 고객 맞춤형 식품 추천 시스템
JP6455118B2 (ja) 健康管理装置、及び健康管理方法
US202000824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influence on social network
CN109509117A (zh) 一种菜品推荐方法、装置及系统
KR20230109455A (ko) 맞춤형 식단 관리 서버,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Schäfer et al. User nutrition modelling and recommendation: Balancing simplicity and complexity
CN110084663A (zh) 一种物品推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20068594A (ko) 챗봇 기반의 질의응답 및 생체표지자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영양 관리 시스템
CN111895720A (zh) 智能冰箱的信息交互方法、系统及智能冰箱
JP2019191625A (ja) 買い物支援システム、買い物支援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端末。
KR10119814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식이 요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63694B1 (ko) 위치기반 음식점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26577A (ko) 음식량 측정을 이용한 배식소의 운영정보와 배식대상의 관리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프로그램
KR20230042895A (ko) 건강기능식품 컨설팅 제공 시스템
CN115935048A (zh) 一种服务信息推荐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10049704A (ko) 음식 측정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20075139A (ko) 사용자 맞춤형 레시피 및 이를 이용한 밀키트 상품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