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421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421A
KR20230109421A KR1020220005382A KR20220005382A KR20230109421A KR 20230109421 A KR20230109421 A KR 20230109421A KR 1020220005382 A KR1020220005382 A KR 1020220005382A KR 20220005382 A KR20220005382 A KR 20220005382A KR 20230109421 A KR20230109421 A KR 20230109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slit
support
fram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수
최용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5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9421A/ko
Priority to PCT/KR2022/021738 priority patent/WO2023136523A1/ko
Publication of KR20230109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4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height of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투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랙을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하게 배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개방된 슬릿을 구비한 바스켓;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스켓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걸림부를 구비한 승하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바스켓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릿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바스켓이 승하강장치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개시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 내부에 배치되는 랙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터브 내부에 배치된 식기에 세척수와 스팀을 분사하여, 식기의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하는 장치이다.
터브 내부에는 식기가 안착되는 랙이 배치되고, 랙은 상하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랙이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경우, 최상측에 배치된 랙의 식기가 터브의 상부와 간섭되어, 식기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랙의 일부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켜 식기와 터브의 간섭을 방지한다 하더라도, 승하강되는 랙의 일부분이 랙으로부터 탈거되어 식기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식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랙의 일부를 승하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랙의 승하강을 원활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랙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랙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캐비닛,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된 랙을 포함한다.
상기 랙은, 상기 터브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하게 배치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랙은, 상기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개방된 슬릿을 구비한 바스켓을 포함한다.
상기 랙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스켓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걸림부를 구비한 승하강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바스켓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관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관통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릿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샤프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상기 레그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그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는 상기 슬릿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스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릿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지지부가 수납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1 벽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슬릿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스켓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그루브보다 상기 바스켓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스켓의 하측에 배치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와이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바스켓의 하강 시 상기 와이어와 접촉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경사진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상기 슬릿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슬릿과 수평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스켓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식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승하강장치의 걸림부에 의해 바스켓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걸림부가 관통부와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랙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랙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바스켓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승하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승하강장치 및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걸림부와 바스켓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걸림부와 바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어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지지블록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지지블록을 설명하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식기세척기의 외형을 설명한다.
식기세척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10),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20), 캐비닛(10)에 결합되는 컨트롤패널(30) 및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닛(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닛(10)으로부터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다.
터브(40)는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랙(100)(도 2)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터브(40)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랙(100)을 설명한다.
랙(100)은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수납부(120), 프레임(110)의 내측에 수납부(120)와 이격배치되는 바스켓(130), 수납부(120)와 바스켓(130)을 구획하는 격벽(1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사각폐루프 형상일 수 있다. 터브(40) 내부의 식기는 프레임(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납부(120)는 메쉬(Mesh)형일 수 있다. 수납부(120)는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다. 수납부(120)는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메쉬(Mesh)형일 수 있다.
식기는 수납부(120)와 바스켓(13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격벽(140)은 수납부(120)와 바스켓(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140)은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격벽(140)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격벽(140)에 하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후술할 승하강장치(150)가 배치되는 제1 프레임(111), 제1 프레임(111)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프레임(112), 제1 프레임(111)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2 프레임(112)과 마주하는 제3 프레임(113) 및 제2 프레임(112)과 제3 프레임(113)을 연결하고 제1 프레임(111)과 마주하는 제4 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1)은 제4 프레임(114)보다 도어(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1)이 배치된 위치를 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제4 프레임(114)이 배치된 위치를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승하강장치(150)는 제1 프레임(111)에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승하강장치(150)에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승하강장치(15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150)는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승하강장치(150)는 제1 프레임(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레버(152)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52)가 제1 프레임(1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바스켓(130)은 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프레임(110)에 대하여 하측으로 이동되어, 프레임(110)과의 사이에 간격(G)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버(152)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바스켓(130)은 프레임(11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버(152)를 상기 일측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바스켓(130)은 프레임(110)에 가까워지도록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랙(100)은 프레임(110)과 후술할 와이어(160)(도 10참조)를 연결하는 링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60)는 바스켓(130)의 하측에 배치되어 바스켓(130)을 지지할 수 있고, 링크(115)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바스켓(130)에 대해 설명한다.
바스켓(130)은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벽(131), 제1 벽(131)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 벽(132), 제1 벽(131)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고 제2 벽(132)과 마주하는 제3 벽(133) 및 제2 벽(132)과 제3 벽(133)을 연결하고 제1 벽(131)과 마주하는 제4 벽(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131), 제2 벽(132), 제3 벽(133) 및 제4 벽(134)은 사각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스켓(130)은 제1 벽(131), 제2 벽(132), 제3 벽(133) 및 제4 벽(134)으로 둘러싸인 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는 안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35)는 메쉬(Mesh)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스켓(130)은 제1 벽(13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돌출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6)는 제1 벽(131)으로부터 프레임(11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돌출부(136)에 개구된 슬릿(136a)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36a)은 돌출부(136)에 상하방향을 따라 개구될 수 있다.
슬릿(136a)은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슬릿(136a)은 슬릿상단(136a1) 및 슬릿하단(136a2)을 구비할 수 있다. 슬릿(136a)은 슬릿상단(136a1)으로부터 슬릿하단(136a2)을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제1 벽(131)으로부터 바스켓(13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지지블록(13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록(137)은 슬릿(136a)과 수평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130)은 후술할 와이어(160)(도 10참조)가 배치되는 와이어홈(131a)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홈(131a)은 제1 벽(13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홈(131a)은 제1 벽(131)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홈(131a)은 제1 벽(131)으로부터 제4 벽(13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후술할 와이어(160)(도 10참조)는 제1 벽(131)과 제2 벽(134) 사이에서 와이어홈(131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승하강장치(150)에 대해 설명한다.
승하강장치(150)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바디(151), 바디(15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레버(152), 레버(152)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수납부(153), 레버수납부(153)에 형성된 레버홈(154) 및 바디(151)로부터 바스켓(130)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51)는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샤프트(151a), 샤프트(151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레그(151b) 및 샤프트(151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 레그(151b)과 마주하는 제2 레그(151c)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151a)는 제1 프레임(111)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레버수납부(153)와 레버홈(154)은 샤프트(151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그(151b)와 제2 레그(151c)는 바스켓(130)의 돌출부(136)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레그(151b)와 제2 레그(151c)는 샤프트(151a)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버(152)는 레버홈(154)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레버홈(154)은 샤프트(151a)의 연장방향을 따라 개구될 수 있다.
걸림부(155)는 레그(151b, 151c)로부터 바스켓(13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155)는 샤프트(151a)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155)는 바디(151)로부터 바스켓(130)을 향해 돌출되어, 바스켓(130)의 돌출부(136)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136)는 승하강장치(15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155)는 복수의 돌출부(136) 각각에 대응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55)는 제1 레그(151b)와 제2 레그(151c) 각각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걸림부(155)와 돌출부(136)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걸림부(155)는 관통부(155a) 및 지지부(155b)를 포함한다.
걸림부(155)는 슬릿(136a)을 통과하는 관통부(155a) 및 관통부(155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부(155b)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155a)는 슬릿(136a)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155a)는 바디(151) 및 지지부(155b)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55b)는 관통부(155a)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55b)는 관통부(155a)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55b)는 슬릿(136a)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36)는 슬릿(136a)이 형성된 돌출바디(136b), 바스켓(130)의 외측방향으로 함몰된 그루브(136c)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5b)의 일부는 그루브(136c)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는 그루브(136c)보다 바스켓(1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바스켓(130)은 제1 벽(131)으로부터 돌출부(136)를 향해 연장된 브릿지(138) 및 제1 벽(131)과 돌출부(136)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139)를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138)는 제1 벽(131)으로부터 돌출부(136)를 향해 연장되어 돌출부(136)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벽(131)과 브릿지(138)와 돌출부(136)는 일체형일 수 있다.
리세스(139)는 제1 벽(131)과 돌출부(136)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리세스(139)는 한 쌍의 브릿지(138)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39)는 슬릿(136a)과 연통될 수 있다.
리세스(139)는 지지부(155b)와 상하로 마주할 수 있다. 지지부(155b)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리세스(139)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부(155b)는 걸림부(155)가 슬릿(136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때, 리세스(139)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부(155b)는 걸림부(155)가 슬릿(136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때, 돌출부(136)와 제1 벽(1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155b)는 바디(151)와 대향될 수 있다.
지지부(155b)는 슬릿(136a)을 기준으로 바디(151)와 대향될 수 있다. 슬릿(136a)은 지지부(155b)와 바디(15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부(155a)는 서로 이격된 지지부(155b)와 바디(151)를 연결할 수 있다.
바디(151)는 제1 레그(151b) 및 제1 레그(151b)의 하부를 구성하는 레그엣지(151d)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155a)는 레그엣지(151d)의 상측에서 슬릿(136a)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레그엣지(151d)는 관통부(155a)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지지부(155b)는 관통부(155a)의 타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55b)의 하단은 레그엣지(151d)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55b)의 하단은 제1 레그(151b)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레그엣지(151d)와 지지부(155b) 사이에는 공간(155c)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155c)은 레그엣지(151d)와 지지부(155b)와 관통부(155a)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공간(155c)의 일부는 슬릿(136a)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나머지는 슬릿(136a)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136)는 바스켓(130)의 외측을 향하는 제1 면(136d) 및 바스켓(130)의 내측을 향하는 제2 면(136e)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36a)은 제1 면(136d)과 제2 면(136e)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레그(151b)는 제1 면(136d)보다 바스켓(13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155b)는 제2 면(136e)보다 바스켓(13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바스켓(130)이 승강할 때의 구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레버(152)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155)는 슬릿(136a)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고, 바스켓(130)은 프레임(110)을 향하여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랙(100)은 바스켓(130)을 지지하는 와이어(160) 및 와이어(160)를 지지하는 지지블록(137)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60)는 일단이 프레임(110)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링크(1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60)는 와이어홈(131a)을 따라 제1 벽(131)으로부터 제4 벽(13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160)는 와이어홈(131a)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와이어(161), 제1 와이어(161)로부터 제1 벽(13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와이어(162) 및 제2 와이어(162)로부터 바스켓(13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링크(115)에 결합되는 제3 와이어(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61)는 바스켓(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바스켓(13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와이어(162)는 제1 벽(131)보다 바스켓(13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와이어(162)는 바스켓(130)의 승하강 시에, 와이어홈(131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 와이어(163)는 링크(1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지지블록(137)은 와이어(16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블록(137)은 제2 와이어(16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와이어(162)는 바스켓(130)의 하강 시에, 지지블록(137)의 하부에 접촉될 수 있다. 지지블록(137)은 바스켓(130)의 하강 시에, 제2 와이어(162)를 지지할 수 있다.
바스켓(130)의 승강 시에, 걸림부(155)는 슬릿하단(136a2)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블록(137)은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블록(137a), 제1 블록(137a)으로부터 바스켓(13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블록(137b), 제1 블록(137a)으로부터 바스켓(13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제2 블록(137b)과 이격되는 제3 블록(137c) 및 제1 블록(137a)으로부터 바스켓(13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고 제3 블록(137c)과 이격되는 제4 블록(137d)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록(137b), 제3 블록(137c) 및 제4 블록(137d)은 제2 와이어(162)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블록(137b)은 제3 블록(137c)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 블록(137c)은 제4 블록(137d)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블록(137b), 제3 블록(137c) 및 제4 블록(137d) 각각은 지지면(137e, 137f, 137g)을 가질 수 있다.
지지블록(137)의 지지면(137e, 137f, 137g)은 제2 와이어(160)와 상하로 대응될 수 있다.
제2 블록(137b)의 지지면(137e)은 제3 블록(137c)의 지지면(137f)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블록(137c)의 지지면(137f)은 제4 블록(137d)의 지지면(137g)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바스켓(130)이 하강할 때의 구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레버(152)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부(155)는 슬릿(136a)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고, 바스켓(130)은 프레임(110)으로부터 멀어지게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걸림부(155)는 슬릿상단(136a1)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와이어(163)는 제1 와이어(161)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61)는 바스켓(13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블록(137)은 제2 와이어(162)를 지지할 수 있다. 링크(115)는 제3 와이어(163)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61), 제2 와이어(162) 및 제3 와이어(163)는 일체형일 수 있다.
제2 와이어(162)는 지지블록(137)의 지지면(137e, 137f, 137g)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와이어(162)는 지지블록(137)의 지지면(137e, 137f, 137g)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면(137e, 137f, 137g)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θ2)는 슬릿(136a)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θ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캐비닛 20: 도어
30: 컨트롤패널 40: 터브
100: 랙 110: 프레임
120: 수납부 130: 바스켓
140: 격벽 150: 승하강장치
151: 바디 155: 걸림부
155a: 관통부 155b: 지지부
160: 와이어

Claims (12)

  1. 세척대상이 투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랙을 포함하고,
    상기 랙은,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 내부로부터 인출가능하게 배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개방된 슬릿을 구비한 바스켓;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스켓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걸림부를 구비한 승하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바스켓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릿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슬릿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은,
    상기 레그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레그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슬릿 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스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릿과 이격되는 식기세척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지지부가 수납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벽; 및
    상기 제1 벽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슬릿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스켓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된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그루브보다 상기 바스켓의 내측에 위치하는 식기세척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은, 상기 바디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식기세척기.
  8.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스켓의 하측에 배치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와이어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바스켓의 하강 시 상기 와이어와 접촉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와이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블록;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상기 바스켓으로 돌출되는 제2 블록;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상기 바스켓으로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블록과 이격되는 제3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으로부터 상기 바스켓으로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블록과 이격되는 제4 블록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경사진 지지면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상기 슬릿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보다 작은 식기세척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슬릿과 수평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20005382A 2022-01-13 2022-01-13 식기세척기 KR20230109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382A KR20230109421A (ko) 2022-01-13 2022-01-13 식기세척기
PCT/KR2022/021738 WO2023136523A1 (ko) 2022-01-13 2022-12-30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382A KR20230109421A (ko) 2022-01-13 2022-01-13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421A true KR20230109421A (ko) 2023-07-20

Family

ID=8727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382A KR20230109421A (ko) 2022-01-13 2022-01-13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9421A (ko)
WO (1) WO20231365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43433Y1 (it) * 1997-09-12 2002-03-04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Lavastoviglie con cesto regolabile in altezza
KR102413326B1 (ko) * 2015-08-18 202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N106361245A (zh) * 2016-09-21 2017-02-0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托盘架组件及具有其的刀叉托盘组件
CN209863709U (zh) * 2019-02-27 2019-12-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碗篮组件和洗碗机
CN212939639U (zh) * 2020-04-17 2021-04-13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的搁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523A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361B1 (ko) 식기세척기
US8840201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rack assembly of an appliance
US8900375B2 (en) Two level conduit docking port mechanism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20160331204A1 (en) Dishwash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dish rack
KR100879573B1 (ko) 식기 세척기용 랙 및 이를 구비한 컴팩트형 식기세척기
KR102413326B1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US11406244B2 (en) Rack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EP2326237B1 (en) A dishwasher with drawer attached to tub roof
RU2004112561A (ru) Система стеллажей для хранения и архивирования предметов
KR20100037460A (ko) 식기 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KR20230109421A (ko) 식기세척기
KR20100091906A (ko) 수납고
US7954913B2 (en) Molded plastic support frame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2276711A (en) Container
KR20230067345A (ko) 식기세척기
KR20060095353A (ko) 식기세척기
KR101875941B1 (ko) 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JP4158572B2 (ja) 食器洗い機
KR20080044080A (ko) 식기세척기의 랙 어셈블리
CN220344372U (zh) 用于洗碗机的置物架、碗篮组件及洗碗机
KR102507749B1 (ko) 식기세척기
JP7258547B2 (ja) 収納什器
CA2677161C (en) Dishwasher with inclined tub
KR101070104B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2109384B1 (ko) 식기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