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558A -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 Google Patents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558A
KR20230108558A KR1020220004134A KR20220004134A KR20230108558A KR 20230108558 A KR20230108558 A KR 20230108558A KR 1020220004134 A KR1020220004134 A KR 1020220004134A KR 20220004134 A KR20220004134 A KR 20220004134A KR 20230108558 A KR20230108558 A KR 20230108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ilter
filter paper
hepa filter
he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쉐
주식회사 펜진
정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쉐, 주식회사 펜진, 정용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쉐
Priority to KR102022000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558A/ko
Publication of KR2023010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01D39/083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57Specific fire retardant or heat resistant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71Surface coating material
    • B01D2239/0492Surface coating material on fib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에어컨, 공기청정기, 공조기 등의 제품에 적용되는 헤파 필터에 방염성 소재 및/또는 항균성 소재를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제품으로부터 화재 발생시 헤파 필터를 통해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헤파 필터를 적용한 제품이 설치되는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의 밀폐된 실내공간에서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밀폐된 실내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들간 바이러스 전파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면서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이용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HEPA filter with flameproof function}
본 발명은 에어컨, 공기청정기, 공조기 등의 제품에 적용되는 헤파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파 필터의 표면에 방염층을 형성하여 화재 발생시의 화염 확산을 방지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 또는 공조기 등에는 헤파 필터가 주로 적용되는데, 상기 헤파 필터는 무균실 공간에 널리 사용되는 공기로부터 미세한 먼지, 세균 입자들을 포집하는 고성능 필터로 인조섬유(syntheric fiber)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헤파 필터가 적용되는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 또는 공조기 등에서 화재가 발생시, 상기 헤파 필터에 화염이 옮겨 붙으면서, 화재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기중에 포함되는 먼지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10㎛ 이상의 먼지, 그리고 10㎛ 이하의 먼지 특히,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2,5㎛ 이하의 초미세먼지(PM-2.5)가 존재하고, 이러한 먼지는 인체의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면서 건강을 위협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비말로 형태로 전염되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일상 생활에 어려움이 많은데, 상기와 같은 헤파 필터가 적용되는 대중교통수단(예; 버스, 지하철, 열차 등) 또는 다중이용시설(예; 노래방, 클럽, 찜질방 등)에서는 미세 먼지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었다.
즉, 헤파 필터는 공기에 포함된 유기체(예;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 곰팡이 등)를 효과적으로 잡아낼 수 있지만, 상기 유기체가 증식할 수 있는 단점 때문에 자주 갈아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유기 화합 물질, 유해 가스를 산화 분해 탈취의 효능이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오염된 필터는 위생적이고 청정한 공기를 방출할 수 없어 위생에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밀폐된 공간인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먼지 흡입이나 또는 비말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호흡기를 가리는 방역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도 진행중인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방역 마스크 착용 시간이 일상화되면서 마스크 사용량이 많아져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에 현재 사용자들은 1회용인 마스크를 여러번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헤파 필터의 단점을 보완하도록, 헤파 필터에 광촉매의 효능을 나타내어 보다 위생적이고 청정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는 필터를 구성하기도 하였지만, 상기 광촉매는 자외광이 있어야만 광촉매 효능이 나타내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항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8357호(공고일 2003.09.29.) 등록특허공보 제10-0436109호(공고일 2004.06.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어컨, 공기청정기, 공조기 등의 제품에 적용되는 헤파 필터에 방염성 소재를 형성함으로써,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제품으로부터 화재 발생시 헤파 필터를 통해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에어컨, 공기청정기, 공조기 등의 제품에 적용되는 헤파 필터의 표면에 항균성 소재를 형성함으로써, 헤파 필터를 적용한 제품이 설치되는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의 밀폐된 실내공간에서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밀폐된 실내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사람들간 바이러스 전파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는, 유해 물질과 미세 먼지를 포집하는 것으로 다단 접힘 구조를 이루는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의 타면에 접착되는 카본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지에는 화재 발생시 상기 여과지 또는 상기 카본필터의 연소를 억제시키는 방염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지는 직조된 인조 섬유인 것이다.
또한, 상기 방염층은 상기 여과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방염제가 분사되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지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유해 물질과 미세 먼지의 포집이 방해받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코팅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 영역에 상기 방염제가 분사되면서 상기 방염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 영역은 상기 여과지의 일면 또는 타면 가장자리 영역인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 영역은 상기 여과지 일면 또는 타면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평면 영역인 것이다.
또한, 상기 방염층은, 상기 여과지와 함께 다단 접힘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여과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접착되면서 적층 결합되는 다공성 섬유 시트의 일면 또는 타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방염제가 분사되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유해 물질과 미세 먼지의 포집이 방해받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코팅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 영역에 상기 방염제가 분사되면서 상기 방염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 영역은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의 일면 또는 타면 가장자리 영역인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 영역은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 일면 또는 타면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평면 영역인 것이다.
또한, 상기 방염제는, 암모늄 폴리인산염(ammonium polyphosphate),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인산수소2암모늄(ammonium phosphate, debasic),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붕산(boric acid), 붕산 암모늄(ammonium borate), 삼산화안티몬(Antimony trioxide), 삼염화안티몬(antimony trichloride) 중 어느 하나인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지의 타면에는 상기 여과지와 함께 다단 접힘 구조를 이루는 바이러스 제거용의 제 1 항균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항균층은 상기 여과지의 타면에 구리 입자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항균층은 구리 입자가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지의 타면에 접착되면서 적층 결합되는 다공성 섬유 시트인 것이다.
또한, 상기 카본 필터의 타면에는 바이러스 제거용의 제 2 항균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항균층은 상기 카본 필터의 표면에 구리 입자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항균층은 구리 입자가 첨가된 것으로 상기 카본 필터의 타면에 접착되면서 적층 결합되는 다공성의 섬유 시트인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지와 상기 카본 필터 사이에는 탈취 제거용의 나노실버필터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컨, 공기청정기, 공조기 등의 제품에 적용되는 헤파 필터에 방염성 소재 및/또는 항균성 소재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제품으로부터 화재 발생시 헤파 필터를 통해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헤파 필터를 적용한 제품이 설치되는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의 밀폐된 실내공간에서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밀폐된 실내 공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람들간 바이러스 전파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면서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이용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코팅 구조의 방염층을 가지는 여과지를 포함하는 헤파 필터 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코팅 구조의 방염층을 가지는 여과지를 포함하는 헤파 필터 구조의 결합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다단 접힘되는 여과지의 펼침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코팅 구조의 방염층을 가지는 다공성 섬유 시트가 여과지에 적층 결합되는 헤파 필터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코팅 구조의 방염층을 가지는 다공성 섬유 시트가 여과지에 적층 결합되는 헤파 필터 구조의 결합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여과지에 적층 결합되는 다공성 섬유시트의 펼침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단수의 항균층이 포함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단수의 항균층이 포함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구조의 결합 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 복수의 항균층이 포함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구조의 결합 단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로 나노실버필터가 포함되는 방염 및 항균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구조의 결합 단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방염제(암모늄 폴리인산염)가 도포된 여과지의 시료 사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여과지에 방염제(암모늄 폴리인산염)가 도포된 헤파 필터의 방염 성능 시험 결과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코팅 구조의 방염층을 가지는 여과지를 포함하는 헤파 필터 구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코팅 구조의 방염층을 가지는 여과지를 포함하는 헤파 필터 구조의 결합 단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다단 접힘되는 여과지의 펼침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F10)는 에어컨, 공기청정기, 공조기 등의 제품에 장착되는 것으로, 여과지(10), 카본필터(20), 방염층(30)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여과지(10)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예; 집먼지, 진드기, 바이러스, 곰팡이 등)과 미세 먼지를 포집하는 것으로, 직조된 인조 섬유를 다단 접힘하여 형성하여둔 것이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여과지(10)는 제품 특성에 따라 사각 틀 형상의 케이스에 고정되면서 상기 제품에 장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카본 필터(carbon filter)(20)는 상기 여과지(10)의 타면에 접착 고정되면서 상기 여과지(10)에 의해 정화된 공기중에 포함되는 각종 냄새를 제거하는 것이다. 즉, 상기 카본 필터(20)는 음식이나 동물 냄새, 담배 냄새 등을 효과적으로 없애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염층(30)은 화재로 인한 화염이 헤파 필터(F10)에 달라 붙을 때, 상기 헤파 필터(F10)에 포함되는 상기 여과지(10) 및/또는 상기 카본필터(20)의 연소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이는 상기 여과지(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방염제(또는 난연제)가 분사되어 도포되는 방염 코팅층인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염제는 암모늄 폴리인산염(ammonium polyphosphate),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인산수소2암모늄(ammonium phosphate, debasic),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붕산(boric acid), 붕산 암모늄(ammonium borate), 삼산화안티몬(Antimony trioxide), 삼염화안티몬(antimony trichlor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염제가 상기 여과지(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분사되어 도포시, 상기 여과지(10)의 유해 물질과 미세 먼지의 포집이 방해받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방염제가 상기 여과지(10)의 일면 또는 타면 전체에 분사되어 도포되더라도 그 도포 방식은 망체를 이용하여 조밀하지만 소정의 갭이 형성되도록 도포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여과지(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코팅 영역(S1, S2)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 영역(S1, S2)에 상기 방염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코팅 영역(S1)은 상기 여과지(10)의 일면 또는 타면 가장자리 영역으로서 다단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코팅 영역(S2)은 상기 여과지(10)의 일면 또는 타면에서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평면 영역으로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다단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필터(F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에어컨, 공기 청정기, 공조기 등의 제품에 장착된 상태에서, 밀폐된 공간내에서 상기 제품에 의해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과 미세먼지는 직조된 인조 섬유로 제작되는 여과지(10)에 의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품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상기 화재로 인한 화염이 상기 헤파 필터(F10)에 옮겨 붙으면, 상기 헤파 필터(F10)에 포함되는 방염층(30)은 상기 화염에 의해 상기 헤파 필터(F10)가 연소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헤파 필터(F10)에 포함되는 여과지(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도포된 방염층(30)이 화염의 연소를 억제하게 되면서, 상기 헤파 필터(F10)에 포함되는 여과지(10)는 물론 카본필터(20)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따라 제품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인한 화염 확산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2의 시료와 시험 리포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은 헤파필터(F20)에 형성되는 방염층(30')에 대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방염층(30')은 상기 여과지(10)와 함께 다단 접힘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여과지(10)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접착되면서 적층 결합되는 다공성 섬유 시트(31)의 일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방염제가 분사되면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31)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상기 여과지(10)에 의한 유해 물질과 미세 먼지의 포집이 방해받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코팅 영역(S11, S12)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 영역(S11, S12)에 상기 방염 층(3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코팅 영역(S11)은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31)의 일면 또는 타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다단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코팅 영역(S12)은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31) 일면 또는 타면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S11)을 제외한 평면 영역(S12)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다단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31)가 상기 여과지(10)의 타면에 접착되는 경우,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31)는 상기 여과지(10)와 상기 카본 필터(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첨부된 도 7 및 도 8은 헤파필터(F30)에 대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방염층(30 또는 30')이 형성되는 헤파필터(F30)에 제 1 항균층(40)을 형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1 항균층(40)은 공기중에 포함되는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예; 코로나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구리 입자가 첨가된 다공성의 섬유 시트 또는 필름지이거나, 상기 여과지(10)의 표면에 구리 입자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항균층(40)이 다공성의 섬유 시트 또는 필름지인 경우, 상기 섬유 시트 또는 필름지는 상기 방염층(30)이 형성되는 상기 여과지(10)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 고정되면서, 상기 여과지(10)와 함께 다단 접힘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항균층(40)을 이루는 다공성의 섬유 시트 또는 필름지에 첨가되거나 또는 상기 여과지(10)에 코팅되는 구리 입자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고 하는 이온화 효과를 발취하는 것으로, 이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 등과 접촉하였을 때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교란하여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헤파 필터(F30)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에어컨, 공기 청정기, 공조기 등의 제품에 헤파 필터를 장착하여둔 상태에서, 밀폐된 공간내에서 상기 제품에 의해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과 미세먼지는 직조된 인조 섬유로 제작되는 여과지(10)에 의해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되는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는 상기 여과지(10) 및/또는 카본필터(20)에 형성되는 구리 입자가 첨가 또는 코팅된 제 1 항균층(40)에 접촉하면서 사멸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지(10)에 접착 고정되는 상기 카본 필터(20)는 상기 여과지(10) 및 상기 제 1 항균층(40)에 의해 정화된 공기 중에 포함되는 오염원(예; 담배 냄새, 애완 동물 냄새, 화장실 냄새, 쓰레기 냄새, 불쾌한 찌든 냄새와 특히 가정에서 많이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유해한 냄새 등)을 강력하게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헤파 필터(F30)는 상기와 같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인체에 해로운 유해 물질과 미세먼지 뿐만 아니라 그에 함유된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 그리고 각종 유해한 냄새 등에 대하여 항균 및 탈취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최대한 깨끗하면서 신선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밀폐된 공간에서 밀접할 수 밖에 없는 사람들간에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가 전파되면서 초래되는 방역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헤파 필터(F40)에 포함되는 상기 카본필터(20)에 제 2 항균층(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 2 항균층(50)은 상기 카본 필터(20)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공기중에 포함되는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 제거를 위해, 구리 입자가 첨가된 다공성의 섬유 시트 또는 필름지로서 상기 카본 필터(20)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착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카본 필터(20)의 표면에 구리 입자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일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항균층(50)을 이루는 다공성의 섬유 시트 또는 필름지에 첨가되거나 또는 상기 여과지(10)에 코팅되는 구리 입자는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고 하는 이온화 효과를 발취하는 것으로, 이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 등과 접촉하였을 때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교란하여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다.
이때, 상기 카본 필터(20)에 상기 제 2 항균층(50)을 형성시, 상기 제 2 항균층(50)은 상기 제 1 항균층(40)과 동일한 조건을 가지는 것이며, 이는 상기 제 1 항균층(40)에 의해 사멸되고 않고 상기 여과지(10)를 통과하는 바이러스를 2차 사멸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항균층(40)이 여과지(10)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를 1차 제거하고, 상기 제 2 항균층(50)이 카본 필터(20)를 통과하는 정화된 공기로부터 제거되지 않고 잔존하는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를 2차 제거하게 되면서, 대중교통수단이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는 제품이 적용되는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공기 순환시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예; 코로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고 한다.
한편, 첨부된 도 10은 헤파 필터(F50)에 대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헤파 필터(F50)에 탈취 제거용의 나노실버필터(nano sliver filter)(60)를 더 포함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나노실버필터(60)는 방염층(30 또는 30') 및/또는 항균층(40 및/또는 50)이 형성되는 상기 여과지(10)와 상기 카본 필터(20) 사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나노실버필터(60)는 살균 작용 효과가 큰 은(실버)을 잘게 쪼개서 코팅한 제품으로서, 은을 1억분의 1 크기로 잘게 쪼갠 나노실버를 필터에 코팅하여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나노실버필터(60)는 은 입자를 6∼10㎜로 잘개 쪼개 만든 것으로 살균 기능은 물론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며, 이는 고전압으로 상기 여과지(10)에 포집된 바이러스와 곰팡이 등 오염 물질을 살균 처리하는 한편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제품이 설치되는 밀폐된 실내 공기를 숲속과 같은 맑고 신선한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게 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하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9에서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여과지 20; 카본 필터
30, 30'; 방염층 31; 다공성 섬유시트
40; 제 1 항균층 50; 제 2 항균층
60; 나노실버필터 F10, F20, F30, F40, F50; 헤파필터
S11, S12; 코팅 영역

Claims (18)

  1. 유해 물질과 미세 먼지를 포집하는 것으로 다단 접힘 구조를 이루는 여과지; 및, 상기 여과지의 타면에 접착되는 카본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지에는 화재 발생시 상기 여과지 또는 상기 카본필터의 연소를 억제시키는 방염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는 직조된 인조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층은 상기 여과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방염제가 분사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유해 물질과 미세 먼지의 포집이 방해받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코팅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 영역에 상기 방염제가 분사되면서 상기 방염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영역은 상기 여과지의 일면 또는 타면 가장자리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영역은 상기 여과지 일면 또는 타면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평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층은,
    상기 여과지와 함께 다단 접힘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여과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접착되면서 적층 결합되는 다공성 섬유 시트의 일면 또는 타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방염제가 분사되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유해 물질과 미세 먼지의 포집이 방해받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코팅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코팅 영역에 상기 방염제가 분사되면서 상기 방염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영역은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의 일면 또는 타면 가장자리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영역은 상기 다공성 섬유 시트 일면 또는 타면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평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11.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제는, 암모늄 폴리인산염(ammonium polyphosphate),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인산수소2암모늄(ammonium phosphate, debasic),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붕산(boric acid), 붕산 암모늄(ammonium borate), 삼산화안티몬(Antimony trioxide), 삼염화안티몬(antimony trichlorid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의 타면에는 상기 여과지와 함께 다단 접힘 구조를 이루는 바이러스 제거용의 제 1 항균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균층은 상기 여과지의 타면에 구리 입자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항균층은 구리 입자가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지의 타면에 접착되면서 적층 결합되는 다공성 섬유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필터의 타면에는 바이러스 제거용의 제 2 항균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항균층은 상기 카본 필터의 표면에 구리 입자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항균층은 구리 입자가 첨가된 것으로 상기 카본 필터의 타면에 접착되면서 적층 결합되는 다공성의 섬유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지와 상기 카본 필터 사이에는 탈취 제거용의 나노실버필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KR1020220004134A 2022-01-11 2022-01-11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KR202301085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134A KR20230108558A (ko) 2022-01-11 2022-01-11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134A KR20230108558A (ko) 2022-01-11 2022-01-11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558A true KR20230108558A (ko) 2023-07-18

Family

ID=87423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134A KR20230108558A (ko) 2022-01-11 2022-01-11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85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357Y1 (ko) 2003-06-17 2003-09-29 주식회사 인디스 광촉매필터유니트 및 그를 적용한 공기정화기
KR100436109B1 (ko) 2001-06-25 2004-06-23 세신전자(주) 광효율을 향상시킨 실내 공기 정화용 저온 촉매와 광촉매 결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109B1 (ko) 2001-06-25 2004-06-23 세신전자(주) 광효율을 향상시킨 실내 공기 정화용 저온 촉매와 광촉매 결합 시스템
KR200328357Y1 (ko) 2003-06-17 2003-09-29 주식회사 인디스 광촉매필터유니트 및 그를 적용한 공기정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721B1 (ko) 전기 필터 구조
US7674436B1 (en) Portable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US20210154610A1 (en) Copper microbicidal filter
KR101224786B1 (ko)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항균 마스크
JPWO2011087100A1 (ja) 空気殺菌清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呼気ガス殺菌清浄装置、室内空気殺菌清浄装置、簡易隔離装置
KR100789954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 살균 및 정화 시스템
JP7304138B2 (ja) エアフィルタ用濾材、及びエアフィルタ
JP2007202826A (ja) ポータブル型清浄空気供給装置
KR20190126977A (ko)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
DE102020120046A1 (de) Vorrichtung zur Desinfektion von Luft
JP5051337B2 (ja) 除菌バリアー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CN208114957U (zh) 一种用于智能口罩的分体式滤芯及一体式复合滤片
Neupane et al. Current understanding on the effectiveness of face masks and respirators to prevent the spread of respiratory viruses
KR20220052129A (ko) 항균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KR20230108558A (ko) 방염 기능을 가지는 헤파 필터
KR20080085964A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20180000070U (ko) 병실 음압기
KR20140002111A (ko) 바이러스 살균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KR102566838B1 (ko) 항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장치
JP7094055B2 (ja) 空気浄化装置及び空気吸引装置
CN212378144U (zh) 一种商用空调消毒器
CN213074515U (zh) 用于呼吸口罩的呼吸盒
KR200326123Y1 (ko) 가습 및 냉풍겸용 공기청정기
KR200350010Y1 (ko) 기능성 마스크
CN217817274U (zh) 一种室内局部空气治理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