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988A -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988A
KR20230107988A KR1020220003250A KR20220003250A KR20230107988A KR 20230107988 A KR20230107988 A KR 20230107988A KR 1020220003250 A KR1020220003250 A KR 1020220003250A KR 20220003250 A KR20220003250 A KR 20220003250A KR 20230107988 A KR20230107988 A KR 20230107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afety management
work
site
risk assess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미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이프티마스터
성미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이프티마스터, 성미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이프티마스터
Priority to KR102022000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988A/ko
Publication of KR2023010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4Navigation, e.g. using categorised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Abstract

회원으로 가입한 건설사의 현장직원뿐만 작업현장의 협력업체 직원과 계약노동자도 위험작업에 대한 사고발생확률을 확인할 수 있는 웹 기반 안전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작업현장에 대한 복수의 안전관리 메뉴가 포함된 웹 사이트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안전관리 메뉴 중 위험성평가 메뉴를 통해 단위작업의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가 등록된 단위작업 중 사고가 발생된 단위작업을 선택하여 사고발생정보를 등록하는 복수의 공사참여자 단말기, 및 상기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등록된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의 단위작업을 비교분석하여 단위작업별 사고발생확률을 산정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한 공사참여자 단말기로 위험성평가정보의 대상인 단위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사참여자(주건설사 현장직원, 협력업체 직원, 계약노동자)는 위험성평가정보의 등록 과정을 통해 작업현장의 위험 요소와 단위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A WEB-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PREDICT THE PROBABILITY OF AN ACCIDENT IN HAZARDOUS WORK}
본 발명은 여러 건설사와 이의 협력업체가 인터넷을 통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성이 부여된 웹 기반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사, 협력업체, 계약노동자, 외부 안전전문기관 등 안전관리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이 이용할 수 있어 대부분의 안전업무를 온라인을 통해 처리할 수 있으며, 위험작업에 대한 위험도를 알려주는 웹 기반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는 수많은 현장 근로자가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현장에 내재된 다양한 위험요소와 현장 근로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많은 인적, 물적 피해를 동반하고 사회적 손실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산업안전보건법, 건설진흥법 등에서 많은 규제를 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2022년 1월 27일 부터는 중대재해 처벌법 까지 발효되어 기업의 산업안전관련 법규준수를 위한 안전업무는 더욱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기업 및 현장에서는 법규준수와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위해 많은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나, 위 법규준수를 위해 필요한 업무의 많은 부분이 아직 전산화 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기존 수작업 중심의 안전관리 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전산화되어 있는 안전관리시스템도 단위사업장이나 단위현장 중심으로 구축되어 폐쇄적이고,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건설현장에는 여러 공구에 걸쳐 다양한 분야의 협력업체와 현장 근로자들이 배치되어 복합적인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건설회사는 다양한 분야의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을 위해 위험요인을 제거하고 근로자들의 위험한 행동을 통제하는 등의 관리감독의 의무를 수행한다.
또한,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해 대부분의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에서는, 현장의 관리자 및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관리 교육 등을 수행하고 있으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전산화가 안 된 상태로 운영되다보니, 단위 현장단위의 형식적인 절차로 그치게 되어 사고예방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근로자의 생명을 위협함은 물론이고, 공사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그리고 공사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파생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현장 근로자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5036호(2021.04.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7941호(2021.05.04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0855호(2020.10.22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06095호(2017.01.1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기반의 이점인 신속한 정보 공유 능력을 활용하여 작업현장의 위험 요소를 온라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회원으로 가입한 건설사의 현장직원뿐만 작업현장의 협력업체 직원과 계약노동자도 위험작업에 대한 사고발생확률을 확인할 수 있는 웹 기반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현장에 대한 복수의 안전관리 메뉴가 포함된 웹 사이트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안전관리 메뉴 중 위험성평가 메뉴를 통해 단위작업의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가 등록된 단위작업 중 사고가 발생된 단위작업을 선택하여 사고발생정보를 등록하는 복수의 공사참여자 단말기, 및 상기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등록된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의 단위작업을 비교분석하여 단위작업별 사고발생확률을 산정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한 공사참여자 단말기로 위험성평가정보의 대상인 단위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을 통해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으므로, 공사참여자(주건설사 현장직원, 협력업체 직원, 계약노동자)는 위험성평가정보의 등록 과정을 통해 작업현장의 위험 요소와 단위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사참여자가 단위작업에 대한 사고발생확률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위험 작업에 대한 경각심을 향상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사고로 인한 손실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장의 공사참여자(주건설사 현장직원, 협력업체 직원, 계약노동자)에게 정형화,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전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비전문가라고 하더라도 표준화된 위험성평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위험요인 도출과 안전대책을 전문가 수준으로 수립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건설사의 수많은 안전관리(안전보건)업무를 한 곳에서 처리, 보관, 검색할 수 있어 안전관리(안전보건)업무의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안전관리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주건설사 본사직원, 주건설사 현장직원, 협력업체 직원, 안전전문기관 직원)이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이용하여 작업현장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사고발생정보 입력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위험성평가 입력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에 등록된 단위작업별 위험요인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위험성평가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모바일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직원등록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코드 등록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직원별 현장매칭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협력사 매칭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안전전문기관 매칭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결재라인 등록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협력사 평가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대시보드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이하, '안전관리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은 작업현장(공구)에 대한 복수의 안전관리 메뉴가 포함된 웹 사이트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이하, '통신네트워크'라 약칭함)를 통해 접속하여 위험성평가정보가 등록된 단위작업 중 사고가 발생된 단위작업을 선택하여 사고발생정보를 등록하는 복수의 공사참여자 단말기(100), 및 상기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웹 사이트를 통해 등록된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를 저장하고 비교분석하여 단위작업별 사고발생확률을 산정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한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로 위험성평가정보의 대상인 단위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제공하는 운영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웹 사이트는 현장코드에 부여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공유하는 공사참여자 식별정보를 통해 접속한 공사참여자 단말기(100)에 노출되며, 긴급호출 버튼이 구비된 메인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사참여자 식별정보는 현장직원 식별정보, 협력사직원 식별정보, 계약노동자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사고발생정보 입력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은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작업현장에 대한 복수의 안전관리 메뉴가 포함된 웹 사이트에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안전관리 메뉴 중 위험성평가 메뉴를 통해 단위작업의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하는 것으로, 위험성평가정보에 등록된 단위작업에 대한 사고가 발생되면 위험성평가정보가 등록된 단위작업 중 사고가 발생된 단위작업을 선택하여 사고발생정보를 등록한다.
예를 들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등록된 단위작업에 대한 사고가 발생되면 도 4와 같이 위험성평가 메뉴에 등록된 작업현장의 단위작업 중 사고가 발생된 단위작업을 검색하여 선택하고, 사고개요와 사고내용과 사고원인이 포함된 사고발생정보를 등록한다.
여기서, 사고개요로는 사업분류, 사고분류, 현장명, 협력업체명, 공정률, 재해일, 재해형태, 직종, 재해자명, 채용일자, 상해부위, 근속일수, 사고구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고발생정보에는 재발방지 대책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발생정보와 재발방지 대책정보는 첨부파일로 등록될 수 있다.
이러한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회원사의 건설현장에 참여하는 회원사 현장직원과 협력사직원 및 계약노동자의 단말기이다. 다시 말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주건설사의 현장직원 단말기(110)와, 협력사직원 단말기(120), 및 계약노동자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주건설사인 회원사의 본사직원 단말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위험성평가 입력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현장코드에 부여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공유하는 공사참여자 식별정보를 통해 접속하며, 위험성평가 메뉴에 등록된 작업현장의 단위작업에 대한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성평가정보는 작업명이 포함된 작업개요와,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공종, 공정, 작업장소, 작업여건, 투입인원, 투입장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위험성평가 메뉴에 등록된 작업현장의 단위작업에 대한 위험성평가 검토의견내용, 위험성평가 계약노동자참여내용을 등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에 등록된 단위작업별 위험요인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위험성평가 메뉴에 등록된 작업현장의 단위작업에 대한 위험성 평가 상세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지만, 단위작업(작업명)을 입력하고 검색한 후 상기 단위작업에 매칭된 단위작업별 위험요인 리스트를 열람하고 선택하여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공종 및 단위작업의 작업명을 입력하고 검색한 후 상기 단위작업에 매칭된 단위작업별 위험요인 리스트를 열람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안전관리시스템은 단위작업별로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이 저장된 위험요인 리스트를 미리 등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관리시스템 내 위험성평가의 자동작성기능을 부여하여 위험성평가 업무의 시간단축 및 효율화를 수행할 수 있고, 각 단위공정 별 위험요소 및 안전대책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안전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비전문가라고 하더라도 표준화된 위험성평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위험성평가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공사참여자 식별정보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전술한 웹 사이트의 안전관리 메뉴 중 위험성평가 메뉴를 선택하여 현장명/협력업체/작업기간, 작성일자, 적용기간, 결재진행, 내용, 위험성평가 대상으로 분류된 단위작업목록, 위험요인 및 대책이 표시된 위험성평가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주건설사인 회원사의 현장직원은 현장직원 식별정보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을 진행하고, 주건설사의 협력사직원은 협력사직원 식별정보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을 진행하며, 작업현장의 계약노동자는 계약노동자 식별정보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을 진행한다.
상기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현장코드에 부여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공유하는 공사참여자 식별정보를 통해 접속하며, 위험성평가 메뉴에 등록된 작업현장의 단위작업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여 등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모바일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운영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와 연동되는 안전관리앱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장직원 단말기(110)에 설치된 안전관리앱은 회원사 식별정보 및 현장직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권한이 부여된 작업현장을 자동으로 찾아서 리스트를 띄운다. 그리고 협력사직원 단말기(120)에 설치된 안전관리앱은 회원사 식별정보, 협력사 식별정보 및 협력사직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권한이 부여된 작업현장을 자동으로 찾아서 리스트를 띄운다.
상기 현장직원 단말기(110)는 안전관리 메뉴 중 출역현황, 위험성평가 중점관리이행, 재발방지대책이행, 계약노동자 참여, 위험성성평가 계약노동자참여에 게시글을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협력사직원 단말기(120)는 안전관리 메뉴 중 출역현황, 위험성평가 중점관리이행, 계약노동자 참여, 위험성성평가 계약노동자참여에 게시글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계약노동자 단말기(130)에 설치된 안전관리앱은 안전관리서비스에 등록된 작업현장의 소재지와 계약노동자 단말기(13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가까운 작업현장을 자동으로 찾아서 현장 리스트를 띄우고 현장명을 선택하게 한다.
예컨대, 계약노동자 단말기(130)에 설치된 안전관리앱은 계약노동자 단말기(130)의 반경 1Km 내에 위치한 작업현장들의 현장 리스트를 띄우고 이를 선택하게 한다. 이때, 안전관리앱은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작업현장의 현장명을 찾아주고 인접지역의 작업현장이 복수개인 경우 풀다운메뉴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계약노동자 단말기(130)에 설치된 안전관리앱은 계약노동자 단말기(130)에 의해 현장명이 선택되면, 상기 현장명으로 세팅된 안전관리 메뉴를 운영서버(200)로부터 다운받아 계약노동자 단말기(130)의 화면에 노출시킨다.
상기 계약노동자 단말기(130)는 안전관리 메뉴 중 계약노동자 신고란을 통해 신고위치(안전위험위치) 및 신고내용을 등록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신고사진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계약노동자 단말기(130)는 안전관리 메뉴 중 계약노동자 안전제안란을 통해 문제점 및 개선안을 등록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현장사진을 등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안전관리앱을 설치한 후 별도의 등록절차 없이도 자신의 위치정보와 연동된 안전관리 메뉴의 긴급호출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긴급호출 버튼에 대한 클릭신호를 생성한 후 운영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에 의해 긴급호출 버튼에 대한 클릭신호가 입력되면, 운영서버(200)는 공사참여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매칭된 현장코드를 추출하며, 추출된 현장코드를 갖는 작업현장의 안전관리자 전화번호로 상기 위치정보가 포함된 알람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단말기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갖는 데스크탑 컴퓨터, 통신 단말기, 스마트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은 회원사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사 단말기(300)는 한 개 이상의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회원사의 단말기로,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
이러한 회원사 단말기(300)는 웹 사이트에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고, 회원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회원사정보를 송신하여 회원사 코드를 수신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원사 단말기(300)는 운영서버(200)로부터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회원사 식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회원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회원사정보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회원사정보는 회원사의 회사명,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업태, 종목,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신청자정보, 회원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회원사 마스터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청자정보는 신청자 이름과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원사 마스터정보는 회원사 식별정보로 회원사의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회원사 마스터ID와, 비밀번호 및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회원사정보는 안전경영책임자정보와, 정보보안담당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경영책임자정보는 안전경영책임자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보안담당자정보는 정보보안담당자의 이름과 전호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직원등록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원사 단말기(300)는 회원사 마스터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현장직원 식별정보가 포함된 현장직원정보를 운영서버(200)에 등록하여 웹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현장직원의 계정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회원사 단말기(300)는 회원사 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본사직원 식별정보가 포함된 본사직원정보를 운영서버(200)에 등록하여 웹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본사직원의 계정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200)는 회원사 단말기(300)로부터 직원정보(현장직원정보, 본사직원정보, 또는 이들 모두가 업로드 되면 회원사와 연계된 직원계정으로 등록한다.
아울러, 회원사 단말기(300)는 회원사 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협력사직원 식별정보가 포함된 협력사직원정보를 운영서버(200)에 등록하여 웹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협력사직원의 계정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200)는 회원사 단말기(300)로부터 협력사직원정보가 업로드 되면 회원사의 작업현장에 연계된 직원계정으로 등록한다.
상기 현장직원정보와 본사직원정보 및 협력사직원정보에는 이름, 공사참여자 식별정보(ID), 비밀번호, 권한, 소속(본사/현장/기타), 전화번호, 이메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ID로는 사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코드 등록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회원사 단말기(300)는 회원사 식별정보 및 회원사 코드를 상기 웹 사이트의 접속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로 입력받아 전송하고, 상기 회원사 코드에 등록될 작업현장의 현장정보를 전송하고 현장코드를 할당받는다. 여기서, 현장정보는 현장명, 공사기간, 착공일, 준공일, 사업분류, 현장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준공일은 작업현장에 대한 준공이 완료된 후 입력한다.
다시 말해, 회원사 단말기(300)가 현장코드 등록페이지에 실제 준공일을 입력하면 운영서버(200)는 해당 작업현장을 준공으로 처리하고 작업현장의 현장코드를 사용중지로 전환시키며, 준공된 작업현장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수정불가로 처리한다.
또한, 회원사 단말기(300)에 의해 준공일이 입력되면 운영서버(200)는 준공일란을 수정한다. 그리고 준공일란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준공일의 값을 삭제하거나 수정하고, 사용 중지된 현장코드의 재사용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현장코드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해당 작업현장은 준공된 것이 아니므로 준공이 취소된 작업현장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수정가능으로 처리한다.
상기 현장코드 등록페이지는 현장코드의 사용 중에 자료보존기간이나 자료보존 종료일을 표시하지 않고, 현장코드가 사용중지로 변경되면 준공일부터 계산하여 표시한다. 이때, 자료보존기간이나 자료보존 종료일은 기본적으로 준공일로부터 5년으로 지정하고, 회원사 단말기(300)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있을 때 준공일로부터 10년으로 변경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직원별 현장매칭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회원사 단말기(300)는 회원사 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전술한 웹 사이트의 직원별 현장매칭페이지를 통해 현장명과 현장직원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하고 매칭신호를 운영서버(200)에 전송하여 직원에 매칭된 작업현장(현장코드)를 운영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회원사 단말기(300)는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상태에서 상기 직원별 현장매칭페이지를 통해 현장명을 선택하고 다수의 현장직원정보가 저장된 엑셀파일을 직원별 현장매칭페이지를 통해 운영서버(200)에 업로드 함으로써 단일의 작업현장에 다수의 현장직원 식별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회원사 단말기(300)는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상태에서 상기 직원별 현장매칭페이지에 구비된 '매칭중지/재매칭' 설정란을 통해 미리 매칭된 직원과 작업현장에 대한 매칭중지나 재매칭을 신청하거나, 매칭관계를 삭제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협력사 매칭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회원사 단말기(300)는 회원사 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전술한 웹 사이트의 협력사 매칭페이지를 통해 현장명과 하도급사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매칭신호를 운영서버(200)에 전송하여 작업현장별 협력업체를 운영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회원사 단말기(300)는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상태에서 상기 협력사 매칭페이지를 통해 현장명을 선택하고 다수의 하도급사 식별정보가 저장된 엑셀파일을 협력사 매칭페이지를 통해 운영서버(200)에 업로드 함으로써 단일의 작업현장에 다수의 협력업체를 등록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안전전문기관 매칭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회원사 단말기(300)는 회원사 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상기 웹 사이트의 안전전문기관 매칭페이지를 통해 현장명과 컨설팅사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매칭신호를 운영서버(200)에 전송하여 작업현장별 안전전문기관을 운영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회원사 단말기(300)는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상태에서 상기 안전전문기관 매칭페이지를 통해 컨설팅사의 회사명 또는 컨설팅사코드를 선택하고 다수의 현장코드가 저장된 엑셀파일을 안전전문기관 매칭페이지를 통해 운영서버(200)에 업로드 함으로써 단일의 안전전문기관에 다수의 작업현장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회원사 단말기(300)는 안전전문기관 매칭페이지에서 작업현장의 안전전문기관을 매칭한 후 매칭된 안전전문기관의 직원(직원 식별코드)을 안전전문기관 매칭페이지에 구비된 권한ID 설정란을 통해 검색하여 선택하고, 상기 직원에 대한 권한부여신호를 운영서버(200)에 전송하여 안전전문기관이 참여한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공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현장별 결재라인 등록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회원사 단말기(300)는 웹 사이트에 등록된 현장직원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단위작업목록의 결재권자로 등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원사 단말기(300)는 회원사 마스터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상기 웹 사이트의 결재라인 등록페이지를 통해 결재라인의 등록을 필요로 하는 안전관리 메뉴의 하위메뉴와 현장직원 식별정보를 선택하고 매칭신호를 운영서버(200)에 전송하여 단위작업별 결재라인을 운영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회원사 단말기(300)는 웹 사이트에 등록된 현장직원 식별정보와 본사직원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단위작업목록의 결재권자로 등록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결재라인의 등록을 필요로 하는 안전관리 메뉴의 하위메뉴로는 위험성평가, 안전보건점검보고-점검보고, 안전보건점검보고-조치결과보고, 국가기관점검-외부감독보고, 국가기관점검-시정조치완료보고, 법규준수여부 점검보고, 안전사고보고-안전사고발생 및 재발방지대책보고, 안전사고보고-재발방지대책 이행보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재권자는 결재진행중 수정이 가능하지만, 결재가 완료되면 수정이 불가능하며, 결재진행 과정에서 결재권자가 수정된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색깔을 다르게 표시한다.
이와 같이, 작업현장의 결재라인이 설정되면 설정된 모든 이들이 결재를 해야 결재완료가 되는 것이 원칙이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재권자의 결재유형이 '전결,후결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웹 사이트에서 현장소장이 결재를 하면 운영서버(200)는 결재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현장소장 아래의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 등의 중간결재자들은 웹 사이트에서 후결을 통해 결재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결재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되므로 수정은 불가능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의 협력사 평가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회원사 단말기(300)는 회원사 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상기 웹 사이트의 협력사 평가페이지를 통해 현장명과 하도급사 식별정보를 선택하여 작업현장의 협력업체에 대한 평가리스트를 출력하고, 상기 평가리스트의 각 항목에 점수를 입력한 후 입력완료 신호를 운영서버(200)에 제공하여 협력업체에 대한 평가정보를 운영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협력사 평가페이지에서 협력업체에 대한 신규입력은 회원사의 모든 직원(스태프ID)이 진행할 수 있으나, 수정과 삭제는 입력한 직원 본인만 진행할 수 있고, 다른 직원이 작성한 평가리스트는 확인할 수 없다. 이때, 웹 사이트를 통해 등록된 협력업체의 평가 결과는 회원사의 마스터ID와 이 마스터ID가 지정한 특정 서브마스터ID를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200)는 평가리스트의 각 항목에 입력된 점수를 계산하여 총 득점을 계산하여 평가리스트에 표시하고, 총 득점으로 등급을 계산하여 평가리스트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회원사 단말기(3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단말기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갖는 데스크탑 컴퓨터, 통신 단말기, 스마트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은 하도급사 단말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도급사 단말기(400)는 회원사의 건설현장에 협력사로 참여하고자 하는 하도급사의 단말기로,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
이러한 하도급사 단말기(400)는 작업현장에 대한 복수의 안전관리 메뉴가 포함된 웹 사이트에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하도급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하도급사정보를 송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도급사 단말기(400)는 회원사 단말기(300)가 운영서버(200)로부터 제공받는 안전관리서비스를 회원사 단말기(300)와 함께 제공받기 위해 하도급사 식별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하도급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하도급사정보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하도급사정보는 하도급사의 회사명,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업태, 종목,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하도급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협력사 마스터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협력사 마스터정보는 하도급사 식별정보로 하도급사의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협력사 마스터ID와, 비밀번호 및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도급사 단말기(400)는 하도급사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웹 사이트로부터 하도급사 코드를 수신받는다.
아울러, 하도급사 단말기(400)는 하도급사 식별정보 및 하도급사 코드를 상기 웹 사이트의 접속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로 입력받아 운영서버(200)로 전송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도급사 단말기(400)는 하도급사 마스터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협력사직원 식별정보가 포함된 협력사직원정보를 운영서버(200)에 등록하여 웹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협력사직원의 계정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200)는 하도급사 단말기(400)로부터 협력사직원정보가 업로드 되면 하도급사와 연계된 직원계정으로 등록한다.
필요에 따라, 협력사직원의 계정은 회원사 마스터ID를 통해 접속인증 한 회원사 단말기(300)에 의해 업로드 된 협력사직원정보를 기반으로 운영서버(200)가 협력사와 연계된 계정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협력사직원정보에는 협력사직원식별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하도급사 단말기(4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단말기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갖는 데스크탑 컴퓨터, 통신 단말기, 스마트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은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는 회원사의 건설현장에 안전전문기관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안전컨설팅업체의 단말기로,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
이러한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는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컨설팅사 식별정보와 회사명이 포함된 업체정보를 송신하고, 컨설팅사코드를 웹 사이트로부터 수신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는 회원사의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에 참여하기 위해 컨설팅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업체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업체정보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운영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업체정보는 컨설팅사의 회사명(컨설팅사명),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업태, 종목,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컨설팅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컨설팅사 마스터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설팅사 마스터정보는 컨설팅사 식별정보로 컨설팅사의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컨설팅사 마스터ID와, 비밀번호 및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는 웹 사이트의 안전관리 메뉴 중 위험성평가 메뉴에 작업현장의 단위작업목록별 위험요인 및 대책을 열람한다.
이와 같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는 위험성평가 메뉴에 단위작업목록별 위험요인 및 대책을 등록할 수 있고,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는 등록된 위험요인과 대책을 열람하고 안전전문기관에 의해 분석된 타당성과 관련된 내용을 운영서버(200)의 웹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다.
아울러,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는 컨설팅사 마스터ID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인증 한 후 직원매칭페이지를 통해 컨설팅사직원 식별정보가 포함된 컨설팅사직원정보를 운영서버(200)에 등록하여 웹 사이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컨설팅사직원의 계정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200)는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로부터 컨설팅사직원정보가 업로드 되면 안전전문기관과 연계된 직원계정으로 등록한다.
이러한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는 다수의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이동 통신 교환기 및 왑(WAP)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무선 단말기와 유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유선 단말기로는 인터넷 접속 수단을 갖는 데스크탑 컴퓨터, 통신 단말기, 스마트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은 운영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작업현장에 대한 복수의 안전관리 메뉴가 포함된 웹 사이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 회원사 단말기(300), 하도급사 단말기(400),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에 연결되며, 웹 사이트를 통해 공사참여자와 회원사와 협력사 및 안전전문기관에 안전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운영서버(200)는 웹 사이트를 통해 등록된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의 단위작업을 비교분석하여 단위작업별 사고발생확률을 산정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한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로 위험성평가정보의 대상인 단위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제공한다.
예컨대, 운영서버(200)는 단위작업이 거푸집설치인 위험성평가정보가 100건 등록된 후, 거푸집설치에 대한 사고발생정보가 10건 등록되면, 거푸집설치에 대한 사고발생확률을 10%로로 산정하며, 단위작업이 거푸집설치인 위험성평가정보가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로부터 등록되면 상기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로 거푸집설치에 대한 사고발생확률을 10%로 제공한다.
아울러, 사고발생확률을 산정하는데 대상이 되는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는 특정 회원사에서 안전관리시스템으로 등록한 정보만을 대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모든 회원사의 작업현장에서 안전관리시스템으로 등록한 정보를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운영서버(200)는 고객으로 가입한 회원사에게 회원사가 등록한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를 사고발생확률의 계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미리 승인받는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200)는 작업명이 소분류 키워드로 설정된 작업개요에 따라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200)는 도 6과 같이 위험성평가 메뉴에서 위험성평가정보의 등록과정 중 작업명이 입력되면, 매칭된 소분류 키워드를 갖는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리스트를 추출하여 공사참여자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영서버(200)는 작업개요의 공종 및 작업명에 따라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운영서버(200)는 위험성평가 메뉴에서 위험성평가정보의 등록과정 중 공종 및 작업명이 입력되면 매칭된 동일한 공종 및 작업명을 갖는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리스트를 추출하여 위험성평가 메뉴의 위험요인란과 안전대책란에 자동으로 입력해줄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회원사가 2개 이상의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를 통합해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회원사가 등록한 본사직원 계정을 통해 본사직원이 회원사의 각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사직원 계정에 안전관리 메뉴에 대한 이용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회원사는 본사직원이 특정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만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서버(200)에 본사직원 계정의 제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회원사가 등록한 현장직원 계정을 통해 현장직원이 회원사의 특정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메뉴에 대한 제한적인 이용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사 단말기(300)로부터 미리 웹 사이트에 등록된 현장직원 식별정보와 함께 현장코드 및 현장명이 포함된 현장정보가 입력되면, 운영서버(200)는 현장직원 식별정보를 등록한 고객을 상기 현장명의 현장직원으로 분류하며, 상기 현장코드에 부여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상기 현장직원 식별정보를 사용하는 현장직원 계정에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회원사에 의해 선택된 제1 작업현장 및 제1 하도급사를 매칭시켜 상기 제1 하도급사를 상기 제1 작업현장의 협력사로 등록하고, 상기 협력사의 계정을 통해 제1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1 작용현장용 안전관리 메뉴에 대한 이용권한을 협력사의 계정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협력사로 등록된 제1 하도급사의 요청에 따라 협력사직원 계정에 제1 작용현장용 안전관리 메뉴에 대한 이용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운영서버(200)는 하도급사 단말기(400)로부터 미리 웹 사이트에 등록된 협력사직원 식별정보와 함께 현장코드 및 현장명이 포함된 작업현장의 현장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협력사직원 식별정보를 등록한 고객을 상기 작업현장의 협력사직원으로 분류하며, 상기 현장코드에 부여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상기 협력사직원 식별정보를 사용하는 협력사직원 계정에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영서버(200)는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사정보를 제공한 회원사 단말기(300)에 회원사 코드를 할당하고, 상기 회원사 식별정보 및 회원사 코드를 통해 접속인증하여 작업현장의 현장정보를 제공한 회원사 단말기(300)에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이 부여된 현장코드를 할당하며, 상기 현장코드와 매칭될 하도급사 식별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현장코드에 부여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상기 하도급사 식별정보에 공유한다.
필요에 따라, 운영서버(200)는 회원사 단말기(300)로부터 복수의 안전관리 메뉴 중 결재라인등록을 설정할 제1 안전관리 메뉴와 웹 사이트에 등록된 계약노동자 식별정보 중 1차 결재권자로 선택된 제1 계약노동자 식별정보 및 2차 결재권자로 선택된 제2 계약노동자 식별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제1 계약노동자 식별정보를 사용하는 계정을 상기 제1 안전관리 메뉴의 1차 결재자로 등록하고, 상기 제2 계약노동자 식별정보를 사용하는 계정을 상기 제1 안전관리 메뉴의 2차 결재자로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작업현장의 현장코드와 매칭될 컨설팅사 식별정보가 제공되면, 회사명을 등록한 고객을 상기 작업현장의 안전전문기관으로 분류하며,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상기 컨설팅사 식별정보를 사용하는 안전전문기관 계정에 공유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안전전문기관 단말기(500)로부터 안전관리 메뉴 중 안전보건점검에 대한 컨설팅결과가 등록되면, 해당 메뉴(안전보건점검 메뉴)의 열람권한을 상기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이 부여된 회원사 코드 및 하도급사 코드에 공유한다. 이는, 회원사 및 협력사가 위험요소에 대한 조치결과를 추적하여 관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안전보건점검 메뉴의 열람권한은 상기 회원사 코드를 갖는 회원사 계정과 상기 하도급사 코드를 갖는 협력사 계정에 공유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공사참여자 단말기(100)에 의해 긴급호출 버튼에 대한 클릭신호가 입력되면, 공사참여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현장코드를 갖는 작업현장의 안전관리자 전화번호로 상기 위치정보가 포함된 알람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대시보드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운영서버(200)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는 도 16과 같이 공사참여자 식별정보를 통해 접속인증한 공사참여자 단말기(100)에 상기 공사참여자 식별정보에 매칭된 작업현장에 대한 대시보드(dashboard)화면을 제공하는 대시보드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공사참여자가 노동력을 제공하는 작업현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웹 사이트의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공사참여자 단말기 110 : 현장직원 단말기
120 : 협력사직원 단말기 130 : 계약노동자 단말기
140 : 본사직원 단말기 200 : 운영서버
300 : 회원사 단말기 400 : 하도급사 단말기
500 : 안전전문기관 단말기

Claims (8)

  1. 작업현장에 대한 복수의 안전관리 메뉴가 포함된 웹 사이트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고, 상기 안전관리 메뉴 중 위험성평가 메뉴를 통해 단위작업의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가 등록된 단위작업 중 사고가 발생된 단위작업을 선택하여 사고발생정보를 등록하는 복수의 공사참여자 단말기; 및
    상기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해 등록된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와 사고발생정보의 단위작업을 비교분석하여 단위작업별 사고발생확률을 산정하며, 상기 위험성평가정보를 등록한 공사참여자 단말기로 위험성평가정보의 대상인 단위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제공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성평가정보는
    작업명이 포함된 작업개요와,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작업명이 소분류 키워드로 설정된 작업개요에 따라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을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위험성평가 메뉴에서 위험성평가정보의 등록과정 중 작업명이 입력되면 매칭된 소분류 키워드를 갖는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리스트를 추출하여 공사참여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작업개요의 공종 및 작업명에 따라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을 분류하여 저장하며, 상기 위험성평가 메뉴에서 위험성평가정보의 등록과정 중 공종 및 작업명이 입력되면 매칭된 동일한 공종 및 작업명을 갖는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리스트를 추출하여 위험성평가 메뉴의 위험요인란과 안전대책란에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에 유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고, 회원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회원사정보를 송신하여 회원사 코드를 수신받으며, 상기 회원사 식별정보 및 회원사 코드를 상기 웹 사이트의 접속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로 입력받아 전송하고, 상기 회원사 코드에 등록될 작업현장의 현장정보를 전송하고 현장코드를 할당받으며, 상기 현장코드와 매칭될 공사참여자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회원사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사참여자 단말기는 상기 현장코드에 부여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공유하는 공사참여자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웹 사이트의 위험성평가 메뉴에 접속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사정보를 제공한 회원사 단말기에 회원사 코드를 할당하고, 상기 회원사 식별정보 및 회원사 코드를 통해 접속인증하여 작업현장의 현장정보를 제공한 회원사 단말기에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이 부여된 현장코드를 할당하며, 상기 현장코드와 매칭될 공사참여자 식별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현장코드에 부여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상기 공사참여자 식별정보에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참여자 식별정보는
    현장직원 식별정보, 협력사직원 식별정보, 계약노동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유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컨설팅사 식별정보와 회사명이 포함된 업체정보를 송신하고, 컨설팅사코드를 웹 사이트로부터 수신받는 안전전문기관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작업현장의 현장코드와 매칭될 컨설팅사 식별정보가 상기 회원사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면 상기 회사명을 등록한 고객을 상기 작업현장의 안전전문기관으로 분류하며, 상기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상기 컨설팅사 식별정보를 사용하는 안전전문기관 계정에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8. 제5 항에 있어서,
    유무선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하도급사 식별정보가 포함된 하도급사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웹 사이트로부터 하도급사 코드를 수신받으며, 상기 하도급사 식별정보 및 하도급사 코드를 상기 웹 사이트의 접속인증을 위한 인증정보로 입력받아 전송하는 하도급사 단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현장코드와 매칭될 하도급사 식별정보가 상기 회원사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면 상기 현장코드에 부여된 안전관리 메뉴의 이용권한을 상기 하도급사 식별정보에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KR1020220003250A 2022-01-10 2022-01-10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KR20230107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50A KR20230107988A (ko) 2022-01-10 2022-01-10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50A KR20230107988A (ko) 2022-01-10 2022-01-10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988A true KR20230107988A (ko) 2023-07-18

Family

ID=8742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250A KR20230107988A (ko) 2022-01-10 2022-01-10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98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0855A (ko) 2019-04-14 2020-10-22 양경옥 Pmis 내부의 온라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235036B1 (ko) 2020-08-14 2021-04-01 주식회사 이도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47941B1 (ko)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20855A (ko) 2019-04-14 2020-10-22 양경옥 Pmis 내부의 온라인 공정표를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247941B1 (ko) 2020-06-09 2021-05-04 (주)클라우드랩 스마트 위험성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평가 방법
KR102235036B1 (ko) 2020-08-14 2021-04-01 주식회사 이도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5134B2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1138299B2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US11030563B2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1144622B2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997542B2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200202269A1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200004938A1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JP2021061058A (ja) 現場におけるリスク管理のための情報を提供および受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200050236A (ko) 일용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매칭 및 관리 시스템
US11023842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bundled privacy policies
US11151233B2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US20210272031A1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200201962A1 (en) Privac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220043894A1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JP2020501233A (ja) 現場におけるリスク管理のための情報を提供および受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6823191B (zh) 一种基于empc模式的智能建造工程管理平台
JP2003162612A (ja) 資格情報の管理方法及び管理装置
Schweitzer Computers, business, and security: the new role for security
WO2008134717A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tools for a secure information sharing architecture to facilitate post merger integration
KR20230107988A (ko) 위험작업의 사고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CN104408568A (zh) 用于业主项目部的任务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230098957A (ko) 안전업무를 온라인을 통해 처리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안전관리시스템
JP4449256B2 (ja) 作業情報管理方法および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00311233A1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assessing vendor risk
US20240152830A1 (en) Method for presenting data about a construction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