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623A - 플로어 패널 - Google Patents

플로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623A
KR20230107623A KR1020237019421A KR20237019421A KR20230107623A KR 20230107623 A KR20230107623 A KR 20230107623A KR 1020237019421 A KR1020237019421 A KR 1020237019421A KR 20237019421 A KR20237019421 A KR 20237019421A KR 20230107623 A KR20230107623 A KR 20230107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oor panel
substrate
wear
foam b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라센로데 크리스토프 판
콰인턴 흐리스티엔스
Original Assignee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플로어링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에스에이알엘
Publication of KR2023010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33Joints with beveled or recessed upper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07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04F2290/04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with a bottom layer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플로어 패널은 기재 (20), 장식층 (22) 및 마모층 (24) 을 포함하고, 장식층 (22) 은 기재 (20) 와 마모층 (24) 사이에 위치된다. 기재, 장식층 및 마모층 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합성 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어 패널 (10) 은 상기 마모층 (24) 에 대향하는 상기 플로어 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발포 배면층 (26)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포 배면층은 적어도 120 kg/㎥ 의 밀도 및 바람직하게는 ASTM D 3575-91(25%) 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210 kPa 의 압축 강도 값을 갖는다.

Description

플로어 패널
본 발명은 기재, 장식층 및 마모층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기재, 장식층 및 투명 마모층 중 적어도 하나가 열가소성 합성 재료를 포함하는 플로어 커버링 (floor covering) 에 적용되는데 흥미롭다.
이러한 플로어 커버링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소위 비닐 타일 또는 소위 LVT (Luxury Vinyl Tiles), 또는 벽 대 벽 커버링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열가소성 재료는 소위 연질 PVC (폴리염화비닐), 또는 예를 들어 5 내지 20 중량% 또는 심지어 35 중량% 이상의 가소제의 백분율을 포함하는 PVC 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장식층은 인쇄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인쇄물의 장식은 목재 또는 석재 패턴 또는 팬시 패턴과 같은 임의의 다른 패턴의 표현을 형성할 수 있다. 패널의 표면 상에, 즉 상기 마모층 내에, 릴리프 또는 구조물, 예컨대 목재 또는 석재 구조물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연질 PVC 를 포함하는 플로어 커버링의 단점은, 특히 기재가 연질 PVC 로 제조될 때, 플로어 커버링이 놓이는 서브플로어의 불규칙성이 시간에 따라 플로어 커버링을 통해 텔레그래프되고 플로어 커버링의 가시적 표면에 식별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는 강성 PVC 와 같은 강성 재료의 기재를 제조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하지만, 강성 PVC 를 통합한 플로어 패널들은 불량한 흡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US 8,640,824 B2 로부터 부스러기 (crumb) 고무 부분 및 폴리우레탄 발포체 성분을 포함하는 일체형 음향층을 갖는 비닐 타일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비닐 타일의 잠재적인 단점은 음향층이 비교적 두껍다는 것이다. 음향층의 두께가 플로어 패널 또는 타일의 총 두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그 압축성은 걸어갈 때 국부적으로 가라앉는 플로어 커버링의 표면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고 설치가 용이하면서 차음 특성이 양호한 플로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플로어 패널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플로어 패널은 기재, 장식층 및 마모층을 포함하고, 상기 장식층은 상기 기재와 상기 마모층 사이에 위치된다. 기재, 장식층 및 마모층 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합성 재료를 포함한다. 플로어 패널은 마모층에 대향하는 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발포 배면층 (backing layer) 을 더 포함한다. 발포 배면층은 적어도 120 kg/㎥ 의 밀도, 바람직하게는 ASTM D 3575-91 (25%) 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210 kPa 의 압축 강도 값를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면층은 여전히 적절한 차음 특성을 제공하면서 비교적 얇게 제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재, 장식층 및 마모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패널에 원하는 안정성, 이에 따라서 설치의 용이성을 부여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적어도 120 kg/㎥ 의 발포 배면층 및 적어도 210 kPa 의 압축 강도 값을 이용하는 것이 배면층이 소리를 감쇠시키기에 충분히 높지만, 걸을 때 과도한 수직 이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견고하다는 것을 암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유리한 특성들은 발포 배면층이 0.50 mm 내지 1.0 mm 의 두께를 가질 때 특히 유리하다. 바람직한 두께 간격은 0.60 mm 내지 0.90 mm, 더 바람직하게는 0.70 mm 내지 0.80 mm 이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발포 배면층은 약 0.75 mm 의 두께를 갖는다.
발포 배면층은 250 kPa 내지 750 kPa, 바람직하게는 400 kPa 내지 700 kPa, 더 바람직하게는 550 kPa 내지 650 kPa 범위 내의 압축 강도 값을 가질 수 있다. 밀도는 130 kg/㎥ 내지 350 kg/㎥, 바람직하게는 160 kg/㎥ 내지 30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kg/㎥ 내지 270 kg/㎥ 의 범위 내일 수 있다. 특정 재료에 대해, 밀도와 압축 강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지만, 실제 상관관계는 재료들 사이에서 변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유리한 발포 배면층은 400 내지 700 kPa 범위 내의 압축 강도 값 및 130 kg/㎥ 내지 350 kg/㎥ 의 범위 내의 밀도 또는 160 kg/㎥ 내지 300 kg/㎥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400 내지 700 kPa 범위 내의 압축 강도 값을 갖는 발포 배면층은 190 kg/㎥ 내지 270 kg/㎥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유리한 발포 배면층들은 550 내지 650 kPa 범위 내의 압축 강도 값 및 130 kg/㎥ 내지 350 kg/㎥ 의 범위 내의 밀도 또는 160 kg/㎥ 내지 300 kg/㎥ 범위 내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550 내지 650 kPa 범위 내의 압축 강도 값 및 190 kg/㎥ 내지 270 k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발포 배면층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마찬가지이다.
청구된 밀도 및 압축 강도 값을 갖는 발포 배면층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특정 이점이 있지만, 배면층이 언급된 압축 강도 값을 나타내지 않더라도 유리한 특성들을 갖는 플로어 패널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플로어 패널이 보강층을 구비하거나 그리고/또는 기재에 포함된 재료 또는 재료들에 따라, 플로어 패널은 여전히 양호한 차음 특성, 안정성 및 설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발포 배면층에 적합한 재료는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IXPE (Irradiated Crosslinked PolyEthylene) 로 지칭되는 조사에 의해 가교결합된 폴리에틸렌이다. 변형예에 따르면, 개방 또는 폐쇄 셀 발포 폴리염화비닐이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가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합성 재료는 폴리염화비닐 (PVC),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다른 합성 재료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기재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유형의 폴리염화비닐 (PVC) 을 포함한다. 강성 PVC 가 아래에 놓인 서브플로어의 불규칙성이 패널을 통해 전달될 가능성이 적다는 이점을 제공하지만, 연질 PVC 또는 반-강성 PVC 가 기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사용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용어 "강성", "반-강성" 및 "가요성" (즉, 연질) 은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한다:
- 강성 열가소성 재료는 최대 15 phr 의 양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이고, 한계가 포함되며; 강성 열가소성 재료는 또한 전혀 가소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 반-강성 열가소성 재료는 15 내지 20 phr 미만의 양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이며,
- 가요성 열가소성 재료는 적어도 20 phr 의 양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이다.
이하의 그룹으로부터의 가소제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DOP, DINCH, DINP, DOTP 및/또는 에폭시화 대두유.
바람직하게는, 기재는 충전제 재료들, 예를 들어 백악, 석회석, 활석 또는 모래를 포함한다. 충전제 재료들의 함량은 5 내지 80 중량% 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전제 재료의 양은 40 내지 65 중량%의 비율로 기재 재료에 존재한다. 그러한 고도로 충전된 재료들은 더 높은 중량 및 더 양호한 차음 뿐만 아니라 더 안정적인 설치 및 감소된 열 팽창을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는 중실 재료이고, 즉 내부 공극 또는 발포체가 없다. 이러한 기재는 발포 기재에 비해 증가된 압입 저항 (indentation resistanc) 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배면이 없는 유사한 플러어 패널과 비교하여 더 적은 정도로 기재를 지지할 수 있는 배명층의 존재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서, 보강층이 기재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보강층의 형태에 따라, 그 존재는 압입 저항을 개선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배면층에 더 연질의 기재 재료 및/또는 더 연질의 재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보강층은 개방 구조물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기재 재료는 구조물 내의 개구들을 통과하여 기재에 보강층을 고정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보강층에 적합한 재료는 유리-섬유, 바람직하게는 플리스 (fleece), 부직포 천 또는 네트 형태이다. 보강층은 플로어 패널의 기재의 열적 치수 안정성을 개선할 것이다. 이것의 결과는, 기재의 재료 및 발포 배면층의 재료가 상당히 상이한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더라도, 2 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 변화는 기재와 발포 배면층 사이의 종종 접착된 연결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크지 않을 것이다.
기재 내의 보강층의 위치결정은 플로어 패널에 부여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기재 내의 보강층은 장식층보다 발포 배면층에 더 가깝다.
바람직하게는, 장식층은 인쇄된 열가소성 합성 필름의 형태이다. 이는, 예를 들어 0.03 mm 내지 0.15 mm,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11 mm 또는 0.08 mm 내지 0.10 mm 의 두께를 갖는 경질 또는 연질 PVC 필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대안예에 따르면, 장식층은 임의의 인쇄 기법에 의해 기재 상에 직접 인쇄된 장식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상부 표면 상에 제공된 인쇄된 장식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쇄된 장식용 균일한 배경 색상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각각의 열가소성 재료의 플라스티솔 (plastisol) 에 의해 기재 표면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장식은 UV 계 잉크에 의해 인쇄된다. 다른 대안예에 따르면, 장식층은 마모층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를 향해 지향되도록 의도된 측면 상에 제공되는 장식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는 소위 "반전" 인쇄물에 관한 것으로, 잉크의 통상의 색상 시퀀스가 반전된다. 이러한 경우에, 또한, 그러한 플라스티졸을 갖는 기재 층을 제조하거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인쇄된 마모층 아래에 착색된 또는 백색 열가소성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인쇄된 장식용으로 균일한 배경 색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한, 이러한 장식은 바람직하게는 UV 계 잉크들에 의해 인쇄된다. UV 계 잉크 대신에 수계 잉크가 여기서 상기 언급된 대안들 중 어느 하나로 장식을 인쇄하는데 사용된다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경질 PVC 필름, 즉 가소제가 없는 PVC 필름, 또는 5 중량% 미만의 가소제의 백분율을 갖는 PVC 필름을 장식층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인쇄된 장식과 마모층의 구조물 사이의 양호한 정합 (registering) 을 얻는데 유리할 수 있다. 낮은 백분율의 가소제로 인해, 그러한 PVC 필름들은 치수 변경을 덜 받는다.
마모층은 열가소성 합성 재료이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게 되어 장식층의 장식이 이를 통해 가시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투명 PVC, 예를 들어 연질 PVC 이다. 마모층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하는 릴리프를 나타낸다. 릴리프는 인쇄된 장식에 대응할 수 있어서, 인쇄된 장식과 정합하는 소위 구조물이 얻어진다. 목재 엽맥 (wood nerves) 을 갖는 목재 패턴을 나타내는 인쇄된 장식의 경우에, 이는 목재 엽맥의 경로를 따르는 목재 기공 형태의 복수의 압흔 또는 리세스의 구조물, 및/또는 목재 엽맥의 경로에 대응하는 라인 구조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이는 복수의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들 또는 챔퍼들을 모사하고 인쇄된 장식으로 표현되는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 또는 경계부에 대응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릴리프를 형성하는 리세스들은 크기 및 형상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리세스들의 깊이는 변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리세스들에 대한 개구의 영역에 적용된다.
마모층은 적어도 0.15 mm 및 더 양호하게는 적어도 0.30 mm,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1.0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유리한 범위는 0.40 내지 0.70 mm 이다. 0.40 mm 내지 0.70 mm 의 마모층을 가진 플로어 패널은 알루미늄 산화물과 같은 고형 마모 향상 첨가제들에 의존하지 않고 주거용으로 효과적인 내마모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EN 13329, 부록 E 에 기재된 바와 같이, 테이버 (Taber) 시험에서 2000 이상의 IP 값 (초기 마모 포인트) 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들은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3.0 mm 내지 4.0 mm 의 총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기재층들을 포함하는 기재는 1.3 mm 내지 5.0 mm 의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는 플로어 패널의 두께의 적어도 절반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패널들은 바람직하게는 8 cm 이상의 폭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치수는 15 내지 22 cm 에 위치된 폭 및 118 내지 220 cm 에 위치된 길이에 관한 것이다. 이는 패널-형상 요소들에 관한 것임이 명백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직사각형 타일 형태의 플로어 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플랭크 포맷 또는 타일 포맷의 소위 LVT (Luxury Vinyl Tile)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은 한 쌍의 대향 측면들의 하나 또는 양 에지들에서 하강된 에지 영역을 갖는 상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하강된 에지 영역은 챔퍼, 즉 베벨형의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평평한 바닥을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시멘트 조인트의 모방물을 찾을 수 있다. 임의의 그러한 경우에, 하강된 에지 영역은 플로어 커버링 내의 인접한 플로어 패널들 사이의 높이의 가능한 일시적인 차이가 과도한 마모를 초래할 위험을 완화시킨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적용된 배면층은 압축 강도와 소리 감쇠 사이의 이상적인 절충을 전달한다. 이러한 절충은 반드시 플로어 패널들의 수직 운동의 부재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약간 탄력적으로 움직이는 플로어 커버링은 걸을 때 편안함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로어에서 걷고 있을 때 또는 무거운 물체를 플로어 커버링 상에 둘 때, 일시적인 높이 차이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하강된 에지 영역의 제공은 이러한 높이 차이의 결과를 완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하강된 에지 영역들은 플로어상에서 걷는 평균적인 사람으로부터 그러한 일시적인 결함들을 숨길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은 그 측면들 중 하나 이상에서 수직 에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은 대향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쌍들에서 프로파일링된 에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능성에 따르면, 이러한 프로파일은 인접한 플로어 패널들의 상부 에지들만이 서로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대향 측면들에서의 그러한 프로파일은 상기 상부 에지에서 수렴하는 내향 경사 플랭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가능성에 따르면, 대향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쌍들에서의 프로파일은, 인접한 플로어 패널들의 프로파일들이, 예를 들어 시프랩 조인트 (shapap joint) 또는 텅-인-그루브 조인트 (tongue-in-groove joint) 를 형성하여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 2 가능성에 따르면, 플로어 커버링에서 플로어 패널들의 증가된 수직 안정성이 얻어진다.
제 2 독립적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제 1 양태 및/또는 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들로부터 조립된 플로어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플로어 패널은 서브플로어 위에 느슨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서브플로어에 접착된다. 어느 경우든, 서브플로어와 패널 사이에 추가층, 예를 들어 증기 차단층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그리고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플로어 커버링의 패널을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표시된 II-II 선에 따른 단면을 크게 나타낸다.
도 3 은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지만 도 2 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3 가지 가능한 실시형태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2 개의 인접한 플로어 패널들의 에지 영역들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0 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패널을 나타낸다. 플로어 패널 (10) 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제 1 쌍의 대향 측면들 (12, 14) 및 제 2 쌍의 대향 측면들 (16, 18) 을 갖는다. 도 1 에서, 제 1 쌍의 대향 측면들은 제 2 쌍의 대향 측면들보다 더 길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은 동일한 길이의 측면들을 갖는 타일들, 즉 정사각형 타일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상의 패널들 및 타일들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 (10) 은 기재 (20), 장식층 (22) 및 마모층 (24) 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들을 포함한다. 장식층 (22) 은 기재 (20) 와 마모층 (24) 사이에 위치된다. 기재 (20), 장식층 (22) 및 마모층 (24)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 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3 개 모두는 PVC 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플로어 패널 (10) 은 마모층 (24) 에 대향하는 플로어 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발포 배면층을 더 포함한다. 플로어 패널에 원하는 특성들을 부여하기 위해, 발포 배면층은 적어도 120 kg/㎥ 의 밀도를 가지고, 선택적으로 ASTM D 3575-91 (25%) 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210 kPa 의 압축 강도 값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은, 서브플로어에 느슨하게 또는 이에 부착되어, 서브플로어 상에 놓여지도록 의도된다. 플로어 커버링은 원하는 서브플로어 영역 위에 본질적으로 접하여 서로 옆에 복수의 플로어 패널들을 배치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2 에 도시된 플로어 패널은 추가적인 선택적인 층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그러한 층은 기재 (20) 에 통합된 보강층 (28) 이다. 보강층에 적합한 재료는 유리 섬유 플리스 또는 부직포 천이다. 플리스 또는 천은 약 20 g/㎡ 내지 40 g/㎡, 예를 들어 약 30 g/㎡ 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플리스 또는 부직포 천보다는 오히려, 보강재가 네트 형태일 수 있다. 기재에 대한 보강층의 강한 접착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보강층은 오픈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보강층 (28) 은 장식층 (22) 보다 발포 배면층 (26) 에 더 가까운 기재 (20)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보강층 (28) 은 플로어 패널의 구성층들을 구성하는 재료의 상대 강성에 따라 발포 배면층 (26) 보다 장식층 (22) 에 더 가깝게 위치됨을 상정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층은 탑코트 (30) 이다. 탑코트 (30) 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래커층일 수 있다. 래커층은 용매- 또는 물-기반 UV-경화성 PU 분산액을 포함할 수 있다. 래커층은 세라믹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입자들은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과 같은 특성을 향상시킨다. 세라믹 입자들은 산화 알루미늄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입자들은 2 내지 20 미크론의 직경을 갖는다. 입자들은 PU 분산액 내에 입자를 더 잘 내장시키기 위해 실란으로 코팅될 수 있다. PU 분산액의 고형물 함량은 30 중량% 내지 40 중량% 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플로어 패널의 최상층에는 추가의 래커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가층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고, 플로어 패널의 광택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래커층은 고형물 함량이 100% 인 폴리우레탄과 같은 UV-경화성 래커일 수 있다. 이러한 층은 향상된 기계적 및 화학적 내성을 가지며, 이는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과 같은 특성에 물론 유리하다.
플로어 패널의 다양한 층들을 보다 상세히 고려하면, 발포 배면층 (26) 은 0.50 mm 내지 1.0 m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두께 간격은 0.60 mm 내지 0.90 mm, 더 바람직하게는 0.70 mm 내지 0.80 mm 이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발포 배면층은 약 0.75 mm 의 두께를 갖는다. 발포 배면층에 적합한 재료는, 통상적으로 IXPE 로 지칭되는, 조사에 의해 가교-결합되는 폴리에틸렌이다. 다른 가능한 재료는 개방 또는 폐쇄 셀 발포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를 포함한다.
발포 배면층 (26) 은 250 kPa 내지 750 kPa, 바람직하게는 400 kPa 내지 700 kPa, 더 바람직하게는 550 kPa 내지 650 kPa 범위 내의 압축 강도 값을 가질 수 있다. 밀도는 130 kg/㎥ 내지 350 kg/㎥, 바람직하게는 160 kg/㎥ 내지 30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kg/㎥ 내지 270 kg/㎥ 의 범위 내일 수 있다.
기재 (20) 는 바람직하게는 강성 유형의 폴리염화비닐 (PVC) 을 포함할 수 있다. 강성 PVC 가 아래에 놓인 서브플로어의 불규칙성이 패널을 통해 전달될 가능성이 적다는 이점을 제공하지만, 연질 PVC 또는 반-강성 PVC 가 기재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사용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실제로, 보강층 (28) 이 존재하면, 기재 재료는 보강층이 없는 패널에 대해서와 같이 강성일 필요는 없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 (20) 자체는 복수의 층들 (32, 34, 36, 38) 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재 (20) 와 플로어 패널의 추가 층들 사이의 호환성이 최적화될 수 있다. 따라서, 기재는 상부층 (32) 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재료는 장식층 (22) 의 재료와 호환가능하도록 선택된다. 유사하게, 기재는 발포 배면층 (26) 이 그에 접착되는 것을 유리하게 허용하는 재료로 제조된 배면층 (34) 을 가질 수 있다. 기재 (20) 는 또한 상부 코어층 (36) 및 하부 코어층 (38) 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 보강층 (28) 이 위치된다. 상부 코어층과 하부 코어층의 재료들은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는 중실 재료인데, 즉 그것은 내부 공극 또는 발포체가 없다.
발포 배면층 (26) 은 임의의 적합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재 (20) 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의 배면층 (34) 에 접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접착제는 반응성 핫 멜트 (reactive hot melt) 로도 알려진 폴리우레탄 반응성 접착제이다. 이러한 유형의 접착제는 결합이 두 단계로 형성되는 1 액형 제형 (one-part formulation) 이다. 제 1 단계에서, 접착제는 다시 냉각되고 고화되어 그의 유지 강도에 도달한다. 제 2 단계에서, 최종 구조적 강도에 도달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24 내지 48 시간에 걸쳐 수분-경화 반응이 일어난다.
장식층 (22) 은 그 위에 인쇄 또는 각인된 장식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 호일 또는 필름의 형태일 수 있다. 호일 또는 필름은, 예를 들어 0.03 mm 내지 0.15 mm,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11 mm 또는 0.08 mm 내지 0.10 mm 의 두께를 갖는 경질 또는 연질 PVC 필름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장식은 목재 엽맥을 가진 목재 패턴, 석재 패턴 또는 팬시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장식이 UV 계 잉크들에 의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성계 잉크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경질 PVC 필름, 즉 가소제가 없는 PVC 필름, 또는 5 중량% 미만의 가소제의 백분율을 갖는 PVC 필름을 장식층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인쇄된 장식과 마모층의 구조물 사이의 양호한 정합을 얻는데 유리할 수 있다. 낮은 백분율의 가소제로 인해, 그러한 PVC 필름들은 치수 변경을 덜 받는다.
마모층 (24) 은 열가소성 합성 재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게 되어 장식층 (22) 의 장식이 이를 통해 가시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재료는 투명 PVC, 예를 들어 연질 PVC 이다. 마모층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리세스들 (40) 을 포함하는 릴리프를 나타낸다 (도 1 참조). 릴리프는 인쇄된 장식에 대응할 수 있어서, 인쇄된 장식과 정합하는 소위 구조물이 얻어진다. 목재 엽맥을 갖는 목재 패턴을 나타내는 인쇄된 장식의 경우에, 이는 목재 엽맥의 경로를 따르는 목재 기공 형태의 복수의 압흔 또는 리세스 (40) 의 구조물, 및/또는 목재 엽맥의 경로에 대응하는 라인 구조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이는 복수의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들 또는 챔퍼들을 모사하고 인쇄된 장식으로 표현되는 패널들 사이의 조인트 또는 경계부에 대응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릴리프를 형성하는 리세스들은 크기 및 형상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리세스들의 깊이는 변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리세스들에 대한 개구의 영역에 적용된다.
마모층 (24) 은 적어도 0.15 mm 및 더 양호하게는 적어도 0.30 mm,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1.0 m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유리한 범위는 0.40 내지 0.70 mm 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마모층 (24), 장식층 (22) 및 상부층 (32) 은 가요성 PVC 층일 수 있고, 비교적 다량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패널에 적절한 강도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재 (20) 의 배면층 (34), 상부 코어층 (36) 및 하부 코어층 (38) 은 기재의 상부층 (32) 보다 더 강성일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패널의 제 2 실시형태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이 플로어 패널은 기재 (20) 가 단일층 재료, 바람직하게는 단일층 강성 PVC 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만 도 2 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다. 결과적으로, 도 3 의 플로어 패널은 기재에 통합된 보강층을 갖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 패널은 단일층 기재 및 기재의 일측 또는 양측 상에 보강층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장식층 (22) 이 매끄러운 표면 위에 놓이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임의의 보강층이 발포 배면층 (26) 과 단일층 기재 (2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 (10) 의 상부 표면에 포함될 수 있는 가능한 하강된 에지 영역들 (42, 44, 46) 을 각각 도시한다. 하강된 에지 영역들은 플로어 패널의 단일 측면 (12, 14, 16, 18) 을 따라, 한 쌍의 대향 측면들을 따라 또는 4 개의 측면 모두를 따라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에지 영역들 (42, 44, 46) 은 각각 베벨 또는 챔퍼 (48, 50, 52) 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하강된 에지 영역은 가능하게는 시멘트- 또는 그라우팅된 조인트의 외관을 모방하는 평평한 바닥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강된 에지 영역들 (42, 44, 46) 은 다층 기재 (20) 를 갖는 패널들의 상부 표면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일층 기재를 갖는 플로어 패널들은 또한 대응하는 하강된 에지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4 에서, 하강된 에지 영역 (42) 을 형성하는 챔퍼 또는 베벨 (48) 은 마모층 (24) 의 깊이 (d) 를 통과하고, 깊이 (d) 는 마모층의 총 두께 (t) 보다 작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래에 놓인 장식층 (22) 은 여전히 마모층 재료에 의해 덮인다. 인접한 플로어 패널들 사이의 임의의 수직 이동을 마스킹하는 원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챔퍼 또는 베벨이 전체 마모층 두께 (t) 의 적어도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의 깊이 (d) 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어떤 시각적 효과가 요구되는지에 따라, 챔퍼 또는 베벨은 플로어 패널의 상부 표면에 대해 6°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1° 의 각도로 대할 수 있다.
도 5 에서, 하강된 에지 영역 (44) 을 형성하는 챔퍼 또는 베벨 (50) 은 플로어 패널 (10) 의 상부 표면에 대해 약 45° 의 각도로 대하지만, 당업자는 이 각도가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챔퍼 또는 베벨 (50) 은 마모층 (24) 의 전체 두께를 통과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층 (22) 을 통과하여 기재 (20) 의 상부 영역 내로 갈 수 있다. 다층 기재의 경우, 챔퍼 또는 베벨은 상부층 (32) 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챔퍼 또는 베벨 (50) 은 커버층 (54) 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커버층 (54) 은, 예를 들어 선택적인 탑코트 (30) 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유형의 래커층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커버층은 2 개의 인접한 패널들 사이에 v 형상의 홈의 압흔을 향상시키기 위해 착색될 수 있다.
도 6 에서, 하강된 에지 영역 (46) 을 형성하는 챔퍼 또는 베벨 (52) 은 가압된 베벨의 형태이다. 즉, 에지 영역은 압력 및 선택적으로 열을 받아, 에지 영역에서 플로어 패널 (10) 의 소성 변형을 생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강된 에지 영역 (46) 을 생성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 (10) 로부터 어떠한 재료도 제거될 필요가 없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 플로어 패널들 (10) 의 최상부 표면은 도 2 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인 탑코트 (30) 에 의해 구성된다. 도 4 및 도 5 의 실시형태들 각각에서 챔퍼 또는 베벨들 (48 및 50) 을 형성하는 것이 그 후 하강된 에지 영역들 (42, 44) 을 각각 형성할 때 제거되는 마모층 (24) 의 일부를 덮는 탑코트 재료의 제거를 포함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 플로어 패널들 (10) 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들 (12, 14, 16, 18) 에서 수직 에지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 (10) 은 대향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쌍들에서 프로파일링된 에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패널의 제 1 측면 (12) 에 텅 (56) 이 제공되고 인접한 패널의 제 2 측면 (14) 에 홈 (58) 이 제공되는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가 도 7 에 도시되어 있다. 텅 (56) 및 홈 (58) 은 플로어 패널들의 기재 (20) 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이것이 일반적으로 패널들의 가장 강성인 섹션이기 때문이다. 프로파일링된 에지들이 다층 기재를 갖는 플로어 패널들 뿐만 아니라 단일층 기재를 갖는 플로어 패널들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텅 (56) 이 인접한 패널의 홈 (58) 에 맞물리는 결과로서, 따라서 놓인 플로어 커버링의 수직 안정성이 증가된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패널들은 인접한 패널들의 상부 에지들 (60) 이 놓일 때 서로 접촉하도록 프로파일링된 에지들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내향 경사진 플랭크 (62) 를 갖는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12) 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갭 (64) 이 인접한 패널들의 하부 영역들 사이에 생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부 에지들 (60) 이 여전히 서로 접촉하도록 허용하면서, 서브플로어 상의 임의의 오물 또는 파편들이 갭 내에 모이도록 허용한다. 명백하게, 하나 이상의 내향 경사 플랭크 (62) 의 제공은 텅 및 홈 프로파일된 에지들의 존재에 반드시 의존하지는 않는다. 또한, 인접한 패널들 사이의 임의의 재료 중첩이 개선된 수직 안정성에 기여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텅 (56) 및 홈 (58) 이 도 7 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는, 예를 들어 벌지 및 대응하는 리세스 또는 힐 및 대응하는 리세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제로, 임의의 형태의 부분적 중첩이 고려되는데, 예를 들어, 시프랩 조인트에 의해 제공되는 중첩이 고려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쌍의 대향 측면들 (12, 14) 및 제 2 쌍의 대향 측면들 (16, 18) 모두에 프로파일된 에지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플로어 패널들은 바람직하게는 2.0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3.0 mm 내지 4.0 mm 의 총 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는 1.3 mm 내지 5.0 mm 의 두께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는 플로어 패널의 두께의 적어도 절반을 형성한다.
제 2 독립적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플로어 패널 (10) 의 실시형태들 및/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조립된 플로어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로어 패널들은 서브플로어 위에 느슨하게 설치되거나 부착된다. 어느 경우든, 서브플로어와 플로어 패널들 사이에 추가층, 예를 들어 증기 차단층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결코 제한되지 않으며; 반대로, 그러한 플로어 패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들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Claims (15)

  1. 기재 (20), 장식층 (22) 및 마모층 (24) 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로서,
    상기 장식층 (22) 은 상기 기재 (20) 와 상기 마모층 (24)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기재, 상기 장식층 및 상기 마모층 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합성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어 패널 (10) 은 상기 마모층 (24) 에 대향하는 상기 플로어 패널의 측면에 부착된 발포 배면층 (26)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포 배면층은 적어도 120 kg/㎥ 의 밀도 및 바람직하게는 ASTM D 3575-91(25%) 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210 kPa 의 압축 강도 값을 갖는, 플로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배면층 (26) 은 250 내지 750 kPa,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700 kPa,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650 kPa 범위 내의 압축 강도 값을 갖는, 플로어 패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배면층 (26) 의 밀도는 130 kg/㎥ 내지 350 kg/㎥, 바람직하게는 160 kg/㎥ 내지 300 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90 kg/㎥ 내지 270 kg/㎥ 범위 내의 밀도를 갖는, 플로어 패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배면층 (26) 은 0.50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60 mm 내지 0.90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0.70 mm 내지 0.80 mm 의 두께를 갖는, 플로어 패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배면층 (26) 은 가교 결합된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20) 는 폴리염화비닐, 바람직하게는 강성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20) 에는 보강층 (28) 이 포함되는, 플로어 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 (28) 은 개방된 구조물인, 플로어 패널.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 (28) 은 유리섬유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리스 (fleece), 부직포 천 또는 네트 형태인, 플로어 패널.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20) 내의 상기 보강층 (28) 은 상기 장식층 (22) 보다 상기 발포 배면층 (26) 에 더 가까운, 플로어 패널.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2.5 mm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3.0 mm 내지 4.0 mm 의 총 두께를 갖는, 플로어 패널.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 (22) 은 인쇄된 PVC 층인, 플로어 패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된 PVC 층은 0.08 mm 내지 0.10 mm 의 두께를 갖는, 플로어 패널.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 (24) 은 투명 PVC 층이고, 상기 플로어 패널에는 바람직하게는 탑코트 (30) 가 제공되며, 상기 탑코트는 바람직하게는 UV-경화성 래커층,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는, 플로어 패널.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층 (24) 은 릴리프가 실현되는 상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는 복수의 리세스들 (40) 을 포함하는, 플로어 패널.
KR1020237019421A 2020-11-18 2021-11-09 플로어 패널 KR20230107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8368.9 2020-11-18
EP20208368.9A EP4001546A1 (en) 2020-11-18 2020-11-18 Floor panel
PCT/IB2021/060341 WO2022106957A1 (en) 2020-11-18 2021-11-09 Floor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623A true KR20230107623A (ko) 2023-07-17

Family

ID=73475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421A KR20230107623A (ko) 2020-11-18 2021-11-09 플로어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11306A1 (ko)
EP (2) EP4001546A1 (ko)
KR (1) KR20230107623A (ko)
CN (1) CN116601365A (ko)
CA (1) CA3196687A1 (ko)
WO (1) WO2022106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4150A1 (en) * 2022-09-07 2024-03-14 Välinge Innovation AB Method to manufacture a bevel on a building panel and such building panel
EP4364961A1 (en) * 2022-11-03 2024-05-08 Unilin, BV Decorativ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0824B2 (en) 2012-05-10 2014-02-04 Michael Freedman & Associates, Inc. Acoustical vinyl flooring and methods of manufacture
BE1024734B1 (nl) * 2016-11-10 2018-06-19 Ivc Bvba Vloerpane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vloerpaneel
WO2018187329A1 (en) * 2017-04-03 2018-10-11 Shaw Industries Group. Inc. Rigid composite board floor cove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6957A1 (en) 2022-05-27
US20240011306A1 (en) 2024-01-11
CA3196687A1 (en) 2022-05-27
CN116601365A (zh) 2023-08-15
EP4001546A1 (en) 2022-05-25
EP4248033A1 (en)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2810B2 (en)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 floor cover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element
KR102393935B1 (ko)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EP3312362B1 (en) Multi-layer elastic floor panel having a reinforced pvc core
US8925275B2 (en) Floor panel
KR20190085007A (ko) 플로어 패널 및 플로어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EP2883712B1 (en) Floor cove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covering
EP3287269B1 (en) Floor panel
US20120240502A1 (en) Floating, groutable vinyl floor tile
RU2738436C2 (ru) Настенный или напольный облиц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KR20230107623A (ko) 플로어 패널
CN105178555A (zh) 地板镶板
KR20180032764A (ko) 차음 및 논 슬립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US20230330980A1 (en) Composite pane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3995645B1 (en) Floor panel
CA3117806A1 (en) Floor panel with a substrate and a top layer
US20240068242A1 (en) Set of floor panel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is set of floor panels
US20230366212A1 (en) Tile with imitation grout line
EP3998154A1 (en) Plate and system for covering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