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008A -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008A
KR20230107008A KR1020220002874A KR20220002874A KR20230107008A KR 20230107008 A KR20230107008 A KR 20230107008A KR 1020220002874 A KR1020220002874 A KR 1020220002874A KR 20220002874 A KR20220002874 A KR 20220002874A KR 20230107008 A KR20230107008 A KR 20230107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weight
powd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규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2000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008A/ko
Publication of KR2023010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8Preparations for oily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는 실리카 분체, 우레탄 분체 및 8c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을 조합함으로써 모발에 도포시 모발의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쉽게 탈착되어 잔여감이 없으며, 사용 후에도 모발의 부드러움을 유지시켜주어, 종래 드라이 샴푸 제형의 사용 후 잔여감과 모발이 뻣뻣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Powder composition for removing oil from hair}
본 명세서는 모발 세정용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한다.
샴푸란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상의 조성물로, 물에 적신 모발에 도포 후 거품을 내어 마사지하고 헹구는 과정에 의해 사용되므로 물을 필요로 한다. 드라이 샴푸(dry shampoo)는 이와 같은 일반적인 샴푸와 달리 물없이 모발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샴푸의 한 종류로, 주로 머리에 제형을 뿌리고 손가락으로 문지르거나 빗질하여 제형에 유분와 먼지 등을 흡착시킨 후 이를 털어내어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 사용된다. 드라이 샴푸는 물로 헹굴 필요가 없어 빠르고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어, 여행, 운동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 중 휴대하여 모발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미용 용도에 사용하기 위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드라이 샴푸의 주 원료로는 탈크, 마이카 등과 같은 분체와 스타치가 사용되는데, 이들 원료는 모발 또는 두피에서 잘 제거되지 않고 잔여하여 모발이 뻣뻣해지고 외관상 하얗게 보이며, 두피에 트러블을 야기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3232호
일 관점에서,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모발의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실리카 분체;
우레탄 분체; 및
8c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
을 포함하는, 모발의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드라이 샴푸로 사용하기 위한 분체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모발에 도포시 모발의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쉽게 탈착되어 잔여감이 없으며, 사용 후에도 모발의 부드러움이 유지되어 종래 드라이 샴푸 제형의 사용 후 모발이 뻣뻣해지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분체형으로서 사용과 휴대가 용이하여 물의 사용 없이 모발의 세정이 필요한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1에서 실리카 분체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b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1에서 우레탄 분체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c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1에서 나일론 분체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d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1에서 실리콘 분체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2에서 실리카 분체들의 입자 크기 분포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은 본 명세서의 시험예 2에서 비교예 1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b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2에서 비교예 2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c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2에서 비교예 3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d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2에서 실시예 1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3에서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b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3에서 실리콘 오일을 5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c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3에서 실리콘 오일을 1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d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3에서 실리콘 오일을 15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e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3에서 실리콘 오일을 2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5에서 실시예 2와 비교예 4의 입자 크기 분포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a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5에서 각 조성물의 사용 전 피지가 존재하는 모발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b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5에서 실시예 2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c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5에서 비교예 4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d는 본 명세서의 시험예 5에서 비교예 5의 모발 잔여량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특정한 개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물질,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물질,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실리카 분체, 우레탄 분체 및 8c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카 분체 및 우레탄 분체는 모발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분말로, 이들 분체 각각의 형태는 구형, 판형, 막대형 등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카 분체 및 우레탄 분체는 각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의 순도를 갖는 순수 분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카 분체 및 우레탄 분체는 각각 다공성, 중공형 또는 비다공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카 분체 및 우레탄 분체는 각각 D(0.5)값이 12 내지 18μm인 입자 크기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자 크기 분포는 어떤 입경 범위의 입자군의 전입자군에 대한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며, 이를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입경 분포 곡선이다. 상기 D(0.5)는 D50 또는 D(V, 0.5)라고도 하며, 입자 크기 분포도에서의 중간 50%에 분포해있는 입자들의 크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12 내지 18μm는 조성물에 포함된 분체들의 적어도 50%, 60%, 70%, 80% 또는 90%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범위는 D(0.5), D(0.6), D(0.7), D(0.8) 또는 D(0.9)의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입자 크기 분포는 레이절 회절 방식의 입도 분석기인 말번패널리티컬(Malvern Panalytical)사의 마스터사이저 2000(Mastersizer 2000)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입도 분석기라면 그 방식 또는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카 분체 및 우레탄 분체는 각각 D(0.5)이 12 μm 이상, 13 μm 이상, 14 μm 이상, 15 μm 이상, 16 μm 이상 또는 17 μm 이상이고, 18μm 이하, 17 μm 이하, 16 μm 이하, 15 μm 이하, 14 μm 이하 또는 13 μm 이하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분체 및 우레탄 분체의 각 D(0.5)값이 12μm 미만인 경우 분체의 흡유량이 과도하게 높아 모발의 부드러움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모발에 사용 후 분체가 잘 탈착되지 않아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분체 및 우레탄 분체의 각 D(0.5)값이 18μm 초과인 경우에는 흡유량이 낮아 모발의 유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카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49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카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또는 4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49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또는 1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우레탄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9 중량% 내지 9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9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또는 8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90 중량% 미만, 89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또는 55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카 분체와 우레탄 분체는 1:1 내지 1:9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카 분체와 우레탄 분체의 중량비는 2:3-1:9, 3:7-1:9 또는 1:4-1:9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분체와 우레탄 분체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우레탄 분체가 과도하게 포함될 경우 본 개시의 조성물의 흡유량이 저하되어 모발의 유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실리카 분체가 과도하게 포함될 경우에는 본 개시의 조성물이 모발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아 잔여감이 발생하고 모발의 마찰력 증가로 뻣뻣함이 느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모발의 부드러움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저점도의 실리콘 오일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콘 오일의 점도는 8 cs(Centi Stokes) 이하, 7 cs 이하, 6 cs 이하, 5 cs 이하 또는 4 cs 이하일 수 있으며, 0 cs 초과, 0.5 cs 이상 또는 1 cs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의 점도가 8 cs를 초과할 경우 사용 후 모발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모발의 부드러움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점도 cs(Centi Stokes)값은 Brookfield사의 DV3T LVTJ0에 의해 측정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 오일은 메티콘, 디메티콘, 메틸트리메티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 디메티콘, 트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및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8 cs 이하의 실리콘 오일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고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저점도의 실리콘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종래 모발용 조성물에 주로 사용되던 에스터계 오일 또는 에스터기를 갖는 실리콘 오일, 고점도의 실리콘 오일과 달리 모발의 유분 흡착력이 우수하며, 유분을 흡착한 조성물의 제거가 용이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초과 내지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15 중량% 미만,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상기 실리콘 오일이 포함되지 않거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 후 모발 마찰력이 증가하여 모발의 부드러움이 감소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조성물의 모발 부착력이 증가하여 사용 후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실리카 분체 10 중량% 내지 40 중량%; 우레탄 분체 50 중량% 내지 90 중량% 미만; 및 8c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 0 초과 내지 15 중량% 미만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일정 범위의 흡유량(oil absorption value)을 나타내어 모발의 유분을 적정한 정도로 흡수 내지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모발의 청결을 개선하면서도 상기 조성물의 사용에 의한 모발의 부드러움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어 ‘모발의 유분’이란 모발에 존재하는 유성성분을 의미한다. 상기 모발의 유분은 두피 등 인체에서 발생한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오일인 피지, 외부에서 유입되어 달라붙어있는 먼지와 같은 오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흡유량은 본 개시의 조성물에 흡수되는 오일의 양을 부피/질량 또는 질량/질량 기준으로 표현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의 흡유량은 0.4 내지 0.6ml/g일 수 있으며, 상기 흡유량은 한국산업표준 표준번호 KS M ISO787-5(표준명: 안료와 체질 안료의 일반 시험방법 - 제5부: 흡유량의 측정;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에 의해 측정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유량은 0.4 ml/g 이상, 0.42 ml/g 이상, 0.45 ml/g 이상, 0.47 ml/g 이상, 0.48 ml/g 이상, 0.49 ml/g 이상, 0.50 ml/g 이상, 0.51 ml/g 이상, 0.52 ml/g 이상, 0.53 ml/g 이상, 0.54 ml/g 이상, 0.55 ml/g 이상 또는 0.57 ml/g 이상일 수 있으며, 0.60 ml/g 이하, 0.59 ml/g 이하, 0.58 ml/g 이하, 0.57 ml/g 이하, 0.56 ml/g 이하, 0.55 ml/g 이하, 0.53 ml/g 이하, 0.50 ml/g 이하, 0.47 ml/g 이하, 0.45 ml/g 이하 또는 0.43 ml/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흡유량이 0.40 ml/g 미만일 경우 모발의 유분 흡유능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유량이 0.60 ml/g 초과일 경우에는 모발에서 본 개시의 조성물이 쉽게 제거되지 않으며 제거된 후 모발의 부드러움이 저하되어 뻣뻣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사용 후에도 모발의 부드러움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모발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 후 모발의 마찰력이 74gmf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모발의 마찰력은 모발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의 조성물을 모발에 도포하고 5회 털어낸 후 모발 테스트기(제조사: Dia-Stron (영국), 제품명: MTT-175)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나, 모발의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라면 이에 제한되고 모두 사용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건으로 측정시 모발의 마찰력이 50 gmf 이상이면서 74gmf 이하, 72 gmf 이하, 70 gmf 이하, 69 gmf 이하, 68 gmf 이하, 67 gmf 이하, 66 gmf 이하, 65 gmf 이하, 64 gmf 이하, 63 gmf 이하, 62 gmf 이하, 61 gmf 이하, 또는 60 gmf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모발을 세정하기 위한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루스파우더(loose powder) 또는 팩트(fact)와 같은 분체 형태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스칼프트리트먼트, 두피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형들은 각각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 외에 다른 첨가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 향료, pH 조절제, 점도 조절제, 보습제, 및 살균제 등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첨가제 이외에 용매, 생약 추출물, 과일 추출물, 비타민 및 색소 등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여 모발의 유분을 상기 조성물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모발을 털어내어 상기 유분을 흡착한 조성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은 오로지 본 개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가 이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1]
분체의 종류에 따른 모발의 유분 제거능과 모발의 부드러움 유지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아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리카 분체(제조사: JGC CATALYSIS AND CHEMICALS LTD, 제품명: SATINIER M13), 우레탄 분체(제조사: SUNJIN BEAUTY SCIENCE CO., LTD , 제품명: SUNPU-170), 나일론 분체(제조사: ARKEMA France, 제품명: ORGASOL 2002 EXD NAT COS S) 및 실리콘 분체(제조사: 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명: KSP-101)를 각각 준비하였다. 이때, 상기 분체들의 크기는 모두 D(0.5)값이 12 내지 18μm인 입자 크기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갖는 것으로 준비하였다.
5g 인조모발(제조사: 피닉스 코리아, 제품명: 자연흑모 20cm)에 상기 실리카 분체를 상기 모발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의 양으로 균일하게 도포 후 5회 털어내어 분체를 제거하였다. 상기 우레탄 분체, 나일론 분체, 실리콘 분체, 또는 우레탄 분체와 실리카 분체를 3:1, 2:2 또는 1:3의 중량비로 혼합한 분체에 대하여도 각각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모발의 유분 제거능은 상기 분체의 사용 후 모발의 이미지를 3D 현미경(제조사: 올림푸스, 제품명: OLS4100-SAA)으로 촬영하여 모발에 남아있는 상기 각 분체의 잔여량을 분석함으로써 확인하였다(도 1a 내지 도 1d).
모발의 부드러움은 상기 분체의 사용 후 모발의 마찰력을 모발 테스트기(제조사: Dia-Stron, 제품명: MTT-175)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확인하였다(표 1). 구체적으로, 상기 테스트기의 200g의 추로 모발을 수직 방향으로 누른 후 10cm씩 이동시키며 마찰력을 왕복 10회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상기 분체의 사용 전 인조 모발이다.
마찰력(gmf)
대조군 60.586
실리카 분체 69.382
우레탄 분체 56.071
나일론 분체 78.09
실리콘 분체 81.084
우레탄 분체 3 + 실리카 분체 1 62.49
우레탄 분체 2 + 실리카 분체 2 63.754
우레탄 분체 1 + 실리카 분체 3 67.508
그 결과, 도 1a 내지 도 1d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분체의 사용후 모발에 잔여하는 분체의 양이 실리카 분체(도 1a) 및 우레탄 분체(도 1b)가 나일론 분체(도 1c) 또는 실리콘 분체(도 1d)보다 현저히 적었다. 또한 나일론 분체 또는 실리콘 분체의 사용한 모발은 마찰력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매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모발의 감촉이 매우 뻣뻣해진데 반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우레탄 분체는 모발의 마찰력이 오히려 감소하였고, 우레탄 분체를 실리카 분체보다 동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혼합분체는 소폭 증가한데 불과하여, 분체의 사용으로 인한 모발의 부드러움 감소를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가 우레탄 분체와 실리카 분체를 혼합하되, 우레탄 분체를 실리카 분체보다 동량 이상으로 포함함으로써 모발에서 분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면서 분체의 사용으로 인한 모발의 뻣뻣해짐을 방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험예 2]
분체의 입자 크기에 따른 모발의 유분 제거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아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실리카 분체를 입자 크기 별로 준비하였다. 이때 상기 분체들의 크기는 레이절 회절 방식의 입도 분석기인 Malvern Panalytical사의 Mastersizer 2000을 이용하여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여 D(0.5)값으로 나타내었다(도 2 및 표 2).
D(0.5)(μm)
비교예 1(제조사: SUNJIN BEAUTY SCIENCE CO., LTD , 제품명: Sunsil-20) 3.929
비교예 2(제조사: SUNJIN BEAUTY SCIENCE CO., LTD , 제품명: Sunsil-130) 6.163
비교예 3(제조사: SUNJIN BEAUTY SCIENCE CO., LTD , 제품명: Sunsil-150) 9.899
실시예 1(제조사: JGC CATALYSIS AND CHEMICALS LTD, 제품명: SATINIER M13) 17.164
5g 인조모발(제조사: 피닉스 코리아, 제품명: 자연흑모 20cm)에 상기 실시예 1의 분체를 상기 모발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의 양으로 균일하게 도포 후 5회 털어내어 분체를 제거하고, 모발의 이미지를 3D 현미경(제조사: 올림푸스, 제품명: OLS4100-SAA)으로 촬영하여 모발에 남아있는 상기 분체의 잔여량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교예 1-3의 각 분체에 대하여도 각각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그 결과, 도 3a 내지 도 3d과 같이 D(0.5)이 12 내지 18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실시예 1의 분체는 모발에서 쉽게 제거되어 거의 잔여하지 않았으나(도 3d), 이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비교예 1 내지 3의 분체들은 모발에 대한 부착력이 높아 모발에서 제거가 잘 되지 않고 다량 잔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a, 도 3b, 도 3c).
[시험예 3]
오일의 종류와 실리콘 오일의 함량 범위에 따른 모발의 유분 제거능과 모발의 부드러움 유지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아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일 종류에 따른 모발의 마찰력 비교
먼저, 아래 표 3의 각 오일을 실리카 분체(제조사: Chemland Co., Ltd./ 제품명: CL silica 900)에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5, 10, 15 또는 2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혼합하여 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 조성물을 5g 인조모발(제조사: 피닉스 코리아, 제품명: 자연흑모 20cm)에 상기 모발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의 양으로 균일하게 도포 후 5회 털어내어 조성물을 제거하였다.
오일의 종류에 따른 모발의 부드러움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의 사용 후 모발의 마찰력을 모발 테스트기(제조사: Dia-Stron, 제품명: MTT-175)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확인하였다(표 3). 구체적으로, 상기 테스트기의 200g의 추로 모발을 수직 방향으로 누른 후 10cm씩 이동시키며 마찰력을 왕복 10회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원료구분 제조사 / 제품명 INCI 모발 마찰력(gmf)
무처리 - - 74.235
에몰리언트 / 오일 BASF (China) Co., Ltd / Salacos 816T CETYL ETHYLHEXANOATE 78.197
BASF (China) Co., Ltd / CETIOL CC DICAPRYLYL CARBONATE*TOCOPHEROL 78.621
DOW CHEMICAL CO.,LTD. /
DOWSIL™ SH 200 C Fluid 6 cSt
DIMETHICONE 68.49
DOW CHEMICAL CO.,LTD. /
XIAMETER PMX-200 SILICONE FLUID 1 CS
DIMETHICONE 61.891
양이온 폴리머 KCI LIMITED / Hydroquat 510BHKC PQ-51 73.562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컨디셔닝 소재들 중 실리콘 오일이 분체에 첨가하였을 때 모발 마찰력을 무처리군보다 감소시켜, 모발 부드러움 유지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의 함량에 따른 모발의 유분 제거능과 모발의 마찰력 비교
구체적으로, 실리카 분체(제조사: Chemland Co., Ltd./ 제품명: CL silica 900)에 8c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인 디메치콘(제조사: DOW CHEMICAL CO.,LTD, 제품명: XIAMETER PMX-200 SILICONE FLUID 1 CS)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5, 10, 15 또는 20 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혼합하여 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 조성물을 5g 인조모발(제조사: 피닉스 코리아, 제품명: 자연흑모 20cm)에 상기 모발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의 양으로 균일하게 도포 후 5회 털어내어 조성물을 제거하였다.
모발의 유분 제거능은 상기 조성물의 사용 후 모발의 이미지를 3D 현미경(제조사: 올림푸스, 제품명: OLS4100-SAA)으로 촬영하여 모발에 남아있는 상기 각 조성물의 잔여량을 분석함으로써 확인하였다(도 4a 내지 도 4e).
모발의 부드러움은 상기 조성물의 사용 후 모발의 마찰력을 모발 테스트기(제조사: Dia-Stron, 제품명: MTT-175)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확인하였다(표 4). 구체적으로, 상기 테스트기의 200g의 추로 모발을 수직 방향으로 누른 후 10cm씩 이동시키며 마찰력을 왕복 10회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일반적으로 깨끗한 모발의 마찰력은 약 60gmf이며, 마찰력이 60 내지 70gmf인 경우까지 부드러운 모발로 인지된다.
실리콘 오일의 함량 마찰력(gmf)
0중량% 74.235
2.5 중량% 68.660
5 중량% 61.891
7.5 중량% 67.052
10 중량% 72.007
15 중량% 75.001
20 중량% 86.985
그 결과, 상기 표 3과 같이 조성물내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0 초과 15 중량% 미만인 범위 내에서는 실리콘 오일의 첨가로 인해 모발의 마찰력이 감소하였으나, 실리콘 오일을 15 중량% 이상으로 첨가시에는 실리콘 오일의 첨가로 인해 오히려 모발의 마찰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e 중 도 4d 및 도 4e와 같이 조성물내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15 중량% 이상으로 포함된 조성물의 경우 사용 후 모발에 잔여하는 조성물의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조성물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본 시험에서 사용된 조성물의 경우 모두 분체로 우레탄 분체없이 실리카 분체만이 포함됨으로써 표 4의 조성물들 모두 모발에 조성물이 소량 이상 잔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4]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는 실리콘 오일의 점도에 따른 모발의 부드러움 유지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아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리콘 오일을 점도가 각각 1cs, 6cs, 8.1cs, 13cs 또는 20cs인 것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중량%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시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 조성물을 5g 인조모발(제조사: 피닉스 코리아, 제품명: 자연흑모 20cm)에 상기 모발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의 양으로 균일하게 도포 후 5회 털어내어 조성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조성물의 사용 후 모발의 마찰력을 모발 테스트기(제조사: Dia-Stron, 제품명: MTT-175)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확인하였다(표 5). 구체적으로, 상기 테스트기의 200g의 추로 모발을 수직 방향으로 누른 후 10cm씩 이동시키며 마찰력을 왕복 10회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때 표 5의 대조군은 상기 시험예 3에서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을 사용한 모발이다.
실리콘 오일의 점도 마찰력(gmf)
대조군 74.235
1cs 61.891
6cs 71.568
8.1cs 76.949
13cs 85.099
20cs 90.562
그 결과, 실리콘 오일의 점도가 1, 6cs인 조성물은 사용 후 모발의 마찰력이 낮아 부드러움이 유지되었으나, 8c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오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도 모발의 마찰력이 현저히 증가하여, 모발이 뻣뻣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5]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흡유능, 모발의 부드러움 유지능과 모발의 유분 제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실리카 분체(제조사: JGC CATALYSIS AND CHEMICALS LTD, 제품명: SATINIER M13) 25 중량%, 우레탄 분체(제조사: SUNJIN BEAUTY SCIENCE CO., LTD , 제품명: SUNPU-170) 70 중량%, 2cs 디메치콘 5 중량%를 혼합하여 실시예 2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2cs 디메치콘 5 중량%은 1cs 디메치콘(제조사: DOW CHEMICAL CO.,LTD, 제품명: XIAMETER PMX-200 SILICONE FLUID 1 CS)과 6cs 디메치콘 (제조사: DOW CHEMICAL CO.,LTD, 제품명: DOWSIL™ SH 200 C Fluid 6 cSt)을 4: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로서, 시중의 루스파우더(비교예 4, 제조사: 코스맥스(주), 제품명: 쏘내추럴 오일 컷 헤어 드라이 파우더)와 드라이 샴푸(비교예 5, 제조사: 처치&드와이트, 제품명: 바티스트 오리지널 드라이샴푸)을 준비하였다. 상기 비교예 4는 주 성분으로 알루미늄스타치옥테닐석시네이트, 실리카,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옥수수전분 및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며, 비교예 5는 주 성분으로 부탄, 이소부탄, 프로판, 쌀전분, 세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탤크, 실리카를 포함한다.
분체제형인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4에 대하여, 레이절 회절 방식의 입도 분석기인 Malvern Panalytical사의 Mastersizer 2000을 이용하여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하여 D(0.5)값으로 나타내었다(도 5, 표 6).
흡유량은 한국산업표준 표준번호 KS M ISO787-5(표준명: 안료와 체질 안료의 일반 시험방법 - 제5부: 흡유량의 측정;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에 의해 측정하였다(표 6).
구분 D(0.5)(μm) 흡유량(ml/g)
실시예 2 16.607 0.535
비교예 4 11.644 0.63
5g 인조모발(제조사: 피닉스 코리아, 제품명: 자연흑모 20cm)에 0.2g의 인공피지(제조사: IOI Esterchem (M) Sdn Bhd, 제품명: Imex MCT 60/40)를 분무 및 도포하여 모발을 실제 세정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의 모발에 가까운 상태로 준비하였다. 상기 제조된 각 조성물을 상기 피지가 있는 인조모발에 상기 모발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의 양으로 균일하게 도포 후 5회 털어내어 조성물을 제거하였다.
모발의 유분 제거능은 상기 각 비교예 또는 실시예의 조성물을 사용한 후 모발의 이미지를 3D 현미경(제조사: 올림푸스, 제품명: OLS4100-SAA)으로 촬영하여 모발에 남아있는 상기 각 조성물의 잔여량을 분석함으로써 확인하였다(도 6a 내지 도 6d).
모발의 부드러움은 상기 각 비교예 또는 실시예의 조성물을 사용한 후 모발의 마찰력을 모발 테스트기(제조사: Dia-Stron, 제품명: MTT-175)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확인하였다(표 7). 구체적으로, 상기 테스트기의 200g의 추로 모발을 수직 방향으로 누른 후 10cm씩 이동시키며 마찰력을 왕복 10회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깨끗한 상태의 모발로, 상기 깨끗한 모발은 인조모발(제조사: 피닉스 코리아, 제품명: 자연흑모 20cm)을 SLES(Sodium lauryl ether sulfate) 25% 수용액 내에 20분간 담지 후 미온수로 거품이 나지 않을 정도로 세척하고, 깨끗한 물에 다시 30분간 담지하여 모발 내 남아있는 세제를 빼준 뒤 흐르는 미온수에 세척한 다음, 항온항습실(온도 23℃, 습도 50%)에서 12시간 이상 충분히 자연 건조시켜 준비하였다.
구분 마찰력(gmf)
대조군 60.586
실시예 2 62.49
비교예 4 69.103
비교예 5 66.693
그 결과, 표 6 및 도 5와 같이 실시예 2는 D(0.5)이 12 내지 18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만족하였으며, 흡유량도 0.4-0.6ml/g의 적정 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 7, 도 6a 내지 도 6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비교예 4 또는 비교예 5의 사용전 피지가 있는 모발(도 6a)과 비교하여 시중의 비교예 4(도 6c) 및 비교예 5(도 6d)는 모발에 잔여량이 많이 모발의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모발이 하얗게 보이고 뻣뻣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인 실시예 2(도 6b)는 사용 후 모발에 거의 남아있지 않아 모발의 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모발의 부드러움이 유지되어 깨끗한 모발과 가장 유사한 상태로 세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원료명 함량 (중량%)
실리카 분체 30
우레탄 분체 65
메티콘 5
[제형예 2]
원료명 함량 (중량%)
실리카 분체 20
우레탄 분체 75
디메티콘 5
[제형예 3]
원료명 함량 (중량%)
실리카 분체 40
우레탄 분체 55
메틸트리메티콘 5
본 개시는 일 실시예로서 다음의 실시형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는, 실리카 분체; 우레탄 분체; 및 8c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초과 내지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또는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분체는 D(0.5)이 12 내지 18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4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3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분체는 D(0.5)이 12 내지 18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5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4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모발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 후 모발의 마찰력을 측정시 모발의 마찰력이 74gmf 이하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6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5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흡유량은 0.4 내지 0.6ml/g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7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6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49 중량%로 포함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8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7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9 중량% 이상 내지 9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9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8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메티콘, 디메티콘, 메틸트리메티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 디메티콘, 트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및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10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9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실리카 분체 10 중량% 내지 49 중량%; 우레탄 분체 49 중량% 내지 90 중량% 미만; 및 8c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 0 초과 내지 15 중량% 미만;으로 이루어진 것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11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 내지 제10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모발을 세정하기 위한 조성물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실리카 분체;
    우레탄 분체; 및
    8c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
    을 포함하는,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초과 내지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분체는 D(0.5)이 12 내지 18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분체는 D(0.5)이 12 내지 18μm인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모발에 상기 조성물을 사용 후 모발의 마찰력을 측정시 모발의 마찰력이 74gmf 이하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흡유량은 0.4 내지 0.6ml/g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49 중량%로 포함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분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9 중량% 이상 내지 9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메티콘, 디메티콘, 메틸트리메티콘, 트리플루오로프로필 디메티콘, 트리실록산,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및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실리카 분체 10 중량% 내지 49 중량%;
    우레탄 분체 49 중량% 내지 90 중량% 미만; 및
    8cs 이하의 저점도 실리콘 오일 0 초과 내지 15 중량% 미만;
    으로 이루어진 것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을 사용하지 않고 모발을 세정하기 위한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220002874A 2022-01-07 2022-01-07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 KR20230107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874A KR20230107008A (ko) 2022-01-07 2022-01-07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874A KR20230107008A (ko) 2022-01-07 2022-01-07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008A true KR20230107008A (ko) 2023-07-14

Family

ID=8715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874A KR20230107008A (ko) 2022-01-07 2022-01-07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700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232A (ko) 2016-11-11 2018-05-21 (주)아모레퍼시픽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232A (ko) 2016-11-11 2018-05-21 (주)아모레퍼시픽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1813C2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включающая частицы аэрогелей диоксида кремния и масла на основе углеводородов
EP3600223B1 (en) Anhydrous exfoliating composition comprising c3-c10 diols
WO2010140329A1 (ja) 透明多層液状化粧料
US20130164354A1 (en) Method for the extemporaneous preparation of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the texture of a cream and composition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KR101008122B1 (ko) 실리콘 엘라스토머 박리 조성물
EP1550434B1 (en) Improved hair care compositions
JP2021507880A (ja) シリコーン材料を含む化粧品組成物
KR101895875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5006656B2 (ja) 皮膚洗浄用シート状化粧料
KR20230107008A (ko) 모발 유분 제거용 분체형 조성물
CA1245985A (en) Cosmetic
KR20140143005A (ko) 스킨, 로션 및 에센스의 기능과 사용감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EP3034131A1 (en) Antiperspirant composition
ES2811061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de las partículas de aerogel de sílice hidrofóbica y un polímero espesante acrílico
US11253447B2 (en) Sprayable volume powder for creating a soft hair feel
KR101922471B1 (ko) 백탁 현상이 개선된 드라이 샴푸 조성물
CN114288198A (zh) 润肤剂和清洁剂
EP1596820B1 (en) Ambiphilic porous matrix
JPS61171415A (ja) 皮膚洗浄用組成物
KR102464378B1 (ko) 혼합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RU2721411C2 (ru) Композиция липофильных и гидрофильных сорбентов для очистки кератиновых волокон
JP5943796B2 (ja) ジェル状皮膚用化粧料
JP2008179585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H08245361A (ja) パック化粧料
JP2002338448A (ja) 油中水型セルフタンニング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