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513A - 조기 색전 이식물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기 색전 이식물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513A
KR20230106513A KR1020220188485A KR20220188485A KR20230106513A KR 20230106513 A KR20230106513 A KR 20230106513A KR 1020220188485 A KR1020220188485 A KR 1020220188485A KR 20220188485 A KR20220188485 A KR 20220188485A KR 20230106513 A KR20230106513 A KR 20230106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wire
medical device
implantable medical
loop
shaped fe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지아오 쑤
라세이 고로쵸우
다니엘 솔라운
데이빗 블루멘스틱
Original Assignee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디퍼이 신테스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0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53Material properties low friction, hydrophobic and corrosion-resistant fluorocarbon resin coating (ptf,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embedded materials for reinforcement, e.g. wires, coils, br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조기 이식물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다. 전달 부재는 관통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는 압축된 원위 부분을 포함한다. 전달 부재는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 와이어는 몸체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몸체의 측벽에 맞닿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당김 와이어는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전달 부재에 고정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당김 와이어 부분은 몸체에 대한, 당김 와이어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마찰 저항으로 인해 당김 와이어의 근위방향 병진을 억제함으로써 이식물의 조기 분리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기 색전 이식물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INHIBITING PREMATURE EMBOLIC IMPLANT DEPLOYMENT}
본 발명은 동맥류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기 이식물 전개를 방지하는 색전 이식물(embolic implant)을 위한 개선된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혈관내 이식물 장치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많은 것이 전달을 위해 하나 이상의 카테터(catheter)와 와이어를 조합하는 시스템을 통해 기계적으로 전개된다. 기계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이식물의 예는 색전 요소(embolic element), 스텐트(stent), 이식편(graft), 약물 전달 이식물, 유동 방향전환기(flow diverter), 필터, 자극 리드(stimulation lead), 감지 리드(sensing lead), 또는 마이크로카테터(microcatheter)를 통해 전달되는 다른 이식가능 구조물을 포함한다. 몇몇 산과 및 위장 이식물이 또한 하나 이상의 카테터와 와이어를 조합하는 유사한 시스템을 통해 이식될 수 있다. 기계적 수단에 의해 해제되거나 전개될 수 있는 장치들은 설계에 있어서 크게 다르지만, 유사한 전달 카테터 및 와이어 시스템을 채용할 수 있다. 많은 그러한 카테터-기반 전달 시스템은 장치의 해제를 위한 시간까지 카테터 내에의 이식물의 보유를 위한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그 후에 카테터에 대해 와이어를 후퇴시키거나 당김으로써 작동된다. 그러한 와이어는 본 명세서에서 "당김 와이어(pull wire)"로 지칭된다.
현재의 카테터-기반 전달 시스템에 관한 한 가지 문제는 이식가능 장치의 조기 분리이다. 조기 분리는 치료 부위에 도달하기 전에 이식물이 전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될 때 발생한다. 이것은 전달 시스템이 환자의 혈관계를 통과할 때 전달 시스템에 의해 경험되는 구불구불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당김 와이어"와 전달 시스템 사이의 마찰에 있어서의 증가를 야기하여, 전달 시스템이 원위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 당김 와이어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식물이 구불구불한 혈관계를 통해 전달될 때 이식물의 조기 분리를 방지하는 개선된 이식물 전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이러한 그리고 다른 고려사항에 관한 것이다.
조기 이식물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예시적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다. 전달 부재는 관통 연장되는 루멘(lumen)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는 압축된 원위 부분(distal portion)을 포함한다. 전달 부재는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 와이어는 몸체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몸체의 측벽에 맞닿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당김 와이어는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전달 부재에 고정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당김 와이어 부분은 몸체에 대한, 당김 와이어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마찰 저항으로 인해 당김 와이어의 근위방향 병진(proximal translation)을 억제함으로써 이식물의 조기 분리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일 태양에서,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신체 혈관의 목표 위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부재가 개시된다. 전달 부재는 관통 연장되는 루멘 및 압축된 원위 부분을 포함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부재는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 와이어는 마찰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 코일 내측 관의 측벽에 맞닿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당김 와이어는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전달 부재에 고정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당김 와이어 부분은 측벽에 대한, 당김 와이어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마찰 저항으로 인해 당김 와이어의 근위방향 병진을 억제함으로써 이식가능 의료 장치의 조기 분리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는 전달 부재로부터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해제하도록 이동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 부분은 사다리꼴-형상의 특징부, 삼각형-형상의 특징부, 코르크스크루(corkscrew)-형상의 특징부, 매듭-형상의 특징부, 또는 파-형상의 특징부로부터 선택되는 형상화된 특징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코팅으로 코팅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PTFE 코팅은 당김 와이어 부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 부분은 이식가능 의료 장치가 신체 혈관의 목표 위치로 전달될 때 몸체의 측벽과 접촉하여 유지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달 부재는 몸체에 부착된 제1 단부 및 압축된 원위 부분의 원위 단부(distal end)에 근접하게 위치된 루프 개구(loop opening)를 포함하는 루프 와이어(loop wire)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루프 와이어는 내연신성(stretch resistant)이고, 루프 와이어는 이식가능 의료 장치가 전달 부재에 고정될 때 장력하에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몸체는 원위 부분으로부터 근위 방향에 배치된 가요성 코일을 추가로 포함한다. 루프 와이어는 압축된 원위 부분의 신장(elongation)을 억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달 부재는 가요성 코일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슬리브(sleev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관통 연장되는 루멘 및 압축가능 원위 부분을 포함하는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압축가능 원위 부분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루멘을 통해 당김 와이어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당김 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이식가능 의료 장치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지지 코일 내측 관의 측벽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측벽에 맞닿도록 당김 와이어의 당김 와이어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측벽에 대한 당김 와이어 부분의 마찰 저항을 통해, 이식가능 의료 장치가 혈관계를 통해 치료 부위로 전달되는 동안 이식가능 의료 장치의 해제를 억제하는 단계, 및 측벽에 대한 당김 와이어 부분의 마찰 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하여서, 당김 와이어를 근위방향으로 병진시키고 치료 부위에서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몸체에 루프 와이어를 부착하는 단계, 루프 와이어가 루멘을 통해 연장되도록 루프 와이어가 몸체에 부착되는 동안 루프 와이어 내의 루프 개구를 압축가능 원위 부분의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 및 이식가능 의료 장치의 로킹 부분을 통해 루프 개구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 부분은 사다리꼴-형상의 특징부, 삼각형-형상의 특징부, 코르크스크루-형상의 특징부, 매듭-형상의 특징부, 또는 파-형상의 특징부로부터 선택되는 형상화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식가능 의료 장치의 해제를 억제하는 단계는, 이식가능 의료 장치가 신체 혈관의 목표 위치로 전달될 때 당김 와이어 부분이 측벽과 접촉하여 유지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당김 와이어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코팅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당김 와이어 부분으로부터 PTFE 코팅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근위 하이포튜브(hypotube)의 원위 단부를 가요성 코일에 연결하는 단계, 가요성 코일의 원위 단부를 몸체의 압축가능 원위 부분의 근위 단부(proximal end)에 연결하는 단계, 근위 관, 가요성 코일, 및 압축가능 원위 하이포튜브를 연결하여, 근위 관, 가요성 코일, 및 압축된 원위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는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가요성 코일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도록 슬리브를 위치시켜서, 가요성 코일의 반경방향 확장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태양 및 추가의 태양이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의 설명을 참조하여 추가로 논의되며, 첨부 도면에 있어서 다양한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구조적 요소 및 특징부를 지시한다. 도면은 반드시 일정한 축척으로 작성된 것은 아니며,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함에 중점을 둔다. 도면은 본 발명의 장치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를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단지 예로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전달 부재 및 이식물의 예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다른 전달 부재 및 이식물의 예시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예시적인 당김 와이어 부분의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동맥류 내에 위치된 색전 코일의 예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신체 루멘을 지나가는 전달 부재의 예시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전달 부재로부터 색전 이식물을 해제하기 위한 단계들의 시퀀스를 예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전달 부재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예시적인 당김 와이어 부분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소정 예의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반드시 일정한 축척으로 작성된 것은 아닌 도면은 선택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예로서 예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 특징, 태양, 실시예, 및 이점이, 예시로서,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되는 최상의 모드들 중 하나인 하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인식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두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상이한 또는 등가의 태양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면 및 설명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교시 내용, 표현, 형태, 예 등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교시 내용, 표현, 형태, 예 등 중 임의의 하나 이상과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 설명되는 교시 내용, 표현, 형태, 예 등은 서로에 대해 별개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 내용들이 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적합한 방식을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 내용들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손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임의의 수치 값 또는 범위에 대한 용어 "약" 또는 "대략"은 구성요소들 중 일부 또는 구성요소들의 집합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그의 의도된 목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적합한 치수 허용오차(tolerance)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약" 또는 "대략"은 열거된 값의 ±10% 값들의 범위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약 90%"는 81% 내지 99%의 값들의 범위를 지칭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환자", "수용자(host)", "사용자" 및 "대상(subject)"은 임의의 사람 또는 동물 대상을 지칭하며, 본 시스템 또는 방법을 사람에 대한 사용으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지만, 사람 환자에서의 본 발명의 사용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면으로 돌아가서,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전달 부재(10a, 10b)는 근위 관(100), 코일형 섹션(coiled section)(200),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 코일형 섹션을 둘러싸는 슬리브(500), 및 압축된 원위 부분(300)을 통해 연장되는 루프 와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부재(10a, 10b)는 근위 관(100), 코일형 섹션(200), 및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을 통해 연장되는, 관통하는 루멘(608)을 가질 수 있다. 즉, 근위 관(100)은 관통하는 루멘(108)을 가질 수 있고, 코일형 섹션(200)은 관통하는 루멘(208)을 가질 수 있고,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은 관통하는 루멘(308)을 가질 수 있고, 루멘(108, 208, 308)은 전달 부재(10a, 10b)를 통하는 루멘(608)을 형성하도록 연속될 수 있다. 근위 관(100)은 코일형 섹션(200)의 근위 단부(202)에 연결된 원위 단부(104)를 가질 수 있고, 코일형 섹션(200)의 원위 단부(204)는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의 근위 단부(302)에 연결될 수 있다. 근위 관(100), 코일형 섹션(200), 및 압축된 원위 부분(300)은 집합적으로 몸체(90)로 지칭될 수 있다.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은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 내에 이루어진 나선형 컷(spiral cut)(306)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압축가능 부분(300)은 신장된 상태(elongated condition)와 압축된 상태(compressed condition)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할 수 있다. 압축가능 부분(300)은 레이저 커팅 작업에 의해 형성된, 관(300)의 나선형-컷 부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축가능 부분은 권취된 와이어, 나선형 리본,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축방향 조정을 허용하는 다른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압축가능 부분(300)은 휴지 시에 신장된 상태에 있고, 달리 구속되지 않는 한, 압축된 상태로부터 신장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전달 부재(10a, 10b)가 조립될 때, 코일형 섹션(200) 및 슬리브(500)는 압축된 원위 부분(300) 및 근위 관(100)보다 더 가요성일 수 있다. 가요성을 측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3지점 굽힘 테스트(three-point bend test)를 수행하는 것이며, 여기서 전달 부재(10a, 10b)의 일부분이 2개의 단부 지점에서 고정되어 유지되고, 그 지점들 사이의 중심에서 부재(10a, 10b)에 수직으로 힘이 인가되고, 힘에 의해 유발되는 전달 부재(10a, 10b)의 편향의 길이에 의해 가요성이 정량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될 때, 몇몇 예들에서, 코일형 섹션(200) 및 슬리브는 압축된 원위 부분(300)보다 약 1.5배 더 가요성이고 근위 관(100)보다 약 20배 더 가요성일 수 있다. 즉, 3지점 테스트가 3개의 섹션(100, 200, 및 300)에 대해 동일하게 수행될 때, 코일형 섹션은 원위 하이포튜브의 편향의 약 1.5배이고 근위 하이포튜브의 편향의 길이의 약 20배인 길이에 걸쳐 편향된다. 가요성은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고 이해될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전달 부재(10a, 10b)가 조립될 때, 코일형 섹션(200) 및 슬리브(500)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을 바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가요성이 측정될 때 원위 하이포튜브 및 근위 하이포튜브보다 더 가요성일 수 있다.
코일형 섹션은 주로 강철과 같은 비-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백금 및/또는 텅스텐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 재료로 제조되는 방사선 불투과성 섹션(216)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불투과성 섹션(216)은 전달 부재(10a, 10b)의 원위 단부(304)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의사가 치료 시술 동안 전달 부재의 원위 부분의 배치를 손쉽게 시각화할 수 있다. 근위 섹션(212), 방사선 불투과성 섹션(216)은 동심으로 용접될 수 있다.
근위 관(100)은 전달 부재(10a, 10b)의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코일형 섹션(200) 및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은 치료 부위에서의 이식물을 배치 동안 발생할 수 있는 푸시백(push-back)의 대부분을 흡수하기에 충분한 길이(L)를 형성한다. 몇몇 예에서, 길이(L)는 약 30 cm 내지 약 50 cm,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40 c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200)의 와이어는 약 0.8 밀(mil) 및 5 밀을 포함하는 범위(약 20 nm 내지 약 130 nm)인 폭(W)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의 예시에 따라 제조된 전달 부재(10a, 10b)는 경쟁하는 전달 시스템보다 약 25% 내지 약 40% 더 큰 가요성을 갖는 것으로 입증된다.
전달 부재(10a, 10b)의 근위 관(100) 내에 근위 내측 관(110)이 배치될 수 있다. 근위 내측 관(110)은 근위 관(100)에 구조적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 모두의 전달 부재(10a, 10b)는 루멘(608)을 통해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 와이어(140)의 근위 단부는 당김 와이어 비드(pull wire bead)(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당김 와이어 비드(142)는 당김 와이어 비드(142)가 근위 관(100)의 근위 단부 상에 보유되도록 근위 내측 관(110)과 인터페이스하도록 크기설정될 수 있다. 당김 와이어(140)의 원위 단부(144)는 이식가능 의료 장치(12)를 전달 부재(10a, 10b)에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프 와이어(400)는 이식가능 의료 장치(12)의 로킹 부분(18)을 통해 위치된 루프 와이어 개구(4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당김 와이어(104)의 원위 단부(144)가 루프 개구(405)를 통해 위치되어서 이식가능 의료 장치(12)를 전달 부재(10a, 10b)에 고정할 수 있다. 루프 와이어(400)의 근위 단부(406, 408)는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의 근위 단부(302)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코일 루멘(208) 내에 지지 코일 내측 관(21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코일 내측 관(210)은 지지 코일(200)에 구조적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코인 내측 관(210)은 측벽(9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관하여, 전달 부재(10a, 10b)는 지지 코일 내측 관(210)의 측벽(96)에 맞닿도록 구성된 당김 와이어 부분(148)을 포함할 수 있다.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임의의 편리한 형상/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시적인 구성이 도 3a 내지 도 3e 및 도 8에 관하여 더 상세히 논의된다. 전달 부재(10a, 10b)가 환자의 혈관계를 통해 신체 혈관의 목표 위치로 전달될 때, 당김 와이어(140)는 당김 와이어(140)로 하여금 전달 부재(10a, 10b)의 몸체(90)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드리프트하게 할 수 있는 힘을 경험할 수 있다. 분리 부재(10a, 10b)로부터의 이식가능 의료 장치(12)의 조기 분리의 방지를 돕기 위해, 당김 와이어(140)의 슬랙 길이(slack length)(SL)가 포함되고 근위 관 루멘(10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당김 와이어(140)의 얼마간의 근위방향 드리프트는 단지 당김 와이어(140)로부터 슬랙 길이(SL)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당김 와이어(140)와 지지 코일 내측 관(210)의 측벽(96) 사이의 마찰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측벽(96)에 맞닿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140)의 부분, 및 측벽(96)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측벽(96)과 마찰 접촉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형상 및 구성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당김 와이어(140)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당김 와이어(140)는 스테인리스강 또는 형상 기억 재료, 예컨대 니티놀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당김 와이어(140)는 추가적으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코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일단 당김 와이어(140)가 PTFE로 코팅되면,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측벽(96)에 대한, 당김 와이어 부분(148)에 의해 제공되는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제거된 PTFE 코팅을 가질 수 있다.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이식가능 의료 장치(12)가 목표 이식물 위치로 전달되는 동안 몸체(90)의 측벽(96)과 접촉하여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당김 와이어 부분(148)과 지지 코일 내측 관(210)의 측벽(96) 사이의 마찰 저항은 전달 부재(10a, 10b)로부터의 이식가능 의료 장치의 조기 분리를 방지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도 1에 관하여,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당김 와이어(140)의 나머지와 동일한 두께 또는 직경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선택적으로 제거된 코팅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당김 와이어 부분(148)이 몇몇 실시예에 따라 당김 와이어(140)의 나머지보다 작은 직경 또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코팅은 당김 와이어 부분(148)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일 수 있다.
도 2에 관하여, 전달 부재(10b)가 도시되어 있다. 전달 부재(10b)는, 전달 부재(10b)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당김 와이어 부분(148) 대신에 복수의 당김 와이어 부분(148)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달 부재(10a)와 유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파선들 사이의(예를 들어, 지지 코일 루멘(208) 내의) 어디에든 위치될 수 있고, 예시적인 위치(P1, P2, P3)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달 부재(10a)는 전달 부재(10a)로부터의 이식가능 의료 장치(12)의 조기 분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위치(P3)에 배치될 수 있는 단일 당김 와이어 부분(148)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 부재(10b)에 대해,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파선들 내의 어디에든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달 부재(10b)는 위치들(P1 및 P3) 사이의 어디에든 위치된 적어도 2개의 당김 와이어 부분(148)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위치설정 및 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당김 와이어 부분(148)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된 코팅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코팅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일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 전달 시스템(10b)은 당김 와이어 부분(들)(148)으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된 코팅을 갖지 않는 당김 와이어 부분(들)(148)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달 시스템(10b)의 하나 이상의 당김 와이어 부분(들)(148)은 선택적으로 제거된 코팅을 가질 수 있는 반면, 당김 와이어 부분(들)(148)의 나머지는 선택적으로 제거된 코팅을 갖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당김 와이어 부분들(148) 중 임의의 하나는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예를 들어, 위치들(P1, P2, P3)에서, 그리고/또는 전달 시스템(10b)의 위치들(P1 및 P3) 사이의 어디에서든).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예시적인 당김 와이어 부분의 예시이다. 도 3a는 당김 와이어 부분(148A)의 삼각형 형상을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 당김 와이어 부분(148A)은 단일의 사전-형성된 형상으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당김 와이어 부분(148A)은 사전-형성된 형상의 다수의 반복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가 당김 와이어 부분(148A)의 반복 섹션들 사이의 간극 거리(D1)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도 3b는 당김 와이어 부분(148B)의 사다리꼴 형상을 도시한다. 도 3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간극 거리는 당김 와이어 부분(148B)의 반복 사다리꼴들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3b는 제1 예에서 간극 거리(D2)를 그리고 제2 예에서 간극 거리(D3)를 도시한다. 도 3c는 코르크스크루의 형상의 당김 와이어 부분(148C)을 도시한다. 도 3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당김 와이어 부분(148C)의 코르크스크루 형상은 임의의 수의 회전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 부분(148C)은 대략 1 코일 내지 10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d는 매듭 구성인 당김 와이어 부분(148D)을 도시한다. 당김 와이어 부분(148D)의 매듭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당김 와이어 부분(148D)의 매듭은 각각의 매듭 사이의 적절한 간극 거리(D4)를 갖고서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간극 거리(D1, D2, D3, D4)는 대략 0.001 인치 내지 대략 0.1 인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간극 거리(D1, D2, D3, D4)는 당김 와이어 부분(148)이 도 2의 파선들 사이에(예를 들어, 위치(P1)와 위치(P3) 사이의 어디에든) 끼워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e는 사인파 패턴을 갖는 당김 와이어 부분(148E)을 도시한다. 당김 와이어 부분(148C)의 코르크스크루와 유사하게, 당김 와이어 부분(148E)은 대략 1회 반복과 대략 10회 반복 사이에서 반복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분리 부재(10a, 10b)로부터의 이식물(12)의 조기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당김 와이어(140)와 몸체(90) 사이의 적절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도록 크기설정되고 형상화될 수 있다.
도 4는 카테터(250)를 통해 전달되고 혈관(BV) 상의 동맥류(A) 내에 위치된 색전 이식물(12)의 예시이다. 이식물은 혈전 덩어리를 형성하도록 동맥류 낭과 루핑(looping)되고 구부러질 수 있다. 이식물은 그들 자체 상에 다시 루핑되고/되거나 다른 이식물들 옆에 루핑될 수 있다. 동맥류(A)가 점점 더 패킹됨에 따라, 이식물(12)의 중첩 부분들은 서로 침입할 수 있다.
도 5는 구불구불한 혈관계 내에의, 동맥류 치료에 적합한 색전 코일과 같은 이식물(12), 가이드 카테터(guide catheter)(450), 및 몸체(90) 및 당김 와이어(140)를 포함하는 전달 시스템(10)의 위치설정을 예시한다(혈관계는 예시되지 않음). 굴곡부(A, B, 및 C)에서, 몸체(90)는 각각의 굴곡부의 각각의 외측 곡선에서 가이드 카테터(450)의 측벽까지 연장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당김 와이어(140)는 각각의 굴곡부의 각각의 외측 곡선에서 몸체(90)의 측벽까지 연장될 수 있다. 시술 동안, 몸체(90) 및 당김 와이어(140)는 원위 방향(D)으로 가이드 카테터(450) 내로 공급되어, 먼저 굴곡부(A), 이어서 굴곡부(B), 그리고 이어서 굴곡부(C)를 통과할 수 있다. 몸체(90) 및 당김 와이어(140)가 굴곡부들을 지나갈 때,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당김 와이어(140)와 전달 부재(10a, 10b)의 몸체(90) 사이의 마찰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마찰 저항은 전달 부재(10a, 10b)의 몸체(90)에 대한 당김 와이어(140)의 근위 방향(P)으로의 근위방향 병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전달 부재(10a, 10b)로부터의 이식물(12)의 조기 분리를 방지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전달 부재(10)로부터 색전 이식물(12)을 해제하기 위한 단계들의 시간 시퀀스를 예시한다. 전달 부재(10)는 이전 도면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달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a는 의료 장치(12)의 로킹 부분(18) 내에 로킹된 루프 와이어(400) 및 당김 와이어(140)를 포함하는 맞물림 시스템을 예시한다.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의 압축가능 부분(306)은 압축될 수 있고, 루프 와이어(400)의 원위 단부(404)에 있는 루프 와이어(400) 개구(405)는 로킹 부분(18)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당김 와이어(140)가 개구(405)를 통해 놓일 때, 의료 장치(12)는 이제 안전하다. 도 6b는 의료 장치(12)에 대한 해제 시퀀스를 시작하기 위해 당김 와이어(140)가 근위방향으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예시한다. 도 6c는 당김 와이어의 원위 단부(144)가 개구(405)를 빠져나가고 당김 와이어(140)가 루프 와이어(400)로부터 자유롭게 당겨지는 순간을 예시한다. 루프 와이어(400)의 원위 단부(404)는 떨어지고 로킹 부분(18)을 빠져나간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제 의료 장치(12)를 분리 시스템(10)에 유지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도 6d는 해제 시퀀스의 끝을 예시한다. 여기서, 압축가능 부분(306)은 그의 원래 형상으로 연장/복귀되었고 앞으로 "튀어나왔다". 탄성력(E)이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의 원위 단부(305)에 의해 의료 장치(12)에 부여되어 그것을 "밀어내" 의료 장치(12)의 완벽한 분리 및 전달을 보장한다.
압축가능 부분(306)은 약 0.5 mm 내지 약 0.75 mm의, 압축된 구성과 원래의 압축되지 않은 구성에서 측정될 때의 길이에 있어서의 차이(압축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더 큰 압축 거리를 사용함으로써 더 큰 탄성력(E)이 달성될 수 있다. 압축 거리는 루프 와이어(400)의 크기설정, 로킹 부분(18)의 형상, 및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의 원위 단부(304)의 형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전달 시스템을 사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블록(704)에서, 방법은 관통 연장되는 루멘 및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을 포함하는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708)에서, 방법은 루프 와이어(400)를 근위 관(100)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712)에서, 방법은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을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716)에서, 루프 와이어(400)의 루프 개구(405)는 루프 와이어(400)가 루멘(608)을 통해 연장되도록 루프 와이어(400)가 몸체(90)에 부착되는 동안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의 원위 단부(304)에 위치될 수 있다. 블록(720)에서, 당김 와이어(140)는 루멘(60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블록(724)에서, 루프 개구(405)는 이식가능 의료 장치(12)의 로킹 부분(1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블록(728)에서, 당김 와이어(140)의 원위 단부(144)는 루프 개구(405)를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이식가능 의료 장치(12)를 전달 부재(10a, 10b)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블록(732)에서, 방법은 측벽(96)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지지 코일 내측 관(210)의 측벽(96)에 맞닿도록 당김 와이어 부분(148)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736)에서, 방법은, 측벽(96)에 대한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마찰 저항을 통해, 이식가능 의료 장치(12)가 혈관계를 통해 치료 부위로 전달되는 동안 이식가능 의료 장치(12)의 해제를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블록(740)에서, 측벽(96)에 대한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마찰 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당김 와이어(140)의 근위방향 병진 및 치료 부위에서의 이식가능 의료 장치(12)의 해제를 야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식가능 의료 장치(12)의 해제를 억제하는 것은 이식가능 의료 장치(12)가 목표 위치로 전달될 때 당김 와이어 부분(148)이 측벽(96)과 접촉하여 유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법은 당김 와이어(140)를 PTFE 코팅으로 코팅하고 당김 와이어 부분(148)으로부터 PTFE 코팅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몸체(90)를 제공하는 것은 근위 하이포튜브(100)의 원위 단부(104)를 가요성 코일(200)에 연결하고, 가요성 코일(200)의 원위 단부(204)를 몸체(90)의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의 근위 단부(302)에 연결하고, 근위 관(100), 가요성 코일(200), 및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을 연결하여 몸체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몸체는 근위 관(100), 가요성 코일(200), 및 압축가능 원위 부분(300)을 통해 연장되는 루멘(608)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방법은 가요성 코일의 반경방향 확장을 억제하기 위해 가요성 코일(200)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도록 슬리브(500)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예시적인 당김 와이어 부분의 예시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당김 와이어 특징부(148)는 몸체(90)의 측벽(96)에 맞닿는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길이(L2)(예를 들어,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간섭 섹션), 특징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길이(L1), 및 당김 와이어(140)의 나머지에 대한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반경방향 변위를 보여주는 거리(H1)를 갖는 "U"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당김 와이어(140)의 나머지로부터 각도(θ)만큼 오프셋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당김 와이어 부분(148)은 대략 7.8 그램중(gram-force) 내지 대략 22 그램중,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략 9 그램중 내지 대략 14 그램중의, 당김 와이어(140)와 몸체(90)의 측벽(96) 사이의 마찰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도(θ)는 대략 140도 내지 대략 154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반경방향 오프셋(H1)은 대략 0.0065 인치 내지 대략 0.0079 인치로부터 선택되는 거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접촉 표면(L2)은 대략 0.01 인치 내지 대략 0.0121 인치의 길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당김 와이어 부분(148)의 총 길이(L1)는 대략 0.03 인치 내지 대략 0.36 인치의 길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스템 구성요소의 대안적인 기하학적 구조, 대안적인 재료,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방법 단계 등을 포함하여, 이식 시스템 및 관련 방법의 많은 변형 및 수정을 고려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수정은 하기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신체 혈관의 목표 위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부재로서,
    관통 연장되는 루멘(lumen), 압축된 원위 부분(distal portion), 및 지지 코일 내측 관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루멘을 통해 연장되는 당김 와이어(pull wire)로서, 상기 지지 코일 내측 관의 측벽에 맞닿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지지 코일 내측 관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는 당김 와이어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당김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당김 와이어는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상기 전달 부재에 고정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은 상기 지지 코일 내측 관에 대한,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마찰 저항으로 인해 상기 당김 와이어의 근위방향 병진(proximal translation)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의 조기 분리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전달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는 상기 전달 부재로부터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해제하도록 이동가능한, 전달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은 사다리꼴-형상의 특징부, 삼각형-형상의 특징부, 코르크스크루(corkscrew)-형상의 특징부, 매듭-형상의 특징부, 또는 파-형상의 특징부로부터 선택되는 형상화된 특징부를 포함하는, 전달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는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하는, 전달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는, 전달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으로 코팅되는, 전달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은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되는, 전달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은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가 상기 신체 혈관의 상기 목표 위치로 전달될 때 상기 측벽과 접촉하여 유지되는, 전달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부착된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된 원위 부분의 원위 단부(distal end)에 근접하게 위치된 루프 개구(loop opening)를 포함하는 루프 와이어(loop wire)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달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와이어는 내연신성(stretch resistant)이고, 상기 루프 와이어는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가 상기 전달 부재에 고정될 때 장력하에 있는, 전달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압축된 원위 부분으로부터 근위 방향에 배치된 가요성 코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루프 와이어는 상기 압축된 원위 부분의 신장(elongation)을 억제하는, 전달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코일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슬리브(sleeve)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달 부재.
  13. 방법으로서,
    관통 연장되는 루멘, 압축가능 원위 부분, 및 지지 코일 내측 관을 포함하는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압축가능 원위 부분을 압축하는 단계;
    상기 루멘을 통해 당김 와이어를 연장시키는 단계;
    상기 당김 와이어의 원위 단부를 이식가능 의료 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 코일 내측 관의 측벽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측벽에 맞닿도록 상기 당김 와이어의 당김 와이어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대한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의 상기 마찰 저항을 통해,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가 혈관계를 통해 치료 부위로 전달되는 동안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의 해제를 억제하는 단계; 및
    상기 측벽에 대한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의 상기 마찰 저항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하여서, 상기 당김 와이어를 근위방향으로 병진시키고 상기 치료 부위에서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루프 와이어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루프 와이어가 상기 루멘을 통해 연장되도록 상기 루프 와이어가 상기 몸체에 부착되는 동안 상기 루프 와이어 내의 루프 개구를 상기 압축가능 원위 부분의 원위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 및
    이식가능 의료 장치의 로킹 부분을 통해 상기 루프 개구를 연장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은 사다리꼴-형상의 특징부, 삼각형-형상의 특징부, 코르크스크루-형상의 특징부, 매듭-형상의 특징부, 또는 파-형상의 특징부로부터 선택되는 형상화된 특징부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는 형상 기억 합금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의 해제를 억제하는 단계는, 상기 이식가능 의료 장치가 상기 치료 부위로 전달될 때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이 상기 측벽과 접촉하여 유지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 와이어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당김 와이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코팅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근위 하이포튜브(hypotube)의 원위 단부를 가요성 코일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가요성 코일의 원위 단부를 상기 몸체의 상기 압축가능 원위 부분의 근위 단부(proximal end)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근위 하이포튜브, 가요성 코일, 및 압축가능 원위 부분을 연결하여, 상기 근위 하이포튜브, 가요성 코일, 및 상기 압축가능 원위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는 상기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요성 코일의 대부분을 따라 연장되도록 슬리브를 위치시켜서, 상기 가요성 코일의 반경방향 확장을 억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188485A 2022-01-06 2022-12-29 조기 색전 이식물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6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69,632 2022-01-06
US17/569,632 US20230210531A1 (en) 2022-01-06 2022-01-06 Systems and methods for inhibiting premature embolic implant deploy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513A true KR20230106513A (ko) 2023-07-13

Family

ID=8482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485A KR20230106513A (ko) 2022-01-06 2022-12-29 조기 색전 이식물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210531A1 (ko)
EP (1) EP4209182A1 (ko)
JP (1) JP2023100597A (ko)
KR (1) KR20230106513A (ko)
CN (1) CN116392182A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201295D0 (sv) * 1992-04-24 1992-04-24 Siemens Elema Ab Styrbar elektrodanordning
US7608058B2 (en) * 2002-07-23 2009-10-27 Micrus Corporation Stretch resistant therapeutic device
US7901444B2 (en) * 2006-09-29 2011-03-08 Codman & Shurtleff, Inc. Embolic coil delivery system with mechanical release mechanism
US8864789B2 (en) * 2007-04-27 2014-10-21 DePuy Synthes Products, LLC Interventional medical device system having a spiral section and radiopaque mark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2481154B (zh) * 2009-09-09 2015-04-01 株式会社钟化 栓塞线圈
US9155540B2 (en) * 2012-03-30 2015-10-13 DePuy Synthes Products, Inc. Embolic coil detachment mechanism with heating element and kicker
US9282971B2 (en) * 2013-03-14 2016-03-15 Incumedx, Inc. Implants,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evic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the implants to a vascular disorder of a patient
US11484319B2 (en) * 2015-01-20 2022-11-01 Neurogami Medical, Inc. Delivery system for micrograft for treating intracranial aneurysms
JP6763864B2 (ja) * 2015-01-20 2020-09-30 ニューロガミ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頭蓋内動脈瘤の治療のためのマイクログラフトおよび使用方法
WO2017066386A1 (en) * 2015-10-14 2017-04-20 Three Rivers Medical Inc. Mechanical embolization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JP7237313B2 (ja) * 2016-07-29 2023-03-13 シャンハイ ワラビー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ンプラント送達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116509B2 (en) * 2017-11-10 2021-09-14 Avantec Vascul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an embolic device
AU2019231663A1 (en) * 2018-03-07 2020-09-24 Innovative Cardiovascular Solutions, Llc Embolic protection device
WO2020148768A1 (en) * 2019-01-17 2020-07-23 Endostream Medical Ltd. Vascular-malformation implant system
US11207494B2 (en) * 2019-07-03 2021-12-28 DePuy Synthes Products, Inc. Medical device delivery member with flexible stretch resistant distal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00597A (ja) 2023-07-19
CN116392182A (zh) 2023-07-07
EP4209182A1 (en) 2023-07-12
US20230210531A1 (en)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7494B2 (en) Medical device delivery member with flexible stretch resistant distal portion
US20220354502A1 (en) Medical device delivery member with flexible stretch resistant mechanical release
US11457922B2 (en) Medical device delivery member with flexible stretch resistant distal portion
US20240138843A1 (en) Implant detachment systems with a modified pull wire
KR20230106513A (ko) 조기 색전 이식물 전개를 억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73031A1 (en) Hook wire for preventing premature embolic implant detachment
US11937825B2 (en) Hook wire for preventing premature embolic implant detachment
US11844490B2 (en) Suture linkage for inhibiting premature embolic implant deployment
US20230277186A1 (en) Elongating wires for inhibiting premature implant detachment
US20230293184A1 (en) Interference feature for inhibiting premature embolic implant detachment
US11937826B2 (en) Proximal link wire for preventing premature implant detachment
US20230210535A1 (en) Medical device delivery systems with twisting loop wires
CN115137430A (zh) 具有柔性抗拉伸远侧部分的医疗装置递送构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