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435A -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435A
KR20230106435A KR1020220002321A KR20220002321A KR20230106435A KR 20230106435 A KR20230106435 A KR 20230106435A KR 1020220002321 A KR1020220002321 A KR 1020220002321A KR 20220002321 A KR20220002321 A KR 20220002321A KR 20230106435 A KR20230106435 A KR 20230106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server
con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484B1 (ko
Inventor
성시현
Original Assignee
(주)서울의료정보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울의료정보연구소 filed Critical (주)서울의료정보연구소
Priority to KR102022000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484B1/ko
Publication of KR20230106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Bioeth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제1 서버를 통해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동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UI 화면을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를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제1 기관의 제2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추천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에 매칭되는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제1 인센티브를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THAT MANAGES USER PRIVACY AND CONSENT DETAIL}
본 개시는 개인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개시는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모바일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사회 전반적으로 업무(예로, 전자상거래 및 핀테크(FinTech) 등), 생활, 여가 생활과 관련된 절차들이 디지털화되었으며, 이는 많은 사람들에게 편리함과 효율성을 제공하였다. 다만, 인터넷 및 모바일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서비스 이용 내역, 이동 경로 등 개인 정보들이 손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 역시 대두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개인 정보 유출 사고의 발생 빈도가 잦아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개인 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크게 인지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도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가이드 라인 및 법률을 제정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가이드 라인 또는 법률은 주로 기업의 입장을 고려한 것인 경우가 많은 바, 개인 입장에서는 개인들이 동의한 개인 정보 활용 동의서가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21-81841호, 2021.05.27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제1 서버를 통해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동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을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상기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제1 기관의 제2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추천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매칭되는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인센티브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동의서 UI를 액세스할 수 있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가 QR 코드를 인식함에 기초하여, 상기 동의서 UI를 통해 입력된 상기 동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동의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시기,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 범위 또는 목적, 상기 개인 정보 활용 가능 업종, 상기 개인 정보에 접근 권한을 가진 기관 목록, 또는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복수의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복수의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는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되고,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요청 목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에 상이한 가중치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프로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항목 별로 매칭된 가중치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평가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기 평가 점수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추천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아이콘, 상기 개인 정보의 보존 기간 도래에 따른 폐기 알림 메시지 또는 추가 보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 및 상기 개인 정보의 추가 기입을 요청하기 위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제1 인센티브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시기, 상기 개인 정보의 보관 기간,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 범위 및 상기 개인 정보 활용 가능 업종에 기초하여, 복수의 데이터 활용 레벨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1 데이터 활용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 활용 레벨에 매칭되는 상기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인센티브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동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동의 정보를 관리 또는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 화면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상기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기관의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고, 제1 기관의 제2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추천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 수신되면, 상기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매칭되는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인센티브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할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정보 활용 동의 이력을 실시간으로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정보 동의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개인 정보'는 특정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개인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하는 주체를 의미하고,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기관'은, 사용자가 개인 정보 활용에 대해 동의한 것에 기초하여,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주체(예로, 단체, 기업 등)를 의미한다.
기관이 이용하는 장치를 '서버 장치'라고 표현하였으나, 이는 장치의 유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기관은 서버 장치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역시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제1 서버(100)는 개인 정보 활용 동의 관리 서비스(이하, 서비스)(10)를 복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200-1, 200-2) 및 기관이 이용하는 서버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기관의 서버 장치는, 제1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10)를 신청하고,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동의서 파일을 제1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동의서 파일(또는, 동의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이하, 동의서 UI))에 액세스할 수 있는 QR 코드를 생성(또는, 기 생성된 QR 코드에 동의서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매칭)할 수 있다. 특정 기관의 고객(즉, 사용자)은 단말 장치(200-1, 200-2)를 이용하여 상기 QR 코드를 스캔함으로써 동의서 UI(또는, 동의서 파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 장치(200-1, 200-2)에 의해 개인 정보 활용에 동의를 한다는 정보가 동의서 UI 등을 통해 입력(20)되는 경우, 제1 서버(10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개인 정보 활용 동의서(또는, 인증서)를 암호화(예로, 전자 서명 등)하거나, 개인 정보에 대해서 마스킹(masking), 가명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버(100)는 암호화된 개인 정보 및 개인 정보 활용 동의서를 포함한 데이터 베이스(예를 들어, 블랍(binary large object, BLOB) 저장소(storage) 등)를 구축할 수 있다. 추후, 제1 서버(100)는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 상에 포함된 개인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구조화 질의어(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축된 데이터 베이스에는 다양한 보안 솔루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00)는 엔드 포인트 보안 기술(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EDR)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EDR 기술은 모바일, 서버, 컴퓨터 등 단말(end)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성 행위(예를 들어, 악성 코드, 랜섬웨어 등)를 감지하고, 감지된 악성 행위를 저지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제1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10)는, 사용자 추천 방법,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동의 정보에 기초한 인센티브 제공 방법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버(100)는 메모리(110), 통신 모듈(120), 프로세서(130) 및 연결 단자(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서버(100)는 필요한 동작에 따라 당업자 관점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구성이 수정 또는 추가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제1 서버(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프로세서(130)에 의해 액세스되어 상기 명렁 또는 데이터가 독취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휘발성 메모리(112) 및 비휘발성 메모리(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12)에 저장 및 처리하고, 이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14)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10)에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회로를 포함하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200), 제1 서버(100)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장치(101), 특정 기관이 이용하는 제2 서버(30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2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통신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120)은 무선 통신 모듈(122)(예로, 셀룰러(cellular)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 등) 및 유선 통신 모듈(124)(예로,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인 프로세서(13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3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제1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를 통해 수행되는 제1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연결 단자(150)는 제1 서버(100)와 외부 장치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50)는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제1 서버(100)가, 연결 단자(150)를 통해, 제1 서버(100)를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관리 장치(101)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제1 서버(100)는 무선 네트워크(예로, 제1 네트워크(198) 및 제2 네트워크(199))를 통해 관리 장치(10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가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1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동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제1 서버는,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동의서 UI를 액세스할 수 있는 QR 코드를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는 QR 코드를 인식(또는, 스캔)함으로써 동의서 UI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동의서 UI를 통해 입력된 동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의 정보는,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시기, 개인 정보의 활용 범위 또는 목적, 개인 정보 활용 가능 업종, 개인 정보에 접근 권한을 가진 기관 목록, 또는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복수의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UI 화면을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기관의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320).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UI 화면은, 단말 장치 및 기관의 서버 장치 상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 또는 웹(web) 기반의 화면일 수 있다.
상기 UI화면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인 경우, UI 화면을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한 데이터(예로, apk(android application package) 파일,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ESD(electronic software distribution) 화면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UI 화면이 웹 기반의 화면인 경우, 상기 UI 화면을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UI 화면은,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아이콘, 상기 개인 정보의 보존 기간 도래에 따른 폐기 알림 메시지 또는 추가 보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 및 상기 개인 정보의 추가 기입을 요청하기 위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화면에 대한 예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기관의 제2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추천(즉, 인력 추천)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서버는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제2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330).
제1 서버는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요청 목적(또는, 요청 분야)을 식별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식별된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요청 목적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 각각에 상이한 가중치를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는 요청 목적과 관련된 기술 분야(예를 들어, AI 기술 분야, 신약 개발 등)에 따라 가중치를 상이하게 매칭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프로필 정보 및 복수의 항목 별로 매칭된 가중치를 연산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평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점수는 요청 목적 관점에서 인력 적합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평가 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제1 사용자(개인 정보 활용에 동의한 사용자)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개인 정보가 있는 경우, 제1 서버는 추가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1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야 별로 사용자 추천을 위해 필요한 항목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상 시험을 선출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예로, 의료 정보, 일정 정보 등)과 단기 아르바이트를 선출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예로, 학력 정보, 일정 정보 등)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필요한 항목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중 임계값을 초과하는 평가 점수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추천하는 추천 메시지가 포함된 추천 정보를 제2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 목적은 경진 대회 심사 위원을 위한 사용자 추천 요청이고, 개인 정보의 프로필 정보에는 업무 분야, 수행 심사 내역, 대회 정보 등의 항목이 포함된 경우를 가정한다. 제1 서버는, 수행 심사 내역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업무 분야에 제1 가중치보다 낮은 제2 가중치를 부여하고, 대회 정보(예로, 각 대회의 중요도, 각 대회를 주관한 기관의 등급 등)에 제2 가중치보다 낮은 제3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프로필 정보 및 제1 내지 제3 가중치를 연산하여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의 평가 점수 중 임계값을 초과하는 사용자를 경진 대회 심사위원으로 추천하는 메시지를 제2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서버는,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특정 분야에 대해 지원한다는 메시지 및 특정 분야와 관련된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는 특정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가 경진대회 심사위원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인 정보(예로, 업무 분야, 심사 내역, 대회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사용자는 직접 개인 정보를 전송한 것이므로, 제1 서버가 상기 개인 정보에 대해서 접근하는 것을 특정 사용자가 동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버는 제1 사용자에 매칭되는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제1 인센티브를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S340).
구체적으로, 제1 서버는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시기, 개인 정보의 활용 범위, 개인 정보의 보관 기간 및 개인 정보 활용 가능 업종 등에 기초하여, 복수의 데이터 활용 레벨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1 데이터 활용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버는 제1 데이터 활용 레벨에 매칭되는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제1 인센티브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개인 정보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서버(100)는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UI 화면을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를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기관의 서버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제1 기관의 서버 장치가 제1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UI 화면을 제공받은 경우를 가정한다.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가 제공받는 UI 화면(즉, 사용자 UI)(410)과 제1 기관의 서버 장치가 제공받는 UI 화면(즉, 기관 UI)(400)은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 UI(410)는 동의 정보(개인 정보의 접근 권한을 가진 기관 목록(440), 개인 정보의 활용(또는, 제공) 범위(470) 등)를 관리할 수 있는 아이콘, 개인 정보 활용 잔여 기간(460), 또는 개인 정보의 보존 기간 도래에 따른 폐기 알림 메시지(4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는 사용자 UI(410)를 통해 개인 정보 열람, 제공 범위, 접근 승인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는 사용자 UI(410)를 통해 개인 정보 활용 동의서를 취합한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
기관 UI(400)는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사용자의 프로필 리스트(440), 개인 정보의 활용(또는, 제공) 범위(430), 개인 정보 활용 잔여 기간(420), 또는 개인 정보의 보존 기간 도래에 따른 폐기 알림 메시지(425)를 전송하기 위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기관은 기관 UI(400)를 통해 수집하고 있는 개인 정보 및 개인 정보 동의 현황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로, 개인 정보의 활용(제공) 범위에 대한 정보(450)는 세분화될 수 있다. 개인 정보 추가 기입 요청을 허용하는 레벨 4로 개인 정보의 활용(제공) 범위가 설정된 경우, 제1 기관의 서버 장치는 제1 서버(100)를 통해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개인 정보 추가 기입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가 개인 정보 동의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사용자에 매칭되는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제1 서버는 제1 사용자에 대한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마이) 데이터 활용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S510).
예를 들어, 제1 서버는, 제1 사용자가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시기, 제1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활용 범위, 제1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보관 기간 및 개인 정보 활용 가능 업종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데이터 활용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버는, 개인 정보 활용 가능 업종의 민감도(예로, 메디컬, 신원 조회, 온라인 쇼핑 구매 이력, 구독 서비스, GPS 상 이동 경로 등)가 높을수록,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데이터 활용 레벨을 높게 책정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개인 정보의 보관 기간이 길수록,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데이터 활용 레벨을 높게 책정할 수 있다. 제1 서버는, 개인 정보의 활용 범위가 넓을수록,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데이터 활용 레벨을 높게 책정할 수 있다.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데이터 활용 레벨이 제1 데이터 활용 레벨인 경우(S520), 제1 서버는 제1 데이터 활용 레벨에 대응되는 제1 인센티브가 기 정의된 값(제m 인센티브)보다 작은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인센티브가 기 정의된 값(제m 인센티브) 이상인 경우, 제1 서버는 제m 인센티브를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540).
제1 인센티브가 기 정의된 값(제m 인센티브) 미만인 경우, 제1 서버는 제1 인센티브를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S550). 그리고, 제1 서버는 더 큰 인센티브를 제공받기 위한 정보(즉, 레벨 상향의 제안 정보)를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560). 제1 사용자가 해당 레벨 상향의 제안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경우, 제1 서버는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레벨을 제1 데이터 레벨에서 한 단위 레벨 높일 수 있다(S570). 이 때, 제1 데이터 레벨에서 한 단위 높아진 레벨에 대응되는 인센티브와 비교하는 값은 제m 인센티브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제1 서버
200-1 :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

Claims (10)

  1. 제1 서버를 통해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동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을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상기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기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제1 기관의 제2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추천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매칭되는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인센티브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동의서 UI를 액세스할 수 있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가 QR 코드를 인식함에 기초하여, 상기 동의서 UI를 통해 입력된 상기 동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의 정보는,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시기,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 범위 또는 목적, 상기 개인 정보 활용 가능 업종, 상기 개인 정보에 접근 권한을 가진 기관 목록, 또는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복수의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복수의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는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되고,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응되는 요청 목적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항목에 상이한 가중치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프로필 정보 및 상기 복수의 항목 별로 매칭된 가중치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평가 점수를 획득하는 단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임계값을 초과하는 상기 평가 점수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추천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동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아이콘, 상기 개인 정보의 보존 기간 도래에 따른 폐기 알림 메시지 또는 추가 보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 및 상기 개인 정보의 추가 기입을 요청하기 위한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제1 인센티브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을 동의한 시기, 상기 개인 정보의 보관 기간, 상기 개인 정보의 활용 범위 및 상기 개인 정보 활용 가능 업종에 기초하여, 복수의 데이터 활용 레벨 중 상기 제1 사용자에 대응되는 제1 데이터 활용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 활용 레벨에 매칭되는 상기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인센티브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하드웨어인 제1 서버와 결합되어, 상기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의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버에 있어서,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부;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에 대한 활용 동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동의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동의 정보를 관리 또는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 화면을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장치 및 상기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기관의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고,
    제1 기관의 제2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추천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 수신되면, 상기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를 추천하는 추천 정보를 상기 제2 서버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에 대한 동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매칭되는 제1 인센티브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인센티브를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 장치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하도록 설정되는, 제1 서버.
KR1020220002321A 2022-01-06 2022-01-06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58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321A KR102658484B1 (ko) 2022-01-06 2022-01-06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321A KR102658484B1 (ko) 2022-01-06 2022-01-06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435A true KR20230106435A (ko) 2023-07-13
KR102658484B1 KR102658484B1 (ko) 2024-04-17

Family

ID=8716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321A KR102658484B1 (ko) 2022-01-06 2022-01-06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4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816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케이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서버
KR20140077997A (ko) * 2012-12-13 201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정보활용정책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KR20150099639A (ko) * 2014-02-21 2015-09-01 주식회사 아큐파이 Sns에 기반한 인재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1774907B1 (ko) * 2016-04-15 2017-09-12 주식회사 워크앤테이크 위치 기반 일자리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92473A (ko) * 2019-01-09 2020-08-04 강성열 사용자 선호도 및 스타일 기반의 맞춤복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081841A (ja) 2019-11-15 2021-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7816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케이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개인화 추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서버
KR20140077997A (ko) * 2012-12-13 2014-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정보활용정책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그 관리 방법
KR20150099639A (ko) * 2014-02-21 2015-09-01 주식회사 아큐파이 Sns에 기반한 인재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1774907B1 (ko) * 2016-04-15 2017-09-12 주식회사 워크앤테이크 위치 기반 일자리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92473A (ko) * 2019-01-09 2020-08-04 강성열 사용자 선호도 및 스타일 기반의 맞춤복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081841A (ja) 2019-11-15 2021-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484B1 (ko)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88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ximity identity verification
US11238169B2 (en) Privacy score
EP3474210A1 (en) User account controls for online transactions
US11924191B2 (en) Safe logon
US118424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monitoring assets available for acquisition
US10565210B2 (en) Generating and verifying a reputational profile
KR102185360B1 (ko) 사용자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JP5475226B2 (ja) 渉外営業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230206246A1 (en) Systems for Securing Transactions Based on Merchant Trust Score
KR20230106435A (ko)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및 동의 내역을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6513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ontext-based electronic offer communication
US201702496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retail customers with a sustainability standard
US117047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nforming users of an age of a merchant during online transactions
CN110647767A (zh) 数据查看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53793B1 (ko) 사용자 아이디 자동 조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A2973824C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ontext-based electronic offer communication
KR20200017764A (ko)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사용자 단말
JP202315978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231597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7407420A (zh) 数据构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TW201631501A (zh) 情資媒合系統
JP200805912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