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304A -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304A
KR20230106304A KR1020220002043A KR20220002043A KR20230106304A KR 20230106304 A KR20230106304 A KR 20230106304A KR 1020220002043 A KR1020220002043 A KR 1020220002043A KR 20220002043 A KR20220002043 A KR 20220002043A KR 20230106304 A KR20230106304 A KR 20230106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ing connector
circuit
fastening
star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
이명석
노성한
권나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304A/ko
Publication of KR2023010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8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according to amplitu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PD(Proximity Detection) 회로의 단선/단락을 진단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는, 전력 공급장비의 충전 커넥터가 차량의 충전 인렛에 체결됨에 따라 온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전력 공급장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와 분기되어 전송되는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인렛의 체결 상태 및 상기 충전 개시 신호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충전 인렛간 형성되는 전기 회로 라인의 단선 또는 단락 여부를 진단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connection circuit of charging connector}
본 발명은 충전 커넥터 진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와이어 및 커넥터 단선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진단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전기 자동차(EV)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충전하여 이를 동력원으로 차량이 구동된다. 차량은 외부 충전스탠드(EV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로부터 전기를 충전하며, 충전 방식은 크게 완속충전방식과 급속충전방식이 있다.
완속충전방식은 충전기의 AC(Alternating Current)를 DC(Direct Current)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OBC(On Board Charger)가 AC를 DC로 변환한다.
급속충전방식은 충전기의 DC를 전기차량 고전압 배터리로 직접 연결하여 충전한다. 각 국가별로 J1772, GB/T(중국), CHAdeMO(일본) 등 다양한 충전표준이 있으며, 각각 회로 및 충전 시퀀스가 상이하다.
모든 충전 표준은 EVSE의 충전 커넥터가 차량 충전구에 제대로 체결되었는지를 센싱하는 PD(Proximity Detection) 회로가 존재한다. 충전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EVSE의 충전 커넥터가 차량의 충전인렛에 정확히 체결되었는지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PD 회로는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PD 센싱은 EVSE와 통신하는 제어기인 VCMS(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가 수행하고 있다. EVSE의 충전 커넥터 체결 여부에 따라 EVSE 내부의 합성저항이 변하면서 PD 센싱부에 입력되는 전압이 달라지게 되고, 이를 VCMS의 마이컴이 인식해서 커넥터 체결 여부를 판단한다.
실제 마이컴에 입력되는 전압은 PD 센싱부의 회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J1772의 경우, 사용자가 EVSE 커넥터를 탈거할 때 누르는 스위치가 있다.
사용자가 EVSE 커넥터를 탈거하기 위해 스위치를 누른 상태까지 인식할 수 있다. 차량 충전인렛 내부의 2.7k 저항은 충전 인렛과 VCMS 사이의 단선진단을 위해 장착되어 있다.
한편, GB/T, CHAdeMO의 PD회로의 경우, J1772 표준과 다른점은 다음과 같다.
① 차량 충전구 내부 2.7k 저항 삭제
② S3 스위치 삭제
GB/T, CHAdeMO 표준의 PD회로는 저항 2개 및 전압 분압만을 이용해 커넥터 체결 여부를 판단한다.
J1772의 PD회로는 차량 충전인렛 내부의 저항으로 인해, EVSE 커넥터 체결 여부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 PD 라인의 단선까지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GB/T, CHAdeMO의 PD 회로는 단순히 EVSE 커넥터 체결 여부만을 감지할 뿐, 차량 내부 PD라인의 단선 상태를 진단 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VCMS 입장에서는 충전 커넥터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와 차량 와이어링 내부의 PD 라인이 단선된 상태를 구분 할 수 없다. PD 라인 단선이 발생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다.
(1) 충전 커넥터 내 PD라인 접촉 불량
(2) 충전 커넥터 내 PD 단자 휨
(3) 노후화로 인한 PD라인 와이어 절단
차량에서 위와 같이 PD라인 단선이 발생했을 때, 진단이 되지 않으면 고장여부를 알 수 없이 충전 커넥터 미체결 상태로 인식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충전 커넥터를 체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충전 커넥터 미체결 경고등이 발생하기에 혼란스러울 수 있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6-0020537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PD (Proximity Detection) 회로의 단선/단락을 진단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PD 회로의 단선/단락 문제 발생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구현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PD(Proximity Detection) 회로의 단선/단락을 진단할 수 있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는,
전력 공급장비의 충전 커넥터가 차량의 충전 인렛에 체결됨에 따라 온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전력 공급장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와 분기되어 전송되는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인렛의 체결 상태 및 상기 충전 개시 신호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충전 인렛간 형성되는 전기 회로 라인의 단선 또는 단락 여부를 진단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검출기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에 체결됨에 따라 생성되는 체결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센싱부; 및 상기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 인렛과 상기 제 2 센싱부 사이에 스위칭 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전기 회로 라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온이고 검출된 입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 1 전압 범위내이면 상기 전기 회로 라인의 단선으로 판단하고,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제 1 전압범위내이면 상기 충전 커넥터의 미체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락은 배터리 라인 단락 또는 그라운드 단락이고, 상기 충전 개시 신호의 온 또는 오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인식되며 상기 배터리 라인 단락은 상기 입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 2 전압 범위내에 속하며, 상기 그라운드 단락은 상기 입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 3 전압범위내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기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체결 검출 신호가 온이면, 상기 단락을 배터리 라인 단락 또는 그라운드 단락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기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체결 검출 신호가 오프이면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락 또는 상기 단선에 따른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전력 공급장비의 충전 커넥터가 차량의 충전 인렛에 체결됨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온되는 스위치 온 단계; 검출기가 상기 전력 공급장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와 분기되어 전송되는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기가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인렛의 체결 상태 및 상기 충전 개시 신호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충전 인렛간 형성되는 전기 회로 라인의 단선 또는 단락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검출 단계는, 제 1 센싱부가 상기 충전 인렛에 체결됨에 따라 생성되는 체결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 2 센싱부가 상기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진단 단계 이후, 상기 검출기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체결 검출 신호가 온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기가 상기 단락을 배터리 라인 단락 또는 그라운드 단락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충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체결 검출 신호가 오프이면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GB/T, CHAdeMO 표준 준수 하에 추가적인 회로 및 원가상승 없이 PD회로의 단선진단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PD(Proximity Detection) 회로의 단선 문제 발생시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조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와이어 및 커넥터 단선문제는 차량이 노후화되면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로서, PD회로 단선 진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비시 유지 관리 시간(M/H: Maintenance Hour)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로도에서 전기 회로 라인이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의 진단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단 시스템(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진단 시스템(100)은, 전력 공급 장비(101) 및 전력 공급 장비(101)와 연결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를 진단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110)로 구성된다.
전력 공급 장비(101)는 배전 계통에 연계되어, 충전 커넥터 및 인렛 등의 충전 인터페이스 부품을 통해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력 공급 장비로는 일반적으로 전기차량 충전스탠드가 될 수 있다.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110)는, 배터리(111), 전원 스위치(112), 충전 관련 제어기(114), 검출기(115), 클러스터(1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11)는 12V 배터리로서 전장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 스위치(112)는 충전 관련 제어를 수행하는 충전 관련 제어기(114)를 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차량 오프상태에서 충전을 시작하면, 충전 전원 전력 공급 장비(101)로부터 충전 개시 신호(A+)가 전송된다. 이때, 전원 스위치(112)는 온(ON)되어 배터리(111)로부터 충전 관련 제어기(114)로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 관련 제어기(114)가 온된다.
전원 스위치(112)는 파워 릴레이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FET(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ET),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 파워 정류 다이오드 등과 같은 반도체 스위칭 소자, 사이리스터, GTO(Gate Turn-Off) 사이리스터, TRIAC(Triode for alternating current),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I.C(Integrated Circuit) 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소자의 경우 바이폴라, 전력 MOSFET(Metal Oxide Silicon 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MOSFET 소자는 고전압 고전류 동작으로 일반 MOSFET와 달리 DMOS(Double-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구조를 갖는다.
충전 관련 제어기(114)는 충전 관련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OBC(On Board Charger),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등이 될 수 있다.
검출기(115)는 충전 커넥터(미도시)가 차량의 인렛(미도시)에 체결되었을 때, 체결 검출 신호(PD: Proximity Detection), 충전 개시 신호(A+)를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결 검출 신호(PD)는 전력 공급 장비(101)의 충전 커넥터가 차량의 충전 인렛(즉, 충전구)에 제대로 체결되었는지를 센싱하기 위한 신호이다. 일반적으로 충전 커넥터가 차량의 인렛에 제대로 체결되었는지를 센싱하는 PD(Proximity Detection) 회로가 존재한다. 충전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전력 공급 장비(101)의 충전 커넥터(미도시)가 차량의 충전 인렛(미도시)에 정확히 체결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이를 검출하기 위해 전력 공급 장비(101)와 검출기(115) 사이에는 PD 라인이 형성된다. 충전 커넥터 미체결일 경우, 이 PD 라인(즉, 전기 회로 라인)은 단선된다.
검출기(115)는 체결 검출 신호(PD: Proximity Detection), 충전 개시 신호(A+)를 이용하여 충전 커넥터와 상기 인렛간 형성되는 전기 회로 라인의 단선 또는 단락 여부를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검출기(115)는 단선 또는 단락이 발생하면 알람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클러스터(116)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검출기(115)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콤, 통신 회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SRAM(Static RAM), FRAM (Ferro-electric RAM), PRAM (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DR-SDRAM(Double Data Rate-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클러스터(116)는 검출기(115)에서 발생한 알람 정보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러스터(116)는 디스플레이, 사운드 시스템, 경고등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OLED(Organic LED)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HUD(Head Up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도 1에서 실선 화살표는 신호선이고, 점선 화살표는 배터리(111)로부터 검출기(115) 및 충전 관련 제어기(114)로 유입되는 전원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115)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출기(115)는 전원 공급 장치(101)와 차량의 인렛간 전기 회로 라인의 단선 또는 단락을 검출하는 제 1 센싱부(210), 전원 공급 장비로부터 전원 스위치(112)와 분기되어 전송되는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센싱부(220)로 구성된다.
제 2 센싱부(220)의 앞단에는 전기 유입의 차단을 위한 스위칭 소자(201)가 배치된다. 부연하면, 인렛과 제 2 센싱부(220)사이에 스위칭 소자(201)가 배치된다. 스위칭 소자(201)는 포토 커플러가 될 수 있다. 즉, 발광 다이오드와 이 발광 다이오드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전력 공급 장비(101)에도 스위칭 소자(211)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력 공급 장비(101)에서 차량쪽으로 흐르는 전력을 차단 또는 도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GB/T, CHAdeMO 표준에서는 충전 관련 제어기들을 ON시키기 위해 A+ 신호(CHAdeMO 표준에서는 "CSS1"이라 지칭하며, 기능은 A+와 동일함)를 이용하며, A+ 신호는 전력 공급 장비(101)에서 차량의 전원 스위치(112)로 송신된다. 충전 관련 제어기(114)는 차량내의 전원 스위치(112)에 의해 전원이 ON/OFF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로도에서 전기 회로 라인(즉 센싱 회로)이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임의의 저항값(1kΩ,24kΩ,10kΩ)과 Vcc값(약 12V)을 선정한 PD 회로의 예시이다. 즉, 전력 공급 장비(101)측에 저항(1kΩ)이 형성되고, 검출기(115)측에 3개의 저항(1kΩ,24kΩ,10kΩ)이 직/병렬로 구성된다.
도 3의 경우, 전기 회로 라인이 오픈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 검출기(115)측에 배치되는 3개의 저항(1kΩ,24kΩ,10kΩ)은 모두 직렬 연결된 것으로 기능한다. 즉, 충전 커넥터 미체결 혹은 차량 내 전기 회로 라인 단선으로 인해 전력 공급 장비(101)와 검출기(115)사이에 형성되는 전기 회로 라인이 Open된 상황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충전 개시 신호(A+)가 ON되어 있으면 차량 내 전기 회로 라인 단선으로 판단하고, A+가 OFF되어 있으면 충전 커넥터 미체결로 판단한다. 한편, 12V/GND 단락진단은 A+의 ON, OFF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인식 가능하다. 12V 단락은 배터리 라인의 단락을 의미한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물론, 도 3에 도시된 저항(1kΩ,24kΩ,10kΩ)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위 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A+ 신호와 PD 신호를 연동하여 추가적인 회로 없이 회로 단선의 진단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의 진단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운전자가 시동을 끄고, 전력 공급장비(101)의 충전 커넥터를 차량의 충전인렛에 연결하면, 전력 공급장비(101)에서 A+ 신호를 차량으로 송신한다(단계 S410).
이에 따라, 차량의 전원 스위치(112)가 ON되고 충전 관련 제어기(114)가 ON된다(단계 S420).
이후, 검출기(115)가 A+ 센싱을 수행하고, A+가 ON인 경우에 다음단계로 넘어간다. 이와 달리, A+가 오프(OFF)인 경우, A+ 진단이 수행된다(단계 S431).
A+가 온이면, 검출기(115)가 PD 신호의 센싱을 수행하고 정상인 경우 다음단계로 넘어간다(단계 S440).
단계 S440에서, 정상이 아닌 경우는 다음과 같으며, 차량 내 클러스터(116)의 경고등을 점등한다(단계 S441).
① 12V 단락 진단 : PD 라인과 차량 내 보조 배터리의 12V 라인이 단락(Short)된 경우.
② PD 라인 단선 진단 : 와이어 절단 및 PD 단자 문제로 인해 PD 라인이 Open된 경우
③ GND 단락 진단 : PD라인과 차량 내 그라운드(GND)가 Short된 경우
단계 S440에서, 정상인 경우, 충전이 시작된다(S450).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충전이 끝나고 운전자가 충전 커넥터를 탈거하면, A+가 OFF된다(단락 S460).
검출기(115)가 A+센싱을 수행하고, 정상인 경우에 다음단계로 넘어간다(단계 S470).
이와달리, 단계 S470에서, 비정상인 경우, A+진단이 수행된다(단계 S471).
단계 S470에서 정상인 경우, PD 센싱을 수행하고 정상인 경우 전원 스위치를 OFF한다(단계 S490).
이와 달리, PD 센싱이 비정상(ON)인 경우, 12V 단락 진단 및 GND 단락 진단이 수행된다(단계 S481).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세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과 같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진단 시스템
101: 전력 공급 장비
110: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111: 배터리
112: 전원 스위치
114: 충전 제어기
115: 검출기
116: 클러스터
210: 제 1 센싱부
220: 제 2 센싱부

Claims (12)

  1. 전력 공급장비의 충전 커넥터가 차량의 충전 인렛에 체결됨에 따라 온되는 전원 스위치; 및
    상기 전력 공급장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와 분기되어 전송되는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인렛의 체결 상태 및 상기 충전 개시 신호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충전 인렛간 형성되는 전기 회로 라인의 단선 또는 단락 여부를 진단하는 검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에 체결됨에 따라 생성되는 체결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센싱부; 및
    상기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인렛과 상기 제 2 센싱부 사이에 스위칭 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전기 회로 라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온이고 검출된 입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 1 전압 범위내이면 상기 전기 회로 라인의 단선으로 판단하고,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제 1 전압범위내이면 상기 충전 커넥터의 미체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은 배터리 라인 단락 또는 그라운드 단락이고, 상기 충전 개시 신호의 온 또는 오프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인식되며 상기 배터리 라인 단락은 상기 입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 2 전압 범위내에 속하며, 상기 그라운드 단락은 상기 입력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 3 전압범위내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체결 검출 신호가 온이면, 상기 단락을 배터리 라인 단락 또는 그라운드 단락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충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체결 검출 신호가 오프이면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또는 상기 단선에 따른 알람 정보를 출력하는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9. 전력 공급장비의 충전 커넥터가 차량의 충전 인렛에 체결됨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온되는 스위치 온 단계;
    검출기가 상기 전력 공급장비로부터 상기 전원 스위치와 분기되어 전송되는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검출기가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인렛의 체결 상태 및 상기 충전 개시 신호를 연동하여 상기 충전 커넥터와 상기 충전 인렛간 형성되는 전기 회로 라인의 단선 또는 단락 여부를 진단하는 진단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제 1 센싱부가 상기 충전 인렛에 체결됨에 따라 생성되는 체결 검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 2 센싱부가 상기 충전 개시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단계 이후,
    상기 검출기는 충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체결 검출 신호가 온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기가 상기 단락을 배터리 라인 단락 또는 그라운드 단락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충전이 완료된 이후, 상기 충전 커넥터가 상기 충전 인렛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개시 신호가 오프이고 상기 체결 검출 신호가 오프이면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방법.
KR1020220002043A 2022-01-06 2022-01-06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30106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043A KR20230106304A (ko) 2022-01-06 2022-01-06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043A KR20230106304A (ko) 2022-01-06 2022-01-06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304A true KR20230106304A (ko) 2023-07-13

Family

ID=8716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043A KR20230106304A (ko) 2022-01-06 2022-01-06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630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537A (ko) 2013-06-28 2016-02-23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 상호-충전 시스템 및 충전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537A (ko) 2013-06-28 2016-02-23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차량 상호-충전 시스템 및 충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1757B (zh) 备份电源
US9171407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fuse disconnection of DC-DC converter
US20130116875A1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50097526A1 (en) Control Pilot Latch-Out Mechanism to Reduce Off-Board Energy Consumption
CN103969597B (zh) 用于检测逆变器模块中退饱和故障的方法和装置
US10913408B2 (en) System for determining state of power relay assembly
US20070139016A1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s
CN108123509B (zh) 一种充电控制方法及其相关装置
US99770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usion of relay of a battery when engaging or disengaging the ignition of vehicle
US2017011537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agnosing current sensor of eco-friendly vehicle
US20180043779A1 (en) Vehicle
CN105564248A (zh) 检测环境友好型车辆中连接器的互锁故障的方法
US97250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driving for fuel cell vehicle
CN103728533A (zh) 一种大功率非接触充电系统主电路故障检测装置
KR20140051812A (ko) 전기 자동차를 위한 구동 회로 및 진단방법
CN203611892U (zh) 整车控制器的断电延时控制系统
JP2016161478A (ja) コンタクタの故障判定装置
BR112015026211B1 (pt) Método e disposição para detecção de erro durante carregamento de um sistema de armazenamento de energia
CN102725935B (zh) 用于在双电压车载电网中识别直流电压变换器的低压侧上的反极性的装置和方法
KR101893246B1 (ko) 제어라인 진단 장치
CN113167833B (zh) 基于差分采样的继电器检测电路和检测装置
KR20230106304A (ko) 충전 커넥터 체결 회로 진단 장치 및 방법
CN204696641U (zh) 一种用于保护高压电池用电系统的设备和具有该设备的车辆
CN105703414A (zh) 服务机器人电源控制装置
US10106037B2 (en) Battery contro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