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734A -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734A
KR20230105734A KR1020220000820A KR20220000820A KR20230105734A KR 20230105734 A KR20230105734 A KR 20230105734A KR 1020220000820 A KR1020220000820 A KR 1020220000820A KR 20220000820 A KR20220000820 A KR 20220000820A KR 20230105734 A KR20230105734 A KR 20230105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unit
sail
operated
yac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윤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to KR1020220000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734A/ko
Priority to PCT/KR2022/009860 priority patent/WO2023132420A1/ko
Priority to EP22192228.9A priority patent/EP4215435A3/en
Publication of KR2023010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39/061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by using trimflaps, i.e. flaps mounted on the rear of a boat, e.g. speed b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6Types of sail; Constructional features of sail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9/067Sai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r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9/00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 B63H9/04Marine propulsion provided directly by wind power using sails or like wind-catching surfaces
    • B63H9/08Connections of sails to masts, spa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esiliently or having means for actively varying hull shape or configuration
    • B63B2001/14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esiliently or having means for actively varying hull shape or configuration having means for actively varying hull shape o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1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 B63B1/1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 B63B1/2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 B63B2001/2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 B63B2001/20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2001/207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 B63B2001/20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additional lift from hydrodynamic forces of hydroplane type having more than one planing surface arranged on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comprising three hulls, e.g. trimar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63B2015/0016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 B63B2015/005Masts characterized by mast configuration or construction with means for varying mast position or orientation with respect to the hu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9Wind propelled vessels comprising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ther than wind propulsion arrangements, installations, or devices, such as sails, running rigging, or the like, and other than sailboards or the like or related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63H2021/171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making use of photovoltaic energy conversion, e.g. using solar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세일요트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모듈을 포함하는 발전부; 발전부의 하단에 위치되고,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 신축되는 날개부; 및 날개부의 하단에서 수면으로부터 부유되도록 하는 부력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SAIL YACHT OPERATING BY SOLAR POWER}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에 관한 것이다.
요트는 강이나 호수, 바다에서 유람을 하거나 스포츠를 위해 사용하는 배로서,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운항하는 세일링 요트(sailing yacht)와 기계의 힘으로 운항하는 모터 요트(motor yacht)로 대별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세일링 보트는 마스트에 설치되는 메인 세일(main sail)에 작용하는 바람의 풍압과 양력을 이용하여 운항하게 된다. 세일링 요트의 경우 운항의 가능 여부는 전적으로 바람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만일 바람이 없거나 운항에 필요할 정도의 충분한 바람이 없으면 운항 자체가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쏠라셀 패널부를 장착하여 쏠라셀 발전으로 인 한 자가 운행이 가능한 요트에 대한 아이디어가 지속적으로 제안되고 있으며, 종래에는 메인 세일을 쏠라셀 패널부로 구성한 요트가 제안되었다. 바람의 의한 양력을 이용함과 동시에, 쏠라셀 패널부의 좌우 양측 각 각에 소프트 세일이 롤부재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쏠라셀 패널부 및 소프트 세일을 동시에 이 용하거나 또는 쏠라셀 패널부만을 단독으로 이용하여 바람에 의한 운항이 가능함은 물론 쏠라셀 패널부에 의한 자가 발전이 가능하다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런데, 바람에 의해 요트가 운항하기 위해서는 쏠라셀 패널부가 어느 정도의 면적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이 기술 역시 마스트에 일정 면적을 가지는 쏠라셀 패널부를 설치한 상태에서 마스트 구동부로서 쏠라셀 패널부의 방향이 다양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작동시키고 있는데, 이처럼 대면적의 쏠라셀 패널부를 요트의 마스트에 장착하여 쏠라셀 패널부를 일정 각도 굴절시키거나 회전시키게 되면 요트의 무게 중심이 급격하게 변경되면서 요트 자 체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는 점에서 이를 실제의 요트에 접목시켜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태양광 패널부의 지속적인 노출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태양광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웠으며, 세일의 회수 및 펼침이 보다 까다로운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항해 중 해저지형 등과의 충돌에 의해 요트가 손상되었을 때 침몰될 수 있는 위험은 항상 존재하여 이를 대비한 대책이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4449호 (2018. 01.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속적인 태양광 발전을 통한 요트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태양광 발전을 통해 축적된 에너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구성을 연동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태양광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날개부를 연장하여 패널부의 추가배치가 가능한 영역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요트의 항해 안정성을 위해 날개부에 서스펜션을 배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에 서로 구획된 복수의 공기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충돌 및 손상에도 침몰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세일요트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모듈을 포함하는 발전부; 발전부의 하단에 위치되고,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 신축되는 날개부; 및 날개부의 하단에서 수면으로부터 부유되도록 하는 부력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가 제공된다.
그리고, 발전부는, 제1와이어에 의해 견인되어 상방으로 회동되며 기립가능한 제1프레임 및 제2와이어에 의해 견인되어 측방으로 각각 회동되며 전개되는 한 쌍의 제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전부는, 제1프레임과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제1세일 및 제2프레임에 권취되고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제2세일을 포함하고, 제2세일은 제2프레임으로부터 역권취되며 전개시, 제1프레임을 따라 상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또한, 발전부는 발전모듈을 포함하고, 발전모듈은, 태양을 대향하는 패널부, 패널부와 연동되는 연동와이어, 연동와이어를 견인하여 패널부가 태양을 대향하도록 조향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널부는 평면상에서 X 및 Y방향을 축으로 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향되고, 연동와이어는 X축을 기준으로 조향되도록 패널부를 견인하는 제1연동와이어 및 Y축을 기준으로 조향되로고 패널부를 견인하는 제2연동와이어를 포함하고, 모터는 제1연동와이어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 및 제2연동와이어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동와이어는 패널부와 연결되되, 연결 경로에 탄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발전부는 패널부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냉각부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는 빗물이고, 냉각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냉각부는 저장부와 냉각수를 공급하는 연결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은, 제2와이어를 양단에서 탄성적으로 견인하는 한 쌍의 탄성부; 제2와이어의 연장경로 상에서 연장경로를 전환시키는 롤러; 및 제2와이어의 연장경로 상에서 제2와이어를 권취한 상태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며 회동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는 발전부 및 부력부 사이에 개재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양측방으로 신축되는 한 쌍의 윙부; 및 윙부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부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는, 제1동력부; 제1동력부에 의해 회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윙 웜기어가 복수개 마련되는 제1회전축; 윙 웜기어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연장구간 내에 위치되어 외경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윙 웜휠회전축;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내경에 마련되어 수나사의 회전방향에 따라 인출 및 인입되는 인출관; 및 인출관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내주연이 마련되고, 인출관이 비회전되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베이스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윙부는, 구동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완충을 수행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고, 구동부는, 제2동력부에 의해 회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승강 웜기어가 복수개 마련되는 제2회전축; 승강 웜기어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연장구간 내에 위치되어 외경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윙 웜휠회전축; 및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경에 마련되어 나사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인출 및 인입되는 연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은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윙부는 신축에 의해 인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체어를 더 포함하고, 체어는 보조패널부를 수용하는 패널부수용박스를 더 포함하고, 보조패널부는 복수 개가 접철되어 패널부수용박스 내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인출되어 인출에 의해 확장된 공간 상에 전개될 수 있다.
또한, 부유부는, 내부에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력부는 복수 개의 부유체를 포함하고, 부유체는 내부에 서로 구획되어 수밀 및 기밀이 유지되는 복수 개의 에어스페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력부는, 서로 구획되는 에어스페이스가 연속적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부력부는 사출제작되고, 부유체 간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력부는 부유체의 외주연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는 보강쉘을 포함하고, 보강쉘은 고정부에 의해 보강쉘 및 보강재를 순차적으로 관통됨으로써 부유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력부는, 보강쉘의 저면에 결합되고, 부유체의 결합방향을 따라 선수로부터 선미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부보강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속적인 태양광 발전을 통한 요트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축적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축적된 에너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구성을 연동적으로 구동시키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날개부를 연장하여 패널부의 추가배치가 가능한 영역을 마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트의 항해 안정성을 위해 날개부에 서스펜션을 배치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에 서로 구획된 복수의 공기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충돌 및 손상에도 침몰을 방지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통해 제1세일 및 제2세일이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미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미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풍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일이 전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는 제2세일이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제2세일이 전개되도록 견인하는 슬라이드볼이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부의 리프팅 전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발전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가 측방으로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가 미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베이스부, 윙부 및 부유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로부터 윙부가 인출 및 인입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a)는 웜기어를 통한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b)는 커버부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부의 인출 및 인입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4(a)는 인출방향으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b)는 인출관 및 윙 웜휠회전축 간의 연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부가 윙부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부 및 부유부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b)는 서스펜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력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의 에어스페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111) 및 제2프레임(112)을 통해 제1세일(111a) 및 제2세일(112a)이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111) 및 제2프레임(112)이 미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세일요트(1)(이하, 세일요트(1))에 관한 것이다. 세일요트(1)는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모듈(120)을 포함하는 발전부(10), 발전부(10)의 하단에 위치되고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 신축되는 날개부(20) 및 날개부(20)의 하단에서 수면(S)으로부터 부유되도록 하는 부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일요트(1)는 발전모듈(120)로부터 얻은 에너지를 통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기관을 포함할 수도 있고, 바람을 이용해 추진할 수 있도록 세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세일은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세일은 제1세일(111a)과 제2세일(112a)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세일(111a)은 제1프레임(111)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전개되는 세일이고, 제2세인은 제2프레임(112)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다가 선택적으로 제1프레임(111)을 따라 상방으로 전개되는 세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기관을 포함하는 경우 이를 보조하기 위해 보조동력기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날개부(20)에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실(130)을 중심으로 세일요트(1)의 양측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선실(130) 측으로 인접되도록 접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선택적인 것으로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발전부(10)는 태양광발전을 수행하기 위해 상면을 향하는 태양광 패널부가 다수 마련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의 경우 태양광을 대향하는 패널부의 온도가 기 결정된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 발전효율이 저하되므로, 상기 기 결정된 구간 내에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시키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부(1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제1프레임(111) 및 제2프레임(112)이 미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제1프레임(111) 및 제2프레임(112)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전부(10)는 제1와이어(111b)에 의해 견인되어 상방으로 회동되며 기립가능한 제1프레임(111) 및 제2와이어(112b)에 의해 견인되어 측방으로 각각 회동되며 전개되는 한 쌍의 제2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111)은 제1와이어(111b)에 의해 견인되어 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와이어(111b)에 의해 견인되어 기립되는 위치가 되면 제1와이어(111b)의 반대편으로부터 제1프레임(111)과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제1프레임(111)은 회동이 정지될 수 있다. 즉, 와이어는 제1프레임(111)이 기립되는 자세까지 허용되도록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111b)가 견인됨으로써 제1프레임(111)은 기립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와이어(111b)는 윈치(도 4의 115) 등의 구성에 의해 권취 또는 역권취되며 제1프레임(111)을 견인하거나 미견인하여 방치할 수 있다.
한편, 발전부(10)는 제1프레임(111)과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제1세일(111a) 및 제2프레임(112)에 권취되고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제2세일(112a)을 포함하고, 제2세일(112a)은 제2프레임(112)으로부터 역권취되며 전개시, 기립한 제1프레임(111)을 따라 상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는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권취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111) 및 제2프레임(112)이 풍향(W)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개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세일(111a) 및 제2세일(112a)은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을 추진력으로 이용하기 위해 바람이 부는 경우 제2세일(112a)을 전개하여 바람이 부는 방향과 각도이격이 되도록 조절하여 전진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풍향(W)과 같은 방향인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부는 순풍에는 추진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1세일(111a)을 전개시켜 바람을 맞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세일(111a)의 경우에 전개 또는 미전개만이 가능하고 방향의 전환은 이루어지지 않으나 제2세일(112a)의 경우에는 방향의 전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방향의 전환은 제2프레임(112)의 회동에 의한 것이며 제2프레임(112)의 회동은 회동중심에 인접한 조향모터(112f)의 구동방향(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112)이 회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프레임(112)은 제2와이어(112b)를 양단에서 탄성적으로 견인하는 한 쌍의 탄성부(112e), 제2와이어(112b)의 연장경로 상에서 연장경로를 전환시키는 롤러, 및 제2와이어(112b)의 연장경로 상에서 제2와이어(112b)를 권취한 상태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며 회동방향(R)을 결정하는 조향모터(112f)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와이어(112b)의 일단은 탄성부(112e)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112e)는 스프링일 수 있고, 실린더일 수 있다. 제2와이어(112b)에 장력이 강하게 작용할수록 탄성의 개입이 커지도록 설계된 것이라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제2와이어(112b)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프레임(112)의 바디(231)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디(231)에 결합된 프레임롤러(112c)를 경유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롤러(112c)를 경유하며 연장방향은 전환되어 제2프레임(112)의 회동범위의 일단부 측에 위치한 인장롤러(112d)를 향할 수 있다. 인장롤러(112d)를 제2와이어(112b)가 경유하며 제2와이어(112b)는 제2프레임(112)의 회동중심축(112g)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동중심축(112g) 측에 연장된 제2와이어(112b)는 조향모터(112f)에 적어도 한바퀴 이상 권취되어 상기 회동범위의 타단부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단부 측에서 인장롤러(112d)를 경유하여 제2프레임(112)의 바디(231)에 결합된 프레임롤러(112c)를 지나 제2와이어(112b)의 타단은 탄성부(112e)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프레임(112)은 조향모터(112f)에 의해 보다 적게 제2와이어(112b)의 구간이 할당되는 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회동궤적에 의해 제2와이어(112b)가 보다 많은 할당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탄성부(112e)로부터 탄성이 개입되며 제2와이어(112b)를 지지하게 된다. 본 예시는 탄성부(112e) 및 인장롤러(112d)는 선실(130) 측에 접하여 위치되어 와이어의 연장경로는 평면측에서 삼각형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세일(112a)이 전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는 제2세일(112a)이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제2세일(112a)이 전개되도록 견인하는 슬라이드볼(111e)이 가이드(111d)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2세일(112a)은 고리(111c, 111i, 112h, 112i)를 통해 제1프레임(111) 및 제2프레임(1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세일(112a)은 제1프레임(111) 측에 권취되어 보관되다가 제2세일(112a)의 전개가 요구되는 경우 제1프레임(111)을 따라 상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제2프레임(112)에 권취 시에는 권취모터(112m)에 회전되는 축에 권취되고, 제1프레임(111)을 따라 상방으로 전개 시에는 승강윈치(111g)에 의해 상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이때 권취모터(112m)와 승강윈치(111g)는 서로 교번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각각 권취 또는 전개를 수행할 수 있다. 교번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클러치(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윈치(111g)는 도 6(b)와 같이, 윈치(115)와 같이 견인와이어(111h)를 권취 또는 역권취하여 제2세일(112a)을 상방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제1프레임(111)이 기립시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성인 가이드(111d)는 일방이 절개된 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11d)는 내부에 견인와이어(111h)로 연결된 복수 개의 슬라이드볼(111e)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련되고, 각각의 슬라이드볼(111e)은 전술한 고리(112h, 112i)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111d)의 절개된 영역을 통해 슬라이드볼(111e)에 결합된 고리(112h, 112i)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고리(111c, 111i, 112h, 112i)를 통해 제2세일(112a)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견인와이어(111h)는 도르래(111f)를 경유하여 승강윈치(111g)에 의해 견인될 수 있다. 즉, 승강윈치(111g)에 의해 견인와이어(111h)가 견인되어 슬라이드볼(111e)이 가이드(111d)에 안내되며 상승하면 고리(111c, 111i, 112h, 112i)를 통해 연결된 제2세일(112a)이 전개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부(140)의 리프팅 전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리프팅부(140)는 소형보트 등을 리프팅하는 수단으로, 요트의 후미에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되며, 리프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체인, 기어 등의 구성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구성을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모듈(12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모듈(1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발전부(10)는 발전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모듈(120)은 태양을 대향하는 패널부(120c), 패널부(120c)와 연동되는 연동와이어, 연동와이어를 견인하여 패널부(120c)가 태양을 대향하도록 조향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부(120c)는 평면상에서 X 및 Y방향을 축으로 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향되고, 연동와이어는 X축을 기준으로 조향되도록 패널부를 견인하는 제1연동와이어(124) 및 Y축을 기준으로 조향되도록 패널부를 견인하는 제2연동와이어(129)를 포함하고, 모터는 제1연동와이어(124)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121) 및 제2연동와이어(129)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121)는 제1연동축(123)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제1연동축(123) 상에 복수개 마련된 피니언은 제1가이드(122)와 고정된 래크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래크기어는 X방향으로 전후진을 할 수 있게 된다. 래크기어의 전후진은 래크기어와 고정된 제1가이드(122)를 전후진시키고, 제1가이드(122)와 브라켓으로 결합된 제1연동와이어(124)를 전후진방향으로 긴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후진방향으로의 긴장은 패널부(120c)를 조향할 수 있다. 즉, 모터부의 구동을 통해 X방향으로 패널부(120c)를 조향가능함으로써 태양을 대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간의 지남에도 고효율의 입사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고효율의 입사각은 X방향뿐만 아니라 Y방향으로도 조향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126)는 제2연동축(128)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제2연동축(128) 상에 복수개 마련된 피니언은 제2가이드(127)와 고정된 래크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래크기어는 Y방향으로 전후진을 할 수 있게 된다. 래크기어의 전후진은 래크기어와 고정된 제2가이드(127)를 전후진시키고, 제2가이드(127)와 브라켓으로 결합된 제2연동와이어(129)를 전후진방향으로 긴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후진방향으로의 긴장은 패널부(120c)를 조향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연동와이어(124) 및 제2연동와이어(129)는 패널부(120c)와 연결되되, 연결 경로에 완충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경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동와이어(124) 및 제2연동와이어(129)의 단부에 마련되어 패널부(120c)와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완충재는 패널부(120c)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지속적으로 조향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발전모듈(12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120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발전부(10)는 패널부(120c)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냉각부(120a) 및 냉각부(120a)의 이동방향(M)을 안내하는 레일부(1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는 빗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할 수 있으나, 지속적인 태양빛에 노출되는 패널부는 염분이 잔류하여 표면이 오염되고 태양광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빗물 등의 담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가 빗물일 경우 빗물의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선실(130)의 일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저장부와 냉각수를 공급하는 연결라인 및 펌프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각부(120a)는 세일요트(1)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패널부(120c) 상으로 이동되며 냉각수를 분사하기 위해 냉각부(120a)와 비접촉되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패널부(120c)가 배열된 방향으로 레일부(120b)가 마련되고, 레일부(120b)를 따라 냉각부(120a)의 양단이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동은 기어 또는 차륜의 결합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구성이 냉각부(120a)를 이동시키기 위해 대체적용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20)가 측방으로 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20)가 미전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날개부(20)는 발전부(10) 및 부력부(30) 사이에 개재되는 베이스부(210), 베이스부(210)를 중심으로 양측방으로 신축되는 한 쌍의 윙부(220) 및 윙부(220)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부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윙부(220)는 신축에 의해 인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체어(220a)를 더 포함하고, 체어(220a)는 보조패널부(120c)를 수용하는 패널부수용박스를 더 포함하고, 보조패널부(120c)는 복수 개가 접철되어 패널부수용박스 내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인출되어 인출에 의해 확장된 공간 상에 전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부수용박스에는 복수의 보조패널부(120c)가 접철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접철은 토션스프링(226a)을 통해 이루어져 펼쳐지는 방향으로 모멘크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윙부(220)가 베이스부(210)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확장된 공간에 펼쳐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부수용박스 내부로 보조패널부(120c)를 회수하기 위해 윈치(115) 등의 구성으로 복수개의 보조패널부와 연결되며 연장된 와이엉를 견인하여 보조패널부(120c)를 회수할 수 있다. 물론 회수 시에는 토션스프링(226a)의 모멘트가 발생하는 반대방향으로 접철되어 회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의 긴장을 완화하면 모멘트가 발생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보조패널부(120c)는 펼쳐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20)의 베이스부(210), 윙부(220) 및 부유부(23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10)는 제1동력부(212), 제1동력부(212)에 의해 회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윙 웜기어(214)가 복수개 마련되는 제1회전축(213), 윙 웜기어(214)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연장구간 내에 위치되어 외경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수나사부(216c)를 포함하는 윙 웜휠회전축(216b) 수나사부(216c)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내경에 마련되어 수나사의 회전방향에 따라 인출 및 인입되는 인출관(215) 및 인출관(215)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내주연이 마련되고 인출관(215)이 비회전되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111d)하는 베이스관(217a, 21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관(217a, 217b)은 윙부(220)와 연결되어 윙부(220)가 베이스부(210)를 기준으로 측방으로의 이동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베이스관(217a, 217b)의 내부에는 윙부(220)를 측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측방으로 이동된 윙부(220)를 내측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키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이를 이하의 도 13 및 도 1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10)로부터 윙부(220)가 인출 및 인입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a)는 웜기어를 통한 동력전달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b)는 커버부(211)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관(217a, 217b) 내부에는 인출관(215)이 위치되고, 한 쌍의 인출관(215)이 베이스관(217a, 217b)을 에 삽입되어 베이스관(217a, 217b)의 내경의 안내에 따라 각각 양측으로 인출 및 인입되며 이동할 수 있다. 이동되는 과정에서 인출관(215)의 인출방향 단부 측과 연결된 윙부(220)가 인출관(215)이 인출 또는 인입된 만큼 베이스부(210)로부터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인출관(215)이 이동되는 동력은 제1동력부(212)에 의해 발생된다. 제1동력부(212)가 모터인 경우에 모터는 회전되는 제1회전축(213)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제1회전축(213) 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윙 웜기어(214)가 회전될 수 있다. 윙 웜기어(214)는 웜 휠기어와 연동되어 구동되며 인출관(215)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부(220)의 인출 및 인입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4(a)는 인출방향으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b)는 인출관(215) 및 윙 웜휠회전축(216b) 간의 연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윙 웜기어(214)는 윙 웜휠기어(216a)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윙 웜휠기어(216a)의 원심을 중심으로 하여 연장된 윙 웜휠회전축(216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윙 웜휠회전축(216b)은 연장단부에 수나사부(216c)가 마련되어 회전에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암나사가 인출관(215)의 내경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인출관(215)의 외경은 베이스 관의 내경과 슬라이드되도록 면접촉이 될 수 있다.
즉, 윙 웜휠회전축(216b)이 회전됨에 따라 수나사와 암나사 간의 연결은 인출간의 연동을 이루도록 하여 인출관(215)이 인출 또는 인입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인출관(215)이 회전되지는 않고, 인출 및 인입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베이스관(217a, 217b)의 내경에는 인출관(215)의 외경과 결합되는 키-홈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홈이 인출 및 인입의 최대구간만큼 절개된 상태로 형성되고, 키가 홈에 대응되어 회전방향으로는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연장됨으로써 인출관(215)의 인출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부(220)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윙부(220)는 구동부를 수용하는 하우징(221a) 및 하우징(221a)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완충을 수행하는 서스펜션(2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제2동력부(221)에 의해 회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승강 웜기어(223)가 복수개 마련되는 제2회전축(222), 승강 웜기어(223)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연장구간 내에 위치되어 외경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부(224b)를 포함하는 승강 웜휠회전축(224a) 및 나사부(224b)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경에 마련되어 나사부(224b)의 회전방향에 따라 인출 및 인입되는 연동축(22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해상에서의 상하방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서스펜션(226)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부유부(230)가 해수면(S)의 변동에 의해 상방으로 발생하는 충격을 서스펜션(226)이 흡수하여 윙부(220)전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윙부(220) 및 부유부(230)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b)는 서스펜션(226)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서스펜션(226)은 토션스프링(226a)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부유부(230)의 높낮이는 조절이 가능하며, 이는 전술한 구동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부(230)가 윙부(220)로부터 하방으로 이동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구동부는 제2동력부(221)를 포함하고, 제2동력부(221)는 제2회전축(2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축(222)에는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된 승강 웜기어(223)가 형성되고 승강 웜기어(223)는 승강 웜휠기어(224)와 연동될 수 있다. 승강 웜휠기어(224)는 승강 웜휠회전축(224a)이 회전중심으로부터 연장되고, 승강 웜휠회전축(224a)의 연장단부에는 나사부(224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224b)는 연동축(225)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와 연동되어 연동축(225)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윙부(220)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연동축(225)이 동시에 승강되며 부유부(230)의 높낮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부(230)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부유부(230)는 내부에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중공부(231a)가 형성되고,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유부(230)는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었으나, 내부의 공간은 구획되어 복수개의 중공부(231a)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중공부(231a)는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일부의 중공부(231a)에만 물이 차오르면서 나머지 중공부(231a)에 의해 부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장부(232)가 하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연장부(232) 간에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는 파도 등의 해상조건에 따른 상하방향으로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부유부(230)가 수면(S)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232)가 없는 경우에는 부유부(230)의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해수면(S)에 대한 저항을 상실할 수 있어 해상에서 발생하는 상하방향의 변동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부유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물론, 가라앉는 경우에도 다시 떠오르지만 가라앉고 떠오르는 것을 반복하면서 세일요트(1)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32)를 복수개 형성하여 수면(S)과의 접촉면이 곡면이 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수면(S) 아래로 가라앉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일요트(1)가 불안한 해상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부유될 수 있도록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3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부력부(30)는 복수 개의 부유체(310)를 포함하고, 부유체(310)는 내부에 서로 구획되어 수밀 및 기밀이 유지되는 복수 개의 에어스페이스(3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부력부(30)는 편의상 선미 및 선수 부분을 생략한 것이며 선미 및 선수도 동일한 기술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부(30)는 복수개의 부유체(310)를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접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유체(310)는 각각 내부에 에어스페이스(310a)를 포함하고 있어 접합된 부유체(310) 간에 기밀 밀 수밀이 유지될 수 있다. 부유체(310)는 사출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수지재, 플라스틱 등의 가볍고 비교적 제조가 쉬운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금속재를 제외한 것을 의미하나,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재라면 부유체(310)의 소재가 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310)의 에어스페이스(310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부유체(310)에는 서로 구획되는 에어스페이스(310a)가 연속적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외력으로부터 부유체(310)가 손상되는 경우 구획된 에어스페이스(310a)에 의해 해수 등의 물이 유입되는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에어스페이스(310a)를 구획하여 분리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에 둘러싸는 링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체(310)는 사출제작되고, 부유체(310) 간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보강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재(314)는 금속재의 관일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314)는 부유체(310) 간의 결합에 있어 용접(가접), 조립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력부(30)는 부유체(310)의 외주연에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는 보강쉘(320)을 포함하고, 보강쉘(320)은 고정부(320a)에 의해 보강쉘(320) 및 보강재(314)를 순차적으로 관통됨으로써 부유체(3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강쉘(320)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외력으로부터 부유체(31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 될 수 있다. 보강쉘(320)은 부유체(310)와 결합되기 위해 고정부(320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데 고정부(320a)는 패스너, 리벳 등의 구성 중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물론, 결합과정에서 관통된 결합부는 방수처리가 될 수 있다.
또한, 부력부(30)는 보강쉘(320)의 저면에 결합되고, 부유체(310)의 결합방향을 따라 선수로부터 선미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부보강물(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항해 중 해저지형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부유체(310)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구조로서 부력부(30)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저부보강물(330)의 경우에도 패스너와 리벳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고정부(320a)는 관통을 통해 보강재(314)에 결합되며 제3구획부(313)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다.
에어스페이스(310a)를 구획하는 구획부는 링형으로 배열된 에어스페이스(310a) 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부(311), 링형으로 배열된 에어스페이스(310a)의 최외측에 위치한 제2구획부(312) 및 링형으로 배열된 에어스페이스(310a)의 최내측에 위치한 제3구획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 20과 같이 이에 해당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구획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요트
10 : 발전부
111 : 제1프레임
111a : 제1세일
111b : 제1와이어
112 : 제2프레임
112a: 제2세일
112b : 제2와이어
115 : 윈치
120 : 발전모듈
120a : 냉각부
120b : 레일부
121 : 제1모터
122 : 제1가이드
123 : 제1연동축
125 : 교차부
126 : 제2모터
127 : 제2가이드
128 : 제2연동축
129 : 패널부
130 : 선실
140 : 리프팅부
20 : 날개부
210 : 베이스부
211 : 커버부
212 : 제1동력부
213 : 제1회전축
214 : 윙 웜기어
215 : 인출관
215 : 암나사부
216a : 윙 웜휠기어
216b : 윙 웜휠회전축
216c : 수나사부
217a, 217b : 베이스관
220 : 윙부
220a : 체어
221 : 제2동력부
221a : 하우징
221b : 커버
222 : 제2회전축
223 : 승강 웜기어
224 : 승강 웜휠기어
224a : 승강 웜휠회전축
224b : 나사부
225 : 연동축
225a : 연장안내부
226 : 서스펜션
226a : 토션스프링
230 : 부력부
230a : 헤드부
230b : 보조동력부
231 : 바디
231a : 중공부
232 : 연장부
232 : 저항부
30 : 부력부
310 : 부유체
310a : 에어스페이스
311 : 제1구획부
312 : 제2구획부
313 : 제3구획부
314 : 보강재
320 : 보강쉘
320a : 고정부
330 : 저부보강물
W : 풍향
R : 회동방향
P : 리프팅방향
M : 이동방향
S : 해수

Claims (20)

  1. 태양광 발전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세일요트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발전모듈을 포함하는 발전부;
    상기 발전부의 하단에 위치되고, 중앙으로부터 측방으로 신축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의 하단에서 수면으로부터 부유되도록 하는 부력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제1와이어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상방으로 회동되며 기립가능한 제1프레임 및 제2와이어에 의해 견인되어 측방으로 각각 회동되며 전개되는 한 쌍의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제1세일 및 상기 제2프레임에 권취되고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제2세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세일은 상기 제2프레임으로부터 역권취되며 전개시, 상기 제1프레임을 따라 상방으로 전개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발전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모듈은,
    태양을 대향하는 패널부, 상기 패널부와 연동되는 연동와이어, 상기 연동와이어를 견인하여 상기 패널부가 상기 태양을 대향하도록 조향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평면상에서 X 및 Y방향을 축으로 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조향되고,
    상기 연동와이어는 X축을 기준으로 조향되도록 상기 패널부를 견인하는 제1연동와이어 및 Y축을 기준으로 조향되로고 상기 패널부를 견인하는 제2연동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제1연동와이어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제1모터 및 제2연동와이어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동와이어는 상기 패널부와 연결되되, 연결경로에 탄성체가 마련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기 패널부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냉각부 및 상기 냉각부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는 빗물이고,
    상기 냉각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저장부와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는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2와이어를 양단에서 탄성적으로 견인하는 한 쌍의 탄성부;
    상기 제2와이어의 연장경로 상에서 연장경로를 전환시키는 롤러; 및
    상기 제2와이어의 연장경로 상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권취한 상태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며 회동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모터;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발전부 및 상기 부력부 사이에 개재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중심으로 양측방으로 신축되는 한 쌍의 윙부; 및
    상기 윙부의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부유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제1동력부;
    상기 제1동력부에 의해 회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윙 웜기어가 복수개 마련되는 제1회전축;
    상기 윙 웜기어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연장구간 내에 위치되어 외경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윙 웜휠회전축;
    상기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내경에 마련되어 상기 수나사의 회전방향에 따라 인출 및 인입되는 인출관; 및
    상기 인출관의 외주연과 대응되는 내주연이 마련되고, 상기 인출관이 비회전되며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가이드하는 베이스관;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윙부는,
    구동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완충을 수행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동력부에 의해 회전되고, 연장방향을 따라 승강 웜기어가 복수개 마련되는 제2회전축;
    상기 승강 웜기어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연장구간 내에 위치되어 외경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윙 웜휠회전축; 및
    상기 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경에 마련되어 상기 나사부의 회전방향에 따라 인출 및 인입되는 연동축;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윙부는 신축에 의해 인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어는 보조패널부를 수용하는 패널부수용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패널부는 복수 개가 접철되어 상기 패널부수용박스 내에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인출되어 상기 인출에 의해 확장된 공간 상에 전개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부유부는,
    내부에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복수 개의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유체는 내부에 서로 구획되어 수밀 및 기밀이 유지되는 복수 개의 에어스페이스가 형성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에어스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구획되며 연속적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링형으로 구성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사출제작되는 상기 부유체 간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기 부유체의 외주연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되는 보강쉘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쉘은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보강쉘 및 상기 보강재를 순차적으로 관통됨으로써 상기 부유체와 결합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상기 보강쉘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부유체의 결합방향을 따라 선수로부터 선미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부보강물을 더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KR1020220000820A 2022-01-04 2022-01-04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KR20230105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20A KR20230105734A (ko) 2022-01-04 2022-01-04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PCT/KR2022/009860 WO2023132420A1 (ko) 2022-01-04 2022-07-07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EP22192228.9A EP4215435A3 (en) 2022-01-04 2022-08-25 Sail yacht operating by solar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820A KR20230105734A (ko) 2022-01-04 2022-01-04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734A true KR20230105734A (ko) 2023-07-12

Family

ID=83081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820A KR20230105734A (ko) 2022-01-04 2022-01-04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15435A3 (ko)
KR (1) KR20230105734A (ko)
WO (1) WO20231324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449A (ko) 2016-07-04 2018-01-12 주식회사 한국과학모형 바람에 의한 외력 운항 및 쏠라셀 발전에 의한 자가 운행이 가능한 하드 세일링 요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3458A (en) * 1999-02-17 1999-12-21 Valliere; Michael R. Expandable pontoon boat
KR100979848B1 (ko) * 2007-12-05 2010-09-03 오민환 태양전지판의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ITTO20080725A1 (it) * 2008-10-02 2010-04-03 Cmc S R L Sistema automatico di stabilizzazione anti-rollio per imbarcazioni
KR101220950B1 (ko) * 2011-04-25 2013-01-17 (주) 모션파이브 선박
KR20130120148A (ko) * 2012-04-25 2013-11-04 조현철 보트
CN203005711U (zh) * 2012-11-27 2013-06-19 大连海事大学 帆船用摆动龙骨
WO2016093614A1 (ko) * 2014-12-09 2016-06-16 백윤강 자연 동력을 이용한 가변형 트리마란 보트
KR102273222B1 (ko) * 2019-10-08 2021-07-08 주식회사 백운이앤에스 부력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4449A (ko) 2016-07-04 2018-01-12 주식회사 한국과학모형 바람에 의한 외력 운항 및 쏠라셀 발전에 의한 자가 운행이 가능한 하드 세일링 요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420A1 (ko) 2023-07-13
EP4215435A3 (en) 2023-10-11
EP4215435A2 (en)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4498B2 (en) Wave-powered device with one or more tethers having one or more rigid sections
KR101407461B1 (ko) 수중 이동 장치 및 그의 이동 방법
JP5318008B2 (ja) 帆走船
EP2707276B1 (en) A flowing-water driveable turbine assembly
NL2018377B1 (nl) Werkwijze voor het plaatsen van een windmolen
US7748339B2 (en) Rigid inflatable boat
GB2510666A (en) Tidal turbine mooring arrangement
KR101740365B1 (ko) 자연 동력을 이용한 가변형 트리마란 보트
JP2016528100A (ja) 格納可能ウィング及びキールアセンブリを有する潜水艇
WO2021248268A1 (zh) 自然环境流体驱动的变构型双航态长航程海洋无人航行器
JP2018525264A (ja) 格納式の翼アセンブリ及び竜骨アセンブリを有する潜水船
US20050139141A1 (en) Self-adjusting watercraft canopy
US20170158299A1 (en) System and Method of Sail Propulsion for Sailing Vessels and Tugboats
WO2019136007A1 (en) Renewably-powered buoy submersible
CN116834910A (zh) 一种水下测量无人船
KR20230105734A (ko) 태양광 발전으로 운영되는 세일요트
RU2722608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аруса
US8894453B2 (en) Shallow-draft watercraft propulsion and steering apparatus
JP4264357B2 (ja) 水面に適合する船体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な外洋航行船舶
CA1049856A (en) Semi-submerged sail ship
KR20170132738A (ko) 가변적인 프로파일을 갖는 돛
CN117429591A (zh) 一种水下可扩展主动声呐航行器
CN108974245A (zh) 一种不翻倒的船
US20220281557A1 (en) Marine craft
US9783264B2 (en) Multi-hull variable aspect surf rescue b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