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418A -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418A
KR20230105418A KR1020220000776A KR20220000776A KR20230105418A KR 20230105418 A KR20230105418 A KR 20230105418A KR 1020220000776 A KR1020220000776 A KR 1020220000776A KR 20220000776 A KR20220000776 A KR 20220000776A KR 20230105418 A KR20230105418 A KR 20230105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forget
memory
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경예
최고은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418A/ko
Publication of KR20230105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4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은 개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A COMPOSITION FOR IMPROVING OLFACTORY FUNCTION THROUGH STIMULATION OF OLFACTORY EPITHELIAL CELLS USING DAISY FLEABANE EXTRACT AND IMPROVING CONCENTRATION, COGNITION, AND MEMORY INCLUDING THE SAME, AND FUNCTIONAL FOOD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후각상피세포를 자극하여 경도 인지장애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위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뇌의 인지 장애는 임상적으로는 기억력, 인지력, 추리력, 실행 능력(executive functioning), 계획력, 판단력 및 감성적 안정성의 점차적인 손상을 특징으로 하고, 이러한 장애는 점차적으로 깊은 지능의 악화로 이어지게 되며, 광범위한 질환들이 인지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신경심리학적 인지력 결핍은 기능성 신경 정신 질환(functional neuropsychiatric disorder)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이다. 이들 중에서, 정신분열증은 만성이고, 심각하고, 무력하게 만드는 정신병의 형태이다. 과학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의 75% 이하가 인지력이 손상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정신분열증의 전통적인 치료는 고 용량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정신분열증에서의 인지력 결핍을 치료할 때 효율적이지 않다. "비전형적인 항-정신병제(atypical anti-psychotics)"로 알려져 있는, 정신분열증을 위해 보다 최근에 개발된 치료가 인지력 결핍에서 조금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지만, 이러한 효과는 지속적이지 않을 수 있고 또는 일상 기능의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현재 정신분열증에서 인지력 결핍의 치료를 위해 승인된 약물은 없다.
치매 진단 스크리닝(medical screening)의 증가와 함께, 수 개의 병리 상태에 걸쳐 보다 일반적으로, 치매의 진단 기준을 충족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도 인지 장애로 정의된 바와 같은 상당한 기억력 장애 또는 인지 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의 숫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경도 인지 장애(MCI)는 치매 없이 최근 기억의 경미한 정도의 손상 또는 나이 또는 교육적 배경으로 기대되는 것을 초과하는 정도로 그 밖의 인지 기능의 상당한 손상을 특징으로 한다. 경도 인지 장애는 기억력 호소(memory complaint); 비정상적인 일상 생활 활동; 비정상적인 일반적 인지 기능; 나이에 비해 비정상적인 기억력; 치매가 없음 등을 진단의 기준으로 한다.
경도 인지 장애, 연령-관련된 기억력 장애, 연령-관련된 인지력 저하증의 카테고리 또는 유사한 진단 카테고리에 속하는 환자의 수는 압도적이다. 예를 들면, Barker et al. Br J Psychiatry, 1995 Nov; 167(5): 642-8의 평가에 따르면, 미국에서만 연령 관련된 기억력 장애를 갖는 사람이 1600만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도인지장애가 발현되면 초기에는 ‘베타아밀로이드’로 불리는 독성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과(過)발현돼 뇌 안에서 축적되며 뇌신경세포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후각 자극을 이용한 후각 테스트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초기 증세를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등 최근 여러 연구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후각 능력 감퇴 간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모델동물을 이용한 행동 실험을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에서 발견되는 초기 후각기능 이상이 뇌 인지기능 이상을 보이는 생후 14개월보다 앞선 생후 6개월에 진행됨이 확인되었으며, 중추신경계 내부에서만 발현한다고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가 말초신경계인 후각상피조직 자체에서도 직접 발현하는 것을 관찰되었으며, 더 나아가, 베타아밀로이드가 후각상피 속 후각신경세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쳐 직접적으로 후각 기능 상실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후각상피세포를 통하여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의 초기 발현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으며, 후각상피세포의 자극을 통하여 베타아밀로이드가 후각상피조직 및 기타 신경세포에 발현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서 경도인지장애를 포함한 알츠하이머 및 치매의 개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베타아밀로이드의 후각상피조직에 대한 직접 발현과 후각기능이 상실되는 매커니즘에 착안하여 후각상피세포의 자극과 베타아밀로이드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012-0119669 A KR 10-1047590 B1
본 발명의 목적은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 세포자극하여 후각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또는 일반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은 개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후각상피세포를 자극하고, 후각기능 개선과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개망초 잎 추출물, 개망초 꽃 추출물, 개망초 줄기 추출물, 개망초 뿌리 추출물, 개망초 종자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케일 추출물, 모과 추출물, 측백나무 추출물, 고비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갓버섯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기능성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개망초 추출물을 세절 또는 분쇄하는 세절단계; 상기 세절된 개망초 추출물과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단계에서 여과된 추출물 농축하는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질환 또는 질병, 또는 상기 질환 또는 질병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원에서 사용된 상기 '치료' 용어는 '치료하는'이 상기와 같이 정의될 때 치료하는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은 개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개망초(daisy fleabane,Erigeron annuus)는 왜풀, 넓은잎잔꽃풀, 개망풀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30 내지 100cm이다. 풀 전체에 털이 나며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시들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밑의 것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길이 4 내지 15cm, 나비 1.5 내지 3cm이다. 잎 양면에 털이 나고 드문드문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에는 날개가 있다. 줄기 윗부분의 잎은 좁은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로 톱니가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 맥 위에도 털이 있다. 6 내지 9월에 흰색 또는 연한 자줏빛 두상화가 산방꽃차례를 이루어, 가지 끝과 줄기 끝에 가지런하게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으로 줄 모양 바소꼴이고 긴 털이 난다. 화관은 혀 모양으로 길이 7 내지 8mm, 나비 1mm 정도이다. 열매는 수과로 8 또는 9월에 익는다.
상기 개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후각상피세포에 대한 자극 활성을 나태낼 수 있으며, 인지, 기억력, 집중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Alzheimer’s disease, AD)는 치매성 질환의 약 60 내지 8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형태의 질환이다. 알츠하이머는 임상증상이 나타나기 수년 전부터 이미 조직학적 병리현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시기에는 뚜렷한 임상 증상이 없어 병의 시작을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따라 뇌척수액 표지자(biomarker), magnetic resonance image(MRI) 표지자, fluorodeoxyglucose-positron emission tomography(FDG-PET)상의 저대사량, amyloid PET,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상의 저 혈류량과 같은 알츠하이머 질환 관련 생체 표지자 발굴을 위한 많은 노력과 발전이 있어 왔고, 현재에도 비용, 효과 면에서 간단하고 저렴한 검사를 찾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말초성 혹은 중추성 후각 신경 세포 계통의 결함이 다양한 내과적 그리고 신경과적 질환과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진 것은 약 40여년 전 일이다. 근래 신경퇴행성 질환과 관련된 후각 장애에 관심이 증가하고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알츠하이머, 특발성 파킨슨 병(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헌팅톤 병(Huntington disease)과 픽 병(Pick disease), 코사코프 증후군(Korsakoff syndrome), Parkinsonism-dementia complex of Guam, 그리고 루이 소체(Lewy bodies)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중증의 후각 장애(severe olfactory system dysfunction)가 동반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에 인지, 기억력 개선을 나타낼 수 있는 식물 추출물 기반의 조성물을 연구하면서, 후각상피세포를 자극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수 백종의 추출물을 스크린 하였고, 상기 개망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인지, 기억력 및 집중력 개선효과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후술한 복합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그 활성이 배가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후각상피세포를 자극하고, 후각기능 개선과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후각 신경계는 후각 상피에 존재하는 말초 감각 신경 섬유로부터 시작되며, 이들은 사상판(cribriform plate of ethmoid bone)을 가로지르는 축삭을 뻗어 후구(olfactory bulb)에 닿는다. 이 축삭은 후구의 사구체층(glomerular layer)에서 모세포 및 속모세포(mitral and tufted cell)의 수상돌기(dendrite)와 신경연접을 이루고, 이들은 기저 전뇌(basal forebrain)의 주후각 피질로 투사를 하게 된다. 인간의 후각 신경계는 일차 및 이차 피질부위가 서로 연결된 복잡한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내후각 피질(entorhinal cortex)은 후구로부터 외측 후삭(lateral olfactory tract)을 통해 후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부위이며, 해마(hippocampus)뿐 아니라 안와 전두 피질(orbital frontal cortex)로 투사하며 후각기능에 중요한 전두 피질(frontal cortex)과 편도체(amygdala)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알츠하이머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두 단백질병증(proteinopathy) 중 하나는 아밀로이드전구체(amyloid precursor protein)에서 만들어진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β-amyloid peptide) 응집체가 세포밖 공간에 축적되어 노인성 반점(senile plaques)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 노인성 반점은 시냅스 독성, 신경독성, 산소 스트레스 및 저산소 환경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다른 한가지 단백질 병증은 타우(tau)단백으로, 이것은 세포질 내에 축척 되어 세포골격의 구조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세포사를 일으킨다. 타우 단백은 정상적으로 신경세포의 축삭돌기에 주로 발현되는 미세소관 결합 단백질(microtubule-associated protein)로서 미세소관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타우 단백의 과인산화(hyperphosphorylation) 현상은 미세소관 결합을 약화시켜 신경세포의 축삭이동(axonal transport)의 이상을 가져와 퇴행을 일으킨다. 또한 미세소관으로부터 분리된 과인산화 된 타우 단백은 독성기능을 갖게 되어, 비정상적 구조 변화를 일으켜 응집현상을 유발하고 결국 섬유화 형태의 엉킴으로 신경원 섬유덩굴(neurofibrillary tangles, NFT)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개망초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후각상피세포를 자극하여 후각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한편, 인지기능, 집중력 및 기억력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이를 통하여 건망증 또는 경도 인지 장애, 알츠하이머 등을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개망초 잎 추출물, 개망초 꽃 추출물, 개망초 줄기 추출물, 개망초 뿌리 추출물, 개망초 종자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물은 개망초 꽃 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개망초 꽃 추출물은 후각상피세포에 대한 자극 활성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높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지 및 기억력 개선활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상기 개망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건망증 또는 경도 인지 장애, 알츠하이머 등을 예방 및 개선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케일 추출물, 모과 추출물, 측백나무 추출물, 고비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갓버섯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케일(Brassica oleracea var.acephala.,Kale)은 십자화과에 속하며, 원산지는 지중해이다. 양배추의 선조격으로, 양배추와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등은 모두 케일을 품종 개량하여 육성한 것이다.
모과(quince,木瓜)는 모과나무의 열매를 말하며, 나무에 달리는 참외 비슷한 열매라 하여 목과(木瓜) 또는 목과(木果)라 쓰기도 한다. 처음엔 녹색이다가 다 익으면 노란빛이 되고 울퉁불퉁해진다. 향기가 뛰어나지만 맛은 시고 떫으며 껍질이 단단해 날로 먹기는 어렵다. 표면에 정유 성분이 있어 끈끈한데, 이것이 향과 효능을 더해 준다. 중국 원산으로서 한국에는 조선시대 이전에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전라남도, 충청남도, 경기도에서 많이 나고 중국이나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측백나무(Oriental arborvitae,Platycladus orientalis)는 높이 25m, 지름 1m에 달하지만 관목상이며 작은 가지가 수직으로 벌어진다. 비늘 모양의 잎이 뾰족하고 가지를 가운데 두고 서로 어긋나게 달린다. 잎의 앞면과 뒷면의 구별이 거의 없고 흰색 점이 약간 있다. 꽃은 4월에 피고 1가화이며 수꽃은 전년 가지의 끝에 1개씩 달리고 10개의 비늘조각과 2 내지 4개의 꽃밥이 들어 있다. 암꽃은 8개의 실편(實片)과 6개의 밑씨가 있다. 열매는 구과(毬果)로 원형이며 길이 1.5 내지 2cm로 9 또는 10월에 익고, 첫째 1쌍의 실편에는 종자가 들어 있지 않다. 평지 또는 산야에 나는 다년초이다. 땅속줄기는 짧고 굵으며 덩이 모양이고 많은 잎이 뭉쳐난다. 높이는 60 내지 100cm이다. 잎은 영양엽과 포자엽으로 구별되고 어릴 때는 붉은빛이 도는 갈색의 솜털이 빽빽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고비(Asian royal fern,Osmunda japonica)는 영양엽은 2회 깃꼴로 갈라지고 잎조각의 길이가 20 내지 30cm이며 가장 밑에 있는 것이 가장 크다. 작은 잎조각은 바소꼴이거나 넓은 바소꼴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5 내지 10cm, 폭이 1 내지 2.5cm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자루가 없다.
백리향(百里香,Thymus quinquecostatus)은 높은 산꼭대기나 바닷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 3 내지 15cm이다. 원줄기는 땅위로 퍼져나가고 어린 가지가 비스듬히 서며 향기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5 내지 12mm, 너비 3 내지 8mm이다. 양면에 선점(腺點)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고 털이 난다. 꽃은 6월에 분홍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2 내지 4개씩 달리며 지름 7 내지 9mm로서 가지 끝부분에 모여 나므로 수상꽃차례같이 보인다. 작은꽃자루는 털이 나며 길이 약 3mm이다. 꽃받침에 10개의 능선이 있다. 화관은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고 길이 7 내지 8mm로 겉에 잔털과 선점이 있다. 수술은 4개이다. 열매는 작은 견과로서 9월에 짙은 갈색으로 익는다.
갓버섯(Lepiota procera)은 큰갓버섯이라고도 하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숲 속, 대나무밭, 풀밭의 땅에서 한 개씩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8 내지 20cm이고 처음에 달걀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지며 가운데가 조금 봉긋하다. 갓 표면은 연한 갈색 또는 연한 회색의 해면질이며 갈색 또는 회갈색의 표피가 터져서 비늘조각이 된다. 살은 흰색의 솜처럼 생겼으며 주름살은 떨어진주름살이고 흰색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개망초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개망초 꽃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모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백리향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및 산령버섯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활성으로 인지, 집중력 및 기억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개망초 꽃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개망초 꽃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모과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백리향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산령버섯 추출물 1 내지 10 중량부, 애기우산나물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삼잎나물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애기우산나물(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은 국화과의 다년초로 높이 70 내지 120cm이고, 뿌리는 짧은 근경이 옆으로 벋으며, 원줄기는 자주 빛이 돌고 가지가 없는데 2개의 잎이 달린다. 첫째 잎은 둥글고 지름 20 내지 30cm로서 장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7 내지 9개이고 2 또는 3회 2개씩 중열된다. 둘째 잎은 약간 작으며 지름 12 내지 24cm이고, 열편은 폭 4 내지 5cm치며 엽병은 길이 2 내지 6cm이다잎은 둥글고 지름 20 내지 30cm로서 장상으로 갈라지며 꽃은 7월에서 8월에 핀다.
삼잎나물(Senecio cannabifolius)은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삼잎방망이라고도 불리며, 높이는 1 내지 2미터이다. 잎은 어긋나고 톱니가 있으며, 7 또는 8월에 황색 두상화가 산방상으로 달린다. 열매는 갈색 털이 있고, 줄기나 잎은 지혈제로 쓰인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조성물의 상승효과로 추가적으로 상승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추론하건데, 애기우산나물 및 삼잎나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에 의한 상승 효과는 개망초 꽃 추출물에 대하여 모과 추출물 등의 혼합에서 나타난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매커니즘과 다른 매커니즘으로 유효성분의 활성을 높아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상승활성으로 보다 적은 활성을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의 문제없이 장기간 복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등으로 제공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기능성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AD), 치매(dementia), 퇴행성 뇌질환, 허혈성 뇌질환, 인지기능 장애 및 경도인지장애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뇌신경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AD)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치매에서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으로, 중추신경, 특히 전뇌(forebrain), 소뇌편도(amygdala), 해마 (hippocampus) 및 대뇌피질 같은 피질과 변연계(limbic system)의 신경을 파괴하는데, 이들은 뇌에서 학습, 기억, 사고, 행동, 감정조절 등과 관련된 부위이다.
퇴행성 뇌질환은 중추신경계의 신경세포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면서 여러가지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퇴행성 대표적인 퇴행성 뇌신경 질환에는 알츠하이머 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진행성 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다계통 위축증(Multiple system strophy); 감람핵-뇌교-소뇌 위축증(Olivopontocerebellar atrophy: OPCA); 샤이-드래거 증후군(Shy-Drager syndrome); 선조체-흑질 퇴행증 (Striatonigral degeneration), 헌팅톤 병(Huntington's disease),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ALS), 본태성 진전증 (Essential tremor), 피질-기저핵 퇴행증(Cortico-basal ganlionic degeneration), 미만성 루이 소체 질환 (Diffuse Lewy body disease), 파킨스-ALS-치매 복합증(Parkinson-ALS-dementia complex of Guam) 및 픽병 (Pick's diseas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허혈성 뇌질환은 주요 뇌동맥의 영역에 제한되는 뇌혈류의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감소에 의해 발생된다. 뇌혈관 폐색 후에 발생하는 허혈-재관류 손상에 산화적 스트레스가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재관류성 손상은 다량의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발생에 의해 유발된다.
자유 라디칼은 염증성 매개인자 형성도 유도하는데, 이는 소교세포(microglia)를 활성화시켜, 내피 부착 분자의 상향조절을 통해 성상교세포증(astrogliosis) 및 백혈구 침윤(leukocyte infiltration)을 발생시킨다. 또한, NOS(nitric oxide synthase), COX(cyclooxygenase) 및 XO(xanthine oxidase)와 같은 많은 친염증성 효소가 뇌허혈에서 산화적 손상에 관여한다. iNOS(inducible NOS)는 성상교세포(astrocyte), 소교세포 및 대식세포에서 발견되는데, 이들 세포에 존재하는 iNOS로부터 ROS가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치매와 같은 퇴행성 뇌신경질환에서 나타나는 문제는 신경세포사멸에 의한 인지기능저하로, 뇌신경질환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 및 염증반응의 증가가 나타나게 되어 뇌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상기 인지기능 장애는 기억력 감퇴, 건망증, 인지력 감퇴, 학습장애, 주의력 감퇴 및 식별력 감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인지기능은 지식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조작하는 능력으로서, 기억력, 공간 지각력, 판단력, 집행기능, 언어능력 등을 포괄하는 것이다.
기억력 감퇴는 알츠하이머병의 초기부터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최근의 대화내용을 반복적으로 묻게 되고, 약속을 잊는 일이 잦아지며, 최근에 있었던 일이나 사건을 기억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건망증은 기억 장애의 종류로 어떤 사건이나 사실을 기억하는 속도가 느려지거나 일시적으로 기억하지 못하는 기억 장애의 한 증상이다.
상기 기능성 식품을 인지기능, 집중력 또는 기억력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거나, 알츠하이머, 퇴행성 뇌질환, 허혈성 뇌질환, 인지기능 장애 및 경도인지장애로 구성되는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따른 식품첨가제 조성물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식품"이란, 사전적 의미로 지칭되는 것을 포함하며,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건강 보조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첨가제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은 발효식품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서, 기능성 식품은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일 수 있으며, 더욱 자세히는, 유제품, 제과물, 조미료, 음료 및 드링크제, 스낵, 캔디류, 젤리류, 아이스크림 및 냉동용 디저트, 아침 곡물류, 영양바, 스낵 바 초콜렛 제품, 가공 식품, 곡물 제품 및 파스타, 스프, 소스 및 드레싱, 과자 제품, 오일 및 지방 제품, 유제품 음료 (dai drink) 및 우유 음료, 차, 두유 및 콩 유제품 (soy dairy-like product), 냉동식품, 조리 음식 및 대체 음식, 육류 제품, 치즈, 요구르트, 빵 및 롤빵, 케이크, 쿠키 및 크래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개망초 추출물을 세절 또는 분쇄하는 세절단계; 상기 세절된 개망초 추출물과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단계에서 여과된 추출물 농축하는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단계는 환류 추출법, 침출법, 초음파 추출법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각 추출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100 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 또는 물 100 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추출을 위해 1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 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 세포자극하여 후각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 또는 일반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추출물 및 조성물의 제조]
1. 개망초 추출물의 제조
개망초 잎을 세척 및 건조한 뒤, 세절한 다음 분쇄하였다.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열수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그 뒤 여액을 농축하여 개망초 잎 추출물(AEW)을 제조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개망초 꽃 추출물(BEW), 개망초 줄기 추출물(CEW), 개망초 뿌리 추출물(DEW) 및 개망초 종자 추출물(EEW)를 제조하였다.
2. 혼합추출물의 제조
AEW와 동일한 방법으로 모과 추출물(ADW); 백리향 추출물(BDW); 갓버섯 추출물(CDW); 애기우산나물 추출물(DDW) 및 삼잎나물 추출물(EDW)를 제조하였다.
3. 혼합조성물의 제조
각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에 따라 각 추출물을 혼합하여 혼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BEW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ADW 5 10 20 30 50 20 20 20 20 20
BDW 0.1 1 5 10 20 5 5 5 5 5
CDW 0.1 1 5 10 20 5 5 5 5 5
DDW - - - - - 1 5 10 15 20
EDW - - - - - 0.1 1 3 5 1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후각 자극에 따른 뇌파 조절 효과 실험]
상기 AEW 내지 EEW의 뇌파 조절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뇌파 측정 장비를 미국의 뉴로스카이사에서 수입한 마이크로웨이브 모바일(MindWave Mobile)을 사용하였으며,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이 뇌파 측정기의 사용방법은 헤드셋과 같이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하였다.
이 뇌파 측정기는 집중, 흥분상태에서 나오는 베타파와 이완, 안정된 정서에서 나오는 알파파를 감지하여 각각 집중도(attention)와 명상도(meditation) 값을 0~100사이의 값으로 나타낸다.
정신 질환을 앓은 적이 없는 건강한 피험자 17명을 선정하여 5분 동안 평온을 유지시킨 후, 뇌파 측정 장치인 위 헤드셋을 피험자의 이마에 씌우고, 2분 간 뇌파를 측정한 후 결과를 얻었다. 테스트 용지에 AEW을 스프레이
한 후 피험자가 2분간 냄새를 맡도록 하고, 냄새를 맡는 동안 뇌파를 동시에 측정한 후 뇌의 안정도 지수를 나타내는 명상도(meditation) 값 및 뇌의 집중도 또는 긴장도 지수를 나타내는 집중도(attention)값을 분석하였다. 집중도(attention)와 명상도(meditation)의 값은 0 내지 100 사이의 값을 나타내는데, 0~25의 경우 hypo 지수(집중하지 못하거나 산만한 상태), 25~30의 경우 normal 지수(정상 상태), 50~75의 경우 active 지수(활성화 상태), 75~100의 경우 hyper 지수(과대값)를 나타낸다.
뇌파 측정기로 뇌파 반응으로 측정하면 집중도와 명상도가 0~25, 25~50, 50~75, 75~100 영역에 일정 시간 동안 얼마나 존재했는지 그 횟수를 카운트하게 되는데, 본 실험에서는 피험자가 PX1의 냄새를 맡는 동안 뇌파 측정기를 통해 집중도와 명상도를 각 지수 영역에서 카운트한 횟수에서, AEW로 후각을 자극하기 전 뇌파 측정기를 통해 각 지수 영역에서 집중도와 명상도를 카운트한 횟수를 뺀 값을 도출하였다.
AEW 내지 EEW에 따른 후각상피세포 자극을 통한 뇌파 조절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AEW 값을 5로 고정하고, BEW 내지 EEW를 비교평가하여 지수로 나타내었다. 하기의 [표 2]에서 각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 수록 후각상피세포에 대한 자극이 높고 이에 따른 뇌파조절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AEW BEW CEW DEW EEW
후각세포자극 및 뇌파조절효과 5 8 5 6 6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BEW에 의하는 경우 후각상피세포의 자극활성이 우수하고 이에 따른 뇌파조절효과가 가장 뛰어난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인지, 기억력 및 집중력 개선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BEW를 소재로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예 2: 인지기능, 집중력 및 기억력 개선효과 실험 1]
BEW 및 M1 내지 M10의 인지기능, 집중력 및 기억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지질 과산화, 활성 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글루타메이트에 의한 흥분성 독성 및 아폽토시스에 의해 유발되는 뇌세포의 사멸 등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1. 활성 산소종 생성 억제 효과
뇌의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에 5mM 글루타메이트(glutamate)와 상기 실험예 1에서 선정된 AEW, BEW 및 M1 내지 M10을 8시간 동안 동시에 처리하였다. 대조군에는 글루타메이트와 정제수를 처리하였다. 이후, CM-H2DCFDA(chloromethyl derivative of 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로 염색하여 활성 산소종의 생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상기 대조군의 활성산소종 변화량을 기준 값 10으로 고정하고, 상기 대조군과 각 실시예를 비교평가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감소된 활성산소종을 평가하여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낮을수록 활성산소종의 제거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Con AEW BEW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활성산소종 평가 10 9 7 7 6 6 6 8 6 4 4 5 7
(단위: 지수)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AEW에 비하여 BEW에 의하는 경우 글루타메이트에 의해 유도된 활성 산소종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혼합조성에 의하는 경우 M2 내지 M4에 의하는 경우 상승효과가 관찰되었으며, M7 내지 M9에 의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승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단독조성에 의하는 경우 BEW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혼합조성에 의하는 경우 M2 내지 M4 또는 M7 내지 M9의 조성에 의하는 경우 상승효과를 통하여 보다 적은 함량으로 우수한 활성 산소종 제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2. 뇌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 억제 효과
해마 유래 세포주인 HT-22에 5 mM 글루타메이트(glutamate)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발하였다. 대조군에는 글루타메이트과 정제수를 처리하였다. 이후, 본 발명의 AEW, BEW 및 M1 내지 M10을 400mg/kg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WST-1(Roche)을 이용하여 세포 사멸 정도를 관찰하였다.
각 결과는 객관적인 비교평가를 위하여 대조군의 값을 지수 10으로 고정하고, 각 실험예의 결과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낮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Con AEW BEW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세포사멸평가 10 10 9 8 7 8 9 8 7 6 6 5 8
(단위: 지수)
그 결과, 상기의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BEW에 의하는 경우 클루타메이트에 의하여 유도된 뇌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가 억제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M2 내지 M4 또는 M7 내지 M9에 의하는 경우 혼합 조성에 의한 유효성분의 상호 작용으로 상승활성이 관찰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3.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쥐를 마취한 후, EDTA 가 함유된 0.9% 식염수로 쥐 조직을 환류하였다. 이후, 뇌를 적출하여 아이스-콜드(ice- cold) 20 mM Tris-HCl(pH 7.4)로 세척하였다. 물기를 제거한 후, 뇌 무게를 측정하였다. 뇌에 아이스-콜드 20 mM Tris-HCl(pH 7.4)을 0.1 g/㎖의 용량으로 섞은 후 균질화 하였다.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상층액 40 ㎕에 과산화수소 40 mM를 첨가하여 지질 과산화를 유발하였다. 동시에 본 발명의 AEW, BEW 및 M1 내지 M10을 400mg/kg로 각각 첨가하였다. 37℃의 물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배양한 후, 162.5 ㎕의 R1 용액(lipid peroxidation Assay Kit, Cat. No. 437634, Calbiochem)과 37.5 ㎕의 R2 용액(lipid peroxidation Assay Kit, Cat. No. 437634, Calbiochem)을 첨가하여 45℃에서 40분간 더욱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의 흡광도를 586 nm에서 측정하여 지질 과산화 정도를 수량화 하였다.
지질 과산화 반응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과산화수소 및 정제수를 처리한 대조군을 값을 10으로 고정하고, 각 실시예를 비교평가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5]와 같다. 하기의 [표 5]에서 각 지수는 그 숫자가 낮을수록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이 우수한 것이다.
Con AEW BEW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세포사멸평가 10 9 7 7 6 5 6 8 6 3 3 3 7
(단위: 지수)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발된 지질 과산화가 BEW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M2 내지 M4에 의하는 경우 혼합 조성에 의한 유효성분의 상호 작용으로 상승활성이 관찰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M7 내지 M9에 의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승 활성이 나타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인지기능, 집중력 및 기억력 개선효과 실험 2]
추가적으로 BEW 및 혼합 조성물에 대한 기억력 개선 및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Y-미로(Y-maze), 모리스 수중미로(Morris water maze) 실험 및 수동 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ask)을 실시하였다.
1. Y-미로(Y-maze) 시험
기억력 개선 효과로 공간기억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Y-미로(Y-maze) test을 실시하였다, Y-미로(Y-maze) test는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건망증 모델에 대한 기억력 개선 효과(변경 행동력 및 진입횟수)를 평가하였다.
먼저, 양성대조군으로 알츠하이머 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도네페질(donepezil)을 4mg/kg, 애기우산나물 뿌리 에탄올 추출물(SPE)을 100mg/kg 및 400mg/kg의 용량으로 1시간 전 마우스에 경구투여하고, 30분 후에 부교감신경억제제인 스코폴라민(1 mg/kg, i.p., saline)을 투여하여 기억손상을 유발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약물이 투여된 마우스 군들을 대상으로 Y-미로 실험을 수행하여 기억력 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 Y-미로 실험은 단기 기억력을 측정하는 형태이며, 순차적으로 행동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이다.
Y 자형 미로의 각 가지를 A, B, C로 정한 후 세 가지가 만나는 정중앙 부분에 마우스를 조심스럽게 놓고 8분 동안 자유롭게 움직이게 한 다음 마우스가 들어간 가지를 기록하였다. 이때, 꼬리까지 완전히 들어갔을 경우에 한하며, 갔던 가지에 다시 들어간 경우에도 기록하였다. 세 개의 다른 가지에 차례로 들어간 경우 1점(실제변경, actual alternation) 씩 부여한다. 변경 행동력 (alternation behavior)은 세 가지 모두에 겹치지 않게 들어가는 것으로 정의되며,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변경 행동력 (%) = actual alternation/maximum alternation Х 100
(maximum alternation = 총 입장횟수 - 2)
변경 행동력이 증가한다는 것은 학습 및 기억력이 회복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객관적인 비교분석을 위하여 각 실시예는 스코폴라민을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각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2. 모리스 수중미로(Morris water maze) 실험
상기 스코폴라민 투여에 의한 기억력 감퇴 동물군(대조군)과 각 실시예를 대상으로 실험동물의 기억력 개선 및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동회피실험(Passive avoidance test)을 수행하였는데, 여러 표식이 있는 큰 방에 직경 120 cm, 높이 50 cm의 원형 수조의 한 사분면의 중앙에 원형의 플랫폼을 놓고, 물의 높이를 플랫폼보다 2 cm 높게 채웠고 온도는 23±2 도를 유지하였다.
실험 동안은 수조에 40 mL의 인공식용색소를 섞어서 플랫폼이 보이지 않게 하고 장기 기억 테스트를 실행하였으며, 수조 내의 동물의 움직임을 비디오 추적시스템(EthoVision, Noldus, Netherlands)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실험 시작 하루 전에 플랫폼이 없는 수조에서 60초 동안 자유롭게 수영하게 하여 상황에 적응시킨 다음 매일 1회에 60초 동안 4회 인지 시험을 5일 동안 실시하였다. 매일 적응훈련 때마다 3개의 위치 중 하나에 무작위적인 순서로 입수시켰다. 플랫폼은 수조의 경계와 중심에서 같은 거리인 특정 사분면의 중간에 위치를 유지하였다. 첫째 날과 둘째 날의 처음 두 번은 플랫폼을 찾아가는 적응 훈련을 시켰다. 각 훈련마다 숨겨진 platform을 찾아가는 탈출 시간을 기록하였으며, 찾지 못하는 경우에는 실험자가 10초 동안 플랫폼에 인도시켜서 기억하도록 하였다.
플랫폼을 찾았지만 10초를 머무르지 않은 경우 플랫폼에 머무른 총 시간이 10초가 될 때까지 머물게 인도시켰다. 실험 6일째에는 probe test를 실시하는데 플랫폼을 치우고 60초 동안 수영시키며, 하루 동안 총 2회 시행한다. 플랫폼이 있던 자리를 지나가는 횟수를 기록하였다.
5일차 값을 기준으로 양성대조군과 각 실시예의 결과를 비교평가하였다. 각 실시예의 결과는 1 내지 10의 지수로 평가하였으며, 그 숫자가 낮을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Con AEW BEW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Y maze test 1 2 4 4 6 6 6 3 6 8 8 8 6
Morris water maze 10 9 6 6 4 4 5 7 6 3 3 4 6
(단위: 지수)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BEW에 의하는 경우 인지기능, 집중력 및 기억력 개선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AEW에 비하여 높은 활성이 확인되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M2 내지 M4의 혼합조성에 의하는 경우 상승 활성이 나타나는 점과, M7 내지 M9에 의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승활성이 관찰되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혼합조성에 의하는 경우 보다 적은 함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성물을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하면서,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의 문제 없이 장기간 복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또는 기타 제품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하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기우산나물 뿌리 에탄올 추출물(SPE)을 투여한 군은 실험 첫째 날에 비해, Escape Latency 시간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험 마지막 날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개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후각상피세포를 자극하는 것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망초 추출물은 개망초 잎 추출물, 개망초 꽃 추출물, 개망초 줄기 추출물, 개망초 뿌리 추출물, 개망초 종자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로 추출된 것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케일 추출물, 모과 추출물, 측백나무 추출물, 고비 추출물, 백리향 추출물, 갓버섯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인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기능성 식품.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8. 개망초 추출물을 세절 또는 분쇄하는 세절단계;
    상기 세절된 개망초 추출물과 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하는 추출단계;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단계에서 여과된 추출물 농축하는 농축단계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000776A 2022-01-04 2022-01-04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230105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76A KR20230105418A (ko) 2022-01-04 2022-01-04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76A KR20230105418A (ko) 2022-01-04 2022-01-04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418A true KR20230105418A (ko) 2023-07-11

Family

ID=87159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776A KR20230105418A (ko) 2022-01-04 2022-01-04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541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90B1 (ko) 2005-04-28 2011-07-0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에 유효한올레아난계 트리테르펜 사포닌 화합물
KR20120119669A (ko) 2011-04-22 2012-10-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포칼린 2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90B1 (ko) 2005-04-28 2011-07-08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에 유효한올레아난계 트리테르펜 사포닌 화합물
KR20120119669A (ko) 2011-04-22 2012-10-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포칼린 2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경도 인지 장애 진단용 조성물, 키트 및 경도인지 장애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0347B2 (ja) 過活動膀胱の予防又は改善剤
JP2010178736A (ja) 肌美容改善剤、抗酸化剤、肌美容改善用組成物、又は美容用飲食品
US11596664B2 (en) Plant extracts made of Sideritis and use thereof to boost cognitive performance
US9452190B2 (en) Neuroprotective natural extract from passion fruit
JP6735224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KR102355586B1 (ko) 애기우산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3990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01612B1 (ko) 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857651B1 (ko) 어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09814B1 (ko) 향나무 추출물 또는 향나무 유래 화합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30105418A (ko) 개망초 추출물을 이용한 후각상피세포자극을 통한 후각기능 개선 및 이를 포함하는 집중력, 인지력,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20150107938A (ko) 차전자피를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증진용 조성물
KR102475667B1 (ko) 유산균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수면 장애 개선 및 숙면 유지용 조성물
KR102402315B1 (ko) 기억력, 인지기능 개선용 또는 뇌신경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JP2009107945A (ja) 視神経障害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KR20240064195A (ko) 개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후각,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33007B1 (ko)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40059132A (ko) 홍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각기능,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564539B1 (ko)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7141B1 (ko)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152174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289438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sleep disorders,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gut microbiota or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therefrom
KR102061622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및 항산화 활성용 조성물
KR102152182B1 (ko) 큰뱀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4124A (ko)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기능성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