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331A - 전기기술 유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기술 유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331A
KR20230105331A KR1020237014425A KR20237014425A KR20230105331A KR 20230105331 A KR20230105331 A KR 20230105331A KR 1020237014425 A KR1020237014425 A KR 1020237014425A KR 20237014425 A KR20237014425 A KR 20237014425A KR 20230105331 A KR20230105331 A KR 20230105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technical
weight
composition
less
flui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비르피 래뫼
소냐 코바
Original Assignee
네스테 오와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테 오와이제이 filed Critical 네스테 오와이제이
Publication of KR2023010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5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hydrogen donors or hydrogen generat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10Liqu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2Catalytic treatment
    • C10G3/44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3/45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containing iron group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10G3/46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containing iron group metals or compounds thereof in combination with chromium, molybdenum, tungsten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2Catalytic treatment
    • C10G3/44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3/47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containing platinum group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2Catalytic treatment
    • C10G3/44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3/48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support
    • C10G3/49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support containing crystalline aluminosilicates, e.g. molecular sie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10G45/58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change the structural skeleton of some of the hydrocarbon content without cracking the other hydrocarbons present, e.g. lowering pour point; Selective hydrocracking of normal paraf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7/00Distillation of hydrocarbon oils
    • C10G7/04Dewa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liquids, e.g. oils
    • H01B3/2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liquids, e.g. oils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10Lubricating 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유리 지방산 및 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를 케톤화 조건 하에서 케톤화시키는 단계와,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해, 케톤화된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를 수소화처리 조건 하에서 수소화처리하는 단계와,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IEC60296(2012) 국제 표준에 따른 요건을 충족한다.

Description

전기기술 유체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재생 가능한 원료로부터 얻어지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액체 또는 기체 전기기술 유체는 가령, 변압기, 커패시터, 스위치기어, 부싱 등과 같은 전기 장치에 사용된다. 전기기술 유체는 일반적으로 장치 내에서 고전압과 접지된 부품을 분리하는 전기 절연 매체 역할을 하고,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하는 냉각 매체 역할을 한다. 위에서 언급한 기본 기능 외에도, 전기기술 유체는 긴 작동 수명, 넓은 온도 범위에서의 작동, 적절한 동점도 및 최소한의 환경 영향과 같은 다른 필요하고 원하는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전기기술 유체 분야에서 지속 가능하고, 바이오 기반이며, 재활용된 대안에 대한 최종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로 제조된 제품과, 이러한 유체에 대한 표준 요구사항을 또한, 충족하는 전기기술 유체의 생산을 위한 재생가능한 공급원료의 사용은 어려웠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재생가능한 공급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문제가 되도록 만들었다.
(Neste Oil Oyj의) WO2007/068795 A1은 탄화수소로 희석되고, 예비수소화, 케톤화, 수소탈산소화, 스트리핑, 수소이성질체화, 선택적인 수소화마무리 및 증류에 의해 재생가능한 기유(base oil), 재생가능한 디젤뿐만 아니라 재생가능한 가솔린으로 처리되는 복합체 공급물(complex feed)을 기술한다. .
WO2014128227은 70% 이상의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탄화수소 기반 단열 유체를 개시한다. 본 개시내용은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하는 유체를 생성하는 방법 또는 요구되는 성능을 충족하는 유체의 조성을 교시하지 않는다.
WO2018078024는 비등점이 200℃ 내지 400℃ 범위이고 비등 범위가 80℃ 미만인 전기 자동차용 전기기술 유체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유체는 중량 기준으로 95% 초과의 이소파라핀 및 3% 미만의 나프텐을 포함하고, 중량 기준으로 최소 95%의 바이오카본 함량을 포함하며, 중량 기준으로 100 ppm 미만의 방향족을 함유한다. 본 개시내용은, 표준 요건을 충족하는 유체를 생성하는 방법 또는 표준 요건을 충족하는 유체의 조성을 교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로서 적합하고 상기 논의된 단점을 완화시키는 탄화수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IEC60296에 따른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기술 유체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IEC60296에 따라 이러한 제품에 대한 표준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전기기술 유체의 생산을 위해, 재생가능한 기유(Renewable Base Oil; RBO) 공정의 사이드 스트림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RBO 공정으로부터의 사이드 스트림의 일부가, 표준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고, 그 결과 폐기물 스트림이 감소되기 때문에 재생 가능한 원료, 즉 RBO 공정을 위해 사용되는 공급원료의 완전한 기화가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RBO 공정으로부터의 폐기물 스트림이 감소되고 그 대신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을 위한 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더 환경 친화적인 공정을 발생시키며, 따라서, 또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생산에 사용되었을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원료들의 양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변압기 오일로서 사용되며, 공지된 변압기 오일보다 덜 증발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구현들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다른 특징은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 실시예는 예시적이다. 명세서가 여러 위치에서 "하나의", "하나" 또는 "일부" 실시예를 언급할 수 있지만, 이것이 반드시 이러한 각 참조가 동일한 실시예(들)에 대한 것이라거나, 또는 그 특징이 오로지 단일 실시예에만 적용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이한 실시예의 단일 특징은 또한 결합되어 다른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containing)" 및 "포함하는(including)"이라는 단어는, 설명된 실시예가 언급된 특징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특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표준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용 가능한 최신 개정판이다.
본 발명은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및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용도를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재생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해 재생가능한 공급원료의 케톤화 및 수소화처리, 예를 들어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이성질체화와, 이에 후속되는 분획화 바람직하게는 증류를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일실시예에서, 수득된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비등 범위가 약 280℃ 내지 약 400℃ 범위인 탄화수소 조성물을 회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 공정을 거친다(EN ISO3405:2011). 이 더 넓은 범위는 더 많은 컷(cut)이 사용된다는 이점이 있다. 즉, 더 나은 수율이 달성된다.
일실시예에서, 수득된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비등 범위가 약 280℃ 내지 약 375℃ 범위인 탄화수소 조성물을 회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 공정을 거친다(EN ISO3405:2011).
일실시예에서, 수득된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비등 범위가 약 280℃ 내지 약 350℃ 범위인 탄화수소 조성물을 회수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 공정을 거친다(EN ISO3405:2011). 이 더 좁은 범위는, 더 넓은 증류 온도 범위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품의 특성이 더 좋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IEC60296(2012)에 따른 요건을 충족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전기기술 조성물과 전기기술 유체에 관한 것이다.
IEC60296(2012)에 따른 요구사항은 20°C에서 895 kg/m3의 최대 밀도, -40°C의 최대 유동점(pour point), 40°C에서 12 mm2/s의 최대 동점도, -30°C에서 1800 mm2/s의 최대 동점도, 최소 인화점 135°C, 최대 총 황 함량 500 mg/kg, 최대 총 산도 0.3 mg KOH/g, 최대 수분 함량 (벌크) 30 mg/kg, 및 최소 계면 장력 40 nM/m이며, 이는 또한, 본 출원의 표 4에 명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기술 유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재생 가능한(바이오소싱된) 원료, 즉 재생가능한 공급원료의 가령,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이성질체화와 같은 케톤화 및 수소화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재생가능한 공급원료는, 주로 C16 및 C18을 포함하는 C4 내지 C26 범위의 탄소수 분포를 갖는다. 이렇게 얻어진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주로 C31-C35를 포함하는 C4 내지 C51 범위의 탄소수 분포를 갖는다.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주로 n-파라핀과 i-파라핀으로 구성된다.
약 280℃ 내지 약 400℃ 범위의 비등점 범위를 갖는 탄화수소 조성물을 회수하기 위한 분획화 공정 후 수득된 증류액(distillate)은, C15 내지 C25 범위의 탄소수 분포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분리/분획화를 위한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의 촉매 케톤화 및 촉매 수소화처리에 의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수소화처리는 촉매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수소이성질체화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분리 공정은 증류에 의한 분획화를 포함한다. 증류는 연속식 또는 배치식(batch-wise)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이성질체화와 같은 케톤화 및 수소화처리 단계 후에 수소화 마감(hydrofinishing)이 이어진다.
비등점 범위는 증류 생성물의 첫 번째 방울이 얻어지는 온도로 정의되는 초기 비등점(IBP)에서 최고 비등점의 화합물이 증발할 때인 최종 비등점(FBP)까지의 온도 간격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얻어진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을 얻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를 거칠 수 있으며, 여기서 분획화는 회수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이 약 280° C 내지 약 400°C 범위의 비등 범위를 갖도록 수행된다(EN ISO3405:2011).
실시예에 따르면, 얻어진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을 얻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를 거칠 수 있으며, 여기서 분획화는 회수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이 약 280° C 내지 약 375°C 범위의 비등 범위를 갖도록 수행된다(EN ISO3405:2011).
실시예에 따르면, 얻어진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을 얻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를 거칠 수 있으며, 여기서 분획화는 회수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이 약 280℃ 내지 약 350°C 범위 내의 비등 범위를 갖도록 수행된다(EN ISO3405:2011).
하나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는 증류에 의해 얻어진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전기기술 조성물은, IEC60296(2012) 국제 표준에 따라 그러한 제품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킨다.
EN ISO 3405:2011 및 ASTM D86:2015 표준 "Standard Test Method for Distillation of Petroleum Products and Liquid Fuels at Atmospheric Pressure" 및 ASTM D7345:2017 표준 "Standard Test Method for Distillation of Petroleum Products and Liquid Fuels at Atmospheric Pressure (Micro Distillation Method)"은 비등 범위가 0°C 내지 400°C(ASTM D7345: 20°C 내지 400°C) 범위인 액체 연료 제품의 비등점 분포를 측정하기 위한 증류 방법을 설명한다. ASTM D86 또는 ASTM D7345를 사용하여, 비등점은 증류된 25 부피%에서 측정된다. 포인트는 또한, 88%가 증류되는 것으로 보고될 수 있다.
공정에 대한 설명
용어 "케톤화(ketonisation)"는 카르복실산 및 이의 유도체, 특히 지방산, 상응하는 에스테르, 알코올, 알데히드 및 무수물(anhydrides)의 케톤화 반응을 의미한다. 반응에서 관능기(functional groups)는 서로 반응하여 케톤을 생성한다. 두 카르복실산의 케톤화 반응은, 무수물 중간체를 통해 진행되어 반응에서 유리되는 케톤, 물 및 이산화탄소를 제공한다. 알코올 및 에스테르의 경우, 케톤화 반응은 알데히드를 통해 진행되어 티센코(Tishchenko) 에스테르를 제공하고 추가로 케톤을 생성하며, 알데히드의 경우 티센코(Tishchenko) 에스테르를 통해 케톤으로 전환된다. 이 두 가지 마지막 반응에서 일산화탄소가 방출된다.
"수소화처리(hydrotreatment)"라는 용어는 분자 수소에 의한 유기 물질의 촉매 공정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소화처리는 유기 산소 화합물로부터 물, 즉 수소첨가탈산소화(hydrodeoxygenation; HDO)에 의해 산소를 제거한다. 추가로/대안적으로, 수소화처리는 황화이수소(H2S)로서 유기 황 화합물로부터 황을 제거하는 것, 유기 질소 화합물로부터 질소를 암모니아(NH3)로 제거, 즉 수소탈질소화(HDN)에 의해 제거하는 것, 유기 염화물 화합물로부터 할로겐, 예를 들어 염소를 염산(HCl)으로 제거, 즉 수소탈염소화(HDCl)에 의해 제거하는 것, 및/또는 무방향족 생성물을 얻기 위해 즉 수소탈방향족화(HDA)에 의해 방향족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수소탈방향족화(hydrodearomatisation; HDA)"는 촉매의 영향 하에서 분자 수소에 의한 방향족 화합물의 포화 또는 개환(ring opening)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다른 지방산 유도체 또는 지방산의 "수소탈산소화(hydrodeoxygenation; HDO)"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촉매의 영향 하에서 분자 수소에 의해 물로서 카르복실 산소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생 가능한 원료의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생성된 n-파라핀의 이성질체화에 적합한 반응 조건 및 촉매가 알려져 있다. 그러한 공정의 예시는 FI100248, 실시예 1-3, 및 WO 2015/101837 A2에 제시되어 있다.
용어 "탈산소화(deoxygenation)"는 전술한 임의의 수단, 또는 탈카르복실화 또는 탈카르보닐화에 의해 가령, 지방산 유도체, 알코올, 케톤, 알데히드 및/또는 에테르와 같은 유기 분자로부터 산소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이성질체화(isomerisation)"는 분자가 정확히 동일한 원자를 갖지만 원자 배열이 상이한 다른 분자로 변형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 문맥에서, 이성질체화는 파라핀 카르복실산 및 이의 알킬 에스테르의 이성질체화 및 수소이성질체화 모두를 지칭한다.
용어 "중간 생성물(intermediate product)"은 가령, 케톤화 및 수소화처리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공정 단계 후에 공급원료로부터 얻어지는 조성물을 의미하지만, 이는 최종 생성물을 얻기 위해 분획화와 같은 추가 공정 단계를 더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재생가능한 공급원료는 케톤화 및 수소화처리, 바람직하게는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이성질체화된다.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및/또는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가 공급원료로 사용되는 경우, 이성질체화는 수소첨가탈산소화가 뒤따르는 케톤화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이성질체화는 케톤화 및 수소탈산소화 단계 후에 또는 이와 동시에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케톤화,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이성질체화의 단계들 이후에 수소화마감 단계가 이어진다.
재생 가능한 공급 원료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즉, 생물학적 기원의 공급원료)는: 일반적으로 지질(예컨대, 지방산 또는 글리세리드)을 포함하는, 오일 및/또는 지방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원료 성분, 가령 식물 오일/지방, 식물성 오일/지방, 동물성 기름/지방, 어유/지방 및 조류 기름/지방, 또는 다른 미생물 공정의 기름/지방, 예를 들어 유전자 조작 조류 기름/지방, 다른 미생물 공정의 유전자 조작 기름/지방 및 유전자 조작 식물성 기름/지방에서 유래된 공급 원료를 의미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폐기물 또는 잔류물이다. 이러한 물질의 성분 또는 유도체, 예를 들어 알킬 에스테르(전형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에스테르와 같은 C1-C5 알킬 에스테르) 또는 올레핀이 사용될 수 있다.
재생 가능한 오일 및/또는 지방은, 단일 종류의 오일, 단일 종류의 지방, 상이한 오일의 혼합물, 상이한 지방의 혼합물, 오일(들) 및 지방(들)의 혼합물, 지방산, 글리세롤 및/또는 전술한 것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오일 및/또는 지방은, 전형적으로 지방산의 에스테르, 글리세라이드, 즉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C8-C24 지방산 및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글리세리드는 구체적으로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및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14C-동위원소 함량은 공급원료 또는 생성물의 재생 가능 또는 생물학적 기원의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재생 가능한 물질의 탄소 원자는, 화석 기원의 탄소 원자에 비해 더 많은 수의 불안정한 방사성 탄소(14C) 원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12C와 14C 동위원소의 비율을 분석하여, 생물학적 기원에서 유래한 탄소 화합물과 화석 기원에서 유래한 탄소 화합물을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위원소의 특정 비율은, 재생 가능한 탄소 화합물을 식별하고, 재생 불가능한 즉, 화석 탄소 화합물과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동위 원소 비율은 화학 반응 과정에서 변하지 않는다. 생물학적 공급원에서 탄소 함량을 분석하는 데 적합한 방법의 예는 ASTM D6866(2020)이다. 연료의 재생 가능한 함량을 결정하기 위해 ASTM D6866을 적용하는 방법의 예는, 저자가 Dijs 등인 Radiocarbon, 48(3), 2006, pp 315-323의 기사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공급원료 또는 생성물과 같은 탄소 함유 물질은, ASTM D6866을 사용하여 측정시 가령, 100% 현대의 탄소와 같이 90% 이상의 현대 탄소(pMC)를 포함하는 경우, 생물학적, 즉 재생 가능한 기원인 것으로 간주된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적어도 5%, 특히 적어도 60%, 가령, 적어도 75%, 또는 심지어 100%의 현대 탄소 함량(modern carbon content; pMC)을 갖는다.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의 제조
일반적으로,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임의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생산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는, 유럽 특허출원 EP 1963461 A1에 제공되어 있다.
일실시예에서, 재생가능한 공급원료는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 가령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케톤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의 제조는 재생 가능한 원료 공급원료의 케톤화를 포함한다. 케톤화를 위한 공정 조건은, 예를 들어 EP 1963461 A1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케톤화는 금속 산화물 촉매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인 금속은: Na, Mg, K, Ca, Sc, Cr, Mn, Fe, Co, Ni, Cu, Zn, Sr, Ti, Y, Zr, Mo, Rh, Cd, Sn, La, Pb, Bi 및 희토류 금속을 포함한다. 이들 금속 산화물은, 지지체 상에 있을 수 있으며, 전형적인 지지체는 라테라이트, 보크사이트, 이산화티타늄, 실리카 및/또는 산화알루미늄이다.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Ti, Mn, Mg, Ca 및 Zr 함유 금속 산화물 촉매 중의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목록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산화물 촉매이다. 케톤화 촉매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TiO2를 포함한다. 케톤화 촉매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지지체 상의 TiO2이다. 예를 들어, 촉매는 평균 기공 직경이 80-160
Figure pct00001
이거나, BET 면적이 40-140 m2/g이거나, 및/또는 기공도(porosity)가 0.1-0.3 cm3/g인 아나타제 형태의 TiO2일 수 있다.
케톤화는: 예를 들어, 0.1 내지 5 MPa,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MPa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반면, 온도는 100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400 ℃ 범위일 수 있다. 케톤화는: 0.1 내지 10 1/h,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1/h,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1/h의 공급물 유량(feed flow rate) WHSV에서 수행될 수 있다. 케톤화 반응은 가령, 질소, 수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활성 기체와 같은 기체의 존재 하에 일어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체는 CO2, H2, N2, CH4, H2O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CO2이다. 그 양은 큰 과량에서 작은 화학량론적 과량까지 다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체 유량(gas flow)은, 비용상의 이유로 0.1-1.5 가스/공급물의 비율(w/w) 범위에 있다.
수소화처리
케톤화 후 수소화처리가 뒤따르며, 여기서 케톤화된 공급물은 압력 하에서 촉매, 바람직하게는 Ni, Mo, Co 또는 W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촉매의 존재 하에 수소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수소화처리는, 가령, 이중 결합과 같은 불포화 결합, 산소(탈산소화) 및 질소, 황 및 염소와 같은 다른 헤테로원자를 제거한다. 수소화처리는 다양한 촉매 및 맞춤형 반응 조건을 사용하여, 여러 단계로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수소첨가탈산소화
케톤화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첨가탈산소화(HDO)를 포함하는 수소화처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산소 결합의 수소화가 일어나 산소를 H2O로 제거한다. 수소탈산소화를 위한 공정 조건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재생 가능한 원료의 수소첨가탈산소화는 금속 황화물 촉매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금속은, 가령, Mo 또는 W와 같은 하나 이상의 VI족 금속, 또는 Co 또는 Ni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VIII족 비귀금속일 수 있다. 촉매는: 가령,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무정형 탄소, 분자체,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편리한 지지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금속 산화물로서 지지체에 함침되거나 증착된다. 그런 다음, 이들은 일반적으로 황화물로 변환된다. 수소첨가탈산소화를 위한 전형적인 촉매의 예는, 몰리브덴 함유 촉매, 알루미나 또는 실리카 상에 지지된 NiMo, CoMo 또는 NiW 촉매이지만, 많은 다른 수소첨가탈산소화 촉매가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NiMo 및/또는 CoMo 촉매들과 함께 기술되거나 비교되었다. 수소첨가탈산소화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기체의 존재 하에 황화 NiMo 또는 황화 CoMo 촉매의 영향 하에 수행된다.
수소첨가탈산소화는: 15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의 온도에서, 1 내지 15 MPa의 수소 압력, 및 0.5 내지 3 1/h 범위의 WHSV 하에 수행될 수 있다. 황화 촉매를 사용하는 수소첨가탈산소화 단계 동안, 촉매의 황화 상태는, 기상에 황을 첨가하거나,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와 블렌딩된 황 함유 광물유를 갖는 공급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수소첨가탈산소화되는 전체 공급물의 황 함량은: 예를 들어 50 wppm(중량ppm) 내지 20,000 wppm, 가령 50, 1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5000, 5500, 6000, 6500, 7000, 7500, 8000, 8500, 9000, 9500, 10 000, 10 500, 11 000, 11 500, 12 000, 12 500, 13 000, 13 500, 14 000, 14 500, 15 000, 15 500, 16 000, 16 500, 17 000, 17 500, 18 000, 18 500, 19000, 19 500 또는 20 000 wppm, 바람직하게는 50 wppm 내지 1000 wppm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wppm 내지 570 wppm의 범위일 수 있다.
수소첨가탈산소화를 위한 효과적인 조건은, 공급원료의 산소 함량을: 1 중량% 미만, 예를 들어 0.5 중량% 미만 또는 0.2 중량% 미만, 예를 들어 0.2 내지 0.05 중량%와 같이 본질적인 무산소 상태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조건은 적어도 40 중량%, 적어도 50 중량%, 또는 적어도 75 중량%의 탈산소화에 상응하는 부분적인 수소첨가탈산소화를 생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 조건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250 내지 400℃ 범위의 온도; 2 내지 8 MPa 범위의 압력; 0.1 내지 10 1/h,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1/h,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1/h 범위의 WHSV; 및 350-9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 수소첨가탈산소화 반응은, 활성 탄소, 알루미나 및/또는 실리카 지지체 상의, Pd, Pt, Ni, NiMo, CoMo 또는 NiW 금속,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나 지지체 상의 NiMo와 같은, 수소첨가탈산소화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이성질체화
본 발명의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은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케톤화 처리된 원료에서 적어도 직쇄 탄화수소를 이성질체화 처리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성질체화 처리는 탄화수소 사슬의 분지화, 즉 케톤화 및 수소화처리된 원료의 이성질체화를 유발한다. 탄화수소 사슬의 분기는 저온 특성을 개선한다. 즉, 이성질체화 처리에 의해 형성된 이성질체 조성물은, 케톤화 및 수소화처리된 원료에 비해 저온 특성이 더 우수하다.
이성질체화 단계는 이성질체화 촉매의 존재 하에, 선택적으로는 이성질체화 공정에 첨가되는 수소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적합한 이성질체화 촉매는 분자체 및/또는 주기율표의 VIII족에서 선택된 금속 및 선택적으로 담체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성질체화 촉매는: SAPO-11, 또는 SAPO-41, 또는 ZSM-22, 또는 ZSM-23, 또는 페너라이트, 및 Pt, Pd 또는 Ni, 및 Al2O3 또는 SiO2를 함유한다. 전형적인 이성질체화 촉매는: 예를 들어 Pt/SAPO-11/Al2O3, Pt/ZSM-22/Al2O3, Pt/ZSM-23/Al2O3, 및 Pt/SAPO-11/SiO2이다. 촉매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첨가된 수소의 존재는 특히, 촉매 불활성화를 감소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성질체화 촉매는, 수소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Pt-SAPO 및/또는 Pt-ZSM-촉매와 같은 귀금속 이작용성 촉매이다. 이성질체화 단계는, 예를 들어 200-400℃, 바람직하게는 280-400℃의 온도 및 1-15 MPa, 바람직하게는 1-10 MPa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성질체화 단계는, 정제 단계 및 분획화 단계와 같은 추가적인 중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성질체화는 예를 들어 300°C 내지 350°C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이성질체화 반응 조건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250 내지 400℃ 범위의 온도; 3 내지 6 MPa 범위의 압력; 0.5 내지 3 1/h 범위의 WHSV; 100-800 nl H2/l 공급의 H2 흐름. 수소첨가이성질체화 반응은 이성질체화 촉매, 예컨대, 선택적으로 알루미나 및/또는 실리카 지지체 상의, VIII족 금속 및 분자체를 포함하는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부수적으로, 이성질체화 처리는 주로 수소화처리된 원료를 이성질체화하는 역할을 하는 단계이다. 즉, HDO는 전형적으로 선택된 반응 조건에 따라 약간의 이성질체화 정도(보통 5 중량% 미만)를 야기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성질체화 단계는 이소파라핀 함량의 상당한 증가로 이어지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컷들(cuts)은 -40℃ 미만의 유동점을 가지며, 이를 고려하여 적어도 9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와 같은 매우 높은 이성질체화 정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공정은, 심지어는 동일한 컷을 취하더라도, 탄소 사슬 분포, 분기, 및 특성이 다른 서로 다른 제품을 제공한다.
수소첨가탈산소화 단계 및 이성질체화 단계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들은 이 조합된 단계를 위한 단일 촉매, NiW 또는 Pt 촉매, 예를 들어 지지체 상의 Mo 촉매와 혼합된 Pt/SAPO, 예를 들어 알루미나 상의 NiMo를 사용하여 동일한 촉매층에서 단일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수소화마감 단계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이성질체화 단계 후, 공급원료는 남아있는 이중 결합 및 방향족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수소화마감 처리될 수 있지만 이 단계는 의무 사항이 아니다. 수소화마감(hydrofinishing)은 촉매 존재 하에 수소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압력 범위는 1 내지 20 MPa,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MPa,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MPa이다. 온도는 5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범위일 수 있다. 수소화마감에서, 원소 주기율표의 VIII족 금속 및 지지체를 함유하는 특수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수소화마감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된 Pd, Pt 또는 Ni 촉매이고, 지지체는 알루미나 및/또는 실리카이다. 마감은 또한, 가령 점토 또는 분자체와 같은 흡착 재료를 사용하여 극성 성분을 제거하여 달성할 수도 있다.
분획화 단계
임의의 공지된 분획화 방법 또는 분획화 방법의 조합은,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어 약 280°C 내지 약 400°C(EN ISO3405:2011), 또는 약 280°C 내지 약 350°C 범위 내(EN ISO3405:2011)의 비등 범위를 갖는 탄화수소 조성물을 회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는, 비등 범위가 280-400℃인 분획의 탄소수 분포가, 증류물이 0-4 중량% C15 파라핀, 18-21 중량% C16 파라핀, 10-13 중량% C17 파라핀, 9-11 중량% C18 파라핀, 8.5-10.5 중량% C19 파라핀, 8.5-10.5 중량% C20 파라핀, 8-10 중량% C21 파라핀, 7.5-9.5 중량% C22 파라핀, 7-9.5 중량% C23 파라핀, 6-8 중량% C24 파라핀, 및 4.5-6.5 중량% C25-C29 파라핀을 포함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는, 비등 범위가 280-350℃인 분획의 탄소수 분포가, 증류물이 0-5 중량% C15 파라핀, 27-30 중량% C16 파라핀, 16.5-19 중량% C17 파라핀, 15.5-18.5중량% C18 파라핀, 15.5-18중량% C19 파라핀, 11.5-14.5중량% C20 파라핀, 2.5-5.5중량% C21 파라핀, 및 0.1-2 중량% C22 파라핀을 포함하도록 선택된다.
상기 명시된 바와 같은 탄소수 분포는, 다른 탄소수가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지만,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탄소수에 대해 0.3중량% 미만의 양으로만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의 i-파라핀이 회수된 증류 분획에 도달하도록 분리를 선택한다.
일실시예에서,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증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공정에 적용함으로써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이 생성된다.
일실시예에서 초기 비등점(IBP)은 280℃이고 최종 비등점(FBP)은 400℃이다(EN-ISO3405:2011).
일실시예에서 초기 비등점(IBP)는 280℃이고 최종 비등점 FBP는 375℃이다(EN-ISO3405:2011).
일실시예에서 초기 비등점(IBP)은 280℃이고 최종 비등점(FBP)은 350℃이다(EN-ISO3405:2011).
일실시예에서 공정은 2개 이상의 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가령, 탄소 사슬 길이가 C16 및 C18에서 피크인 화합물을 다량으로 갖는 재생 가능한 공급 원료를 선택하는 것과 같이, 유리한 특성과 관련되는 재생 가능한 공급 원료의 선택이,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및 재생 가능한 기유를 포함하는 생성물의 수율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수율은,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 생산 공정에서 공정 조건의 선택에 의해서도 증가될 수 있다.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리 지방산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원료는 케톤화 조건 하에서 케톤화되고, 이어서 수소첨가탈산소화 조건 하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가 일어난다. 케톤화되고 수소첨가탈산소화된 원료는 이성질체화되고 선택적 수소화마무리 단계가 뒤따른다. 그런 다음 생성물은 초기 분획화에 적용되며, 이는 증류 또는 스트리퍼(stripper)에 의해 적용되고, 여기서 생성물은, 데미스터 나프타, 스트리퍼 나프타 및 바닥 생성물로 분획화된다. 스트리퍼 나프타를 추가로 분획화하여, 가령 경유 분획과 같은 중간 증류물과, 디미스터 나프타에서 얻은 가솔린과 함께 사용하는 가솔린을 생산한다. 바닥 생성물은 디젤과 같은 중간 증류물과, 재생 가능한 기유 분획으로 더 분획화된다. 재생 가능한 기유 분획을 추가로 분획화하고, 280-400°C 또는 280-350°C의 증류물 컷을 수집하고,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로서의 성능 측면에서 평가한다. 더 중질의 컷에는 재생 가능한 기유 생성물이 포함된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유리 지방산 및 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재생가능한 공급원료를 케톤화 조건 하에서 케톤화시키는 단계, 재생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해 케톤화된 재생가능한 공급원료를 수소화처리 조건 하에서 수소화처리하는 단계,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을 획득하기 위해 재생 가능한 파라핀 중간 생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하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IEC60296(2012) 국제 표준에 따른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20℃에서 895 kg/m3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 kg/m3 미만의 밀도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40℃(ISO 3016) 미만의 유동점을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40℃에서 12 mm2/s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m2/s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8 mm2/s 미만, 예컨대 6 mm2/s 미만의 동점도(kinematic viscosity)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30℃에서 1800 mm2/s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mm2/s 미만, 예컨대 120 mm2/s 미만의 동점도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135℃ 이상의 인화점을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0.01 mg KOH/g 이하, 예를 들어 0.005 mg KOH/g 이하의 전체 산도(total acidity)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30 mg/kg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mg/kg 미만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는, 회수된 전기기술 조성물이 약 280℃ 내지 약 400℃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약 280℃ 내지 약 400℃ 범위 내 비등 범위(EN ISO3405:2011),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80℃ 내지 약 350℃(EN ISO3405:2011)의 비등 범위를 갖도록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는 증류에 의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는 분획화 증류에 의해 제공된다.
일실시예에서 케톤화는: 10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4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케톤화는 0.1 내지 5 MPa,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MPa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케톤화는 0.1 내지 10 l/h,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l/h,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 l/h의 공급물 유량(feed flow rate) WHSV에서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케톤화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산화물 케톤화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금속 산화물 케톤화 촉매는 Ti, 더 바람직하게는 TiO2를 포함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촉매는 TiO2로 구성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케톤화 조건은 100 내지 400℃의 온도, 0.1 내지 5MPa의 압력 및 금속 산화물 케톤화 촉매의 존재를 포함하며, 여기서 케톤화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TiO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소화처리 조건은 수소 기체 및 Ni, Mo, Co 또는 W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촉매의 존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소화처리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수소첨가탈산소화 조건 하의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이성질체화 조건 하의 이성질체화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는 15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는 1 내지 15 MPa,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 MPa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는 0.1 내지 10 1/h,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 1/h,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1/h의 공급물 유량의 WHSV에서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는 350-9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에서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는 하나 이상의 수소첨가탈산소화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일실시예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 촉매는 Pd, Pt, Ni, CoMo, NiMo, NiW 및 CoNiM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촉매는 알루미나, 실리카,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무정형 탄소, 분자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지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수소첨가탈산소화 조건은 150 내지 400℃ 범위의 온도에서 1 내지 15 MPa 범위의 수소 압력, 및 Pd, Pt, Ni, NiMo, CoMo 또는 NiW 금속 및 활성 탄소, 알루미나 및/또는 실리카 지지체를 함유하는 촉매의 존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성질체화 조건은 20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4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 내지 400℃의 온도 범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성질체화 조건은 1 내지 15 MPa,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Pa의 압력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성질체화 조건은 0.5 내지 3 1/h의 공급물 유량 WHSV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성질체화 조건은 100-800 nl H2/l 공급물의 H2 흐름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성질체화 조건은 수소첨가이성질체화 촉매의 존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수소첨가이성질체화 촉매는 선택적으로 알루미나 및/또는 실리카 지지체 상의 VIII족 금속, 바람직하게는 Pd, Pt 또는 Ni로부터 선택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성질체화 조건은 200 내지 400℃ 범위의 온도에서 1 내지 15MPa 범위의 수소압, 및 분자체, 및 Pd, Pt 또는 Ni 금속 및/또는 알루미나 및/또는 실리카인 지지체의 존재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방법은 API 그룹 III 기유 사양을 충족하고, > 90 중량% 포화 탄화수소, < 0.03 중량%의 황 및 > 120의 점도 지수를 갖는 재생 기유 제품을 얻기 위해,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제2 또는 추가의, 예컨대 제3의 분획화로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C15-C29 범위, 바람직하게는 C15-C25 범위의, 9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초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초과의 파라핀을 포함하고, 여기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IEC60296에 따른 요건을 충족한다.
하기 실시예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모두에 적용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20℃에서 895 kg/m3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 kg/m3 미만의 밀도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40℃(ISO 3016) 미만의 유동점을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40℃에서 동점도가 12 mm2/s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m2/s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8 mm2/s 미만이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30℃에서 동점도가 1800 mm2/s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mm2/s 미만이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135℃ 이상의 인화점을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0.01 mg KOH/g 이하의 전체 산도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30 mg/kg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mg/kg 미만의 수분 함량을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 하지만 최대 5 중량% 이하의 C15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18 중량% 초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초과, 예컨대 28 중량% 초과이지만, 35중량% 이하의 C16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7중량% 초과, 그러나 24중량% 이하의 C17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8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6중량% 초과, 그러나 23중량% 이하의 C18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8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6중량% 초과, 그러나 최대 23중량%의 C19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8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9중량%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12중량% 초과, 그러나 최대 19중량%의 C20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9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이지만, 1 중량%이상의 C21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2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9 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미만이지만, 0.1 중량% 이상의 C22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4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9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중량%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25중량% 미만이지만, 0.05중량% 이상의 C23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7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미만의 C24 파라핀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총 이소파라핀계 함량을 93 중량% 초과지만, 99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94 중량% 초과지만, 98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초과지만 97 중량% 미만으로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n-파라핀의 양에 대한 i-파라핀의 양의 중량비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초과이다.
일실시예에서 n-파라핀의 양에 대한 i-파라핀의 양의 중량비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2 미만이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는 40℃에서 ENISO 3104에 따라 측정된 동점도가 12 mm2/s 이하, 전형적으로 3 내지 mm2/s이고, -30℃에서 ENISO 3104에 따라 측정된 동점도가 1800 mm2/s 이하, 일반적으로 120 mm2/s 미만, ENISO 2719에 따라 측정한 인화점(PM)이 135°C 이상, 일반적으로 137°C 이상이며, 산도는 0.3 mg KOH/g 이하, 전형적으로 0.009 mg KOH/g 미만이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유체는 40℃에서 ENISO 3104에 따라 측정된 동점도가 12 mm2/s 이하, 전형적으로 4 내지 8 mm2/s이고, -30℃에서 ENISO 3104에 따라 측정된 동점도가 1800 mm2/s 이하, 일반적으로 500 mm2/s 미만이며, ENISO 2719에 따라 측정한 인화점(PM)은 최소 135°C, 일반적으로 최소 135°C 이상이고, 산도는 0.3 mg KOH/g 미만, 일반적으로 0.002 mg KOH/g이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C29까지의 탄소수 범위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C25까지의 탄소수 범위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전기기술 조성물은 C15 이하의 탄소수 범위를 갖는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변압기, 바람직하게는 전력 변압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변압기 오일, 또는 변압기 오일, 배터리 냉각제, 열전달 유체, 냉각제, 절연유, 초크 흡수 유체 또는 케이블 오일의 성분으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배터리 냉각제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서버 팜 냉각제(server farm coolant)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C15-C29 범위, 바람직하게는 C15-C25 범위에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초과의 파라핀을 포함하고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IEC60296에 따른 요건을 충족한다.
실시예 1(비교)
표 1은 실시예 1, NRI-A(비교)의 조성물에 대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표 2는 실시예 1, NRI-A의 조성물에 대한 탄소수 분포를 요약한 것이다.
실시예 1의 샘플 조성물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재생 가능한 기원의 공급원료의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이성질체화에 의해 생성되었다. 수소첨가탈산소화 전에 케톤화를 수행하지 않았다. 이성질체화 단계에 이어서, 초기 비등점(IBP) 275℃ 및 최종 비등점(FBP) 300℃를 갖는 탄화수소 조성물을 회수하기 위한 증류 단계가 후속되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탄소수 분포는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은 매우 좁은 탄소수 분포를 나타내며, 여기서 C15 파라핀은 조성물의 0.02 중량%를 구성하고, C16 파라핀은 2.31 중량%를 구성하며, C17 파라핀은 조성물의 24.97 중량%를 구성하고, C18 파라핀은 조성물의 70.65 중량%를 구성하고, C19 파라핀은 조성물의 1.59 중량%를 구성하고, C20 파라핀은 조성물의 0.45 중량%를 구성하며, C21 파라핀은 조성물의 0.01 중량%를 구성한다. 모든 파라핀의 99.97 중량%는 C16-C20 범위에 있다.
[표 1] 비교 조성물 NRI-A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Figure pct00002
[표 2] 비교 조성물 NRI-A에 대한 탄소수 분포
Figure pct00003
실시예 2(비교)
표 3은 상용 샘플 A, 상용 샘플 B, 및 Neste NRI-B(비교)의 세 가지 시판 제품의 조성에 대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요약한 것이다.
[표 3] 상용 샘플 A, 상용 샘플 B, 및 Neste NRI-B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Figure pct00004
실시예 3
RBO 프로세스
팜유 지방산 증류액(PFAD)은 케톤화 단계의 공급원료로 사용되었다. 사용된 분획 공급물은 주로 C16:0 지방산으로 구성되었다. 케톤화는 CO2 대기(650 l/h)에서 TiO2 촉매를 사용하여, 1.8 MPa 압력 하에서 350 °C에서 작동되는 파일럿 연속 작동식 고정층 반응기 시스템에서 수행되었다. 공급 속도(feed rate)는, 가스 레이트 0.6 g/g 및 WHSV 1.11/h로 2.2 kg/h였다. 형성된 가스는, NiMo 촉매를 포함하는 연속 고정층 HDO 반응기로 향하는 액체 케톤 생성물로부터 분리되었다. 주로 C31 케톤을 함유하는 케톤 생성물에 대해, 수소(1270 l/h)에서 6.0 MPa 압력 하에 309℃ 온도에서 수소첨가탈산소화를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공급 속도는 1.4 kg/h 및 가스 비율은 712 Nl/l이었다. 얻어진 파라핀계 액체 HDO 생성물은, 추가로 수소첨가이성질체화 및 수소화 마감으로 진행하였다. 수소이성질체화 반응기는, 상업적 수소이성질체화 촉매 및 0.9 1/h의 WHSV, 및 674 Nl/l의 가스(수소) 대 공급 비율을 사용하여 4.5 MPa 압력 하에 340℃에서 작동되었다. 수소화 마무리 반응기의 온도는 동일한 압력에서 285℃, WHSV 3.0 1/h였다.
전기기술 유체의 회수
RBO 공정의 재생 가능한 파라핀 분지형 중간 생성물은, 증류에 의해 디미스터 나프타, 나프타, 디젤, 전기기술 유체 성분, 및 재생 가능한 기유 성분으로 분획화되었다. 두 가지 다른 전기기술 유체 성분들이 수집되었다. 하나는 280-400 °C에서 증류 컷되고 다른 하나는 280-350 °C에서 증류 컷된다. 이러한 컷들은, 특성 및 전기 기술 사용에 대한 적합성 측면에서 평가되었다.
2개의 분획화된 컷들에 대한 특성 평가는, 증류 컷이 전기기술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함을 보여주었다.
표 4는 280 내지 400℃ 또는 280 내지 350℃에서 증류 컷을 갖는, 실시예 3의 2가지 전기기술 조성물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요약한다.
표 5는 280 내지 400℃에서 증류 컷을 갖는 조성물의 탄소수 분포를 요약하고, 표 6은 280 내지 350℃에서 증류 컷을 갖는 조성물의 탄소수 분포를 요약한다.
[표 4] 280-350℃ 및 280-400℃에서 증류 컷을 갖는 전기기술 조성물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
Figure pct00005
[표 5] 280-400℃에서 증류 컷을 갖는 전기기술 조성물의 탄소수 분포
Figure pct00006
[표 6] 280-350℃에서 증류 컷을 갖는 조성물의 탄소수 분포
Figure pct00007
280-400℃에서 증류 컷의 경우, 모든 파라핀의 99.78 중량%가 C15-C29 범위에 있었다. 예를 들어, 실시예 1의 전기기술 구성, 즉 NRI-A에 비한 개선점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할 때 획득되는 생성물에서의 더 높은 이성질체화 정도에 있어서 확인될 수 있다(본 발명에 따른 280-400℃에서의 증류 컷에서 3.21%의 노말 파라핀에 비교되는 실시예 1의 NRI-A에 대한 4.59%의 노말 파라핀).
280-400℃ 및 280-350℃에서의 증류 컷 모두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술 조성물에서, 생산 방법에서 케톤화가 일어나지 않고, 제품의 고분자량 성분이 C20에서 끝나는 실시예 1의 조성과 비교할 때, 더 높은 분자량 성분, 즉 심지어 C25-C29까지 획득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C15 i-파라핀의 양 대 C15 n-파라핀의 양의 비율은, 조성물 중의 C15 i-파라핀의 중량 및 C15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3.8이었다. C16 i-파라핀의 양 대 C16 n-파라핀의 양의 비는, 조성물 중의 C16 i-파라핀의 중량 및 C16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12.5였다. C17 i-파라핀의 양 대 C17 n-파라핀의 양의 비율은 조성물 중의 C17 i-파라핀의 중량 및 C17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29.0이었다. C18 i-파라핀의 양 대 C18 n-파라핀의 양의 비율은 조성물 중 C18 i-파라핀의 중량 및 C18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74.8이었다. C19 i-파라핀의 양 대 C19 n-파라핀의 양의 비율은 조성물 중 C19 i-파라핀의 중량 및 C19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92.8이었다. C20 n-파라핀의 양에 대한 C20 i-파라핀의 양의 비율은 조성물 중 C20 i-파라핀의 중량 및 C20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135.4였다. C21 i-파라핀의 양 대 C21 n-파라핀의 양의 비는 조성물 중 C21 i-파라핀의 중량 및 C21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48.9였다. C22 i-파라핀의 양 대 C22 n-파라핀의 양의 비는 조성물 중의 C22 i-파라핀의 중량 및 C22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56.0이었다. C23 i-파라핀의 양 대 C23 n-파라핀의 양의 비는 조성물 중의 C23 i-파라핀의 중량 및 C23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42.3이었다. C24 i-파라핀의 양 대 C24 n-파라핀의 양의 비는 조성물 중 C24 i-파라핀의 중량 및 C24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68.7이었다.
280-350℃에서의 증류 컷의 경우, 모든 파라핀의 100 중량%가 C15-C29 범위에 있었고, 모든 파라핀의 99.92 중량%가 C15-C22 범위에 있었다. C15 i-파라핀의 양 대 C15 n-파라핀의 양의 비율은 조성물 중의 C15 i-파라핀의 중량 및 C15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3.8이었다. C16 i-파라핀의 양 대 C16 n-파라핀의 양의 비율은 조성물 중의 C16 i-파라핀의 중량 및 C16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11.9였다. C17 i-파라핀의 양 대 C17 n-파라핀의 양의 비는 조성물 중 C17 i-파라핀의 중량 및 C17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23.3이었다. C18 i-파라핀의 양 대 C18 n-파라핀의 양의 비는 조성물 중의 C18 i-파라핀의 중량 및 C18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129.2였다. C19 i-파라핀의 양 대 C19 n-파라핀의 양의 비율은 조성물 중 C19 i-파라핀의 중량 및 C19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53.4였다. C20 n-파라핀의 양에 대한 C20 i-파라핀의 양의 비율은 조성물 중 C20 i-파라핀의 중량 및 C20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45.4였다. C21 i-파라핀의 양 대 C21 n-파라핀의 양의 비는 조성물 중의 C21 i-파라핀의 중량 및 C21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65.3이었다. C22 i-파라핀의 양 대 C22 n-파라핀의 양의 비는 조성물 중의 C22 i-파라핀의 중량 및 C22 n-파라핀의 중량을 기준으로 58.0이었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280-350℃ 및 280-400℃에서 증류 컷을 갖는 분획들은 변압기 오일 성능 면에서 좋은 결과로 평가되었다. 두 분획 컷의 결과는 표준 요구 사항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0-350℃의 분획은 280-400℃의 분획보다 낮은 점도, 낮은 운점, 및 높은 계면 장력을 가졌다.
280-350℃ 분획에 대한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은 UOP495에 따라 측정되었으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만큼 낮았다. 이와 같이 적은 양은 안전 및 독성 문제에 유익하며, 더 많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다른 전기기술 조성물과 비교하여 큰 이점이다. 또한, 나프탈렌의 함량은 분획 280-350℃에 대해 UOP495에 따라 측정되었고, < 0.001이었으며, 이는 즉 나프탈렌이 발암 물질이기 때문에 유익하게 낮은 값이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사상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 및 이에 대한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고,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Claims (37)

  1.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유리 지방산 및 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를 케톤화 조건 하에서 케톤화시키는 단계와,
    b)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획득하기 위해, 케톤화된 재생 가능한 공급원료를 수소화처리 조건 하에서 수소화처리하는 단계와,
    c)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fractionation)에 적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IEC60296(2012) 국제 표준에 따른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는, 회수된 전기기술 조성물이 280℃ 내지 400℃ 범위 내의 비등 범위(EN ISO3405:2011)를 갖도록 수행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는, 증류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톤화 조건은: 100 내지 500℃의 온도, 0.1 내지 5 MPa의 압력, 및 금속 산화물 케톤화 촉매의 존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톤화 촉매는 바람직하게는 TiO2를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처리 조건은: Ni, Mo, Co 또는 W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촉매 및 수소 기체의 존재를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처리하는 단계는, 수소첨가탈산소화(hydrodeoxygenation) 조건 하에서의 수소첨가탈산소화 및 이성질체화 조건 하에서의 이성질체화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첨가탈산소화 조건은: 150 내지 400℃ 범위의 온도에서, 1 내지 15 MPa 범위의 수소 압력, 및 Pd, Pt, Ni, NiMo, CoMo, 또는 NiW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의 존재, 및 활성 탄소, 알루미나 및/또는 실리카 지지체를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질체화 조건은: 200 내지 400℃ 범위의 온도에서 1 내지 15 MPa 범위의 수소 압력, 및 분자체 및 Pd, Pt 또는 Ni 금속으로부터 선택된 촉매의 존재, 및/또는 알루미나 및/또는 실리카인 지지체를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PI 그룹 III 기유 사양을 충족하고, 90 중량% 초과의 포화 탄화수소, 0.03중량% 미만의 황 및 120 초과의 점도 지수(viscosity index)를 갖는, 재생 가능한 기유 생성물을 추가로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재생 가능한 파라핀계 중간 생성물을 적어도 하나의 분획화에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획득된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로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C15-C29 범위, 바람직하게는 C15-C25 범위의, 9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초과, 더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초과의 파라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IEC60296(2012)에 따른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20℃에서의 밀도가 895 kg/m3이하, 바람직하게는 800 kg/m3미만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40℃ 미만의 유동점(ISO 3016)을 갖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40℃에서 12 mm2/s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mm2/s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8 mm2/s 미만의 동점도를 갖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30℃에서 1800 mm2/s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mm2/s 미만의 동점도를 갖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135℃ 이상의 인화점을 갖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0.01 mg KOH/g 이하의 총 산도를 갖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30 mg/kg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mg/kg 미만의 수분 함량을 갖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 중량%의 C15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2 중량%의 C16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4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 중량%의 C17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1. 제10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3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1 중량%의 C18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2. 제10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3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1 중량%의 C19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3. 제1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9 중량%,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7 중량%의 C20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4. 제1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2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의 C21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5. 제1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2 중량%,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중량%의 C22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6. 제10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 내지 14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의 C23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7. 제1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7 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 0.1 중량% 미만의 C24 파라핀을 포함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8. 제10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이소파라핀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93 중량% 초과 내지 99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94 중량% 초과 내지 98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초과 내지 97 중량% 미만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29. 제10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파라핀의 양에 대한 i-파라핀의 양의 중량 비율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을 초과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30. 제1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파라핀의 양에 대한 i-파라핀의 양의 중량 비율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2을 미만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31. 제1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는:
    40℃에서 ENISO 3104에 따라 측정된 12 mm2/s 이하, 일반적으로 3 내지 4.5 mm2/s의 동점도와,
    -30℃에서 ENISO 3104에 따라 측정된 1800 mm2/s 이하, 일반적으로 120 mm2/s 미만의 동점도와,
    ENISO 2719에 따라 측정된 135℃ 이상, 일반적으로 137℃ 이상의 인화점(PM)과,
    0.3 mg KOH/g 이하, 전형적으로 0.009 mg KOH/g 이하의 산도를 갖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32. 제1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술 유체는:
    40℃에서 ENISO 3104에 따라 측정된 12 mm2/s 이하, 일반적으로 4 내지 8 mm2/s의 동점도와,
    -30℃에서 ENISO 3104에 따라 측정된 1800 mm2/s 이하, 일반적으로 500 mm2/s 미만의 동점도와,
    ENISO 2719에 따라 측정된 135℃ 이상, 일반적으로 135℃ 이상의 인화점(PM)과,
    0.3 mg KOH/g 이하, 전형적으로 0.002 mg KOH/g 이하의 산도를 갖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33. 변압기, 바람직하게는 전력 변압기에서의, 제1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용도.
  34. 제1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변압기 오일, 또는 변압기 오일, 배터리 냉각제, 열 전달 유체, 냉각제, 절연 오일, 초크 흡수 유체 또는 케이블 오일의 성분으로서의 용도.
  35. 전기 자동차 배터리 냉각제로서의 제1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용도.
  36. 서버 팜 냉각제로서의 제1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의 용도.
  37.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로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C15-C29 범위, 바람직하게는 C15-C25 범위의 9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97 중량% 초과,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99 중량% 초과의 파라핀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은 IEC60296(2012)에 따른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기술 유체 조성물.
KR1020237014425A 2020-11-11 2020-11-11 전기기술 유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053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I2020/050743 WO2022101540A1 (en) 2020-11-11 2020-11-11 Electrotechnical flui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331A true KR20230105331A (ko) 2023-07-11

Family

ID=8160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425A KR20230105331A (ko) 2020-11-11 2020-11-11 전기기술 유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21338A1 (ko)
EP (1) EP4244309A1 (ko)
JP (1) JP2024500610A (ko)
KR (1) KR20230105331A (ko)
CN (1) CN116391005A (ko)
CA (1) CA3193663A1 (ko)
WO (1) WO20221015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1403807SA (en) * 2012-01-31 2014-09-26 Neste Oil Oyj A method for production of hydrocarbons by increasing hydrocarbon chain length
EP3315586A1 (en) * 2016-10-27 2018-05-02 Total Marketing Services Use of biodegradable hydrocarbon fluids as heat-transfer media
PL3352177T3 (pl) * 2017-01-24 2021-12-20 Avantherm Ab Biogeniczny olej izolacyjny o niskiej lepkości
FR3073228B1 (fr) * 2017-11-09 2020-10-23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lubrifiante pour engrenage
FI128524B (en) * 2018-12-31 2020-07-15 Neste Oyj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enewable base oil and renewable fuel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93663A1 (en) 2022-05-19
CN116391005A (zh) 2023-07-04
US20240021338A1 (en) 2024-01-18
JP2024500610A (ja) 2024-01-10
EP4244309A1 (en) 2023-09-20
WO2022101540A1 (en)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56397C (en) Production of paraffinic products
JP5281409B2 (ja) 炭化水素成分の製造方法
JP5538722B2 (ja) ベースオイル
JP6145161B2 (ja) 高粘度指数潤滑油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302651B1 (ko) 측쇄 탄화수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A2631848A1 (en) Process for producing a saturated hydrocarbon component
EP3797144B1 (en) Paraffinic products, a method for producing paraffinic products and a use of paraffinic products
JP2020090660A (ja) バイオジェット燃料の製造方法
KR102662885B1 (ko) 양호한 세탄가와 양호한 저온 특성을 갖는 재생 가능한 탄화수소 조성물
KR20230105331A (ko) 전기기술 유체 및 그 제조 방법
BRPI0619604A2 (pt) óleo-base
WO2024079387A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n aviation fuel component
CA3194958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cracking product fraction comprising propylene, c4 olefins, or bo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