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538A -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538A
KR20230104538A KR1020227036022A KR20227036022A KR20230104538A KR 20230104538 A KR20230104538 A KR 20230104538A KR 1020227036022 A KR1020227036022 A KR 1020227036022A KR 20227036022 A KR20227036022 A KR 20227036022A KR 20230104538 A KR20230104538 A KR 20230104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display image
parameter
heating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0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7Temperatur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1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 proportional output signal, e.g. from a thermis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8Liquids non-physiolog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92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telemetric means, e.g. radio or optical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61M2205/363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thermally insul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2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과제] 유저가 흡인 장치의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 장치.

Description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전자 담배 및 네블라이저 등의, 유저에게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흡인 장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에어로졸원(源), 및 생성된 에어로졸에 향미(香味)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향미원 등을 포함하는 기재(基材)를 사용하여,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유저는,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향미 성분이 부여된 에어로졸을 흡인함으로써, 향미를 맛볼 수 있다.
근래에는, 유저의 흡인 체험을 보다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 흡인 장치에 관한 여러 가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흡인 장치에 의한 에어로졸의 송달량을, 시간 경과와 함께 변화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제 2020/084776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은, 개발되고 나서 얼마 지나지 않았고, 유저의 흡인 체험을 보다 풍부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유저가 흡인 장치의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어느 관점에 의하면,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상기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를, 다른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유저 조작에 따라 변경된 것에 근거하여 변경해도 된다.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인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인 퍼프 검출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상기 조작 대상이 아닌 상기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태양(態樣)으로 표시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개시 시점부터 상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전체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인 퍼프 검출 타이밍을 포함하는 일부 구간의 상기 프로파일을 발췌하여 표시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프로파일의 비교 대상인 다른 프로파일을 더 표시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프로파일로서, 상기 프로파일과 기준으로 하는 다른 프로파일의 차(差)를 표시해도 된다.
상기 다른 프로파일은, 변경 전의 상기 프로파일이어도 된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파라미터로서 상기 흡인 장치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규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의 프로파일이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변경 후의 상기 제1의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흡인 장치를 제어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변경 후의 상기 제1의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흡인 장치가 동작했을 때에 검출된다고 예측되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파라미터로서 상기 흡인 장치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실시했을 때에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의 프로파일이어도 된다.
상기 제어부는, 변경 후의 상기 제2의 프로파일을 실현하기 위한, 상기 흡인 장치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규정하는 정보를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제1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제1의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도록 흡인 장치를 제어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프로파일을, 그래프로 하여 표시해도 된다.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표로 하여 표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것과, 생성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컴퓨터를,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흡인 장치의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가 제공된다.
[도 1] 흡인 장치의 제1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흡인 장치의 제2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 프로파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5]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1. 흡인 장치의 구성예>>
흡인 장치는, 유저에 의해 흡인되는 물질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이, 에어로졸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그 밖에,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은, 기체여도 된다.
(1) 제1의 구성예
도 1은, 흡인 장치의 제1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듯이,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A)는, 전원 유닛(110), 카트리지(120), 및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를 포함한다. 전원 유닛(110)은, 전원부(111A), 센서부(112A), 통지부(113A), 기억부(114A), 통신부(115A), 및 제어부(116A)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20)는, 가열부(121A), 액(液) 유도부(122), 및 액(液) 저장부(123)를 포함한다.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는, 향미원(131), 및 마우스피스(124)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20) 및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에는, 공기 유로(180)가 형성된다.
전원부(111A)는, 전력을 축적한다. 그리고, 전원부(111A)는, 제어부(116A)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흡인 장치(100A)의 각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111A)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12A)는, 흡인 장치(100A)에 관한 각종 정보를 취득한다. 일례로서, 센서부(112A)는, 마이크로폰 콘덴서 등의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또는 온도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고, 유저에 의한 흡인에 따른 값을 취득한다. 다른 일례로서, 센서부(112A)는,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유저로부터의 정보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통지부(113A)는,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통지부(113A)는, 예를 들면, 발광하는 발광 장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소리를 출력하는 음(音) 출력 장치, 또는 진동하는 진동 장치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114A)는, 흡인 장치(100A)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114A)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부(115A)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면, Wi-F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제어부(116A)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흡인 장치(100A)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16A)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액 저장부(123)는, 에어로졸원을 저장한다. 에어로졸원이 무화(霧化)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에어로졸원은, 예를 들면,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물 등의 액체이다. 에어로졸원은, 담배 유래 또는 비(非)담배 유래의 향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인 장치(100A)가 네블라이저 등의 의료용 흡입기인 경우, 에어로졸원은, 약제를 포함해도 된다.
액 유도부(122)는, 액 저장부(123)에 저장된 액체인 에어로졸원을, 액 저장부(123)로부터 유도하고, 보지(保持, 보관유지)한다. 액 유도부(122)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등의 섬유 소재 또는 다공질 형상의 세라믹 등의 다공질 형상 소재를 꼬아 형성되는 윅(wick)이다. 그 경우, 액 저장부(123)에 저장된 에어로졸원은, 윅의 모세관 효과에 의해 유도된다.
가열부(121A)는, 에어로졸원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원을 무화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가열부(121A)는, 코일로서 구성되고, 액 유도부(122)에 휘감긴다. 가열부(121A)가 발열하면, 액 유도부(122)에 보지된 에어로졸원이 가열되어 무화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가열부(121A)는, 전원부(111A)로부터 급전되면 발열한다. 일례로서, 유저가 흡인을 개시한 것, 및/또는 소정의 정보가 입력된 것이, 센서부(112A)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되어도 된다. 그리고, 유저가 흡인을 종료한 것, 및/또는 소정의 정보가 입력된 것이, 센서부(112A)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급전이 정지되어도 된다.
향미원(131)은, 에어로졸에 향미 성분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향미원(131)은, 담배 유래 또는 비담배 유래의 향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공기 유로(180)는, 유저에게 흡인되는 공기의 유로이다. 공기 유로(180)는, 공기 유로(180) 내로의 공기의 입구인 공기 유입 구멍(181)과, 공기 유로(180)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 구멍(182)을 양단(兩端)으로 하는 관 형상 구조를 가진다. 공기 유로(180)의 도중에는, 상류측(공기 유입 구멍(181)에 가까운 쪽)에 액 유도부(122)가 배치되고, 하류측(공기 유출 구멍(182)에 가까운 쪽)에 향미원(131)이 배치된다. 유저에 의한 흡인에 따라 공기 유입 구멍(18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가열부(121A)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되고, 화살표(190)에 나타내듯이, 향미원(131)을 통과하여 공기 유출 구멍(182)으로 수송된다. 에어로졸과 공기의 혼합 유체가 향미원(131)을 통과 시에는, 향미원(131)에 포함되는 향미 성분이 에어로졸에 부여된다.
마우스피스(124)는, 흡인 시에 유저에게 물리는 부재이다. 마우스피스(124)에는, 공기 유출 구멍(182)이 배치된다. 유저는, 마우스피스(124)를 물고 흡인함으로써, 에어로졸과 공기의 혼합 유체를 구강 내로 도입할 수 있다.
이상, 흡인 장치(100A)의 구성예를 설명했다. 물론 흡인 장치(100A)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예시하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일례로서, 흡인 장치(100A)는,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카트리지(120)에 마우스피스(124)가 설치된다.
다른 일례로서, 흡인 장치(100A)는, 복수 종류의 에어로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 종류의 에어로졸원으로부터 생성된 복수 종류의 에어로졸이 공기 유로(180) 내에서 혼합되고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또 다른 종류의 에어로졸이 생성되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수단은, 가열부(121A)에 의한 가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수단은, 진동 무화, 또는 유도 가열이어도 된다.
(2) 제2의 구성예
도 2는, 흡인 장치의 제2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본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B)는, 전원부(111B), 센서부(112B), 통지부(113B), 기억부(114B), 통신부(115B), 제어부(116B), 가열부(121B), 보지부(140), 및 단열부(144)를 포함한다.
전원부(111B), 센서부(112B), 통지부(113B), 기억부(114B), 통신부(115B), 및 제어부(116B) 각각은, 제1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A)에 포함되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지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가지고, 내부 공간(141)에 스틱형 기재(150)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한다. 보지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외부에 연통하는 개구(142)를 가지고, 개구(142)로부터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보지한다. 예를 들면, 보지부(140)는, 개구(142) 및 저부(143)를 저면(底面)으로 하는 통형상체이며, 기둥 형상의 내부 공간(141)을 획정(劃定)한다. 보지부(140)는, 스틱형 기재(15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로를 획정하는 기능도 가진다. 이러한 유로로의 공기의 입구인 공기 유입 구멍은, 예를 들면 저부(143)에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유로로부터의 공기의 출구인 공기 유출 구멍은, 개구(142)이다.
스틱형 기재(150)는, 기재부(151), 및 흡구(吸口)부(152)를 포함한다. 기재부(151)는, 에어로졸원을 포함한다. 또한, 본 구성예에 있어서, 에어로졸원은 액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체여도 된다. 스틱형 기재(150)가 보지부(140)에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기재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 공간(141)에 수용되고, 흡구부(152)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142)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개구(142)로부터 돌출된 흡구부(152)를 유저가 물고 흡인하면, 도시하지 않는 공기 유입 구멍으로부터 내부 공간(141)에 공기가 유입되고, 기재부(151)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로졸과 함께 유저의 구내(口內)에 도달한다.
가열부(121B)는, 제1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단,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가열부(121B)는, 필름 형상으로 구성되고, 보지부(140)의 외주를 덮듯이 배치된다. 그리고, 가열부(121B)가 발열하면,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가 외주로부터 가열되고,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단열부(144)는, 가열부(121B)로부터 다른 구성 요소로의 전열(傳熱)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단열부(144)는, 진공 단열재, 또는 에어로겔 단열재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상, 흡인 장치(100B)의 구성예를 설명했다. 물론 흡인 장치(100B)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 예시하는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열부(121B)는, 블레이드 형상으로 구성되고, 보지부(140)의 저부(143)로부터 내부 공간(141)으로 돌출하듯이 배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 블레이드 형상의 가열부(121B)는,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에 삽입되고, 스틱형 기재(150)의 기재부(151)를 내부로부터 가열한다. 다른 일례로서, 가열부(121B)는, 보지부(140)의 저부(143)를 덮듯이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가열부(121B)는, 보지부(140)의 외주를 덮는 제1의 가열부, 블레이드 형상의 제2의 가열부, 및 보지부(140)의 저부(143)를 덮는 제3의 가열부 중, 2 이상의 조합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다른 일례로서, 보지부(140)는, 내부 공간(141)을 형성하는 외각(外殼)의 일부를 개폐하는, 힌지 등의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보지부(140)는, 외각을 개폐함으로써, 내부 공간(141)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를 협지(挾持)해도 된다. 그 경우, 가열부(121B)는, 보지부(140)에서의 해당 협지 개소에 설치되고, 스틱형 기재(150)를 압압하면서 가열해도 된다.
또한,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수단은, 가열부(121B)에 의한 가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수단은, 유도 가열이어도 된다.
또한, 흡인 장치(100B)는, 제1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가열부(121A), 액 유도부(122), 액 저장부(123), 및 공기 유로(180)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공기 유로(180)의 공기 유출 구멍(182)이 내부 공간(141)으로의 공기 유입 구멍을 겸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가열부(121A)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공기의 혼합 유체는, 내부 공간(141)으로 유입하여 가열부(121B)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과 더 혼합되고, 유저의 구강 내에 도달한다.
<<2. 기술적 특징>>
<2. 1. 시스템 구성예>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스템(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시스템(1)은, 흡인 장치(100), 및 유저 단말(200)을 포함한다.
(1) 흡인 장치(100)의 구성
흡인 장치(100)는, 상기 설명한 제1의 구성예, 또는 제2의 구성예 중 임의의 구성예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흡인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하는 것을, 단지 「흡인」 또는 「퍼프」라고도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기재를 사용하여 유저에게 흡인되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가열부(121)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생성부의 일례이다. 제1의 구성예에 있어서의 카트리지(120) 및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 및 제2의 구성예에 있어서의 스틱형 기재(15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의 일례이다. 흡인 장치(100)는, 흡인 장치(100)에 장착된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제1의 구성예에 있어서, 전원 유닛(110)에 접속된 카트리지(120) 및 향미 부여 카트리지(130)는, 흡인 장치(100)에 장착된 기재의 일례이다. 제2의 구성예에 있어서, 흡인 장치(100)에 삽입된 스틱형 기재(150)는, 흡인 장치(100)에 장착된 기재의 일례이다.
(2) 유저 단말(200)의 구성
유저 단말(200)은, 흡인 장치(100)의 유저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 장치이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200)은, 스마트폰, 타블렛 단말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임의의 정보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유저 단말(200)은, 입력부(210), 출력부(220), 통신부(230), 기억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각종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입력부(210)는, 유저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입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버튼, 키보드, 터치 패널, 및 마이크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입력부(210)는, 화상 센서 등의 각종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출력부(220)는,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출력부(220)는, 유저에 대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출력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발광하는 발광 장치, 진동하는 진동 장치, 및 소리를 출력하는 음 출력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일례는, 디스플레이이다. 발광 장치의 일례는, LED(Light Emitting Diode)이다. 진동 장치의 일례는, 편심 모터이다. 음 출력 장치의 일례는, 스피커이다. 출력부(220)는, 제어부(25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통신부(230)는, 유저 단말(200)과 다른 장치의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통신부(230)는, 유선 또는 무선의 임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실시한다. 이러한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LAN, Wi-Fi(등록상표), 또는 Bluetooth(등록상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
기억부(240)는, 유저 단말(2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부(240)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250)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유저 단말(200) 내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전자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그 밖에, 제어부(250)는, 사용하는 프로그램 및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 및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일시 기억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유저 단말(200)은, 제어부(250)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입력부(210)에 의해 입력된 정보의 처리, 출력부(220)에 의한 정보의 출력, 통신부(230)에 의한 정보의 송수신, 및 기억부(240)에 의한 정보의 기억 및 판독은, 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의 일례이다. 각 구성 요소로의 정보의 입력, 및 각 구성 요소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근거하는 처리 등, 유저 단말(200)에 의해 실행되는 그 밖의 처리도, 제어부(2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250)의 기능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프리 인스톨되어 있어도 되고, 다운로드되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250)의 기능은, PWA(Progressive Web Apps)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2. 2. 가열 프로파일의 표시>
(1) 가열 프로파일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는, 가열 프로파일(제1의 프로파일에 상당한다)에 따라 동작한다. 가열 프로파일이란, 흡인 장치(100)가 실시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즉, 기재를 가열하는 동작)을 규정하는 정보이다. 흡인 장치(100)는,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기재를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 프로파일은, 흡인 장치(100)가 실시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파라미터의 일례는, 가열부(121)의 온도이다. 제어부(116)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 정의된 온도를 목표 온도로 하여, 목표 온도와 같은 온도가 가열부(121)에 있어서 실현되도록, 가열부(121)의 온도를 제어한다. 가열부(121)의 온도 제어는, 예를 들면 공지의 피드백 제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6)는, 전원부(111)로부터의 전력을, 펄스폭 변조(PWM) 또는 펄스 주파수 변조(PFM)에 의한 펄스의 형태로, 가열부(121)에 공급시킨다. 그 경우, 제어부(116)는, 전력 펄스의 듀티비를 조정함으로써, 가열부(121)의 온도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피드백 제어에서는, 제어부(116)는, 가열부(121)의 온도와 목표 온도의 차분(差分) 등에 근거하여, 가열부(121)로 공급하는 전력, 예를 들면 상술한 듀티비를 제어하면 된다. 피드백 제어는, 예를 들면 PID 제어(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Controller)이어도 된다. 가열부(121)의 온도는, 예를 들면, 가열부(121)를 구성하는 발열 저항체의 전기 저항값을 측정 또는 추정하는 것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이것은, 발열 저항체의 전기 저항값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발열 저항체의 전기 저항값은, 예를 들면, 발열 저항체에서의 전압 강하량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추정할 수 있다. 발열 저항체에서의 전압 강하량은, 발열 저항체에 인가되는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압 센서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가열부(121)의 온도는, 가열부(121) 부근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제1의 구성예에 있어서는, 가열부(121A)에 의한 가열은, 퍼프가 검출된 타이밍에서 실시된다. 즉, 가열부(121A)는, 퍼프가 검출될 때마다 가열을 실시한다. 제1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A)에 기재가 장착되고 나서, 퍼프가 실시될 때마다 기재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은 감소해 나가고, 머지않아 고갈된다. 그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유저는, 에어로졸원이 고갈되는 타이밍에서, 기재를 교환한다.
한편, 제2의 구성예에 있어서는, 가열부(121B)에 의한 가열은, 가열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이 실시된 것이 검출된 타이밍부터 개시된다. 가열부(121B)에 의한 가열이 실시되고 있는 동안, 기재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한다. 가열 개시 후, 시간 경과와 함께 기재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은 감소해 나간다. 에어로졸원이 고갈되는 타이밍에서, 가열부(121B)에 의한 가열이 정지된다. 그 때문에, 전형적으로는, 유저는, 가열부(121B)에 의한 가열이 실시되는 동안에 퍼프를 실시한다.
또한,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이 발생한다고 상정되는 기간은, 퍼프 가능 기간이라고도 불린다. 다른 한편,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은, 예비 가열 기간이라고도 불린다. 예비 가열 기간에 있어서 실시되는 가열은, 예비 가열이라고도 불린다. 퍼프 가능 기간이 개시되는 타이밍 및 종료되는 타이밍이, 유저에게 통지되어도 된다. 그 경우, 유저는, 이러한 통지를 참고로, 퍼프 가능 기간에 있어서 퍼프를 실시할 수 있다.
제2의 구성예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의 일례를,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열 프로파일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이다. 본 그래프의 세로축은, 가열부(121)의 온도이다. 본 그래프에 있어서의 실선(21)은,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목표 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본 그래프에 있어서의 파선(29)은,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했을 때의 실제의 온도의 시계열 변화 중, 가열 프로파일과의 괴리가 큰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그래프의 실선(21)을 참조하면, 시각(T0)부터 시각(T2)까지의 제1 기간(P1) 중에 제1 목표 온도(TA1)가 설정되어 있다. 시각(T2)부터 시각(T3)까지의 제2 기간(P2) 중에 제2 목표 온도(TA2)가 설정되어 있다. 시각(T3)부터 시각(T4)까지의 제3 기간(P3) 중에 제3 목표 온도(TA3)가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어부(116)는, 이들 기간의 각각에 있어서, 설정된 목표 온도를 향해 가열부(121)의 온도를 제어한다. 그 결과, 본 그래프의 파선(29)에 나타내듯이, 일부 가열 프로파일과 괴리하는 부분이 발생하면서도, 가열 프로파일에 추종하도록 하여, 가열부(121)의 온도가 변화한다.
시각(T1)까지, 기재가 충분히 가열되어 충분한 양의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시각(T1)에 예비 가열 기간이 종료하고, 시각(T1)부터 퍼프 가능 기간이 개시된다. 시각(T4)부터 다음의 제4의 기간(P4)에 있어서는, 목표 온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제어부(116)는, 가열부(121)에 의한 가열을 정지한다. 다만, 가열부(121) 및 기재의 여열이 남아 있는 동안은,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그 때문에, 시각(T4)보다도 다음의 시각(T5)에 있어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한다.
(2)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중첩 표시
유저 단말(200)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한다. 퍼프 검출 타이밍이란, 흡인 장치(1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이다. 제1의 구성예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의 개시 시점의 일례는, 새로운 기재가 장착된 타이밍이다. 제1의 구성예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의 종료 시점의 일례는, 장착된 기재가 분리된 타이밍이다. 제2의 구성예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의 개시 시점의 일례는, 예비 가열이 개시되는 타이밍, 및 흡인 가능 기간이 개시되는 타이밍이다. 또한, 제2의 구성예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의 종료 시점의 일례는, 가열부(121)에 의한 가열이 종료되는 타이밍, 및 흡인 가능 기간이 종료되는 타이밍이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200)은, 흡인 장치(100)가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에 사용하는 가열 프로파일을, 흡인 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유저 단말(200)은, 센서부(112)에 의해 퍼프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흡인 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흡인 장치(100)는, 퍼프가 검출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검출되어 즉시 송신해도 되고, 나중에 정리해서 송신해도 된다. 그리고, 유저 단말(200)은, 이러한 정보에 근거하여,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을 대응시켜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표시 화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표시 화상을 시인(視認)함으로써, 유저는,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 말하면, 유저는, 에어로졸을 흡인한 감각에 비추어 보면서,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화상은, 가열 프로파일의 시간 축에 있어서의 퍼프 검출 타이밍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화상은,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에어로졸을 흡인한 감각과, 가열 프로파일의 파라미터의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표시 화상의 일례를 설명한다.
-제1의 표시예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에,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의 구성예에 관해서는, 표시 화상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의 가열 프로파일에 대해, 동 기간에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해당 표시 화상의 일례를,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표시 화상(10A)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A)을 표시하는 그래프(20A)를 포함한다. 그래프(20A)의 가로축은, 시간이다. 그래프(20A)의 세로축은, 가열 프로파일의 파라미터(즉, 가열부(121)의 목표 온도)이다. 그래프(20A)에 있어서의 X자 모양의 포인트(30)(30-1~30-5)는,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 사이에 검출된 퍼프에 대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포인트(30)의 가로축의 값이, 퍼프 검출 타이밍에 상당한다. 포인트(30)의 세로축의 값이,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에 상당한다.
제1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은,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한 후에, 즉 유저가 일련의 퍼프를 끝낸 후에,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일련의 퍼프를 끝낸 후에, 해당 일련의 퍼프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통합하여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의 표시예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에,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의 구성예에 관해서는, 표시 화상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에 대해, 현재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해당 표시 화상의 일례를,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표시 화상(10B)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B)을 표시하는 그래프(20B)를 포함한다. 그래프(20B)의 가로축은, 시간이다. 현재 시각은 시각(T2)인 것으로 한다. 그래프(20B)의 세로축은, 가열부(121)의 목표 온도이다. 그래프(20B)에 있어서의 X자 모양의 포인트(30-1)는,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현재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검출된 퍼프에 대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에 의한 퍼프가 실시될 때마다, 그래프(20B)에 포인트(30)가 추가된다.
제2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은, 가열부(121)에 의한 가열이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퍼프 동작을 실시하면서,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의 표시예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전체 시간 구간 중,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근거하여, 이미 경과한 구간을 제1의 표시 태양으로, 아직 경과하지 않은 구간을 제2의 표시 태양으로 표시해도 된다. 유저 단말(200)은, 예를 들면, 흡인 장치(100)로부터, 예비 가열이 개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예비 가열의 개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 것에 따라,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200)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전체 시간 구간 중, 계측하고 있는 경과 시간에 근거하여, 이미 경과한 구간을 제1의 표시 태양으로, 아직 경과하지 않은 구간을 제2의 표시 태양으로 표시한다. 해당 표시 화상의 일례를,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표시 화상(10B2)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이미 경과한 구간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2B)과, 아직 경과하지 않은 구간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3B)을 포함한다. 그래프(20B2)의 가로축은, 시간이다. 현재 시각은 시각(T2)인 것으로 한다. 그래프(20B2)의 세로축은, 가열부(121)의 목표 온도이다. 그래프(20B2)에 있어서의 X자 모양의 포인트(30-1)는,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현재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검출된 퍼프에 대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유저에 의한 퍼프가 실시될 때마다, 그래프(20B2)에 포인트(30)가 추가된다.
표시 화면(10B2)에 있어서,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이미 경과한 구간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2B)은, 제1의 표시 태양으로 표시된다. 표시 화면(10B2)에 있어서, 제1의 표시 태양은, 실선이다. 한편, 표시 화면(10B2)에 있어서, 아직 경과하지 않은 구간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3B)은, 제2의 표시 태양으로 표시된다. 표시 화면(10B2)에 있어서, 제1의 표시 태양은, 파선이다.
여기서, 제1의 표시 태양과, 제2의 표시 태양은, 서로 상이한 표시 태양이다. 제1의 표시 태양 및 제2의 표시 태양은, 서로 색이 상이하다, 서로 농담이 상이하다, 서로 굵기가 상이하다, 서로 형상이 상이하다 등, 서로 표시 태양이 상이하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 화면(10B2)에 있어서, 선(22B)이 적색, 선(23B)이 흑색 등, 서로 색이 상이하도록 표시되어도 된다. 즉, 표시 화면(10B2)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가열 프로파일 중,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이미 경과한 구간은 적색으로, 아직 경과하지 않은 구간은 흑색으로 표시되게 된다.
제3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은, 가열부(121)에 의한 가열이 실시되고 있는 동안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퍼프 동작을 실시하면서,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의 표시예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에,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의 구성예에 관해서는, 표시 화상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현재까지의 기간의 가열 프로파일에 대해, 동 기간에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해당 표시 화상의 일례를,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표시 화상(10C)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현재에 도달할 때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C)을 표시하는 그래프(20C)를 포함한다. 그래프(20C)의 가로축은, 시간이다. 현재 시각은 시각(T2)인 것으로 한다. 그래프(20C)의 세로축은, 가열부(121)의 목표 온도이다. 그래프(20C)에 있어서의 X자 모양의 포인트(30-1)는,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현재에 도달할 때까지 검출된 퍼프에 대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C)은 연장된다. 유저에 의한 퍼프가 실시될 때마다, 그래프(20C)에 포인트(30)가 추가된다.
제4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은, 가열부(121)에 의한 가열이 실시되는 동안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퍼프 동작을 실시하면서,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의 표시예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전체 시간 구간 중, 퍼프 검출 타이밍을 포함하는 일부 구간의 가열 프로파일을 발췌해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의 구성예에 관해서는, 표시 화상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중, 퍼프 검출 타이밍을 포함하는 가열 프로파일의 발췌에 대해,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해당 표시 화상의 일례를,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표시 화상(10D)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 중, 퍼프 검출 타이밍을 포함하는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D)을 발췌한 그래프(20D)(20D-1~20D-5)를 포함한다. 그래프(20D-1~20D-5)의 각각은, 퍼프가 검출된 각 타이밍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20D)의 가로축은 퍼프 횟수(퍼프가 실시된 누계 횟수)이며, 그래프(20D-1~20D-5)의 각각의 가로축은 시간이다. 그래프(20D-1~20D-5)의 각각의 세로축은, 가열부(121)의 목표 온도이다. 그래프(20D-1~20D-5)의 각각에는,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 및 퍼프 검출 횟수가 대응되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은, 표시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과 함께, 또는 대신하여, 1회차의 퍼프가 검출된 타이밍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표시되어도 된다. 그래프(20D)에 있어서의 X자 모양의 포인트(30)(30-1~30-5)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있다.
제5의 표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퍼프 검출 타이밍에 초점을 맞춰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의 표시예
제1의 표시예~제5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은, 가열 프로파일을 그래프로 하여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그래프 표시된 가열 프로파일에 대해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가 대응되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화상은, 퍼프 검출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표로 하여 표시해도 된다. 해당 표시 화상의 일례를,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표시 화상(10E)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퍼프 횟수, 가열 개시(즉, 예비 가열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 및 가열 온도(즉, 가열부(121)의 온도)를 나타내는 표를 포함한다. 또한, 가열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은, 표시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표시 화상은, 가열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과 함께, 또는 대신하여, 1회차의 퍼프가 검출된 타이밍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표시되어도 된다.
제6의 표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퍼프 검출 타이밍에 초점을 맞춰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7의 표시예
상기 표시예에서는, 제2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냈다. 물론, 제1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표시 화상이 생성된다. 제1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표시 화상의 일례를,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표시 화상(10F)은, 새로운 기재가 장착되고 나서 분리될 때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F)을 표시하는 그래프(20F)를 포함한다. 다만, 선(21F)은, 퍼프가 검출된 경우에 실시되는 가열에 대한 목표 온도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20F)의 가로축은, 시간이다. 또한, 본 가열 프로파일의 개시 시점은, 최초의 퍼프가 검출된 타이밍이다. 즉, 본 그래프의 가로축은, 최초의 퍼프가 검출된 타이밍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다. 그래프(20F)의 세로축은, 가열부(121)의 목표 온도이다. 그래프(20F)에 있어서의 X자 모양의 포인트(30)(30-1~30-5)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에 상당한다. 포인트(30)의 가로축의 값이, 퍼프 검출 타이밍에 상당한다. 포인트(30)의 세로축의 값이,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목표 온도에 상당한다. 또한, 그래프(20F)의 가로축은, 시간 외에, 퍼프 횟수여도 된다.
도 11에 나타낸 표시 화상(10F)은, 제1의 표시예와 마찬가지로,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기간의 가열 프로파일에, 동 기간에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하고 있다. 제1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표시 화상에 있어서, 제1의 표시예 외에도, 제2~제6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과 마찬가지의 표시를 해도 된다.
<2. 3. 가열 프로파일의 커스터마이즈>
유저 단말(200)은, 가열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200)은,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가열 프로파일 및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한다.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란, 가열 프로파일의 파라미터 중, 유저 조작에 따라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가열 프로파일이 변경되는 모습을 시인하면서 가열 프로파일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할 때의 유저빌리티(usability)가 향상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 단말(200)은,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에 따라,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200)은, 표시 화상에 표시된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를, 변경 후의 것으로 갱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직감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화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프로파일에 퍼프 검출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해도 된다. 그 경우, 유저는, 에어로졸을 흡인한 감각에 비추어 보면서,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인식한 다음,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유저 단말(200)은, 변경 후의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도록 흡인 장치(10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유저 단말(200)은, 흡인 장치(100)로부터 변경 전의 프로파일을 수신하여 표시하고, 유저에 의한 변경 후의 가열 프로파일을 흡인 장치(100)에 송신한다. 그때, 유저 단말(200)은, 변경 후의 가열 프로파일을 송신해도 되고, 변경 전후의 차분을 송신해도 된다. 흡인 장치(100)는, 다음번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에, 변경 후의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흡인 장치(100)의 동작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유저는, 예를 들면 좋아하는 흡입감을 실현하는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를 거듭하면서 탐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기본적인 표시 화상 및 커스터마이즈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즈가 실시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표시 화상(10G-1)에 포함되는 그래프(20G), 선(21G),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5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표시 화상(10G-1)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G)에,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를 대응시켜 표시하고 있다.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를 선택하고, 상하로 움직이는 조작을 실시한다. 유저 단말(200)은, 이러한 유저 조작에 따라, 선택된 포인트(30)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에어로졸을 흡인한 감각에 비추어 보면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2에 나타낸 표시 화상(10G-1)에 있어서, 포인트(30-2)가 선택되어 파라미터를 올리는 조작을 했을 경우의, 변경 후의 표시 화상(10G-2)을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듯이, 포인트(30-2)에 있어서의 파라미터가, 도 1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들려져 있다. 또한, 포인트(30-2) 부근의 선(21G)의 형상이, 도 12에서는 직선 형상인 것에 반해, 도 13에서는 포인트(30-2)를 정점으로 하는 산 형상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저 단말(200)은, 유저 조작에 의해 변경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타이밍과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다른 타이밍의 파라미터도 변경해도 된다.
표시 화상(10G-1)은,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화살표(40)(40-1~40-5)가, 이러한 정보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예에서는, 포인트(30)의 각각에 화살표(40)가 중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이들 포인트(30)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화상(10G-1)은,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화살표(40)의 세로축 방향의 범위가, 이러한 정보의 일례이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예에서는, 포인트(30)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화살표(40)가 중첩된 범위에서 상하로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를 변경한 범위는, 가열부(121)의 성능 및 유저에 의한 설정 등에 근거하여 정해진다. 복수의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 사이에서,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는 상이해도 되고, 동일해도 된다.
제1의 표시예에 표시 화상은,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한 후에, 즉 유저가 일련의 퍼프를 끝낸 후에,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해당 일련의 퍼프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통합하여 인식하면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표시 화상 및 커스터마이즈의 바리에이션
-제1의 바리에이션
가열 프로파일은 복수의 시간 구간으로 분할되고 있어도 되고, 시간 구간마다 파라미터 변경 여부, 및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가 설정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표시 화상(10H)에 포함되는 그래프(20H), 선(21H), 포인트(30), 및 화살표(40)의 각 요소는, 도 12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시각(T0)부터 시각(T2)까지의 구간은, 파라미터의 변경이 금지된, 변경 금지 구간이다. 따라서, 포인트(30-1)에 대한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 취지를 나타내기 위해서, 포인트(30-1)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파라미터의 변경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화살표(40)가 중첩되어 있지 않다. 또한, 파라미터의 변경이 금지된 구간에서는, 포인트(30)는 애초에 표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시각(T2)부터 시각(T3)까지의 구간은, 파라미터의 변경이 가능한 변경 가능 구간이며, 큰 변경량이 허용되는 구간이다. 그 때문에, 포인트(30-2) 및 포인트(30-3)에는, 변경 가능한 범위가 큰 것을 나타내는, 길이가 비교적 긴 화살표(40-2) 및 화살표(40-3)가 중첩되어 있다.
시각(T3)부터 시각(T4)까지의 구간은, 파라미터의 변경이 가능한 변경 가능 구간이며, 작은 변경량이 허용되는 구간이다. 그 때문에, 포인트(30-4) 및 포인트(30-5)에는, 변경 가능한 범위가 작은 것을 나타내는, 길이가 비교적 짧은 화살표(40-4) 및 화살표(40-5)가 중첩되어 있다.
시간 구간마다의 파라미터 변경 여부, 및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는, 가열부(121)의 특성 및 기재의 특성 등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는 특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이 적절히 생성되는 범위에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의 바리에이션
유저 단말(200)은,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를, 다른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가 유저 조작에 따라 변경된 것에 근거하여 변경해도 된다. 일례로서, 도 12에 나타낸 표시 화상(10G-1)에 있어서, 포인트(30-2)가 선택되어 파라미터를 올리는 조작이 실시된 경우의, 변경 후의 표시 화상(10G-3)을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그래프(20G)는, 도 13에 나타낸 그래프(20G)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포인트(30-2)와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포인트(30-1) 및 포인트(30-3)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는, 파라미터를 올리는 방향으로만 축소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인트(30-1) 및 포인트(30-3)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가, 포인트(30-2)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변경에 따라, 변경되어 있다.
이러한, 다른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의 변경에 따른,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의 변경 가능한 범위의 변경은, 가열부(121)의 특성, 기재의 특성, 및 퍼프의 간격 등의, 에어로졸의 생성에 기여하는 각종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이 적절히 생성되는 범위에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례로서,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의 변경 가능한 범위는, 가열부(121)의 특성, 및 기재의 특성에 근거하여 초기 설정된다. 그리고, 유저 단말(200)은, 변경된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의 값, 및 변경된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와 다른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 사이의 시간 간격에 근거하여, 해당 다른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의 변경 가능한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의 변경 가능한 범위가, 200℃에서 250℃로 초기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어느 포인트(30)에 있어서의 파라미터가, 유저 조작에 의해 230℃에서 240℃로 변경된 것으로 한다. 그 경우, 유저 단말(200)은, 변경된 포인트(30)와의 사이의 시간 간격이 10초인 다른 포인트(30)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변경 가능한 범위를, 230℃에서 ±10도로 설정한다. 한편, 유저 단말(200)은, 변경된 포인트(30)와의 사이의 시간 간격이 20초인 다른 포인트(30)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변경 가능한 범위를, 230℃에서 ±20도로 설정한다.
-제3의 바리에이션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는, 퍼프 검출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표시 화상(10I)에 포함되는 그래프(20I), 선(21I),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12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유저는, 퍼프 검출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조작으로서, 선(21I)을 직접 변경해도 된다. 도 16에서는,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I) 중, 부호(22I)에 나타내는 부분이 선택되어, 파라미터를 올리는 조작을 한 후의 가열 프로파일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스터마이즈의 자유도를 보다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표시 화상은,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를, 조작 대상이 아닌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태양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등에 나타낸,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는, 조작 대상이 아닌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태양에 의한 표시의 일례이다.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가, 퍼프 검출 타이밍 이외에서의 파라미터인 경우도, 조작 대상이 아닌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태양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표시 화상(10J)에 포함되는 그래프(20J), 선(21J),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12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도 17에서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 외에,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인 것을 나타내는 포인트(31)를 포함한다. 유저는, 포인트(31)를 선택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조작을 실시한다. 유저 단말(200)은, 이러한 유저 조작에 따라, 선택된 포인트(31)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파라미터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의 바리에이션
표시 화상은, 가열 프로파일의 비교 대상인 다른 가열 프로파일을 더 표시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다른 가열 프로파일과 비교하면서, 가열 프로파일의 커스터마이즈를 할 수 있으므로, 유저빌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교 대상의 가열 프로파일이, 표시 화상에 표시되어도 된다.
비교 대상인 가열 프로파일은, 변경 전의 가열 프로파일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변경 전의 가열 프로파일을 단서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교 대상인 가열 프로필은,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이어도 된다.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은, 흡인 장치(100)에 과거에 설정된 적이 있는 가열 프로파일이다. 예를 들면,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은, 흡인 장치(100)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가열 프로파일보다도 이전의 임의의 시점에서, 흡인 장치(100)에 설정되어 있던 가열 프로파일이다. 또한,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은, 유저가 과거에 커스터마이즈한 가열 프로파일이어도 된다.
이 경우, 흡인 장치(100) 또는 유저 단말(200)은, 흡인 장치(100)에 설정된 적이 있는 가열 프로파일, 또는, 유저가 과거에 커스터마이즈한 가열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유저 단말(200)은, 흡인 장치(100) 또는 자장치에 기억하고 있는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을 표시 화상에 있어서 표시해도 된다. 또한,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이 복수 있는 경우, 유저 단말(200)은, 복수의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로부터, 유저에 의해 선택된 가열 프로파일을, 표시 화상에 있어서 표시해도 된다.
또한, 유저 단말(200)은, 비교 대상인 가열 프로파일로서, 복수의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을, 표시 화면에 있어서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화면에 있어서 표시되는 복수의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은, 서로 상이한 표시 태양이어도 된다. 복수의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 각각에 적용되는 표시 태양은, 서로 색이 상이하다, 서로 농담이 상이하다, 서로 굵기가 상이하다, 서로 형상이 상이하다 등, 서로 표시 태양이 상이하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의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은 적색의 선으로 표시되고, 제2의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은 흑색의 선으로 표시되는 등, 복수의 가열 프로파일은 서로 색이 상이하도록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표시 화면에 있어서 표시되는 가열 프로파일의 수는, 유저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선택된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이 5개 있는 경우, 해당 5개의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을, 표시 화면에 표시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을 단서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유저가 과거에 커스터마이즈한 가열 프로파일이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유저는, 과거에 커스터마이즈한 가열 프로파일을 단서로, 해당 과거에 커스터마이즈한 가열 프로파일과의 차이를 확인하면서, 시행착오하여, 해당 유저가 소망하는 가열 프로파일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예를 들면, 지난번 커스터마이즈했을 때의 제1의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과, 전전번 커스터마이즈했을 때의 제2의 과거의 가열 프로파일과의 차이를 확인하면서, 이번 커스터마이즈하는 가열 프로파일을, 유저에게 있어서 더 바람직한 가열 프로파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에도, 비교 대상인 가열 프로파일은, 표준적인 가열 프로파일이어도 된다. 표준적인 프로파일의 일례는, 기재마다 미리 준비된 가열 프로파일이다. 표준적인 프로파일의 다른 일례는, 강한 흡입감의 가열 프로파일, 표준적인 흡입감의 가열 프로파일, 및 부드러운 흡입감의 가열 프로파일 등의, 흡입감에 따른 가열 프로파일이다. 유저 단말(200)은, 복수의 표준적인 가열 프로파일로부터, 유저에 의해 선택된 가열 프로파일을, 표시 화상에 있어서 표시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표준적인 가열 프로파일을 단서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표시 화상(10K)에 포함되는 그래프(20K), 선(21K),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12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도 18에서는, 유저에 의한 변경 후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K)과 함께, 비교 대상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3K)이, 표시되어 있다. 선(21K)과 선(23K)은, 실선과 파선으로 표시된다, 또는 상이한 색으로 표시되는 등, 상이한 태양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선(23K)과 선(21K)의 차분을 인식하면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서는, 비교 대상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3K)이, 가열 프로파일과의 사이에 차분이 발생하는 부분에만 표시되어 있으나, 시각(T0)부터 시각(T4)까지의 전체에 걸쳐 표시되어도 된다.
(3) 다른 표시예
상기에서는, 상술한 제1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에 대해서 커스터마이즈가 실시되는 예를 설명했다. 물론, 제2~제7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에 대해서 커스터마이즈가 실시되어도 된다. 이하, 제2~제7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에 대해서 커스터마이즈가 실시되는 예를 설명한다.
-제2의 표시예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표시 화상(10L)에 포함되는 그래프(20L), 선(21L),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6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표시 화상(10L)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L)에,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1)를 대응시켜 표시하고 있다. 유저는, 화살표(40-1)에 의해 나타나는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포인트(30-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제2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에서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퍼프 동작을 실시하면서, 실시간으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의 표시예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표시 화상(10L2)에 포함되는 그래프(20L2), 선(22L), 선(23L)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7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이미 경과한 구간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2L)과, 아직 경과하지 않은 구간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3L)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 화상(10L2)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이미 경과한 구간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2L)에,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1)를 대응시켜 표시하고 있다. 유저는, 화살표(40-1)에 의해 나타나는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포인트(30-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제3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에서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퍼프 동작을 실시하면서, 실시간으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의 표시예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표시 화상(10M)에 포함되는 그래프(20M), 선(21M),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8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표시 화상(10M)은,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M)에,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1)를 대응시켜 표시하고 있다. 유저는, 화살표(40-1)에 의해 나타나는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포인트(30-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제4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에서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시계열 추이 및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퍼프 동작을 실시하면서, 실시간으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의 표시예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표시 화상(10N)에 포함되는 그래프(20N)(20N-1~20N-5), 선(21N),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9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표시 화상(10N)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전체 시간 구간 중, 퍼프 검출 타이밍을 포함하는 일부의 구간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N)을, 그래프(20N-1~20N-5)로 하여 발췌하여 표시하고 있다. 유저는, 그래프(20N-1~20N-5) 각각에 있어서, 화살표(40-1~40-5) 각각에 의해 나타나는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포인트(30-1~30-5) 각각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제5의 표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초점을 맞춰,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의 표시예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 표시 화상(10O)에 포함되는 표는, 도 10에 도시된 표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표시 화상(10O)은, 퍼프 검출 타이밍에 관한 정보를 표로 하여 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화상(10O)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퍼프 횟수, 가열 개시(즉, 예비 가열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 및 가열 온도(즉, 가열부(121)의 목표 온도)를 나타내는 표를 포함한다. 유저는, 마이너스 아이콘(41)을 조작함으로써, 가열 온도를 내릴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플러스 아이콘(42)을 조작함으로써, 가열 온도를 올릴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 조작을 위한 UI(User Interface)는, 마이너스 아이콘(41) 및 플러스 아이콘(42)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를 터치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스크롤 함으로써 파라미터를 증감시키는, 이른바 스크롤 UI가 사용되어도 된다.
제6의 표시예에 의하면, 유저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초점을 맞춰,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7의 표시예
도 2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된, 표시 화상(10P)에 포함되는 그래프(20P), 선(21P),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11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즉, 표시 화상(10P)은, 제1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표시 화상으로서, 새로운 기재가 장착되고 나서 분리될 때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P)을 표시하는 그래프(20P)를 포함한다. 유저는, 화살표(40-1~40-5) 각각에 의해 나타나는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포인트(30-1~30-5) 각각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제7의 구성예에 관련되는 흡인 장치(100)에 관한 표시 화상에 있어서, 상기 설명한, 제2~제6의 표시예에 관련되는 표시 화상과 같은 표시가 실시되며, 유저 조작에 따라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가 변경되어도 된다.
<2. 4. 표시 화상의 변형예>
표시 화상은, 가열 프로파일로서, 가열 프로파일과 기준으로 하는 다른 가열 프로파일(이하, 기준 가열 프로파일이라고도 칭한다)의 차(差)를 표시해도 된다. 유저는, 이러한 차를 변경하는 조작을 실시한다. 그러면, 유저 단말(200)은, 가열 프로파일을, 기준 가열 프로파일에 대하여 유저에 의해 지정된 차를 설치한 가열 프로파일로 변경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기준 가열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으로 하는 가열 프로파일은, 변경 전의 가열 프로파일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변경 전의 가열 프로파일을 단서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에도, 기준으로 하는 가열 프로파일은, 표준적인 가열 프로파일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표준적인 가열 프로파일을 단서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기본적인 표시 화상 및 커스터마이즈
이하에서는, 제1의 표시예에 대응하는, 기본적인 표시 화상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즈가 실시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나타내는 표시 화상(10Q-1)은, 예비 가열이 개시되고 나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할 때까지의 사이의, 가열 프로파일과 기준 가열 프로파일의 차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선(21Q)을 표시하는 그래프(20Q)를 포함한다. 그래프(20Q)의 가로축은, 시간이다. 그래프(20Q)의 세로축은,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즉, 가열부(121)의 목표 온도)와, 기준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차이다. 포인트(30)의 가로축의 값이, 퍼프 검출 타이밍에 상당한다. 포인트(30)의 세로축의 값이,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의, 기준 가열 프로파일로부터의 온도차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5에 나타낸 예에서는, 선(21Q)은 상시 0이다. 즉, 가열 프로파일은, 기준 가열 프로파일과 동일하다.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여도 된다. 유저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를 선택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조작을 실시한다. 유저 단말(200)은, 이러한 유저 조작에 따라, 선택된 포인트(30)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상세하게는, 유저 단말(200)은, 가열 프로파일을, 기준 가열 프로파일에 대하여 유저 조작에 의해 지정된 차를 설치한 것으로 변경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에어로졸을 흡인한 감각에 비추어 보면서, 또한 기준 가열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25에 나타낸 표시 화상(10Q-1)에 있어서, 포인트(30-2)가 선택되어 파라미터를 올리는 조작이 실시된 경우의, 변경 후의 표시 화상(10Q-2)을 도 26에 나타낸다.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 나타내듯이, 포인트(30-2)에 있어서의 기준 가열 프로파일로부터의 온도차가, 도 2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플러스 10으로 올라가 있다. 그 때문에, 가열 프로파일의 포인트(30-2)에 있어서의 목표 온도는, 기준 가열 프로파일의 대응하는 타이밍에 있어서의 목표 온도에 10℃ 가산한 온도로 변경된다. 또한, 포인트(30-2) 부근의 선(21Q)의 형상이, 도 25에서는 직선 형상인 것에 반해, 도 26에서는 포인트(30-2)를 정점으로 하는 산 형상으로 변경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저 단말(200)은, 유저 조작에 의해 변경된 타이밍과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다른 타이밍의 파라미터도 변경해도 된다.
표시 화상(10Q-1)은, 화살표(40)를 포함한다. 화살표(40)의 특징은, 도 12 등을 참조하면서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에 설명한 표시 화상(10Q-1)은, 제1의 표시예와 마찬가지로, 퍼프 가능 기간이 종료한 후에, 즉 유저가 일련의 퍼프를 끝낸 후에,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해당 일련의 퍼프에 있어서의 가열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통합하여 인식하면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표시 화상 및 커스터마이즈의 바리에이션
-제1의 바리에이션
도 14를 참조하면서 상기에 설명한 제1의 바리에이션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의 바리에이션에 대해,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 표시 화상(10R)에 포함되는 그래프(20R), 선(21R), 포인트(30), 및 화살표(40)의 각 요소는, 도 25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시각(T0)부터 시각(T2)까지의 변경 금지 구간, 시각(T2)부터 시각(T3)까지의 변경 가능 구간(변경량 대), 및 시각(T3)부터 시각(T4)까지의 변경 가능 구간(변경량 소)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면서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이 적절히 생성되는 범위에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의 바리에이션
도 15를 참조하면서 상기에 설명한 제2의 바리에이션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2의 바리에이션에 대해 설명한다. 일례로서, 도 25에 나타낸 표시 화상(10Q-1)에 있어서, 포인트(30-2)가 선택되어 파라미터를 올리는 조작이 실시된 경우의, 변경 후의 표시 화상(10Q-3)을 도 28에 나타낸다.
도 28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그래프(20Q)는, 도 26에 나타낸 그래프(20Q)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포인트(30-2)와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포인트(30-1) 및 포인트(30-3)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는, 파라미터를 올리는 방향으로만 축소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인트(30-1) 및 포인트(30-3)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가, 포인트(30-2)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변경에 따라, 변경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이 적절히 생성되는 범위에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의 바리에이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상기에 설명한 제3의 바리에이션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3의 바리에이션에 대해,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9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표시 화상(10S)에 포함되는 그래프(20S), 선(21S),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25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유저는, 퍼프 검출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조작으로서, 선(21S)을 직접 변경해도 된다. 도 29에서는,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S) 중, 부호(22S)에 나타내는 부분이 선택되어, 파라미터를 올리는 조작이 실시된 후의 가열 프로파일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스터마이즈의 자유도를 더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0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된, 표시 화상(10T)에 포함되는 그래프(20T), 선(21T),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25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도 30에서는,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 외에, 조작 대상의 파라미터인 것을 나타내는 포인트(31)를 포함한다. 유저는, 포인트(31)을 선택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조작을 실시한다. 유저 단말(200)은, 이러한 유저 조작에 따라, 선택된 포인트(31)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커스터마이즈 가능한 파라미터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의 바리에이션
도 18을 참조하면서 상기 설명한 제4의 바리에이션은,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4의 바리에이션에 대해, 도 3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1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된, 표시 화상(10U)에 포함되는 그래프(20U), 선(21U), 선(23U) 및 포인트(30)의 각 요소는, 도 25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도 31에서는, 유저에 의한 변경 후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U)과 함께, 비교 대상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3U)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선(23U)과 선(21U)의 차분을 인식하면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제5의 바리에이션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 19를 참조하면서 상기 설명한 제2의 표시예,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상기 설명한 제3의 표시예와 마찬가지로, 표시 화상에 있어서 가열 프로파일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면서, 파라미터의 변경 조작이 접수되어도 된다.
이하, 해당 바리에이션에 대해,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 도시된, 표시 화상(10V)에 포함되는 그래프(20V), 선(21V), 포인트(30), 및 화살표(40)의 각 요소는, 도 25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다만, 표시 화상(10V)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V)에,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1)를 대응시켜 표시하고 있다. 유저는, 화살표(40-1)에 의해 나타나는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포인트(30-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퍼프 동작을 실시하면서, 실시간으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3은,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유저 단말(200)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된, 표시 화상(10W)에 포함되는 그래프(20W), 선(21W), 포인트(30), 및 화살표(40)의 각 요소는, 도 25에 도시된 대응하는 부호를 가지는 요소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다만, 표시 화상(10W)은,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가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선(21W)에,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 검출된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포인트(30-1)를 대응시켜 표시하고 있다. 유저는, 화살표(40-1)에 의해 나타나는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서, 포인트(30-1)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퍼프 동작을 실시하면서, 실시간으로 가열 프로파일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5. 처리의 흐름>
-표시 화상의 표시
도 34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스템(1)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34에 나타내듯이, 본 시퀀스에는, 흡인 장치(100) 및 유저 단말(200)이 관여한다.
우선, 흡인 장치(100)는,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에 사용하는 가열 프로파일을 송신한다(스텝 S102). 유저 단말(200)은, 가열 프로파일을 수신하면, 수신한 가열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표시한다(스텝 S104).
다음으로, 흡인 장치(100)는, 유저에 의해 퍼프가 실시된 것을 검출할 때마다, 퍼프 검출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106). 그리고, 유저 단말(200)은, 퍼프 검출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가열 프로파일에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대응시켜 표시하도록, 표시 화상을 갱신한다(스텝 S108). 시스템(1)은, 유저에 의한 퍼프가 실시될 때마다, 스텝 S106 및 스텝 S108에 관련되는 처리를 반복한다.
-가열 프로파일의 커스터마이즈
도 35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시스템(1)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5에 나타내듯이, 우선, 유저 단말(200)은, 가열 프로파일에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표시한다(스텝 S202).
그 다음에, 유저 단말(200)은,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204).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이 검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204: YES), 유저 단말(200)은, 유저 조작에 따라 가열 프로파일을 변경하고, 변경 후의 가열 프로파일을 표시하도록 표시 화상을 갱신한다(스텝 S206). 그 후, 처리는 종료한다.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이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204: NO), 처리는 종료한다.
<<3. 보충>>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면,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도달할 수 있음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파라미터가 가열부(121)의 온도인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파라미터는,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되는 부위의 온도여도 된다.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되는 부위로서는, 예를 들면, 보지부(140)를 들 수 있다. 그 경우, 제어부(116)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 정의된 목표 온도와 같은 온도가 보지부(140)에 있어서 실현되도록, 가열부(121)로의 급전을 제어한다. 다른 일례로서, 파라미터는, 가열부(121)에 급전되는 전기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는, 가열부(121)에 급전되는 전압, 전류, 저항 또는 전력이어도 된다. 그 경우, 제어부(116)는, 가열 프로파일에 있어서 정의된 전압, 전류, 저항 또는 전력과 같은 전압, 전류, 저항 또는 전력이 가열부(121)에 급전 되도록, 가열부(121)로의 급전을 제어한다.
상술한 가열 프로파일은, 흡인 장치(100)가 실시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정보인, 프로파일의 일례이다. 유저 단말(200)은, 가열 프로파일 이외의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가열 프로파일 이외의 프로파일의 일례는, 흡인 장치(100)가 실시한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의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제2의 프로파일에 상당한다. 이하, 동작 결과 프로파일이라고도 칭한다)이어도 된다. 동작 결과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는, 흡인 장치(100)가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실시했을 때에 검출된 정보이다. 예를 들면, 가열 프로파일은 목표로 하는 온도 추이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에 반해, 동작 결과 프로파일은 실제의 온도 추이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에어로졸을 흡인한 감각에 비추어 보면서, 동작 결과 프로파일과 퍼프 검출 타이밍의 관계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동작 결과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의 예로서는, 가열 프로파일과 마찬가지로, 가열부(121)의 온도, 가열부(121)에 의해 가열되는 부위의 온도, 및 가열부(121)에 급전되는 전기에 관한 정보를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동작 결과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파라미터는, 가열부(121)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이 유저에게 흡인되는 양(이하, 에어로졸 송달량이라고도 칭한다)이어도 된다. 그 경우, 센서부(112)는, 에어로졸 송달량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에어로졸을 포집하는 필터, 및 포집된 에어로졸의 성분을 분석하는 성분분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서의 에어로졸 송달량이란, 유저의 구강 내로 송달되는, 퍼프 동작 1회당의 주요 에어로졸 성분량이어도 된다. 주요 에어로졸 성분이란, 기재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의 에어로졸원을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했을 때에 발생하는 가시성의 에어로졸 성분이다. 또한, 기재에 포함되는 에어로졸원은, 전형적으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이다. 또한, 기재가 담배 등의 향미원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해당 향미원에서 유래하는 에어로졸 성분도 주요 에어로졸 성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표시 화상은, 변경 후의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흡인 장치(100)가 동작했을 때에 검출된다고 예측되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측되는 정보로서는, 동작 결과 프로파일을 들 수 있다. 일례로서, 유저 단말(200)은, 가열 프로파일과 에어로졸 송달량에 관한 동작 결과 프로파일의 대응 관계를 학습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200)은, 학습 결과를 참조하고, 변경 후의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흡인 장치(100)가 동작했을 때의 에어로졸 송달량을 예측하여, 표시 화상에 있어서 표시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 송달량의 예측을 참조하면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으므로, 좋아하는 흡입감을 실현하는 가열 프로파일을 보다 용이하게 탐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동작 결과 프로파일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즈가 실시되어도 된다. 그 경우, 유저 단말(200)은, 변경 후의 동작 결과 프로파일을 실현하기 위한 가열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도록 흡인 장치(100)를 제어한다. 일례로서, 유저 단말(200)은, 가열 프로파일과 에어로졸 송달량에 관한 동작 결과 프로파일의 대응 관계를 학습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200)은, 학습 결과를 참조하여, 변경 후의 에어로졸 송달량에 관한 동작 결과 프로파일을 실현하기 위한 가열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 송달량을 직접적으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으므로, 좋아하는 흡입감을 실현하는 가열 프로파일을 보다 용이하게 탐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각 장치는, 단독의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별개의 장치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유저 단말(200)의 기능 구성예 중, 제어부(250)에 포함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기능, 및 유저 조작에 따라 가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기능이, 유저 단말(200)과 네트워크 등으로 접속된 서버 등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그 밖에도, 흡인 장치(100)에, 제어부(250)에 포함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기능, 및 유저 조작에 따라 가열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각 장치에 의한 일련의 처리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각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기록 매체(비 일시적인 매체: non-transitory media)에 미리 격납(저장)된다. 그리고, 각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컴퓨터에 의한 실행시에 RAM으로 읽혀져서, CPU 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이다. 또한, 상기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달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플로우차트 및 시퀀스도를 사용하여 설명한 처리는, 반드시 도시된 순서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몇 개의 처리 스텝은, 병렬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추가적인 처리 스텝이 채용되어도 되고, 일부의 처리 스텝이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처리 장치.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상기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3)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4)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2) 또는 (3)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를, 다른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유저 조작에 따라 변경된 것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상기 (2)~(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6)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인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7)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인 퍼프 검출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8)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상기 조작 대상이 아닌 상기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태양으로 표시하는,
상기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9)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개시 시점부터 상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상기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0)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상기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1)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상기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2)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전체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인 퍼프 검출 타이밍을 포함하는 일부의 구간의 상기 프로파일을 발췌하여 표시하는,
상기 (2)~(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3)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프로파일의 비교 대상인 다른 프로파일을 더 표시하는,
상기 (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4)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프로파일로서, 상기 프로파일과 기준으로 하는 다른 프로파일의 차를 표시하는,
상기 (1)~(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5)
상기 다른 프로파일은, 변경 전의 상기 프로파일인,
상기 (13) 또는 (14)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6)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파라미터로서 상기 흡인 장치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규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의 프로파일인,
상기 (1)~(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7)
상기 제어부는, 변경 후의 상기 제1의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16)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8)
상기 표시 화상은, 변경 후의 상기 제1의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흡인 장치가 동작했을 때에 검출된다고 예측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상기 (16) 또는 (17)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19)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파라미터로서 상기 흡인 장치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실시했을 때에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의 프로파일인,
상기 (1)~(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20)
상기 제어부는, 변경 후의 상기 제2의 프로파일을 실현하기 위한, 상기 흡인 장치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규정하는 정보를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제1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제1의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도록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19)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21)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프로파일을, 그래프로 하여 표시하는,
상기 (1)~(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22)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표로 하여 표시하는,
상기 (1)~(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처리 장치.
(23)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것과,
생성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
(24)
컴퓨터를,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 시스템
100 흡인 장치
110 전원 유닛
111 전원부
112 센서부
113 통지부
114 기억부
115 통신부
116 제어부
120 카트리지
121 가열부
122 액 유도부
123 액 저장부
124 마우스피스
130 향미 부여 카트리지
131 향미원
140 보지부
141 내부 공간
142 개구
143 저부
144 단열부
150 스틱형 기재
151 기재부
152 흡구부
180 공기 유로
181 공기 유입 구멍
182 공기 유출 구멍
200 유저 단말
210 입력부
220 출력부
230 통신부
240 기억부
250 제어부

Claims (24)

  1.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상기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정보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변경 가능한 범위를, 다른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가 상기 유저 조작에 따라 변경된 것에 근거하여 변경하는,
    정보처리 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인 퍼프 검출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인 퍼프 검출 타이밍 이외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상기 조작 대상이 아닌 상기 파라미터와는 상이한 태양으로 표시하는,
    정보처리 장치.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개시 시점부터 상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정보처리 장치.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정보처리 장치.
  11.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상기 프로파일에, 상기 개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정보처리 장치.
  12.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개시 시점부터 종료 시점까지의 전체의 시간 구간 중, 상기 흡인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에어로졸을 유저가 흡인한 것이 검출된 타이밍인 퍼프 검출 타이밍을 포함하는 일부의 구간의 상기 프로파일을 발췌하여 표시하는,
    정보처리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프로파일의 비교 대상인 다른 프로파일을 더 표시하는,
    정보처리 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프로파일로서, 상기 프로파일과 기준으로 하는 다른 프로파일의 차를 표시하는,
    정보처리 장치.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다른 프로파일은, 변경 전의 상기 프로파일인,
    정보처리 장치.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파라미터로서 상기 흡인 장치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규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의 프로파일인,
    정보처리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경 후의 상기 제1의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도록 상기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정보처리 장치.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변경 후의 상기 제1의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흡인 장치가 동작했을 때에 검출된다고 예측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파라미터로서 상기 흡인 장치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실시했을 때에 검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의 프로파일인,
    정보처리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경 후의 상기 제2의 프로파일을 실현하기 위한, 상기 흡인 장치가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을 규정하는 정보를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제1의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제1의 프로파일에 따라 동작하도록 흡인 장치를 제어하는,
    정보처리 장치.
  2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프로파일을, 그래프로서 표시하는,
    정보처리 장치.
  2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은, 상기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를, 표로서 표시하는,
    정보처리 장치.
  23.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것과,
    생성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방법.
  24. 컴퓨터를,
    기재를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흡인 장치가 실시하는 상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의 시계열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인 프로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조작 대상의 상기 파라미터에 대한 유저 조작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 및 상기 표시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프로파일의 표시를 변경하는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27036022A 2020-11-10 2020-11-10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045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41796 WO2022101955A1 (ja) 2020-11-10 2020-11-10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538A true KR20230104538A (ko) 2023-07-10

Family

ID=8160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022A KR20230104538A (ko) 2020-11-10 2020-11-10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74631A1 (ko)
EP (1) EP4245172A1 (ko)
JP (1) JPWO2022101955A1 (ko)
KR (1) KR20230104538A (ko)
CN (1) CN115551379A (ko)
TW (1) TW202218567A (ko)
WO (1) WO202210195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4776A (ja) 2018-11-15 2020-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702861D0 (en) * 2017-02-22 2017-04-05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device with user controls
US11771138B2 (en) * 2017-04-11 2023-10-0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moking restriction function i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184703B1 (ko) * 2018-08-01 2020-1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117390B2 (ja) 2018-10-26 2022-08-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制御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ヒータ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喫煙物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4776A (ja) 2018-11-15 2020-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1955A1 (ja) 2022-05-19
US20230074631A1 (en) 2023-03-09
EP4245172A1 (en) 2023-09-20
TW202218567A (zh) 2022-05-16
JPWO2022101955A1 (ko) 2022-05-19
CN115551379A (zh)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201909980T4 (tr) Elektronik buhar tedarik sistemi.
KR20130006714U (ko) 기화 흡입 장치 및 상기 기화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기화 부재
KR101250019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게임 제공 부재
EP4101321A1 (en) Inhal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30104537A (ko)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30104538A (ko)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1240617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059130A1 (ja) システム、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75191B1 (ko) 흡입 장치 및 상기 흡입 장치에 적용되는 선택 부재
EP4074200A1 (en) Inhal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7256330B2 (ja) 端末装置、吸引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12045A1 (en) Control method, inhal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WO2023112247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KR20230104067A (ko) 흡인 장치, 정보 송신 방법, 및 프로그램
EP4285973A1 (en)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311631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28279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2130563A1 (ja) 吸引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2208835A1 (ja) 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WO2023079603A1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通知制御装置、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通知制御方法、及び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WO2024038528A1 (ja)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18438A1 (en) Suction devic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24095454A1 (ja) 情報処理装置、吸引システム、及び情報提示方法
EP4265133A1 (en) Aerosol generation system
JP735862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