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545A -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 - Google Patents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545A
KR20230103545A KR1020210194494A KR20210194494A KR20230103545A KR 20230103545 A KR20230103545 A KR 20230103545A KR 1020210194494 A KR1020210194494 A KR 1020210194494A KR 20210194494 A KR20210194494 A KR 20210194494A KR 20230103545 A KR20230103545 A KR 20230103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soil
layer
artificial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663B1 (ko
Inventor
이송찬
이상설
Original Assignee
이송찬
이상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송찬, 이상설 filed Critical 이송찬
Priority to KR102021019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66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9449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866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1Soil, e.g. late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34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s
    • C04B2111/00068Mortar or concrete mixtures with an unusual water/cement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쉬 망 설치단계, 이형 철근 설치단계, 거푸집 설치단계, 제1 흙 층 포설단계, 제1 몰탈 층 채움단계, 제2 흙 층 포설단계, 제2 몰탈 층 채움단계와, 복수의 흙 층 포설단계 및 몰탈 층 채움단계, 마감 흙 층 포설단계, 거푸집 해체단계, 흙 제거단계 및 조각단계;를 포함하고, 또한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시공된 인조 암을 포함한다.
따라서,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자체 하중 및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인조 임의 콘크리트 벽체에서 크랙 및 풍화가 발생되지 않고, 자연스럽고 역동적인 형태의 자연석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Artificial rock construction method and artificial rock construct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몰탈 및 흙 등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이나, 테마파크 및 관광지 등의 정원 및 공원 등에 경관조성 및 일부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게 설치하여 사람들에게 자연과 접촉하는 휴식공간 등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발명한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 암(人造 巖; 또는 인조 바위; 이하에서 "인조 암"으로 통칭함)은 자연의 느낌을 자연스럽게 연출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제조하고, 설치한 암석 또는 바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인조 암은 정원과 공원 등에 배치되어 도시에 지친 사람들에게 자연과 접촉하는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등산로 및 건축 구조물의 파손된 부위를 자연스럽게 재생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요즘에는 건축물의 내, 외장재로 활용하며 그 쓰임새가 넓어지고 있다.
종래 대부분의 인조 암에 대한 조성성분을 살펴보면, 주성분이 시멘트에 인체에 유해한 유리섬유를 혼합하여 강도를 높인 복합재료 또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풍화작용 등으로 분진화 되면서 유해물질을 배출한다.
특히,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가연성이라 실내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파쇄와 소각처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고, 또한 발암 물질인 석면이 보강제로 사용되어 인체에 유해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GRC(Glassfiber Reinforced Cement) 소재의 인조 암 구조물이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보강재로 사용되는 유리섬유의 분진이 호흡기 및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부 연구 결과에서는 유리섬유 분진이 암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발표되어 사용상에 주의를 요구하고 있다.
즉, 유리섬유 분진은 구조적으로 날카로운 입자형태를 가지고 있어 인체에 접촉 또는 호흡기로 흡수되어 폐포에 침착되면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유리섬유가 발암물질로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국제암연구소(IARC)는 2002년 유리섬유 먼지를 흡입한 일부 동물에게서 발암 증거를 확인하고 3등급 부적합 물질로 분류하고 있고, 같은 해 국내에서 유리섬유가 위장장애, 피부질환, 뇌종양 등의 피해를 준 사실이 인정되어 인천주민들이 유리섬유 공장을 상대로 낸 청구소송에서 승소해 배상판결이 난 사례가 있어 유리섬유의 유해성은 국내외에서 이미 기정사실화 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유동성 몰탈 등을 포함하는 몰탈과 흙을 이용하여 인조 암에 대한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을 소개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341982호(2013년 12월 10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490878호(2015년 02월 02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2074576호(2020년 01월 31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2159950호(2020년 09월 21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인조 암 시공 대상지의 벽면에 인접하여 메쉬 망과 이형 철근을 설치하고, 상기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3면이 막혀지는 거푸집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거푸집 내측의 원지반상 중 일정부위에 정해진 습기를 갖는 흙을 일정 높이 및 형상을 갖게 포설하고, 이어서 상기 흙의 내측과 대상지 벽 사이에 고유동성 몰탈 등을 포함하는 몰탈을 채우는 방법을 원하는 높이가 될 때까지 복수 단계에 거쳐 반복 수행한 다음, 최 상단면 전체에는 흙으로 덮어준 후, 일정시간이 결과되면 거푸집을 제거하고, 일정수준까지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에 고착된 형태를 갖는 흙을 제거함은 물론 필요한 부위와 부분에 강력한 수압으로 물을 쏘아 침식 느낌을 갖게하여 자연석 연출을 수행하며, 흙과 접촉면에서 얻는 자연풍화 느낌의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원하는 형상의 인조 암을 설치하여,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자체 하중 및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서 크랙 및 풍화가 발생되지 않고, 자연스럽고 역동적인 형태의 자연석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단계에서 채워지는 몰탈의 희석시 다양한 무기질 색소 중 원하는 무기질 색소를 더 투입하거나 또는 인조 암의 시공 완료 후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에 원하는 색상의 페인트 도료를 칠해 주어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이 보다 자연적이면서도 미려한 자연 지형적 지질구조를 갖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조 암 시공 대상지의 벽면과 메쉬 망 사이에 발포 폴리스티렌(EPS)을 이용하여 소정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를 더 설치하여, 인조 암 자체의 하중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대상지 벽면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온도차 및 누수 등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 및 풍화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 암의 수명 자체를 대폭 연장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의 충격 완화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몰탈의 사용량 및 공기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인조 암 자체의 시공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특히 기암괴석 등 천연석 발출을 줄일 수 있어 자연환경 보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에 대한 일 태양은, 인조 암 시공 대상지의 벽면에 인접하여 메쉬 망을 설치하는 메쉬 망 설치단계와; 상기 메쉬 망과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이형 철근을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이형 철근 설치단계와; 상기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원지반 상면에 3면이 막혀지는 거푸집을 복수의 동바리를 이용하여 일정 높이를 갖게 설치하는 동바리 및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측의 원지반 중 일정부위에 정해진 습기를 갖는 흙을 일정 높이 및 형상을 갖게 포설하는 제1 흙 층 포설단계와; 상기 제1 흙 층의 내측과 상기 대상지 벽면 사이에 몰탈을 채워주는 제1 몰탈 층 채움단계와; 상기 제1 흙 층의 상면에 정해진 습기를 갖는 흙을 일정 높이 및 형상을 갖게 포설하는 제2 흙 층 포설단계와; 상기 제1 몰탈 층 상면과 상기 제2 흙 층의 내측 및 대상지 벽면 사이에 몰탈을 채워주는 제2 몰탈 층 채움단계와; 상기 메쉬 망 및 상기 이형 철근의 설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흙 층 포설단계와 상기 몰탈 층 채움단계를 순차적으로 복수 단계에 거쳐 반복 수행하는 복수의 흙 층 포설단계 및 몰탈 층 채움단계와; 상기 흙 및 몰탈이 원하는 높이만큼 포설 및 채워진 경우, 최 상단면 전체에 일정높이로 흙을 포설하는 마감 흙 층 포설단계와; 상기 흙 및 몰탈이 양생될 때까지 일정시간 기다리는 단계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동바리 및 거푸집을 제거하는 동바리 및 거푸집 해체단계와; 다층으로 포설되거나 채워진 흙 층 및 몰탈 층이 양생되어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 및 상면에 고착된 흙을 각종 공구 또는 수압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을 노출시키는 흙 제거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흙 제거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 중 원하는 부분 또는 부위에 강력한 수압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에 원하는 형태의 홈이 파이지는 형태로 조각되게 하는 조작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쉬 망 설치단계를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인조 암 설치 대상지 벽면에 발포 폴리스티렌(EPS)을 이용하여 소정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흙은 70% 이상이 점토 크기 입자로 이루어진 개흙 50% 대비 가는 모래와 잔 자갈 50%를 희석함과 동시에 10~30%의 습기를 갖도록 물을 투입시켜 희석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몰탈은 진동다짐기의 도움 없이 순수하게 자신의 유동성만으로 채워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습기가 50~57%인 고유동성 몰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몰탈은 시멘트 25~35중량% : 모래 60~70중량% : 골재 자갈 5~15중량%로 희석하되, 수분 함량이 50~57%를 갖도록 물을 투입하여 희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몰탈에는 각종 색상(적, 흑, 황, 청 등)의 무기질 색소를 더 첨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특정 부위에서 원하는 면적만큼 특정 색상이 표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바리 및 거푸집 해체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형성을 위해 채워진 몰탈의 수분이 40~85% 이내로 증발된 형태로 양생되었을 때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에 의하면, 첫째 인조 암 시공 대상지의 벽면에 인접하여 메쉬 망과 이형 철근을 설치하고, 상기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3면이 막혀지는 거푸집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거푸집 내측의 원지반상 중 일정부위에 정해진 습기를 갖는 흙을 일정 높이 및 형상을 갖게 포설하고, 이어서 상기 흙의 내측과 대상지 벽 사이에 고유동성 몰탈 등을 포함하는 몰탈을 채우는 방법을 원하는 높이가 될 때까지 복수 단계에 거쳐 반복 수행한 다음, 최 상단면 전체에는 흙으로 덮어준 후, 일정시간이 결과되면 거푸집을 제거하고, 일정수준까지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에 고착된 형태를 갖는 흙을 제거함은 물론 필요한 부위와 부분에 강력한 수압으로 물을 쏘아 침식 느낌을 갖게 조각하여 자연석에 근접되게 연출을 수행하며, 흙과 접촉면에서 얻는 자연풍화 느낌의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원하는 형상의 인조 암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자체 하중 및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서 크랙 및 풍화가 발생되지 않고, 자연스럽고 역동적인 형태의 자연석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각 단계에서 채워지는 몰탈의 희석시 다양한 무기질 색소 중 원하는 무기질 색소를 더 투입하거나 또는 인조 암의 시공 완료 후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에 원하는 색상(자연석에 근접된 색상)의 페인트 도료를 칠해 줌으로써, 인조 암의 콘크리트 벽체 외면을 보다 자연적이면서도 미려한 자연 지형적 지질구조를 갖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는 인조 암 시공 대상지의 벽면과 메쉬 망 사이에 발포 폴리스티렌(EPS)을 이용하여 소정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를 더 설치하여 줄 수 있으므로, 인조 암 자체의 하중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대상지 벽면과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온도차 및 누수 등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 및 풍화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 암의 수명 자체를 대폭 연장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의 충격 완화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몰탈의 사용량 및 공기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인조 암 자체의 시공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특히 기암괴석 등 천연석 발출을 줄일 수 있어 자연환경 보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의해 시공되는 인조 암의 시공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의 (a)(b) 내지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각 단계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조 암(100)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5의 (a)(b)의 단계를 걸쳐 최종적으로 시공 대상지의 벽면(200)에 원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벽체(110)가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시공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흙 및 몰탈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5의 (a)(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 대상지의 벽면(200)의 외측에 원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콘크리트 벽체(110)가 일체로 구비되는 인조 암(100)을 형성시켜 주게 되면,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자체 하중 및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10)에서 크랙 및 풍화가 발생되지 않고, 자연스럽고 역동적인 형태의 자연석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의해 시공되는 인조 암의 시공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의 (a)(b) 내지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각 단계별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먼저, 인조 암 시공 대상지의 벽면(200)에 인접한 위치에는 후술하는 몰탈(50)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고, 상기 몰탈(50)이 시공 대상지 벽면(200)에 일체로 부착된 상태에서 원활히 양생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메쉬 망(10)을 설치하는 단계(S2)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메쉬 망(10)은 눈망 간격이 10 X 10㎜ 내지 50 X 50㎜ 등 다양한 눈망 간격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시공 대상지 벽면(200) 넓이에 대응하여 서로 인접되는 부위가 일부 겹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메쉬 망(10)은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중을 적절히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3의 (a)와 같이 앵커 볼트 등과 같은 복수의 고정부재(11)를 다수 곳에 다양한 방향으로 시공 대상지 벽면(200)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상기 고정부재(11)의 단부에 다양한 곳을 용접이나 철사 등과 같은 결속수단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과 메쉬 망(10) 사이에는 상기 메쉬 망(1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과 메쉬 망(10) 사이에 몰탈(50)이 채워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지지부재(12)를 다양한 방향으로 억지 끼움 방식 등을 통해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메쉬 망(10)과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몰탈과의 부착력을 증진시켜 줌과 동시에 본 발명이 적용된 인조 암(100)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기 위해 복수의 이형 철근(20)을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이형 철근(20) 설치단계(S3)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이형 철근(20)은 몰탈(50)과의 부착증진을 위해 표면에 리브와 마디 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으로, 그 지름과 설치 개수, 격자 형태로 결합될 때의 가로 세로 방향에 대한 간격 및 설치 층수 등은 본 발명에 의해 그 형상이 일률적이지 않은 자연석과 유사한 모양으로 시공되는 인조 암(100)의 외부 형태(예를 들어 정면에서 봤을 때 돌출부 및 골짜기 등과 같이 들어간 부위 등에 따른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여 전체적인 면적 및 그 두께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형 철근(20)와 상기 메쉬 망(10) 사이에는 상기 이형 철근(2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메쉬 망(10)과 상기 이형 철근(20)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함은 이들 사이에 몰탈(50)이 채워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복수의 간격유지부재(21)를 다양한 방향으로 더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형 철근(20)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은 물론 상기 메쉬 망(10)과 상기 이형 철근(20)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원지반(300) 상면에는 후술하는 흙 및 몰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 측을 제외한 나머지 면 즉, 3면(전면과 좌우면)이 막혀지도록 복수의 동바리(31)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30)을 일정 높이를 갖게 설치하는 동바리 및 거푸집 설치단계(S4)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30)은 철판과 철재 또는 목재 또는 PVC 거푸집, FRP 거프집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어떠한 형태의 거푸집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그 높이는 본 발명에 의한 인조 암(100)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흙 및 몰탈 등이 거푸집(30)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공하고자 하는 인조 암(100)의 높이보다는 적어도 10~50㎝ 이상 높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30)의 설치가 완료되면, 먼저 도 2 및 도 3의 (a)와 같이, 상기 거푸집(30) 내측의 원지반(300) 중 일정부위에 정해진 습기를 갖는 흙(40)을 일정 높이 및 형상을 갖게 포설하는 제1 흙 층 포설단계(S5-1)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제1 흙 층 포설단계(S5-1)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각각의 흙 층 포설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흙(40)은, 예를 들어 대략 70% 이상이 점토 크기 입자로 이루어진 개흙 50% 대비 가는 모래와 잔 자갈 50% 비율로 희석하거나 또는 개흙과 가는 모래, 또는 황토와 가는 모래, 또는 마사토와 가는 모래를 각각 50% :50%의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 예시된 각각의 비율은 현장 특성에 맞춰 최적화되도록 다양한 재료 비율로 희석하여 사용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흙(40)의 습도는 후술하는 몰탈(50)의 양생에 의해 형성되는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부 표면 형상이 자연석의 외부 표면 형상에 근접되게 도출하기에 충분한 점성을 갖게 하기 위해 약 10~30%의 습도를 갖게 적정량의 물을 투입시켜 희석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흙(40)의 습도가 약 10% 미만일 낮을 경우는 흙 자체의 점도가 너무 낮아 푸석한 형태를 가지게 되어 자연적으로 일그러진 표면에 근접된 외면을 갖게 포설하기 어렵고, 습도가 30% 이상으로 높을 경우는 흙의 점도가 묽어 비록 흙의 표면은 독특한 자연석의 또 다른 이즈러짐 현상을 극대화한 연출을 나타내므로 흙의 습도가 약 10~30%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 흙 층 포설단계(S5-1)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각각의 흙 층 포설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흙(40)은, 필요에 따라 전체 모두를 습도 30% 이상 높게 희석한 흙(단, 흙의 습도를 57% 이상 넘기지 않도록 해야함)을 사용할 수도 있고, 전체 평면구역의 절반 비율의 공간 혹은 20~40%의 구간에만 하는 등 간헐적으로 투여하는 황금 비율 요소로 실시하는 구간도 있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흙 자체의 자중 등에 의해 일부가 처지게 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몰탈의 누름 압과 흙의 누름 압이 거의 비슷하도록 흙 층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하중 지지대를 설치해 주며, 흙 채움 시 푸석하지 않도록 다져주는 과정도 필요하다.
또한, 상기 제1 흙 층 포설단계(S5-1)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각각의 흙 층 포설단계(S5-2, S5-3 ..., S5-n-1, S5-n)에서 포설되는 상기 흙(40)의 높이는, 흙 자체의 자중 등에 의해 일부가 처지게 되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약 30~50㎝보다는 높지 않도록 포설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흙 층 포설단계(S5-1)가 완료되면, 이어서 도 2 및 도 3의 (b)와 같이, 상기 제1 흙 층의 외면 내측과 상기 대상지 벽면(200) 사이에 상기 제1 흙 층의 높이에 거의 대응하는 형태의 높이를 갖도록 소정의 몰탈(50)을 채워주는 제1 몰탈 층 채움단계(S6-1)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제1 몰탈 층 채움단계(S6-1)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각각의 몰탈 층 채움단계(S6-2, S6-3 ..., S6-n-1, S6-n)에서 사용되는 상기 몰탈(50)로는, 진동다짐기의 도움 없이 순수하게 자신의 유동성만으로 채워줄 수 있는 특성을 가진 고유동성 몰탈(무수축 몰탈, 특수 몰탈) 또는 콘크리트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몰탈(50)로 자체적으로 유동성을 가진 고유동성 몰탈 등을 사용할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바이브레이터 등과 같은 진동 다짐기를 이용하여 적절히 유동화를 도울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몰탈 층 채움단계(S6-1)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각각의 몰탈 층 채움단계(S6-2, S6-3 ..., S6-n-1, S6-n)에서 사용되는 상기 몰탈(50)로는, 시멘트 25~35중량% : 모래 60~70중량% : 골재 자갈 5~15중량%로 희석하여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어느 것을 채택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단, 상기 제1 몰탈 층 채움단계(S6-1)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각각의 몰탈 층 채움단계(S6-2, S6-3 ..., S6-n-1, S6-n)에서 상기 몰탈(50)을 외면이 소정 형상을 갖게 포설한 흙(40)의 외면 내측과 상기 대상지 벽면(200) 사이의 공간부에 채워 넣을 때, 흙의 외면 형상이 공간부로 투입되는 몰탈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자연석의 외면에 근접되게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포설한 흙의 외면 홈을 포함한 틈새 등에 자체적으로 유동성을 갖고 자동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몰탈(50))의 수분 함량이 50~57%를 갖도록 적정량의 물을 투입하여 묽게 형성하여 주는 것이 비람직하다.
이때, 상기 몰탈(50)의 수분 함량이 50% 미만으로 낮아질 경우, 상기 몰탈(50))의 점도가 높아 몰탈 자체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소정 형상을 갖도록 포설한 흙(40)의 외면 즉, 다양한 형상을 갖는 흙(40)의 외면 홈 및 틈새 등의 사이 사이에 몰탈이 고르게 채워지지 않아 원하는 형상의 인조 암(100) 표면을 도출할 수 없고, 57% 이상으로 높을 경우는 몰탈(50) 자체의 점도가 낮아 유동성은 매우 좋으나, 시멘트의 재료 분리와 흙(40)의 외면 내측과 상기 대상지 벽면(200) 사이의 공간부에 몰탈이 빠르게 유동되며 채워지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흙(40)의 외면 일부를 변형 및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몰탈의 수분 함량은 50~57%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몰탈의 점도가 적정한 묽기를 갖도록 물을 적절히 투입시켜 희석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몰탈 층 채움단계(S6-1)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각각의 몰탈 층 채움단계(S6-2, S6-3 ..., S6-n-1, S6-n)에서 사용되는 상기 몰탈(50)에는, 필요에 따라 적색, 흑색, 황색, 청색 등 각종 색상을 갖는 무기질 색소 중 원하는 색상의 무기질 색소를 적정량(여기서, 무기질 색소의 첨가량은 몰탈의 전체 용량 대비 5~10% 미만의 미량으로 원하는 색상에 대한 도출하고자 하는 채도에 대응하여 결정됨)을 더 첨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의 특정 부위에서 원하는 면적만큼 특정 색상이 표출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각기 다른 색상의 몰탈을 교차 포설경우에는, 2~5초 이내의 시간적으로 거의 동시에 해야만 서로 다른 경화 차이로 인한 이질감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몰탈 층 채움단계(S6-1)를 포함하여 후술하는 각각의 몰탈 층 채움단계(S6-2, S6-3 ..., S6-n-1, S6-n)에서 사용되는 상기 몰탈(50)에 다양한 무기질 색소 중 본 발명이 적용된 인조 암(100)이 설치되는 주변환경 등을 감안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무기질 색소를 더 투입시켜 주게 되면, 인조 암(100)의 콘크리트 벽체(110) 외면이 주변환경에 부합되는 보다 자연적이면서도 미려한 자연 지형적 지질구조를 갖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몰탈 층 채움단계(S6-1)를 완료한 후에는, 도 2 및 도 4의 (a)와 같이, 상기 제1 흙 층의 상면에 정해진 습기를 갖는 흙을 일정 높이 및 형상을 갖게 포설하는 제2 흙 층 포설단계(S5-2)를 실시한다.
이때, 사용되는 흙(40) 자체를 포함하여 흙의 습기나 포설 높이 등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흙 층 포설단계(S5-1)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이어서, 도 2 및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제1 몰탈 층 상면과 상기 제2 흙 층의 내측 및 대상지 벽면 사이에 상기 제2 흙 층의 높이에 거의 대응하는 형태의 높이를 갖도록 소정의 몰탈(50)을 채워주는 제2 몰탈 층 채움단계(S6-2)를 실시한다.
이때, 사용되는 몰탈(50) 역시 상기 제1 몰탈 층 채움단계(S6-1)에서 사용된 몰탈의 조건과 동일 즉, 상기 제1 몰탈 층 채움단계(S6-1)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이후, 상기 메쉬 망(10) 및 상기 이형 철근(20)의 설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흙 층 포설단계와 상기 몰탈 층 채움단계를 도 2 및 도 5의 (a)와 같이 순차적으로 복수 단계에 거쳐 반복 수행하는 복수의 흙 층 포설단계(S5-3 ..., S5-n-1, S5-n) 및 몰탈 층 채움단계(S6-3 ..., S6-n-1, S6-n)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흙 층 포설단계(S5-3 ..., S5-n-1, S5-n) 및 상기 몰탈 층 채움단계(S6-3 ..., S6-n-1, S6-n)에서 사용되는 흙(40) 및 몰탈(50)의 형태와 높이 등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층 및 제2 흙 층 포설단계(S5-1, S5-2) 및 상기 제1층 및 제2 몰탈 층 채움단계(S6-1, S6-2)에서와 거의 동일한 조건 및 형태 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메쉬 망(10) 및 상기 이형 철근(20)의 설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흙 층 포설단계(S5-3 ..., S5-n-1, S5-n) 및 상기 몰탈 층 채움단계(S6-3 ..., S6-n-1, S6-n)를 실시한 후에는 상기와 같이 포설 및 적층된 흙 층 및 몰탈 층이 주변의 온도나 하중, 충격, 오손 및 파손 유해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충분히 보호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습윤양생 또는 피막양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제n 흙 층 및 제n 몰탈 층의 상면 전체 즉, 최 상단면 전체에 일정높이로 흙(40)을 덮는 형태로 포설하는 마감 흙 층 포설단계(S7)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감 흙 층 포설단계(S7)를 실시한 다음에는, 각각 제n 층으로 포설 및 채워진 상기 흙(40) 및 몰탈(50)이 양생될 때까지 일정시간을 기다리는 양생단계(S8)을 실시한다.
이때, 각각 제n 층으로 포설 및 채워진 상기 흙(40) 및 몰탈(50)의 양생시간은, 흙의 양생은 관계없이 몰탈이 약 40~85% 경화될 수 있는 시간으로, 대략 2.5 ~ 4.5시간(하절기 기준) 정도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적절한 수압(20~150바 이상)으로 원하는 부위에 불규칙한 형태로 조각(침식 느낌)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함이며, 사용된 흙 및 몰탈의 습윤이나 각 조성비 등에 의해 자체적으로 정해지는 양생시간 등과 같은 조건과 주변 온도 및 전체 높이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한정할 수는 없다.
다만, 상기 몰탈이 약 40~85% 경화(즉, 양생)될 수 있는 시간을 기다리는 이유는, 후술하는 동바리 및 거푸집 해체단계(S9)를 실시한 다음, 각종 공구 또는 수압 등을 이용하여 흙을 제거하는 단계(S10) 및 침식 효과를 위해 살수장치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에 자연석의 표면과 같이 불규칙한 형태로 조각하는 단계(S11)를 실시할 때,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이 손상되지 않는 가운데 흙 자체가 원활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흙 및 몰탈이 40% 미만으로 경화 및 양생된 상태에서 흙을 제거하게 되면, 아직도 원하는 % 이하로 덜 양생된 상태를 갖는 몰탈(50)의 일부까지 작은 자극과 압력 등에도 흙과 함께 제거되며 인조 암(100)의 외면이 되는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 일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그렇다고 85% 이상으로 양생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에 불규칙한 형태로 조각을 실시할 때에는 수압이 100바 이상인 형태에서 실시해야 하기 때문이지, 절대 불가한 사항은 아니며 흙은 언제든지 경화강도와 관계없이 왠만한 수압으로도 모두 제거 가능하므로 몰탈의 양생 상태에만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마감 흙 층 포설단계(S7)를 실시한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각각 제n 층으로 포설 및 채워진 흙 층 및 몰탈 층 중 상기 흙 층의 경화 정도는 무시하고, 상기 몰탈 층이 약 40~85% 이내로 양생되었을 경우에, 각각 제n 층으로 포설 및 채워진 흙 층 및 몰탈 층 등이 무너지거나 외부로 세어나오지 않도록 기 설치해 놓은 상기 동바리(31) 및 거푸집(30)을 제거하여 도 5의 (b)와 같이 흙 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동바리 및 거푸집 해체단계(S9)를 실시한다.
이후, 다층으로 포설되거나 채워진 흙(40) 및 몰탈(50)이 상기에서 정해진 % 정도로 양생되어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 및 상면에 고착된 흙(40)을 삽이나 호미 등을 포함하는 각종 공구 또는 살수장치의 노즐을 통해 강하게 분사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을 노출시키는 흙 제거단계(S10)를 실시한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흙 제거단계(S10) 이후 또는 상기 흙 제거단계(S10)와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 중 원하는 부분 또는 부위에 강력한 수압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에 원하는 형태의 홈이 파이지는 형태(즉, 자연석의 외면에 근접되는 형태)로 조각이 이루어지게 하는 조작단계(S11)를 더 실시함으로써 시공 대상지 벽면(200)의 전면부에 도 1과 같이 자연석의 외부 표면과 비슷한 소정형상을 갖는 인조 암(100)의 설치(시공)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 및 상면에 고착된 흙(40)을 살수장치에서 분사되는 수압을 이용하여 제거(S10)함과 동시에 자연석의 외면과 근접된 형태를 갖도록 불특정한 형상으로 조각(S11)을 실시할 경우는, 20~150바 사이 또는 150바 이상의 수압으로 흙, 또는 목표한 콘크리트 벽체 표면에 강하게 분사시키는 방법을 통해 흙 제거와 콘크리트 벽체 표면에 조각을 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흙 층들은 경화 강도에 상관없이 20~100바 미만의 압으로도 대부분 제거 가능하다.
다만, 예를들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를 이루는 몰탈(50)들이 85% 이상으로 양생된 경우는, 150바 이상의 수압으로 물을 분사시켜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 일부 또는 목표하는 부위에 원하는 깊이 및 형태를 갖는 흠집을 적절히 내주는 조각을 실시하면 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시공한 인조 암(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의 전면에 상기 메쉬 망(10)과 이형 철근(20)을 배치하고 이에 복수의 몰탈(50) 층을 타설함으로써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를 일체로 구비한 형태를 가지므로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자체 하중 및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에서 크랙 및 풍화가 크게 발생되지 않고, 자연스럽고 역동적인 형태의 자연적인 지형구조와 지질구조를 구현해 낼 수가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의 전면에 상기 메쉬 망(10)과 이형 철근(20)을 배치하고 이에 복수의 몰탈(50) 층을 타설한 형태로만 인조 암(100)을 시공할 경우, 몰탈(50)의 사용량이 많고 공기가 길어져 인조 암 자체의 시공원가가 많이 들게 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조 암 자체의 하중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있고, 또 시공 대상지 벽면(200)을 통해 배출되는 물기 및 습기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110)가 젖어 있는 형태를 가질 우려가 있음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를 통해 외부로 물이 세어나올 우려가 있고, 그에 따라 콘크리트 벽체(110)에서 크랙 및 풍화작용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은 우려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의 경사각도나 주변의 환경(예를 들어 지수 및 누수가 많은 경우) 등을 감안하여 도 2 및 도 6과 같이, 상기 메쉬 망 설치단계(S2)를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인조 암 설치 대상지 벽면(200)에 발포 폴리스티렌(EPS)을 이용하여 소정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60)를 설치하는 단계(S1)를 더 실시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EPS)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상기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60)는, 폴리스티렌에 발포제를 가하여 인조 암 설치 대상지 벽면(200)에 설치하고자 하는 인조 암(100)의 외부 형태 등을 감안한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즉, 폴리스티렌에 발포제를 가하여 압출 가공을 통해 저발포의 원반을 만든 다음, 이 원반을 다시 대기 중에서 양면에서 가열하여 발포도를 높여 형성한 것으로, 발포 폴리스티렌은 단독발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단열성이 높고, 또한 밀도가 낮아 더욱 강인성이 있으며, 열 안정성이 좋은 수지이다.
이들의 특징을 살려서 발포 폴리스티렌은 본 발명에서 적용한 상기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60) 이외에 예를 들어 단열용기(생선포장용 상자 등)나 깨지기 쉬운 기기 등의 완충재, 식품용 접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조 암(100)을 시공하고자 하는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과 상기 메쉬 망(10) 사이에 상기와 같이 발포 폴리스티렌(EPS)을 이용하여 소정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상기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60)를 더 설치해 주게 되면, 상기한 일 실시 예에 비해 상기 몰탈(50)의 사용량이 상기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60)의 체적만큼 덜 들게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조 암(100)의 시공에 따른 공기를 그만큼 크게 줄일 수 있어 인조 암 자체의 시공원가(즉, 원재료 비용 및 인건비 등)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인조 암(100) 자체의 하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200)과 콘크리트 벽체(110) 사이에서 발생되는 온도차 및 상기 상기 대상지 벽면(200) 측에서 세어 나오는 물기 및 습기가 상기 인조 암(100)의 콘크리트 벽체(110)까지 누수 및 전달됨으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 및 풍화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인조 암(100)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60)가 해당 충격에 대한 완화작용도 실시하게 되어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몰탈(50) 층을 형성시키는 각 단계(S6-1, S6-2 ..., S6-n-1, S6-n)에서 사용되는 상기 몰탈(50)에 다양한 무기질 색소를 희석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최종 단계로 전술한 바와 같은 흙 제거단계(S10) 및 조작단계(S11)를 실시한 다음, 필요에 따라서는 인조 암의 콘크리트 벽체(110) 외면을 보다 자연적이면서도 미려한 자연 지형적 지질구조를 갖는 분위기를 조성시키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에 원하는 색상(자연석에 근접된 색상)의 페인트 도료를 칠해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의 외면에 원하는 색상의 페인트 도료를 칠go 주게 되면, 상기 몰탈(50)에 다양한 무기질 색소 중 인조 암(100)이 설치되는 주변환경 등을 감안하여 원하는 무기질 색소를 더 투입시켜 준 것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100)의 콘크리트 벽체(110) 외면이 주변환경에 부합되는 보다 자연적이면서도 미려한 자연 지형적 지질구조를 갖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으로 시공된 인조 암(100)의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 표면은, 자연석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게 됨은 물론 이와 같이 자연석의 형상을 갖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110)의 일부 오목하거나 골짜기 형태 등의 형상을 갖는 부위에는 배수기능을 갖춘 충분한 토양층을 보유시켜 각종 조경수 등를 포함하여 화초 등과 같은 일부 월동 가능한 다육 식물이나 관목류 등을 심어 키울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각종 나무나 식물 등을 심어 경관을 자연스럽게 조성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의 외면은 더욱 미려하고 야생 자연 형태에 가까운 느낌을 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메쉬 망
11 : 고정부재 12 : 지지부재
20 : 이형 철근 21 : 간격유지부재
30 : 거푸집 31 : 동바리
40 : 흙
50 : 몰탈
60 :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
100 : 인조 암 110 : 콘크리트 벽체
200 : 시공 대상지 벽면
300 : 원지반

Claims (10)

  1. 시공 대상지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의 원지반 상면에 거푸집을 일정 높이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 내측과 상기 시공 대상지 벽면 사이의 원지반 상면에 흙과 몰탈을 정해진 높이씩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포설 및 채워 넣으며 다단으로 된 흙 층과 몰탈 층을 정해진 높이만큼 형성하는 단계와;
    최 상단 층의 상기 흙 층 및 상기 몰탈 층 상면에 일정높이로 흙을 포설하여 마감하는 단계와;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각 층의 흙 및 몰탈이 정해진 % 이내로 양생되면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몰탈 층들의 양생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 및 상면에서 고착된 흙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암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을 설치하기에 앞서,
    시공 대상지 벽면에 인접하여 메쉬 망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쉬 망과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이형 철근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암 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쉬 망 설치단계를 실시하기에 앞서,
    상기 인조 암 설치 대상지 벽면에 발포 폴리스티렌(EPS)을 이용하여 소정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단열 및 누수 방지겸 형상유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암 시공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으로 흙 층과 몰탈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거푸집 내측의 원지반 중 일정부위에 정해진 습기를 갖는 흙을 일정 높이 및 형상으로 포설하여 제1 흙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흙 층의 내측과 상기 대상지 벽면 사이에 일정 높이로 몰탈을 채워주어 제1 몰탈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흙 층의 상면에 정해진 습기를 갖는 흙을 일정 높이 및 형상을 갖으로 포설하여 제2 흙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몰탈 층 상면과 상기 제2 흙 층의 내측 및 대상지 벽면 사이에 일정 높이로 몰탈을 채워주어 제2 몰탈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메쉬 망 및 상기 이형 철근의 설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흙 층 포설단계와 상기 몰탈 층 채움단계를 순차적으로 복수 단계에 거쳐 반복 수행하여 복수의 흙 층(제3 내지 제n 흙 층)과 복수의 몰탈 층(제3 내지 제n 몰탈 층)을 순차적으로 계속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암 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흙 제거단계 이후,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 중 원하는 부분 또는 부위에 강력한 수압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외면에 원하는 형태의 홈이 파이지는 형태로 조각되게 하는 조작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암 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흙은,
    70% 이상이 점토 크기 입자로 이루어진 개흙 50% 대비 가는 모래와 잔 자갈 50%를 희석함과 동시에 10~30%의 습기를 갖도록 물을 투입시켜 희석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암 시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탈은,
    진동다짐기의 도움 없이 순수하게 자신의 유동성만으로 채워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습기가 전체 중량 대비 50~57%인 고유동성 몰탈,
    또는 시멘트 25~35중량% : 모래 60~70중량% : 골재 자갈 5~15중량%로 희석하되, 수분 함량이 전체 중량 대비 50~57%를 갖도록 물을 투입하여 희석한 것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암 시공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탈에는 각종 색상의 무기질 색소를 더 첨가하여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특정 부위에서 원하는 면적만큼 특정 색상이 표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암 시공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제거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벽체의 형성을 위해 채워진 몰탈이 40~85% 이내로 양생되었을 때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암 시공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의 인조 암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
KR1020210194494A 2021-12-31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 KR102668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494A KR102668663B1 (ko) 2021-12-31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494A KR102668663B1 (ko) 2021-12-31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545A true KR20230103545A (ko) 2023-07-07
KR102668663B1 KR102668663B1 (ko) 2024-05-22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982B1 (ko) 2012-09-13 2013-12-16 이정우 인공폭포에 사용되는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1490878B1 (ko) 2014-09-02 2015-02-06 (주)더그린 친환경 다공성 경량 바이오 세라믹 스톤을 이용한 생물 콘크리트 인조암의 제조 및 조성방법
KR102074576B1 (ko) 2018-05-10 2020-02-06 이웅 인조 바위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102159950B1 (ko) 2018-08-24 2020-09-25 한일에코산업 주식회사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인조암 옹벽블록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암 옹벽블록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982B1 (ko) 2012-09-13 2013-12-16 이정우 인공폭포에 사용되는 인공암의 제조방법
KR101490878B1 (ko) 2014-09-02 2015-02-06 (주)더그린 친환경 다공성 경량 바이오 세라믹 스톤을 이용한 생물 콘크리트 인조암의 제조 및 조성방법
KR102074576B1 (ko) 2018-05-10 2020-02-06 이웅 인조 바위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102159950B1 (ko) 2018-08-24 2020-09-25 한일에코산업 주식회사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인조암 옹벽블록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암 옹벽블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503329A (ja) ケージ構造
US8062143B1 (en) Golf course sand bunker construction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production
KR101689734B1 (ko) 생물콘크리트 인조암구조체를 이용한 급경사지 사면녹화 및 낙석·수해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자연경관 복원기술
KR101275615B1 (ko) 폭포, 자연석, 수목, 식물을 활용한 자연축경식 명산 및 그의 조성방법
WO2020244177A1 (zh) 一种行道树种植穴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594442B (zh) 园林道路施工工艺
KR102668663B1 (ko)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
KR20230103545A (ko) 인조 암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인조 암
KR100943144B1 (ko) 뿜칠용 콘크리트와 인공경량토를 이용한 인조바위의 시공방법
CN105672366B (zh) 植被型散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214301792U (zh) 一种基于废弃物再利用的软岩边坡生态护坡结构
KR102317257B1 (ko) 동굴이 있는 인공산
CN112359850B (zh) 道路工程的砌筑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900455A (zh) 一种超厚观景台陶粒聚苯板填埋的施工方法
CN206829165U (zh) 用于干旱区土遗址坍塌和掏蚀区的复合地基
KR20120034970A (ko) 게비온 블럭 및 게비온 블럭 제조 방법
KR100822758B1 (ko) 인공바위 제작방법
Stevanović et al. Building and caring for the house at Çatalhöyük
JP5692970B2 (ja) 天然芝の広場
CN108589461B (zh) 一种中空模型及应用该中空模型的园林道路施工工艺
US20080172982A1 (en) Wall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method
JP3673918B2 (ja) 消波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TWM621304U (zh) 透水鋪面構造改良
CN207484399U (zh) 一种用于边坡修复的生态网格结构
CN108221555B (zh) 一种园林道路结构的铺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