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166A -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166A
KR20230103166A KR1020210193827A KR20210193827A KR20230103166A KR 20230103166 A KR20230103166 A KR 20230103166A KR 1020210193827 A KR1020210193827 A KR 1020210193827A KR 20210193827 A KR20210193827 A KR 20210193827A KR 20230103166 A KR20230103166 A KR 20230103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vil
text
voice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 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스
Priority to KR1020210193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166A/ko
Publication of KR2023010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06F40/35Discourse or dialogue representa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터치 방식 또는 음성 인식 방식으로 민원인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민원서식 키오스크와 상기 음성 인식 방식으로 민원인의 음성이 입력된 경우 실행되는 AI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AI 챗봇 서비스는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클라우드 API를 통해 텍스트(TEXT) 문서로 변환 처리하고 상기 변환 처리된 텍스트에 대해 데이터베이스(DB)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 화면을 통해 상기 텍스트에 상응하는 액션을 도출하는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A civil format help service system using voice sensing}
본 발명은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민원 현장에서 작성하는 각종 민원서식은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한자어와 외국어가 많이 포함되어 정보취약계층은 물론 교육수준이 평균 이상인 일반인도 서식을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서식 작성 항목의 대부분은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민원인의 개인정보로 매번 동일한 내용을 새로 작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대화식 입력을 통해 서식의 복잡도를 낮추고 인공지능에게 모르는 부분을 질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에 본 발명의 의의가 있다.
본 발명은 대화식 입력을 통해 민원 서식 작성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화면 터치 방식 또는 음성 인식 방식으로 민원인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민원서식 키오스크와 상기 음성 인식 방식으로 민원인의 음성이 입력된 경우 실행되는 AI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AI 챗봇 서비스는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클라우드 API를 통해 텍스트(TEXT) 문서로 변환 처리하고 상기 변환 처리된 텍스트에 대해 데이터베이스(DB)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 화면을 통해 상기 텍스트에 상응하는 액션을 도출하는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AI 챗봇 서비스의 구성 및 개념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민원서식 키오스크 화면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주민등록'이라고 발화한 경우 해당 키워드로 검색되는 서식들의 목록이 표시된 화면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I 챗봇 서비스에 의한 질의/응답 프로세스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AI 챗봇 서비스에 의해 수행되는 텍스트 음성 변환 프로스세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AI 챗봇 서비스에 의해 수행되는 AI 번역 서비스의 시스템 구성 및 프로세스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민원서식 키오스크의 초기화면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AI 챗봇 서비스의 구성 및 개념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민원인은 민원서식 키오스크를 통해 서식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할 때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 또는 음성인식을 진행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해당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은 AI 챗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AI 챗봇 서비스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면, 먼저 민원서식 키오스크를 통해 음성데이터(WAV)가 들어오면 클라우드 API(예: 네이버 API)를 통해 TEXT 문서로 바뀌게 된다. 다음으로, STT API에서 클라우드 API에 의해 처리된 TEXT를 받아 DB를 조회하여 해당하는 액션을 취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하여 키오스크 화면에서 원하는 액션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키오스크 화면을 통해서는 음성과 비음성 모두 인식되며, 음량이 크게 발화된 내용이 입력되어 들어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민원서식 키오스크 화면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민원서식 키오스크 화면에는 복수의 민원서식에 대응되는 선택탭이 표시된다. 민원인은 선택탭을 터치함으로써 이용하고자 하는 민원서식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민원인은 음성을 발화하여 민원서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에 의하면 화면터치 또는 음성발화를 통해 민원서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민원서식 키오스크 화면에는 '다음의 목록 중 원하시는 서식을 말씀하시거나 터치해 주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민원인이 '주민등록'이라고 발화한 경우 해당 키워드로 검색되는 서식들의 목록을 도 3의 예시와 같은 방식으로 표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I 챗봇 서비스에 의한 질의/응답 프로세스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민원인이 음성 입력으로 질의한 경우 입력된 음성을 STT 기능을 통해 TEXT로 변환된다. 데이터베이스(DB)에는 민원서식 작성 지식베이스 데이터가 Q&A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그리하여 AI 챗봇 서비스는 입력된 질문 TEXT를 DB에서 검색하여 해당 질문에 상응하는 답변을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된 답변 TEXT를 TTS 기능을 통해 음성으로 표출하여 민원인에게 답변 서비스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AI 챗봇 서비스에 의해 수행되는 텍스트 음성 변환 프로스세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텍스트 음성 변환 프로세스는 텍스트를 문자열 음소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음소 단위를 음성 조각으로 매핑하는 단계, 매핑된 음성 조각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음성 신호를 하나의 음성 신호로 합성하는 단계 순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텍스트 음성 변환 프로세스는 AI 음성합성 모듈 API가 담당한다.
도 6은 AI 챗봇 서비스에 의해 수행되는 AI 번역 서비스의 시스템 구성 및 프로세스의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AI 번역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민원인이 희망하는 언어의 종류에 대응되는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민원인은 민원서식 키오스크를 이용할 때 도 7에 예시된 초기화면에서 희망 언어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자신이 선택한 종류의 언어에 대응되는 AI 챗봇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시스템은 AI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기술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구체적인 서비스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민원 서식 선택 방법을 음성 및 텍스트로 안내
- 민원 서식 종별로 처리절차 정의
- 서식에 필요한 개인정보 항목 및 연계 시스템 정의
- 서식의 성격에 맞게 서식작성 절차와 처리절차 정의
※ 개인식별 및 개인정보 이용제공 동의에 따른 서식별 자동입력 정보 정의
※ 민원인이 입력해야 할 정보를 인지심리학적으로 분류하고 그룹핑
※ 단계별로 AI가 질의하고 민원인이 입력하는 처리 정의
- 선택한 서식의 처리절차 등 안내 화면 구현
· 민원인이 작성하려는 서식을 제출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서류와 작성된 서식 제출 후 처리 절차 등을 설명하는 화면 구현
- 선택한 서식에 필요한 개인정보(행정정보) 이용제공 동의 안내 화면 구현
· 서식별로 필요한 개인정보를 행정정보시스템 등에서 조회하고 이용하는 것에 대한 동의
· 서비스 개선을 위하여 AI 도우미를 사용한 이력 데이터 중 개인정보를 제외하고 활용하는 것에 대한 동의
- 민원 서식에 따라 단계별 질의 화면 구현
· 민원 서식 종별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만들고, 이를 처리 할 수 있는 단계별 질의 화면 구현
· 각 화면별 질의 텍스트는 AI 서비스 통합관리 모듈로 전달

Claims (1)

  1. 화면 터치 방식 또는 음성 인식 방식으로 민원인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민원서식 키오스크와 상기 음성 인식 방식으로 민원인의 음성이 입력된 경우 실행되는 AI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AI 챗봇 서비스는 상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클라우드 API를 통해 텍스트(TEXT) 문서로 변환 처리하고 상기 변환 처리된 텍스트에 대해 데이터베이스(DB)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 화면을 통해 상기 텍스트에 상응하는 액션을 도출하는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193827A 2021-12-31 2021-12-31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 KR20230103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827A KR20230103166A (ko) 2021-12-31 2021-12-31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827A KR20230103166A (ko) 2021-12-31 2021-12-31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66A true KR20230103166A (ko) 2023-07-07

Family

ID=8715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827A KR20230103166A (ko) 2021-12-31 2021-12-31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1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2763B2 (ja) 対話支援装置
AU2015261693B2 (en) Disambiguating heteronyms in speech synthesis
US8290775B2 (en) Pronunciation correction of text-to-speech systems between different spoken languages
US8380516B2 (en) Retrieval and presentation of network service results for mobile device using a multimodal browser
US82391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accuracy by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US69100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peech recognition using phonetically similar word alternatives
EP20588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speech for searching a database
US20060271838A1 (en) Method and systems for accessing data by spelling discrimination letters of link names
US200301448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the behavior of an application based upon the application's grammar
JP2004511867A (ja) 言語に無関係な音声ベースのサーチ・システム
US20080215519A1 (en)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for the controlled query of structured saved information
JP2015153108A (ja) 音声会話支援装置、及び音声会話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11036769A1 (ja) 翻訳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70605A (ko) 영역별 언어모델과 대화모델을 이용한 지능형 로봇 음성인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070016420A1 (en) Dictionary lookup for mobile devices using spelling recognition
JP2007193166A (ja) 対話装置、対話方法及びプログラム
Hemphill et al. Speech-aware multimedia
Di Fabbrizio et al. AT&t help desk.
Callejas et al. Implementing modular dialogue systems: A case of study
KR20230103166A (ko) 음성인식 간편 민원서식 도우미 서비스 시스템
JP2004295578A (ja) 翻訳装置
JP699923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162144A1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Communication with Machines
JP4622861B2 (ja) 音声入力システム、音声入力方法、および、音声入力用プログラム
KR20200028158A (ko) 다국어 음성 명령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