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939A - 포고 핀 - Google Patents

포고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939A
KR20230102939A KR1020210193437A KR20210193437A KR20230102939A KR 20230102939 A KR20230102939 A KR 20230102939A KR 1020210193437 A KR1020210193437 A KR 1020210193437A KR 20210193437 A KR20210193437 A KR 20210193437A KR 20230102939 A KR20230102939 A KR 2023010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pogo pin
guide line
vertical direction
electric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엽
Original Assignee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filed Critical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93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939A/ko
Publication of KR2023010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고 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플런저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플런저 사이에 복수 개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로 구성된 탄성 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된 포고 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고 핀{POGO PIN}
본 발명은 포고 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플런저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플런저 사이에 복수 개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로 구성된 탄성 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된 포고 핀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 등 각종 전기 부재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포고 핀과 같은 압접형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고 핀은, 포고 핀을 구성하는 플런저(plunger)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매우 중요하다. 플런저 사이의 전기적 접촉의 신뢰성이 유지되지 않거나, 또는 접촉 면적이 작을 경우,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되는 포고 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1-004844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플런저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2 플런저 사이에 복수 개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로 구성된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가 구비됨으로서,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된 포고 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 핀은, 상부를 구성하는 제1 플런저; 하부를 구성하는 제2 플런저; 및 상기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에 대하여 탄성을 가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런저는, 상부분을 구성하는 탑 컨택부, 및 상기 탑 컨택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향으로 오픈된 제1 중공을 갖는 통형의 제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런저는, 하부분을 구성하는 바텀 컨택부, 및 상기 바텀 컨택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방향으로 오픈된 제2 중공을 갖는 통형의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통전 재질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탄성 입체물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입체물은, 소정의 부피를 갖고 상기 제1 중공과 제2 중공 내에 투입되어 상기 탑 컨택부와 상기 바텀 컨택부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플런저는,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런저는, 상기 제2 바디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향으로 오픈된 함몰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함몰 가이드 라인 내에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이 위치하여,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과 상기 함몰 가이드 라인이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를 가이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1 플런저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1 플런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제1 빗각을 갖고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런저의 상기 함몰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2 플런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제2 빗각을 갖고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빗각과 제2 빗각의 크기는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플런저는, 상기 탑 컨택부와 상기 제1 바디를 구성하는 통형의 제1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탑 컨택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 플런저 바디의 측부분 일 부분이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부 스토퍼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플런저는, 상기 바텀 컨택부와 상기 제2 바디를 구성하는 통형의 제2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 컨택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2 플런저 바디의 측부분 일 부분이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하부 스토퍼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 입체물의 상하 방향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 중공 및 제2 중공의 상하 방향 단면의 크기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 입체물은, 구형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포고 핀은, 종래 기술에 의한 포고 핀에 비하여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포고 핀은,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 사이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 사이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이 서로 긁힘 접촉(wiping contact)하게 된다. 따라서, 포고 핀의 통전 효과가 더욱 향상되며,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구조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제1 플런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제1 플런저의 단면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제2 플런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제2 플런저의 단면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은 제2 플런저의 함몰 가이드 라인의 연장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를 구성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의 일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의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 사이의 상대 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1)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은 도 1 에 도시된 X, Y, Z 축을 기준으로 한다. 즉, "상하" 방향은 Z 축 방향을 의미하며, "전후" 방향은 Y 축을 의미하고, "좌우" 방향은 X 축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및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1)의 구조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1)은, 상부를 구성하는 제1 플런저(100); 하부를 구성하는 제2 플런저(200); 및 상기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에 대하여 탄성을 가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를 포함한다.
<제1 플런저(100)>
아울러,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1)의 제1 플런저(1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제1 플런저(100)의 단면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 플런저(100)는, 탑 컨택부(110), 제1 바디(120), 및 돌출 가이드 라인(140)을 갖는다.
탑 컨택부(110)는 제1 플런저(100)의 상부분을 구성한다. 탑 컨택부(110)의 상단에는 외부의 단자와 컨택할 수 있는 소정의 크라운(11), 또는 팁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컨택부(110)의 하단부에는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의 상단이 밀착할 수 있는 상부 스토퍼(1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바디(120)는 상기 탑 컨택부(1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1 바디(120)는 하방향으로 오픈된 제1 중공(130)을 갖는 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컨택부(110)와 제1 바디(120)는 반드시 별개로 구분되는 부재는 아니며,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의 부재의 각기 다른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제1 플런저 바디(A)가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런저 바디(A)의 측부분 일 부분이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부분이 상기 탑 컨택부(110)의 상부 스토퍼(114)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펀칭에 의해서 상기 제1 플런저 바디(A)의 측부에는 오픈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공정으로 탑 컨택부(110) 하부에 상부 스토퍼(114)를 쉽게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스토퍼(114)의 윗 부분이 상기 탑 컨택부(110)를 구성하며, 아래 부분이 상기 제1 바디(120)를 구성할 수 있다.
돌출 가이드 라인(140)은 상기 제1 바디(120)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바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14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돌출 가이드 라인(140)은, 상기 제1 플런저(100)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즉, 돌출 가이드 라인(140) 사이에는 이격 공간(150)이 마련되어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돌출 가이드 라인(140)은 2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 개의 돌출 가이드 라인(140)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제1 바디(120)의 직경 방향 양측으로서, X 축 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이격 공간(150)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제1 바디(120)의 직경 방향 양측으로서, Y 축 방향)에 각각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140) 사이의 직선 이격 거리(L)는, 후술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의 단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140)은, 상기 제1 플런저(1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선(C1-1)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제1 빗각(θ1)을 갖고 연장될 수 있다. 즉, 돌출 가이드 라인(140)은 제1 플런저(100)의 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크기의 빗각을 갖고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 가이드 라인(14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C1-2)과 상기 수직선(C1-1)사이에는 소정의 크기의 제1 빗각(θ1)이 형성된다.
<제2 플런저(200)>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1)의 제2 플런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제2 플런저(200)의 단면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은 제2 플런저(200)의 함몰 가이드 라인(240)의 연장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2 플런저(200)는, 바텀 컨택부(210), 제2 바디(220) 및 함몰 가이드 라인(240)을 포함한다.
바텀 컨택부(210)는, 제2 플런저(200)의 하부분을 구성한다. 바텀 컨택부(210)의 하단에는 외부의 단자와 컨택할 수 있는 소정의 팁(212) 또는 크라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컨택부(210)의 상단부에는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의 하단이 밀착할 수 있는 하부 스토퍼(2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상기 탑 컨택부(1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제2 바디(220)는 하방향으로 오픈된 제2 중공(230)을 갖는 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컨택부(210)와 제2 바디(220)는 반드시 별개로 구분되는 부재는 아니며, 일체로 구성되는 하나의 부재의 각기 다른 부분일 수 있다. 예컨대, 내부에 중공을 갖는 원통형의 제2 플런저 바디(B)가 마련되며, 상기 제2 플런저 바디(B)의 측부분 일 부분이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부분이 상기 바텀 컨택부(210)의 하부 스토퍼(214)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펀칭에 의해서 상기 제2 플런저 바디(B)의 측부에는 오픈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텀 컨택부(210) 상부에 하부 스토퍼(214)를 쉽게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스토퍼(214)의 아래 부분이 상기 바텀 컨택부(210)를 구성하며, 윗 부분이 상기 제2 바디(220)를 구성할 수 있다.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상기 제2 바디(22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다.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방향으로 오픈된 소정의 함몰 가이드 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제1 플런저(100)의 돌출 가이드 라인(140)에 대응하는 개수 및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즉,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2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2 개의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위치(제2 바디(220)의 직경 방향 양측으로서, X 축 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상기 제2 플런저(2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선(C2-1)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제2 빗각(θ2)을 갖고 연장될 수 있다. 즉,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제2 플런저(200)의 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크기의 빗각을 갖고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 가이드 라인(24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C2-2)과 상기 수직선(C2-1)사이에는 소정의 크기의 제2 빗각(θ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140)의 제1 빗각(θ1)과 상기 함몰 가이드 라인(240)의 제2 빗각(θ2)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빗각(θ1)과 제2 빗각(θ2)의 크기는, 3~30° 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1 빗각(θ1)과 제2 빗각(θ2)의 크기는, 5~10° 일 수 있다. 상기 제1 빗각(θ1)과 제2 빗각(θ2)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으면 후술하는 비틀림 변위의 폭이 작아서 긁힘 접촉 효과가 달성되기 어려우며, 제1 빗각(θ1)과 제2 빗각(θ2)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면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 사이의 상하 방향 상대 변위가 방해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
도 9 는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를 구성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의 일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는 통전 재질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은, 소정의 입체 구조물일 수 있다. 예컨대, 도 9 의 (a), (b), (c) 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은 구형, 다면체, 라운딩을 갖는 다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를 구성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의 형상은, 서로 상이한 형상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이 복수 개 조합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9 의 (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a)과, 육면체 형상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b)이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은, 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은, 전기 전도성 재질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은, 예컨대 전체가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실리콘 재질 내에 통전이 가능한 입자가 분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전기 전도가 가능한 코팅 막을 갖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은, 접착층(adhesive), 및 보호층(protectiv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의 상하 방향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 중공(130) 및 제2 중공(230)의 상하 방향 단면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이 상기 제1 중공(130) 및 제2 중공(230) 내에 위치할 때, 제1 바디(120) 및 제2 바디(220)의 내면과 상기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 사이에 유극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의 상하 방향 전폭은, 상기 탑 컨택부(110)의 하단부와 바텀 컨택부(210)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의 상하 방향 전폭은, 상부 스토퍼(114)와 하부 스토퍼(214)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플런저(100), 제2 플런저(200), 및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의 결합 구조 및 효과>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포고 핀(1)의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 사이의 상대 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 플런저(100), 제2 플런저(200), 및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의 결합 구조, 작동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플런저(100)는 제2 플런저(200) 상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제1 플런저(100)의 돌출 가이드 라인(140)은 상기 제2 플런저(200)의 함몰 가이드 라인(240) 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는, 제1 플런저(100)의 상기 제1 중공(130)과 제2 플런저(200)의 제2 중공(230) 내에 투입되어 상기 탑 컨택부(110)의 상부 스토퍼(114)와 상기 바텀 컨택부(210)의 하부 스토퍼(214)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은 탑 컨택부(110)와 바텀 컨택부(210)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여기서, 일렬이라 함은 반드시 정확하게 일렬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지그재그 형태로 엇갈린 배치도 가능하다.
이때,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의 단폭에 비해서 상기 제1 플런저(100)의 돌출 가이드 라인(140) 사이의 간격(L)이 더 작으므로,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이 돌출 가이드 라인(140) 사이의 공간(150)을 통해 외부로 이탈하지 않는다.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를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플런저(100)의 상부 스토퍼(114)와 제2 플런저(200)의 하부 스토퍼(214) 사이의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가 압축된다. 따라서, 제1 플런저(100)의 탑 컨택부(110)와 제2 플런저(200)의 바텀 컨택부(21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축하는 힘이 제거되면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제1 플런저(100)의 탑 컨택부(110)와 제2 플런저(200)의 바텀 컨택부(210) 사이의 거리가 다시 길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플런저(100)와 상기 제2 플런저(200)는 화살표 P 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를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는 힘이 가해져서, 상기 제1 플런저(100)의 상부 스토퍼(114)와 제2 플런저(200)의 하부 스토퍼(214) 사이의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가 밀착하여 압축되며,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를 구성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은 서로 눌려서 마찰하면서 긁힘 접촉(wiping contact)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런저(100) -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 - 제2 플런저(200) 사이의 전기 전도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런저(100)의 돌출 가이드 라인(140)은 상기 제2 플런저(200)의 함몰 가이드 라인(240)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돌출 가이드 라인(140)과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 사이의 상하 방향 상대 변위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돌출 가이드 라인(140)이 함몰 가이드 라인(240)을 따라서 변위하게 된다.
아울러, 돌출 가이드 라인(140)과 함몰 가이드 라인(24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선에 대해서 소정의 크기의 빗각(θ1, θ2)을 갖는다. 따라서,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가 화살표 P 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할 때,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는 단순 직하, 직상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아니라 나선형으로 비틀리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즉,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 사이에, 화살표 Q 와 같이 비틀림 변위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를 구성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이 서로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긁힘 접촉(wiping contact)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즉, 전기 전도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의 상하 방향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 중공(130) 및 제2 중공(230)의 상하 방향 단면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 사이에 엇갈림이 발생하며, 상기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 사이의 긁힘 접촉(wiping contact)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은, 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 사이의 긁힘 접촉(wiping contact)이 발생할 때, 일 부분에 집중적인 긁힘 및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비교적 균일한 형태의 긁힘 및 변형이 발생하므로,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포고 핀(1)은,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 사이에 전기 전도성을 갖는 복수의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플런저(100)와 제2 플런저(200) 사이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질 때,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310)이 서로 긁힘 접촉(wiping contact)하게 된다. 따라서, 통전 효과가 더욱 향상되며, 전기 신호 전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포고 핀
100: 제1 플런저
110: 탑 컨택부
112: 크라운
114: 상부 스토퍼
116: 오픈부
120: 제1 바디
130: 제1 중공
140: 돌출 가이드 라인
150: 공간
200: 제2 플런저
210: 바텀 컨택부
212: 팁
214: 하부 스토퍼
216: 오픈부
220: 제2 바디
230: 제2 중공
240: 함몰 가이드 라인
300: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
310: 전기 전도성 탄성 입체물

Claims (10)

  1. 포고 핀에 있어서,
    상부를 구성하는 제1 플런저;
    하부를 구성하는 제2 플런저; 및
    상기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플런저와 제2 플런저에 대하여 탄성을 가하는 전기 전도성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런저는,
    상부분을 구성하는 탑 컨택부, 및
    상기 탑 컨택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향으로 오픈된 제1 중공을 갖는 통형의 제1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런저는,
    하부분을 구성하는 바텀 컨택부, 및
    상기 바텀 컨택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방향으로 오픈된 제2 중공을 갖는 통형의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가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통전 재질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탄성 입체물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입체물은,
    소정의 부피를 갖고 상기 제1 중공과 제2 중공 내에 투입되어 상기 탑 컨택부와 상기 바텀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포고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는,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 구비되며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런저는,
    상기 제2 바디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향으로 오픈된 함몰 가이드 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함몰 가이드 라인 내에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이 위치하여,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과 상기 함몰 가이드 라인이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 변위를 가이드 하는 포고 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돌출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1 플런저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포고 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1 플런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제1 빗각을 갖고 연장되는 포고 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런저의 상기 함몰 가이드 라인은,
    상기 제2 플런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제2 빗각을 갖고 연장되는 포고 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빗각과 제2 빗각의 크기는 동일한 포고 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런저는,
    상기 탑 컨택부와 상기 제1 바디를 구성하는 통형의 제1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탑 컨택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 플런저 바디의 측부분 일 부분이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상부 스토퍼가 구비되는 포고 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런저는,
    상기 바텀 컨택부와 상기 제2 바디를 구성하는 통형의 제2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텀 컨택부의 상단에는,
    상기 제2 플런저 바디의 측부분 일 부분이 펀칭되어 내측으로 절곡되는 하부 스토퍼가 구비되는 포고 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입체물의 상하 방향 단면의 크기는,
    상기 제1 중공 및 제2 중공의 상하 방향 단면의 크기보다 작은 포고 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입체물은,
    구형 형상을 갖는 포고 핀.
KR1020210193437A 2021-12-30 2021-12-30 포고 핀 KR20230102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437A KR20230102939A (ko) 2021-12-30 2021-12-30 포고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437A KR20230102939A (ko) 2021-12-30 2021-12-30 포고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939A true KR20230102939A (ko) 2023-07-07

Family

ID=8715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437A KR20230102939A (ko) 2021-12-30 2021-12-30 포고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9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446A (ko) 2009-11-02 2011-05-11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포고핀식 압접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8446A (ko) 2009-11-02 2011-05-11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포고핀식 압접형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1425B2 (en) Connector with easily positionable parts
KR100854267B1 (ko) 포고핀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테스트 소켓
JP3070762B2 (ja) 低損失な電気的相互接続
KR101154519B1 (ko) 스프링 콘택트 구조
KR102189635B1 (ko) 회전가능한 플런저를 가진 전기 프로브
CN105720405B (zh) 连接器
KR101882171B1 (ko) 평판 접이식 연결 핀
KR101920855B1 (ko) 검사용 소켓
KR101575830B1 (ko) 검사용 소켓
US8066534B1 (en) Probe connector
KR20230102939A (ko) 포고 핀
US7629534B2 (en) Contact member, connecting method of the contact member, and socket
CN109449564B (zh) 天线用支撑结构
TWI612730B (zh) 高速連接器
KR101865375B1 (ko) 트위스트 타입 pion 핀 및 그 조립 방법
CN208226151U (zh) 一种方形盘丝触指
TWM418465U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50174136A1 (en) Test pin back surface in probe apparatus for low wear multiple contacting with conductive elastomer
CN110895305A (zh) 芯片测试连接装置和芯片测试系统
US20190348786A1 (en) Electrical contact and socket for electric component
CN109818181A (zh) 一种大电流片簧式接触件
KR102431300B1 (ko) 대용량 전류 전송이 가능한 연결핀
CN220252017U (zh) 用于btb连接器的测试微针模组
CN210692820U (zh) 高强度连接插头及电子设备
JP5776354B2 (ja) コンタクト電極及びコンタ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