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096A -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096A
KR20230102096A KR1020210191972A KR20210191972A KR20230102096A KR 20230102096 A KR20230102096 A KR 20230102096A KR 1020210191972 A KR1020210191972 A KR 1020210191972A KR 20210191972 A KR20210191972 A KR 20210191972A KR 20230102096 A KR20230102096 A KR 20230102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ler
router
boiler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1019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096A/ko
Publication of KR20230102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보일러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를 공유기와 연결하는 단계; 특정 AP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공유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보일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CONTROLLER AND DEVICE FOR CONTROLLING BOILER, METHOD FOR CONTROLLING BOILER}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온디맨드 시스템이란 사용자의 요청이 있으면 즉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온디맨드 시스템은 사용자들이 보일러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보일러 제어 시스템에도 적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온디맨드 시스템을 이용한 실내의 보일러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룸 컨트롤러와 온디맨드 디바이스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RF 통신을 통해 연결하여 통신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유선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유선 통신을 위한 배선을 내설하는 등 설치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고, RF 통신을 이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룸 컨트롤러와 온디맨드 디바이스 모두 RF 통신을 위한 별도의 송, 수신기(예를 들어, 안테나)를 구비해야 하여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RF 통신은 직선 통신 방식으로, 장애물이 있거나 통신 기기가 외진 곳에 위치한 경우 통신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실은 집안 공간의 외진 곳에 위치하기에, RF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원활한 통신에 제약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특정 AP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기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보일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공유기가 제공하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유기는 확장기(extender) 또는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유기 정보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정보, 비밀번호(P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보일러의 가동 여부 정보, 가동 온도 정보, 가동 시간 정보, 온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중앙 컨트롤러; 및 상기 중앙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서브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컨트롤러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서브 컨트롤러는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AP 정보를 가지도록 설정하고, 상기 특정 AP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와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공유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유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유기 정보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정보, 비밀번호(P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보일러의 가동 여부 정보, 가동 온도 정보, 가동 시간 정보, 온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보일러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를 공유기와 연결하는 단계; 특정 AP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공유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보일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RF 통신을 위한 송, 수신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공유기를 활용함으로써 금전적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Wi-Fi 연결을 통해 통신함으로써 통신이 수월하고, 신호 세기가 약한 경우에도 확장기 또는 중계기를 사용하여 통신의 제약 사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따르면, 온디맨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보일러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일러 제어 시스템(1)은 컨트롤러(100), 디바이스(200), 및 공유기(3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공유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경우 컨트롤러(100)는 주변의 공유기(300)를 검색하고, 연결을 원하는 공유기(300)와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공유기(300)의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유기(300)의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공유기(300)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특정 AP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디바이스(200)와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디바이스(200)의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바이스(200)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디바이스(200)를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디바이스(200)로 공유기(300)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디바이스(200)는 공유기(300) 정보를 수신하여 공유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보일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온도조절기)를 통해 보일러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보일러의 가동 여부 제어, 온도 제어, 가동 시간 제어 등과 같은 보일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00)는 보일러를 25도로 1시간 동안 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기(300)는 무선 랜을 연결하기 위한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기(300)는 유선 공유기 또는 무선 공유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공유기일 수 있다. 공유기(300)는 컨트롤러(100) 및 디바이스(200)에 무선 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랜 연결 방식은,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등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유기(30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기존에 설치된 공유기(3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을 위한 송, 수신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금전적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기(300)는 컨트롤러(100) 및 디바이스(200)에 Wi-Fi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컨트롤러(100)와 디바이스(200)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기(300)가 제공하는 Wi-Fi는 AP(Access Point) 모드 또는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00)와 디바이스(200)는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200)는 컨트롤러(100)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0)는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컨트롤러(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00)는 통신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공유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공유기(300)와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경우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특정 AP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200)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00)를 디바이스(200)와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AP 정보는 디바이스(200)가 다른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00)는 디바이스(200)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검색하여 디바이스(200)와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와 디바이스(200)는 공유기(300)가 제공하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다만, 공유기(300)는 Wi-Fi 네트워크 외에 블루투스 등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디바이스(200)로 공유기 정보를 송신하고, 디바이스(2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기 정보는 디바이스(200)가 공유기(3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보(예를 들어, 공유기 명칭)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기 정보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정보, 비밀번호(PW)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는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의 헤더에 존재하는 고유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컨트롤러(100)가 공유기(300)와 통신하는 과정에서 공유기(300)의 SSID 정보 및 PW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디바이스(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200)는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한 공유기(300)의 SSID 정보 및 PW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기(300)에 접속함으로써 공유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디바이스(200)로 연결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상태 정보는 연결 여부 정보, 연결 강도 정보, 연결 가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러(100)와 디바이스(200)간의 연결이 끊기게 되면, 디바이스(200)를 통해 컨트롤러(100)를 제어할 수 없게 되는데, 사용자가 연결이 끊긴 사실을 모를 경우 컨트롤러(100)를 통해 보일러가 제어되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컨트롤러(100)와 디바이스(200)의 연결 상태 정보를 디바이스(2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200)가 컨트롤러(100)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200)는 연결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광원(예를 들어, LED 광원) 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0)가 광원을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연결 상태가 원활하면 녹색등을 점등하고, 연결이 불량하면 적색등을 점등하는 등, 연결 상태에 따라 다른 색의 점등을 통해 사용자가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정보는 보일러의 가동 여부 정보, 가동 온도 정보, 가동 시간 정보, 온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바이스(200)를 통해 보일러 가동 여부 정보를 컨트롤러(100)로 송신할 수 있고, 이 경우 컨트롤러(100)는 보일러 가동 정보를 수신하여 보일러를 가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00)는 중앙 컨트롤러(130) 및 서브 컨트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컨트롤러(130)는 디바이스(200)와 연결되어 서브 컨트롤러(140)를 제어하고, 서브 컨트롤러(140)는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서브 컨트롤러(140)가 하나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서브 컨트롤러(140)는 적어도 2개 이상 포함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컨트롤러(130)는 디바이스(200)와 공유기(300)가 제공하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디바이스(200)는 중앙 컨트롤러(1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중앙 컨트롤러(130)에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컨트롤러(130)는 직접 보일러를 제어하지 않을 수 있고, 서브 컨트롤러(140)를 통해 간접적으로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컨트롤러(130)와 서브 컨트롤러(1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서브 컨트롤러(140)는 보일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중앙 컨트롤러(130)는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를 서브 컨트롤러(140)에 전송하고, 서브 컨트롤러(140)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예를 들어, 중앙 컨트롤러(130)는 거실에 위치할 수 있고, 서브 컨트롤러(140)는 각 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디바이스(200)를 통해 중앙 컨트롤러(140)만을 제어함으로써 서브 컨트롤러(130)를 통해 각 방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200)는 통신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10)는 컨트롤러(100)로부터 수신한 공유기(300)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와 공유기(300)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고,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경우 AP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AP 정보를 가지도록 설정하고, 특정 AP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00)와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가 디바이스(200)의 특정 AP 정보를 검색하여 연결을 요청하면 디바이스(200)가 컨트롤러(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르면,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디바이스(200)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디바이스(200)의 AP가 특정 AP로 변경됨으로써 특정 AP 정보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특정 AP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컨트롤러(100)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정보는 보일러의 가동 여부 정보, 가동 온도 정보, 가동 시간 정보, 온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바이스(200)를 통해 보일러 가동 여부 정보를 컨트롤러(100)로 송신할 수 있고, 이 경우 컨트롤러(100)는 보일러 가동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보일러를 가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200) 조작을 통해 간단하게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유기(300)는 확장기(310) 또는 중계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기(310) 또는 중계기(320)는 무선 랜 연결이 가능한 영역을 넓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공유기(300)와의 연결이 불가하거나 신호가 약한 공간(예를 들어, 보일러실)이 존재하는 경우, 공유기(300)와 무선 랜 연결을 하고자 하는 공간 사이에 확장기(310) 또는 중계기(320)를 설치하여 무선 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일러실과 같은 외진 공간에서도 무선 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통신의 제약 사항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기(310) 또는 중계기(320)는 공유기(300)가 제공하는 연결 방식에 대응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기(300)가 Wi-Fi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경우, 확장기(310) 또는 중계기(320) 역시 Wi-Fi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일러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를 공유기와 연결하는 단계(S100), 특정 AP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S200), 컨트롤러와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컨트롤러가 디바이스로 공유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300), 디바이스가 공유기 정보를 수신하여 공유기와 연결하는 단계(S400), 컨트롤러가 디바이스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보일러를 제어하는 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컨트롤러(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공유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경우 컨트롤러(100)는 주변의 공유기(300)를 검색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공유기(300)와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공유기(300)의 정보 등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공유기(300)의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공유기(300)를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의 통신부(110)는 공유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컨트롤러(100)의 제어부(120)는 특정 AP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AP 정보는 디바이스(200)가 다른 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00 단계에서, 컨트롤러(100)의 제어부(120)는 컨트롤러(100)와 디바이스(200)를 연결하고, 디바이스(200)로 공유기(300)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100)의 제어부(120)는 디바이스(200)의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함으로써 컨트롤러(100)와 디바이스(200)를 연결할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디바이스(200)의 통신부(210)는 공유기(300) 정보를 수신하여 공유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100)는 공유기(300)와 통신하는 과정에서 공유기(300)의 SSID 정보 및 PW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디바이스(200)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200)는 컨트롤러(100)로부터 공유기(300)의 SSID 정보 및 PW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기(300)에 접속함으로써 공유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S500 단계는 디바이스(200)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510) 및 컨트롤러(100)가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보일러를 제어하는 단계(S520)를 포함할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20)는 컨트롤러(100)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정보는 보일러의 가동 여부 정보, 가동 온도 정보, 가동 시간 정보, 온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 컨트롤러(100)의 제어부(120)는 디바이스(200)가 송신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100)는 보일러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00)는 보일러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예를 들어, 온도조절기)를 제어하여 보일러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를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사상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문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컨트롤러
110 :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 중앙 컨트롤러
140 : 서브 컨트롤러
200 : 디바이스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300 : 공유기
310 : 확장기
320 : 중계기

Claims (10)

  1.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공유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특정 AP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하고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기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보일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공유기가 제공하는 Wi-Fi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 정보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정보, 비밀번호(PW) 정보를 포함하는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보일러의 가동 여부 정보, 가동 온도 정보, 가동 시간 정보, 온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와의 연결 상태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컨트롤러; 및
    상기 중앙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서브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 컨트롤러는 상기 디바이스와 연결되며, 상기 서브 컨트롤러는 보일러를 제어하는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7.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특정 AP 정보를 가지도록 설정하고, 상기 특정 AP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와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공유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러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유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보일러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 정보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정보, 비밀번호(PW) 정보를 포함하는 보일러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보일러의 가동 여부 정보, 가동 온도 정보, 가동 시간 정보, 온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일러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10.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를 공유기와 연결하는 단계;
    특정 AP 정보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디바이스를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공유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공유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보일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일러 제어 방법.
KR1020210191972A 2021-12-30 2021-12-30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 KR20230102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72A KR20230102096A (ko) 2021-12-30 2021-12-30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972A KR20230102096A (ko) 2021-12-30 2021-12-30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096A true KR20230102096A (ko) 2023-07-07

Family

ID=8715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972A KR20230102096A (ko) 2021-12-30 2021-12-30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0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5401B2 (en) Gateway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EP3224992B1 (en) Controlling a networked lighting and/or environmental-control system
US20160227474A1 (en) Multi-device network setup
KR102250421B1 (ko) Ai 음성인식 스피커 및 세대 내 설치된 네트워크 장치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방법, 이를 운용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26834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이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이동 단말기
US11553214B2 (en)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614422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を用いた通信方法
KR20230102096A (ko) 보일러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및 디바이스, 보일러 제어 방법
US11978337B2 (en)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KR101762411B1 (ko) 신속한 블루투스 통신 연결 방법
US11910031B2 (en)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6830208B2 (ja) 照明システム、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のペアリング方法
KR101895696B1 (ko) Li-Fi/RF(WiFi/ZigBee/Bluetooth) Hybrid 기술
JP6384739B2 (ja) 接続設定デバイスおよびその方法
JP2008131633A (ja) Rf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79049B1 (ko) 오토 페어링 기능을 갖는 리모컨 및 셋탑박스
WO2019180844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無線接続方法
JP7286125B1 (ja) 機器制御サーバ
KR20190036926A (ko) 홈 네트워크 장치 및 홈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US11507116B2 (en) Thermostat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75054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US20190014475A1 (en)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Method
US9832033B1 (en) Home control system
KR20240021536A (ko)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ima et al. CleveRemote Adaptive environments using Bluetooth/infrared transceiv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