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588A - 건조 겸용 세탁기 - Google Patents

건조 겸용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588A
KR20230101588A KR1020210191818A KR20210191818A KR20230101588A KR 20230101588 A KR20230101588 A KR 20230101588A KR 1020210191818 A KR1020210191818 A KR 1020210191818A KR 20210191818 A KR20210191818 A KR 20210191818A KR 20230101588 A KR20230101588 A KR 20230101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ion duct
protrusion
water
scattering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재
함정윤
김재훈
강민희
김대환
박동근
장인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588A/ko
Priority to PCT/KR2022/021487 priority patent/WO2023128599A1/ko
Publication of KR2023010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건조 겸용 세탁기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터브와, 터브의 상측에 마련되며, 터브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장치와, 터브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와 건조장치를 연결하여,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건조장치로 안내하는 응축 덕트와, 응축 덕트의 상부에 연결되며, 응축 덕트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물 공급관과, 응축 덕트의 일측면의 내면의 중간에 마련되며, 일측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중간 비산 돌기, 및 중간 비산 돌기의 아래에 설치되며, 중간 비산 돌기를 지나 아래로 흐르는 물을 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하부 비산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 겸용 세탁기{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본 개시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겸용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는 별개의 장치로 형성된다.
따라서, 소비자는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한 후, 건조기를 사용하여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세탁기와 건조기가 별도의 장치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세탁이 완료되기를 기다렸다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기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건조 겸용 세탁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는 송풍 팬과 히터를 포함하는 건조장치와 건조장치를 터브와 연결하여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는 응축기를 포함한다.
응축기는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응축기는 터브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와 응축기로 공급되는 물이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좁아 응축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응축 덕트를 통과하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공기와 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응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건조 겸용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터브; 상기 터브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터브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장치; 상기 터브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와 상기 건조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조장치로 안내하는 응축 덕트; 상기 응축 덕트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 덕트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물 공급관;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의 내면의 중간에 마련되며, 상기 일측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중간 비산 돌기; 및 상기 중간 비산 돌기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 비산 돌기를 지나 아래로 흐르는 물을 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하부 비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축 덕트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의 내면에 상기 중간 비산 돌기와 상기 하부 비산 돌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물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안내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돌기의 상단은 상기 중간 비산 돌기와 연결되고, 상기 안내 돌기의 하단은 상기 하부 비산 돌기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비산 돌기는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비산 돌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비산 돌기의 높이는 1mm 내지 60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의 상기 중간 비산 돌기와 상기 하부 비산 돌기 사이의 부분은 V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비산 돌기는 V자 형상으로 굽은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비산 돌기와 상기 하부 비산 돌기 사이에 상기 V자 형상의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물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안내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 덕트는, 상기 건조장치에 연결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상면; 상기 상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서 연장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기 터브의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마련된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하면의 유입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상기 상면의 배출구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굽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는 상기 물 공급관이 연결되는 제1수직 측면과 상기 제1수직 측면을 마주하는 제2수직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수직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만곡 측면과 상기 제1만곡 측면을 마주하며 상기 제2수직 측면에 연결되는 제2만곡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하면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만곡 측면에 충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비산 돌기는 상기 제1만곡 측면의 정상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관의 일단은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에 마련된 물구멍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 덕트의 물구멍의 전방에는 물 안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안내부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장치와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장치와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전면이 분리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응축 덕트의 정면도;
도 10은 도 8의 응축 덕트를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의 중간 비산 돌기와 하부 비산 돌기 사이에 안내 돌기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에 마련되는 중간 비산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에 마련되는 중간 비산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에 마련되는 중간 비산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여기에는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특정 세부 사항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명료함과 간결함을 위해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및 단어는 서지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명확하고 일관된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발명자가 단지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고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는 캐비닛(10), 터브(tub)(20), 드럼(drum)(30), 및 건조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비닛(10)은 전면 커버(11), 후면 커버(12), 좌측 커버, 우측 커버, 상부 커버(13), 및 하부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에는 캐비닛(10)의 내부로 세탁물을 넣고 꺼낼 수 있는 세탁물 투입구(15)가 마련된다. 세탁물 투입구(15)에는 도어(17)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의 상부에는 세탁기(1)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패널이 마련될 수 있다.
제어 패널은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작동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9), 세탁기(1) 및 세탁 과정에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디스플레이(18), 및 세탁기(1)를 제어하는 프로세서(99)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9)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99)로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는 세탁기(1)의 캐비닛(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면 커버(11)의 세탁물 투입구(15)를 향하여 개구부가 마련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터브(20)는 세탁에 필요한 소정 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면에 인장 스프링(21), 오일 댐퍼(22) 등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어 있다.
터브(20)와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 사이에는 다이어프램(25)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5)은 대략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이어프램(25)의 일단은 개구가 마련된 터브(20)의 전면에 고정되며, 다이어프램(25)의 타단은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의 세탁물 투입구(15)의 내주에 고정된다.
다이어프램(25)은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가 터브(2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세탁물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25)은 드럼(30)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를 통해 캐비닛(10)의 전면 커버(1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30)의 전면에는 세탁기 캐비닛(10)의 세탁물 투입구(15)와 대응하는 드럼 개구가 마련된다.
드럼(30)의 측면에는 세탁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31)이 마련된다. 따라서, 드럼 내부의 공기는 드럼(3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31)을 통해 드럼(3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드럼(3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 공기는 터브(20)의 후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23)(도 4 참조)를 통해 터브(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터브(20)의 공기 배출구(23)에는 응축 덕트(7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의 내주면에는 세탁물(34)을 상승시킬 수 있는 복수의 리프트(33)가 마련된다. 드럼(30)은 후면에 설치된 구동 모터(35)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40)가 마련되며,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로부터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50)가 마련된다.
급수장치(40)는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된 급수관(41)과 급수관(41)을 개폐하는 급수 밸브(43)를 포함한다. 급수관(41)에는 세제 흡입부(45)가 마련된다. 또한, 급수관(41)은 후술하는 물 공급관(85)에 연결되도록 분기 될 수 있다.
세제 흡입부(45)는 벤츄리 관(venturi pipe)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에는 세제 공급부(47)에 연결되는 세제 관(46)이 마련된다. 급수 밸브(43)가 개방되어 급수관(41)으로 물이 공급되면, 세제 흡입부(45)에서 벤츄리 효과에 의해 세제 공급부(47)의 세제가 물에 혼합되어 용해된다. 따라서, 세제가 혼합된 물이 급수관(41)을 통해 드럼(30)으로 공급된다.
배수장치(50)는 배수 펌프(51), 제1배수관(52), 및 제2배수관(5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펌프(51)는 터브(20)의 물을 흡입한다. 제1배수관(52)의 일단은 터브(20)의 하부에 연결되며, 타단은 배수 펌프(51)에 연결되어 터브(20)의 물을 펌프(51)로 안내한다. 제2배수관(53)의 일단은 배수 펌프(51)와 연결되고, 타단은 캐비닛(10)의 외부로 연장되어 터브(2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수 펌프(51)가 동작하면, 터브(20)의 물은 제1배수관(52)과 제2배수관(53)을 통해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된다.
터브(20)의 상측에는 드럼(30)에 의해 세탁된 세탁물(34)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장치(60)가 설치될 수 있다. 건조장치(60)는 터브(20)에서 배출된 공기를 가열 하고, 뜨거운 공기, 즉 열풍(heated air)을 터브(20)의 내부로 순환시켜 드럼(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34)을 건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건조장치(40)는 터브(20)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의 건조장치(6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장치와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장치와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건조장치(60)는 송풍 팬(61), 건조 덕트(63), 토출 덕트(65)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팬(61)은 터브(2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건조 덕트(63)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송풍 팬(61)의 흡입구에는 응축 덕트(70)가 설치된다. 응축 덕트(70)의 일단은 송풍 팬(61)의 흡입구에 연결되고, 응축 덕트(70)의 타단은 터브(20)에 연결된다. 즉, 응축 덕트(70)는 터브(20)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23)와 건조장치(40)를 연결한다.
응축 덕트(70)는 터브(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고,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를 송풍 팬(61) 쪽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상부에는 물 공급관(85)이 설치된다. 물 공급관(85)은 응축 덕트(7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 공급관(85)에 의해 응축 덕트(7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은 응축 덕트(7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한다.
따라서, 송풍 팬(61)이 작동하면, 터브(2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습한 공기가 응축 덕트(70)를 따라 이동하면서 수증기가 응축되어 제거되고,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는 송풍 팬(61)으로 흡입된다. 응축 덕트(7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건조 덕트(63)는 송풍 팬(61)의 배출구에 연결되며, 송풍 팬(61)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토출 덕트(65)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건조 덕트(63)의 내부에는 히터(64)(도 1 참조)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 팬(61)에 의해 건조 덕트(63)로 유입되는 공기는 건조 덕트(63)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64)를 통과하면서 가열되어 뜨거운 공기, 즉 열풍이 된다.
토출 덕트(65)는 건조 덕트(63)의 일단에 연결되며, 건조 덕트(63)와 다이어프램(25)을 연결한다. 다이어프램(25)의 상부에는 토출 덕트(65)의 토출구가 연결되는 개구(26)가 마련되어 있다.
토출 덕트(65)는 건조 덕트(63)의 일단과 다이어프램(25)을 연결하기 위해 터브(20)와 다이어프램(25)의 형상 및 배치에 따라서는 굽힘 성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건조장치(60)의 경우에, 토출 덕트(65)는 일단이 굽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 덕트(63)에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는 토출 덕트(65)를 통해 다이어프램(25)의 내부로 배출된다. 다이어프램(25)은 드럼(30)의 개구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토출 덕트(65)에서 배출된 열풍은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되어 세탁물(34)을 건조하게 된다.
응축 덕트(70), 송풍 팬(61), 건조 덕트(63), 및 토출 덕트(65)는 터브(20)의 전면과 후면을 연통시키는 순환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터브(20)의 후면에서 배출되는 습한 공기는 응축 덕트(70), 송풍 팬(61), 건조 덕트(63), 및 토출 덕트(65)를 따라 이동하면서 건조되고 가열되어, 다시 드럼(30)의 전방으로 공급된다. 드럼(30)의 전방으로 공급된 고온의 건조한 공기는 드럼(30)을 통과하면서 드럼(30) 내부에 있는 세탁물(34)을 건조하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에 설치되는 응축 덕트(7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응축 덕트(70)는 터브(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습한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건조장치(60)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응축 덕트(70)는 저온의 물을 터브(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습한 공기에 접촉시킴으로써 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와 같은 수분을 응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응축 덕트(7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건조장치(60)로 유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응축 덕트(70)는 건조장치(40)와 터브(20)를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응축 덕트(70)의 일단은 건조장치(60)의 송풍 팬(61)에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 덕트(80)에 연결된다.
연결 덕트(80)는 대략 90도로 절곡된 앵글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덕트(80)의 일단은 터브(20)의 후면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23)에 연결되고, 연결 덕트(80)의 타단은 응축 덕트(7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 덕트(80)의 부분에는 신축부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0)의 공기 배출구(23)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습한 공기는 연결 덕트(80)를 통해 응축 덕트(70)의 하단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는 두께가 얇으며, 만곡부(74)를 갖는 대략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응축 덕트(70)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응축 덕트(70)는 건조장치(60)에 연결되는 배출구(71a)가 마련되는 상면(71)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71a)는 건조장치(60)의 송풍 팬(61)의 흡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는 상면(71)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73)와 수직부(73)에서 연장되는 만곡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만곡부(74)는 수직부(73)에 대해 일정한 곡률로 굽혀질 수 있다.
응축 덕트(70)는 만곡부(74)의 하단에 마련되며, 터브(20)의 공기 배출구(23)와 연통되는 유입구(72a)가 마련된 하면(7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72a)는 연결 덕트(80)를 통해 터브(20)의 후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23)에 연결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는 하면(72)의 유입구(72a)로 유입된 공기가 상면(71)의 배출구(71a)를 통해 바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면(72)의 유입구(72a)와 상면(71)의 배출구(71a)가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응축 덕트(70)의 만곡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응축 덕트(70)는 상면(71)의 배출구(71a)의 투영면이 하면(72)의 유입구(72a)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응축 덕트(70)의 만곡부(74)는 하면(72)의 유입구(72a)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CL)이 상면(71)의 배출구(71a)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굽혀질 수 있다.
응축 덕트(70)가 상기와 같은 만곡부(74)를 포함하면, 하면(72)의 유입구(72a)로 유입된 공기는 상면(71)의 배출구(71a)로 바로 배출되지 않고, 1차로 만곡부(74)의 내면에 충돌한 후, 상면(71)의 배출구(71a)로 배출될 수 있다. 하면(72)의 유입구(72a)로 유입된 공기가 만곡부(74)의 내면에 충돌하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는 효과가 있다.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에는 응축 덕트(7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85)이 설치될 수 있다. 물 공급관(85)은 응축 덕트(70)의 수직부(73)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일 측면에는 물 공급관(85)이 연결되는 물 구멍(88)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응축 덕트(70)의 내부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전면이 분리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응축 덕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응축 덕트를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응축 덕트(70)는 전면(75), 후면(76), 상면(71), 하면(72), 좌측면(77), 및 우측면(78)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76), 상면(71), 하면(72), 좌측면(77), 및 우측면(78)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가 흐르는 하나의 채널(channel)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75)과 후면(76)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면(75)은 채널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75)은 채널의 상부를 덮는 커버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상면(71)은 후면(76)의 상단에 설치되며, 건조장치(60)에 연결되는 배출구(71a)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71a)는 건조장치(60)의 송풍 팬(61)의 흡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구(71a)는 송풍 팬(61)의 흡입구에 대응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좌측면(77)과 우측면(78)은 후면(76)의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며, 좌측면(77)과 우측면(78)의 상단은 상면(71)에 연결된다. 우측면(78)의 상부에는 물 공급관(85)이 설치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좌측면(77)과 우측면(78)은 수직부(73)와 만곡부(74)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73)는 물 공급관(85)이 연결되는 제1수직 측면(73-1)과 제1수직 측면(73-1)을 마주하는 제2수직 측면(73-2)을 포함할 수 있다.
만곡부(74)는 제1수직 측면(73-1)에서 연장되는 제1만곡 측면(74-1)과 제1만곡 측면(74-1)을 마주하며 제2수직 측면(73-2)에 연결되는 제2만곡 측면(7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만곡 측면(74-1)과 제2만곡 측면(74-2) 사이의 간격은 제1수직 측면과 제2수직 측면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만곡 측면(74-1)과 제2만곡 측면(74-2) 사이의 간격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만곡 측면(74-2)의 상부는 제2수직 측면(73-2)과 연결할 수 있도록 반대방향으로 만곡되는 연결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직 측면(73-1)과 제1만곡 측면(74-1)은 응축 덕트(70)의 우측면(78)을 형성한다. 제2수직 측면(73-2)과 제2만곡 측면(74-2)은 응축 덕트(70)의 좌측면(77)을 형성한다.
응축 덕트(70)의 하면(72)은 후면(76)의 하단에 설치되며, 터브(20)에 연결되는 유입구(72a)가 마련될 수 있다. 하면(72)은 좌측면(77)과 우측면(78)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72a)는 터브(20)의 공기 배출구(23)에 설치된 연결 덕트(8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면(72)의 유입구(72a)는 터브(20)의 공기 배출구(23)와 연통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하면(72)에는 연결 덕트(8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 링부(81)가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링부(81)는 유입구(72a)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하면(72)의 유입구(72a)는 제2만곡 측면(74-2)과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구(72a)의 내주면에서 유입구(72a)의 중심선(CL)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의 모든 직선은 제2만곡 측면(74-2)과 간섭되고 제1만곡 측면(74-1)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하면(72)의 유입구(72a)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2만곡 측면(74-2)에 충돌한다.
즉, 응축 덕트(70)는 하면(72)의 유입구(72a)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입구(72a)와 마주하는 만곡부(74)의 내면에 충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내면에는 물 공급관(85)에서 공급되는 물을 비산시켜, 유입구(72a)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하도록 하는 비산 돌기(9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의 내면에는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축 덕트(70)의 우측면(78)의 내면에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가 설치될 수 있다.
중간 비산 돌기(91)는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의 내면의 중간에 마련되며, 물 공급관(85)에서 공급되어 응측 덕트(70)의 일측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비산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비산 돌기(91)는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간 비산 돌기(91)는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의 전체 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중간 비산 돌기(91)가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하면,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을 따라 흐르는 물이 중간 비산 돌기(91)에 충돌하여 비산할 수 있다.
중간 비산 돌기(91)는 만곡부(74)의 정상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비산 돌기(91)는 제1만곡 측면(74-1)의 내면의 정상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비산 돌기(91)는 제1만곡 측면(74-1)의 내면의 정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중간 비산 돌기(91)는 제1만곡 측면(74-1)의 내면의 정상보다 약간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중간 비산 돌기(91)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비산 돌기(91)는 직선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선 바의 길이는 제1만곡 측면(74-1)의 폭과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중간 비산 돌기(91)는 제1만곡 측면(74-1)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물이 충돌하면, 비산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비산 돌기(91)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중간 비산 돌기(91)가 응축 덕트(70)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중간 비산 돌기(91)의 높이가 너무 낮으면, 물의 비산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중간 비산 돌기(91)의 높이는 1mm 내지 60mm 로 할 수 있다.
하부 비산 돌기(92)는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의 내면에 중간 비산 돌기(91)의 아래에 설치되며, 중간 비산 돌기(91)를 지나 아래로 흐르는 물을 비산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비산 돌기(92)는 응축 덕트(70)의 하면(72)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비산 돌기(92)는 유입구(72a)의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비산 돌기(92)는 제1만곡 측면(74-1)과 연결되는 하면(72)의 일단에 인접한 유입구(72a)의 일부를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72a)에 하부 비산 돌기(92)를 마련하면, 제1만곡 측면(74-1)을 따라 흘러 내리는 물은 하부 비산 돌기(92)에 충돌하여 비산하고, 비산되 물은 유입구(72a)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의 내면에는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 사이에 안내 돌기(93)가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돌기(93)는 중간 비산 돌기(91)를 넘어 흐르는 물을 하부 비산 돌기(92)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안내 돌기(93)의 상단은 중간 비산 돌기(91)와 연결되고, 안내 돌기(93)의 하단은 하부 비산 돌기(92)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 돌기(93)의 하단은 하부 비산 돌기(92)에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돌기(93)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돌기(93)는 직선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돌기(93)는 중간 비산 돌기(9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돌기(93)는 중간 비산 돌기(91)의 중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중간 비산 돌기(91)와 안내 돌기(93)는 T자 형상을 이룬다. 이때, 중간 비산 돌기(91)의 상면과 안내 돌기(93)의 상면에는 전 길이에 걸쳐 홈(94)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돌기(93)는 중간 비산 돌기(91)를 넘은 물을 하부 비산 돌기(92)로 안내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돌기(93)는 중간 비산 돌기(9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 돌기(93)의 높이는 1mm 내지 60mm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 사이에 안내 돌기(93)를 설치하면, 중간 비산 돌기(91)를 넘은 물이 안내 돌기(93)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 비산 돌기(92)에 충돌하여 비산하게 된다. 안내 돌기(93)를 설치하면, 하부 비산 돌기(92)에 의해 비산되는 물의 양을 늘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응축 덕트(70)의 제1만곡 측면(74-1)에 2개의 비산 돌기(90), 즉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를 설치하면, 물 공급관(85)에서 공급되는 물이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에 의해 2번 비산하게 되므로, 유입구(72a)로 유입되는 공기와 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응축 덕트(70)의 응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응축 덕트(70)의 일측면, 즉 물 공급관(85)이 설치되는 측면의 만곡부(74)에는 홈부(79)가 마련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의 만곡부(74)는 전체 폭이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홈부(79)는 만곡부(74)의 단면이 넓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넓은 V자 형상은 V자의 중심각이 100도 이상이며, 180도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응축 덕트(70)의 제1만곡 측면(74-1)은 홈부(79)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79)는 제1만곡 측면(74-1)의 하단으로부터 제1만곡 측면(74-1)의 길이의 절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홈부(79)의 길이는 제1만곡 측면(74-1)의 길이의 약 2/3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만곡 측면(74-1)은 전체 폭이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홈부(79)가 형성된 제1만곡 측면(74-1)의 단면은 넓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만곡 측면(74-1)의 홈부(79)의 하단은 응축 덕트(70)의 하면(72)에 연결된다.
따라서,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의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 사이의 부분은 V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만곡 측면(74-1)을 넓은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 형상으로 형성하면, 물 공급관(85)에서 공급되는 물은 제1만곡 측면(74-1)의 넓은 V자 형상의 중심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또한, 중간 비산 돌기(91)는 넓은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만곡 측면(74-1)의 정상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중간 비산 돌기(91)는 제1만곡 측면(74-1)의 넓은 V자 형상의 단면에 대응하도록 V자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비산 돌기(91)는 V자 형상으로 굽은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 사이에 설치되는 안내 돌기(93)는 제1만곡 측면(74-1)의 V자 형상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물 공급관(85)은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와 물 공급관(85)은 수증기를 포함하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공급관(85)의 일단은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에 마련된 물구멍(88)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공급관(85)은 응축 덕트(70)의 우측면(78)의 제1수직 측면(73-1)에 형성된 물구멍(88)에 연결될 수 있다.
응축 덕트(70)의 물구멍(88)의 전방에는 물 안내부(87)가 설치될 수 있다. 물 안내부(87)는 물구멍(88)에서 공급되는 물이 응축 덕트(70)의 아래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물 안내부(87)는 평판을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물 안내부(87)는 응축 덕트(70)의 우측면(78)의 제1수직 측면(73-1)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물 공급관(85)의 타단은 급수관(41)에 연결될 수 있다. 물 공급관(85)에는 물 공급관(85)을 개폐하는 응축 밸브(86)가 설치될 수 있다. 응축 밸브(86)가 개방되면, 물 공급관(85)이 개방되므로, 물이 급수관(41)으로부터 응축 덕트(70)로 공급된다. 응축 밸브(86)가 닫히면, 물 공급관(85)이 막혀 응축 덕트(70)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응축 밸브(86)는 항상 열리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열리도록 프로세서(9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99)는 응축 밸브(86)가 일정한 주기로 온/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응축 밸브(86)는 40/20초 내지 55/5초로 온/오프될 수 있다. 여기서, 40/20초는 40초 동안 응축 밸브(86)가 온되고, 20초 동안 오프되는 것을 말한다. 55/5초는 55초 동안 응축 밸브(86)가 온되고, 5초 동안 오프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1)의 응축 덕트(70)의 작용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터브(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다습한 공기(A)는 응축 덕트(70)의 유입구(72a)로 유입되고, 응축 덕트(70)를 따라 이동한다.
한편,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에 마련된 물 공급관(85)에서는 저온의 물(W)이 공급된다. 물 공급관(85)의 전방에는 물 안내부(87)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물 공급관(85)에서 나오는 물(W)은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된다.
응축 덕트(70)의 일측면, 예를 들면, 우측면(78)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물(W)은 제1만곡 측면(74-1)에 마련된 중간 비산 돌기(91)에 충돌하여 비산하게 된다.
중간 비산 돌기(91)에 의해 비산된 물(W)은 응축 덕트(70)를 통과하는 고온의 다습한 공기(A)와 접촉하게 된다. 비산된 저온의 물(W)이 고온 다습한 공기(A)와 접촉하면,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므로 공기 속에 포함된 수분이 쉽게 응축되어 응축수를 형성하여 제거될 수 있다.
중간 비산 돌기(91)를 넘은 물(W)은 안내 돌기(93)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제1만곡 측면(74-1)의 하단에 마련된 하부 비산 돌기(92)에 충돌하게 비산하게 된다.
하부 비산 돌기(92)에 의해 비산된 물(W)은 유입구(72a)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다습한 공기(A)와 접촉하게 된다. 비산된 저온의 물(W)이 고온 다습한 공기(A)와 접촉하면,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므로 공기 속에 포함된 수분이 쉽게 응축되어 응축수를 형성하여 제거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응축 덕트(70)는 고온 다습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기 위한 물이 2개의 비산 돌기(90), 즉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에 의해 2번 비산하므로, 고온 다습한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개시에 의한 응축 덕트(70)는 응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2번 비산된 물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고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응축 덕트(70)의 배출구(71a)를 통해 배출된다. 응축 덕트(70)의 배출구(71a)에서 배출된 공기는 송풍 팬(61)으로 흡입된다.
송풍 팬(61)은 흡입된 공기를 건조 덕트(63)로 배출한다. 건조 덕트(63)에는 히터(6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건조 덕트(63)를 통과하는 동안 가열되어 뜨거운 공기, 즉 열풍이 된다.
열풍은 토출 덕트(65)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된다.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드럼(30) 내에 위치한 세탁물(34)과 접촉하면서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드럼(30)의 세탁물(34)을 건조시킨 공기는 드럼(35) 측면의 복수의 통공(31)을 통해 드럼(3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드럼(30)과 터브(2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터브(20)의 후면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된다.
터브(20)의 후면의 공기 배출구(23)에는 응축 덕트(70)에 연결된 안내 덕트(8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터브(20)에서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는 응축 덕트(70)로 유입된다.
응축 덕트(70)로 유입된 공기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드럼(30)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물(34)을 건조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 사이에 안내 돌기(93)가 마련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로는,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 사이에 안내 돌기(93)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의 중간 비산 돌기와 하부 비산 돌기 사이에 안내 돌기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 사이에는 안내 돌기(93)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중간 비산 돌기(91)를 넘는 물은 중간 비산 돌기(91)와 안내 돌기(93) 사이의 제1만곡 측면(74-1)에 형성된 넓은 V자 형상의 단면의 중심, 즉 홈부(79)를 따라 흐르게 된다.
따라서, 중간 비산 돌기(91)를 넘은 물은 홈부(79)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 비산 돌기(92)에 충돌하여 비산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 사이에 안내 돌기(93)가 없는 경우에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중간 비산 돌기(91)와 하부 비산 돌기(92) 사이에 안내 돌기(93)가 있는 경우에 비해 응축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중간 비산 돌기(91)가 바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중간 비산 돌기(9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 비산 돌기(91)는 응축 덕트(70)의 일측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물을 비산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다양한 형상의 중간 비산 돌기(9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에 마련되는 중간 비산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중간 비산 돌기(91)는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V자 형상의 상단의 폭은 제1만곡 측면(74-1)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물 공급관(85)에서 제1만곡 측면(74-1)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물은 V자 형상의 중간 비산 돌기(91)에 충돌하여 비산될 수 있다.
또한,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 비산 돌기(91)의 하단은 안내 돌기(9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비산 돌기(91)를 넘은 물은 안내 돌기(93)를 따라 하부 비산 돌기(92)로 이동할 수 있다.
안내 돌기(93)를 따라 이동한 물은 하부 비산 돌기(92)에 의해 2차로 비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에 마련되는 중간 비산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중간 비산 돌기(91)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U자 형상의 상단의 폭은 제1만곡 측면(74-1)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물 공급관(85)에서 제1만곡 측면(74-1)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물은 U자 형상의 중간 비산 돌기(91)에 충돌하여 비산될 수 있다.
또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 비산 돌기(91)의 하단은 안내 돌기(9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비산 돌기(91)를 넘은 물은 안내 돌기(93)를 따라 하부 비산 돌기(92)로 이동할 수 있다.
안내 돌기(93)를 따라 이동한 물은 하부 비산 돌기(92)에 의해 2차로 비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 덕트에 마련되는 중간 비산 돌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중간 비산 돌기(91)는 대략 W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W자 형상의 상단의 폭은 제1만곡 측면(74-1)의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물 공급관(85)에서 제1만곡 측면(74-1)을 따라 아래로 흐르는 물은 W자 형상의 중간 비산 돌기(91)에 충돌하여 비산될 수 있다.
또한, W자 형상으로 형성된 중간 비산 돌기(91)의 하단은 안내 돌기(9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비산 돌기(91)를 넘은 물은 안내 돌기(93)를 따라 하부 비산 돌기(92)로 이동할 수 있다.
안내 돌기(93)를 따라 이동한 물은 하부 비산 돌기(92)에 의해 2차로 비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는 응축 덕트(70)로 공급되는 물이 2번 비산하므로, 응축 덕트(70)를 통과하는 수증기를 포함하는 공기와 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 의한 건조 겸용 세탁기의 응축기는 응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1; 세탁기 10; 본체
15; 세탁물 투입구 17; 도어
20; 터브 25; 다이어프램
30; 드럼 31; 통공
35; 구동 모터 40; 급수장치
41; 급수관 43; 급수 밸브
45; 세제 흡입부 47; 세제 저장부
50; 배수장치 51; 배수 펌프
52; 제1배수관 53; 제2배수관
60; 건조장치 61; 송풍 팬
63; 건조 덕트 64; 히터
65; 토출 덕트 70; 응축 덕트
73; 수직부 74; 만곡부
80; 연결 덕트 85; 물 공급관
86; 응축 밸브 90; 비산 돌기
91; 중간 비산 돌기 92; 하부 비산 돌기
93; 안내 돌기 99; 프로세서

Claims (15)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고 물을 저장하기 위한 터브;
    상기 터브의 상측에 마련되며, 상기 터브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장치;
    상기 터브에 마련된 공기 배출구와 상기 건조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건조장치로 안내하는 응축 덕트;
    상기 응축 덕트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 덕트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물 공급관;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의 내면의 중간에 마련되며, 상기 일측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중간 비산 돌기; 및
    상기 중간 비산 돌기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 비산 돌기를 지나 아래로 흐르는 물을 비산시키도록 형성되는 하부 비산 돌기;를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덕트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의 내면에 상기 중간 비산 돌기와 상기 하부 비산 돌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물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안내 돌기;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의 상단은 상기 중간 비산 돌기와 연결되고, 상기 안내 돌기의 하단은 상기 하부 비산 돌기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비산 돌기는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의 폭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비산 돌기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비산 돌기의 높이는 1mm 내지 60mm 인, 건조 겸용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의 상기 중간 비산 돌기와 상기 하부 비산 돌기 사이의 부분은 V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비산 돌기는 V자 형상으로 굽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비산 돌기와 상기 하부 비산 돌기 사이에 상기 V자 형상의 중심에 설치되며, 상기 물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안내 돌기;를 더 포함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덕트는,
    상기 건조장치에 연결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상면;
    상기 상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에서 연장되는 만곡부; 및
    상기 만곡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상기 터브의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마련된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하면의 유입구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상기 상면의 배출구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굽혀진, 건조 겸용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물 공급관이 연결되는 제1수직 측면과 상기 제1수직 측면을 마주하는 제2수직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제1수직 측면에서 연장되는 제1만곡 측면과 상기 제1만곡 측면을 마주하며 상기 제2수직 측면에 연결되는 제2만곡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하면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2만곡 측면에 충돌하도록 형성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비산 돌기는 상기 제1만곡 측면의 정상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관의 일단은 상기 응축 덕트의 일측면에 마련된 물구멍에 연결되며,
    상기 응축 덕트의 물구멍의 전방에는 물 안내부가 설치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안내부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건조 겸용 세탁기.
KR1020210191818A 2021-12-29 2021-12-29 건조 겸용 세탁기 KR20230101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818A KR20230101588A (ko) 2021-12-29 2021-12-29 건조 겸용 세탁기
PCT/KR2022/021487 WO2023128599A1 (ko) 2021-12-29 2022-12-28 건조 겸용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818A KR20230101588A (ko) 2021-12-29 2021-12-29 건조 겸용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588A true KR20230101588A (ko) 2023-07-06

Family

ID=8699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818A KR20230101588A (ko) 2021-12-29 2021-12-29 건조 겸용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1588A (ko)
WO (1) WO20231285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110B1 (ko) * 2004-04-09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50101739A (ko) * 2004-04-20 2005-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0597740B1 (ko) * 2004-06-24 2006-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141641B1 (ko) * 2005-02-28 2012-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응축덕트 구조
KR20070075484A (ko) * 2006-01-1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 기기의 수냉식 응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599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458B2 (en) Drying machine
KR100697083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CN109338685B (zh) 衣物烘干机
US7121018B2 (en) Dryer, and drain structure of the same
US20140326025A1 (en) Washer
EP1659208A2 (en) Washing/drying machine
KR101180532B1 (ko) 응축수 저장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20190128468A (ko) 의류 처리 장치
EP1621662A2 (en) Washing machine
KR20150063816A (ko) 의류건조기
KR20170096328A (ko) 드럼 세탁기
KR20170096795A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US20090071031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condensed water discharge device for use in laundry treatment machine
US11260329B2 (en) Laundry dryer
KR20230101588A (ko) 건조 겸용 세탁기
KR20190128471A (ko) 의류 처리 장치
JP5430638B2 (ja) 洗濯乾燥機
KR102568204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70015286A (ko) 세탁기의 증기 역류 방지 장치
KR20180127097A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225962B1 (ko) 세탁 건조기의 증기 역류 방지 제어 방법
US20230212805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JP2014042740A (ja) 洗濯機
US20230203731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KR20230102913A (ko) 건조 겸용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