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240A -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240A
KR20230101240A KR1020210191177A KR20210191177A KR20230101240A KR 20230101240 A KR20230101240 A KR 20230101240A KR 1020210191177 A KR1020210191177 A KR 1020210191177A KR 20210191177 A KR20210191177 A KR 20210191177A KR 20230101240 A KR20230101240 A KR 20230101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lter
housing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상
윤성한
한두원
이정훈
박찬정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240A/ko
Publication of KR2023010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필터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의 원수 공급부, 정수 출수부 및 생활용수 출수부와 각각 연통되며,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원수 및 상기 생활용수의 유로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의해 지지되게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원수를 여과(filtering)하여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생활용수를 생성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공간, 상기 필터부의 단부 및 외주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이 물리적으로 구획되고, 유입된 상기 원수의 유로, 상기 정수의 유로 및 상기 생활용수의 유로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공간 및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만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조립체{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원수를 정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의 양을 최소화하고,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 및 구성 요소가 요구되지 않는 구조의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의 수질로 여과하고 이를 배출할 수 있는 기기를 지칭한다.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최근에는 사무실 등 공공 장소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정수기를 구비하여 깨끗한 물을 음용하기 위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부재로 필터를 구비함이 일반적이다. 필터는 물리적, 화학적 방식으로 원수에 혼합된 이물질 및 성분들을 걸러냄으로써 정수를 생성한다. 생성된 정수는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외부로 출수되어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다.
필터는 흔히 내부 공간이 형성된 탱크에 구비된다. 탱크는 외부와 연통되어 원수를 전달받게 구성된다. 전달된 원수는 필터에 의해 여과되며 정수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의 여과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탱크의 내부 공간에는 원수로부터 여과된 이물질들이 잔류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상기 탱크의 내부를 세척하여, 원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요구된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에 구비되는 필터 탱크(1000)가 도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 탱크(10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0) 및 하우징(1100)의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팔터부(1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0)의 하측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해 필터부(1200)를 관통되며 여과된다. 여과된 정수는 수평 방향으로 유동되어 관로부(1300)를 통해 필터 탱크(10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부(1200)의 하류 측을 향할수록, 즉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여과된 이물질(F.S)이 축적되므로 이물질(F.S)의 농도가 증가된다.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지 않는 한, 이물질(F.S)들은 하우징(1100)의 내부 안에서 유동되며 원수 또는 정수에 다시 혼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필터부(1200)의 하류 측, 즉 상측 부분에 다량의 이물질(F.S)이 체류되어, 관로부(1300)를 향해 유동되는 정수의 여과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누적된 이물질(F.S)로 인해, 원수 또는 여과된 정수의 유동이 저하될 가능성 역시 존재한다.
이에,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 탱크(1000)는 기 분리된 이물질(F.S)을 원수 또는 정수와 이격시키기 위한 차단 부재(1400)를 포함한다. 차단 부재(1400)는 상기 이물질(F.S)이 다시 원수 또는 정수에 혼합됨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차단 부재(1400)로 인해 이물질(F.S)이 더욱 체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 탱크(1000) 내부의 공간에 세정용수(C.W)가 유입되어 내부의 이물질(F.S)이 제거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용수(C.W)는 원수와 동일하게 필터 탱크(1000)의 하측을 통해 하우징(1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세정용수(C.W)는 하우징(1100)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되며 이물질(F.S)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용수(C.W)의 유로는 차단 부재(1400)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차단 부재(14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이물질(F.S)은 세정용수(C.W)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하우징(1100)의 내부 공간에 잔류되게 된다.
이에, 필터가 수용되는 공간에 적체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소개된 바 있다.
중국공개특허문헌 제111661944호는 일체형 필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필터 플라스크에 복수 개의 필터 요소를 통합, 배치함으로써 필터 요소가 차지하는 공간 및 정수기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일체형 필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일체형 필터 조립체는 내부에서 유동되는 원수가 다양한 필터에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원수의 여과 결과 발생되는 이물질 등의 적체를 방지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중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12151804호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복합 필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RO 필터 및 RO 필터에 유입되기 전후 원수를 여과하게 구성되는 전처리 필터 및 후처리 필터를 포함하는 복합 필터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선행문헌은 상기 필터들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그 부피가 감소되고, 효율적인 유로가 형성되는 효과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복합 필터 조립체 역시 내부에서 유동되는 원수가 다양한 필터에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원수의 여과 결과 발생되는 이물질 등의 적체를 방지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중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12222506호는 역삼투압 필터 코어 구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대나무, 탄성 구성 요소 및 센터 튜브의 구조를 변형하여 RO 멤브레인 필터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는 역삼투압 필터 코어 구조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역삼투압 필터 코어 구조는 대나무 등 특이 소재의 구성 요소를 적용, 배치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 역시 원수의 여과 결과 발생되는 이물질 등의 적체를 방지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중국공개특허문헌 제111661944호 (2020.09.15.) 중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12151804호 (2020.12.15.) 중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12222506호 (2020.12.2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복합 필터 조립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이물질의 잔류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필터 조립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필터 조립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유체의 유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의 필터 조립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부재의 내부에 사각지대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필터 조립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조가 용이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구조의 필터 조립체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의 원수 공급부, 정수 출수부 및 생활용수 출수부와 각각 연통되며,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원수 및 상기 생활용수의 유로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의해 지지되게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원수를 여과(filtering)하여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생활용수를 생성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공간, 상기 필터부의 단부 및 외주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이 물리적으로 구획되고, 유입된 상기 원수의 유로, 상기 정수의 유로 및 상기 생활용수의 유로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공간 및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만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공간과 연통되어, 유입된 상기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상기 여과부에 유입된 상기 원수는 상기 여과부의 방사상 외측으로의 유출이 차단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필터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필터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일 단부의 면 및 외주를 감싸는 제1 커버; 및 상기 필터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타 단부의 면 및 외주를 감싸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필터부의 상기 일 단부의 외주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는 제1 커버 외주; 및 상기 필터부의 상기 일 단부의 면 및 상기 제1 커버의 내면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외주가 상기 제1 커버 외주에 둘러싸이고, 외부 및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는 제1 커버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필터부의 상기 타 단부의 외주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는 제2 커버 외주; 및 상기 필터부의 상기 타 단부의 면 및 상기 제2 커버의 내면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외주가 상기 제2 커버 외주에 둘러싸이고, 외부 및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는 제2 커버 공간을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의 일부는, 상기 제1 커버 공간 및 상기 제2 커버 공간 중 어느 하나로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된 후 상기 제1 커버 공간 및 상기 제2 커버 공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유입된 상기 원수를 1차 여과하는 제1 여과부; 상기 제1 여과부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여과부를 통과되며 1차 여과된 원수를 2차 여과하는 제2 여과부; 및 상기 제1 여과부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그 방사상 외측이 상기 제1 커버 외주 및 상기 제2 커버 외주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커버 공간 및 상기 제2 커버 공간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제1 여과부 및 상기 제2 여과부를 차례로 통과되며 정수로 여과된 후 상기 제1 커버 공간 및 상기 제2 커버 공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하우징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원수 공급부, 상기 정수 출수부 및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하우징 유출입부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치우치게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커버;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하우징에 치우치게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커버와 상기 필터부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이 이격되게 상기 필터부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커버에서 다른 하나의 커버를 향해 유동되는 상기 원수를 여과하여 상기 생활용수 또는 상기 정수를 생성하게 구성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외부의 상기 원수 공급부와 연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중공부를 연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중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의 공간을 향해 상기 원수를 확산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유출입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원수 공급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유입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정수 출수부 및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를 상기 수용 공간과 각각 연통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유출입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상기 원수 공급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유입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상기 정수 출수부 또는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상기 정수 출수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제1 유출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 유출부와 분리되게 배치되어 외부의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제2 유출부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 및 상기 유출부와 각각 연통되는 필터 중공; 및 상기 필터 중공에 수용되어 상기 필터 중공을 방사상 내측 공간 및 방사상 외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하는 일 단부가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하는 타 단부가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원수 공급부에서 유입된 상기 원수가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타 단부를 향해 유동되는 유로를 상기 방사상 내측 공간에 형성하는 필터 관로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필터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부와 상기 커버부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필터 관로를 연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중 상기 필터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의 공간을 향해 상기 원수를 확산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수는, 상기 필터 관로 및 상기 관통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에 유입된 후,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해 유동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로 여과되는, 필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필터 조립체에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부가 구비된다. 필터부는 커버부에 의해 하우징과 결합된다. 커버부 및 필터부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커버부 및 필터부의 내측 공간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중 커버부 및 필터부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되지 않는다.
원수는 커버부 및 필터부의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후, 필터부로 진입되어 여과된다. 원수가 필터부를 진행되며 발생되는 이물질은 원수가 형성하는 유로의 하류 측에 집중된다. 이때, 필터부의 방사상 외측은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어, 원수가 임의로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수는 세척이 용이하지 않은 공간, 즉 하우징과 커버부 사이의 공간에서는 유동되지 않게 되고, 원수가 여과되어 형성되는 이물질 또한 하우징과 커버부 사이의 상기 공간에는 체류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물질은 세척이 용이한 공간에만 체류될 수 있게 되어,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잔류되는 이물질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 및 필터부의 결합 구조, 필터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차단막의 소재에 의해, 원수의 유로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커버부와 필터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필터부로 진입된 원수는, 필터부의 외주를 향하는 방향으로는 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부와 필터부 사이의 공간에서 원수가 유동됨을 전제하는, 이물질의 확산 방지를 위한 별도의 차단 부재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 조립체의 내부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 커버부와 필터부를 분리하여 커버부에 체류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만 수행되면 족하다. 이에 따라, 원수의 여과 결과 발생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원수는 커버부와 필터부 사이의 공간으로만 유입된다. 유입된 원수는 필터부를 통과되며 여과된 후 정수 출수부 또는 생활용수 출수부를 통해 유출된다.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가 유동되는 경로 상에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가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공급된 원수, 원수에서 생성된 정수 및 생활용수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통해, 하우징과 커버부 사이의 공간에는 어떠한 유체도 유동되지 않는다. 즉, 상기 공간은 비어 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에 대한 세척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원수는 커버부와 필터부 사이의 공간으로만 유입된다. 원수는 필터부를 통과되며 정수 또는 생활용수로 생성된다. 원수, 정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동되는 공간은, 커버부와 필터부가 분리되어 용이하게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조립체 내부에는 개방 또는 세척이 불가능한 사각지대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으로 구비된다.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을 형성한다. 제1 하우징에는 제1 커버가 결합되고, 제2 하우징에는 제2 커버가 결합된다. 필터부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의해 지지되되, 하우징, 커버부 및 필터부는 서로 탈거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필터 조립체가 모듈형으로 각각 제조된 후 결합되어 제조될 수 있어, 제조 과정이 용이해지고 그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 요소의 파손시 해당 구성 요소만 분리, 교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 조립체 내부에는 사각지대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터 조립체의 유지 보수 또한 간편해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필터 조립체에 구비되는 커버부, 필터부 및 관로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필터 조립체에 구비되는 커버부, 필터부 및 관로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유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유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유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내부가 세척된 후, 이물질이 잔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원수"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음용하거나 생활을 위한 용수로 사용되기 위한 여과(filtering)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공급된 임의의 유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원수는 수돗물(tap water)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여과"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음용하거나 생활을 위한 용수로 활용되기 위해 원수에게 가해지는 임의의 처리 과정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여과는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방식으로 원수 내의 이물질 또는 임의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정수"라는 용어는, 원수가 여과되어 생성되는 유체 중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임의의 유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생활용수"라는 용어는, 원수가 여과되어 생성되는 유체 중 정수를 제외한 기타 유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생활용수는 일상 생활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정도의 수질의 유체 또는 일상 생활에서 활용될 수 없는 정도의 수질의 유체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이물질(F.S)이라는 용어는 원수에 혼합되었다가, 여과 과정을 거치며 원수에서 분리된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의 구성이 도시된다.
정수기(1)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수기(1)는 외부의 원수 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된다. 상기 원수 공급원(미도시)은 도 1에 도시된 원수 공급부(40)와 별개로, 원수 공급부(40)와 연통되어 원수 공급부(40)에 원수를 전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정수기(1)는 필터 조립체(10, 20, 30), 원수 공급부(40), 정수 출수부(50), 생활용수 출수부(60), 밸브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중 필터 조립체(10, 20, 30), 원수 공급부(40), 정수 출수부(50) 및 생활용수 출수부(60)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통은 밸브부(70) 및 밸브부(70)와 연통 또는 통전되는 제어부(8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어부(80)에 의해 밸브부(70)의 작동이 제어되어, 정수기(1)의 각 구성 요소가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필터 조립체(10, 20, 30)는 원수 공급부(40)에서 원수를 전달받아 수용하고, 이를 정수 또는 생활용수로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필터 조립체(10, 20, 30)는 원수 공급부(40), 정수 출수부(50) 및 생활용수 출수부(60)와 연통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 20, 30)는 원수에서 여과된 이물질(F.S)의 체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원수 공급부(40)는 외부의 원수 공급원(미도시)에서 원수를 전달받는다. 전달받은 원수는 필터 조립체(10, 20, 30)에 전달되어 정수 또는 생활용수로 여과된 후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원수 공급부(40)가 정수기(1)의 구성 요소로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대안적으로, 정수기(1)가 직수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원수 공급부(40)는 외부의 수도관 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정수 출수부(50)는 원수가 여과되어 형성된 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사용자는 정수 출수부(50) 또는 정수 출수부(50)를 제어하게 구성된 제어부(80)를 조작하여 정수를 출수할 수 있다.
생활용수 출수부(60)는 원수가 여과되어 형성된 생활용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사용자는 생활용수 출수부(60) 또는 생활용수 출수부(60)를 제어하게 구성된 제어부(80)를 조작하여 생활용수를 출수할 수 있다.
정수 출수부(50) 및 생활용수 출수부(60)는 필터 조립체(10, 20, 30)와 연통된다.
밸브부(70)는 정수기(1)의 각 구성 요소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밸브부(70)는 정수기(1)의 구성 요소 중 서로 연통되는 구성 요소,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조립체(10, 20, 30), 원수 공급부(40), 정수 출수부(50) 및 생활용수 출수부(60)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밸브부(7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제어부(8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밸브부(70)는 서로 연통된 두 개 이상의 부재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밸브부(70)는 전기적 신호 또는 물리적 조작에 의해 작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밸브부(7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80)는 밸브부(7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부(80)가 수동으로 밸브부(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시 예에서, 제어부(8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기 위한 입력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모듈(미도시)을 물리적으로 조작하거나, 입력 모듈(미도시)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밸브부(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80)에 의해 밸브부(70)가 제어되는 과정은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 20, 30)는 여과 결과 발생되는 이물질(F.S)의 체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F.S)이 체류되는 경우에도 세정용수(C.W)에 의해 체류된 이물질(F.S)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 20, 30)는 별도의 부재 없이도 상기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조립체(10, 20, 30)의 구조가 간명하게 형성되고, 내부에서 유동되는 유체의 유로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10, 20, 30)는 외부와 연통된다. 필터 조립체(10, 20, 30)는 원수 공급부(40)와 연통되어 원수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필터 조립체(10, 20, 30)는 여과한 정수 또는 생활용수를 정수 출수부(50) 또는 생활용수 출수부(6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 20, 3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조립체(10)는 하우징(100), 커버부(200), 필터부(300) 및 관로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 커버부(200), 필터부(300) 및 관로부(400)는 서로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필터 조립체(1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필터 조립체(10)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200), 필터부(300) 및 관로부(400)가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기 공간에는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기 공간으로부터 정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유입된 원수, 생성된 정수 또는 생활용수는 하우징(100)의 상기 공간의 특정 영역에서만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100)은 필터 조립체(10)의 구성 요소를 수용하고, 외부와 연통되어 원수, 정수 또는 생활용수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하우징(100)은 복수 개의 구성 요소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하우징 결합 부재(130), 하우징 유출입부(140) 및 수용 공간(15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서로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제1 하우징(110)의 내부 및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각각 공간이 형성된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이 결합되면 상기 공간들이 연통되어, 필터 조립체(10)의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간들의 연통에 의해 후술될 수용 공간(150)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상기 공간은 외부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은 외부의 정수 출수부(50) 및 생활용수 출수부(60)와 연통된다. 제2 하우징(120)은 외부의 원수 공급부(40)와 연통된다.
제1 하우징(110)은 하우징(100)이 연장되는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형성한다. 제2 하우징(120)은 하우징(100)이 연장되는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형성한다.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후술될 하우징 결합 부재(13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그 내주면이 수용된 커버부(20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110)의 내주면은 상기 일측, 즉 상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제1 커버(210)와 이격된다. 제2 하우징(120)의 내주면은 상기 타측, 즉 하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제2 커버(220)와 이격된다.
서로 마주하는 제1 하우징(110)의 외주 및 제2 하우징(120)의 외주에는 하우징 결합 부재(130)가 형성된다.
하우징 결합 부재(130)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하우징 결합 부재(13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에 각각 형성된다.
하우징 결합 부재(130)는 서로 마주하는 제1 하우징(110)의 외주 및 제2 하우징(1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의 내부 및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각 외주가 서로 접촉 결합됨에 기인한다.
하우징 결합 부재(130)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결합 부재(130)는 돌출부(131) 및 홈부(132)를 포함한다.
돌출부(131)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돌출부(131)는 상기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서, 다른 외주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출부(131)는 제1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2 하우징(120)의 외주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돌출부(131)는 홈부(132)에 삽입 또는 탈거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위해, 돌출부(131)와 홈부(13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1)가 홈부(132)에 삽입된 후 임의 인출이 방지되기 위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에 의해, 돌출부(131)가 걸림턱(미도시)에 걸리게 되어, 돌출부(131)의 임의 인출 및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홈부(132)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중 다른 하나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홈부(132)는 상기 다른 하나의 외주면에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홈부(132)는 제2 하우징(1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제1 하우징(11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홈부(132)에는 돌출부(131)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홈부(132)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 중 상기 다른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홈부(132)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회전에 따른 돌출부(13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유출입부(14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즉 후술될 수용 공간(150)과 외부를 연통한다. 하우징 유출입부(140)는 하우징(100)의 외주의 일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유출입부(1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우징 유출입부(1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하우징 유출입부(140) 중 다른 하나 이상을 통해 정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 유출입부(140)는 유입부(141) 및 유출부(142)를 포함한다.
유입부(141)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이 원수 공급부(40)와 연통되는 부분이다. 유입부(141)는 하우징(100)의 면에 관통 형성되어, 원수 공급부(40)와 상기 내부 공간, 즉 수용 공간(150)을 연통한다.
이때, 원수는 유입부(141)를 통해 커버부(200), 구체적으로 제2 커버(220)와 필터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부(141)는 수용 공간(150) 중 일부, 즉 제2 커버(220)와 필터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입부(141)는 수용 공간(150)과 원수 공급부(40)를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부(141)는 제2 하우징(120)의 일 면, 즉 하측 면에 위치된다.
유입부(141)에는 관로부(400)의 유입 관로(410)가 관통될 수 있다. 원수는 원수 공급부(40)에서 유입 관로(410)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출부(142)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이 정수 출수부(50) 또는 생활용수 출수부(60)와 연통되는 부분이다. 유출부(142)는 하우징(100)의 면에 관통 형성되어, 정수 출수부(50) 및 생활용수 출수부(60)와 상기 내부 공간, 즉 수용 공간(150)을 연통한다.
이때, 원수가 여과되어 생성된 정수 또는 생활용수는 커버부(200), 구체적으로, 제1 커버(210)와 필터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만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유출부(142)는 수용 공간(150)의 다른 일부, 즉 제1 커버(210)와 필터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외부를 연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출부(142)는 수용 공간(150)과 정수 출수부(50) 및 생활용수 출수부(60)를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출부(142)는 제1 하우징(110)의 일 면, 즉 상측 면에 위치된다.
유출부(142)에는 관로부(400)의 유출 관로(420)가 관통될 수 있다. 정수는 유출 관로(420)를 통해 정수 출수부(50)로 유출될 수 있다.
유출부(14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유출부(14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정수가, 다른 하나 이상에는 생활용수가 유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출부(142)는 제1 유출부(142a) 및 제2 유출부(142b)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유출부(142a)는 정수가 정수 출수부(50)로 유동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제1 유출부(142a)는 정수 출수부(50)와 연통된다. 또한, 제1 유출부(142a)는 정수가 유동되는 유출 관로(420)와 연통된다. 필터부(300)를 통과되며 여과된 정수는 유출 관로(420) 및 제1 유출부(142a)를 통해 정수 출수부(50)로 유출될 수 있다.
제2 유출부(142b)는 생활용수가 생활용수 출수부(60)로 유동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제2 유출부(142b)는 생활용수 출수부(60)와 연통된다. 또한, 제2 유출부(142b)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즉 수용 공간(150)과 연통된다.
제1 유출부(142a) 및 제2 유출부(142b)는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된 별도의 유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출부(142a)에서 유동되는 정수와 제2 유출부(142b)에서 유동되는 생활용수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제1 유출부(142a) 및 제2 유출부(142b)는 상기와 같이 기능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유출부(142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유출 관로(420)와 연통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제1 부분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유출부(142b) 역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 공간(150)과 연통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제1 부분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유출부(142a)의 경로의 길이는 제2 유출부(142b)의 경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정수기(1)가 사용되는 환경을 고려하면, 생활용수가 필요한 상황에 비해 정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출수가 더 빠르게 수행되어야 함에 기인한다.
수용 공간(15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수용 공간(150)에는 필터 조립체(10)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수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50)에는 커버부(200) 및 필터부(300)가 수용된다.
수용 공간(150)은 외부와 연통된다. 원수는 수용 공간(150)에 유입되어 생활용수 또는 정수로 여과된 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수용 공간(15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50)의 상기 일측, 즉 상측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50)의 상기 타측, 즉 하측은 제2 하우징(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50)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수용 공간(150)은 원수가 유입되는 공간, 원수가 여과되어 정수 또는 생활용수가 생성되는 공간, 생성된 정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동되는 공간 및 임의의 유체가 유동되지 않는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는 공간은 제2 커버(220)와 필터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또한, 생성된 정수 또는 생활용수가 유동되는 공간은 제1 커버(210)와 필터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원수가 여과되어 정수 또는 생활용수가 생성되는 공간은 필터부(300)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임의의 유체가 유동되지 않는 공간은 하우징(100) 및 커버부(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의 일부는 제1 하우징(110)의 상측 내주면의 일부와 제1 커버(210)의 외주면의 일부 및 상면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의 다른 일부는 제2 하우징(120)의 하측 내면의 일부와 제2 커버(220)의 외주면의 일부 및 하면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의 나머지 일부는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의 내주면과 필터부(300)의 외주면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각각 제1 및 제2 하우징(120), 제1 및 제2 커버(210, 220) 및 필터부(30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상기 공간에는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 등 어떤 형태의 유체도 유입되지 않는 빈 공간(void)이다. 이에, 상기 공간에는 원수에 혼합된 이물질(F.S) 또한 유입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공간을 "빈 공간"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커버부(200)는 하우징(100) 및 필터부(300)와 각각 결합된다. 하우징(100)과 필터부(300)는 커버부(20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필터부(300)를 지지하며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200)는 그 상측 부분(즉, 제1 커버(210))가 제1 하우징(110)의 내주면 및 상측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커버부(200)는 그 하측 부분(즉, 제2 커버(220))가 제2 하우징(120)의 내주면 및 하측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커버부(2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부(200)는 하우징(100)의 수용 공간(150)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200)는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되는 제1 커버(210), 제2 하우징(120)과 결합되는 제2 커버(220) 및 제2 커버(220)와 필터부(300)를 결합하는 지지 부재(230)를 포함한다.
제1 커버(210)는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되어, 필터부(300)의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를 지지한다. 제1 커버(210)는 필터부(300)의 상기 일측 단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형성된다. 제1 커버(210)는 수용 공간(150)의 상기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1 커버(210)는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210)에 돌출 형성된 넥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유출부(142)에 삽입 결합되어, 제1 커버(210)가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버(210)는 제1 하우징(11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커버(210)의 상측 면 및 외주면은 제1 하우징(110)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 커버(2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제1 커버(210)의 내부에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에 의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커버(210)의 상측은 유출부(142)와 연통되고, 제1 커버(210)의 하측은 필터 중공(320) 및 유출 관로(420)와 연통된다.
제1 커버(210)와 필터부(300)가 상기 일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커버(210)의 하측 면과 필터부(300)의 상측 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필터부(300)를 통과되며 여과된 생활용수가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커버(210)는 제1 커버 공간(211) 및 제1 커버 외주(212)를 포함한다.
제1 커버 공간(211)은 필터부(300)의 상기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이다. 제1 커버 공간(211)은 제1 커버(210)의 상측 내면 및 제1 커버 외주(212)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커버 공간(211)에는 필터부(300)를 통과되되, 필터 중공(320)으로 진입되지 못한 생활용수가 유입될 수 있다. 생활용수는 제1 커버 공간(211)을 통과한 후 유출부(142)를 통해 생활용수 출수부(6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1 커버 외주(212)는 필터부(300)의 상기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형성된다.
제1 커버 외주(212)는 제1 커버(21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커버 외주(212)는 수용 공간(150)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제1 커버 외주(212)는 필터부(300)의 상기 일측 단부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고 지지한다.
제1 커버 외주(212)는 여과 부재(310)의 차단막(313)을 부분적으로 덮게 배치된다. 수용 공간(150)으로 유입된 원수는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차단막(313) 및 제1 커버 외주(212)에 통과되지 못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커버 공간(211)으로 유입된 생활용수는 상기 빈 공간으로 임의 유출되지 않는다.
제2 커버(220)는 제2 하우징(120)과 결합되어, 필터부(300)의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를 지지한다. 제2 커버(220)는 필터부(300)의 상기 타측 단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형성된다. 제2 커버(220)는 수용 공간(150)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제2 커버(220)는 제2 하우징(12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커버(220)에 돌출 형성된 넥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유입부(141)에 삽입 결합되어, 제2 커버(220)와 제2 하우징(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220)는 제2 하우징(12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커버(220)의 하측 면 및 외주면은 제2 하우징(120)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 커버(22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제2 커버(220)의 내부에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공에 의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커버(220)의 상측은 필터부(300)의 하측과 연통되고, 제2 커버(220)의 하측은 유입부(141)와 연통된다.
제2 커버(220)와 필터부(300)가 상기 타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커버(220)의 상측 면과 필터부(300)의 하측 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유입부(141)를 통해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지지 부재(230)를 통해 유입부(141)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220)는 지지 부재(230)와 결합된다. 지지 부재(230)는 일 단부가 필터부(300)와 결합되고, 타 단부가 제2 커버(220)와 결합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커버(220)는 제2 커버 공간(221) 및 제2 커버 외주(222)를 포함한다.
제2 커버 공간(221)은 필터부(300)의 상기 타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가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이다. 제2 커버 공간(221)은 제2 커버(220)의 하측 내면 및 제2 커버 외주(222)에 둘러싸인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커버 공간(221)에는 원수 공급부(40)에서 공급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원수는 제2 커버 공간(221)을 지나 필터부(300)의 하측을 통해 필터부(300)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커버 외주(222)는 필터부(300)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의 외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형성된다.
제2 커버 외주(222)는 제2 커버(220)의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커버 외주(222)는 수용 공간(150)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제2 커버 외주(222)는 필터부(300)의 상기 타측 단부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고 지지한다.
제2 커버 외주(222)는 여과 부재(310)의 차단막(313)을 부분적으로 덮게 배치된다. 수용 공간(150)으로 유입된 원수는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차단막(313) 및 제2 커버 외주(222)에 통과되지 못한다.
또한, 제2 커버 공간(221)에 유입된 원수는 필터부(300)의 하측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유동되어 여과 부재(310)에 진입될 수 있으나, 필터부(300)의 외주 방향과의 연통은 차단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커버 공간(221)으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부(300)를 향해 유동되되, 상기 빈 공간으로는 임의 유출되지 않게 된다.
지지 부재(230)는 제2 커버(220)를 필터부(300)와 결합시킨다. 지지 부재(230)는 제2 커버(220) 및 필터부(300)와 각각 결합된다.
지지 부재(230)는 제2 커버(220)와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230)는 제2 커버(220)의 상측 면에서 필터부(300)를 향해 연장 형성된다. 지지 부재(230)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필터부(300)의 결합 부재(330)와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30)의 연장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제2 커버(22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230)는 중공부(231), 관통공(232) 및 지지 단부(233)를 포함한다.
중공부(231)는 지지 부재(23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지지 부재(230)와 다른 구성 요소를 연통한다. 중공부(231)는 지지 부재(23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중공부(231)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부(231)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필터부(300)를 향하는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폐쇄되어, 필터부(300)의 결합 부재(33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중공부(231)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제2 커버(220)를 향하는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개방 형성되어, 관로부(400)의 유입 관로(41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 공급부(40)의 원수는 상기 하측 단부를 통해 중공부(231)로 진입될 수 있다.
관통공(232)은 지지 부재(230)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관통공(232)은 중공부(231)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주면에 관통 형성되어, 중공부(231)와 제2 커버 공간(221)을 연통한다.
관통공(232)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공(232)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중공부(231)와 제2 커버 공간(221)을 연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공(232)은 좌측에 세 개, 우측에 세 개 형성되나, 그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관통공(232)은 중공부(231)와 제2 커버 공간(221)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관통공(232)은 제2 커버(220)의 상측 면보다는 필터부(300)에 더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면, 관통공(232)은 제2 커버 공간(221)에 수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단부(233)는 지지 부재(230)가 필터부(3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지지 단부(233)는 지지 부재(23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를 형성한다.
지지 단부(233)는 필터부(300)의 결합 부재(33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단부(233)는 결합 부재(330)에 삽입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단부(23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 부재(3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단부(233)는 소정의 길이만큼 결합 부재(3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버(220)와 필터부(300)가 이격되는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지지 단부(233)는 중공부(231)의 상기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를 폐쇄한다.
따라서, 원수는 유입 관로(410) 및 중공부(231)를 거쳐 관통공(232)을 통해 제2 커버 공간(221)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원수는 다른 경로를 통해 제2 커버 공간(221)으로 유입되거나, 필터부(300)가 아닌 다른 부재, 예를 들면 상기 빈 공간을 향해 유출되지 않게 된다.
필터부(300)는 수용 공간(150)으로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 또는 생활용수를 생성한다. 생성된 정수 또는 생활용수는 서로 별개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필터부(300)는 하우징(10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필터부(300)의 연장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제1 커버(210)에 의해 지지된다. 필터부(300)의 연장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제2 커버(220)에 의해 지지된다.
필터부(300)는 수용 공간(150)에 수용된다. 필터부(300)는 커버부(200)와 함께 수용 공간(150)을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50)은 커버부(200) 및 필터부(30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방사상 내측의 공간과, 필터부(300)의 방사상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방사상 내측의 공간에는 여과 대상인 원수, 여과된 정수 및 생활용수가 유동된다. 상기 방사상 외측의 공간은 상기 빈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필터부(300)는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 또는 생활용수를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부(300)는 RO 멤브레인 (Reverse Osmosis Membrane)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부(300)에는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원수는 필터부(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여과되며 정수 또는 생활용수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정수는 필터부(300)의 방사상 내측을 향해 유동되며, 필터 중공(320)을 통해 정수 출수부(50)로 유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부(300)에는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원수가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필터부(300)는 커버부(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필터부(300)의 상측 단부는 제1 커버(210)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필터부(300)의 하측 단부는 제2 커버(220)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또한, 필터부(300)에는 지지 부재(23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부(300)는 여과 부재(310), 필터 중공(320), 결합 부재(330) 및 필터 관로(340)를 포함한다.
여과 부재(310)는 수용 공간(150)으로 유입된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 또는 생활용수를 생성하는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한다. 여과 부재(310)의 내부에는 원수가 여과되며 유동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50)에 유입된 원수는 기 설정된 방향으로만 여과 부재(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원수는 제2 커버 공간(221)에서 필터부(300)를 향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여과 부재(31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다.
여과 부재(3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과 부재(310)는 하우징(100)이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과 부재(310)의 상기 중공은 필터 중공(32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과 부재(3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여과 부재(310)는 원수를 복수 회 여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여과 부재(310)는 제1 여과부(311) 및 제2 여과부(31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또한, 여과 부재(310)는 제1 여과부(311)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게 배치되는 차단막(313)을 더 포함한다.
제1 여과부(311)는 원수를 여과하여 생활용수 또는 정수를 생성한다. 이에, 제1 여과부(311)는 원수를 1차 여과한다고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여과부(311)에는 특정한 방향으로만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여과부(311)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제2 커버(220)를 향하는 일측, 즉 하측을 통해서만 원수가 제1 여과부(311)로 유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커버 공간(221)에 진입된 원수만 제1 여과부(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여과부(311)를 따라 유동되는 원수는 생활용수 또는 정수로 여과된다. 여과된 생활용수 또는 정수의 일부는 제2 여과부(312)를 향해 유동되고, 다른 일부는 제1 커버 공간(211)으로 진입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여과부(311)는 제2 여과부(312)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여과부(311)는 제2 여과부(312)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어, 제2 여과부(312)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제1 여과부(311)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에는 제2 여과부(312)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여과부(311)의 상기 중공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는 결합 부재(330)가 구비된다.
제1 여과부(311)의 방사상 내측에는 제2 여과부(312)가 위치된다.
제2 여과부(312)는 제1 여과부(311)에 의해 여과된 정수 또는 생활용수를 추가 여과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는 상태의 정수를 생성한다. 이에, 제2 여과부(312)는 원수를 2차 여과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여과부(312)는 제1 여과부(311)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제2 여과부(312)는 제1 여과부(311)에 둘러싸이게 배치된다. 정수 또는 생활용수는 제1 여과부(311)를 통과되며 여과된 후에만 제2 여과부(312)로 진입될 수 있다.
제2 여과부(312)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에는 제2 여과부(312)를 통과된 정수가 유입되어, 유출부(142)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2 여과부(312)는 상기 중공과 연통된다.
차단막(313)은 제1 여과부(311)의 외주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차단막(313)은 제1 여과부(311)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게 형성된다.
차단막(313)은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빈 공간의 원수는 차단막(313)을 통과되어 그 방사상 내측으로 유입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원수는 제2 커버 공간(221)을 통과하여야만 필터부(3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여과 부재(310)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는 차단막(313)에 의해 상기 빈 공간으로 유출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원수는 제2 커버 공간(22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여과부(312)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다.
필터 중공(320)은 제2 여과부(312)를 통과된 정수가 유출부(142)를 향해 유동되는 통로이다. 필터 중공(320)은 필터부(30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필터부(30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필터 중공(320)은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가 개방 형성된다. 필터 중공(320)의 상기 상측 단부는 유출 관로(420)와 연통된다.
필터 중공(32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밀폐된다. 구체적으로, 필터 중공(320)의 상기 하측 단부는 결합 부재(330)에 의해 밀폐된다.
필터 중공(320)을 따르는 정수의 유동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결합 부재(330)는 필터부(300)가 커버부(200), 구체적으로 제2 커버(2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부재(330)는 필터 중공(320)의 상기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를 밀폐하며 여과 부재(310)에 결합된다.
결합 부재(330)의 내부에는 홈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홈에는 커버부(200)의 지지 부재(23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30)의 상기 홈을 둘러싸는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지지 부재(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2 커버(220)와 필터부(300)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330)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결합 부재(330)의 단면의 직경은 제2 여과부(312)의 단면의 외경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커버 공간(221)에 유입된 원수는 제2 여과부(312)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제1 여과부(311)를 거친 후에만 제2 여과부(312)로 진입될 수 있다.
관로부(400)는 수용 공간(150)과 외부를 연통한다. 수용 공간(150)은 관로부(400)를 통해 원수 공급부(40), 정수 출수부(50) 및 생활용수 출수부(60)와 연통될 수 있다.
관로부(400)는 하우징(10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관로부(400)의 연장 방향 중 일 단부는 외측으로 노출되어, 원수 공급부(40), 정수 출수부(50) 및 생활용수 출수부(60)와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로부(400)는 유입 관로(410) 및 유출 관로(420)를 포함한다.
유입 관로(410)는 수용 공간(150)과 원수 공급부(40)를 연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수는 제2 커버 공간(221)을 거쳐야만 필터부(300)로 진입될 수 있다. 이에, 유입 관로(410)는 제2 커버 공간(221)과 원수 공급부(40)를 연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입 관로(410)는 제2 커버(22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 관로(410)는 제2 커버(220)의 넥부(도면 부호 미부여)와 결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커버(220)의 넥부가 구비되지 않고 유입 관로(410) 자체가 넥부로 기능될 수도 있다.
유입 관로(41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유입 관로(41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중공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지지 부재(230)의 중공부(231)와 연통되고, 하측 단부는 외부로 연장되어 원수 공급부(40)와 연통된다.
유출 관로(420)는 수용 공간(150)과 정수 출수부(50)를 연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수는 필터 중공(320)에서 유출부(142)를 향해 유동된다. 이에, 유출 관로(420)는 필터 중공(320) 및 유출부(142)를 연통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출 관로(420)는 제1 커버(21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출 관로(420)는 제1 커버(2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관통되어, 제1 유출부(142a)까지 연장된다. 유출 관로(420)의 상기 중공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제1 유출부(142a)와 연통되고, 하측 단부는 필터 중공(320)과 연통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 내부에서의 원수, 생활용수 및 정수의 유동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20)가 도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2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와 비교하였을 때, 하우징(100)의 구조에 일부 차이가 있다.
기타,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20)에 구비되는 커버부(200), 필터부(300) 및 관로부(400)의 구조 및 기능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에 구비되는 커버부(200), 필터부(300) 및 관로부(400)와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하우징(100)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과 그 기능이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유출부(142)의 제2 유출부(142b)가 제1 유출부(141a)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별개의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유출부(141a)는 필터부(300)의 중심축에 인접하게 위치되되, 제2 유출부(142b)는 우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제1 유출부(141a)는 유출 관로(420)에 의해 필터 중공(320)과 연통되어, 제2 여과부(312)를 통과되며 여과된 정수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출부(141b)는 제1 커버(210)의 제1 커버 공간(211)과 연통되어, 제1 여과부(311)를 통과되며 여과된 생활용수가 유출되는 통로로 기능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20)는 하우징(100)의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되는 일 실시 예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30)가 도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30)는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와 비교하였을 때, 하우징(100)의 구조, 하우징(100)과 커버부(200)의 결합 구조 및 필터부(300)의 구조 및 관로부(400)의 구조에 일부 차이가 있다.
기타,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30)에 구비되는 필터부(300) 및 관로부(400)의 기능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에 구비되는 필터부(300) 및 관로부(400)와 동일하다.
이에,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하우징(100)의 구조, 하우징(100)과 커버부(200)의 결합 구조 및 필터부(300)의 구조 및 관로부(400)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과 그 기능이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하우징 유출입부(140)가 모두 하우징(10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유입부(141) 및 유출부(142)는 모두 하우징(100)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때, 유입부(141) 및 제1 유출부(142a)는 단수 개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유입부(141)로 기능되는 개구부가 제1 유출부(142a)의 기능까지 수행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부(141) 및 제1 유출부(142a)는 필터 중공(320)과 같은 중심축을 갖게 형성된다. 유입부(141) 및 제1 유출부(142a)에는 관로부(400)가 관통된다.
유입부(141)는 관로부(400)의 내부에 수용되는 필터 관로(340)를 통해 수용 공간(150)과 연통되어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출부(142a)는 필터 중공(320)과 연통되어 정수가 유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 유출부(142b)는 제1 커버 공간(211)과 연통되어 생활용수가 유출될 수 있다.
제2 유출부(142b)는 유입부(141) 또는 제1 유출부(142a)에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유출부(142b)는 우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커버부(200)는 필터부(300)의 일측(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을 지지하는 제1 커버(210) 및 필터부(300)의 타측(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커버(220)로 구비된다.
제1 커버(210)는 단일의 관로부(400) 및 관로부(400)에 관통되는 필터 관로(340)가 그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관통된다는 점에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와 차이가 있다.
또한, 제2 커버(220)는 외부와 연통을 위한 넥부(도면 부호 미표기)가 구비되지 않는 점에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와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커버(220)에는 외부와의 연통을 위한 부재가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2 커버(220)는 제2 하우징(120)의 내면과 이격되지 않고 접촉되게 배치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는 후술될 바와 같이, 원수가 상측으로부터 필터부(300)를 관통되어 제2 커버 공간(221)로 유입됨에 기인한다.
본 실시 예에서도, 필터 관로(340)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제2 커버 공간(221)으로만 유동된다. 따라서, 유입된 원수는 상기 빈 공간으로 임의 유출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필터부(300)에는 필터 관로(340)가 추가로 구비된다. 필터 관로(340)는 내부에 중공이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원수 공급부(40)와 수용 공간(150)을 연통하게 구성된다.
필터 관로(340)는 하우징(100)이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필터 관로(34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유입부(141)(즉, 제1 유출부(142a)로 함께 기능되는)에 관통된다. 필터 관로(340)의 상기 상측 단부는 원수 공급부(40)와 연통되어, 외부에서 원수가 유입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필터 관로(340)는 제2 커버(220)까지 연장된다. 필터 관로(34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는 지지 부재(230)와 연통된다. 필터 관로(34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상기 중공은 지지 부재(230)의 중공부(231)와 연통된다. 원수는 필터 관로(340), 중공부(231) 및 관통공(232)을 차례로 통과되어 제2 커버 공간(221)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 관로(340)는 필터 중공(32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관로(340)는 그 외주면이 필터 중공(320)을 둘러싸는 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정수가 유출부(142)를 향해 유동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즉, 상기 공간은 제2 여과부(312)와 제1 유출부(142a)를 연통한다.
필터 관로(340)는 관로부(4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관로(340)는 그 외주면이 관로부(400)의 내주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역시 정수가 유출부(142)를 향해 유동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즉, 상기 공간 역시 제2 여과부(312)와 제1 유출부(142a)를 연통한다.
또한, 관로부(400)는 단수 개 구비되어, 단수 개의 관로부(400)가 유입 관로(410) 및 유출 관로(42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게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로부(400)의 내부에는 필터 관로(340)를 수용하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 중 필터 관로(340)를 제외한 공간은 필터 중공(320)과 연통되어, 정수가 유동될 수 있다. 필터 관로(340)에서 원수가 유동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30)는 하우징 유출입부(140)를 하우징(100)의 일측에 모두 배치하는 경우,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면 커버부(200), 필터부(300) 및 관로부(400)의 구조가 다양하게 변경되는 일 실시 예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 20, 30)는 상술한 구성을 통해, 그 내부 공간에 사각 지대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각 지대에서 체류되어 제거가 어려운 이물질(F.S)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우징(100)은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필요시, 하우징(100)이 분리, 개방되어 수용 공간(150)이 직접 세정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 20, 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 20)의 내부에 형성된 원수 유로(R.F), 생활용수 유로(L.F) 및 정수 유로(P.F)가 도시된다.
먼저, 하측의 유입부(141)를 통해 원수가 수용 공간(150)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2 커버(220)는 필터부(300)의 하측 단부의 방사상 외측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커버(220)의 제2 커버 공간(221)은 제2 커버(220)의 외측 공간, 즉 상기 빈 공간의 일부와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유입부(141)는 지지 부재(2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231) 및 그 외주에 형성된 관통공(232)을 거쳐 제2 커버 공간(221)으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버 공간(221)은 제2 커버(220)의 외부 공간과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원수 유로(R.F)는 외부의 원수 공급부(40)에서 지지 부재(230)를 통과된 후 제2 커버 공간(221)으로 연장된다. 제2 커버 공간(221)에서, 원수 유로(R.F)는 제1 여과부(311)의 하측을 통해 제1 여과부(311)의 내부로 연장된다. 이때,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차단막(313)에 의해, 원수 유로(R.F)는 필터부(300)의 방사상 외측의 상기 빈 공간으로는 진행되지 않는다.
원수는 제1 여과부(311)를 통과되며 생활용수로 여과된다. 이때, 생활용수의 일부는 필터 중공(320)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2 커버 공간(221)을 거쳐 제2 유출부(142b)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생활용수의 상기 일부가 형성하는 유로는 생활용수 유로(L.F)로 정의될 수 있다.
생활용수의 나머지 일부는 필터 중공(320)을 향해 유동되어 정수로 여과된다. 필터 중공(320)에 진입된 정수는 필터 중공(320)을 따라 유동되어 제1 유출부(14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정수가 형성하는 유로는 정수 유로(P.F)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 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는 원수 유로(R.F), 생활용수 유로(L.F) 및 정수 유로(P.F)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300)의 외부 공간(즉, 하우징(100)의 내면과 필터부(300) 사이의 공간)은 필터부(300)의 내부 공간과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예에서, 원수 유로(R.F), 생활용수 유로(L.F) 및 정수 유로(P.F)는 모두 커버부(200)와 필터부(3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원수, 생활용수 또는 정수는 상기 빈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수에서 분리된 이물질(F.S) 또한 상기 빈 공간에 체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F.S)은 커버부(200)와 필터부(300)의 내부에만 체류되므로, 필터 조립체(10, 20)의 세척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30)의 내부에 형성된 원수 유로(R.F), 생활용수 유로(L.F) 및 정수 유로(P.F)가 도시된다.
먼저, 상측의 유입부(141)를 통해 원수가 필터 관로(340)로 유입된다. 이때, 필터 관로(340)는 유입부(141)와 지지 부재(230) 사이에서 연장되어, 유입된 원수는 지지 부재(230)의 중공부(231) 및 관통공(232)을 차례로 통과되어, 제2 커버 공간(221)으로 유입된다.
이때, 제2 커버(220)는 필터부(300)의 하측 단부의 방사상 외측을 부분적으로 지지하게 배치된다. 이에, 제2 커버 공간(221)은 제2 커버(220)의 외측 공간, 즉 상기 빈 공간의 일부와 물리적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원수 유로(R.F)는 외부의 원수 공급부(40)에서 지지 부재(230)를 통과된 후 제2 커버 공간(221)으로 연장된다. 제2 커버 공간(221)에서, 원수 유로(R.F)는 제1 여과부(311)의 하측을 통해 제1 여과부(311)의 내부로 진행된다. 이때,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차단막(313)에 의해, 원수 유로(R.F)는 필터부(300)의 방사상 외측의 상기 빈 공간으로는 진행되지 않는다.
원수는 제1 여과부(311)를 통과되며 생활용수로 여과된다. 이때, 생활용수의 일부는 필터 중공(320)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2 커버 공간(221)을 거쳐 제2 유출부(142b)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생활용수의 상기 일부가 형성하는 유로는 생활용수 유로(L.F)로 정의될 수 있다.
생활용수의 나머지 일부는 필터 중공(320)을 향해 유동되어 정수로 여과된다. 필터 중공(320)에 진입된 정수는 필터 중공(320), 구체적으로 필터 중공(320)과 필터 관로(3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유동되어 제1 유출부(14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정수가 형성하는 유로는 정수 유로(P.F)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는 원수 유로(R.F), 생활용수 유로(L.F) 및 정수 유로(P.F)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300)의 외부 공간(즉, 하우징(100)의 내면과 필터부(300) 사이의 공간)은 필터부(300)의 내부 공간과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예에서도, 원수 유로(R.F), 생활용수 유로(L.F) 및 정수 유로(P.F)는 모두 커버부(200)와 필터부(300)의 내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원수, 생활용수 또는 정수는 상기 빈 공간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수에서 분리된 이물질(F.S) 또한 상기 빈 공간에 체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F.S)은 커버부(200)와 필터부(300)의 내부에만 체류되므로, 필터 조립체(30)의 세척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필터 조립체(30)가 외부와 연통되는 하우징 유출입부(140)가 일측에 모두 배치됨에 따라, 필터 조립체(30)가 점유하는 공간의 크기 및 필터 조립체(30)가 구비되는 정수기(1)의 크기 또한 소형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정수기
10: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
20: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
30: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
40: 원수 공급부
50: 정수 출수부
60: 생활용수 출수부
70: 밸브부
80: 제어부
100: 하우징
110: 제1 하우징
120: 제2 하우징
130: 하우징 결합 부재
131: 돌출부
132: 홈부
140: 하우징 유출입부
141: 유입부
142: 유출부
142a: 제1 유출부
142b: 제2 유출부
150: 수용 공간
200: 커버부
210: 제1 커버
211: 제1 커버 공간
212: 제1 커버 외주
220: 제2 커버
221: 제2 커버 공간
222: 제2 커버 외주
230: 지지 부재
231: 중공부
232: 관통공
233: 지지 단부
300: 필터부
310: 여과 부재
311: 제1 여과부
312: 제2 여과부
313: 차단막
320: 필터 중공
330: 결합 부재
340: 필터 관로
400: 관로부
410: 유입 관로
420: 유출 관로
R.F: 원수 유로(Raw water Flow path)
L.F: 생활용수 유로(Living water Flow path)
P.F: 정수 유로(Purified water Flow path)
F.S: 이물질(Foreign Substance)
C.W: 세정용수(Cleaning Water)

Claims (17)

  1. 외부의 원수 공급부, 정수 출수부 및 생활용수 출수부와 각각 연통되며, 원수, 정수 및 생활용수의 유로가 형성되는 수용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 공간에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원수 및 상기 생활용수의 유로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그 내부에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의해 지지되게 상기 수용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원수를 여과(filtering)하여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생활용수를 생성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공간, 상기 필터부의 단부 및 외주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이 물리적으로 구획되고,
    유입된 상기 원수의 유로, 상기 정수의 유로 및 상기 생활용수의 유로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공간 및 상기 필터부의 내부에만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공간과 연통되어, 유입된 상기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부; 및
    상기 여과부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상기 여과부에 유입된 상기 원수는 상기 여과부의 방사상 외측으로의 유출이 차단되는,
    필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필터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필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필터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일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일 단부의 면 및 외주를 감싸는 제1 커버; 및
    상기 필터부가 연장되는 방향의 타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타 단부의 면 및 외주를 감싸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필터부의 상기 일 단부의 외주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는 제1 커버 외주; 및
    상기 필터부의 상기 일 단부의 면 및 상기 제1 커버의 내면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외주가 상기 제1 커버 외주에 둘러싸이고, 외부 및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는 제1 커버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필터부의 상기 타 단부의 외주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는 제2 커버 외주; 및
    상기 필터부의 상기 타 단부의 면 및 상기 제2 커버의 내면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외주가 상기 제2 커버 외주에 둘러싸이고, 외부 및 상기 필터부와 연통되는 제2 커버 공간을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일부는,
    상기 제1 커버 공간 및 상기 제2 커버 공간 중 어느 하나로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된 후 상기 제1 커버 공간 및 상기 제2 커버 공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필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유입된 상기 원수를 1차 여과하는 제1 여과부;
    상기 제1 여과부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여과부를 통과되며 1차 여과된 원수를 2차 여과하는 제2 여과부; 및
    상기 제1 여과부를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그 방사상 외측이 상기 제1 커버 외주 및 상기 제2 커버 외주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커버 공간 및 상기 제2 커버 공간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어, 상기 제1 여과부 및 상기 제2 여과부를 차례로 통과되며 정수로 여과된 후 상기 제1 커버 공간 및 상기 제2 커버 공간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필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둘러싸는 제1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둘러싸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하우징 결합 부재; 및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원수 공급부, 상기 정수 출수부 및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하우징 유출입부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치우치게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커버;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하우징에 치우치게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어느 하나의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커버와 상기 필터부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이 이격되게 상기 필터부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커버에서 다른 하나의 커버를 향해 유동되는 상기 원수를 여과하여 상기 생활용수 또는 상기 정수를 생성하게 구성되는,
    필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외부의 상기 원수 공급부와 연통되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중공부를 연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중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의 공간을 향해 상기 원수를 확산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필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출입부는,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원수 공급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유입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하우징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정수 출수부 및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를 상기 수용 공간과 각각 연통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출입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상기 원수 공급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유입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상기 정수 출수부 또는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상기 정수 출수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제1 유출부;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 유출부와 분리되게 배치되어 외부의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와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제2 유출부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 및 상기 유출부와 각각 연통되는 필터 중공; 및
    상기 필터 중공에 수용되어 상기 필터 중공을 방사상 내측 공간 및 방사상 외측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하는 일 단부가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하는 타 단부가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원수 공급부에서 유입된 상기 원수가 상기 일 단부에서 상기 타 단부를 향해 유동되는 유로를 상기 방사상 내측 공간에 형성하는 필터 관로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필터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필터부와 상기 커버부가 서로 마주하는 각 면은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필터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외주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필터 관로를 연통하여, 상기 수용 공간 중 상기 필터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의 공간을 향해 상기 원수를 확산시키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수는,
    상기 필터 관로 및 상기 관통공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에 유입된 후,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해 유동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며 상기 정수 또는 상기 생활용수 출수부로 여과되는,
    필터 조립체.
KR1020210191177A 2021-12-29 2021-12-29 필터 조립체 KR20230101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177A KR20230101240A (ko) 2021-12-29 2021-12-29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177A KR20230101240A (ko) 2021-12-29 2021-12-29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240A true KR20230101240A (ko) 2023-07-06

Family

ID=8718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177A KR20230101240A (ko) 2021-12-29 2021-12-29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2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0200B2 (en) Dual-flow filter cartridge
US7081201B2 (en) Encapsulated filter cartridge
US5078876A (en) Apparatus for multistage purification of water
US20020104794A1 (en) Filter apparatus using alternate types of replaceable filter elements
KR20160071505A (ko) 정수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20210060973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30101240A (ko) 필터 조립체
KR20120002855A (ko) 일체형필터
CN209872549U (zh) 一种四合一复合滤芯及其净水器
KR101741775B1 (ko) 역삼투막 시트의 어셈블리 및 이를 수용하는 역삼투막 필터
KR20210039233A (ko)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230064437A (ko) 복합 필터 구조체
CN208770991U (zh) 复合滤芯以及过滤系统
JPH08238194A (ja) 処理水シャワー付切り替え弁装置
KR101894544B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KR20200016485A (ko) 수전용 카트리지타입 정수장치
JPS63137711A (ja) ロ−タリ弁およびこのロ−タリ弁を内蔵した濾過器
KR20230095469A (ko) 필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구조체
KR20230066944A (ko) 탱크 부재, 이를 포함하는 필터 탱크부 및 이들을 포함하는 정수기
KR20180043769A (ko) 정수필터장치
KR20210047535A (ko) 정수기용 필터
JP2004000956A (ja) 水栓内蔵型浄水カートリッジ
CN215027697U (zh) 子母反渗透膜装置及反渗透净水器
CN109231360B (zh) 水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滤芯结构
US11571642B2 (en) Self cleaning water filter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