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535A - 정수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7535A KR20210047535A KR1020190131269A KR20190131269A KR20210047535A KR 20210047535 A KR20210047535 A KR 20210047535A KR 1020190131269 A KR1020190131269 A KR 1020190131269A KR 20190131269 A KR20190131269 A KR 20190131269A KR 20210047535 A KR20210047535 A KR 202100475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water
- water purifier
- housing
- filte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728 nano-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7—Micro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소형화에 적합하고 설치 및 제작을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정수기용 필터 및 정수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정수기용 필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필터 하우징과, 원수를 여과하도록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필터체와,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필터체 일부를 커버하는 필터 케이스와, 필터 케이스와 필터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와, 필터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측벽에 필터체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정수 배출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에 적합한 정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하나 이상의 정수 필터가 유입된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정수 시스템에 역삼투막을 필터로 사용하는데, 이 필터에 유입되는 물(이하 '원수’라 한다)에 삼투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오염물질을 농축시켜 폐수(이하‘제거수’라 한다)로 배출하고, 정수쪽으로는 정수된 물(이하‘정수’라 한다)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발생되는 제거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거수 배출공과 제거수를 적절한 유량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유량 조절기구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필터의 상부에는 원수와 정수가 유출입되는 기구가 구비되고 제거수 배출공과 배출유량 조절기구는 필터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정수기에 필터가 장착될 때 필터의 위아래 모두를 정수기와 연결시켜 주어야 하는 복잡한 작업이 이루어졌고 정수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었다. 또한, 배출유량 조절기구는 세밀한 구조를 갖는 부품이므로 그 제작 및 조립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소형화에 적합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정수기용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미세 부품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그 제작 및 설치와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정수기용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멤브레인 필터를 호환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용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필터 하우징, 원수를 여과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필터체,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필터체 일부를 커버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 상기 필터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측벽에 상기 필터체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정수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용 필터는 상기 정수 배출관에 결합되어 상기 정수를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로 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배출관의 일단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체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케이스, 및 상기 필터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단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케이스는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가 관통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수기용 필터는 상기 상단 케이스와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체의 일단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될 수 있고, 상기 필터체의 타단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부터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유로를 통하여 제거수가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원수는 상기 필터체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거수는 상기 필터체에 의해 여과된 후 상기 필터체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제거수가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상기 제2유로를 통하여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부터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원수는 상기 필터체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거수는 상기 필터체에 의해 여과된 후 상기 필터체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용 필터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와 연통되는 필터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캡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어 유체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1개구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어 유체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개구부 및 상기 정수기용 필터 외부로 상기 정수가 유출되도록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와 연통되는 정수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체는 한외여과막, 나노여과막, 역삼투막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외측 케이스,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상단 케이스, 상기 외측면 케이스와 상기 상단 케이스에 의해 커버되고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필터체; 및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필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상기 상단 케이스와 상기 필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제1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용 필터는 하단부가 폐쇄되고 측벽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정수 배출관, 상기 정수 배출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관상의 유출로 형성부재 및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와 상기 상단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외부로 정수가 유출될 수 있고,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제2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외부로 제거수가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외부로 정수가 유출될 수 있고,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외부로 제거수가 유출될 수 있고, 상기 제2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필터 캡, 원수를 여과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필터체,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체 일부를 커버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측벽에 상기 필터체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폐쇄된 정수 배출관, 상기 정수 배출관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의 개구를 관통하며 정수를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로 형성부재, 상기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 및 상기 필터 케이스와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체의 일단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체의 타단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캡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어 유체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1개구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어 유체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개구부 및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상기 정수가 유출되도록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와 연통되는 정수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정수기용 필터와 그 외부 사이의 유체의 유출입은 정수기용 필터 상부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필터의 장착 또는 분리 시에 정수기용 필터의 상부만을 정수기에 장착 또는 분리하면 되므로 그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정수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유량 손실을 감소시키는 필터 케이스와 필터체 중심에 마련되는 정수 배출관을 구비하여, 단위시간당 정수 배출관의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거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종래 사용하던 오리피스 및 압입핀과 같은 세밀한 구조의 구성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수기용 필터의 제작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거수가 배출되는 유로를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멤브레인 필터를 호환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에 장착된 필터 캡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에 장착된 필터 캡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떠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부", "하부", 및 "상하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용 필터(1)는 원통형의 정수기용 필터(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정수기용 필터(1)는 다각기둥형태의 정수기용 필터(1)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용 필터(1)는 정수기용 필터(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00) 상부에는 원수, 정수 및 제거수가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는 개구(101)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수직하게 이어지고 필터 하우징(100)의 개구(101)의 중심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정수기용 필터(1)를 회전시킴으로써 정수기에 정수기용 필터(1)를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필터 하우징(100)의 개구부(101) 주위에 체결부(102)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 하우징(100) 하부에는 정수기용 필터(1)를 정수기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손잡이(103)가 마련될 수 있고, 필터 하우징(100)의 개구부(101) 주위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104a,104b)가 마련될 수 있다.
정수기용 필터(1)는 정수를 정수기용 필터(1)의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로 형성부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로 형성부재(201)는 일부가 필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중심이 비어있는 관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출로 형성부재(201)의 중심선은 필터 하우징(100)의 개구(101)의 중심을 지나고 필터 하우징(100)의 하단면에 수직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유출로 형성부재(201)의 중심선은 필터 하우징(100)의 하단면과 수직하지 않거나 필터 하우징(100)의 개구(101)의 중심을 지나지 않을 수 있다.
유출로 형성부재(201)는 필터 하우징(100)의 개구(101) 측의 일단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1)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용 필터(1)는 원수를 여과하는 원통형의 필터체(207)와 필터체(207) 외측에 마련되는 필터 케이스(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체(207)는 원수를 여과하도록 필터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되며,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체(207)는 필터체(207)의 중공부의 중심선이 필터 하우징(100)의 하단면에 수직하고 필터 하우징(100)의 개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필터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체(207)는 필터체(207)의 중공부의 중심선이 필터 하우징(100)의 하단면과 수직하지 않거나 필터 하우징(100)의 개구의 중심을 지나지 않도록 필터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필터체(207)는 통수성인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체(207)는 한외여과막, 나노여과막, 역삼투막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한외여과막은 공경이 0.005 마이크로미터 이상 0.5 마이크로미터의 이하인 미세기공을 포함할 수 있고, 나노여과막은 공경이 0.001 마이크로미터 이상 0.005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미세기공을 포함할 수 있고, 역삼투막은 공경이 0.0001 마이크로미터 이상 0.001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미세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체(207)는 원수를 여과할 수 있는 다양한 종래의 멤브레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202)는 필터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되며 필터체(207)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고, 필터체(207)의 하단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필터체(207)의 하단면과 필터 하우징(100)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202)는 필터체(207)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외측 케이스(204) 및 필터체(207)의 상단에 마련되는 상단 케이스(20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터 케이스(202)는 외측 케이스(204) 및 상단 케이스(203) 이외의 부재를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202)는 필터체(207)의 외주면 및 상단을 커버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케이스(202)는 여과된 정수가 외주면 또는 상단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수의 유량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정수기용 필터(1)는 원수 또는 제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1유로(208)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유로(208)는 필터 하우징(100)과 필터 케이스(202)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208)는 필터 하우징(100)과 필터 케이스(202) 사이의 이격된 공간 및 필터 하우징(100)과 필터체(207)의 하단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208)는 필터체(207)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유로(208)는 필터체(207)의 하단 측에서 연통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의 상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단 케이스(203)는 외측 케이스(204)의 일단에 결합하여 필터 케이스(202)를 구성할 수 있다.
외측 케이스(204)는 필터체(207)의 외주면을 감싸는 튜브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상단 케이스(203)는 필터체(207)의 상단을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상단 케이스(203)와 필터체(207)의 상단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단 케이스(203)는 필터체(207)의 중공부와 대응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수기용 필터(1)의 상단 케이스(203)는 필터체(207)의 상단부 외주면 일부 및 상단면을 커버하고, 필터체(207)의 중공부에 대응되도록 개구가 마련되며, 개구의 직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관상으로 필터하우징(100)의 개구(101)를 향해 연장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단 케이스(203)는 필터 하우징(100)의 개구(101) 측의 일단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용 필터(1)는 필터체(207)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 배출관(206)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 배출관(206)은 내부가 빈 관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수 배출관(206) 내부로 정수가 유입되도록 정수 배출관(206)의 측벽에 필터체(207)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205)이 형성될 수 있다.
정수 배출관(206)은 필터체(207)의 중공부에 수용될 수 있고, 정수 배출관(206)은 그 내부에 유출로 형성부재(201)를 제외한 다른 부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정수 배출관(206)은 하부의 일단이 폐쇄될 수 있다.
정수 배출관(206)은 그 내부의 정수를 필터 하우징(100) 외부로 유출하도록 상부에 유출로 형성부재(201)가 결합되어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로 형성부재(201)의 일단의 외경은 정수 배출관(206) 내경보다 작거나 같으며, 유출로 형성부재(201)의 일단은 정수 배출관(206) 내부로 끼워 맞추어 짐으로써 정수 배출관(206)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수기용 필터(1)는 정수 배출관(206)과 유출로 형성부재(201)가 연통되도록 결합시킬 수 있는 모든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출로 형성부재(201)는 그 전체가 정수 배출관(206)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수 배출관(206)의 상단을 폐쇄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돌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로 형성부재(201)는 정수 배출관(206) 내부로 삽입되는 일단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213a,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로 형성부재(201)는 정수를 필터 케이스(202) 및 정수기용 필터(1)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필터 케이스(202)를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 케이스(203)의 개구부를 관통 할 수 있다.
상단 케이스(203)의 개구의 중심은 유출로 형성부재(201)의 중심선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단 케이스(203)의 개구의 중심은 유출로 형성부재(201)의 중심선 상에 놓여있지 않을 수 있다.
정수 배출관(206)은 필터체(207)의 중공부에 수용되고 필터체(207)와의 접촉면을 최대화함으로써 단위시간당 정수 배출관(206)의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1)의 정수 배출관(206)은 그 내부에 다른 부재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별도의 관 등이 내부에 배치된 종래의 배출관에 비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정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정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정수기용 필터(1)는 원수 또는 제거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제2유로(209)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유로(209)는 유출로 형성부재(201)와 상단 케이스(203)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209)는 유출로 형성부재(201)와 상단 케이스(203) 사이의 이격된 공간 및 상단 케이스(203)와 필터체(207)의 상단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로(209)는 필터체(207)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유로(209)는 필터체(207)의 상단 측에서 연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1)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수는 제1유로(208)를 통하여 정수기용 필터(1)의 외부로부터 정수기용 필터(1)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제1유로(208)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는 제1유로(208)와 연통된 필터체(207)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수는 필터체(207)의 하단 측에서 필터체(207)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체(207)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체(207)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체(207)에 의해 여과된 정수는 필터체(207)의 중공부로 이동할 수 있고 정수 배출관(206)의 관통공(205)을 통하여 정수 배출관(206)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정수 배출관(206)의 내부로 유동한 정수는 정수 배출관(206)과 연통된 유출로 형성부재(201)를 통하여 정수기용 필터(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제거수는 필터체(207) 상단 측에서 필터체(207)로부터 유출될 수 있고, 필터체(207)와 연통되는 제2유로(209)를 통하여 정수기용 필터(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제거수는 필터체(207)로 유입된 원수에서 필터체(207)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제외되고 남은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1)의 경우 정수기용 필터(1)와 그 외부 사이의 유체의 유출입은 필터 하우징(100) 상부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수기용 필터(1)를 정수기에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정수기용 필터(1)의 상부만을 정수기에 장착 또는 분리하면 되므로 그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정수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1)는 그 제작 시에 상단 케이스(203)와 유출로 형성부재(201)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제거수의 유량을 멤브레인 필터에 최적합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거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에 압입핀 등을 삽입하여 미세유로를 만들어 제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보다 세밀한 구조의 구성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정수기용 필터(1)의 제작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1)에서 유체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수는 제2유로(209)를 통하여 정수기용 필터(1)의 외부로부터 정수기용 필터(1)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유로(209)를 통하여 유입된 원수는 제2유로(209)와 연통된 필터체(207)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수는 필터체(207)의 상단 측에서 필터체(207)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체(207)로 유입된 원수는 필터체(207)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필터체(207)에 의해 여과된 정수는 필터체(207)의 중공부로 이동할 수 있고 정수 배출관(206)의 관통공(205)을 통하여 정수 배출관(206)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정수 배출관(206)의 내부로 유동한 정수는 정수 배출관(206)과 연통된 유출로 형성부재(201)를 통하여 정수기용 필터(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제거수는 필터체(207) 하단 측에서 필터체(207)로부터 유출될 수 있고, 필터체(207)와 연통되는 제1유로(208)를 통하여 정수기용 필터(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달리 말해서, 제거수는 필터체(207)로 유입된 원수에서 필터체(207)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제외되고 남은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1)의 경우 정수기용 필터(1)와 그 외부 사이의 유체의 유출입은 필터 하우징(100) 상부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수기용 필터(1)를 정수기에 장착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정수기용 필터(1)의 상부만을 정수기에 장착 또는 분리하면 되므로 그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고 정수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1)는 그 제작 시에 필터 케이스(202)와 필터 하우징(10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제거수의 유량을 멤브레인 필터에 최적합하도록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제거수가 유출되는 유출관에 압입핀 등을 삽입하여 미세유로를 만들어 제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보다 세밀한 구조의 구성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정수기용 필터(1)의 제작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정수기용 필터(1)에 장착된 필터 캡(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정수기용 필터(1)는 상부에 필터 캡(2)을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용 필터(1)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필터 캡(2)의 하단에는 필터 하우징(100)의 체결부(102)와 대응되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는 홈의 형태일 수 있으며, 필터 하우징(100)이 회전하면 필터 하우징(100)의 체결부(102)가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 하우징(100)에 마련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체결부(102)와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캡(2)은 제1유로(208)와 연통되는 제1개구부(301), 제2유로(209)와 연통되는 제2개구부(302) 및 유출로 형성부재(201)와 연통되는 정수 유출부(3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정수기용 필터(1)는 정수 유출부(303)로 정수를 유출할 수 있고, 제1개구부(301)로부터 원수를 유입할 수 있고, 제2개구부(302)로 제거수를 유출할 수 있다.
또한, 정수 유출부(303)를 통해 정수가 필터 캡(2)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제1개구부(301)를 통해 원수가 필터 캡(2)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제2개구부(302)를 통해 제거수가 필터 캡(2)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정수기용 필터(1)는 정수 유출부(303)로 정수를 유출할 수 있고, 제2개구부(302)로부터 원수를 유입할 수 있고, 제1개구부(301)로 제거수를 유출할 수 있다.
또한, 정수 유출부(303)를 통해 정수가 필터 캡(2) 외부로 유출될 수 있고, 제2개구부(302)를 통해 원수가 필터 캡(2)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제1개구부(301)를 통해 제거수가 필터 캡(2)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정수기용 필터 100 : 필터 하우징
101 : 개구 102 : 체결부
104a,104b,210,211,213a,213b : 실링부재
201 : 유출로 형성부재
202 : 필터 케이스 203 : 상단 케이스
204 : 외측 케이스 205 : 관통공
206 : 정수 배출관 207 : 필터체
208 : 제1유로 209 : 제2유로
212 : 돌출부 2 : 필터 캡
301 : 제1개구부 302 : 제2개구부
303 : 정수 유출부
101 : 개구 102 : 체결부
104a,104b,210,211,213a,213b : 실링부재
201 : 유출로 형성부재
202 : 필터 케이스 203 : 상단 케이스
204 : 외측 케이스 205 : 관통공
206 : 정수 배출관 207 : 필터체
208 : 제1유로 209 : 제2유로
212 : 돌출부 2 : 필터 캡
301 : 제1개구부 302 : 제2개구부
303 : 정수 유출부
Claims (20)
-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필터 하우징;
원수를 여과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필터체;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필터체 일부를 커버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
상기 필터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측벽에 상기 필터체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정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배출관에 결합되어 상기 정수를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로 형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배출관의 일단이 폐쇄되는 정수기용 필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체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케이스; 및
상기 필터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단 케이스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케이스는,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에 관통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용 필터는 상기 상단 케이스와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의 일단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체의 타단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는 정수기용 필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부터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기용 필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를 통하여,
제거수가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정수기용 필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원수는 상기 필터체로 유입되고,
상기 제거수는 상기 필터체에 의해 여과된 후 상기 필터체로부터 유출되는 정수기용 필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제거수가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부터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유출되는 정수기용 필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를 통하여,
상기 원수가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부터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정수기용 필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원수는 상기 필터체로 유입되고, 상기 제거수는 상기 필터체에 의해 여과된 후 상기 필터체로부터 유출되는 정수기용 필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유로, 상기 제2유로 및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와 연통되는 필터 캡;을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캡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어 유체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1개구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어 유체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개구부; 및
상기 정수기용 필터 외부로 상기 정수가 유출되도록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와 연통되는 정수 유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는
한외여과막, 나노여과막, 역삼투막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외측 케이스;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상단 케이스;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상단 케이스에 의해 커버되고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필터체; 및
상기 외측 케이스와 상기 필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상기 상단 케이스와 상기 필터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제1유로;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 제16항에 있어서,
하단부가 폐쇄되고 측벽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필터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는 정수 배출관;
상기 정수 배출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관상의 유출로 형성부재; 및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와 상기 상단 케이스 사이의 이격 공간을 포함하는 제2유로;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외부로 정수가 유출되고,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며,
상기 제2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외부로 제거수가 유출되는 정수기용 필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외부로 정수가 유출되고,
상기 제1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외부로 제거수가 유출되고,
상기 제2유로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용 필터의 내부로 원수가 유입되는 정수기용 필터. -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필터 캡;
원수를 여과하도록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필터체;
상기 필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체 일부를 커버하는 필터 케이스;
상기 필터체의 중공부에 수용되며, 측벽에 상기 필터체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이 폐쇄된 정수 배출관;
상기 정수 배출관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케이스의 개구를 관통하며 정수를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로 형성부재;
상기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 및
상기 필터 케이스와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체의 일단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체의 타단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필터 캡은
상기 제1유로와 연통되어 유체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1개구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어 유체를 유입하거나 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개구부; 및
상기 필터 하우징 외부로 상기 정수가 유출되도록 상기 유출로 형성부재와 연통되는 정수 유출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1269A KR20210047535A (ko) | 2019-10-22 | 2019-10-22 | 정수기용 필터 |
PCT/KR2020/012269 WO2021080174A1 (ko) | 2019-10-22 | 2020-09-11 | 정수기용 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1269A KR20210047535A (ko) | 2019-10-22 | 2019-10-22 | 정수기용 필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7535A true KR20210047535A (ko) | 2021-04-30 |
Family
ID=7561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1269A KR20210047535A (ko) | 2019-10-22 | 2019-10-22 | 정수기용 필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47535A (ko) |
WO (1) | WO2021080174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211488B2 (en) * | 2007-07-13 | 2015-12-15 | Cummins Filtration Ip, Inc. | Fluid filter with localized flow attachment |
US8187458B2 (en) * | 2009-03-18 | 2012-05-29 | Lifetime Oil Filter, Inc. | Oil filter |
KR102010976B1 (ko) * | 2012-08-14 | 2019-08-14 |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 카본필터 |
US10272369B2 (en) * | 2016-07-01 | 2019-04-30 |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 Reusable filter system |
KR102445389B1 (ko) * | 2017-04-18 | 2022-09-22 | 주식회사 피코그램 | 측면유동형 ro필터를 갖는 복합필터 |
-
2019
- 2019-10-22 KR KR1020190131269A patent/KR20210047535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0
- 2020-09-11 WO PCT/KR2020/012269 patent/WO202108017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80174A1 (ko) | 2021-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3294B1 (ko) | 필터 조립체 | |
JP6495222B2 (ja) | 合体フィルタエレメント | |
US20160220956A1 (en) |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Having Fluid Channel Formed On Side Surface Thereof | |
KR200384557Y1 (ko) |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 |
MXPA01003639A (es) | Unidad de filtracion de fluido. | |
KR200405389Y1 (ko) | 정수용 다중 필터 조립체 | |
KR101148053B1 (ko) | 정수기 필터 조립체 | |
KR20080101567A (ko) | 정수기용 복합필터 조립체 | |
US20140158590A1 (en) | Apparatus for a parallel flow manifold system for water filtration | |
KR20130068559A (ko) | 정수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 |
KR101364155B1 (ko) | 필터 조립체 | |
EP3733258B1 (en) | Filter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elimin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flow-variable bypass flow path | |
KR200403991Y1 (ko) | 정수기용 필터장치 | |
KR20210060973A (ko) | 복합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기 | |
KR101131672B1 (ko) | 정수 성능을 개선한 정수기용 카본 필터 | |
KR20210047535A (ko) | 정수기용 필터 | |
EP3594183B1 (en) | Water purification system | |
KR101306776B1 (ko) | 정수기 필터 조립체 | |
CN211513712U (zh) | 滤芯组件和具有其的净水机 | |
JPH11253936A (ja) | 浄水器 | |
CN110856779B (zh) | 复合滤芯以及过滤系统 | |
CN112142130A (zh) | 用于净水机的滤芯盖、用于净水机的滤瓶和净水机 | |
CN210710999U (zh) | 一种滤芯组件 | |
KR200269460Y1 (ko) | 정수기용 필터의 조립구조 | |
CN111115866B (zh) | 复合滤芯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