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230A -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메타 표면 - Google Patents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메타 표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01230A KR20230101230A KR1020210191161A KR20210191161A KR20230101230A KR 20230101230 A KR20230101230 A KR 20230101230A KR 1020210191161 A KR1020210191161 A KR 1020210191161A KR 20210191161 A KR20210191161 A KR 20210191161A KR 20230101230 A KR20230101230 A KR 202301012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nocomposite
- layer
- metasurface
- nanostructure
- mol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14 nanocomposi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MCMNRKCIXSYSNV-UHFFFAOYSA-N ZrO2 Inorganic materials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086 nano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9000004205 dimethyl polysilox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20000435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1 polydimethyl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987 plasma desorption mass spectrosco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033 biological exti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609 electron-beam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459 lith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62 replic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materials engineered to provide properties not available in nature, e.g. metamateri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 C08K2003/22—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4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rconiu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01—Nanoop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작 장치, 제작 방법 및 메타 표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 굴절률을 갖게 형성되어 낮은 파장의 빛도 효과적으로 굴절시킬 수 있는 메타 표면을 제작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메타 표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연질 주형;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도포되는 나노 복합재(nanocomposite)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복합재는, 열경화성 소재로 형성된 수지(resin); 및 상기 수지에 혼합된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입자는 이산화지르코늄(ZrO2) 및 이산화티타늄(TiO2) 중 하나의 소재로 제공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연질 주형;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도포되는 나노 복합재(nanocomposite)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복합재는, 열경화성 소재로 형성된 수지(resin); 및 상기 수지에 혼합된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입자는 이산화지르코늄(ZrO2) 및 이산화티타늄(TiO2) 중 하나의 소재로 제공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메타 표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고 굴절률을 갖게 형성되어 낮은 파장의 빛도 효과적으로 굴절시킬 수 있는 메타 표면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메타 표면에 관한 것이다.
메타 렌즈는 재료를 메타 표면으로 처리하여 제작된 렌즈를 일컫는다. 메타 표면은 50㎚ 크기의 나노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메타 렌즈는 기존 사용되는 유리 등 투명한 소재의 물질로 형성되는 렌즈에 비해, 빛의 투과성, 굴절률이 향상되고 그 크기 및 두께가 감소될 수 있어, 최근 다양한 형태의 스마트 기기에 활용되고 있다.
메타 표면은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나노 구조체가 배열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그 크기의 미소함으로 인해 통상 사용되는 UV(Ultra Violet) 리소그래피로는 제작이 어려워, 전자 빔 리소그래피를 활용하여 메타 표면이 제작됨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전자 빔 리소그래피의 경우 메타 표면의 제작을 위해 매우 긴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공정의 효율 및 생산 효율 측면에서, 넓은 면적의 메타 표면을 대량 생산함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자외선(UV) 영역에서 작동하는 메타 표면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작동하는 나노 구조체보다 더 작은 나노 구조체가 요구되며, 이러한 자외선(UV) 영역에서 작동하는 메타 표면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해상도를 갖는 전자빔 리소그래피가 필요하다. 즉, 자외선(UV) 영역에서 작동하는 메타 표면을 제작하기 위해 전자빔 리소그래피를 사용하는 경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외선(UV) 영역에서 작동하는 고효율 메타표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자외선(UV) 영역에서 흡수가 적어야 하지만, 종래에 메타 표면의 재료로 사용되었던 질화 갈륨 등은 밴드 갭(bandgap)이 매우 작기 때문에, 자외선(UV) 영역의 에너지를 모두 흡수하여 투과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작 장치, 제작 방법 및 메타 표면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자외선(UV) 영역에서 높은 굴절률과 낮은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갖는 메타 표면, 이를 제작하기 위한 메타 표면 제작 장치 및 제작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 굴절률을 확보하면서도, 공정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제고될 수 있는 메타 표면, 이를 제작하기 위한 메타 표면 제작 장치 및 제작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파장에 따른 빛의 다양한 성분을 굴절시킬 수 있는 메타 표면, 이를 제작하기 위한 메타 표면 제작 장치 및 제작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입사된 빛의 산란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메타 표면, 이를 제작하기 위한 메타 표면 제작 장치 및 제작 방법을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연질 주형;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도포되는 나노 복합재(nanocomposite)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복합재는, 열경화성 소재로 형성된 수지(resin); 및 상기 수지에 혼합된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입자는 이산화지르코늄(ZrO2) 및 이산화티타늄(TiO2) 중 하나의 소재로 제공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 주형은, 상기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나노 복합재가 도포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과 결합되며, 상기 표면에 반대되게 위치되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을 형성하는 소재는, 상기 제2 층을 형성하는 소재보다 점성이 낮고, 강성이 높은, 메타 표면 제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층은, h-PDMS(hard 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층은, PDMS(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와 상보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경질 주형을 포함하며,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는, 상기 경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및 오목부에 의해 복제되어 형성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과 접촉되어,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도포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안착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메타 표면 제작 장치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나노 복합재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구조체는, 상기 나노 구조체의 베이스를 형성하며, 판 형으로 형성되는 나노 베이스; 및 상기 나노 베이스에서 돌출 형성되는 나노 컬럼을 포함하는, 메타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컬럼은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나노 컬럼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메타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구조체에 자외선(UV)이 조사될 때 투과 효율은 80% 이상인, 메타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a) 연질 주형의 표면에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되는 단계; (b)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나노 복합재가 도포되는 단계; (c) 도포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지지층에 인쇄되는 단계; 및 (d) 인쇄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나노 구조체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복합재는, 열경화성 소재로 형성된 수지(resin); 및 상기 수지에 혼합된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입자는 이산화지르코늄(ZrO2), 규소(Si) 및 이산화티타늄(TiO2) 중 하나의 소재로 제공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a1) 제1 층 및 제2 층이 적층되는 단계; (a2) 상기 제1 층이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된 경질 주형의 표면에 압착되는 단계; 및 (a3) 상기 제1 층의 표면에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볼록부에 대해 상보적인 상기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수지(resin)에 복수 개의 나노 입자가 주입되어 상기 나노 복합재가 생성되는 단계; (b2) 주입된 복수 개의 상기 나노 입자가 산개되게 분포되는 단계; 및 (b3) 상기 나노 복합재가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에 도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c1) 도포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지지층에 결합되는 단계; 및 (c2) 결합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가압 및 가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1) 결합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경화되어, 상기 지지층에 결합되는 나노 베이스 및 상기 나노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연질 주형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나노 컬럼이 형성되는 단계; 및 (d2) 상기 지지층에 결합된 상기 나노 복합재와 상기 연질 주형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먼저, 나노 구조체는 수지 및 수지의 내부에 혼합되는 복수 개의 나노 입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나노 입자(530)는 이산화지르코늄(ZrO2) 입자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산화지르코늄(ZrO2)로 형성된 나노 입자(530)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은 자외선(UV) 영역에서 굴절률이 1.7 내지 2.1 (바람직하게는 2)이고,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가 0.01 내지 0.1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의 굴절률이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확보될 수 있고, 높은 투과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나노 구조체의 소재의 특성에 의해 높은 굴절률이 확보될 수 있어, 높은 굴절률을 확보하기 위한 나노 구조체의 과다한 구조 변경이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나노 구조체를 구성하는 나노 컬럼의 종횡비가 낮더라도 빛을 굴절시키기에 충분한 굴절률이 확보될 수 있다.
더불어, 나노 구조체는 서로 다른 기계적 강성 및 점성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소재로 구성되는 연질 주형을 통해 제작된다. 연질 주형은 상대적으로 높은 기계적 강성 및 낮은 점성을 갖는 제1 층 및 제1 층을 지지하는 제2 층을 포함한다.
나노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나노 복합재는 제1 층을 덮도록 제1 층에 도포된다. 따라서, 나노 복합재가 열 또는 압력 등에 의해 경화된 후 형성되는 나노 구조체와 연질 주형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나노 구조체의 형상을 복제받기 위해 연질 주형이 경질 주형과 결합되어 열 또는 압력을 인가받더라도, 연질 주형의 형상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나노 구조체의 구조를 간명하게 형성하더라도 높은 굴절률이 확보될 수 있어 제작 공정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질 주형은 복수 회 사용될 수 있어 나노 구조체를 제작할 때마다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역시 제작 공정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나노 입자로 이산화지르코늄(ZrO2) 소재가 적용됨에 따라, 나노 복합재의 경화는 가열에 의해 진행된다. 따라서, UV를 이용하여 경화를 진행하는 경우에 비해 나노 복합재의 경화가 고르고 균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작된 메타 표면에 입사된 빛의 산란 정도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장치의 구성을 도시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타 표면 제작 장치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경질 주형의 표면(a), 연질 주형의 표면(b) 및 제작된 나노 구조체의 표면(c)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메타 표면 제작 방법 중 S100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메타 표면 제작 방법 중 S200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메타 표면 제작 방법 중 S300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메타 표면 제작 방법 중 S400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나노 구조체의 나노 입자가 이산화지르코늄(ZrO2) 입자일 때,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과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나노 구조체의 나노 입자가 규소(Si) 입자일 때,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과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나노 구조체(500)의 나노 입자가 이산화티타늄(TiO2) 입자일 때,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과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메타 표면 제작 장치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경질 주형의 표면(a), 연질 주형의 표면(b) 및 제작된 나노 구조체의 표면(c)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의 흐름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메타 표면 제작 방법 중 S100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메타 표면 제작 방법 중 S200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메타 표면 제작 방법 중 S300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4의 메타 표면 제작 방법 중 S400 단계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나노 구조체의 나노 입자가 이산화지르코늄(ZrO2) 입자일 때,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과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나노 구조체의 나노 입자가 규소(Si) 입자일 때,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과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나노 구조체(500)의 나노 입자가 이산화티타늄(TiO2) 입자일 때,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과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 제작 방법 및 메타 표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의 구성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메타 렌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 복합재를 활용한다. 나노 복합재는 열 또는 압력을 이용하여 인쇄 가능한 수지에 나노 입자를 분산시켜 합성된다. 이때, 상기 수지는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는 메타 표면을 높은 효율의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작된 메타 표면은 높은 굴절률을 갖게 되어, 시장성 및 제품에의 적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는 경질 주형(100), 연질 주형(200), 나노 복합재(300) 및 지지층(400)을 포함한다.
또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에는 나노 구조체(500)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나노 구조체(500)는 경질 주형(100), 연질 주형(200), 나노 복합재(300) 및 지지층(400)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가 사용된 결과물임이 이해될 것이다.
경질 주형(100)은 나노 구조체(500)에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연질 주형(200)을 제조하기 위해 활용된다. 연질 주형(200)은 경질 주형(100)에 압착 등의 형태로 결합 및 탈거되어, 경질 주형(100)에 인쇄된 무늬가 연질 주형(200)에 복제될 수 있다.
경질 주형(100)은 연질 주형(200)과 결합 및 탈거되어,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존재하는 입체 형상이 연질 주형(200)에 복제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경질 주형(100)은 연질 주형(200)에 비해 경질의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질 주형(200)이 경질 주형(100)에 결합된 후 열 또는 압력 등이 인가되더라도, 경질 주형(100)의 형상은 변화되지 않게 된다.
경질 주형(100)은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판 형의 경질 주형(100)에는 연질 주형(20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경질 주형(100)과 연질 주형(200)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질 주형(100)은 연질 주형(200)을 향하는 일 표면에 형성된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를 포함한다.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가 형성하는 패턴 또는 무늬는 연질 주형(200)의 일 표면에 복제될 수 있다.
볼록부(110)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서 연질 주형(200)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오목부(120)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서 연질 주형(200)에 반대되게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이다. 즉, 볼록부(110)와 오목부(120)는 연질 주형(200)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 서로 상대적인 관계임이 이해될 것이다.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볼록부(110)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소정의 규칙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볼록부(110)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볼록부(110)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볼록부(110)의 단면의 직경은 우측에 위치되는 볼록부(110)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복수 개의 볼록부(110) 사이에는 오목부(120)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오목부(120)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소정의 규칙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오목부(120)는 복수 개의 볼록부(110) 사이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는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의 상기 배치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 또는 무늬를 형성한다.
따라서,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접촉되는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는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가 형성하는 상기 소정의 패턴 또는 무늬가 복제될 수 있다.
연질 주형(200)은 경질 주형(100)에 접촉되어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 즉 볼록부(110)와 오목부(120)가 형성하는 패턴 또는 무늬를 복제받는다. 상기 패턴 또는 무늬는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복제되어, 나노 복합재(300)를 나노 구조체(500)로 형성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즉, 연질 주형(200)은 경질 주형(100)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를 복제받고, 이를 나노 복합재(300)에 전달한다.
연질 주형(200)은 경질 주형(100)과 결합 및 탈거되어,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를 복제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질 주형(200)은 나노 복합재(300)가 분리 가능하게 도포되어, 전달받은 패턴 또는 무늬가 나노 복합재(300)로 복제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연질 주형(200)은 경질 주형(100)에 비해 연질의 소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질 주형(200)은 경질 주형(100)에 결합된 후, 열 또는 압력이 인가되면, 경질 주형(100)의 패턴 또는 무늬가 연질 주형(200)으로 복제될 수 있다.
연질 주형(200)은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판 형의 연질 주형(200)은 경질 주형(100)에 적층될 수 있다. 연질 주형(200)은 경질 주형(10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연질 주형(200)은 복수 개의 층(layer)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층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층 중 경질 주형(100)과 직접 접촉되는 어느 하나의 층은 다른 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성은 낮고, 기계적 강성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질 주형(200)의 상기 어느 하나의 층은 h-PDMS(hard 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다른 층은 PDMS(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질 주형(200)은 제1 층(210) 및 제2 층(220)을 포함한다.
제1 층(210)은 연질 주형(20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층 중 어느 하나의 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층(210)은 연질 주형(200)이 경질 주형(100)과 결합되는 층이다. 즉, 제1 층(210)은 연질 주형(20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층 중에서, 경질 주형(100)에 가장 인접한 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층(210)은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를 복제받는다. 경질 주형(100)의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에 의해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는 제1 층(210)의 표면으로 복제될 수 있다.
제1 층(210)에는 나노 복합재(300)가 도포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경질 주형(100)에서 복제된 패턴 또는 무늬가 형성된 제1 층(210)의 표면에, 나노 복합재(300)가 도포된다. 이에 따라, 경질 주형(100)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는 나노 복합재(300)에 의해 형성되는 나노 구조체(500)로 복제될 수 있다.
제1 층(210)은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서 복제받은 패턴 또는 무늬가 유지될 있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층(210)은 경질 주형(100) 및 나노 복합재(300)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낮은 점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층(210)은 h-PDMS(hard 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경질 주형(100)의 표면과 접촉되어 패턴 또는 무늬를 복제받은 제1 층(210)의 표면에는 패턴 또는 무늬를 형성하는 입체 형상이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층(210)은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를 포함한다.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가 형성하는 패턴 또는 무늬는 나노 복합재(300)에 복제될 수 있다.
양각부(211)는 제1 층(210)의 표면에서 경질 주형(100)을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달리 표현하면, 양각부(211)는 제1 층(210)의 표면에서 그에 도포된 나노 복합재(300)를 향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양각부(211)는 경질 주형(100)의 오목부(120)에 의해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가 복제되어 형성된다.
음각부(212)는 제1 층(210)의 표면에서 경질 주형(100)에 반대되게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이다. 달리 표현하면, 음각부(212)는 제1 층(210)의 표면에서 그에 도포된 나노 복합재(300)에 반대되게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이다. 음각부(212)는 경질 주형(100)의 볼록부(110)에 의해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가 복제되어 형성된다.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양각부(211)는 복수 개의 음각부(212) 사이에 형성된다. 복수 개의 양각부(211)는 제1 층(210)의 표면에 소정의 규칙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양각부(211)는 복수 개의 음각부(212) 사이에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복수 개의 음각부(212)는 제1 층(210)의 표면에 소정의 규칙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음각부(212)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음각부(212)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음각부(212)의 단면의 직경은 우측에 위치되는 음각부(212)의 단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1 층(210)의 표면에는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의 상기 배치는 제1 층(210)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 또는 무늬를 형성한다.
이때, 제1 층(2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패턴 또는 무늬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패턴 또는 무늬가 상하 방향으로 반전된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층(21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는 나노 복합재(300)에 복제되어, 나노 구조체(500)의 형상으로 구현된다.
제1 층(210)은 제2 층(220)과 적층된다. 제1 층(210)은 제2 층(220)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층(220)은 연질 주형(20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층 중 다른 하나의 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층(220)은 제1 층(210)을 지지한다. 즉, 제2 층(220)은 연질 주형(20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층 중에서, 제1 층(210)에 비해 경질 주형(100)과 이격된 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층(220)은 경질 주형(100)과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제2 층(220)은 경질 주형(100) 또는 나노 복합재(300)와 결합된 후 인가되는 열 또는 압력에 의한 형상 변화가 방지되기 위해, 충분한 기계적 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층(220)은 제1 층(210)과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어, 제1 층(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충분한 점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층(220)은 제1 층(210)에 비해 기계적 강성은 낮고, 점성은 높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층(220)은 PDMS(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나노 복합재(300)는 연질 주형(200)에 복제된 패턴 또는 무늬를 복제받는 매개체로 기능된다. 나노 복합재(300)는 복제받은 패턴 또는 무늬에 상응하는 입체 형상을 갖게 형성된 후 경화되어 메타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나노 구조체(500)로 형성된다.
나노 복합재(300)는 연질의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나노 복합재(300)는 외부의 압력 또는 열 등에 의해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나노 복합재(300)는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가 형성된 제1 층(210)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다. 즉,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 복합재(300)는 제1 층(210)의 표면을 덮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 복합재(300)는 지지층(400)에 안착되어, 제1 층(210)의 표면에 고르게, 특히 음각부(212)에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가 나노 복합재(300)로 복제될 수 있다. 이후, 외부에서 열 또는 압력이 인가되면, 나노 복합재(300)는 형상 변형된 상태(즉, 상기 패턴 또는 무늬가 복제된 상태)로 경화되어 나노 구조체(500)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나노 복합재(300)는 수지(resin)(310) 및 나노 입자(320)를 포함한다.
수지(310)는 나노 입자(320)를 수용하는 용매(solvent)로 기능된다. 수지(310)는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어, 제1 층(210)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고, 외부의 압력 또는 열 등에 의해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수지(310)는 열 또는 UV 등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후술될 나노 입자(320)가 불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조사된 UV는 나노 입자(320)에 의해 산란되어 수지(310)가 충분히 경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에서, 수지(310)는 열 경화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수지(310)는 실리콘(Silicon)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나노 입자(320)는 수지(310)에 혼합되어, 수지(310)의 내부에 산개되어 분포된다. 나노 입자(320)는 조사된 빛을 굴절시켜, 제작된 메타 표면이 메타 렌즈로 기능될 수 있게 한다.
나노 입자(320)는 빛에 대한 굴절률이 높고, 굴절된 빛의 손실율이 낮은 임의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노 입자(320)는 이산화지르코늄(ZrO2)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나노 입자(320)가 이산화지르코늄(ZrO2)으로 제공되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후술하는 나노 구조체(500)는 자외선(UV) 영역인 200nm 내지 400nm에서 1.8 내지 2.0의 굴절률, 0.03 이하의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지르코늄(ZrO2)를 포함하는 후술하는 나노 구조체(500)는 자외선(UV) 영역에서 높은 효율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지르코늄(ZrO2)를 포함하는 후술하는 나노 구조체(500)는 가시광 영역에서 작동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나노 입자(320)는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나노 구조체(500)의 종횡비가 증가되지 않더라도 충분한 굴절률이 확보될 수 있어, 나노 구조체(500)가 용이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나노 입자(320)는 나노(nanometer) 단위의 직경을 갖는 입자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 입자(320)의 직경은 5nm 내지 15nm, 또는 10nm 일 수 있다.
나노 입자(3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나노 입자(320)는 수지(310)의 내부에 산개되어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나노 복합재(300)에 의해 형성된 나노 구조체(500)는 다양한 각도에서 입사되는 빛을 굴절시킬 수 있게 되어, 메타 렌즈의 구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1 층(210)의 표면에 도포된 나노 복합재(300)는 지지층(400)에 안착되어 가열 또는 가압된다.
지지층(400)은 나노 복합재(300)가 제1 층(21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를 복제받고, 경화될 때까지 복제받은 패턴 또는 무늬로 유지되도록 나노 복합재(300)를 지지한다.
도 2의 (c) 및 (d)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층(400)은 나노 복합재(30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층(400)은 나노 복합재(300)를 사이에 두고 연질 주형(200)을 마주하게 위치된다.
도 2의 (e)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층(400)은 경화된 나노 구조체(500)를 하측에서 지지한다. 즉, 지지층(400)은 제작된 메타 표면의 일부(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를 구성한다.
지지층(400)은 판 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판 형의 지지층(400)에는 도포된 나노 복합재(300) 및 연질 주형(200)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지지층(400)은 연질 주형(200)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층(400)은 내열성 및 내압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안착된 나노 복합재(300)를 경화시키기 위해 인가되는 외부의 압력 또는 열에 의해 형상 변형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노 구조체(500)는 지지층(400)에 안착된 나노 복합재(300)가 열 또는 압력에 의해 경화되어 형성된다. 나노 구조체(500)는 나노 복합재(300)와 동일한 소재를 포함하되, 경질이라는 점에서 나노 복합재(300)와 차이가 있다.
나노 구조체(500)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나노 구조체(500)는 연질 주형(200)의 제1 층(21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반전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노 구조체(500)는 지지층(400)의 표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나노 구조체(500)는 지지층(400)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나노 구조체(500)는 지지층(400)과 임의 분리되지 않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나노 구조체(500)는 나노 베이스(510), 나노 컬럼(520) 및 나노 입자(530)를 포함한다.
나노 베이스(510)는 나노 구조체(500)의 저부(bottom)를 형성한다. 나노 베이스(510)는 나노 구조체(500)가 지지층(4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나노 베이스(510)의 형상은 제1 층(210)에 형성된 양각부(211)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나노 베이스(510)의 상측 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나노 베이스(510)는 지지층(4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나노 베이스(510)는 지지층(400)을 덮게 형성되는 판 형으로 구비된다.
나노 베이스(510)의 표면에서 나노 컬럼(520)이 연장 형성된다.
나노 컬럼(520)은 조사된 빛이 통과되는 매질로 기능된다.
나노 컬럼(520)의 형상은 제1 층(210)에 형성된 음각부(212)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나노 컬럼(520)은 나노 베이스(510)에 반대되는 방향, 도 2의 (e)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나노 컬럼(520)의 연장 길이는 음각부(212)의 함몰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나노 컬럼(5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나노 컬럼(52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나노 컬럼(520)은 소정의 규칙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나노 컬럼(520)은 그 단면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의 (c)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나노 컬럼(520)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즉 격자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좌측에 배치되는 나노 컬럼(520)의 단면의 직경은 우측에 배치되는 나노 컬럼(520)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나노 컬럼(520)의 형상 및 배치 방식은 제1 층(210)의 표면의 형상, 더 나아가 경질 주형(100)의 표면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나노 입자(530)는 나노 구조체(500)의 내부로 조사된 빛을 굴절시킨다.
나노 입자(530)는 상술한 나노 복합재(300)에 구비되는 나노 입자(320)와 그 소재 및 형상 등이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나노 구조체(500)에 포함되는 나노 입자(530)는 이산화지르코늄(ZrO2)일 수 있다.
이산화지르코늄(ZrO2)인 나노 입자(530)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500)는 자외선(UV) 영역인 200nm 내지 400nm에서 1.8 내지 2.0의 굴절률, 0.03 이하의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산화지르코늄(ZrO2)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체(500)에 자외선(UV)을 투과시키는 경우, 높은 굴절률과 낮은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바 나노 컬럼(520)의 길이가 과다하게 증가되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나노 구조체(500)에 포함되는 나노 입자(530)는 이산화티타늄(TiO2)일 수도 있다.
나노 구조체(500)의 나노 컬럼(520)은 직육면체, 원기둥, 타원기둥 형상 중 하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 컬럼(52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나노 컬럼(520)의 한변의 길이는 50nm 내지 90nm(바람직하게는 70nm), 다른 한 변의 길이는 200nm 내지 300nm (바람직하게는 250nm), 높이는 700 내지 800 nm (바람직하게는 760nm)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나노 컬럼(520)의 중심 사이의 간격(주기)은 250nm 내지 350nm (바람직하게는 300nm)일 수 있다.
또한, 나노 구조체에 자외선(UV)이 조사될 때 투과 효율은 80%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크기를 갖는 나노 컬럼(520)으로 제작된 나노 구조체(500)에 자외선(UV)을 투과시켰을때 투과 효율은 84.5% 일 수 있다.
도 9는 나노 구조체(500)의 나노 입자(530)가 이산화지르코늄(ZrO2)일 때,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과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나노 구조체(500)의 나노 입자(530)가 규소(Si)일 때,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과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나노 구조체(500)의 나노 입자(530)가 이산화티타늄(TiO2)일 때, 투과하는 빛의 파장에 따른 굴절률과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내지도 11을 참조하면, 나노 입자(320)가 규소(Si) 입자 또는 이산화티타늄(TiO2) 입자로 제공되었을 때 보다, 나노 입자(530)가 이산화지르코늄(ZrO2) 입자로 제공되었을때 자외선(UV) 영역에서 굴절률이 높고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나노 입자(530)를 이산화지르코늄(ZrO2) 입자로 형성하는 경우, 나노 구조체(500)는 자외선(UV) 영역에서도 고효율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선은 굴절률을 나타내고, 파선은 상쇄계수(extinction coefficient)를 나타낸다.
또한, 나노 입자(530)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나노 구조체(500)의 굴절률의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나노 구조체(500) 및 이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작된 메타 표면을 구성 요소로 하는 메타 렌즈의 제작을 위한 공정의 효율성 및 경제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은 상술한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를 통해, 나노 복합재(300)를 이용하여 나노 구조체(50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나노 구조체(500)는 신속하면서도 저렴한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타 표면 제작 방법은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복수 개의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가 형성되는 단계(S100),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나노 복합재(300)가 도포되는 단계(S200), 도포된 나노 복합재(300)가 지지층(400)에 인쇄되는 단계(S300) 및 인쇄된 나노 복합재(300)가 나노 구조체(500)로 형성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1)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복수 개의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가 형성되는 단계(S100)의 설명
연질 주형(200)의 제1 층(210)의 표면에 나노 구조체(500)의 형상에 대한 패턴 또는 무늬가 형성되는 단계(S100)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단계(S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연질 주형(200)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층(210) 및 제2 층(2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S110).
경질 주형(100) 및 나노 복합재(300)와 직접 접촉되는 제1 층(210)은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성이 높고 점성이 낮은 h-PDMS(hard 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경질 주형(100) 및 나노 복합재(30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제1 층(210)을 지지하는 제2 층(220)은 상대적으로 기계적 강성이 낮고 점성이 높은 PDMS(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층(210)이 복수 개의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가 형성된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압착된다(S120). 즉, 연질 주형(200)이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안착된다.
이에 따라, 제1 층(210)의 표면에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에 대해 상보적인 복수 개의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가 형성된다(S130).
즉, 제1 층(210)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볼록부(110) 및 오목부(120)와 반대되게 형성된다.
제1 층(210)의 표면에 복수 개의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가 형성되면, 연질 주형(200)은 경질 주형(100)에서 탈거된다.
(2)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나노 복합재(300)가 도포되는 단계(S200)의 설명
복수 개의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에 의해 패턴 또는 무늬가 형성된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나노 복합재(300)가 도포되는 단계(S200)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단계(S2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나노 복합재(300)가 형성된다(S210). 구체적으로, 연질의 수지(310)에 복수 개의 나노 입자(320)가 주입되어 나노 복합재(300)가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나노 입자(320)는 이산화지르코늄(ZrO2)일 수 있고, 수지(310)는 실리콘(silicon)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나노 입자(320)는 이산화티타늄(TiO2)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수지(310)에 주입된 복수 개의 나노 입자(320)는 산개되어 분포된다(S220). 따라서, 복수 개의 나노 입자(320)는 수지(310) 내부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완성된 나노 구조체(500)에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빛이 효과적으로 굴절될 수 있다.
제작된 나노 복합재(300)는 연질 주형(200)의 제1 층(210)의 표면에 도포된다(S230). 즉, 나노 복합재(300)는 제1 층(21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에 도포된다. 이때, 나노 복합재(300)는 복수 개의 양각부(211) 및 음각부(212)에 고르게, 그리고 치밀하게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단계(S200)가 완료되면, 나노 복합재(300)는 연질 주형(200)의 제1 층(210)을 덮고 있는 상태가 됨이 이해될 것이다.
(3) 도포된 나노 복합재(300)가 지지층(400)에 인쇄되는 단계(S300)의 설명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도포된 나노 복합재(300)에,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가 복제(즉, 인쇄)되는 단계(S300)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포된 나노 복합재(300)는 지지층(400)에 결합된다(S310). 구체적으로, 그 표면에 나노 복합재(300)가 도포된 제1 층(210)을 포함하는 연질 주형(200)이 지지층(400)에 안착된다. 따라서, 지지층(400)의 표면과 제1 층(210)의 표면은 도포된 나노 복합재(30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된다.
다음으로, 나노 복합재(300)가 가열 또는 가압된다(S320). 이때, 나노 복합재(300)는 제1 층(2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제1 층(210)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에 상응하는 형상을 유지한 채로 경화된다.
이에 따라, 본 단계(S300)가 완료되면, 나노 복합재(300)는 경질 주형(100)의 표면 및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4) 인쇄된 나노 복합재(300)가 나노 구조체(500)로 형성되는 단계(S400)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가 인쇄된 나노 복합재(300)가 경화되어, 나노 구조체(500)가 형성되는 단계(S400)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나노 복합재(300)가 경화된다(S410). 나노 복합재(300)는 가압 또는 가열되어 경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노 복합재(300)에는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에 상응하는 형상이 안쇄된 상태이다.
따라서, 경화된 나노 복합재(300)는 지지층(400)에 결합되는 나노 베이스(510) 및 나노 베이스(510)와 결합되며, 연질 주형(200)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나노 컬럼(520)이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나노 컬럼(520)의 구조,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연질 주형(200)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 또는 무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음, 나노 복합재(300)(즉, 나노 구조체(500)가 된)와 결합된 연질 주형(200)이 분리된다(S420). 이에 따라, 나노 구조체(500)는 그 하측이 지지층(400)에 의해 지지되고, 나노 컬럼(520)이 지지층(40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 된다.
이에, 본 단계(S400)가 완료되면, 지지층(400)에 결합된 나노 구조체(500)에 의해 메타 표면이 제작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 또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메타 표면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장치(10) 및 메타 표면 제작 방법에 따르면, 제작되는 나노 구조체(500)의 나노 컬럼(520)의 길이가 과다하게 증가되지 않더라도 높은 굴절률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타 표면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나노 구조체(500)의 제작 공정이 용이해지고, 결과적으로 제작 공정의 효율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메타 표면 제작 장치
100 : 경질 주형
110 : 볼록부
120 : 오목부
200 : 연질 주형
210 : 제1 층
211 : 양각부
212 : 음각부
220 : 제2 층
300 : 나노 복합재
310 : 수지(resin)
320 : 나노 입자
400 : 지지층
500 : 나노 구조체
510 : 나노 베이스
520 : 나노 컬럼
530 : 나노 입자
100 : 경질 주형
110 : 볼록부
120 : 오목부
200 : 연질 주형
210 : 제1 층
211 : 양각부
212 : 음각부
220 : 제2 층
300 : 나노 복합재
310 : 수지(resin)
320 : 나노 입자
400 : 지지층
500 : 나노 구조체
510 : 나노 베이스
520 : 나노 컬럼
530 : 나노 입자
Claims (14)
-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연질 주형;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도포되는 나노 복합재(nanocomposite)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복합재는,
열경화성 소재로 형성된 수지(resin); 및
상기 수지에 혼합된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입자는 이산화지르코늄(ZrO2) 및 이산화티타늄(TiO2) 중 하나의 소재로 제공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주형은,
상기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나노 복합재가 도포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과 결합되며, 상기 표면에 반대되게 위치되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을 형성하는 소재는,
상기 제2 층을 형성하는 소재보다 점성이 낮고, 강성이 높은,
메타 표면 제작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h-PDMS(hard 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층은,
PDMS(polydimethylsiloxane) 소재로 형성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와 상보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경질 주형을 포함하며,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는,
상기 경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볼록부 및 오목부에 의해 복제되어 형성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과 접촉되어,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도포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안착되는 지지층을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메타 표면 제작 장치에 의해 제작되며,
상기 나노 복합재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는,
상기 나노 구조체의 베이스를 형성하며, 판 형으로 형성되는 나노 베이스; 및
상기 나노 베이스에서 돌출 형성되는 나노 컬럼을 포함하는,
메타 표면.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컬럼은 복수 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나노 컬럼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메타 표면.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체에 자외선(UV)이 조사될 때 투과 효율은 80% 이상인,
메타 표면. - (a) 연질 주형의 표면에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되는 단계;
(b)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나노 복합재가 도포되는 단계;
(c) 도포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지지층에 인쇄되는 단계; 및
(d) 인쇄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나노 구조체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복합재는,
열경화성 소재로 형성된 수지(resin); 및 상기 수지에 혼합된 나노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나노 입자는 이산화지르코늄(ZrO2), 규소(Si) 및 이산화티타늄(TiO2) 중 하나의 소재로 제공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제1 층 및 제2 층이 적층되는 단계;
(a2) 상기 제1 층이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된 경질 주형의 표면에 압착되는 단계; 및
(a3) 상기 제1 층의 표면에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및 볼록부에 대해 상보적인 상기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수지(resin)에 복수 개의 나노 입자가 주입되어 상기 나노 복합재가 생성되는 단계;
(b2) 주입된 복수 개의 상기 나노 입자가 산개되게 분포되는 단계; 및
(b3) 상기 나노 복합재가 상기 연질 주형의 상기 표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 개의 양각부 및 음각부에 도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도포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지지층에 결합되는 단계; 및
(c2) 결합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가압 및 가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결합된 상기 나노 복합재가 경화되어, 상기 지지층에 결합되는 나노 베이스 및 상기 나노 베이스와 결합되며, 상기 연질 주형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나노 컬럼이 형성되는 단계; 및
(d2) 상기 지지층에 결합된 상기 나노 복합재와 상기 연질 주형이 분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 표면 제작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1161A KR20230101230A (ko) | 2021-12-29 | 2021-12-29 |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메타 표면 |
PCT/KR2021/020267 WO2022270703A1 (ko) | 2021-06-23 | 2021-12-30 |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메타 표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91161A KR20230101230A (ko) | 2021-12-29 | 2021-12-29 |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메타 표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01230A true KR20230101230A (ko) | 2023-07-06 |
Family
ID=8718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1161A KR20230101230A (ko) | 2021-06-23 | 2021-12-29 |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메타 표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01230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3283A (ko) | 2017-09-21 | 2019-03-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타표면 광학소자 및 그 제조방법 |
KR20200047612A (ko) | 2017-08-31 | 2020-05-07 | 메탈렌츠 인코포레이티드 | 투과성 메타표면 렌즈 통합 |
-
2021
- 2021-12-29 KR KR1020210191161A patent/KR20230101230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47612A (ko) | 2017-08-31 | 2020-05-07 | 메탈렌츠 인코포레이티드 | 투과성 메타표면 렌즈 통합 |
KR20190033283A (ko) | 2017-09-21 | 2019-03-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타표면 광학소자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2170B1 (ko) | 마이크로 렌즈 겸용 렌티큘러 렌즈 시트 | |
CN101313234B (zh) | 制造衍射光栅元件的方法 | |
JP4401383B2 (ja) | 構造化された素子の製造 | |
JP2005316414A (ja) | 回折光学素子及び回折光学素子の製造方法 | |
WO2016006592A1 (ja) | ステップアンドリピート用インプリント用モールド及びその製造方法 | |
JP6201289B2 (ja) |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 |
JP5660235B2 (ja) | 表面微細凹凸体および表面微細凹凸体の製造方法 | |
US20140055847A1 (en) | Ir reflectors for solar light management | |
JP2017111248A (ja) | 発色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281592B2 (ja) | レプリカテンプレートの製造方法 | |
WO2017005204A1 (zh) | 光学薄膜 | |
WO2020173494A1 (zh) | 光学防伪元件及防伪产品 | |
JP2007171857A (ja) | 光学素子および光走査装置 | |
CN108957611B (zh) | 一种光栅片的制造方法、光栅片及显示设备 | |
KR20230101230A (ko) |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메타 표면 | |
KR102576656B1 (ko) | 나노 복합재를 이용한 메타 표면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메타 표면 | |
CN115981025A (zh) | 微光学成像系统及其制作方法 | |
JP2007206490A (ja) | 複合型光学素子および光学系 | |
JP2007310389A (ja) | 多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101192881B1 (ko) |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 부품 및 그 제조방법 | |
TWM505616U (zh) | 3d顯示層及3d顯示結構 | |
JP2006007608A (ja) | パターン複製版とその製造方法及び光回折体 | |
WO2023136182A1 (ja) | メタサーフェス | |
JP2019003221A (ja) | 表面微細凹凸体および表面微細凹凸体の製造方法 | |
KR20140138378A (ko) | 초저 반사율을 갖는 양면 나노 구조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