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139A -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139A
KR20230101139A KR1020210190977A KR20210190977A KR20230101139A KR 20230101139 A KR20230101139 A KR 20230101139A KR 1020210190977 A KR1020210190977 A KR 1020210190977A KR 20210190977 A KR20210190977 A KR 20210190977A KR 20230101139 A KR20230101139 A KR 20230101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polyester
group
polyester oligomer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태
이원중
정승필
최대혁
최유나
최지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21019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1139A/ko
Publication of KR2023010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13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8Block or graft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4Polyesters containing both carboxylic ester groups and carbon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 유래 구조를 갖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로부터 형성된 블록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 단위로 포함하며, 종래의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대비 향상된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면서도, 투명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POLYESTER OLIGOM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OLYESTER-POLYCARBONATE BLOCK COPOLYMER COMPRISING THE OLIGOMER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SCRATCH RESISTAN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 유래 구조를 갖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로부터 형성된 블록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 단위로 포함하며, 종래의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대비 향상된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면서도, 투명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인장강도와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치수 안전성, 내열성 및 광학적 투명성 등이 우수하여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중합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예컨대, 저온 내충격성의 개선을 위해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가 제안된 바 있다(미국특허공개공보 제2003/0105226호).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의 화학적 구조는 기본적으로 말단기에 수산기를 지니고 있으며, 양 말단기의 수산기를 활성화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중합은 수용성 용액 중에서, 계면에서, 또는 비수용성 용액 중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특히 비스페놀 A로부터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는 제한된 내스크래치성을 가진다. 따라서 그 스크래치 손상을 막거나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표면 개질로서 하드코트를 도포하여야 하는데, 이 하드 코트는 추가 공정과 비용이 수반되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15930호는 내스크래치성 및 수증기 서림 방지 특성을 개선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 개시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우수한 수증기 서림 방지 특성을 나타내지만, 내스크래치성 측면에서는 더욱 개선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 고유의 물성인 투명성 및 유동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은 더욱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종래의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및 종래의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대비 향상된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면서도, 투명성 및 유동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와 그 제조방법, 및 그러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I에서,
P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2가의 유기 기이고,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내며,
*는 인접한 중합 단위에 대한 부착점(point of attachment)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II]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II에서,
P 및 A는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a는 1 내지 3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4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A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총 탄소수 5 내지 30의 지방족 또는 총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 원자수 5 내지 30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내며,
*는 인접한 중합 단위에 대한 부착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 R' 및 A1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a는 1 내지 30의 정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a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II]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III에서, A는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4에서, R 및 R'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화학식 5]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5에서, A1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IV]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IV에서, P 및 A는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반복 단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로부터 형성된 블록;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와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촉매의 존재 하에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우수한 투명성 및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예컨대, 열이 많이 발산되는 TV 하우징, 컴퓨터 모니터 하우징, 복사기, 프린터, 노트북 배터리, 리튬 전지의 케이스 재료 및 필름, 시트, 렌즈, 커버글라스, 내외장재 등)은 다양한 산업에서 광학적 용도 및 자재 경량화 대체품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I]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I에서,
P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2가의 유기 기이고,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내며,
*는 인접한 중합 단위에 대한 부착점(point of attachment)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I에서,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총 탄소수 5 내지 30의 지방족 또는 총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 원자수 5 내지 30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A는 총 탄소수 5 내지 20의 지방족 또는 총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 원자수 5 내지 20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고, 더욱 더 구체적으로,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총 탄소수 5 내지 10의 지방족 또는 총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 원자수 5 내지 12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임의의 화합물, 기 또는 구조가 “치환된다”는 것은, 해당 화합물, 기 또는 구조가 할로겐 원자(예컨대, F, Cl 또는 Br), 히드록시기, 알킬기(예컨대, 탄소수 1 내지 10,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알콕시기(예컨대, 탄소수 1 내 10,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 사이클로알킬기(예컨대, 탄소수 3 내지 10,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아릴기(예컨대, 탄소수 6 내지 12, 또는 탄소수 6의 아릴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하여 치환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아세나프토퀴논계” 구조를 함유하면서,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상기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중합 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4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A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총 탄소수 5 내지 30의 지방족 또는 총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 원자수 5 내지 30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내며,
*는 인접한 중합 단위에 대한 부착점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A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총 탄소수 5 내지 20의 지방족 또는 총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 원자수 5 내지 20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총 탄소수 5 내지 10의 지방족 또는 총 탄소수 6 내지 12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 원자수 5 내지 12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II]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II에서,
P 및 A는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a는 1 내지 30의 정수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3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2에서,
R, R' 및 A1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a는 1 내지 30의 정수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30의 정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3에서, a는 상기 화학식 2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수평균분자량(Mn)은 500 내지 30,000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0 내지 25,000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1,500 내지 22,0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III]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III에서, A는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예컨대, 불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염소 원자,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소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예컨대, 탄소수 1 내지 10,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4에서, R 및 R'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화학식 5]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5에서, A1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예컨대, 불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염소 원자, 보다 구체적으로는 염소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예컨대, 탄소수 1 내지 10,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세나프토퀴논계 구조를 함유하며,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화합물(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 1몰당 화학식 III의 화합물(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0.3 몰 이상, 0.4 몰 이상, 또는 0.5 몰 이상일 수 있고, 또한 1.1 몰 이하, 1.05 몰 이하, 또는 1 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예컨대, 화학식 4 및 화학식 5의 화합물들)의 반응 조건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실온(즉, 20~30℃) 또는 승온(예컨대, 200~300℃) 하에서 촉매(예컨대, 염기 촉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유기아민 촉매)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IV]
Figure pat00018
상기 화학식 IV에서, P 및 A는 상기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반복 단위로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로부터 형성된 블록(이하,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블록이라고도 한다);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내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블록 함량은, 공중합체 총 100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초과 내지 55 중량% 미만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중합체 내의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블록 함량은, 공중합체 총 100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초과,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일 수 있고, 또한 55 중량% 미만, 54 중량% 이하, 53 중량% 이하, 52 중량% 이하, 51 중량% 이하 또는 5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공중합체 내의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블록의 함량이 상기 수준보다 지나치게 적으면, 공중합체의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열악해질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수준보다 지나치게 많으면, 공중합체의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에 반복 단위로서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6에서,
R”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예컨대, 탄소수 1~13의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예컨대, 탄소수 3~6의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예컨대, 탄소수 2~13의 알케닐기), 알콕시기(예컨대, 탄소수 1~13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은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평균분자량은 800 내지 20,000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800 내지 15,000 또는 1,000 내지 12,000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는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알칼리 수용액에 첨가하여 페놀염 상태로 만든 다음, 염 상태의 페놀류를 포스겐 가스를 주입한 디클로로메탄에 넣어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올리고머 제조를 위해서는 포스겐 대 디히드록시 화합물의 몰비를 약 1 : 1 내지 1.5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 1 내지 1.2 : 1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히드록시 화합물에 대한 포스겐의 몰비가 1 미만이면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디히드록시 화합물에 대한 포스겐의 몰비가 1.5를 초과하면 과도한 분자량 상승으로 인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 형성 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15 내지 60℃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반응 혼합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컨대,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디히드록시 화합물은 예를 들어,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나프틸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4-이소부틸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에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페닐-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나프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2-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0-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2-메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헥산, 2,2-비스(4-히드록시페닐)노난,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메틸-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4,4-비스(4-히드록시페닐)헵탄, 디페닐-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레소시놀(Resorcinol), 히드로퀴논(Hydroquinone), 4,4'-디히드록시페닐 에테르[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 에테르,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2,5-디클로로벤젠, 1,4-디히드록시-3-메틸벤젠, 4,4'-디히드록시디페놀[p,p'-디히드록시페닐], 3,3'-디클로로-4,4'-디히드록시페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4-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4-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4,4'-티오디페놀[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3,3',5,5'-테트라메틸-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4,4'-디히드록시 디페닐, 메틸히드로퀴논,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 이소소르비드, 이소만니드, 이소이디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중 대표적인 것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및 이소소르비드이다. 이외의 작용성 디히드록시 화합물은 미국특허 US 2,999,835호, US 3,028,365호, US 3,153,008호 및 US 3,334,154호 등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디히드록시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점도평균 분자량은 10,000 내지 80,0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중합체의 점도평균 분자량이 상기 수준보다 지나치게 적으면 충격강도,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수준보다 지나치게 많으면,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진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스테르 교환에 의한 용융 중합 방법 또는 포스겐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와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촉매의 존재 하에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와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중합 반응이 완료된 후 결과 혼합물에서 유기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유기상-수상 혼합물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를 첨가하고, 단계적으로 분자량 조절제 및 촉매를 투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모노머와 유사한 단일 작용성 물질(monofunctional compound)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일 작용성 물질은, 예를 들어 p-이소프로필페놀, p-tert-부틸페놀(p-tert-butylphenol, PTBP), p-큐밀(cumyl)페놀, p-이소옥틸페놀 및 p-이소노닐페놀과 같은 페놀을 기본으로 하는 유도체, 또는 지방족 알코올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tert-부틸페놀(PTBP)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촉매로는 중합 촉매 및/또는 상전이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중합 촉매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전이 촉매로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7]
(R1)4Q+Z-
상기 화학식 7에서, R1은 탄소수 1~1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질소 또는 인을 나타내며, Z는 할로겐 원자 또는 -OR2를 나타낸다. 여기서, R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8의 알릴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전이 촉매는, 예를 들어 [CH3(CH2)3]4NZ, [CH3(CH2)3]4PZ, [CH3(CH2)5]4NZ, [CH3(CH2)6]4NZ, [CH3(CH2)4]4NZ, CH3[CH3(CH2)3]3NZ, 또는 CH3[CH3(CH2)2]3NZ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들에서, Z는 Cl, Br 또는 -OR2를 나타내며, 여기서 R2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8의 알릴기를 나타낸다. 상전이 촉매 사용시 그 함량은, 결과 공중합체의 투명도 측면에서 0.01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한 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분산된 유기상을 알칼리 세정한 후 분리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유기상을 0.1N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증류수로 2 내지 3회 반복하여 세정한다. 세정이 완료되면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분산된 상기 유기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조정하고, 30 내지 100℃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범위에서 일정량의 순수를 이용하여 조립화(Granulation)한다. 순수의 온도가 30℃ 미만이면 조립속도가 늦어져 조립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 있으며, 순수의 온도가 100℃를 초과하면 일정한 크기로 폴리카보네이트의 형상을 얻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조립이 완결되면 10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차로 100 내지 110℃에서 5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2차로 11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 시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는 우수한 내열성 및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내스크래치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예컨대, 열이 많이 발산되는 TV 하우징, 컴퓨터 모니터 하우징, 복사기, 프린터, 노트북 배터리, 리튬 전지의 케이스 재료 및 필름, 시트, 렌즈, 커버글라스, 내외장재 등)은 다양한 산업에서 광학적 용도 및 자재 경량화 대체품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성형품'은 압출, 사출, 또는 기타 가공에 의한 성형품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아세나프토퀴논계 유도체 디올 화합물의 제조
250 mL의 1구 반응기에 아세나프토퀴논(acenaphthoquinone) 3 g(16.5 mmol), 페놀(phenol) 9.29 g(98.7 mmol), 1-도데칸티올(1-dodecanethiol) 2 mL를 투입한 후, 디클로로에탄(dichloroethane) 50 mL를 넣어 주었다. 이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반응기에 메탄설폰산(methanesulfonic acid) 2 mL를 투입하고 3시간 동안 환류 조건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완료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3 X 100 mL)과 물(2 X 100 mL)을 이용하여 씻어준다. 그리고 8시간 동안 공기 건조시켜 흰색 고체의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아세나프토퀴논계 유도체 디올 화합물 5.11 g (14.5 mmol)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A]
Figure pat00020
제조예 2: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의 제조
10 L의 4구 플라스크에서 비스페놀 A 600 g(2.63 mol)을 5.6 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300 mL(184.6 g, 4.62 mol)에 용해시킨 다음, 포스겐 260 g(2.63 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포집하여 테프론 튜브(20 mm)를 통하여 천천히 투입하면서 반응시켰다. 외부 온도는 0℃로 유지하였다. 관형 반응기를 통과한 반응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약 10분간 계면 반응시켜 점도평균분자량이 약 1,000인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 중 유기상 2,150 mL와 수상 3,220 mL를 채취하고, p-tert-부틸페놀(PTBP) 13.83 g(92.1 mmol, 비스페놀 A에 대하여 3.5 몰%),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trabutyl ammonium chloride, TBACl) 7.31 g(26.3 mmol, 비스페놀 A에 대하여 1 몰%) 및 15 중량%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 수용액 1 mL를 혼합한 후 30분 동안 반응시켜, 점도평균분자량 약 4,000의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
실시예 A1 :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A 298.10 g(1.08 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2385 g에 용해시켜 제조된 용액을 5 L의 3구 반응기에 투입한 후, 하기 화학식 B의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159.02 g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1272 g에 용해시켜 제조된 용액을 상기 3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후, 트리에틸아민 158.52 g을 30분 동안 적하(dropping)하면서 상기 3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적하 완료 후, 320분 동안 상기 반응 용액을 교반하였고, 이어서 여과를 통해 염을 제거한 후, 1N 염산 수용액 100 mL 및 증류 1000 mL를 여과액에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12 시간 이상 상온 방치 후,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 용액(에탄올과 증류수의 중량비=10:1)에 침전시켜 여과를 진행한 후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110℃의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수평균분자량 : 약 6,600)을 수득하였다.
[화학식 B]
Figure pat00021
실시예 A2: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A 313.09 g(1.33 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2505 g에 용해시켜 제조된 용액을 5 L의 3구 반응기에 투입한 후, 상기 화학식 B의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135.62 g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1085 g에 용해시켜 제조된 용액을 상기 3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후, 트리에틸아민 135.20 g을 30분 동안 적하(dropping)하면서 상기 3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적하 완료 후, 320분 동안 상기 반응 용액을 교반하였고, 이어서 여과를 통해 염을 제거한 후, 1N 염산 수용액 100 mL 및 증류 1000 mL를 여과액에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12 시간 이상 상온 방치 후,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 용액(에탄올과 증류수의 중량비=10:1)에 침전시켜 여과를 진행한 후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110℃의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수평균분자량 : 약 2,000)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A3: 화학식 A의 화합물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수득된 화학식 A 294.43 g(1.03 mol)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2355 g에 용해시켜 제조된 용액을 5 L의 3구 반응기에 투입한 후, 상기 화학식 B의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164.74 g을 메틸렌 클로라이드 1318 g에 용해시켜 제조된 용액을 상기 3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이후, 트리에틸아민 164.22 g을 30분 동안 적하(dropping)하면서 상기 3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적하 완료 후, 320분 동안 상기 반응 용액을 교반하였고, 이어서 여과를 통해 염을 제거한 후, 1N 염산 수용액 100 mL 및 증류 1000 mL를 여과액에 투입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12 시간 이상 상온 방치 후, 에탄올과 증류수의 혼합 용액(에탄올과 증류수의 중량비=10:1)에 침전시켜 여과를 진행한 후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110℃의 오븐에서 24 시간 동안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수평균분자량 : 약 20,000)을 수득하였다.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B1: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 용액에 상기 실시예 A1에서 수득된 화합물 210.4 g(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화합물의 총량 기준으로 25 중량%)을 투입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3000.0 g), 1.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570 mL(총 혼합물에 대하여 20 부피%), 15 중량% 트리에틸아민 170.1 μL를 혼합하여 1 시간 반응시킨 후, 추가로 15 중량% 트리에틸아민 3773.8 μL를 투입하여 1시간 더 반응시켰다. 층 분리 후 점도가 상승한 유기상에 순수를 투입하여 알칼리 세정한 후 분리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유기상을 0.1N 염산 용액으로 세척한 후, 증류수로 2회 내지 3회 반복하여 세정하였다. 세정이 완료되고 상기 유기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한 후, 76℃에서 일정 양의 2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조립하였다. 조립이 완결된 후, 1차로 110℃에서 8 시간, 2차로 120℃에서 10시간 건조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B2: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A1에서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70.13 g(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화합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10 중량%)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B3: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A1에서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631.5 g(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화합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50 중량%)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B4: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A2에서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210.4 g(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화합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25 중량%)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B5: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A3에서 수득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210.4 g(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화합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25 중량%)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B1: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통상적인 계면 중합법으로 점도평균분자량이 21,000인 선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1) 점도평균분자량
우베로드 점도계(Ubbelohde Viscometer)를 사용하여 20℃에서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극한점도 [η]를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η]=1.23 X 10-5 Mv0.83
(2) 연필경도(내스크래치성)
야스타 세이키(YASUDA SEIKI)사의 No. 553-M1 연필 경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시편의 연필 경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편의 도막을 45° 각도에서 긁어서 도막이 파열하여 흠이 생기기 직전의 가장 단단한 연필 농도 기호를 연필 경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연필 경도는 9H(가장 높음)-8H-7H-6H-5H-4H-3H-2H-H-F-HB-B-2B-3B-4B-5B-6B-7B-8B-9B(가장 낮음)의 순서로 경도가 낮아진다.
(3) 유리전이온도
시차주사 열량계 (Perkin-Elmer사의 DSC-7 & Robotic)를 사용하여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B1 내지 B5의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비교예 B1의 선형 폴리카보네이트의 물성 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2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B1 내지 B5의 경우, 연필 경도가 HB 이상으로 우수하면서도, 동시에 유리전이온도가 178℃이상으로 우수하게 유지되어, 내스크래치성 및 내열성의 균형 잡힌 물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반면,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 비교예 B1의 경우, 연필 경도가 2B이고, 유리전이온도는 148℃정도로 매우 열악하였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화학식 I]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I에서,
    P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2가의 유기 기이고,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내며,
    *는 인접한 중합 단위에 대한 부착점(point of attachment)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가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화학식 II]
    Figure pat00024

    상기 화학식 II에서,
    P 및 A는 제1항의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a는 1 내지 30의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화학식 1]
    Figure pat00025

    상기 화학식 1에서,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4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A1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총 탄소수 5 내지 30의 지방족 또는 총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 원자수 5 내지 30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내며,
    *는 인접한 중합 단위에 대한 부착점을 나타낸다.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화학식 2]
    Figure pat00026

    상기 화학식 2에서,
    R, R' 및 A1은 제3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a는 1 내지 30의 정수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가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것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화학식 3]
    Figure pat00027

    상기 화학식 3에서, a는 제4항의 화학식 2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세나프토퀴논계 디올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III]
    Figure pat00028

    상기 화학식 III에서, A는 제1항의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4]
    Figure pat00029

    상기 화학식 4에서, R 및 R'은 제3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화학식 5]
    Figure pat00030

    상기 화학식 5에서, A1은 제3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8.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III]
    Figure pat00031

    상기 화학식 III에서, A는 제1항의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화학식 IV]
    Figure pat00032

    상기 화학식 IV에서, P 및 A는 제1항의 화학식 I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9. 반복 단위로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로부터 형성된 블록; 및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로부터 형성된 블록의 함량이, 공중합체 총 100 중량% 기준으로, 5 중량% 초과 내지 55 중량% 미만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와 폴리카보네이트 올리고머를 촉매의 존재 하에 공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210190977A 2021-12-29 2021-12-29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1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977A KR20230101139A (ko) 2021-12-29 2021-12-29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977A KR20230101139A (ko) 2021-12-29 2021-12-29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139A true KR20230101139A (ko) 2023-07-06

Family

ID=8718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977A KR20230101139A (ko) 2021-12-29 2021-12-29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11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300B1 (ko) 내열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04082B1 (ko)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96019B1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TWI772677B (zh) 二醇化合物、聚碳酸酯及其製法
KR101931665B1 (ko) 내열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공중합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278214B (zh) 聚有机硅氧烷和使用该聚有机硅氧烷制备的共聚碳酸酯
KR102544992B1 (ko)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충격 강도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게 균형잡힌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67229B1 (ko)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균형 잡힌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230101139A (ko)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25503B1 (ko)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32074B1 (ko)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573181B1 (ko)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내스크래치성 및 친환경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08884221B (zh) 共聚碳酸酯和包含该共聚碳酸酯的组合物
KR20230070800A (ko)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09051A (ko)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8742A (ko)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표면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7858A (ko)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향상된 내스크래치성 및 고굴절률을 갖는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49621B1 (ko) 폴리에테르설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53358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72429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되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01472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030731B1 (ko) 신규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KR102666809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80465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551834B1 (ko)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균형 잡힌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