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0508A -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0508A
KR20230100508A KR1020210190451A KR20210190451A KR20230100508A KR 20230100508 A KR20230100508 A KR 20230100508A KR 1020210190451 A KR1020210190451 A KR 1020210190451A KR 20210190451 A KR20210190451 A KR 20210190451A KR 20230100508 A KR20230100508 A KR 20230100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nic device
emitting module
amou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재
최형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0508A/ko
Priority to PCT/KR2022/021437 priority patent/WO2023128575A1/ko
Publication of KR2023010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0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33Features or image-related aspects of imaging apparatus classified in A61B5/00, e.g. for MRI, optical tomography or impedance tomography apparatus; arrangements of imaging apparatus in a ro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제1 타입의 편광 필터를 구비한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1 타입의 편광 필터와는 상이한 제2 타입의 편광 필터를 구비한 제2 발광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로부터 광이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신체 일부의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KIN OIL AND/OR MOISTURE BY USING AT LEAST ONE IMAGE OBTAINED USING VISIBLE LIGH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문서는,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를 통하여 피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문 클리닉을 방문하지 않고 댁 내에서 편리하게 피부 진단과 미용 기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로 피부 분석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피부의 상대적인 유분량 및/또는 상대적인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설문 조사 기반으로 자신의 피부 타입을 진단하는 방법(예: 바우만(baumann) 피부 타입 진단법) 또는 접촉식 피부 유수분 측정기를 통하여 피부의 상대적인 유분량 및/또는 상대적인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설문 조사 기반의 피부 타입 측정 방법은, 자신의 피부에 대한 주관적인 의견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자신의 피부에 대해 잘못 판단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접촉식 피부 유수분 측정기를 통한 방법은, 접촉식 피부 유수분 측정기의 제품 별 측정 정확도에 차이가 있고, 상대적으로 고가의 장비라는 문제가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는 발광 모듈이 구비된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 스마트 미러)를 이용하여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간이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는 발광 모듈이 구비된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 스마트 미러)를 이용하여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간이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제1 타입의 편광 필터를 구비한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1 타입의 편광 필터와는 상이한 제2 타입의 편광 필터를 구비한 제2 발광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로부터 광이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신체 일부의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제1 발광 모듈 또는 제2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로부터 광이 출력되는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과,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신체 일부의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과,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는 발광 모듈이 구비된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 스마트 미러)를 이용하여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간이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상기 기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효과가 본 개시 상에 내재되어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편광 이미지가 획득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행 편광 이미지가 획득되는 원리는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피부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일반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평행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교차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d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본 문서의 다른 실시에 따른 일반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피부 요소와 피부 수분량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피부 요소와 피부 수분량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편광 이미지가 획득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행 편광 이미지가 획득되는 원리는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10), 카메라(120), 발광 모듈(130), 메모리(140) 및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120) 및 발광 모듈(130)은 디스플레이(150)에 임베디드 된 채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a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101)에 포함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1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1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획득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로드하고,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150) 또는 카메라(12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120))의 일부로서 구현 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20)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20)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예: 전하 결합소자(CCD), 시모스 소자 (CMOS))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20)는, 제1 타입 편광 필터(160) 또는 제2 타입 편광 필터(170) 중 어느 하나의 편광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타입 편광 필터(160) 또는 제2 타입 편광 필터(170)는 카메라(120)의 렌즈 표면에 부착되거나 렌즈와 근접한 거리에서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타입 편광 필터(160) 또는 제2 타입 편광 필터(170) 카메라(120)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20)는, 프로세서(110)로부터 카메라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 신호는, 현재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촬영하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3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30)은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배치된 하나의 회로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30)은, 프로세서(110)로부터 수신한 발광 모듈 제어 신호에 따라, 적어도 일부의 발광 모듈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30)은, 전자 장치(101)의 전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발광 모듈들(예: 제1 발광 모듈(130a), 제2 발광 모듈(130b), 제3 발광 모듈(130c), 제4 발광 모듈(130d), 제5 발광 모듈(130e) 및 제6 발광 모듈(130f) 중 적어도 일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30)은,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 된 채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30)은, 디스플레이(150)에 구비된 홀(hole)을 통해 발광 모듈(13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들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들(예: 제1 발광 모듈(130a), 제2 발광 모듈(130b), 제3 발광 모듈(130c), 제4 발광 모듈(130d), 제5 발광 모듈(130e) 및 제6 발광 모듈(130f) 중 적어도 일부) 각각은 제1 타입 편광 필터(160) 또는 제2 타입 편광 필터(170)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본 문서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일부의 발광 모듈들(예: 제5 발광 모듈(130e) 및 제6 발광 모듈(130f))에 대해서는 편광 필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타입 편광 필터(160) 또는 제2 타입 편광 필터(170)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타입 편광 필터(160)를 구비한 발광 모듈의 개수가 2개라면, 제2 타입 편광 필터(170)를 구비한 발광 모듈의 개수도 2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타입 편광 필터(160)를 구비한 발광 모듈의 개수가 1개라면, 제2 타입 편광 필터(170)를 구비한 발광 모듈의 개수도 1개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타입 편광 필터(160) 또는 제2 타입 편광 필터(170)는 발광 모듈(13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발광 모듈(130)과 근접한 거리에서 구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130)은, 발광 모듈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11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 제어 신호는, 제1 타입 이미지(예: 교차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발광 모듈(13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2 타입 이미지(예: 평행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발광 모듈(13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및 제3 타입 이미지(예: 일반 광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발광 모듈(13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0) 또는 카메라(12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운영 체제, 미들 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40)는, 획득된 이미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50)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50)는, 프로세서(110)로부터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신호는,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예: "피부 유분량 및 수분량이 부족합니다.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차 편광 촬영은, 제2 타입 편광 필터(170)가 구비된 발광 모듈로부터 광이 출력되고 제1 타입 편광 필터(160)가 구비된 카메라(120)로 광이 입사되는 경우의 촬영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타입 이미지(예: 교차 편광 이미지)는, 제2 타입 편광 필터(170)가 구비된 발광 모듈(예: 제2 발광 모듈(130b), 제3 발광 모듈(130c))로부터 출력된 광(즉, 무편광 광(200)에서 수직으로 진동하는 성분이 제거된 광(210))이 피부(예: 피부의 겉표면)로부터 반사(reflected)되거나 피부 내부(예: 진피층) 를 통과하면서 산란(scattered)된 후, 산란된 광 중 적어도 일부가 제1 타입 편광 필터(160)가 구비된 카메라(120)로 입사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 겉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은 카메라(120)의 필터(예: 제1 편광 필터(160))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예: 겉표면)로부터 반사된 광은 반사되기 전의 성분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피부(예: 진피층)를 통과한 후 산란된 광은 실질적으로 무편광 광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예 따른 제2 타입 이미지(예: 평행 편광 이미지)는, 제1 타입 편광 필터(160)가 구비된 발광 모듈(예: 제1 발광 모듈(130a) 및 제4 발광 모듈(130d))의 출력이 완전하게(예: 100%) 출력되고, 제2 타입 편광 필터(170)가 구비된 발광 모듈(예: 제2 발광 모듈(130b) 및 제3 발광 모듈(130c))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행 편광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인(다른 말로, 서로 동일한 타입의) 편광 필터를 통해 광이 발광 모듈(130)로부터 출력되고 카메라(120)로 입사되는 경우의 편광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타입 이미지는, 제1 타입 편광 필터(160)가 구비된 발광 모듈(예: 제1 발광 모듈(130a), 제4 발광 모듈(130d))로부터 출력된 광(즉, 무편광 광(200)에서 수평으로 진동하는 성분이 제거된 광(230))이 피부(예: 피부의 겉표면)로부터 반사(reflected)되거나 피부 내부(예: 진피층)를 통과하면서 산란(scattered)된 후, 제1 타입 편광 필터(160)가 구비된 카메라(120)로 입사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예: 겉표면)로부터 반사된 광은 반사되기 전의 성분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피부(예: 진피층)를 통과한 후 산란된 광은 실질적으로 무편광 광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타입 이미지(예: 일반 광 이미지)는, 발광 모듈들(예: 제1 발광 모듈(130a), 제2 발광 모듈(130b), 제3 발광 모듈(130c) 및 제4 발광 모듈(130d))의 출력이 지정된 비율(예: 50%)로 출력되는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반 광 이미지"라는 용어는, 편광 필터(예: 제1 타입 편광 필터(160)) 또는 제2 타입 편광 필터(170))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의 조명(예: 무편광 광이 출력되는 발광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광을 출력하기 위한 발광 모듈이 없이도 일반 광을 출력한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미지라는 용어는 픽셀 값 및/또는 콘트라스트 등 이미지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피부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일반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평행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교차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d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본 문서의 다른 실시에 따른 일반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피부 요소와 피부 수분량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피부 요소와 피부 수분량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10))는, 동작 310에서, 발광 모듈(예: 제1 발광 모듈(130a), 제2 발광 모듈(130b), 제3 발광 모듈(130c), 제4 발광 모듈(130d), 제5 발광 모듈(130e) 및 제6 발광 모듈(130f)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광이 출력되는 동안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일반 광 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예: 제3 타입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5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평행 편광 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예: 제2 타입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교차 편광 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예: 제1 타입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일반 광 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된, 일반 광 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편광 필터를 구비하지 않은 발광 모듈(예: 제5 발광 모듈(130e) 및 제 6 발광 모듈(130f)) 및 카메라(120)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d에서는, 일반 광 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카메라(120)에 구비된 편광 필터가 제거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와 함께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예: 제1 정보(410a), 제2 정보(410b) 및/또는 제3 정보(410c))를 디스플레이(15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픽셀 수 및/또는 픽셀 값(예: 픽셀 강도(intensity))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피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모공에 대응하는 픽셀의 수를 기반으로 모공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특정한 임계 픽셀 값 이하의 픽셀 값을 가지는 영역을 색소 침착이 발생된 부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특징점 분석을 통해 잔주름의 정도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주름의 정도는, 사용자의 피부의 피부결을 판단하는 일 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미리 지정된 설정에 따라, 제1 타입 이미지 내지 제3 타입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설정 또는 미리 지정된 설정이 복수의 피부 요소에 대한 스코어(예: 주름 스코어 및 모공 스코어)에 기반하여 수분량 및/또는 유분량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1 타입 이미지 내지 제3 타입 이미지 모두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설정 또는 미리 지정된 설정이 하나의 피부 요소에 대한 스코어(예: 피부결 스코어)에 기반하여 수분량 및/또는 유분량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1 타입 이미지 내지 제3 타입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도 4d에 도시된 타입과 같은 전자 장치)는, 카메라(120)에 필터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일반 광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카메라(120)에 구비된 필터를 제거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10))는, 동작 320에서, 동작 310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신체 일부의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예: 스코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동작 310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주름, 흉터, 모공 및/또는 색소 침착이 진행된 부분과 같은 다양한 특징점들(feature points)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이미지의 픽셀 값이 주변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연결한 선을 주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이미지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주름, 흉터, 모공 및/또는 색소 침착이 진행된 부분과 같은 다양한 특징점들을 식별할 수 있다. 이 밖에, 특징점들을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 모델에 따라 학습된 결과를 기반으로 특징점들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식별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트리거(trigger)로 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식별된 얼굴 이미지 상에 주름, 흉터, 모공 및/또는 색소 침착이 진행된 부분과 같은 다양한 특징점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얼굴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들(예: 아이젠페이스(eigenface)를 이용하는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LDA(Linear Discriminate Analysis), 탄성 번치 그래프 매칭법(Elastic Bunch Graph Matching), 히든 마르코프 모델법(Hidden Markov model), 텐서 표현을 이용하는 멀티리니어 서브스페이스 러닝법(Multilinear Subspace Learning) 또는 뉴로널 모티베이티드 다이내믹 링크 매칭법(neuronal motivated dynamic link matching))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획득된 이미지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주름에 대한 스코어, 모공에 대한 스코어, 피부 결에 대한 스코어와 같은,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피부 상태(예: 모공의 수, 주름의 수)와 스코어와의 연관 관계가 정의된, 전자 장치(101)에 미리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예: 스코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설정 또는 미리 지정된 설정이 복수의 피부 요소에 대한 스코어(예: 주름 스코어 및 모공 스코어)에 기반하여 수분량 및/또는 유분량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동작 310에 따라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주름에 대한 스코어는 평행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주름 스코어와 일반 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주름 스코어의 차이를 주름에 대한 스코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모공에 대한 스코어는 평행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모공 스코어와 교차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모공 스코어의 차이를 모공에 대한 스코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주름에 대한 스코어의 역수와 모공에 대한 스코어의 역수를 곱하여 혼합 스코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한 가지 타입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복수의 피부 요소에 대한 스코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평행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주름 스코어 및 모공 스코어를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교차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주름 스코어 및 모공 스코어를 각각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평행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름 스코어 및 모공 스코어 각각을 이용하여(예: 주름 스코어의 역수와 모공 스코어의 역수를 곱한 값) 혼합 스코어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평행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름 스코어 및 모공 스코어와, 교차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름 스코어 및 모공 스코어를 이용하여 혼합 스코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평행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름 스코어와 교차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름 스코어의 차이를 주름에 대한 스코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평행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모공 스코어와 교차 편광 이미지를 기반으로 결정된 모공 스코어의 차이를 모공에 대한 스코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주름에 대한 스코어의 역수와 모공에 대한 스코어의 역수를 곱하여 혼합 스코어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 결정된 혼합 스코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설정 또는 미리 지정된 설정이 하나의 피부 요소에 대한 스코어(예: 피부결 스코어)에 기반하여 수분량 및/또는 유분량을 제공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동작 310에 따라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일반 광 이미지를 이용하여 획득된 피부결 스코어를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식별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평행 편광 이미지 또는 교차 편광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결 스코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320에 따라 획득된 혼합 스코어 및/또는 피부결 스코어와 피부 수분량 및/또는 유분량 은 비례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 및/또는 유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스코어가 증가할 수록 피부 수분량의 상대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결 스코어가 증가할 수록 피부 수분량의 상대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에 의하여 최초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또는, 이전의 제공 시점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다시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피부 요소들에 기반한 방식(예: 혼합 스코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에는(예: 최초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하나의 피부 요소들에 기반한 방식(예: 피부결 스코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추적(tracking)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에 측정된 식별 정보(예: 스코어) 중에서 미리 지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예: 피크(peak) 스코어(610))만을 기반으로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피부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 측정 즉시(예: 한 번의 측정 및 피부 분석을 통하여)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피부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 측정 결과를 전자 장치(101)에 저장하여 두고, 미리 지정된 기간이 경과한 후, 또는 피부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 측정이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 진행된 경우에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에 측정된 식별 정보(예: 스코어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임계 값 이하인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예: 밸리(valley) 스코어(620))만을 기반으로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에 측정된 식별 정보의 평균 값을 기반으로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리 스코어(620)가 피크 스코어(610)를 초과하는 구간이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반복되는 경우(예: 피부결 스코어의 변동 범위가 (a) 구간에서 (c) 구간으로 이동됨이 식별된 경우),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변경된 구간(예: (c) 구간))에서 피크 스코어(610), 밸리 스코어(620) 또는 피부결 스코어의 평균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a) 구간 및 (c) 구간은 세안, 수분크림 도포 등에 따른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의 변화에 의한 피부결의 시인성(visibility)의 일시적 변화를 나타낸 구간일 수 있고, (b)는, 실제로 피부결이 악화되어 피부결 스코어가 증가된 경우를 나타낸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획득된(또는, 결정된) 식별 정보(예: 혼합 스코어)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한 후, 캘리브레이션 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의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접촉식 피부 유수분 측정 장치)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접촉식 피부 유수분 측정 장치)로부터 획득된 피부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스코어를 기반으로 동작 320에 따라 획득된 식별 정보를 캘리브레이션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브레이션 기능 또는 동작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접촉식 피부 유수분 측정 장치)로부터 획득된 피부 유분량 및/또는 수분량에 대한 스코어에, 동작 320에 따라 획득된 식별 정보를 일치시키는 기능 또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10))는, 동작 330에서,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피부의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피부 유분량 및 수분량이 부족합니다.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71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에 미리 저장된, 식별 정보와 안내 메시지와의 관계가 정의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표시될 안내 메시지(710)의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동작 320에 따라 획득된 식별 정보(예: 스코어)에 따라 "피부 유분량 및 수분량이 적당합니다"와 같은 안내 메시지(710)를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제1 타입의 편광 필터를 구비한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1 타입의 편광 필터와는 상이한 제2 타입의 편광 필터를 구비한 제2 발광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로부터 광이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신체 일부의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발광 모듈 및 상기 제2 발광 모듈 모두를 이용하여 획득된 복수의 신체 일부의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일반 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2 발광 모듈 및 상기 일반 광 모듈 모두를 이용하여 획득된 복수의 신체 일부의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일반 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2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일반 광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발광 모듈 및 상기 제2 발광 모듈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발광 모듈에 기반하여 획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발광 모듈에 기반하여 획득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레퍼런스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캘리브레이션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스코어(score)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획득된 복수의 스코어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스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획득된, 단위 시간 동안의 복수의 스코어들의 평균 값을 기반으로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발광 모듈 및 상기 제2 발광 모듈을 모두 출력하여 일반 광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더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제1 타입의 편광 필터를 구비한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1 타입의 편광 필터와는 상이한 제2 타입의 편광 필터를 구비한 제2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 모듈로부터 광이 출력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신체 일부의 유분량 또는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과, 및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광 모듈 및 상기 제2 발광 모듈 모두를 이용하여 획득된 복수의 신체 일부의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일반 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2 발광 모듈 및 상기 일반 광 모듈 모두를 이용하여 획득된 복수의 신체 일부의 이미지들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일반 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광 모듈, 상기 제2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일반 광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획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광 모듈 및 상기 제2 발광 모듈 모두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발광 모듈에 기반하여 획득된 상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과
    상기 제1 발광 모듈 또는 상기 제2 발광 모듈 중 어느 하나의 발광 모듈에 기반하여 획득된 상기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레퍼런스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캘리브레이션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스코어(score)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획득된 복수의 스코어들 중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코어를 기반으로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스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획득된, 단위 시간 동안의 복수의 스코어들의 평균 값을 기반으로 상기 유분량 또는 상기 수분량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발광 모듈 및 상기 제2 발광 모듈을 모두 출력하여 일반 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KR1020210190451A 2021-12-28 2021-12-28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00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451A KR20230100508A (ko) 2021-12-28 2021-12-28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22/021437 WO2023128575A1 (ko) 2021-12-28 2022-12-27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451A KR20230100508A (ko) 2021-12-28 2021-12-28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0508A true KR20230100508A (ko) 2023-07-05

Family

ID=8699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0451A KR20230100508A (ko) 2021-12-28 2021-12-28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0508A (ko)
WO (1) WO202312857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919A (ko) * 2008-09-11 2010-03-1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진단 시스템 및 피부 진단 방법
JP6107537B2 (ja) * 2013-08-27 2017-04-0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およびそ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97389B1 (ko) * 2017-10-26 2020-04-06 (주)트루시스템 미용 측정을 위한 휴대형 소형 iot 장치
JP6966953B2 (ja) * 2018-02-21 2021-11-17 ヤーマン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530179A1 (en) * 2018-02-27 2019-08-28 Koninklijke Philips N.V. Obtaining images for use in determining one or more properties of skin of a su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575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192B1 (ko) 혈압 측정 방법 및 이에 따른 장치
US11069057B2 (en) Skin diagnostic device and skin diagnostic method
CN110740679A (zh) 用于对皮肤光泽定量估计的皮肤光泽测量
KR20110105720A (ko) 텔레센트릭 디포커스를 이용한 3차원 촬영
JP7113025B2 (ja) ブルースター角度を用いる皮膚光沢測定
US11252336B2 (en) Electronic device obtaining skin imag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4002255A1 (ja) 健康管理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167853A (ja) 試験シート、物体診断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20292880A1 (en) Information processor
Paquit et al. Combining near-infrared illuminants to optimize venous imaging
JP2022023916A (ja) 脈波検出装置、脈波検出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47883B1 (ko)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30100508A (ko) 가시광을 이용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 및/또는 수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13256B2 (en) Biologic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bi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US1072139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801998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pillary distance estimation from digital facial images
US11558556B2 (en) Electronic device for acquiring image by using light-emitting module having polarizing fil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20006997A (ko) 편광 필터를 구비한 발광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60945A (ko) 피부 이미지를 분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WO2019244586A1 (ja) 肌評価装置、肌評価システム、肌評価方法、および肌評価のための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7412767B2 (ja) 肌の色ムラ評価装置、肌の色ムラ評価方法および肌の色ムラ評価プログラム
US20230064329A1 (en) Identification model genera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apparatus, identification model generation method, identif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220134918A (ko) 복수의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발광 모듈에서 출력된 광의 성분과 주변 광의 성분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각각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43184A (ko) 자외선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
JP2021144061A (ja)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