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883B1 -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883B1
KR101647883B1 KR1020140130022A KR20140130022A KR101647883B1 KR 101647883 B1 KR101647883 B1 KR 101647883B1 KR 1020140130022 A KR1020140130022 A KR 1020140130022A KR 20140130022 A KR20140130022 A KR 20140130022A KR 101647883 B1 KR101647883 B1 KR 101647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tremor
measuring
hand tremor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468A (ko
Inventor
김동윤
유성곤
민아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3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8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7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3Discriminating type of movement, e.g. walking or ru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1Detecting trem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2Ballistocard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4Tracking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61B5/1125Grasping motions of h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ometry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의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센서를 이용하여 촬영 후 손의 떨림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액션 트레머를 진단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원형모양의 동작을 취하게 만들어 이 동작을 모션센서를 이용해 측정하여 손 동작의 떨림을 감지한 후 이를 진단할 수 있는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HAND VIBRATION MEASUREMENT DEVICE FOR ACTION TREMOR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액션 트레머(행위 떨림)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 떨림을 측정하여 기준 이상의 손 떨림이 발생하는 경우 수전증, 뇌의 질병으로 인한 근육장애, 액션 트레머 부분에 속한 파킨슨씨병과 같은 손 떨림 환자를 진단할 수 있도록 만드는 손 떨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션 트레머(ACTION TREMOR) 환자는 ESSENTIAL TREMOR(본태성 떨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휴식 시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모션을 취하거나 행동할 때 떨림이 발생하는 환자를 지칭한다. 이러한 액션 트레머 환자는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거나, 세밀한 동작을 취할 경우 규칙적이지 못한 떨림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다.
파킨슨씨병은 이러한 액션 트레머의 일종으로 나이가 들수록 뉴런이 감소하는데 이 뉴런이 부족하면 발생하는 질환으로 초기 증상으로 손이나 팔에서 떨림이 일어나 관절의 움직임이 어색함을 느끼는 증상들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형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이러한 파킨슨씨병은 약물을 투여한 후 그에 따른 반응을 관찰하는 검사를 통해 진단하기 때문에 신경학적 검사를 해야 하고, 전적으로 임상적 소견에 의존해 왔으며 이에 따른 조기 진단의 어려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267,118호에 개시된 글러브 센서를 이용한 모션인식 가상현실 재활훈련은 글로브를 이용하여 손 모양을 측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글러블 착용하여야 했기 때문에 환자나 노약자가 쉽게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4-0001038에서 개시된 수동, 능동, 훈련이 가능한 바이오피드백 상지 기능적 전기자극 장치는 전기자극을 통해 손 모양을 측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만, 글로브와 전기자극 장치 등의 여러 기구들이 필요해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션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액션 트레머 환자를 진단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간소하게 손 떨림을 측정하여 액션 트레머 환자를 진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자가 사용하는 모션센서 및 카메라의 이용은 바이콘 혹은 기타 인체 계측 센서, 약물을 이용하여 진단하는 것보다 간소하며 비용 소요를 줄 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 떨림 측정 장치에 있어서, 모션센서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움직임 측정부 및 상기 움직임 측정부와 연결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측정부는 환자의 손 떨림을 측정하는 손 떨림 측정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손 떨림 측정 방법에 있어서, 손 떨림 측정 장치의 출력부에서 제공되는 가이드라인을 따라 손을 이동하는 단계; 손 떨림 측정 장치의 움직임 측정부를 이용하여 손 떨림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손 떨림 측정하는 단계에서의 손 떨림 빈도 및 진폭을 손 떨림 측정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손 떨림 빈도 및 진폭을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션센서 및 카메라를 제공함으로써, 환자나 노약자들의 액션 트레머 진단을 간소하게 만들고, 손 움직임을 감지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진단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신경학적 검사를 통한 진단 보다 모션센서 앞에서 손을 원형으로 돌리는 간단한 동작을 통하여 파킨슨씨병(액션트레머 부분에 속한)과 같은 액션 트레머의 초기 증상을 간편하게 진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좌우 손 떨림의 측정뿐만 아니라 전후로 떨리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게다가, 3회 이상의 동작을 반복하게 만들어 보다 정확하게 손 떨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통신부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진단에 대한 기록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측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측정 장치의 손 떨림 측정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라인 및 손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을 측정한 그래프로서, (a)는 정상인 (b)는 액션 트레머 환자의 손 떨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이드 라인(40)의 한계 수치를 벗어나는 정도를 정량화 하여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a)는 정상인 (b)는 액션 트레머 환자의 한계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을 주파수 별로 나타낸 그리프로서, (a)는 정상인 (b)는 액션 트레머 환자의 손 떨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떨림 측정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손 떨림 측정 장치(100)는 모션센서(10) 및 카메라(20)를 구비하는 움직임 측정부(70) 및 출력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에서, 모션센서(10)는 움직임 측정부(70)에 구비된다. 모션센서(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 떨림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드는 센서이다. 즉 모션센서(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중 액션 트레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손의 떨림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모션센서(10)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발광 소자(LED)를 이용한 센서는 발광 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이 반사되는 것을 감지하여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빛이 발광되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 및 각을 계산하여 손 떨림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든다. 이 같은 발광 소자를 이용한 센서를 사용하면 손 좌우 떨림뿐만 아니라 앞뒤의 떨림까지 측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만든다. 적외선 센서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적외선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적외선 센서는 사람의 손의 적외선 정보를 감지하여 손 떨림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든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프로젝터를 구비하고, 적외선 프로젝터에서 적외선을 픽셀단위로 발산하여 이 픽셀단위로 발산된 점들이 반사되어 오는 것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적외선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후술할 카메라(20)는 적외선 카메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션센서(10)는 발광 소자를 이용한 센서와 적외선 센서를 각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모션센서(10)는 2개로 구비되어 대상(사람)의 움직임을 보다 입체적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20)는 움직임 측정부(70)에 구비된다. 카메라(20)는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움직임 측정부(70)에 사용하는 카메라는 RGB카메라로 마련될 수 있다. RGB 카메라는 색상 요소들을 전달하는 카메라로 초당 30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모션센서(10)의 적외선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측정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RGB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는 상기 적외선 프로젝터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 떨림의 인식률을 보다 좋게 만든다. 또한 카메라(20)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후술할 출력부(30)로 사용자 영상을 송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다. 즉 사용자는 카메라(20)를 이용하여 자신이 촬영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여 보다 정확하게 손 떨림을 측정할 수 있는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만든다. 카메라(20)는 초당 30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움직임 측정부(70)는 모션센서(10) 및 카메라(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 떨림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움직임 측정부(70)는 별도의 단말기로 마련될 수 있으나, 후술할 출력부(3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측정부(70)는 사용자의 손(45) 움직임을 유도하는 원형 및 다각형의 가이드라인(40)을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40)은 사용자의 손 떨림을 측정할 수 있는 기준으로 도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녹색의 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을 기준으로 손 떨림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액션 트레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든다. 예를 들면, 도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손(45) 움직임은 빨간색 원으로 표시하여 상기 녹색의 원(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빨간색 원이 어떻게 움직이는 지를 측정하여 손 떨림 값을 측정하고 이 측정된 값을 기준으로 액션 트레머를 진단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녹색 가이드라인(40)의 중심에서 적색 손(45)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녹색 원형의 반지름(43)과의 차이를 통해 손(45)의 벗어난 정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손의 떨림의 빈도와 진폭을 측정 할 수 있고, 녹색 원형의 반지름(43)에서 일정한 폭(47)을 갖는 도넛 모양을 제공하여 녹색 원형 폭(47)을 기준으로 적색 손(45)의 중심이 녹색 원형의 폭을 벗어나는지를 측정할 수 있다(이 경우 반지름(43)을 기준으로 폭(47)의 내측과 폭(47)의 외측으로 벗어나는 빈도를 측정하여 손 떨림의 빈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20대 초반의 정상인들 15명을 대상으로 테스트한 결과의 수치 값을 나타낸 것으로 도 4의 -30 내지 30의 수치는 정상인들의 평균값으로 이 수치 값을 벗어난 정도를 폭(47)이 벗어난 정도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션센서(10), 카메라(20)에서 손까지의 거리를 파악하여 앞뒤로 손이 떨리는 거리를 측정하여 데이터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다각형 모양의 가이드라인(40)은 원형 가이드라인(40)과 같은 원리로 중심에서 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각형 가이드라인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과 같은 모양의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구름모양, 나사선모양, 별모양, 복수개의 다각형이 합쳐진 모양 등과 같은 다각형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오른손과 왼손에 제공되는 가이드라인(40)은 서로 다른 모양의 가이드라인(40)을 그릴 수 있어 손 떨림 측정 데이터 값을 더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진단을 보다 정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모양의 가이드라인(40)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 능력 및 그에 대응되는 행동을 측정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액션 트레머 환자를 측정할 수 있다.
후술할 출력부(30)는 이러한 가이드라인(40)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가이드라인(40)을 따라 손(45)을 이동시킬 수 있게 만든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움직임 측정부(70)는 키넥트로 마련될 수 있다.
손 떨림 측정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하여 손 떨림 측정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손 떨림 측정 장치(100)는 별도의 전원공급부를 구비하여 손 떨림 측정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출력부(30)는 움직임 측정부(70)와 연결되어 영상을 출력한다. 출력부(30)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마련될 수 있지만, 손 떨림 측정 장치(100)에 마련되는 인터페이스로 마련되어 외부 디스플레이랑 연결되어 손 떨림 측정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영상을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단자로 마련될 수 있다. 출력부(30)가 인터페이스로 마련되는 경우 손 떨림 측정 장치(100)의 구성을 간소화 시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30)는 가이드라인(40)을 표시할 수 있다. 가이드라인(40)은 사용자가 손(45)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 사용자가 가이드라인(40)을 따라 손을 이동하게 만들어 손 떨림을 측정하여 액션 트레머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든다. 즉 사용자는 출력부(30)에 표시되는 가이드라인(40)을 따라 손(45)을 이동시켜 손 떨림을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이드라인(40)을 확인하여 보다 정확한 동작을 취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손 떨림의 측정은 손 떨림의 빈도 및 진폭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한다. 즉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하여 손 떨림의 빈도 및 진폭이 액션 트레머 환자와 비교하여 비슷한 수치로 발생하는 경우 액션 트레머 환자로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이러한 사실을 통보하여 줄 수 있어 간소하게 액션 트레머 환자를 식별할 수 있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통신부(50)는 손 떨림 측정 장치(100)에 마련된다. 통신부(50)는 손 떨림에 대한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한다. 외부단말기는 컴퓨터, 노트북, 이동 단말기, 휴대폰, 엠피쓰리, 피디피, TV, 스마트폰, 스마트기기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손 떨림에 대한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사용자 상태를 보다 잘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손 떨림 측정은 3회 이상 측정한다. 이는 보다 정확한 손 떨림 측정값을 산출하기 위함이다. 즉 한 번의 측정으로는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힘들기 때문에 3회 이상 손 떨림을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손 떨림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션 트레머 환자를 진단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3회 이상의 손 떨림을 측정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고하면, (a)는 정상인의 손 떨림 측정 값, (b)는 액션 트레머 환자의 손 떨림 측정값이다. 상부의 녹색선과 하부의 녹색선은 가이드라인(40) 범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부 녹색선과 하부 녹색선 안으로 들어가는 수치는 정상적으로 이동된 것을 말하고, 녹색선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는 범위에 벗어난 값이다. 즉 녹색선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는 손 떨림 진폭이 크게 발생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가로의 수치는 손 떨림의 빈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액션 트레머 환자인 경우 손 떨림의 빈도가 증가하여 보다 많은 빈도로 손 떨림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손 떨림 장치를 이용하여 도 4(a)와 같이 손 떨림의 진폭이 크게 발생하지 않고, 손 떨림의 빈도도 적개 발생하는 경우 정상인으로 진단하며, 도 4(b)와 같이 손 떨림의 진폭이 크게 발생하여 녹색선 밖으로 벗어나는 것이 많고, 손 떨림의 빈도도 많이 발생하여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 액션 트레머 환자로 진단하여 보다 정밀한 진찰을 실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산인은 한계치를 넘는 경우는 4% 미만으로 형성되지만 도 5(b)를 참고하면, 액션 트레머 환자의 경우 20% 이상으로 높게 마련되어 정상인과 액션 트레머 환자를 구별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도 6(a)를 참고하면 정상인은 5Hz 이하의 낮은 진동(보다 상세하게는 정상인 계측 시 가만히 있어도 손(45)이 미세하게 떨림(노이즈)가 발생하는 데 이러한 노이즈는 대략 3Hz 미만으로 발생한다)이 주로 발생하는 것에 비하여 도 6(b)를 참고하면, 액션 트레머 환자는 전 구간에서, 즉 높은 진동 구간(손 떨림이 빠른 구간) 및 전체적인 구간에서 손 떨림이 발생하여 일반인과 액션 트레머 환자를 구분할 수 있게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손 떨림 측정 방법은 손을 이동하는 단계(S10), 손 떨림을 측정하는 단계(S20), 저장하는 단계(S30) 및 출력하는 단계(S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손을 이동하는 단계(S10)는 손 떨림을 측정 장치(100)의 출력부(30)에서 제공되는 가이드라인(40)을 따라 손(45)을 이동하는 단계(S10)이다. 사용자는 가이드라인(40)을 따라 손을 이동하여 손 떨림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든다.
손 떨림을 측정하는 단계(S20)는 손 떨림 측정 장치(100)의 움직임 측정부(70)를 이용하여 손 떨림을 측정하는 단계(S20)로서, 손 떨림 측정 방법은 상기 기술한 측정 장치(100)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저장하는 단계(S30)는 손 떨림 측정하는 단계(S20)에서의 손 떨림 빈도 및 진폭을 손 떨림 측정 장치(10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손 떨림 측정 장치(100)의 제어부(60)에 마련되는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 떨림 빈도 및 진폭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부(30)에 제공된다.
출력하는 단계(S40)는 손 떨림 빈도 및 진폭을 출력부(3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S40)로서, 사용자가 손 떨림 증상을 확인하여 액션 트레머 환자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출력부(30)로 제공되는 손 떨림 빈도 및 진폭은 그래프 형태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가이드라인(40)은 원형으로 마련된다. 가이드라인(40)은 사용자가 가이드라인(40)을 따라서 손을 이동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로서,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가이드라인(40) 내용을 이용하여 가이드라인(40)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50)는 상기 출력하는 단계(S40)이후 손 떨림 측정 장치(100)에 마련되는 통신부(50)를 이용하여 손 떨림에 대한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손 떨림에 대한 정보는 손 떨림 빈도 및 진폭 정보이다. 즉 이러한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는 보다 체계적으로 액션 트레머 진단을 실시할 수 있도록 만든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손 떨림을 측정하는 단계(S20)의 손 떨림 측정은 3회 이상 측정한다. 가이드라인(40)을 따라 3회 이상 손을 이동시키는 것은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손 떨림 측정값을 획득하게 만들어 보다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제공할 수 있다. 즉 1회나 2회 가이드라인(40)을 따라 손을 이동하는 것은 사용자가 신체 상태에 따라 손 떨림이 덜하거나 많이 발생할 수 있으나, 3회 이상으로 손 떨림을 측정하면 보다 정확하게 손 떨림에 대한 값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 : 모션센서, 20 : 카메라,
30 : 출력부, 40 : 가이드라인,
43 : 반지름, 45 : 손,
47 : 폭, 50 : 통신부,
60 : 제어부, 70 : 움직임 측정부
100 : 손 떨림 측정 장치,
S10 : 손을 이동하는 단계,
S20 : 손 떨림을 측정하는 단계,
S30 : 저장하는 단계,
S40 : 출력하는 단계.
S50 :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laims (14)

  1. 모션센서(10) 및 카메라(20)를 구비하는 움직임 측정부(70);
    상기 움직임 측정부(70)와 연결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30); 및
    상기 움직임 측정부(70)는 사용자의 손 움직임을 유도하는 가이드라인(40)을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측정부(70)는 사용자의 손 떨림을 측정하며,
    상기 출력부(30)는 상기 가이드라인(40)을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라인(40)은 소정의 폭(47)을 갖는 원형의 도넛 모양으로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라인(40)의 중심점과 손(45)의 중심까지의 거리에서 상기 가이드라인(40)의 반지름(43)을 뺀 거리가 상기 폭(47)을 벗어나는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왼손과 오른손에 제공되는 가이드라인(40)은 서로 다른 모양의 가이드라인(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 떨림의 측정은 손 떨림의 빈도 및 진폭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 떨림 측정 장치(100)는 통신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50)는 손 떨림에 대한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 떨림 측정은 3회 이상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장치.
  9. 손 떨림 측정 장치(100)의 출력부(30)에서 제공되는 가이드라인(40)을 따라 사용자의 손을 이동하는 단계(S10);
    손 떨림 측정 장치(100)의 움직임 측정부(70)를 이용하여 손 떨림을 측정하는 단계(S20);
    상기 손 떨림 측정하는 단계(S20)에서의 손 떨림 빈도 및 진폭을 손 떨림 측정 장치(100)에 저장하는 단계(S30);
    상기 손 떨림 빈도 및 진폭을 상기 출력부(3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라인(40)은 소정의 폭(47)을 갖는 원형의 도넛 모양으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라인(40)의 중심점과 손(45)까지의 거리에서 상기 가이드라인(40)의 반지름(43)을 뺀 거리가 상기 폭(47)을 벗어나는지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 이후(S40),
    상기 손 떨림 측정 장치(100)에 마련되는 통신부(50)를 이용하여 손 떨림에 대한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손 떨림을 측정하는 단계(S20)의 손 떨림 측정은 3회 이상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왼손과 오른손에 제공되는 가이드라인(40)은 서로 다른 모양의 가이드라인(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측정 방법.
KR1020140130022A 2014-09-29 2014-09-29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47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022A KR101647883B1 (ko) 2014-09-29 2014-09-29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022A KR101647883B1 (ko) 2014-09-29 2014-09-29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468A KR20160037468A (ko) 2016-04-06
KR101647883B1 true KR101647883B1 (ko) 2016-08-11

Family

ID=5579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022A KR101647883B1 (ko) 2014-09-29 2014-09-29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767A (ko) 2017-01-23 2018-08-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전증 진단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03B1 (ko) * 2017-07-13 2019-05-15 주식회사 디플즈 전기 자극을 통한 손 떨림 개선훈련용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 떨림 개선훈련 시스템
KR20230032697A (ko) * 2021-08-31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트레머 증상 검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2053A (ja) 2003-11-20 2005-06-16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動作解析装置および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2977B2 (en) * 2007-08-31 2014-07-29 Tokyo Metropolitan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Quantitative motor function evalu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2053A (ja) 2003-11-20 2005-06-16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動作解析装置およびその利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의공학회지 vol.35 no.4 pp.81-86 (2014.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767A (ko) 2017-01-23 2018-08-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전증 진단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468A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6401B2 (ja) ユーザに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少なくとも1つの加速度計を含む口腔衛生デバイスを用いてユーザのブラッシング動作特性を抽出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6774136B2 (ja) 自動視力診断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4002385A2 (en) Motor task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9877649B2 (en) Photorefraction method and product
US10709328B2 (en) Main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self-examination of a user's eye
KR20170013271A (ko) 재활 지원 시스템
Hsiao et al. The Digital Box and Block Test Automating traditional post-stroke rehabilitation assessment
JP6269377B2 (ja) 診断支援装置および診断支援方法
JP2017522104A (ja) 目状態決定システム
TWI570638B (zh) 凝視分析方法與裝置
US20160106329A1 (en) Utilizing different color channels for rgb-image-based differential heart rate detection
KR101647883B1 (ko) 액션 트레머 진단을 위한 손 떨림 측정 장치 및 방법
EP2979635B1 (en) Diagnosis supporting device, diagnosis suppor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upicka et al. Motion capture system for finger movement measurement in Parkinson disease
KR20160035497A (ko) 스켈레톤 추출정보를 이용한 동작분석 기반의 체형분석 시스템
US20160282215A1 (en) Standing position evaluation apparatus, standing position evalu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Duncan et al. Camera-Based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and Timed Up and Go Assessment for Older Adults with Cancer
TWI699669B (zh) 混合實境式動作功能評估系統
JP2019165874A (ja) 回復力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195349A (ja) うつ状態検知方法、及びうつ状態検知装置
JP6330638B2 (ja) トレーニング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246615A1 (ja) 判定システム
KR102473744B1 (ko) 가림 안가림 검사 중 획득한 안구 이미지 분석을 통한 사시진단방법
KR102222059B1 (ko) 마커가 형성된 진단기를 이용한 대상체 위치 및 진단 결과를 출력시키는 대상체 위치인식형 진단장치
WO2024047738A1 (ja) 検査装置、検査システム、検査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