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937A -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937A
KR20230099937A KR1020210189389A KR20210189389A KR20230099937A KR 20230099937 A KR20230099937 A KR 20230099937A KR 1020210189389 A KR1020210189389 A KR 1020210189389A KR 20210189389 A KR20210189389 A KR 20210189389A KR 20230099937 A KR20230099937 A KR 20230099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s
solution
unit
nozzle
je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균
이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테크
Priority to KR102021018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937A/ko
Publication of KR2023009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05B12/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for sequential operation or multipl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sprayed on the target,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objects or work being present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노즐; 노즐로 분사용액을 공급하는 용액공급부; 및 노즐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이 배치된 형태가, 노즐들이 직선으로 배열되며 서로 나란하게 위치된 2개의 직선구간과 직선구간의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이동부의 움직임에 의해서, 노즐들이 상기한 직선구간과 전환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이 방향 전환을 위한 멈춤 과정 없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향 전환을 위하여 움직임이 멈춘 위치에 분사용액이 과다하게 분사되어 코팅층의 두께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CONTINUOUS MOVING TYPE MULTI-SPRAY HEAD SYSTEM}
본 발명은 액체를 스프레이 형태로 토출하는 분사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복수의 분사 노즐이 설치된 멀티 분사 헤드에서 분사액이 고르게 분사될 수 있는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분야에서는 다양한 목적에 의해서 액체를 토출하는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기 회로 등의 특정한 모양을 그리기 위한 목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액체를 토출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얇은 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액체를 얇게 토출하기도 하며, 표면을 코팅하기 위하여 코팅 대상물의 표면에 액체를 토출하기도 한다.
회로 패턴을 형성하고 미세한 전자제품에서 정확한 위치에 액체를 토출하는 기술의 예로는 인쇄 장비에서 발전한 잉크젯 프린팅 등이 있고,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액체 토출 기술의 예로는 전기방사(eletro-spinning) 등이 있으며, 대상물의 코팅을 위한 액체 토출 기술의 예로는 전기분사(eletro-spray)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체 토출 기술은 액체를 토출하는 구체적인 기술에서는 차이가 있지만, 헤드에 구비된 노즐(nozzle)을 통해서 액체를 토출하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다만 노즐의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헤드에 구비된 노즐이 바늘 형상인 경우를 니들 헤드(needle head)라고 명칭 한다.
전기방사(electrospinning)는 전기력을 이용하여 가는 실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노즐의 직경보다 얇은 줄기로 액체를 토출할 수 있기 때문에 나노 섬유 등의 제조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액체가 토출되는 니들의 끝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니들 끝에서 반구형을 이루던 액체가 표면전하에 의한 정전기적 압력에 의하여 테일러 콘 형상으로 변한다. 이때 액체 표면상의 임계전위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한쪽으로 전하가 축적되면서 반발력에 의해 액체가 얇은 줄기로 방사되며, 반대전하로 하전 되었거나 접지된 콜렉터 방향으로 액체가 이동하면서 섬유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기방사에서 발전되어 니들에서 액체가 줄기가 아닌 작은 액적형태로 토출되는 것을 전기분사(electrosparying, 전기분무)라고 한다.
전기분사는 전기방사와 마찬가지로 나노섬유나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과정에도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미세한 액적으로 얇은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코팅기술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분사 이외에도 액체를 스프레이 형태로 분사하는 기술을 코팅막 형성에 적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액체가 토출되는 헤드에 하나의 노즐만을 구비한 장치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목적에 의해서 하나의 헤드에 복수의 노즐을 통해서 액체를 분사하는 멀티 분사 헤드를 적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코팅 공정에 적용되는 경우에 분사 면적을 넓힘으로써 코팅 공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복수의 분사 노즐에서 분사를 하는 경우에도 전체 면에 대하여 한 번에 코팅을 수행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복수의 분사 노즐을 구비한 멀티 분사 헤드와 대상물의 상대적인 위치를 움직이면서 코팅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코팅층이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0은 일반적인 멀티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방법으로 형성된 코팅층의 불균일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적인 멀티 분사 헤드는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분사 노즐의 배열 방향에 나란하게 이동하는 움직임과 분사 노즐의 배열에 직교하여 이동하는 움직임을 반복하면서 코팅층을 형성한다.
도 10에서는 분사 노즐이 가로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멀티 분사 헤드가 가로방향(좌측)으로 움직이면서 코팅층을 형성하고, 대상물이 분사 노즐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상하방향(하측)으로 움직인 뒤에, 다시 멀티 분사 헤드가 가로방향(우측)으로 움직이면서 코팅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대상 면 전체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지만, 멀티 분사 헤드의 운동방향이 바뀌는 과정에서 특정의 부분에만 분사되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코팅층을 고르게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0에 따라서 형성된 코팅층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팅층이 두꺼운 영역과 얇은 영역이 반복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즐이 배열된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노즐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2는 멀티 분사 헤드에서 노즐 배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경우와 달리,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멈추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코팅층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액체가 대상물에 도달하는 형태는 원형이기 때문에, 도 12에서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인다고 하여도, 원의 중심부분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두꺼운 코팅층이 형성되고, 원의 좌우측 끝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얇은 코팅층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도 13은 멀티 분사 헤드에서 노즐 배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다른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분사된 액체가 대상물에 도달하는 원형의 끝부분을 일치시킨 도 12와 달리, 도 13은 각 노즐에서 분사된 원형의 끝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하였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원의 좌우측 끝부분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코팅층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할 수 있지만, 전체적인 코팅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만들기는 매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6015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사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은, 복수의 노즐; 노즐로 분사용액을 공급하는 용액공급부; 및 노즐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이 배치된 형태가, 노즐들이 직선으로 배열되며 서로 나란하게 위치된 2개의 직선구간과 직선구간의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이동부의 움직임에 의해서, 노즐들이 상기한 직선구간과 전환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액공급부에서 분사용액을 공급받아서, 복수의 노즐로 분배하는 용액분배부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용액분배부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용액분배부를 회전이동시킴으로써 노즐들이 직선구간과 전환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액분배부가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 구성되며, 복수의 용액분배부 각각에 용액공급부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노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액공급부가 로터리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이 방향 전환을 위한 멈춤 과정 없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방향 전환을 위하여 움직임이 멈춘 위치에 분사용액이 과다하게 분사되어 코팅층의 두께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서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 상하 이동장치가 추가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하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분사 범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 상하 이동장치가 추가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하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분사 범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멀티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방법으로 형성된 코팅층의 불균일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멀티 분사 헤드에서 노즐 배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모습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멀티 분사 헤드에서 노즐 배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다른 형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은 용액공급부(100), 용액분배부(200), 노즐(300) 및 회전이동부(400)를 포함한다.
용액공급부(100)는 분사용액을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용액공급부(100)는 용액분배부(200)에 연결되어, 용액분배부(200)로 용액을 공급한다. 이러한 용액공급부(100)는 용액이 채워진 저장부가 용액분배부(200)에 직접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고, 분리된 저장부에 저장된 용액을 배관을 통해서 용액분배부(200)로 공급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서는, 용액분배부(200)가 이동하는 구조에 의해서 용액공급부(100)가 용액분배부(200)에 연결된 부분의 위치가 이동한다. 이때, 저장부가 용액분배부(200)에 직접 연결된 형태인 경우에는 용액분배부(200)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배관을 이용하여 용액분배부(200)로 용액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관을 유연성 재질로 구성하여 움직임에 대응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용액분배부(200)의 움직임에 따라서 배관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가 회전되는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용액공급부(100)가 용액분배부(200)에 연결된 부분의 위치가 이동하는 구조에서 용액의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용액공급부(100)는 용액을 정량 주입해주는 디스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린지 펌프, 연동 펌프, 기어 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액분배부(200)는 용액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분사용액을 복수의 노즐(300)에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을 구비한 멀티 분사 헤드에서 노즐(300)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코팅층의 균일성을 높이는 기술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움직이는 노즐(300)에 분사용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용액분배부(200)를 적용하였다.
용액분배부(200)는 용액공급부(100)와 복수의 노즐(300)이 연결되고, 용액공급부(100)에서 공급받은 분사용액을 복수의 노즐(300)에 고르게 분배한다. 이를 위하여 분사용액이 채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 또는 통로가 형성되고, 이 공간 또는 통로에는 용액공급부(100)와 복수의 노즐(300)이 연결된다.
다만,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이 직선으로 배열되는 2개의 직선구간과 이들 직선 구간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용액분배부(200)에 노즐(300)이 부착된 형태이므로, 노즐(300)의 배치 형태가 용액분배부(200)의 외형에 따르게 되며, 상기한 노즐의 배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용액분배부(200)는 유연성 재질로 구성된다.
노즐(300)은 분사용액을 코팅 대상물에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이 배치된 형태에 특징이 있으며,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는 형태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노즐(300)이 배치된 위치는 노즐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2개의 직선구간(310, 320)과 직선구간(310, 320)의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330, 340)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2개의 직선구간(310, 320)의 양단에 2개의 전환구간(330, 340)이 배치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배치된 노즐들의 위치를 일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직선구간(310)에 위치한 노즐들이 직선을 따라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1직선구간(310)의 끝을 지나 제1전환구간(330)을 진행하면서 방향이 전환되며, 제2직선구간(320)에 진입하면 직선을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후에 제2직선구간(320)의 끝을 지나 제2전환구간(340)을 진행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제1직선구간(31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노즐(300)들이 일방향으로 연속 이동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도 10에서 멀티 노즐이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서 움직임이 멈추었던 것과는 분명히 차별되는 구성이고, 종래에 멀티 노즐의 움직임이 멈춘 부분에 용액이 과다 분사되어 코팅층이 두꺼워졌던 문제가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발생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회전이동부(400)는 2개의 직선구간과 2개의 전환구간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을 연속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노즐(300)이 용액분배부(200)에 부착된 구조이므로, 용액분배부(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노즐(300)이 일방향으로 연속이동하도록 하는 회전이동부(400)를 적용하였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이동부(400)는 용액분배부(20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용액분배부(200)에 부착된 복수의 노즐(300)들은 용액분배부(200)의 회전을 따라서 함께 이동함으로써, 분사중인 노즐의 움직임이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균일한 코팅층을 넓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코팅 대상물의 위치와 이동이 동반되어야 한다.
앞서 살펴본 노즐의 배치구조에 대해서, 코팅 대상물은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의 범위에 위치하여야 하고, 코팅 대상물의 일부라도 제1전환구간이나 제2전환구간에 위치하면 해당부분은 코팅층의 두께가 달라진다.
그리고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이 코팅대상물의 전체 면적을 덮지 못하는 경우에는 멀티 분사 헤드에 대하여 코팅대상물이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코팅대상물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에 배치된 노즐의 배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때, 코팅대상물의 이동 속도 등도 조절이 필요하지만, 이는 노즐의 개수와 분사 범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된다.
균일한 코팅층 형성을 위한 코팅 대상물의 위치와 이동 등의 내용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 상하 이동장치가 추가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하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분사 범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은 용액공급부(100), 용액분배부(200), 노즐(300), 회전이동부(400) 및 상하이동부(500)를 포함한다.
용액공급부(100)는 분사용액을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용액공급부(100)는 용액분배부(200)에 연결되어, 용액분배부(200)로 용액을 공급한다. 이러한 용액공급부(100)는 용액이 채워진 저장부가 용액분배부(200)에 직접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고, 분리된 저장부에 저장된 용액을 배관을 통해서 용액분배부(200)로 공급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서는, 용액분배부(200)가 이동하는 구조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용액공급부(100)가 용액분배부(200)에 연결된 부분의 위치가 이동한다. 이때, 저장부가 용액분배부(200)에 직접 연결된 형태인 경우에는 용액분배부(200)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배관을 이용하여 용액분배부(200)로 용액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관을 유연성 재질로 구성하여 움직임에 대응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용액분배부(200)의 움직임에 따라서 배관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가 회전되는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용액공급부(100)가 용액분배부(200)에 연결된 부분의 위치가 이동하는 구조에서 용액의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용액공급부(100)는 용액을 정량 주입해주는 디스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린지 펌프, 연동 펌프, 기어 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액분배부(200)는 용액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분사용액을 복수의 노즐(300)에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을 구비한 멀티 분사 헤드에서 노즐(300)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코팅층의 균일성을 높이는 기술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움직이는 노즐(300)에 분사용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용액분배부(200)를 적용하였다.
용액분배부(200)는 용액공급부(100)와 복수의 노즐(300)이 연결되고, 용액공급부(100)에서 공급받은 분사용액을 복수의 노즐(300)에 고르게 분배한다. 이를 위하여 분사용액이 채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 또는 통로가 형성되고, 이 공간 또는 통로에는 용액공급부(100)와 복수의 노즐(300)이 연결된다.
다만,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이 직선으로 배열되는 2개의 직선구간과 이들 직선 구간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용액분배부(200)에 노즐(300)이 부착된 형태이므로, 노즐(300)의 배치 형태가 용액분배부(200)의 외형에 따르게 되며, 상기한 노즐의 배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용액분배부(200)는 유연성 재질로 구성된다.
노즐(300)은 분사용액을 코팅 대상물에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이 배치된 형태에 특징이 있으며,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는 형태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노즐(300)이 배치된 위치는 노즐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2개의 직선구간(310, 320)과 직선구간(310, 320)의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330, 340)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2개의 직선구간(310, 320)의 양단에 2개의 전환구간(330, 340)이 배치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배치된 노즐들의 위치를 일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직선구간(310)에 위치한 노즐들이 직선을 따라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1직선구간(310)의 끝을 지나 제1전환구간(330)을 진행하면서 방향이 전환되며, 제2직선구간(320)에 진입하면 직선을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후에 제2직선구간(320)의 끝을 지나 제2전환구간(340)을 진행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제1직선구간(31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노즐(300)들이 일방향으로 연속 이동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도 10에서 멀티 노즐이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서 움직임이 멈추었던 것과는 분명히 차별되는 구성이고, 종래에 멀티 노즐의 움직임이 멈춘 부분에 용액이 과다 분사되어 코팅층이 두꺼워졌던 문제가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발생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회전이동부(400)는 2개의 직선구간과 2개의 전환구간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을 연속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노즐(300)이 용액분배부(200)에 부착된 구조이므로, 용액분배부(2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노즐(300)이 일방향으로 연속이동하도록 하는 회전이동부(400)를 적용하였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이동부(400)는 용액분배부(20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용액분배부(200)에 부착된 복수의 노즐(300)들은 용액분배부(200)의 회전을 따라서 함께 이동함으로써, 분사중인 노즐의 움직임이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500)는 노즐(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노즐(300)에서 분사되는 분사용액이 코팅 대상물에 도달하는 면적은 분사압력과 용액의 특성 및 노즐의 구조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지만, 노즐(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 가장 쉽게 분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이동부(500)를 추가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노즐에서 용액이 분사되는 분사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노즐(300) 전체에 대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노즐(300)이 설치된 용액분배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액분배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이동부(500)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균일한 코팅층을 넓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코팅 대상물의 위치와 이동이 동반되어야 한다.
앞서 살펴본 노즐의 배치구조에 대해서, 코팅 대상물은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의 범위에 위치하여야 하고, 코팅 대상물의 일부라도 제1전환구간이나 제2전환구간에 위치하면 해당부분은 코팅층의 두께가 달라진다.
그리고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이 코팅대상물의 전체 면적을 덮지 못하는 경우에는 멀티 분사 헤드에 대하여 코팅대상물이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코팅대상물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에 배치된 노즐의 배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때, 코팅대상물의 이동 속도 등도 조절이 필요하지만, 이는 노즐의 개수와 분사 범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된다.
균일한 코팅층 형성을 위한 코팅 대상물의 위치와 이동 등의 내용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은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 노즐(300) 및 회전이동부(400)를 포함한다.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는 분사용액을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연결되어,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로 용액을 공급한다.
이때,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들과는 달리 복수의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도 복수로 준비된다.
이러한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는 용액이 채워진 저장부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직접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고, 분리된 저장부에 저장된 용액을 배관을 통해서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로 공급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배관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하나의 저장부에 대하여 복수의 배관으로 연결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서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가 이동하는 구조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연결된 부분의 위치가 이동한다. 이때, 저장부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직접 연결된 형태인 경우에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배관을 이용하여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로 용액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관을 유연성 재질로 구성하여 움직임에 대응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의 움직임에 따라서 배관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가 회전되는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연결된 부분의 위치가 이동하는 구조에서 용액의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는 용액을 정량 주입해주는 디스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린지 펌프, 연동 펌프, 기어 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는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로부터 공급된 분사용액을 복수의 노즐(300)에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을 구비한 멀티 분사 헤드에서 노즐(300)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코팅층의 균일성을 높이는 기술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움직이는 노즐(300)에 분사용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적용하였다. 또한, 용액을 분배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여러 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는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와 복수의 노즐(300)이 연결되고,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에서 공급받은 분사용액을 복수의 노즐(300)에 고르게 분배한다. 이를 위하여 분사용액이 채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 또는 통로가 형성되고, 이 공간 또는 통로에는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와 복수의 노즐(300)이 연결된다.
다만,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이 직선으로 배열되는 2개의 직선구간과 이들 직선 구간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노즐(300)이 부착된 형태이므로, 노즐(300)의 배치 형태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의 외형에 따르게 되며, 상기한 노즐의 배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는 유연성 재질로 구성된다.
노즐(300)은 분사용액을 코팅 대상물에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이 배치된 형태에 특징이 있으며,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는 형태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노즐(300)이 배치된 위치는 노즐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2개의 직선구간(310, 320)과 직선구간(310, 320)의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330, 340)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2개의 직선구간(310, 320)의 양단에 2개의 전환구간(330, 340)이 배치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배치된 노즐들의 위치를 일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직선구간(310)에 위치한 노즐들이 직선을 따라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1직선구간(310)의 끝을 지나 제1전환구간(330)을 진행하면서 방향이 전환되며, 제2직선구간(320)에 진입하면 직선을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후에 제2직선구간(320)의 끝을 지나 제2전환구간(340)을 진행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제1직선구간(31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노즐(300)들이 일방향으로 연속 이동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도 10에서 멀티 노즐이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서 움직임이 멈추었던 것과는 분명히 차별되는 구성이고, 종래에 멀티 노즐의 움직임이 멈춘 부분에 용액이 과다 분사되어 코팅층이 두꺼워졌던 문제가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발생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회전이동부(400)는 2개의 직선구간과 2개의 전환구간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을 연속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노즐(300)이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부착된 구조이므로,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노즐(300)이 일방향으로 연속이동하도록 하는 회전이동부(400)를 적용하였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이동부(400)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부착된 복수의 노즐(300)들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의 회전을 따라서 함께 이동함으로써, 분사중인 노즐의 움직임이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균일한 코팅층을 넓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코팅 대상물의 위치와 이동이 동반되어야 한다.
앞서 살펴본 노즐의 배치구조에 대해서, 코팅 대상물은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의 범위에 위치하여야 하고, 코팅 대상물의 일부라도 제1전환구간이나 제2전환구간에 위치하면 해당부분은 코팅층의 두께가 달라진다.
그리고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이 코팅대상물의 전체 면적을 덮지 못하는 경우에는 멀티 분사 헤드에 대하여 코팅대상물이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코팅대상물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에 배치된 노즐의 배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때, 코팅대상물의 이동 속도 등도 조절이 필요하지만, 이는 노즐의 개수와 분사 범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된다.
균일한 코팅층 형성을 위한 코팅 대상물의 위치와 이동 등의 내용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 상하 이동장치가 추가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하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분사 범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은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 노즐(300) 및 회전이동부(400)를 포함한다.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는 분사용액을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으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연결되어,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로 용액을 공급한다.
이때, 본 실시예는, 세 번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도 복수로 준비된다.
이러한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는 용액이 채워진 저장부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직접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고, 분리된 저장부에 저장된 용액을 배관을 통해서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로 공급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배관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하나의 저장부에 대하여 복수의 배관으로 연결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에서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가 이동하는 구조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연결된 부분의 위치가 이동한다. 이때, 저장부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직접 연결된 형태인 경우에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의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배관을 이용하여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로 용액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배관을 유연성 재질로 구성하여 움직임에 대응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의 움직임에 따라서 배관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가 회전되는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연결된 부분의 위치가 이동하는 구조에서 용액의 공급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는 용액을 정량 주입해주는 디스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린지 펌프, 연동 펌프, 기어 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는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로부터 공급된 분사용액을 복수의 노즐(300)에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을 구비한 멀티 분사 헤드에서 노즐(300)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코팅층의 균일성을 높이는 기술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움직이는 노즐(300)에 분사용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적용하였다. 또한, 용액을 분배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여러 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는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와 복수의 노즐(300)이 연결되고,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에서 공급받은 분사용액을 복수의 노즐(300)에 고르게 분배한다. 이를 위하여 분사용액이 채워져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 또는 통로가 형성되고, 이 공간 또는 통로에는 용액공급부(110, 120, 130, 140)와 복수의 노즐(300)이 연결된다.
다만,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이 직선으로 배열되는 2개의 직선구간과 이들 직선 구간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노즐(300)이 부착된 형태이므로, 노즐(300)의 배치 형태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의 외형에 따르게 되며, 상기한 노즐의 배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의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는 유연성 재질로 구성된다.
노즐(300)은 분사용액을 코팅 대상물에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을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복수의 노즐(300)이 배치된 형태에 특징이 있으며,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는 형태는 도 3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노즐(300)이 배치된 위치는 노즐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2개의 직선구간(310, 320)과 직선구간(310, 320)의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330, 340)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2개의 직선구간(310, 320)의 양단에 2개의 전환구간(330, 340)이 배치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배치된 노즐들의 위치를 일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직선구간(310)에 위치한 노즐들이 직선을 따라서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1직선구간(310)의 끝을 지나 제1전환구간(330)을 진행하면서 방향이 전환되며, 제2직선구간(320)에 진입하면 직선을 따라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후에 제2직선구간(320)의 끝을 지나 제2전환구간(340)을 진행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제1직선구간(31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노즐(300)들이 일방향으로 연속 이동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는 도 10에서 멀티 노즐이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됨에 따라서 움직임이 멈추었던 것과는 분명히 차별되는 구성이고, 종래에 멀티 노즐의 움직임이 멈춘 부분에 용액이 과다 분사되어 코팅층이 두꺼워졌던 문제가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발생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회전이동부(400)는 2개의 직선구간과 2개의 전환구간으로 배치된 복수의 노즐을 연속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노즐(300)이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부착된 구조이므로,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노즐(300)이 일방향으로 연속이동하도록 하는 회전이동부(400)를 적용하였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회전이동부(400)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에 부착된 복수의 노즐(300)들은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의 회전을 따라서 함께 이동함으로써, 분사중인 노즐의 움직임이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500)는 노즐(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노즐(300)에서 분사되는 분사용액이 코팅 대상물에 도달하는 면적은 분사압력과 용액의 특성 및 노즐의 구조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지만, 노즐(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 가장 쉽게 분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이동부(500)를 추가함으로써, 도 9에서와 같이 노즐에서 용액이 분사되는 분사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노즐(300) 전체에 대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노즐(300)이 설치된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액분배부(210, 220, 230, 240)를 회전시키는 회전이동부(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이동부(500)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균일한 코팅층을 넓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코팅 대상물의 위치와 이동이 동반되어야 한다.
앞서 살펴본 노즐의 배치구조에 대해서, 코팅 대상물은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의 범위에 위치하여야 하고, 코팅 대상물의 일부라도 제1전환구간이나 제2전환구간에 위치하면 해당부분은 코팅층의 두께가 달라진다.
그리고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이 코팅대상물의 전체 면적을 덮지 못하는 경우에는 멀티 분사 헤드에 대하여 코팅대상물이 이동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 코팅대상물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제1직선구간과 제2직선구간에 배치된 노즐의 배치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때, 코팅대상물의 이동 속도 등도 조절이 필요하지만, 이는 노즐의 개수와 분사 범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된다.
균일한 코팅층 형성을 위한 코팅 대상물의 위치와 이동 등의 내용은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복수의 노즐에 용액을 분배하기 위한 용액분배부를 포함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노즐에 용액공급부가 직접 용액을 공급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때, 복수의 노즐에 용액을 공급하는 용액공급부에는 로터리 조인트를 적용할 수 있다. 로터리 조인트는, 공급부로 공급된 유체를 회전하는 물체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물체에 연결된 호스가 꼬이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몸체에서 유체를 분배하여 회전하는 물체로 공급한다.
따라서 노즐의 숫자만큼의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로터리 조인트를 적용하면 별도의 용액분배부를 적용하지 않고, 용액공급부에서 노즐로 직접 용액을 공급하는 구조의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복수의 노즐이 회전이동부에 직접 설치되어 움직이도록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로터리 조인트에서 분배되는 배관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로터리 조인트의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세 번째와 네 번째 실시예와 같이, 적정한 개수의 용액분배부를 적용한 뒤에 용액분배부로 용액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로터리 조인트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10, 120, 130, 140: 용액공급부
200, 210, 220, 230, 240: 용액분배부
300: 노즐
310: 제1직선구간
320: 제2직선구간
330: 제1전환구간
340: 제2전환구간
400: 회전이동부
500: 상하이동부

Claims (5)

  1. 분사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노즐;
    노즐로 분사용액을 공급하는 용액공급부; 및
    노즐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이 배치된 형태가, 노즐들이 직선으로 배열되며 서로 나란하게 위치된 2개의 직선구간과 직선구간의 사이에서 방향이 전환되는 2개의 전환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이동부의 움직임에 의해서, 노즐들이 상기한 직선구간과 전환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액공급부에서 분사용액을 공급받아서, 복수의 노즐로 분배하는 용액분배부를 더 포함하며,
    복수의 노즐은 상기 용액분배부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이동부는 상기 용액분배부를 회전이동시킴으로써 노즐들이 직선구간과 전환구간을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액분배부가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 구성되며, 복수의 용액분배부 각각에 용액공급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4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공급부가 로터리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KR1020210189389A 2021-12-28 2021-12-28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KR20230099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89A KR20230099937A (ko) 2021-12-28 2021-12-28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89A KR20230099937A (ko) 2021-12-28 2021-12-28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37A true KR20230099937A (ko) 2023-07-05

Family

ID=8715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389A KR20230099937A (ko) 2021-12-28 2021-12-28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9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15B1 (ko) 2019-12-05 2020-11-06 박종수 노즐 막힘 방지수단을 구비한 노즐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방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15B1 (ko) 2019-12-05 2020-11-06 박종수 노즐 막힘 방지수단을 구비한 노즐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방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2590C2 (ru) Головка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вающего продукта на поверхность, подлежащую нанесению покрытия, и система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вающего продукт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ую головку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вающего продукта
US8985483B2 (en) Adjustable trajectory spray nozzles
CN101605611B (zh) 引导空气环以及对应的喷涂方法
JPH10328585A (ja) 連続面体に液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添加媒体を施す方法と装置
US11427934B2 (en) Digital electrospinning array
US20130233245A1 (en) Electrostatic spray printing appratus
CN112439659B (zh) 清洗方法、喷砂方法
KR20230099937A (ko) 연속 이동 방식의 멀티 분사 헤드 시스템
KR101263602B1 (ko) 콘젯 모드 정전기 스프레이 장치
JP3712010B2 (ja) ゴルフボールの塗装方法
CN112958305B (zh) 静电喷射喷头阵列的电场分布控制装置、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3693882A (en) Device for spraying liquid
CN107245763A (zh) 一种静电纺丝阵列式喷头
KR101506456B1 (ko) 균일한 코팅이 가능한 코팅 시스템
JP6779443B2 (ja) 燃料電池の製造方法
KR20170056348A (ko) 박막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US7175108B2 (en) Applicator and nozzle for dispensing controlled patterns of liquid material
JP2016123942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方法と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
WO2016098869A1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及び、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CN103752450A (zh) 喷涂设备
JP6780171B2 (ja) 流体の噴出方法および流体の成膜方法
KR102622119B1 (ko) 오버코팅 방지형 전기분사식 코팅 장치 및 오버코팅 방지 시스템
US6123269A (en) Liqui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statically deflecting a continuous strand of high viscosity viscoelastic nonconductive liquid
KR20050041198A (ko) 정전방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105579146B (zh) 涂装装置及涂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