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344A -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344A
KR20230099344A KR1020210188625A KR20210188625A KR20230099344A KR 20230099344 A KR20230099344 A KR 20230099344A KR 1020210188625 A KR1020210188625 A KR 1020210188625A KR 20210188625 A KR20210188625 A KR 20210188625A KR 20230099344 A KR20230099344 A KR 20230099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assembly
jig
cli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곽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티엠
Priority to KR102021018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344A/ko
Publication of KR2023009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65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ixed on or to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4Arrangements of liquid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2부품(10,20)의 파이프부(11,21)와 호스(30)가 제1,2클립(40,50)을 매개로 조립된 완성품(80)을 제작하기 위한 발명으로, 제1,2부품(10,20)의 파이프부(11,21)와 호스(30)의 정확한 연결부위에 제1,2클립(40,50)을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파이프부(11,21)와 호스(30)의의 결합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각수 또는 부동액의 누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HOSE}
본 발명은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을 이용해서 파이프와 호스를 보다 정확하고 강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냉각수는 워터펌프에 의해 강제 순환하면서 엔진의 과열 및 과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량의 부동액은 물과 에틸렌글리콜이 혼합된 액체로 차량 내연기관의 과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의 냉각수 또는 부동액은 보통 호스 및 파이프를 통해 차량 내 부품의 목표위치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냉각수 또는 부동액의 이동을 안내하는 부품으로 호스와 파이프가 연결된 부품을 사용한다.
호스와 파이프의 연결은 보통 클립부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클립부재가 정확한 위치에 조립되지 않을 경우 호스와 파이프의 결합력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냉각수 또는 부동액의 누유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1996-0031868호
본 발명은, 클립을 이용해서 파이프와 호스를 조립하는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로서, 파이프와 호스의 정확한 연결부위에 클립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스와 파이프의 결합력 강화 및 이를 통한 냉각수 또는 부동액의 누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부품의 파이프부와 제2부품의 파이프부가 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파이프부 및 호스가 클립에 의해 결합되는 호스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스에 제1클립과 제2클립을 끼우고, 제1부품의 파이프부에 호스의 일단을 끼워서 제1부품과 호스가 연결된 1차가조립품을 완성하는 제1단계; 상기 1차가조립품을 지그의 제1고정부에 로딩시켜서 고정하고, 제2부품을 지그의 제2고정부에 로딩시켜서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지그에 구비된 센터실린더의 작동으로 센터실린더의 홀더가 1차가조립품의 호스를 홀딩하여 고정시키고, 지그에 구비된 사이드실린더의 작동으로 제2부품이 고정된 제2고정부가 이동하여 제2부품의 파이프부가 호스의 타단에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1차가조립품과 제2부품이 연결된 2차가조립품을 완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2차가조립품에서 제1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의 일단을 제1클립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제2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의 타단을 제2클립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완성품의 제작을 완료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계를 실행하기 전에 호스의 양단 내주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예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1차가조립품을 지그의 제1고정부에 로딩시켜서 고정할 때에는 지그의 제1고정부에 제1부품을 로딩시켜서 고정하고, 호스의 타단은 지그의 제2고정부를 향하며, 제2부품의 파이프부는 호스의 타단을 향하도록 지그의 제2고정부에 로딩되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 사이드실린더의 작동으로 지그의 제2고정부가 이동하여 제2부품의 파이프부가 호스의 타단속으로 삽입되면서 압입될 때에 1차가조립품을 구성하는 제1부품의 파이프부도 호스의 일단속으로 동시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단계를 통해 2차가조립품이 완성되고 나면 지그에 구비된 레이저센서가 가동하여 센서의 빛이 제1클립과 제2클립의 조립위치에 조사되고; 상기 제1클립과 제2클립은 센서의 빛이 조사된 위치로 각각 이동을 한 후 조여져서 제1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의 일단 및 제2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의 타단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예비단계와 제1단계 및 제2단계와 제4단계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상기 제3단계는 지그에서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조립장치는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는 1차가조립품의 제1부품이 로딩되어서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2부품이 로딩되어서 고정되는 제2고정부; 상기 1차가조립품의 호스를 홀딩시키는 홀더를 구비한 센터실린더; 상기 제2부품이 고정된 제2고정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사이드실린더; 및 상기 2차가조립품에서 제1클립 및 제2클립의 조립위치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레이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1,2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가 제1,2클립을 매개로 조립된 완성품을 제작하기 위한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로서, 제1,2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의 정확한 연결부위에 제1,2클립을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파이프부와 호스의 결합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각수 또는 부동액의 누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1부품과 제2부품 및 호스가 분리된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이 완료된 완성품의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제1부품과 제2부품 및 호스가 분리된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도 1의 부품들이 결합이 완료된 완성품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1부품(10)과 제2부품(20) 및 호스(30)가 제1클립(40)과 제2클립(50)을 매개로 결합된 완성품()을 제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에는 각각 파이프부(11,21)가 구비되고, 호스(30)의 일단과 타단은 제1부품(10)의 파이프부(11) 및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와 각각 제1클립(40)과 제2클립(50)을 매개로 결합되어서 본 발명에 따라 냉각수 또는 부동액 등의 액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완성품()을 제작하게 된다.
제1부품(10)과 제2부품(20)에는 호스(30)의 결합을 위한 파이프부(11,21)가 구비된다.
제1부품(10)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유량제어밸브 또는 열관리 통합제어밸브의 피팅(fitting)부품이 될 수 있고, 제2부품(20)은 차량에서 사용되는 유량제어밸브 또는 열관리 통합제어밸브의 커넥터(connector)부품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호스(3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서 일단은 제1부품(10)의 파이프부(11)와 제1클립(40)을 매개로 결합되고 타단은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와 제2클립(50)을 매개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 조립방법은 도 3과 같이 호스(30)에 제1클립(40)과 제2클립(50)을 끼우고, 제1부품(10)의 파이프부(11)에 호스(30)의 일단을 끼워서 제1부품(10)과 호스(30)가 연결된 1차가조립품(60)을 완성하는 제1단계;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1차가조립품(60)을 지그(100)의 제1고정부(110)에 로딩시켜서 고정하고, 제2부품(20)을 지그(100)의 제2고정부(120)에 로딩시켜서 고정하는 제2단계; 도 6과 같이 지그(100)에 구비된 센터실린더(130)의 작동으로 센터실린더(130)의 홀더(131)가 1차가조립품(60)의 호스(30)를 홀딩하여 고정시키고, 지그(100)에 구비된 사이드실린더(140)의 작동으로 제2부품(20)이 고정된 제2고정부(120)가 이동하여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가 호스(30)의 타단에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1차가조립품(60)과 제2부품(20)이 연결된 2차가조립품(70)을 완성하는 제3단계; 및 도 7과 같이 2차가조립품(70)에서 제1부품(10)의 파이프부(11)와 호스(30)의 일단을 제1클립(40)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와 호스(30)의 타단을 제2클립(50)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완성품(80)의 제작을 완료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도 2에는 제작이 완료된 완성품(8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에는 완성품(80)이 분해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제1단계를 실행하기 전에 호스(30)의 양단 내주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예비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비단계는 호스(30)에 제1클립(40)과 제2클립(30)이 끼워진 상태에서 진행되며, 윤활제가 뿜어져 나오는 기기를 이용해서 호스(30)의 양단 내주면에 윤활제를 도포한다.
윤활제는 그리스(greese)와 같이 마찰을 없애주는 해주는 오일이고, 윤활제에 의해 호스(30)의 양단 내부로 제1부품(10)의 파이프부(11) 및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가 마찰없이 용이하게 끼워지게 된다.
상기 예비단계 및 도 3의 1차가조립품(60)을 완성하는 제1단계는 지그(100)와 상관없이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제1단계가 종료되고 나면 작업자는 도 4와 같이 1차가조립품(60)을 지그(100)의 제1고정부(110)에 로딩시키고, 제2부품(20)을 지그(100)의 제2고정부(120)에 로딩시게 된다.
지그(100)의 제1고정부(110)에는 1차가조립품(60)의 제1부품(10)이 로딩된다.
지그(100)의 제1고정부(110)와 제2고정부(120)에 1차가조립품(60) 및 제2부품(20)을 로딩시키는 작업은 작업자의 수동을 진행된다.
지그(100)의 제1고정부(110)에 로딩된 1차가조립품(60)의 제1부품(10)은 제1고정부(110)의 클램프(111)에 의해 고정되고, 지그(100)의 제2고정부(120)에 로딩된 제2부품(20)은 제2고정부(120)의 클램프(121)에 의해 고정된다.
클램프(111,121)에 의한 1차가조립품(60)의 제1부품(10) 고정 및 제2부품(20)의 고정은 지그(100)에서 자동으로 진행된다.
지그(100)의 제1고정부(110)에 1차가조립품(60)이 로딩된 후 클램프(111)에 의해 고정되고, 지그(100)의 제2고정부(120)에 제2부품(20)이 로딩된 후 클램프(121)에 의해 고정되고 나면, 호스(30)의 타단은 지그(100)의 제2고정부(120)를 향하게 되고,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는 호스(30)의 타단을 향하게 된다.
즉, 호스(30)의 타단과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의 끝단은 일직선으로 마주 대하는 상태가 된다.
도 4 내지 도 5의 제2단계가 완료되고 나면, 도 6과 같이 지그(100)에 구비된 센터실린더(130)가 작동하며, 센터실린더(130)의 작동으로 센터실린더(130)와 연결된 홀더(131)가 전진해서 홀더(131)가 1차가조립품(60)의 호스(30)를 홀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동시에 지그(100)에 구비된 사이드실린더(140)가 작동하고, 사이드실린더(140)는 제2부품(20)이 고정된 제2고정부(120)와 연결되어서 제2고정부(120)를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사이드실린더(140)의 작동으로 제2부품(20)이 고정된 제2고정부(120)는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며, 이로 인해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는 호스(30)의 타단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제2고정부(120)의 이동으로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는 호스(30)의 타단속으로 삽입되면서 압입되고, 동시에 1차가조립품(60)을 구성하는 제1부품(10)의 파이프부(11)도 호스(30)의 일단속으로 압입되며, 이로 인해 1차가조립품(60)과 제2부품(20)이 연결된 2차가조립품(70)이 완성된다.
2차가조립품(70)을 완성하는 단계는 지그(100)에서 자동으로 진행된다.
도 6과 같이 2차가조립품(70)이 완성되고 나면, 도 7과 같이 지그(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레이저센서(150)가 가동하고, 레이저센서(150)에서 조사된 빛(151)은 제1클립(40) 및 제2클립(50)의 조립위치로 조사된다.
제1클립(40) 및 제2클립(50)의 조립위치는 제1부품(10)의 파이프부(11)와 호스(30)의 일단이 중첩된 부위 및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와 호스(30)의 타단이 중첩된 부위가 된다.
레이저센서(150)의 빛(151)이 조사되는 과정은 지그(100)에서 자동으로 진행된다.
2차가조립품(70)에서 제1클립(40) 및 제2클립(50)의 조립위치에 레이저센서(150)의 빛(151)이 조사되면, 작업자는 제1클립(40)을 빛(151)이 조사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클립(40)을 조여서 제1부품(10)의 파이프부(11)와 호스(30)의 일단을 결합시키고, 또한 작업자는 제2클립(50)을 빛(151)이 조사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2클립(50)을 조여서 제2부품(20)의 파이프부(21)와 호스(30)의 타단을 결합시키게 되며, 이를 통해 제1부품(10)과 제2부품(20) 및 호스(30)가 클립(40,50)을 매개로 결합이 완료된 완성품(80)의 제작을 완료하게 된다.
제1클립(40)과 제2클립(50)을 조여서 결합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품(80)의 제작이 완료되면 지그(100)의 클램프(111,121)를 언클램핑시킨 후 지그(100)로부터 완성품(80)을 취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조립장치는 지금까지 전술한 호스의 조립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지그(100)이며, 지그(100)는 1차가조립품(60)의 제1부품(10)이 로딩되어서 고정되는 제1고정부(110); 제2부품(20)이 로딩되어서 고정되는 제2고정부(120); 1차가조립품(60)의 호스(30)를 홀딩시키는 홀더(131)를 구비한 센터실린더(130); 제2부품(20)이 고정된 제2고정부(120)를 직선 이동시키는 사이드실린더(140); 및 2차가조립품(70)에서 제1클립(40) 및 제2클립(50)의 조립위치로 빛(151)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레이저센서(150);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제1,2부품(10,20)의 파이프부(11,21)와 호스(30)가 제1,2클립(40,50)을 매개로 조립된 완성품(80)을 제작하기 위한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로서, 제1,2부품(10,20)의 파이프부(11,21)와 호스(30)의 정확한 연결부위에 제1,2클립(40,50)을 결합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됨으로써 파이프부(11,21)와 호스(30)의 결합력 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각수 또는 부동액의 누유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제1부품 11,21 - 파이프부
20 - 제2부품 30 - 호스
40 - 제1클립 50 - 제2클립
60 - 1차가조립품 70 - 2차가조립품
80 - 완성품 100 - 지그
110 - 제1고정부 111 - 클램프
120 - 제2고정부 121 - 클램프
122 - 가이드레일 130 - 센터실린더
131 - 홀더 140 - 사이드실린더
150 - 레이저센서 151 - 레이저센서에서 조사된 빛

Claims (7)

  1. 제1부품의 파이프부와 제2부품의 파이프부가 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파이프부 및 호스가 클립에 의해 결합되는 호스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스에 제1클립과 제2클립을 끼우고, 제1부품의 파이프부에 호스의 일단을 끼워서 제1부품과 호스가 연결된 1차가조립품을 완성하는 제1단계;
    상기 1차가조립품을 지그의 제1고정부에 로딩시켜서 고정하고, 제2부품을 지그의 제2고정부에 로딩시켜서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지그에 구비된 센터실린더의 작동으로 센터실린더의 홀더가 1차가조립품의 호스를 홀딩하여 고정시키고, 지그에 구비된 사이드실린더의 작동으로 제2부품이 고정된 제2고정부가 이동하여 제2부품의 파이프부가 호스의 타단에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1차가조립품과 제2부품이 연결된 2차가조립품을 완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2차가조립품에서 제1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의 일단을 제1클립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제2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의 타단을 제2클립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에 따라 완성품의 제작을 완료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립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를 실행하기 전에 호스의 양단 내주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예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립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1차가조립품을 지그의 제1고정부에 로딩시켜서 고정할 때에는 지그의 제1고정부에 제1부품을 로딩시켜서 고정하고, 호스의 타단은 지그의 제2고정부를 향하며, 제2부품의 파이프부는 호스의 타단을 향하도록 지그의 제2고정부에 로딩되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립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사이드실린더의 작동으로 지그의 제2고정부가 이동하여 제2부품의 파이프부가 호스의 타단속으로 삽입되면서 압입될 때에 1차가조립품을 구성하는 제1부품의 파이프부도 호스의 일단속으로 동시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립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를 통해 2차가조립품이 완성되고 나면 지그에 구비된 레이저센서가 가동하여 센서의 빛이 제1클립과 제2클립의 조립위치에 조사되고;
    상기 제1클립과 제2클립은 센서의 빛이 조사된 위치로 각각 이동을 한 후 조여져서 제1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의 일단 및 제2부품의 파이프부와 호스의 타단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립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예비단계와 제1단계 및 제2단계와 제4단계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상기 제3단계는 지그에서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립방법.
  7. 청구항 2의 호스 조립방법을 진행하기 위한 지그이고;
    상기 지그는 1차가조립품의 제1부품이 로딩되어서 고정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2부품이 로딩되어서 고정되는 제2고정부;
    상기 1차가조립품의 호스를 홀딩시키는 홀더를 구비한 센터실린더;
    상기 제2부품이 고정된 제2고정부를 직선 이동시키는 사이드실린더; 및
    상기 2차가조립품에서 제1클립 및 제2클립의 조립위치로 빛을 조사하는 복수개의 레이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조립장치.
KR1020210188625A 2021-12-27 2021-12-27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 KR20230099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625A KR20230099344A (ko) 2021-12-27 2021-12-27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625A KR20230099344A (ko) 2021-12-27 2021-12-27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344A true KR20230099344A (ko) 2023-07-04

Family

ID=87156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625A KR20230099344A (ko) 2021-12-27 2021-12-27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3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868A (ko) 1995-02-22 1996-09-17 외르겐 에스. 라스무센 파이프 단부에 체결되는 호스 단부 체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868A (ko) 1995-02-22 1996-09-17 외르겐 에스. 라스무센 파이프 단부에 체결되는 호스 단부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2511B (zh) 一种排气管定位装置
US20110057017A1 (en) Fluid conduit assembly
US7121305B2 (en) Method for lining an existing pipe and collar for protecting a lining material
JP4331679B2 (ja) 排ガス熱伝達体およびそれを形成する方法
KR20220042329A (ko) 급격한 휨 기술을 사용한 금속 시일 끼워맞춤
KR20230099344A (ko) 호스 조립방법 및 장치
ATE274137T1 (de) Kühlungsregelungsvorrichtung einer fahrzeugbrennkraftmaschine während eines heissstarts
CN101889134A (zh) 节流阀
US6955147B2 (en) Engine cylinder head cove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9897772B2 (en) Fixing module for fixing an optical system to an optical apparatus and an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5033259A (ja) 通信用線路のガス漏れ補修方法
CN100549370C (zh) 直接固定在固定面上的用于油或液体的容器
US6398265B1 (en) Fluids conduction integrated system
US20160288278A1 (en) Heat exchanger assembly process and system
KR102219102B1 (ko) 자동차 유압호스 누출시험장치
EP2802802A2 (en) Pipe repair means
KR20220013176A (ko)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JP2002089279A (ja) エンジン、特にオートバイ用エンジン
JP2008075695A (ja) ホース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64018A (en) Belt repair system and method
KR102041086B1 (ko) 셀프 후크를 구비한 보스
JP4078076B2 (ja) 流体圧シリンダおよびクランプ装置
KR20200003972A (ko) 자동차의 배기계용 클램핑 장치
US11015513B1 (en) Cooling device
WO2006101914A1 (en) Electromagnetic forming cri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