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176A -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176A
KR20220013176A KR1020200092370A KR20200092370A KR20220013176A KR 20220013176 A KR20220013176 A KR 20220013176A KR 1020200092370 A KR1020200092370 A KR 1020200092370A KR 20200092370 A KR20200092370 A KR 20200092370A KR 20220013176 A KR20220013176 A KR 20220013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air conditioner
socket
hea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휘
백승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2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3176A/ko
Publication of KR2022001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중공홀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조인트부와, 조인트부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부와, 조인트부와 내측부의 사이로 배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배관과 조인트부의 사이로 삽입되는 외측부와, 조인트부와 상기 외측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을 갖는 실링부 및 외측부를 감싸며 조인트부에 체결되 조인트부를 향한 방향으로 외측부를 가압하는 소켓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AIR CONDITIONER PLUMBING CONNEC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PLUMBING CONNECTION METHOD}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을 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사이클을 형성한다. 공기조화기의 냉매는 배관을 따라 이동된다.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배관 설치 및 배관의 연장시 용접에 의한 고정방법을 사용한다.
종래에는 공기조화기의 배관 설치 작업 및 배관 연장 작업시, 용접기의 화염을 이용하여 용가재를 녹인 후, 모재인 배관을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배관을 접합하는 브레이징 작업시 화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 사고 및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되는 배관에 오링을 설치하여 기밀 작업을 하는 경우, 배관의 외측에 스크래치에 의한 홈을 제거하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54490호(2009.06.01 공개, 발명의 명칭: 공기조화기용 연결배관의 체결구조 및 체결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관을 연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의 외측에 형성된 홈을 제거하여 배관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는, 외측부가 배관과 조인트부의 사이로 이동되며, 배관을 가압하므로 배관의 이동을 구속하는 동작과 함께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링부가 외측부와 조인트부의 사이에 설치되므로 배관의 외측으로 누설된 냉매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켓부가 조인트부에 체결되는 동작에 의해, 외측부가 배관을 가압하여 1차로 냉매의 누설이 차단되며, 소켓부에 밀려 이동하는 외측부에 의해 실링부가 가압되어 2차로 냉매의 누설이 차단될 수 있으며, 용접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관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와 함께 이동되는 외측부가 배관의 외측을 가압하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배관의 외측에 형성된 홈이 외측부에 눌려 제거되어 배관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링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는 조인트부와 내측부와 외측부와 실링부와 소켓부를 포함한다. 또한 조인트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중공홀부가 내측에 구비된다. 또한 내측부는 상기 조인트부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외측부는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내측부의 사이로 배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과 상기 조인트부의 사이로 삽입된다. 또한 실링부는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외측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을 갖는다. 또한 소켓부는 상기 외측부를 감싸며 상기 조인트부에 체결되며, 상기 조인트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외측부를 가압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부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중공홀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조인트몸체와, 상기 조인트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나사산이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중공홀부와 연통되는 제2중공홀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연결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조인트몸체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며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는, 상기 안내경사부를 통해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조인트몸체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는 내측머리부재와, 상기 내측머리부재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머리부재의 외경은 상기 배관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내측몸체의 외경은 상기 배관의 내경과 같거나 작다.
또한 상기 외측부는, 상기 연결몸체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소켓부에 의해 상기 조인트부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외측머리부재 및 상기 외측머리부재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관과 상기 안내경사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몸체는, 상기 안내경사부를 따라 상기 배관이 위치한 내측으로 휘어지는 변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가 상기 내측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배관을 가압하므로 상기 변형부와 상기 내측부의 사이에 상기 배관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안내경사부의 입구내경은 상기 외측몸체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안내경사부의 출구내경은 상기 외측몸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외측머리부재와 상기 연결몸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외측머리부재의 이동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배관이 위치하는 내측홀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머리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소켓몸체와, 상기 소켓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몸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나사산에 맞물리는 제2나사산이 내측에 구비되는 소켓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부의 양측에 상기 내측부와 상기 배관과 상기 외측부와 상기 실링부와 상기 소켓부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방법은, 조인트부의 내측에 내측부를 설치하는 제1단계와, 배관이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내측부의 사이로 이동되어 상기 조인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단계와, 실링부가 상기 조인트부와 외측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단계와, 상기 외측부가 상기 배관과 상기 조인트부의 사이로 삽입되는 제4단계와, 소켓부가 상기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조인트부의 외측에 체결되는 제5단계와, 상기 소켓부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조인트부에 체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며, 상기 조인트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외측부와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며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는 제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외측부는 상기 조인트부에 구비된 안내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며 형상이 변형되므로, 상기 내측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배관을 가압하여 상기 배관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외측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배관의 외측 표면의 스크래치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외측부에 구비된 외측머리부재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냉매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은, 소켓부가 조인트부에 체결되는 동작에 의해 용접 작업 없이도 배관이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부의 체결에 의해 외측부가 배관과 조인트부의 사이로 이동되며 배관을 가압하므로, 배관의 이동을 구속하는 동작과 함께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배관의 연결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부가 외측부와 조인트부의 사이에 설치되므로 배관의 외측으로 누설된 냉매의 이동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링부와 함께 이동되는 외측부가 배관의 외측을 가압하므로, 배관의 외측에 형성된 홈이 외측부에 눌리며 제거되어 배관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링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에 내측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에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와 외측부가 조인트부에 가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1)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1)는, 조인트부(10)와 내측부(20)와 외측부(30)와 실링부(40)와 소켓부(50)를 포함한다.
조인트부(1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중공홀부가 내측에 구비되며, 복수의 배관(60)을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10)는, 조인트몸체(11)와 연결몸체(1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몸체(11)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중공홀부(12)가 내측에 구비된다. 제1중공홀부(12)는 조인트몸체(11)의 양측으로 개구된다. 따라서 제1중공홀부(12)를 통해 일측(도 3기준 좌측)에서 타측(도 3기준 우측)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냉매가 이동될 수 있다.
연결몸체(13)는 조인트몸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나사산(15)이 외측에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몸체(13)는 조인트몸체(11)의 양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연결몸체(13)의 내측에는 제1중공홀부(12)와 연통되는 제2중공홀부(14)가 구비된다.
제1중공홀부(12)의 내경을 제1내경(D1)이라 하며, 제2중공홀부(14)의 내경을 제2내경(D2)이라 할 때, 제1내경(D1) 보다 제2내경(D2)이 크다. 그리고 조인트몸체(11)와 연결몸체(13)의 경계는 단차를 이루므로, 제2중공홀부(14)의 내측으로 삽입된 내측부(20)가 조인트몸체(11)에 접하며 이동이 구속된다.
또한 연결몸체(13)의 단부에는 내측부(20)와 외측부(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부(16)가 구비된다. 안내경사부(16)는 연결몸체(13)의 단부에서 조인트몸체(11)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구비한다. 안내경사부(16)는 제2중공홀부(14)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내측부(20)와 외측부(30)의 이동을 안내한다.
안내경사부(16)의 입구는 넓고 조인트몸체(11)를 향한 출구는 좁게 형성된다. 안내경사부(16)의 입구내경(D3)은 출구내경(D4) 보다 크며, 안내경사부(16)의 출구내경(D4)은 제2중공홀부(14)의 제2내경(D2)과 같다. 안내경사부(16)의 입구는 안내경사부(16)의 출구 보다 조인트몸체(11)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내측부(20)는 조인트부(10)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20)는, 내측머리부재(22)와 내측몸체(2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머리부재(22)는 안내경사부(16)를 통해 연결몸체(13)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조인트몸체(11)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머리부재(22)는 연결몸체(13)의 제2내경(D2)과 같거나 작은 외경을 구비한다.
따라서 내측부(20)의 내측머리부재(22)가 안내경사부(16)와 제2중공홀부(14)의 내측을 따라 조인트몸체(11)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내측머리부재(22)는 제1내경(D1)보다 크므로 조인트몸체(11)의 외측에 걸리므로, 내측머리부재(22)는 조인트몸체(11)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
내측몸체(24)는 내측머리부재(22)에서 연장되며, 배관(60)의 내측에 위치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몸체(24)는 원통형이며, 배관(60)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내측머리부재(22)의 외경인 제1외경(D5)은, 배관(60)의 내경보다 크며, 내측몸체(24)의 외경인 제2외경(D6)은 상기 배관(60)의 내경과 같거나 작다. 따라서 내측몸체(24)의 외측으로 배관(60)이 삽입된 후 내측머리부재(22)에 걸려서 배관(60)의 이동이 구속된다.
외측부(30)는 조인트부(10)와 내측부(20)의 사이로 배관(60)이 설치된 상태에서, 배관(60)과 조인트부(10)의 사이로 삽입되어 배관(60)의 이동을 구속하는 한편 배관(60)의 외측으로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부(30)는 외측머리부재(32)와 외측몸체(3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머리부재(32)는 연결몸체(13)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소켓부(50)에 의해 조인트부(10)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머리부재(32)는 원주 형상을 따라 연장된다. 외측머리부재(32)의 내경은 배관(60)의 외경 보다 크다. 또한 외측머리부재(32)는 소켓부(50)에 의해 가압되므로 조인트몸체(11)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외측머리부재 외경(D7)은 소켓부(50)의 내경보다 작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1)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몸체(34)는 외측머리부재(32)에서 연장되며, 배관(60)과 안내경사부(16)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몸체(34)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몸체(34)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안내경사부(16)를 따라 이동되며 배관(60)이 위치한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몸체(34)는, 안내경사부(16)를 따라 배관(60)이 위치한 내측으로 휘어지는 변형부(36)를 구비할 수 있다. 변형부(36)가 내측부(20)를 향한 방향으로 배관(60)을 가압하므로, 변형부(36)와 내측부(20)의 사이에 배관(60)이 고정된다.
배관(60)과 외측몸체(34)는 외력에 의해 소성 변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측몸체(34) 보다 소켓부(50)의 강성이 높다. 따라서 소켓부(50)가 조인트부(10)에 체결되며 조인트몸체(11)를 향하여 이동될 때, 외측부(30)도 소켓부(50)에 밀려서 조인트몸체(11)를 향하여 이동된다. 외측부(30)의 외측몸체(34)는 배관(60)과 안내경사부(16)의 사이로 이동되며, 외측몸체(34)의 일부는 안내경사부(16)의 경사진 형상에 의해 배관(60)이 위치한 내측으로 휘어지며 변형부(36)를 형성한다.
안내경사부(16)의 입구내경(D3)은 외측몸체(34)의 외경보다 크며, 안내경사부(16)의 출구내경(D4)은 외측몸체(34)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몸체(34)는 안내경사부(16)를 통과하지 못하고 변형부(36)를 형성하며 내측몸체(24)를 향한 방향으로 배관(60)을 가압한다.
내측머리부재(22)는 내측몸체(24)의 일측(도 3기준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외측머리부재(32)는 외측몸체(34)의 타측(도 3기준 우측)에 위치한다.
한편 배관(60)의 외측에 스크래치에 의한 홈이 구비된 경우, 외측몸체(34)의 단부가 배관(60)의 외측을 가압하며 이동하므로 배관(60)의 외측에 형성된 홈이 제거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배관외경(P2)은 제2내경(D2) 보다 작으며, 배관내경(P1)은 제2외경(D6) 보다 크다. 따라서 배관(60)이 내측몸체(24)의 외측을 따라 길이방향(L)으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배관(60)이 연결몸체(13)의 내측을 따라 길이방향(L)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실링부(40)는 조인트부(10)와 외측부(30)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을 갖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40)는 외측머리부재(32)와 연결몸체(13)의 사이에 위치하며, 외측머리부재(32)의 이동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실링부(40)는 오링을 사용하며 고무를 재질로 한다. 소켓부(50)의 체결에 의해 외측부(30)가 이동되며, 외측부(30)와 조인트부(10)의 단부 사이에 위치한 실링부(40)는 압축되므로 기밀성이 높아진다. 또한 실링부(40)는 배관(60)과 직접 접촉되는 구조가 아니고, 외측부(30)와 조인트부(10)와 소켓부(50)에 접촉되어 기밀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실링부(40)에 접하지 않아도 되므로 마찰력이 저감되어 배관(60)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관(60) 삽입 작업시 실링부(40)가 배관(60)에 밀려서 탈거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소켓부(50)는 외측부(30)를 감싸며 조인트부(10)에 체결되며, 조인트부(10)를 향한 방향으로 외측부(30)를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부(50)는 소켓몸체(52)와 소켓연장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몸체(52)는 배관(60)이 위치하는 내측홀부(54)를 구비하며, 외측머리부재(32)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몸체(52)는 배관(6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내측홀부(54)가 내측에 위치한다.
소켓연장부(56)는 소켓몸체(52)에서 연장되어 조인트몸체(11)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나사산(15)에 맞물리는 제2나사산(58)이 내측에 구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연장부(56)는 원통 형상이며, 소켓연장부(56)의 내경은 외측머리부재(32) 및 연결몸체(13)의 외경보다 크다.
조인트부(10)를 통해 복수의 배관(60)이 연결되며, 이를 위해 조인트부(10)의 양측에 내측부(20)와 배관(60)과 외측부(30)와 실링부(40)와 소켓부(5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인트부(10)에 3개 이상의 배관(60)이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배관(60)만 연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60) 연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부(10)에 내측부(2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60) 연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60) 연결방법은, 조인트부(10)의 내측에 내측부(20)를 설치하는 제1단계(S10)를 갖는다.
내측부(20)의 내측머리부재(22)는 안내경사부(16)를 통해 제2중공홀부(14)로 이동된 후 조인트몸체(11)에 걸린다. 그리고 내측몸체(24)는 연결몸체(1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20)에 배관(6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60)이 조인트부(10)와 내측부(20)의 사이로 이동되어 조인트부(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단계(S20)를 갖는다. 배관(60)을 이동시켜 내측몸체(24)가 배관(6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내측몸체(24)를 따라 이동되는 배관(60)은 내측머리부재(22)에 접하며 이동이 구속된다. 배관(60)의 외측에는 조인트부(10)의 연결몸체(13)가 위치한다.
그리고 실링부(40)가 조인트부(10)와 외측부(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단계(S30)를 갖는다. 오링을 사용하는 실링부(40)는 연결몸체(13)의 단부와 외측머리부재(32)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40)와 외측부(30)가 조인트부(10)에 가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30)가 배관(60)과 조인트부(10)의 사이로 삽입되는 제4단계(S40)를 갖는다. 외측몸체(34)의 단부가 안내경사부(16)에 삽입된 상태의 가조립 단계를 갖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1)의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부(50)가 외측부(30)를 감싸는 형상으로 조인트부(10)의 외측에 체결되는 제5단계(S50)를 갖는다. 제1나사산(15)에 제2나사산(58)이 맞물리도록 소켓부(50)가 조인트부(10)의 외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소켓부(50)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조인트부(10)에 체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며, 조인트부(10)를 향한 방향으로 외측부(30)와 실링부(40)를 가압하며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는 제6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50)가 조인트부(1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면, 조인트부(10)에 밀려서 외측부(30)가 이동된다. 외측부(30)는 조인트부(10)에 구비된 안내경사부(16)를 따라 이동하며 형상이 변형된다. 안내경사부(16)를 따라 이동되는 외측부(30)의 외측몸체(34)는, 내측부(20)를 향한 방향으로 배관(60)을 가압하여 배관(60)의 휨을 유도하므로 배관(6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외측부(30)의 변형부(36)가 배관(60)을 가압하므로 변형부(36)와 마주하는 배관(60)의 형상이 변형된다. 따라서 내측몸체(24)의 외측에 배관(60)이 접하며, 배관(60)의 외측에 변형부(36)가 접하며, 변형부(36)의 외측에 조인트부(10)가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배관(60)의 이동이 구속되며, 배관(60)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냉매의 이동도 차단된다.
즉, 소켓부(50)를 조임에 따라, 외측부(30)가 연결몸체(13)와 배관(60) 사이의 틈새를 파고 들어 배관(60) 표면의 스크래치를 제거하고 접촉압력을 높여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60)의 스크래치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본드 성분의 부재를 도포 하지 않고서도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측부(30)에 의해 가압되는 배관(60)의 외측 표면의 스크래치가 제거될 수 있다. 외측몸체(34)가 배관(60)의 외측을 가압하며 길이방향(L)으로 이동되므로, 배관(60)의 외측에 형성된 홈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실링부(40)는 조인트부(10)와 외측부(30)에 구비된 외측머리부재(32)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냉매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실링부(40)와 배관(60)이 직접 접촉되지 않는 압착기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배관(60) 및 부품의 불량에 의해 1차 기밀부에서 누설발생 시, 실링부(40)가 설치된 2차 기밀부에서 냉매의 누설을 방지한다. 소켓부(50)의 조임에 의해 발생한 실링부(40)의 압축에 의해 2차 기밀부가 형성된다.
한편 소켓부(50)의 체결작업시 스토퍼 적용으로 작업자별 체결토크 및 체결량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용 배관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은, 금속의 압착에 의해 1차 기밀이 이루어지며, 오링을 사용하는 실링부(40)의 압착에 의해 2차 기밀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용 배관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은 2중 기밀구조를 제공하므로 용접 없이도 배관(60)을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냉매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배관(60)에 직접 실링부(40)가 접하지 않고, 금속성분으로 이루어진 외측부(30)와 배관(60)의 압착에 의한 변형으로 배관(60)의 실링 및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조인트부(10)의 내측으로 배관(60)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너트 체결방식으로 조인트부(10)의 외측에 소켓부(50)가 고정되며, 금속 재질 또는 소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배관(60)과 외측부(30)가 압착에 의해 소성변형되어 서로 접하므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측부(20)의 배관(60) 지지로 배관(60)과 내측부(20)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배관(60)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켓부(50)가 조인트부(10)에 체결되는 동작에 의해 용접 작업 없이도 배관(60)이 연결이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소켓부(50)의 체결에 의해 외측부(30)가 배관(60)과 조인트부(10)의 사이로 이동되며 배관(60)을 가압하므로, 배관(60)의 이동을 구속하는 동작과 함께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는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배관(60)의 연결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링부(40)가 외측부(30)와 조인트부(10)의 사이에 설치되므로 배관(60)의 외측으로 누설된 냉매의 이동을 차단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링부(40)와 함께 이동되는 외측부(30)가 배관(60)의 외측을 가압하므로, 배관(60)의 외측에 형성된 홈이 외측부(30)에 눌리며 제거되어 배관(6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링부(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10: 조인트부 11: 조인트몸체 12: 제1중공홀부
13: 연결몸체 14: 제2중공홀부 15: 제1나사산
16: 안내경사부
20: 내측부 22: 내측머리부재
24: 내측몸체
26: 가이드부
30: 외측부 32: 외측머리부재
34: 외측몸체 36: 변형부
40: 실링부
50: 소켓부 52: 소켓몸체 54: 내측홀부 56: 소켓연장부 58: 제2나사산
60: 배관
D1: 제1내경 D2: 제2내경 D3: 입구내경 D4: 출구내경
D5: 제1외경 D6: 제2외경 D7: 외측머리부재 외경
L: 길이방향 P1: 배관내경 P2: 배관외경

Claims (16)

  1.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중공홀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조인트부;
    상기 조인트부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부;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내측부의 사이로 배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관과 상기 조인트부의 사이로 삽입되는 외측부;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외측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을 갖는 실링부;
    상기 외측부를 감싸며 상기 조인트부에 체결되며, 상기 조인트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외측부를 가압하는 소켓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중공홀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조인트몸체;
    상기 조인트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나사산이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중공홀부와 연통되는 제2중공홀부가 내측에 구비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연결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조인트몸체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며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경사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안내경사부를 통해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조인트몸체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되는 내측머리부재;
    상기 내측머리부재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몸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머리부재의 외경은 상기 배관의 내경보다 크며,
    상기 내측몸체의 외경은 상기 배관의 내경과 같거나 작은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는, 상기 연결몸체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소켓부에 의해 상기 조인트부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되는 외측머리부재; 및
    상기 외측머리부재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관과 상기 안내경사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몸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몸체는, 상기 안내경사부를 따라 상기 배관이 위치한 내측으로 휘어지는 변형부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가 상기 내측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배관을 가압하므로 상기 변형부와 상기 내측부의 사이에 상기 배관이 고정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경사부의 입구내경은 상기 외측몸체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안내경사부의 출구내경은 상기 외측몸체의 외경보다 작은,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외측머리부재와 상기 연결몸체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외측머리부재의 이동에 의해 가압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배관이 위치하는 내측홀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측머리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소켓몸체;
    상기 소켓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몸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나사산에 맞물리는 제2나사산이 내측에 구비되는 소켓연장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의 양측에 상기 내측부와 상기 배관과 상기 외측부와 상기 실링부와 상기 소켓부가 각각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13. 조인트부의 내측에 내측부를 설치하는 제1단계;
    배관이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내측부의 사이로 이동되어 상기 조인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단계;
    실링부가 상기 조인트부와 외측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단계;
    상기 외측부가 상기 배관과 상기 조인트부의 사이로 삽입되는 제4단계;
    소켓부가 상기 외측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상기 조인트부의 외측에 체결되는 제5단계;
    상기 소켓부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조인트부에 체결되는 위치가 가변되며, 상기 조인트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외측부와 상기 실링부를 가압하며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외측부는 상기 조인트부에 구비된 안내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며 형상이 변형되므로, 상기 내측부를 향한 방향으로 상기 배관을 가압하여 상기 배관의 이동을 구속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외측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배관의 외측 표면의 스크래치가 제거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조인트부와 상기 외측부에 구비된 외측머리부재의 사이에서 압착되어 냉매의 누설을 차단하는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방법.
KR1020200092370A 2020-07-24 2020-07-24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20220013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70A KR20220013176A (ko) 2020-07-24 2020-07-24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370A KR20220013176A (ko) 2020-07-24 2020-07-24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176A true KR20220013176A (ko) 2022-02-04

Family

ID=8026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370A KR20220013176A (ko) 2020-07-24 2020-07-24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31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130B1 (ko) * 2022-11-08 2023-06-15 김영태 시스템 에어컨 덕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130B1 (ko) * 2022-11-08 2023-06-15 김영태 시스템 에어컨 덕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7391B2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管継手、弁、閉鎖弁、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給湯装置
US7488009B2 (en) Pipe joint
JP2004520555A (ja) 波形のたわみ管用の管継手
KR102066605B1 (ko) 배관연결장치
CN103328873A (zh) 管道连接装置和使用其的管道连接方法
KR20080080179A (ko) 바이트형 관 접속 구조, 관 조인트, 밸브, 폐쇄 밸브, 냉동사이클 장치, 급탕 장치, 바이트형 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CN112752919B (zh) 管道连接用装配装置
KR20220013176A (ko) 공기조화기용 배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187548B1 (ko) 와이어브레이드호스 신축이음관
KR20200008939A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 배관 연결구
KR101055938B1 (ko) 단부에 확관부가 형성된 알루미늄피복관의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101039503B1 (ko) 냉매관 연결구
KR101892180B1 (ko) 에어컨용 배관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 방법
KR100764877B1 (ko) 탄성튜브 시일시스템
JP2007211847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管継手、弁、閉鎖弁、冷凍サイクル装置、給湯装置、食い込み式管接続方法、および現地配管接続方法
KR20200028589A (ko) 배관 연결장치
KR20190102450A (ko)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KR20210001307U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관 연결장치
KR101163950B1 (ko) 반도체 제조 장비에 사용되는 냉각수 공급배관 연결구
KR101183755B1 (ko) 냉매관 연결구
KR200478353Y1 (ko) 냉매 파이프 연결구
JP2004144215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の水配管接続構造体
KR101660475B1 (ko) 에어컨 냉매 이송관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
KR20100096974A (ko) 에어컨의 배관 연결장치
JP7383309B2 (ja) 配管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