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266A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266A
KR20230099266A KR1020210188482A KR20210188482A KR20230099266A KR 20230099266 A KR20230099266 A KR 20230099266A KR 1020210188482 A KR1020210188482 A KR 1020210188482A KR 20210188482 A KR20210188482 A KR 20210188482A KR 20230099266 A KR20230099266 A KR 20230099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blade
blades
pai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하
Original Assignee
박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하 filed Critical 박준하
Priority to KR102021018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266A/ko
Publication of KR2023009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절삭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단을 향해 날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가위날 한 쌍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벌렸다가 오므려짐에 따라 날부가 겹쳐지며 절삭력이 발휘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날에 마련된 각각의 날부는, 일단을 향할수록 인접한 가위날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휘어진 곡선 형태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날부가 곧게 펴지며 겹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위{Scissors}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충분한 절삭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집게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가위에 관한 것이다.
가위는 일반적으로 금속재로 형성되는 칼날과 디자인 또는 제작방식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는 손잡이를 가지는 한 쌍의 가위날이 중심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작되고 있으며 사무실이나 가정, 식당등 우리 생활에서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구 중 하나이다.
하지만, 가위의 경우 날카로운 날을 통해 대상물을 절삭하거나 절단하는 기능이 주 기능이기 때문에 사용 상 주의를 많이 기울여야 하며 성인이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의를 해야하지만 어린이가 쉽게 사용하도록 방치해서는 안되는 위험한 도구 중 하나로, 가위를 통해 자상이나 절단 사고가 매해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플라스틱 날이 형성되어 있는 안전가위를 사용함으로 써, 가위를 통한 자상이나 절단 사고를 예방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태의 가위는 절삭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자를 수 있는 절삭 대상물이 종이 또는 얇은 소재만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최근 1인가구가 늘어나고, 간편하게 끼니를 채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매달 2000만건 이상의 배달음식이 소비자들에게 배달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부분의 배달음식들은 1회용 용기에 담겨져 소비자에게 배달됨에 따라, 용기는 음식이 배달 중 쏟아지거나, 내용물이 흐르지 않도록 비닐로 진공포장된 상태로 소비자들에게 배달되고 있다.
하지만 진공포장된 용기에 담긴 음식을 취식하기 위하여 포장을 뜯고 비닐을 제거해야 하지만, 외부에서 음식을 시키는 경우 또는 집안에 칼이나 가위가 없는 경우 배달 음식을 시켜도 포장을 뜯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6014호(이하 '인용발명' 이라함) 에서는 음식용기를 덮은 랩(Wrap)이나 비닐지 등의 합성수지필름을 자를 수 있도록 다수의 삼각뿔 톱날과 펀칭커터가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필름용 커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배달음식 중 다수를 차지하는 면 음식이나 분식 또는 크기가 커서 잘라먹어야 하는 음식의 경우 가정 내에서는 구비된 집게로 잡고 가위로 자를 수 있지만, 외부에서 음식을 취식하는 경우나, 가정에 집게나 가위가 없는 경우 크기가 큰 음식 또는 면, 떡 등 잘라서 취식해야 하는 음식물을 취식하는데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356014호 '합성수지필름용 커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등과 같이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절삭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가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포장 비닐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칼이나 음식물 등을 파지할 수 있는 집게로도 활용될 수 있는 가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을 향해 날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가위날 한 쌍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벌렸다가 오므려짐에 따라 날부가 겹쳐지며 절삭력이 발휘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날에 마련된 각각의 날부는, 일단을 향할수록 인접한 가위날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휘어진 곡선 형태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날부가 곧게 펴지며 겹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위날에 마련된 날부의 일단부에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집게부가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가위날에 마련된 각각의 집게부는, 인접한 가위날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끔 연장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마주하는 집게부와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가위날 중 적어도 하나의 날부에는, 집게부의 반대편 일단에 뾰족한 형상으로 개봉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가위날 중 적어도 하나의 날부에는, 개봉톱니로부터 타단 방향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개봉 칼날이 형성되어, 개봉톱니에 의해 날부의 일단부가 포장비닐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개봉 칼날을 통해 포장비닐을 절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위날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을 향해 형성된 날부와 타단에 손잡이부를 가지는 한 쌍의 가위날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가위날은 손잡이부가 벌어진 경우 날부가 인접한 가위날과 결합된 방향으로 휘어져 곡선을 이루고, 손잡이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휘어져있던 날부가 곧게 펴지면서 한 쌍의 날부가 접하는 지점에서 절삭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위날에 마련된 날부의 일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집게부는 손잡이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서로 맞닿을 수 있어 집게부를 통해 음식물을 집을 수 있다.
또한, 날부의 일단에 형성된 개봉 톱니를 통해 비닐로 진공포장된 용기를 개방시킬 수 있고, 개봉 칼날을 통해 비닐을 절개하여 용기을 포장하고 있는 비닐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가위의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가위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한 쌍의 가위날이 결합된 집게 가위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집게 가위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한 쌍의 가위날이 결합되는 동작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더라도 충분한 절삭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일단을 향해 날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가위날 한 쌍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가 벌렸다가 오므려짐에 따라 날부가 겹쳐지며 절삭력이 발휘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날에 마련된 각각의 날부는, 일단을 향할수록 인접한 가위날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휘어진 곡선 형태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날부가 곧게 펴지며 겹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가위(A)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9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가위(A)는 한 쌍의 가위날(1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위날(10)은, 일단을 향해 형성된 날부(100)와 타단에 형성된 손잡이부(200)를 포함한다. 가위(A)는 한 쌍의 가위날(10)에 마련된 손잡이부(200)가 벌어져있는 상태에서 오므려짐에 따라 각각의 날부(100)가 겹쳐지면서 절삭 대상물을 절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가위날(10)이 결합되는 지점(날부(100)와 손잡이부(200) 사이의 일 지점)을 '결합부'라 한다.
상기 한 쌍의 가위날(10)에 마련된 각각의 날부(100)는, 인접한 가위날(1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의 곡률을 형성되어 있어, 평면에서 한 쌍의 가위날(10)을 바라보았을 때, 한 쌍의 가위날(10) 일단이 상호 교차되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가위날(10)에서 날부(100)는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서 변형이 가능한 소재 또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강도를 지니면서 변형이 가능한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날부(100)는 가위날(10)의 결합부(300)에서부터 일단을 향해 형성되고, 가위날(10)의 외측면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면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뾰족하게끔 형성되는 절삭날(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날부(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을 향할수록 인접한 가위날(1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 형태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가위날(10)은 각각 날부(100)에 형성된 절삭날(140)의 가장자리가 서로 맞닿게끔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날부(100)는 손잡이부(200)가 벌어졌다가 오므려짐에 따라, 일단을 향할수록 인접한 가위날(1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을 가지는 날부(100)가 곧게 펴지면서 절삭날(140)이 겹쳐져 절삭 대상물을 절삭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집게부(110)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부(100)의 일단부에 절삭날(140)이 형성된 방향에 형성되고, 절삭날(140)이 시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가위날(10)이 결합되는 경우 각각의 집게부(110)는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집게부(110)는 손잡이부(200)를 벌어졌다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호 마주보는 집게부(110)와 맞닿을 수 있다.
집게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가위날(1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집게부(110)의 폭은 가위날(10)의 두께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장 형성된 집게부(110)의 폭은 한 쌍의 가위날(10)이 완전히 오므려져, 일 가위날에 형성된 집게부(110)와 타 가위날에 형성된 집게부(110)가 맞닿았을 때, 일 가위날에 형성된 집게부(110)의 폭이 타 가위날의 외측면을 벗어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집게부(110)는 상호 마주보는 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음식이나 물건을 집는 경우, 음식이나 물건이 집게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위날(10) 중 적어도 하나의 날부(100)에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개봉톱니(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날부(100)에서 절삭날(140)과 동일한 측 또는 반대 측에 개봉톱니(12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봉톱니(120)는 날부(100)의 일단에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날카로운 단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상에 대해선 제한하지 않는다.
다른 일 예로, 날부(100)의 일단부에 집게부(110)가 형성되는 경우, 집게부(110)와 동일한 측 또는 반대 측에 개통톱니(120)가 형성될 수 있다.
개통톱니(120)가 집게부(110)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경우, 개봉톱니(120)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개봉칼날(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개봉칼날(130)의 종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날카로운 칼날이 형성될 수 있다.
개봉톱니(120)와 개봉칼날(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부(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개봉톱니(120)와 개봉칼날(130)은 용기에 포장된 비닐을 제거함에 있어서 진공포장 된 용기의 포장비닐을 개봉톱니(120)를 통해 일부 찢은 후, 날부(100)의 일단부를 포장비닐 내로 진입시키고 개봉칼날(130)을 통해 포장비닐을 절개하여 용기를 포장하는 비닐을 제거할 수 있다.
날부(100)는 외측면에 리브(150)가 함입 형성될 수 있으며, 리브(150)는 날부(100)가 철보다 강도가 낮은 소재(예를 들어, 플라스틱)로 이루어지더라도 절삭력을 발휘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부(2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부(100)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형성되되, 홀의 형상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한 쌍의 가위날(1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부(100)와 손잡이부(200) 사이의 형성된 결합부(300)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특정각도에서 분리 가능하게끔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일 가위날에는 결합부(300) 위치에 돌출된 형상의 결합돌기(3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 가위날에는 결합돌기(310)에 대응하는 형상의 홀을 포함하는 결합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가위날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10)는 상부가 하부에 비해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320)은 타 가위날에 형성되되, 일 가위날에 형성된 장방형 형상을 가지는 결합돌기(310)가 삽입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상의 장방형 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결합홀(320)은 삽입된 결합돌기(310)가 결합홀(320)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일정 깊이에서부터 타 가위날의 외측면까지 원 형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가위날(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위날(10)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가위날과 타 가위날은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 각각 돌출된 형상의 결합돌기(310)와 결합홈(3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결합돌기가 상호간의 결합홈(330)에 삽입되면서 회동 가능하게끔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310)는 종단면이 'ㄱ'자로 형성되고, 가위날(10)의 결합부(300) 위치에 인접한 가위날(1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30)은 가위날(10)의 결합부(300) 위치에 인접한 가위날(1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함입 형성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인접한 가위날(10)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해제 방지편(331)을 포함할 수 있다.
해제 방지편(331)은 상기 결합돌기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각도에서 해제 방지편(311)의 홈에 결합돌기(310)가 삽입될 수 있다.
해제 방지편(331)은 결합홈(330)의 바닥면으로부터 'T'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돌기(310)가 해제 방지편(331)의 홈에 삽입되는 경우, 특정각도를 제외한 나머지 각도에서는 결합돌기(310)가 해제 방지편(331)의 홈을 이탈할 수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집게 가위 10: 가위날
100: 날부 110: 집게부
120: 개봉 톱니 130: 개봉 칼날
140: 절삭날 150: 리브
200: 손잡이부 300: 결합부
310: 결합돌기 311: 상부 결합돌기
312: 하부 결합돌기 320: 결합홀
330: 결합홈 331: 해제방지편

Claims (5)

  1. 일단을 향해 날부(100)가 형성되고 타단에 손잡이부(200)가 형성된 가위날(10) 한 쌍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200)가 벌렸다가 오므려짐에 따라 날부(100)가 겹쳐지며 절삭력이 발휘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날(10)에 마련된 각각의 날부(100)는, 일단을 향할수록 인접한 가위날(10)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휘어진 곡선 형태를 이루며, 상기 손잡이부(200)가 오므려짐에 따라 날부가 곧게 펴지며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날(10)에 마련된 날부(100)의 일단부에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집게부(110)가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가위날(10)에 마련된 각각의 집게부(110)는, 인접한 가위날(10)과 결합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끔 연장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00)가 오므려짐에 따라 마주하는 집게부(110)와 맞닿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위날(10) 중 적어도 하나의 날부(100)에는, 집게부(110)의 반대편 일단에 뾰족한 형상으로 개봉톱니(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위날(10) 중 적어도 하나의 날부(100)에는, 개봉톱니(120)로부터 타단 방향을 향해 일정 길이만큼 개봉칼날(130)이 형성되어, 개봉톱니(120)에 의해 날부(100)의 일단부가 포장비닐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개봉칼날(130)을 통해 포장비닐을 절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위날(10)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1020210188482A 2021-12-27 2021-12-27 가위 KR20230099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82A KR20230099266A (ko) 2021-12-27 2021-12-27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482A KR20230099266A (ko) 2021-12-27 2021-12-27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266A true KR20230099266A (ko) 2023-07-04

Family

ID=8715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482A KR20230099266A (ko) 2021-12-27 2021-12-27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2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014Y1 (ko) 2004-04-09 2004-07-12 큐테크 주식회사 합성수지필름용 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014Y1 (ko) 2004-04-09 2004-07-12 큐테크 주식회사 합성수지필름용 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7619B2 (en) Bag cutter and piercer
JPS59209314A (ja) 食卓用刃物類
US9744681B2 (en) Knife and scissors provided with protection means
US5115565A (en) Food utensil
EP1924410B1 (en) Multi-function package opener
KR20230099266A (ko) 가위
US20200131015A1 (en) Bag cutter and piercer
JP3202296U (ja) 指掛部を有する多用途包丁
JP3202273U (ja) 湾曲した頭部を有する多用途包丁
KR100726583B1 (ko) 절곡가위
KR200450629Y1 (ko) 랩 절단용 칼을 가진 이쑤시개
CA3075369C (en) Bag cutter and piercer
JP6715909B2 (ja) 湾曲した頭部を有する多用途包丁
KR101496907B1 (ko) 이중형 케이크 나이프 및 이를 이용한 케이크 절단 방법
KR102393487B1 (ko) 슬라이드 커터
KR20170063283A (ko) 집게 겸용 과일 커팅기
CN219294033U (zh) 一种防割刀片以及剃刀
KR102347411B1 (ko) 포장 개봉 가위
NZ213235A (en) Device for grasping and handling sector shaped articles
KR200229050Y1 (ko) 포장지 개봉칼
JP4450617B2 (ja) 食器セット
JP5072316B2 (ja) すりつぶし機能を備えた調理用切断具
US3036611A (en) Egg cutter
JP3202277U (ja) 直刃と波刃を有する多用途包丁
US5088201A (en) Spaghetti c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