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097A - 수지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수지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097A
KR20230099097A KR1020210188187A KR20210188187A KR20230099097A KR 20230099097 A KR20230099097 A KR 20230099097A KR 1020210188187 A KR1020210188187 A KR 1020210188187A KR 20210188187 A KR20210188187 A KR 20210188187A KR 20230099097 A KR20230099097 A KR 20230099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force
pressing force
resin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원
감경윤
장수환
안수봉
박원욱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097A/ko
Publication of KR20230099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5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the fingers, e.g. by monitoring hand-grip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61Strain gau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원하는 손가락 굴근력이나 전체 손가락 굴근력 또는 둘 이상 조합 조건의 손가락 굴근력을 신뢰성 있게 측정하여 정확히 어떤 손가락의 굴근력이 약한지 강한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손가락을 움직여서 수행하는 활동에 대한 정량적 평가나 수부 손상 환자의 재활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수지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가락의 굴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는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 및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지력 측정 장치 {FINGER POWER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손가락의 굽히는 힘을 측정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원하는 손가락 굴근력이나 전체 손가락 굴근력 또는 둘 이상 조합 조건의 손가락 굴근력을 신뢰성 있게 측정하여 정확히 어떤 손가락의 굴근력이 약한지 강한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손가락을 움직여서 수행하는 활동에 대한 정량적 평가나 수부 손상 환자의 재활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수지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손으로 하는 동작의 대부분은 손가락을 굽힘으로 이루어진다. 손가락을 굽히는 기능은 다양한 질환에 의해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뇌졸중 환자의 경우 한쪽 팔과 손 마비로 움직임이 어렵고, 손목터널증후군은 정중신경의 손상으로 엄지, 검지, 중지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으며, 자신경 손상의 경우는 소지의 굽힘과 엄지의 모음이 어렵다.
일상의 다양한 상황에서 손가락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오링테스트(O-ring test)법은 미국의 대체의학 요법 중의 하나인 근력 평가(사람에게 이로운 자극이 있을 때 근력이 증가하고, 이롭지 못한 자극이 있을 때 근력이 감소한다는 기준)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하여 치료를 행한 후 그에 따른 효과를 얻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제공받아 일본의 노무라 요시아끼 박사가 정립하게 되었다.
노무라의 오링테스트 법은 한 손에 식품이나 물건을 잡고 반대 손가락 엄지와 식지(검지)를 "O" 형태로 손가락 끝을 맞닿도록 접촉한 후 시술자가 벌려서 벌어지면 안 맞는 것이고 강해지면 근력이 증대됨으로써 자신의 몸에 맞는 것으로 파악하여 적합성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특수진단법이다.
즉, 오링테스트 법을 통하여 자신의 몸에 적합한 식품이나 물건임을 확인하여 섭취하거나 지니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으나, 오링테스트 법을 적용하려면 본인 스스로는 진단할 수 없으므로 꼭 시술자 또는 도움을 받을 제3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정 중 조금이라도 자세의 변화가 있으면 측정값의 변화가 발생하여 실제 측정값을 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시간적 제약이 전혀 없고 피측정자의 자유의지에 따르기 때문에 대체로 측정시간이 길어지며 측정을 반복할수록 근육피로도가 상당히 커져서 반복 측정시 피측정자의 근육의 수축력이 점차적으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반복 측정한 결과값을 수치대로 비교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용신안공개 제20-1995-0029525호 "체질 식별용 손가락 악력 테스트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스프링으로 만들어진 누름버튼을 케이스 본체 상에 출몰되도록 결합하고, 누름버튼의 외주면에 돌설된 돌환의 정면부에 형성된 지시침은 투시창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투시창의 내측부에 근접 내장시키고 스프링으로 제조된 기준 지시침은 래크 기어가 내장된 수직관체에 꽂힌 상태에서 누름버튼 상의 돌환 저면에 걸리도록 구성하였고 탄성편과 경사부를 상,하부에 형성한 래크 기어의 하단에 형성된 버튼은 케이스 본체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체질 식별용 체질 식별용 손가락 악력 테스트기는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힘을 최초로 작용시켜 기준 지시침을 이동하여 정지된 상태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건을 한 손에 잡고 최초에 누름버튼을 눌렀던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누름버튼을 작동시키면 돌환에 일체로 형성된 지시침의 이동거리가 기준 지시침의 이동거리보다 클수록 체질에 적합하고 힘이 미약할수록 체질에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본인 스스로 측정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체질 식별용 손가락 악력 테스트기는 기준 지시침과 돌환에 일체로 형성된 지시침을 정지시키기 위해 래크기어에 교합되는 탄성편이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쉽게 마모되어 기준 지시침의 작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오링테스트를 실행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를 케이스본체와 누름버튼의 양단에 접촉하게 될 때 엄지와 검지는 스프링의 벌어진 거리와 스프링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본체와 누름버튼의 두께를 포함하는 총거리만큼 벌어진 상태에서 측정하게 되므로 진정한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가 맞닿아 행하는 오링테스트 법과는 많은 차이가 발생하여 소망하는 근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201384호 "손가락 지구력 측정기"가 제안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가압버튼, 디지털 가압표시부, 가압설정버튼, 메모리버튼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가압되는 공기를 전달하는 고무호스 플러그, 가압시 부풀려 밀어내는 부분, 가압시 팽창되는 부분 및 손가락 접촉감지장치를 갖는 손가락 지구력 측정센서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손가락 지구력 측정기는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의 최하단 마디에서 발생하는 압착력이 공기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공기는 고무호스 플러그를 통해 본체로 전달되어 설정된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손가락의 지구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제3자의 도움 없이 본인 스스로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므로 휴대가 어려우며, 단순히 손가락 마디의 지구력을 측정하는 것일 뿐 진정한 오링테스트의 측정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5-0029525(1995.11.17.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1384(2000.11.0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2392(2006.07.2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23774(2011.03.2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235532(2021.04.01.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의 원하는 손가락 굴근력(손가락의 굽히는 힘)이나 전체 손가락 굴근력 또는 둘 이상 조합 조건의 손가락 굴근력을 신뢰성 있게 측정하여 정확히 어떤 손가락의 굴근력이 약한지 강한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손가락을 움직여서 수행하는 활동에 대한 정량적 평가나 수부 손상 환자의 재활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수지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없거나, 움직임 이상이 있는 사용자, 환자, 운동선수가 구체적으로 어떤 손가락이 얼마나 굴근력이 부족한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며,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방아쇠 수지증, 손목터널 증후군 등의 정밀 검측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자가 검진, 전문가 상담, 의료 진료 등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손가락의 굴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는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 및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은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형성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개구부에 구비되며, 외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손가락 접촉 부재; 및 상기 손가락 접촉 부재의 하면에 구비되어 손가락 접촉 부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검출하는 가압력 검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접촉 부재는 금속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검출 센서는 압력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검출 센서는 니켈(Ni) 성분을 포함하는 결정 금속 소재 또는 구리(Cu), 지르코늄(Zr), 철(Fe), 니켈(Ni), 규소(Si), 탄소(C)를 포함하는 합금이나 메탈로이드 기반의 비정질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검출 센서는 폴리이마이드의 고분자 기판이나 금속 기판에 절연막이 증착된 기판에 금속 박막 패턴을 형성한 스트레인 게이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아노 건반 형태로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손 모양 또는 장갑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은 상기 손 모양 또는 장갑 모양의 베이스 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각각의 원하는 손가락 굴근력이나 전체 손가락 굴근력 또는 둘 이상 조합 조건의 손가락 굴근력을 측정할 수 있어 기능성 및 이에 따른 제품경쟁력이 향상된 수지력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손가락의 굴근력을 신뢰성 있게 측정하여 정확히 어떤 손가락의 굴근력이 약한지 강한지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손가락을 움직여서 수행하는 활동에 대한 정량적 평가나 수부 손상 환자의 재활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굴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부의 범위를 확대하여 정확한 검측이 가능하면서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포함되는 베이스 부재의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포함되는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를 시제작한 시제품을 촬영한 사진으로서,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과 베이스 부재의 어셈블리를 상면에서 바라본 사진(맨 위)과 측면에서 바라본 사진(중간) 및 배면에서 바라본 사진(맨 아래)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대하여 인장 시험 전(위)과 인장 시험 후(아래)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사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5번과 9번의 인장 시험 결과에 대한 그래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를 시제작한 시제품을 이용하여 손가락 힘을 측정하는 예시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포함되는 베이스 부재의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포함되는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 부재(100),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 디스플레이 유닛(300), 및 측정값 전달 수단(4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이 구비되는 베이스 부재(100);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가압력(손가락 굽히는 힘인 굴근력)을 측정하여 하기 디스플레이 유닛(30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에서 측정된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300); 및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과 디스플레이 유닛(300) 간을 유선이나 무선 또는 유무선으로 연결하는 측정값 전달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이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가압력, 바람직하게는 5개 모두의 손가락에 대한 굴근력을 측정할 수 있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이 피아노 건반 형태로 배열되어 구비될 수 있게 형성되거나,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 모양 또는 장갑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 측에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이 구비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rod) 형태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이 구비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00)는 절연성 재질, 예를 들면 수지류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론 그에 구비되는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의 측정에 전기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은 상기 베이스 부재(100)에 구비되어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가압력(굴근력)을 측정하고, 측정값 전달 수단(400)을 통해 측정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 유닛(30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은 하기 손가락 접촉부(211)가 구비되는 개구부(211)를 갖고 형성되는 지지 부재(210)와, 상기 지지 부재(210)의 개구부(211)에 구비되며, 손가락의 가압력으로 탄성변형하는 손가락 접촉 부재(220), 및 상기 손가락 접촉 부재(220)의 하면에 구비되어 손가락 접촉 부재(22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검출하는 가압력 검출 센서(2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부재(210)는 손가락의 누름력에 의하여 상기 손가락 접촉 부재(220)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 부재(210)는 그 개구부(211)에 구비되는 손가락 접촉 부재(220)가 손가락 가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두께를 갖고 형성되거나, 양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12)를 갖고 형성되어 개구부(211)의 하부에서 소정 정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접촉 부재(220)는 금속 박판 또는 금속 다이아프램(metal diaphragm)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손가락 접촉 부재(220)는 금속 박판 또는 금속 다이아프램에 수직하는 물리적 변형량에 있어서 그 중앙부분에서 탄성한계와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가압력 검출 센서(230)는 압력 센서인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로 구성되어 금속 박판 또는 금속 다이아프램으로 이루어지는 손가락 접촉 부재(220)의 탄성 변형양을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력 검출 센서(230)는 일 실시 예로 니켈(Ni) 성분을 포함하는 결정 금속 소재 또는 구리(Cu), 지르코늄(Zr), 철(Fe), 니켈(Ni), 규소(Si), 탄소(C) 등을 포함하는 합금이나 메탈로이드 기반의 비정질 금속 소재로 제작되는 스트레인 게이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력 검출 센서(230)는 다른 실시 예로 폴리이마이드 등의 고분자 기판이나 금속 기판 위에 절연막을 증착한 기판, 및 그 기판에 금속 박막 패턴을 형성한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 위에 절연막을 증착하는 방법으로는 습식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 플라즈마 건식 증착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위에 형성되는 금속 박막 패턴은 소정 형상의 격자 구조를 갖는 규칙적인 형상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지문 모양이나 와선 모양 등 기하학적 형상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손가락 접촉 부재(220)의 가압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금속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은 손가락 접촉 부재(220)가 금속 박판 또는 금속 다이아프램으로 이루어지는 형성됨으로써 그 손가락 접촉 부재(220)의 표면 어디에서든 압력을 가하여도 비교적 정확하게 손가락 힘 측정이 가능하고 개별적으로 한 개의 손가락 굴근력, 또는 동시에 복수의 손가락 굴근력을 정확하게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300)은 유선 케이블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 측정값 전송 수단(400)을 통해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에서 측정된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정값 전송 수단(400)은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에서 측정된 측정 신호를 유선이나 무선 또는 유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값 전송 수단(400)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200)과 디스플레이 유닛(300) 간이 근거리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대한 실측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지력 측정 장치를 시제작하여 테스트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를 시제작한 시제품을 촬영한 사진으로서,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과 베이스 부재의 어셈블리를 상면에서 바라본 사진(맨 위)과 측면에서 바라본 사진(중간) 및 배면에서 바라본 사진(맨 아래)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대하여 인장 시험 전(위)과 인장 시험 후(아래)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사진이며, 도 6 및 도 7은 각각 5번과 9번의 인장 시험 결과에 대한 그래프들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를 시제작한 시제품을 이용하여 손가락 힘을 측정하는 예시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를 시제작한 시제품에 대하여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5번 왕복한 인장시험과 9번 왕복한 인장시험을 행하였으며, 5번과 9번 왕복 시험한 결과, 모두 거의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에서 인장시험기의 속도는 0.1 mm/min, 인장시험기 지그의 운동범위(기판에 압력을 가하는 깊이)는 0.5 mm 까지 움직이게 하고, 반복적으로 움직여서 동일한 시험 조건하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1 ~ 9번의 왕복인장시험을 하였을 때의 저항 변화값에 있어서, 처음 시작 할 때의 저항값은 120.1옴(Ω)이었고, 압력을 가한 후의 저항값은 120.8옴(Ω)으로 9번의 왕복시험 모두 동일한 저항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손가락 굴근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과 베이스 부재의 어셈블리에 멀티미터을 연결하여 각각 다른 손가락 힘으로 중앙부를 가압하여 측정하였고, 중앙부에서 벗어난 가압 위치를 변경하면서 동일 또는 비슷한 힘으로 가압하여 측정한 결과 거의 유사한 값이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력 측정 장치에 의하면. 각각의 원하는 손가락 굴근력이나 전체 손가락 굴근력 또는 둘 이상 조합 조건의 손가락 굴근력을 측정할 수 있어 기능성 및 이에 따른 제품경쟁력이 향상된 수지력 측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손가락의 굴근력을 신뢰성 있게 측정하여 정확히 어떤 손가락의 굴근력이 약한지 강한지를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상생활에서 손가락을 움직여서 수행하는 활동에 대한 정량적 평가나 수부 손상 환자의 재활 치료에 이용할 수 있으며, 굴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싱부의 범위를 확대하여 정확한 검측이 가능하면서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부재
200: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
210: 지지 부재
211: 개구부
212: 연장부
220: 손가락 접촉 부재
230: 가압력 검출 센서
300: 디스플레이 유닛
400: 측정값 전달 수단

Claims (8)

  1. 손가락의 굴근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는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 및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은,
    복수의 개구부를 갖고 형성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개구부에 구비되며, 외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는 손가락 접촉 부재; 및
    상기 손가락 접촉 부재의 하면에 구비되어 손가락 접촉 부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검출하는 가압력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접촉 부재는 금속 다이아프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검출 센서는 압력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검출 센서는
    니켈(Ni) 성분을 포함하는 결정 금속 소재 또는 구리(Cu), 지르코늄(Zr), 철(Fe), 니켈(Ni), 규소(Si), 탄소(C)를 포함하는 합금이나 메탈로이드 기반의 비정질 금속 소재로 구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검출 센서는,
    폴리이마이드의 고분자 기판이나 금속 기판에 절연막이 증착된 기판에 금속 박막 패턴을 형성한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은 상기 베이스 부재에 피아노 건반 형태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손 모양 또는 장갑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손가락 가압력 측정 모듈은 상기 손 모양 또는 장갑 모양의 베이스 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력 측정 장치.
KR1020210188187A 2021-12-27 2021-12-27 수지력 측정 장치 KR20230099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87A KR20230099097A (ko) 2021-12-27 2021-12-27 수지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87A KR20230099097A (ko) 2021-12-27 2021-12-27 수지력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097A true KR20230099097A (ko) 2023-07-04

Family

ID=8715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187A KR20230099097A (ko) 2021-12-27 2021-12-27 수지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09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525U (ko) 1994-04-18 1995-11-17 이만제 체질 식별용 손가락 악력 테스터기
KR200201384Y1 (ko) 1999-11-29 2000-11-01 조기호 손가락지구력측정기
KR200422392Y1 (ko) 2006-05-17 2006-07-26 유태우 수지력 테스트장치
KR101023774B1 (ko) 2008-10-28 2011-03-21 성재우 휴대용 손가락 악력기
KR102235532B1 (ko) 2019-04-15 2021-04-0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별로 측정되는 악력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525U (ko) 1994-04-18 1995-11-17 이만제 체질 식별용 손가락 악력 테스터기
KR200201384Y1 (ko) 1999-11-29 2000-11-01 조기호 손가락지구력측정기
KR200422392Y1 (ko) 2006-05-17 2006-07-26 유태우 수지력 테스트장치
KR101023774B1 (ko) 2008-10-28 2011-03-21 성재우 휴대용 손가락 악력기
KR102235532B1 (ko) 2019-04-15 2021-04-0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별로 측정되는 악력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6161A (en) Skinfold caliper for body fat measurement
TW201438663A (zh) 生理訊號感測裝置
EP3473165B1 (en) Skinfold caliper
CN107830972B (zh) 柔性力传感器标定测试平台及方法
KR20200121005A (ko) 손가락별로 측정되는 악력 측정장치
JP6715453B2 (ja) 指握力測定装置
KR101914373B1 (ko) 신체 움직임 측정 시스템 및 신체 움직임 측정 방법
Borik et al. Smart glove to measure a grip force of the workers
KR20230099097A (ko) 수지력 측정 장치
JP7253242B2 (ja) 計測器、筋硬度計測システムおよび計測方法
KR102280045B1 (ko) 건강이상 판단을 위한 악력 측정장치 어플리케이션 작동방법
JP7075589B2 (ja) ハンドセンサ装置
US10603542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sometric, isokinetic, isotonic, and isodynamic exercise
RU136698U1 (ru) Измеритель толщины кожной складки (калипер)
EP3629922B1 (en) A point-of-care hand tremor detection system
JP2005501643A (ja) 握力計および関連する測定方法
US20240102903A1 (en) A Modulus Sensor
JP2020003245A (ja) 把持部を備える押込み試験装置
Romeo et al. An instrumented object for studying human grasping
CN116158764A (zh) 自供电握力测量装置
Perez Lorea 3D printed sensor to detect muscle contraction by means of force myography
CN110537923A (zh) 一种可穿戴式姿态矫正装置
KR101271728B1 (ko) 압박된 손가락의 두께 변화를 이용한 손가락 굽힘 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825481B1 (ko) 오-링 테스트 장치
KR101142753B1 (ko) 사용자 의도 측정 장치 및 그의 사용자 의도 측정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