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027A -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 - Google Patents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027A
KR20230099027A KR1020210188065A KR20210188065A KR20230099027A KR 20230099027 A KR20230099027 A KR 20230099027A KR 1020210188065 A KR1020210188065 A KR 1020210188065A KR 20210188065 A KR20210188065 A KR 20210188065A KR 20230099027 A KR20230099027 A KR 20230099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frame member
lower frame
module
configur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우
Original Assignee
(주)우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명 filed Critical (주)우명
Priority to KR102021018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027A/ko
Publication of KR20230099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04H5/02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purposes, e.g. for power-plants or fac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구성 모듈 내에 배치하는 플랜트 요소의 배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플랜트 구성 모듈을 플랜트 건설 장소에서 조립하는 것만으로 파이프 스페이스나 통로의 배치 공간을 확보가능하게 한다. 직사각형을 이루는 하측 프레임 부재, 하측 프레임 부재와 동일 형태의 상측 프레임 부재, 및 상측프레임 부재와 하측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기둥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체의 내부에 배치된 플랜트 요소를 구비하고, 기둥부재에는 하측 프레임 부재 및 상측 프레임 부재의 한 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기둥부가 형성되며, 돌출 기둥부의 선단부에 결합용 플랜지판을 구비하는 플랜트 구성 모듈을 작성하고, 플랜트 시공 장소에서, 플랜트 구성 모듈을 소정의 단수만큼 쌓아올리며, 쌓아올린 플랜트 구성 모듈의 겹쳐진 2개의 플랜지부를 연결하고,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랜트 구성 모듈을 접합빔재로 연결한다.

Description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 {minimizes vibration transmission rate to skidized of equipment and modularized of pipe}
본 발명은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설비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하는 플랜트 구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랜트 설비를 쉽고 빠르게 시공하기 위해, 컨테이너 크기의 프레임체 내에 플랜트 설비를 배설한 모듈을 제조하고, 이 모듈을 시공 장소까지 이송하여 조립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에는 플랜트 본체와, 외측 프레임을 이루며 상기 플랜트 본체를 지지하는 골조를 구비하고, 상기 골조의 외형은 컨테이너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설비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유닛을 순차적으로 조립함으로써 구축되는 설비 본체와, 이 설비 본체의 주위에 배설되는 회랑을 구비한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회랑의 구성 요소가 미리 상기 유닛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모듈을 사용하여 플랜트를 구축할 때, 상하로 포개거나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게 하거나 한 모듈 사이에, 파이프나 제어라인을 배치하기 위한 파이프 스페이스나, 조작자나 점검자가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파이프 스페이스나 통로의 배치를 고려하고 있지 않아, 별도 파이프 스페이스나 통로를 마련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여기서, 통로를 시공하는 만큼 유닛 안이 좁아져서, 플랜트 요소 배치의 자유도가 낮아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플랜트 구성 모듈 내에 배치하는 플랜트 요소 배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플랜트 구성 모듈을 플랜트 건설 장소에서 조립하는 것만으로 파이프 스페이스나 통로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단기간에 플랜트 설비를 완성할 수 있는 플랜트 설비의 시공방법 및 플랜트 구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발명은, 직사각형을 이루는 하측 프레임 부재, 상기 하측 프레임 부재와 동일 형태의 상측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상측 프레임 부재와 상기 하측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기둥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의 내부에 배치된 플랜트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부재에는 상기 하측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상측 프레임 부재의 한 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 기둥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 기둥부의 선단부에 결합용 플랜지판을 구비하는 플랜트 구성 모듈을 작성하는 단계와, 플랜트 시공 장소에서, 상기 플랜트 구성 모듈을 소정의 단수 만큼 쌓아올리는 단계와, 상기 쌓아올린 플랜트 구성 모듈의 겹쳐진 2개의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설비의 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 설비의 시공 방법 및 플랜트 구성 모듈에 따르면, 플랜트 구성 모듈 내에 배치하는 플랜트 요소의 배치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플랜트 구성 모듈을 플랜트 건설 장소에서 조립하는 것만으로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파이프 스페이스나 통로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플랜트 설비를 짧은 공사 기간으로 완성할 수 있다.
도 1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구성 모듈을 조립하여 시공한 플랜트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따른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설비의 시공 방법 및 플랜트 구성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 구성 모듈과 이 플랜트 구성 모듈을 복수 조합하여 시공한 플랜트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에서는, 플랜트 구성 모듈로서 플랜트 설비의 최하위에는 최하단 모듈(10B), 제 2 단 및 제 3 단에는 중단 모듈(10M), 최상위에는 최상단 모듈(10R)을 설치한다. 최하단 모듈(10B), 중단 모듈(10M), 최상단 모듈(10R)은 H형 강재로 구성된 프레임체 내에 각각 필요한 플랜트 요소, 예를 들어 탱크, 펌프, 반응장치, 파이프 등의 플랜트 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각 플랜트 요소는 상하 방향, 평면 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랜트 구성 모듈에 배치된 플랜트 요소와 결합을 할 수 있도록 구성, 배치되어 있다. 이들 최하단 모듈(10B), 중단 모듈(10M) 및 최상단 모듈(10R)은 수상 및 육상에서의 컨테이너 수송이 가능한 크기로 한다. 예를 들어, 4m*5m*12m에 들어가는 크기로 한다. 이 예에서는, 플랜트 설비에는 제 1 단에 최하단 모듈(10B)을 6대, 제 2 단에 중단 모듈(10M)을 6대, 제 3단에 중단 모듈(10M)을 6대, 제 4 단에 최상단 모듈(10R)을 6대 배치하고 있다. 도 2에서는 X방향, Y방향, Z방향으로 번호를 붙이고, 최하단 모듈(10B), 중단 모듈(10M), 최상단 모듈(10R)에 (X, Y, Z)의 좌표를 붙이고 있다. 최하단 모듈(10B)은 기초에 배치된다. 또한, 최하단 모듈(10B)은 H형 강재로 형성한 프레임체에 바닥판을 배치하고, 이 바닥판 위에 플랜트 요소를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또한, 배치되는 플랜트 요소는 플랜트 설비 중 어느 위치에 배치되는지에 따라 각각 설정된다. 본 예에서는, 프레임체는 하측 프레임 부재, 상측 프레임 부재 및 기둥부재를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합은 용접이나 고장력 볼트 및 너트 등 필요에 따라 선택한다. 배관 배선 부재는 최하단 모듈(10B)의 상측 돌출 기둥부와, 상단에 배치되는 중단 모듈(10M)의 하측 돌출 기둥부로 형성되는 관통영역을 배관 배선 스페이스(파이프 스페이스)로서 배치할 수 있다. 장변 부재와 단변 부재가 서로 다른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 배선 부재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관 배선 부재는 파이프 및 덕트를 구비하며, 배관 배선 부재는 파이프 및 덕트를 구비한다. 또한, 최하단 모듈(10B)에 있어서, 하측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장변 부재의 양단부 및 중앙부(기둥재의 배치부위)에는 동일하게 평면에 있어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최하단 모듈(10B)과 접합빔재를 접합하기 위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최하단 모듈(10B)과 중단 모듈(10M), 최상단 모듈(10R) 사이에 상부 돌출 기둥부, 하측 돌출 기둥부에 의해 형성되는 관통공간을 파이프 스페이스로 하여 배관 배선부재를 배치하는 것이나, 접합빔재로 형성되어, 병설된 최하단 모듈(10B), 중단 모듈(10M), 최상단 모듈(10R) 사이의 관통영역을 통로 Wx1 내지 Wx4, Wy1 내지 Wy4로 하여 바닥판을 설치하여 형성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계단 등의 설비를 설치한다. 또한, 모든 최하단 모듈(10B), 중단 모듈(10M), 최상단 모듈(10R)의 조립이 종료한 후, 또는 최하단 모듈(10B), 중단 모듈(10M), 최상단 모듈(10R)의 조립을 하면서 플랜트 요소들간의 결합을 실시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플랜트 설비는 X방향으로 3대, Y방향으로 2대, 높이 방향(Z방향)으로 4단, 총 24대의 플랜트 구성 모듈을 사용하였는데, 필요에 따라 각 방향 및 높이 방향으로 필요한 개수의 플랜트 구성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 플랜트 구성 모듈의 프레임체를 구성하는 장변 부재, 단변 부재, 기둥부재의 치수나 개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플랜트 설비의 시공 시 각 플랜트 구성 모듈의 설치 순서나, 파이프 스페이스에 대한 배관 배선의 시공, 통로 설치 등의 순서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

  1. 직사각형을 이루는 하측 프레임 부재, 상기 하측 프레임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상측 프레임 부재와 상기 하측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기둥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체의 내부에 배치된 플랜트 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하측 프레임 부재에는 소정 치수만큼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랜트 구성 모듈의 상기 상측 프레임 부재 및 상기 하측 프레임 부재에, 플랜트 구성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빔재를 접합하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플랜트 구성 모듈을 작성하는 단계와, 플랜트 시공 장소에서, 상기 플랜트 구성 모듈을 소정 치수만큼 이격시켜 나란하게 하여 소정 수만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나란하게 하여 배치한 플랜트 구성 모듈의 상기 프레임체 사이에 상기 소정 치수의 접합빔재를 배치하고, 플랜트 구성 모듈의 상기 프레임체 및 상기 접합빔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설비의 시공방법.
KR1020210188065A 2021-12-27 2021-12-27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 KR20230099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065A KR20230099027A (ko) 2021-12-27 2021-12-27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065A KR20230099027A (ko) 2021-12-27 2021-12-27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027A true KR20230099027A (ko) 2023-07-04

Family

ID=8715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065A KR20230099027A (ko) 2021-12-27 2021-12-27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0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025B1 (ko) 연결구가 구비된 수평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US10458140B2 (en) Modular processing facility
JP6816289B1 (ja) プラント設備の施工方法及びプラント構成モジュール
US8499527B2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room module
US20210238877A1 (en) Assembly system for modular industrial plants
EP3306000A1 (en) Prefabricated light steel concrete plate colum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20190089971A (ko) 조립식 체적 건축 모듈의 연결 시스템 및 연결 방법
DE10229663A1 (de) Coldboxblechmantel
CN107447861A (zh) 一种带斜撑的装配式钢结构方管柱梁柱节点连接装置
KR20230099027A (ko) 진동 전달율을 최소화하는 플랜트 스키드화 및 배관의 모듈화
CN105133767A (zh) 正六边形蜂窝网格状钢空腹楼盖盒式结构的制造方法
KR20130036486A (ko)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간 접합 구조
JP5967642B2 (ja) 建物の補強構造
KR101628092B1 (ko) 주택 모듈러 유닛의 조립용 지그
KR102074098B1 (ko) 공장 골조 모듈 시공 구조 및 방법
JP6661314B2 (ja) 配管ラック構造及び配管ラック構造の据付方法
KR100754943B1 (ko) 보 연결판 및 보 연결판을 이용한 모듈러 유니트의 조립방법
CN110402314B (zh) 支承流体导管的金属结构和具有这种金属结构的工业设备
CN103882954B (zh) 一种模块化多高层装配式钢结构偏心支撑体系
JP2008031644A (ja) 鉄骨造建物の床架構および同床架構の建築構法
JP4772308B2 (ja) ユニット建物の構築方法
KR20160078094A (ko) 모듈러 유닛용 슬래브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CN118114429A (zh) 模块构架的切分方法
US200502355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construction of large structures
CN218116763U (zh) 一种模块化全拼装建造的多、高层钢结构工业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