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500A -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 - Google Patents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500A
KR20230098500A KR1020227034000A KR20227034000A KR20230098500A KR 20230098500 A KR20230098500 A KR 20230098500A KR 1020227034000 A KR1020227034000 A KR 1020227034000A KR 20227034000 A KR20227034000 A KR 20227034000A KR 20230098500 A KR20230098500 A KR 20230098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anagement
management module
coding
channe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아잉 리
Original Assignee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598891.1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811103B/zh
Application filed by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컨템포러리 엠퍼렉스 테크놀로지 씨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8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F11/3072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 G06F11/307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the data filtering being achieved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 monitored data, e.g. ensuring that the monitored data belong to the same timeframe, to the same system or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84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control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1Programming languages or programming paradi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일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과을 포함하고, 제2 배터리 관리 모듈과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통신 연결된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코딩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코딩 검출 회로는 다수의 샘플링 채널을 포함하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코딩 검출 회로를 설정하고, 코딩 검출 회로에서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이 고장났을 때 기타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관리 신뢰성이 높다.

Description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
본 출원은 배터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은 배터리와 사용자 사이의 연결 고리이고, 주요 대상은 이차 배터리이며, 목적은 배터리의 사용률을 향상시키고, 배터리의 과충전 및 과방전 현상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고,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다수의 BMS 사이에 신원 식별을 수행하기 위해, 기존의 방식은 소프트웨어 직렬 코딩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마스터 제어 유닛은 슬레이브 제어 유닛으로 코딩된 신호를 송신하고, 슬레이브 제어 유닛은 순차적으로 코딩된 신호를 수신한 후 코딩을 수행하고, 현재 코딩 및 코딩된 신호를 다음 슬레이브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며, 모든 슬레이브 제어 유닛이 코딩 완료 후 코딩 완료 플래그와 현재 코딩 수를 마스터 제어 유닛에 반환한다. 코딩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제어 유닛에 문제가 발생하면, 후속 슬레이브 제어 유닛도 코딩을 계속할 수 없으며, 관리 신뢰성이 낮다.
이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에 대해, 관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의 제공이 필요하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배터리 관리 모듈;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통신 연결되는 제2 배터리 관리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코딩 검출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코딩 검출 회로는 다수의 샘플링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상기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는 코딩 검출 회로가 설치되고,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한 다음,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얻는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코딩 검출 회로를 설정하고, 코딩 검출 회로에서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이 고장났을 때 기타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관리 신뢰성이 높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다. 코딩 데이터가 잘못된 경우 오류 프롬프트 정보가 출력되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다.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메시지가 출력되므로, 마찬가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은 설정 채널과 조정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채널은 전원 단자 또는 접지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조정 채널은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거나 분압 저항을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코딩 검출 회로의 설정 채널을 전원 단자 또는 접지에 연결하고, 조정 채널을 와이어 하니스 또는 분압 저항을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고, 각 채널 중 일부 채널의 전압을 고정시키고, 나머지 채널의 전압을 조정 가능하게 설정하는 방식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한 코딩 정보 조정 가능성을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배터리 관리 유닛(Battery Management Unit, BMU) 저전압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BMU 저전압 커넥터는 해당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과 연결된다. BMU 저전압 커넥터와 해당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을 연결하여, 미구성 채널에 대한 전압 설정을 편리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BMU 저전압 커넥터는 또한 외부 저전압 커넥터에 연결된다. 외부 저전압 커넥터를 이용하여 코딩 검출 회로에서 미구성 채널과 구성된 채널을 연결하여,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한 코딩 구성을 구현하여, 배터리 관리 모듈의 부피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 사이에는 직렬 통신이 수행된다.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 사이에서 직렬 통신이 수행되어, 배터리 관리 모듈 간의 코딩 데이터의 전송 및 집계를 용이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 사이는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 C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렬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데이터 통신의 즉시성이 강하다
전원 공급 장비에 있어서,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 장비에서,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는 코딩 검출 회로가 설치되고,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한 다음,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얻는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코딩 검출 회로를 설정하고, 코딩 검출 회로에서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이 고장났을 때 기타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관리 신뢰성이 높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 배터리 팩은 외부 부하에 대해 병렬로 전원을 공급한다. 각 배터리 팩은 병렬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 부하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 부하에 대해 고전압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배터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코딩 검출 회로를 설정하고,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코딩 검출 회로에서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이 고장났을 때 기타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관리 신뢰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코딩 데이터가 잘못된 경우 오류 프롬프트 정보가 출력되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메시지가 출력되므로, 마찬가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배터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증 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관리 장치는,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코딩 검출 회로를 설정하고, 배터리 관리 장치가 코딩 검출 회로에서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이 고장났을 때 기타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관리 신뢰성이 높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
상기 검출 유닛이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함을 검출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프롬프트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코딩 데이터가 잘못된 경우 오류 프롬프트 정보가 출력되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
상기 판단 유닛이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불일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프롬프트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메시지가 출력되므로, 마찬가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는 코딩 검출 회로가 설치되고,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한 다음,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얻는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코딩 검출 회로를 설정하고, 코딩 검출 회로에서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이 고장났을 때 기타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관리 신뢰성이 높다.
도 1은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연결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서 내부 전원 및 GND를 포함하는 BMS 샘플링 개략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서 외부 와이어 하니스의 연결 및 배합을 위한 BMS 샘플링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음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결부하여, 본 출원에 대해 진일보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에 “연결”된 것으로 간주될 때, 그것은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 구성요소를 통해 다른 하나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 실시예에서의 “연결”은, 연결된 회로, 모듈, 유닛 등이 서로 간에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의 전달이 있으면, “전기적 연결”, “통신 연결” 등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의 “일”, “하나” 및 “상기/해당”은 문맥에서 명백하게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한다/포함된다” 또는 “갖는다” 등의 용어는 명시된 특징, 전체,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또는 더 많은 기타 특징, 전체, 단계, 작업, 구성요소, 부품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추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동시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관련된 나열된 항목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존의 직렬 코딩 솔루션에서, 마스터 제어 유닛은 슬레이브 제어 유닛으로 코딩된 신호를 송신하고, 슬레이브 제어 유닛은 코딩된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후 코딩을 수행하며, 현재 코딩 및 코딩된 신호를 다음 슬레이브 제어 유닛으로 전송한다. 모든 슬레이브 제어 유닛이 코딩 완료 후 코딩 완료 플래그와 현재 코드 수를 마스터 제어 유닛에 반환한다. 직렬 코딩 때문에, 슬레이브 제어 유닛의 수가 많을 때 시간이 오래 걸린다. 코딩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제어 유닛에 문제가 발생하면, 후속 슬레이브 제어 유닛도 코딩을 계속할 수 없게 된다.
현재 전기 자동차의 주요 경쟁력은 주행 거리이며, 더 큰 주행 거리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 프로젝트에는 점점 더 많은 배터리 박스가 장착된다. 전기 자동차 외에도, 전기 보트,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은 모두 더 많은 전하량을 얻기 위해 더 많은 배터리 박스를 추구하고 있다. 이에 따른 셀 수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BMU, SPI 및 CAN-Bus의 loading 너무 높아, 단일 BMU가 여러 배터리 박스의 정보 처리 요구 사항을 더 이상 만족할 수 없는 리스크를 초래한다.
따라서 현재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아키텍처는 마스터-슬레이브 BMS 아키텍처이다. 즉, 전체 시스템은 마스터 BMS에 의해 마스터 제어 및 외부와의 상호 작용이 수행되고, 시스템의 각 배터리 팩 또는 각 브랜치에 슬레이브 BMS를 추가로 장착하여 데이터 수집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마스터 BMS와의 실시간 통신을 유지한다. 해당 아키텍처는 다중 패키지 시스템 및 각 단위체의 제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마스터-슬레이브 아키텍처에 대해, 다수의 BMS 사이의 신원 식별이 최우선이다. 각 BMS의 신원을 식별할 수 없으면, 구체적인 고장 패키지를 정확하게 찾을 수 없다. 또한, 신원 식별 및 관련 검출이 없으면, 배터리 팩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 디폴트, 심지어 불필요한 위험도 존재한다. 이에 기초하여, 본 솔루션은 다중 배터리 박스 시스템에 대한 간단하고 빠른 BMS에 기초한 하드와이어 코딩 및 신원 식별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중 배터리 박스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와이어 하니스의 연결을 통해, 웨이크업 후 매우 짧은 시간(100 밀리 세컨드(ms) 이내)에 모든 배터리 박스의 신원을 획득하고, 각 배터리 박스의 연결 상황을 진단할 수 있다. 어느 배터리 박스의 부재 또는 연결 고장은 나머지 배터리 박스의 신원 식별 및 진단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고정된 와이어 하니스 연결은 특유한 신원 코드에 대응된다. 즉, 코드를 알고 있으면 해당 배터리 박스를 즉시 정확하게 찾을 수 있으므로, 고장 진단, 배터리 박스의 정밀 검사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배터리 박스 사이의 신원 식별 외에도, 다음과 같은 식별을 제공할 수 있다. 캐리어 분류: 비행기/차량/배/에너지 저장; 캐리어 유형의 세분화: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젝트에 S/M/L 모델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서, 배터리는 차량 또는 기타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은 배터리가 차량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을 포함하고, 제2 배터리 관리 모듈과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통신 연결된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코딩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코딩 검출 회로는 다수의 샘플링 채널을 포함하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중,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모두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마스터 BMS 역할을 하고,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코딩 검출과 신원 식별을 수행한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수는 하나일 수 있고, 다수일 수도 있다. 이외에,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에는 자체 코딩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다수의 샘플링 채널을 포함하는 코딩 검출 회로가 설정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은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을 BMS로, 또한 모두 코딩 검출 회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다중 배터리 박스 시스템에서 각 배터리 박스에는 대응되는 배터리 팩과 BMS가 구성되어 있고, 배터리 팩은 하나 또는 다수의 직렬 연결된 배터리를 포함하며, BMS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 관리에 사용된다. 배터리 팩과 BMS의 수는 유일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은 Battery Pack 1, Battery Pack 2, …, Battery Pack N을 포함할 수 있고, BMS는 BMS 1, BMS 2, …, BMS N을 포함한다. 배터리 팩은 외부 부하에 병렬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차량 전원 공급을 예로 들면, 배터리 팩은 직렬 후 차량의 고압 회로에 연결되어, 고전압의 전원을 출력하여 차량에 전원을 공급한다. 각 배터리 팩은 병렬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 부하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 부하에 대해 고전압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서로 다른 BMS 사이는 직렬 또는 혼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BMS 사이에 직렬 통신이 수행된다. 각 BMS 사이에서 직렬 통신이 수행되며, 이는 BMS 간의 코딩 데이터의 전송 및 집계를 용이하게 한다. 진일보로, 일 실시예에서, 각 BMS 간에는 C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렬로 통신되므로, 데이터 통신의 즉시성이 강하다. 이외에, 각 BMS는 C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렬 후 차량 제어 유닛(Vehicle Control Unit)과 연결하여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각 배터리 박스의 BMS는 웨이크업 후 코딩 검출 회로에서 일부 또는 전부 샘플링 채널의 전압을 획득하고, 각 샘플링 채널의 전압 조합 방식에 따라 배터리 박스의 신원을 결정한다. 검출 회로에서 각 샘플링 채널의 전압은 전원 단자, 접지 단자 또는 분압 저항을 연결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설정을 통해 모든 샘플링 채널이 전원 단자 또는 접지 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회로 설정을 통해 일부 샘플링 채널이 전원 단자 또는 접지 단자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음 기타 샘플링 채널을 이미 설정된 채널에 연결하여, 마찬가지로 모든 체널에 대한 전압 설정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은 설정 채널과 조정 채널을 포함하고, 설정 채널은 전원 단자 또는 접지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조정 채널은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거나 분압 저항을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코딩 검출 회로의 설정 채널을 전원 단자 또는 접지에 연결하고, 조정 채널을 와이어 하니스 또는 분압 저항을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고, 각 채널 중 일부 채널의 전압을 고정시키고, 나머지 채널의 전압을 조정 가능하게 설정하는 방식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한 코딩 정보 조정 가능성을 구현한다.
진일보로,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BMU 저전압 커넥터(BMU LV connector)를 더 포함하고, BMU 저전압 커넥터는 해당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샘플링 채널은 채널(Channel 1), 채널(Channel 2), 채널(Channel 3), 채널(Channel 4), …, 채널(Channel N)을 포함하고, 채널(Channel 1)과 채널(Channel 5)을 설정 채널로 사용하고, 나머지 기타 채널을 조정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그중, 채널(Channel 1)은 전원 단자에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12볼트(V) 전압이 인가되고, 채널(Channel 5)는 접지된다. BMU 저전압 커넥터와 해당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을 연결하여, 미구성 채널에 대한 전압 설정을 편리하게 한다.
이외에, 일 실시예에서, BMU 저전압 커넥터는 또한 외부 저전압 커넥터에 연결된다. 외부 저전압 커넥터를 이용하여 코딩 검출 회로에서 미구성 채널과 구성된 채널을 연결하여,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한 코딩 구성을 구현하여, 배터리 관리 모듈의 부피도 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전원 공급을 예로 들면, 외부 저전압 커넥터는 차량 저전압 커넥터(Vehicle LV connector)이다. 차량 저전압 커넥터를 이용하여 기타 샘플링 채널을 채널(Channel 1) 또는 채널(Channel 5)와 각각 연결하고, 각 채널의 샘플링 결과를 하이 레벨 12V 또는 로우 레벨 0V로 구분하며, 결과를 1-하이 레벨, 0-로우 레벨로 디지털 처리한다. 이렇게, BMS는 각 샘플링 채널에서 해당 전압을 수집하고, BMS는 수집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한 다음, 모든 채널을 특유한 디지털 순열 조합으로 조합하여, 배터리 박스에 대해 특유한 코딩 신원을 부여할 수 있다. 그중, BMS가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을 수집하는 경우, 처리하여 얻은 하나의 숫자를 코딩 데이터로 사용하고, BMS가 다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을 수집하는 경우, 처리하여 얻은 다수의 디지털 순열 조합을 코딩 데이터로 사용한다.
마스터 BMS는 모든 BMS의 코딩 데이터를 얻은 후, 코딩 데이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고, 해당 배터리 박스의 신원 정보를 얻는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BMS는 코딩 데이터에 따라 분석하여 얻은 배터리 박스의 신원, 캐리어 분류 및 캐리어 유형 등 정보를 인증 결과로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마스터 BMS는 얻은 인증 결과를 차량 제어 유닛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다. 코딩 데이터가 잘못된 경우 오류 프롬프트 정보가 출력되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다채널 조합에 의해 배터리 박스의 신원을 설정하는 코드는 미리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코드 값이 정의된 범위 내에 없으면, 응답 오류를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류 프롬프트 메시지를 차량 제어 유닛으로 전송하여, 하드웨어를 검사하고 유지 관리해야 함을 상기시킨다.
진일보로, 일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다.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메시지가 출력되므로, 마찬가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전체 차량의 배합을 통해, 예를 들어, 통합 진단 서비스(Unified Diagnostic Services, UDS)를 통해 전체 차량이 오프라인될 때 규정된 배터리 박스의 수를 입력하면, 마스터 BMS는 현재 실시간으로 수집된 배터리 박스의 수와 디폴트 값을 비교할 수 있으며, 불일치할 때, 마찬가지로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차량 제어 유닛으로 출력하고, 오류 경보를 통해 전체 차량의 배터리 박스 및 통신을 확인하도록 상기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는 코딩 검출 회로가 설치되고,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한 다음,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얻는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코딩 검출 회로를 설정하고, 코딩 검출 회로에서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이 고장났을 때 기타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관리 신뢰성이 높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비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그중, 각 배터리 팩은 외부 부하에 대해 병렬로 전원을 공급한다. 각 배터리 팩은 병렬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 부하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 부하에 대해 고전압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과을 포함하고, 제2 배터리 관리 모듈과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통신 연결된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코딩 검출 회로를 포함하고, 코딩 검출 회로는 다수의 샘플링 채널을 포함하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은 설정 채널과 조정 채널을 포함하고, 설정 채널은 전원 단자 또는 접지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조정 채널은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거나 분압 저항을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코딩 검출 회로의 설정 채널을 전원 단자 또는 접지에 연결하고, 조정 채널을 와이어 하니스 또는 분압 저항을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고, 각 채널 중 일부 채널의 전압을 고정시키고, 나머지 채널의 전압을 조정 가능하게 설정하는 방식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한 코딩 정보 조정 가능성을 구현한다.
진일보로, 일 실시예에서,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BMU 저전압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BMU 저전압 커넥터는 해당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과 연결된다. BMU 저전압 커넥터와 해당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을 연결하여, 미구성 채널에 대한 전압 설정을 편리하게 한다.
이외에, 일 실시예에서, BMU 저전압 커넥터는 또한 외부 저전압 커넥터에 연결된다. 외부 저전압 커넥터를 이용하여 코딩 검출 회로에서 미구성 채널과 구성된 채널을 연결하여,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한 코딩 구성을 구현하여, 배터리 관리 모듈의 부피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다. 코딩 데이터가 잘못된 경우 오류 프롬프트 정보가 출력되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진일보로, 일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더 구성된다.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메시지가 출력되므로, 마찬가지로 빠른 고장 진단에 유리하다.
상기 전원 공급 장비에서,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는 코딩 검출 회로가 설치되고,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한 다음,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얻는다.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코딩 검출 회로를 설정하고, 코딩 검출 회로에서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 관리 모듈이 고장났을 때 기타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관리 신뢰성이 높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결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 따른 BMS 코딩 검출 및 신원 식별 솔루션은, BMS와 와이어 하니스와 배합 후의 전압 샘플링 솔루션을 사용하여 각 배터리 박스에 대해 코딩 및 대응되는 진단을 수행한다. 각 배터리 박스의 특유한 신원 코드는 다수의 샘플링 채널에서 얻은 샘플링 값들의 특유한 조합이다 고정된 와이어 하니의 솔루션은 고정된 샘플링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배터리 박스의 코딩도 고정된다. 직렬 또는 병렬 연결 방식에 관계없이 어느 배터리 박스의 단선 또는 통신 문제로 인해 나머지 배터리 박스의 사용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멀티 드롭(마스터-슬레이브) 배터리 박스와 전체 차량의 연결 약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은 병력 고전압 솔루션 및 직렬 CAN 통신 솔루션을 제공한다. 상기 아키텍처에 기초하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박스 코딩 솔루션은, 각 배터리 박스 내의 BMS에 의해 코딩 검출 회로를 제공한다. 해당 회로는 N개의 샘플링 채널, 미리 설정된 풀업 전원 채널, 풀다운 접지 채널 및 각 채널에 추가로 추가할 수 있는 분압 저항을 포함한다.
단순화된 내부 회로 솔루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MS는 고정 채널 2에 대응되는 12V 풀업 전원이 내장된 샘플링 회로를 직접 설계하므로, 이 샘플링 채널 2에서 수집할 수 있는 전압은 12V로 고정되었다(손실 및 정확도를 고려하지 않음). 마찬가지로, BMS는 채널 5의 샘플링 회로 내에 풀다운 접지점을 내장하므로, 채널 2의 전압은 0V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외부의 와이어 하니스는 서로 다른 채널 사이의 단락 또는 분압 저항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렇게, BMS는 각 샘플링 채널에서 대응되는 전압을 수집할 수 있다. BMS는 수집된 전압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한 다음, 모든 채널을 특유한 디지털 순열 조합으로 조합하여, 해당 배터리 박스에 특유한 코딩 신원을 부여할 수 있다.
외부 와이어 하니스의 배합을 통해 각 배터리 박스의 유일한 코딩 신원을 결정 및 구분하여, 배터리 팩 및 BMS의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생산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애프터 서비스를 위한 휴대용 의미를 가진다. 이 아키텍처 솔루션은 사용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 박스의 연결이 단선된 것으로 인해, 통신 또는 기능 상의 제한을 초래하지 않는다.
외부의 와이어 하니스의 단순화된 배합 설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솔루션에 따라, 전압 강하 손실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각 채널의 샘플링 결과는 하이 레벨 12V 또는 로우 레벨 0V로만 나눌 수 있다. 따라서 결과를 1-하이 레벨, 0-로우 레벨로 디지털 처리한다. 서로 다른 요구 사항에 따라 각 채널의 의미를 정의하며, 예를 들어:
1. 채널 1: 캐리어 -- 0-차량; 1-배
2. 채널 2: 유형 -- 0-BEV; 1-PHEV
3. 채널 3: 유형 -- 0-Car; 1-Bus
4. 채널 4: 차량/배 사양 -- 0-S; 1-M
5. 채널 5: 다채널 조합: 신원 코드 -- 배터리 박스1/2/3...
예: 채널 5-8이 배터리 박스의 코드를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도 1의 예시 솔루션에 따라, 채널 5는 이미 0으로 고정된다. 채널 6-8은 여전히 각각 0 또는 1일 수 있다. 이 4개의 채널은 0/1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조합할 수 있으며, 각 조합은 모두 전용 배터리 박스 신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0000 -- 배터리 박스 1
0001 -- 배터리 박스 2
0011 -- 배터리 박스 3
0100 -- 배터리 박스 4
0101 -- 배터리 박스 5
0110 -- 배터리 박스 6
0111 -- 배터리 박스 7
따라서, 이 솔루션은 완전히 일치한 배터리 박스의 사용을 지원하고, 서로 다른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서만 고유한 신원 정보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생산 관리 및 애프터 서비스에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동시에, 해당 솔루션은 전체 차량과 배합하여 배터리 박스 코딩의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 결과가 실패하면 오류 경보를 통해, 풀 프루프의 효과를 달성했다.
위의 솔루션에 기초하여, 다채널 조합에 의해 설정된 배터리 박스 신원의 이 코딩은 사전에 규정될 수 있고, 코딩 값이 정의 범위에 있지 않으면, 응답 오류를 보고하고, 하드웨어를 검사하고 유지 관리해야 함을 상기시켜야 한다.
이외에, 전체 차량의 배합을 통해, 예를 들어, UDS는 전체 차량이 오프라인될 때 규정된 배터리 박스 수를 입력하는 것을 통해, 마스터 BMS는 현재 실시간으로 수집된 배터리 박스의 수와 디폴트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일치하지 않으면, 오류 경보의 방식을 통해 전체 차량의 배터리 박스 및 통신을 확인하도록 상기시킬 수 있다.
상기 솔루션의 각 채널에 대한 가능성은 두 가지뿐이며, 각 채널의 가능성을 증가시켜 채널 수를 줄이려면, 와이어 하니스 단자 또는 BMS 단자에 저항을 추가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연결 후 서로 다른 저항 조합의 방식으로 분압하는 것을 통해 각 채널에서 수집된 레벨 사다리를 증가시킬 수 있고, 0/1의 제한을 벗어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진일보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진일보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 관리 방법의 구체적인 제한에 대해 본 출원의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실시예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관리 장치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장치는,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증 유닛; 을 포함한다.
진일보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
상기 검출 유닛이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함을 검출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프롬프트 유닛; 을 더 포함한다.
진일보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
상기 판단 유닛이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불일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프롬프트 유닛; 을 더 포함한다.
배터리 관리 장치의 구체적인 제한에 대해 본 출원의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 실시예의 관련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의 각 구성요소는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설명이 간결함을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기술적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일일이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들의 조합이 모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몇몇 실시예를 나타낼 뿐이며, 그에 대한 설명은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본 발명 특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본 출원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여려 수정 및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따라서, 본 출원의 특허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본 출원은 2021년 12월 24일에 출원된 명칭이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인 제202111598891.1호의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Claims (16)

  1.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 배터리 관리 모듈; 및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통신 연결되는 제2 배터리 관리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코딩 검출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코딩 검출 회로는 다수의 샘플링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상기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또한,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은 또한,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은 설정 채널과 조정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설정 채널은 전원 단자 또는 접지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조정 채널은 와이어 하니스를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거나 분압 저항을 통해 설정 채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은 BMU 저전압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BMU 저전압 커넥터는 해당 코딩 검출 회로의 샘플링 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MU 저전압 커넥터는 또한 외부 저전압 커넥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 사이에는 직렬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 사이에는 C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렬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9. 전원 공급 장비에 있어서,
    배터리 팩 및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외부 부하에 대해 병렬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비.
  11. 배터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배터리 관리 모듈이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하지 않을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방법.
  14. 배터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적용되며, 상기 장치는,
    다수의 샘플링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샘플링 채널의 전압에 따라 코딩 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및
    상기 코딩 데이터에 따라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에 대해 신원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인증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미리 정의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2 배터리 관리 모듈의 코딩 데이터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 및
    상기 검출 유닛이 잘못된 코딩 데이터가 존재함을 검출할 때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프롬프트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신된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일치한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판단 유닛; 및
    상기 판단 유닛이 코딩 데이터의 수가 디폴트 값과 불일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오류 프롬프트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2 프롬프트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1020227034000A 2021-12-24 2022-05-23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 KR20230098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598891.1A CN115811103B (zh) 2021-12-24 2021-12-24 电池管理系统和供电设备
CN202111598891.1 2021-12-24
PCT/CN2022/094473 WO2023115804A1 (zh) 2021-12-24 2022-05-23 电池管理系统和供电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500A true KR20230098500A (ko) 2023-07-04

Family

ID=8689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000A KR20230098500A (ko) 2021-12-24 2022-05-23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04683A1 (ko)
EP (1) EP4231410A4 (ko)
JP (1) JP2024505763A (ko)
KR (1) KR20230098500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3763A (zh) * 2016-03-23 2016-08-10 上海航天测控通信研究所 Can总线动态设置装置及方法
CN206579487U (zh) * 2017-03-21 2017-10-24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系统、电池包及电动汽车
US10589630B2 (en) * 2017-10-13 2020-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fied vehicle drivetrain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31410A1 (en) 2023-08-23
US20230204683A1 (en) 2023-06-29
JP2024505763A (ja) 2024-02-08
EP4231410A4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27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balancing battery cells
KR102329913B1 (ko) 배터리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고 조절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러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구비한 배터리 시스템
DE112013000580B4 (de) Integrierte normenkonforme Datenerfassungsvorrichtung, Batterieüberwachungssystem und -verfahren
US20100259221A1 (en) Batter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30221919A1 (en) System and methods for battery management
US9728993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system
EP2549581A2 (en) Battery apparatus for controlling plural batteries and control method of plural batteries
CN109302852A (zh) 管理装置和电源系统
US11411259B2 (en) Battery control unit
US20230147606A1 (en) Management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JPWO2013024541A1 (ja) 電池監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池制御装置
CN107634277A (zh) 一种基于无线通讯电芯的汽车云端电池管理系统
CN108463934A (zh) 布线诊断装置、电池系统以及电力系统
US11130406B2 (en) Integrated standard-compliant data acquisition device
CN110661333B (zh) 直流电源系统、及其监控方法
WO2023115804A1 (zh) 电池管理系统和供电设备
CN110605964B (zh) 一种高压互锁检测方法及系统
US20220158255A1 (en)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230098500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비
Yang et al. Intelligent vehicle electrical power supply system with central coordinated protection
CN113799611B (zh) 电动汽车电池诊断及控制方法、车载终端及可读存储介质
KR20210058717A (ko) 멀티 배터리 팩에 포함된 스위치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CN213734664U (zh) 电池电压和温度监控系统
CN211731115U (zh) 电动汽车的电池组系统
CN117360324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系统、设备、储存介质以及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