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121A -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121A
KR20230098121A KR1020230081221A KR20230081221A KR20230098121A KR 20230098121 A KR20230098121 A KR 20230098121A KR 1020230081221 A KR1020230081221 A KR 1020230081221A KR 20230081221 A KR20230081221 A KR 20230081221A KR 20230098121 A KR20230098121 A KR 20230098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acid
hydrochloric acid
disease
inf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훈
김로원
이정은
임헌주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케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케이앤에스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3009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alogenated hydrocarbons
    • A01N29/02Acyclic compound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tached to an aliphatic side-chain of a cycloaliph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양식장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난균성 갯병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어 김의 병해를 방지하면서 김의 생장을 촉진하고 수확된 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김의 난균성 갯병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젖산과 프로피온산 및 염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균병과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Active Treatment Agent Composition for Simultaneous Control of Olpidiopsis blight and Red-Rot Disease}
본 발명은 김 양식장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낭균병과 붉은갯병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어 김의 병해를 방지하면서 김의 생장을 촉진하고 수확된 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김의 낭균병과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는 전세계적으로 식품 및 식이 보조제, 동물 사료, 화학 물질 및 바이오 연료로 수천 년동안 사용돼 왔다. 특히 아시아에서는 식품으로서의 해조류 활용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김, 미역, 다시마의 양식 산업이 발전해왔다. 2017년 통계에 따르면, 주 양식종인 김, 미역, 다시마 중에서도 김은 총 생산량의 29.6%, 총 생산금액의 71%를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금액 5억 달러를 달성하여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리잡고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양식되는 김의 종류에는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 잇바디돌김(Pyropia dentata), 모무늬돌김(Pyropia seriata)이 있으며, 특히 양식장에서는 생산성이 높은 품종이 선호됨에 따라 방사무늬김 양식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김의 생산량은 해수, 기후 및 해양 조건 등의 자연적 요인과 김 엽체의 퇴색 및 김발에서의 엽체 유실을 일으키는 갯병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특히 갯병의 경우 김의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생산량을 감소시켜 어민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갯병은 낭균병(Olpidiopsis blight), 녹반병(Green-spot disease), 붉은갯병(Red-rot disease)이 있으며, 비교적 수온이 높은 양식 초기인 11~12월과 끝 무렵인 2~3월에 주로 발병한다.
갯병 중에서도 Oomycete강에 속한 붉은갯병균(Pythium porphyrae)과 낭균 (Olpidiopsis spp.)에 의해 발병하는 붉은갯병과 낭균병은 김 양식장에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는 붉은갯병균과 낭균은 김을 직접적으로 감염시키는 유주자를 계속해서 형성, 방출할 수 있는 두 질병균의 생식 및 감염기작 특성과 관련이 깊다. 이로 인해 김 양식장에 두 가지 갯병이 동시에 출현하는 경우 김 양식장에 큰 피해를 주게 되며, 김 양식장에서는 거의 항상 붉은갯병과 낭균병이 함께 발생한다.
우리나라 김 양식장에서는 갯병을 방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35% 염산인 무기산을 주로 사용해왔다. 1994년 산처리제의 사용기준을 고시로 제정한 후 무기산의 사용이 제한되면서, 1998년부터 무기산을 대체하기 위해 유기산에 무기산을 혼합한 혼합액을 활성처리제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재 김 양식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활성처리제는 염산 8.0~9.5%, 유기산 10% 이상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현실적으로 유기산은 매우 비싸 실제로 10%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염산이 들어가지 않으면 부착물 찌꺼기 등이 제거되지 않아 어민들이 아예 사용을 하지 않으므로 현실성이 없다.
활성처리제의 주성분으로 들어가는 유기산은 산성을 띠는 유기화합물로 곰팡이,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며 식품의 부패 방지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 유기산의 항균 효과 및 작용 범위는 유기산의 종류 및 생화화적 특성에 의해 차이를 보인다. 갯병과 관련된 유기산의 항균효과는 붉은갯병을 일으키는 붉은갯병균에 대해서 젖산, 말산, 구연산, 글루콘산, 타타르산의 효능이 보고된 바 있지만, 낭균병에 대한 유기산의 항균효과는 보고된 바 없다. 또한 기존의 갯병 방제 방안이었던 염산을 처리할 시에도 숙주인 김 세포 내의 낭균은 손상을 주지 않아 방제 효과가 없음이 보고되어 낭균병 방제에 효과적인 활성처리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더하여 김 양식장에서는 낭균병과 붉은갯병이 거의 항상 발병하기 때문에 두 질병을 동시에 잡지 않으면 실질적인 갯병 구제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나의 질병만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도리어 다른 질병이 손쉽게 퍼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데 두 질병을 모두 잡을 수 있는 처리제가 없어서 그동안 골머리를 앓아 왔다. 어민들은 그저 높은 농도의 염산을 처리하는 것으로만 대응하다 보니 많은 불법행위와 그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여 왔다.
또한 염산을 대체하고자 개발된 활성처리제는 염산에 비해 처리 비용이 높고, 처리 시간이 길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무기산인 염산의 불법 사용이 만연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752610호 공개특허 제10-2000-0060843호 일본 등록특허 제3595004호 일본 등록특허 제3631466호
본 발명은 낭균병과 붉은갯병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어 김의 병해를 방지하면서 김의 생장을 촉진하고 수확된 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김의 난균성 갯병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로피온산 및 염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균병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종래 난균성 갯병의 방제에 사용되던 염산은 낭균병의 방제에는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유기산의 낭균병에 대한 항균 효과 역시 보고된 바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프로피온산과 염산의 혼합물은 낭균병을 매우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프로피온산과 염산의 혼합에 의해 붉은갯병의 방제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낭균 뿐 아니라 붉은갯병의 방제에도 효능이 우수하여 낭균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면 낭균병과 붉은갯병을 동시에 방제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난균성 갯병의 구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붉은갯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더욱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젖산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김 양식어장 활성처리제 사용기준 중 제4조 활성처리제의 성분 허용함유량에 따르면, 유기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활성처리제 중 염소이온, 황산이온, 질산이온의 합계 함량은 8% 이상 9.5% 이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염산의 중량비는 8%~9.5%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범위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범위보다 낮은 농도인 5 중량%의 HCl을 함유한는 경우에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범위를 벗어난다고 해서 방제 효능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염산은 조성물의 시너지 효과를 나게 하는 주요한 성분 중의 하나로, 염산 그 자체로는 해당 농도에서 난균성 갯병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나 프로피온산과의 혼합 시 방제 효과를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젖산과의 혼합 시 붉은갯병에 대한 방제 효과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프로피온산의 농도는 0.5~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젖산이 추가로 함유된 조성물에서 젖산과 프로피온산의 중량비는 1:9~9:1인 것이 바람직하며, 낭균병과 붉은갯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7:3~5: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낭균병과 붉은갯병의 발생 양상에 따라 상기 비율은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즉, 젖산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붉은갯병의 방제에 유리하고, 프로피온산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낭균병의 방제에 유리하기 때문에 난균성 갯병 중 붉은갯병과 낭균병의 발생빈도를 고려하여 상기 비율 내 젖산과 프로피온산의 중량비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처리제 조성물은 해수로 희석하여 김을 5초~1분간 처리하는 것에 의해 난균성 갯병을 방제할 수 있다. 희석배율은 10~100배(v/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난균성 갯병의 종류나 발생빈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김의 난균성 갯병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에 의하면 붉은갯병 뿐 아니라 종래 효과적인 활성처리제가 없었던 낭균병에 대해 동시에 방제 효과를 나타내고, 낮은 농도에서도 붉은갯병과 낭균병 모두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어 김 양식장의 피해를 막고 수확된 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방사무늬김의 현미경 사진 및 배양 사진.
도 2는 붉은갯병균 및 낭균병에 감염된 김 엽체의 현미경 사진.
도 3은 프로피온산과 젖산의 처리 농도에 따른 붉은갯병의 감염저해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프로피온산 또는 젖산과 염산 혼합용액의 붉은갯병에 대한 감염저해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프로피온산 또는 젖산과 염산 혼합용액의 희석배율에 따른 붉은갯병에 대한 감염저해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9.5% 염산 수용액의 희석배율에 따른 붉은갯병에 대한 감염저해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7은 젖산, 프로피온산 및 염산 혼합액의 희석배율에 따른 붉은갯병에 대한 감염저해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8은 9.5% 염산 수용액의 희석배율에 따른 낭균병에 대한 감염저해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9는 프로피온산과 염산 혼합용액의 희석배율에 따른 낭균병에 대한 감염저해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0은 젖산과 염산 혼합용액의 희석배율에 따른 낭균병에 대한 감염저해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1은 젖산, 프로피온산 및 염산 혼합액의 희석배율에 따른 낭균병에 대한 감염저해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12는 프로피온산과 젖산의 혼합비율에 따른 붉은갯병과 낭균병의 방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실시예]
김 및 균주의 배양
1) 방사무늬김(Pyropia yezonesis)
방사무늬김은 목포 해조류 바이오연구센터에서 분양받아 PES(Provasoli Enriched Seawater) 배지에서 단독 배양하였다. 여과지(Whatman No. 2)로 여과한 해수를 고압증기멸균기로 121℃, 1.2기압의 조건에서 20분간 멸균하여 사용하였다. 배양조건은 10℃, 12:12 hr L:D cycle, 백색광(>50 μmol/m2·s1)을 사용하였으며 통기배양 하였다. 배양 배지는 7일 주기로 교체하였다.
도 1의 A는 방사무늬김의 현미경 이미지(scale bar : 20㎛)이며, B는 PES 배지에서 방사무늬김의 엽체를 배양하는 사진이다.
2) 붉은 갯병균(Pythium porphyrae)
붉은갯병균은 진도군 회동에서 채집한 붉은갯병에 감염된 김 엽체에서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도 2의 A는 붉은갯병균에 감염된 김 엽체의 현미경 사진이다. 도 1에서의 정상 세포와는 달리 도 2의 A에서는 균사가 실처럼 김 세포를 뚫고 지나가는 흔적을 볼 수 있으며, 뚫린 세포들은 정상 김 세포보다 김 세포가 수축하며 빨간색을 나타낸다. 채집된 김의 감염 부위를 잘라 cornmeal agar 배지에서 분리 될 때까지 계대배양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cornmeal agar 배지에서 21일의 주기로 20℃, 12:12 hr L:D cycle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실험에 사용할 시에는 계대배양 조건과 같은 빛, 온도로 Arasaki B 배지에서 7~10일간 현탁배양 하여 분리된 균사를 사용하였다.
3) 낭균(Olpidiopsis pyropiae)
낭균은 진도군 회동에서 채집한 낭균병에 감염된 김 엽체를 방사무늬김으로 병균을 전이시켜 분리 배양하였다. 도 2의 B는 낭균병에 감염된 김 엽체의 현미경 사진으로, 낭균병 감염에 의해 김 세포가 노랗게 변한 것을 보여준다. 배양조건은 15℃, 12:12 hr L:D cycle, 백색광(>50 μmol/m2·s1)을 사용하였으며 5~7일 주기로 새로운 방사무늬김을 넣어 주어 낭균을 유지하였다.
낭균의 감염 유도 및 감염률의 측정
1) 붉은갯병
Arasaki B 배지에서 7~10일간 현탁배양한 균사 형태의 붉은갯병균을 멸균된 해수에 24~30hr 동안 노출시켜 유주자의 방출을 유도하였다. 방출된 유주자의 세포수는 3.7%의 formaldehyde를 1/500로 희석한 고정액에 고정시킨 후 hemocy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5×103 cell/ml의 유주자를 방사무늬김과 함께 멸균된 해수에서 배양하여 감염시켰다. 감염의 관찰 및 촬영은 광학현미경(OLYMPUS, BX50)과 cellSens program을 이용하였다. 감염률 측정은 image program인 Adobe Photoshop을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의 전체 면적 대비 감염면적을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이하 실시예에서, 처리액의 종류 및 희석배율에 따른 감염률, 감염세포 수의 통계적 차이는 one-way ANOVA를 통해 확인하였다. 사후검정(Post-hoc test)을 통해 각각의 처리액의 종류 및 희석배율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였다.
2) 낭균병
낭균병에 감염된 김 엽체에서 유주자를 방출시킨 후, 유주자가 포함된 감염수를 40 μm 필터로 여과하여 방사무늬김을 감염시켰다. 감염의 관찰 및 촬영은 붉은갯병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붉은갯병에 대한 활성처리제 효능 검정
1) 프로피온산과 젖산 처리 농도에 따른 감염 분석
붉은갯병 감염 저해 효과가 우수한 프로피온산과 젖산의 최소 효과 농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농도별(0.1, 0.25, 0.5, 1 wt%) 시료를 준비한 후 붉은갯병에 감염된 엽체에 15초간 처리하였다. 처리 직후 엽체를 멸균 해수에 세척하고 3일간 배양하여 대조구의 감염이 80%이상 진행된 것을 확인한 후 처리구의 갯병 감염률을 비교 측정하였다.
도 3은 그 결과를 도시한 것으로, 프로피온산(PPA)은 0.25% 처리 시까지는 대조군의 감염률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0.5% 처리구의 감염률(52.7%)은 대조군의 감염률(90.9%)보다 낮았고, 1%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감염률(5.63%)을 보였다. 또한, 도 3에서 젖산(LA)은 프로피온산에 비해 낮은 농도에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0.1% 처리구의 감염률 84.5%는 0.25% 처리구의 감염률 4.0%와 0.5% 처리구의 감염률 4.2% 및 1% 처리구의 감염률 3.9%보다 높았으나, 대조구의 감염률 90.9%보다는 유의하게 낮았다.
프로피온산의 pH는 1% 용액에서 2.99, 0,1% 용액에서 3.83이었으며, 젖산의 pH는 1% 용액에서 2.24, 0.1% 용액에서 3.02로 젖산이 프로피온산에 비해 산성이 강하였다.
2) 유기산과 염산 혼합액의 처리에 따른 감염 분석
김 양식어장 활성처리제 사용기준에 따르면 유기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활성처리제에서 각 성분의 허용함유량은, 유기산은 10% 이상, 염소이온, 황산이온, 질산이온의 합계 함량은 8%이상 9.5%이하, 황산이온, 질산이온은 각각 2%이하이다.
이에 프로피온산(10 w%) + 염산(9 w% 또는 5 w%), 젖산(10 w%) + 염산(9 w% 또는 5 w%)의 조성을 갖는 활성처리제를 제조하였다. 활성처리제를 1/30로 멸균된 해수를 이용하여 희석한 후, 붉은갯병에 감염된 엽체에 15초간 처리한 다음 즉시 멸균 해수에 세척하였다. 이후 3일간 배양하여 대조구의 감염이 80% 이상 진행되었을 때 처리구의 감염률을 비교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감염률은 83.7%였으며, 10% 프로피온산 처리구의 감염률 61.9%나 5% 염산 처리구의 감염률 69.2%, 9.5% 염산 처리구의 감염률 65.3%에 비해 10% 프로피온산과 5% 염산 또는 9.5% 염산 혼합물 처리구의 감염률은 각각 3.4%와 3.0%로 프로피온산과 염산의 혼합물 처리 시 효과가 매우 현저하였다.
반면, 10% 젖산 처리구의 감염률은 1.9%로 이미 매우 낮았기 때문에 추가로 5% 염산 또는 9.5% 염산을 혼합한 경우에도 젖산만 처리한 것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유기산과 염산 혼합액의 희석배율에 따른 감염 분석
유기산과 염산 혼합액을 희석하여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감염을 분석하였다.
10% 프로피온산과 9.5% 염산 혼합액은 희석배율이 증가할수록 감염률이 증가하였으며, 80배 희석액의 감염률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참고로 9.5% 염산만을 희석하여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감염률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6 참조). 프로피온산의 50배 희석 처리구의 감염률은 21.3%로 대조군의 감염률 86.1%의 25% 수준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상기 용액 중 프로피온산의 농도는 0.2%로 해당 농도의 프로피온산 용액(도 3)이나, 염산 용액(도 6) 단독으로는 붉은갯병 방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아 혼합용액의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10% 젖산과 9.5% 염산 혼합액은 희석배율이 증가할수록 감염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50배, 60배, 80배 희석액의 감염률은 각각 3.3, 4.2, 5.2%로 대조군의 감염률 86.1%에 대해 약 3.8~6.0% 수준이었다. 젖산은 그 자체로 감염 억제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프로피온산에 비해서는 염산과의 혼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약했지만, 역시 도 3과 도 6을 참조하여 농도를 환산해 보았을 때 혼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젖산, 프로피온산 및 염산 혼합액 처리에 따른 감염 분석
젖산, 프로피온산 및 염산을 하기 표 1의 농도가 되도록 혼합하여 활성저해제를 제조한 후 희석액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붉은갯병 감염 저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에서 A, B, C는 각각 하기 표 1의 1, 2, 3의 실험군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9.5% 염산과 표 1의 조성물의 희석비율에 따른 용액의 pH를 유리전극(Hemilton, Liq-Glass BNC) 이 부착된 pH meter (NeoMet, pH/ISE Meter pH-250L) 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Figure pat00002
낭균병에 대한 활성처리제 효능 검정
1) 유기산과 염산 혼합액의 희석배율에 따른 감염 분석
붉은갯병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유기산과 염산 혼합액을 희석하여 낭균병에 감염된 김 엽체에 처리하고, 감염 세포의 수를 관측하였다.
먼저 도 8은 9.5% 염산의 희석배율에 따른 낭균의 감염률을 나타낸 그래프로 9.5% 염산 희석액의 처리에 따라 감염률은 대략 20% 정도가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도 9는 10% 프로피온산과 9.5% 염산 혼합액의 희석액 처리에 따른 낭균 감염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프로피온산과 염산의 혼합액 30, 40, 50배 희석처리구의 감염 세포 수는 대조군의 감염 세포 수(98.6개) 보다 적었다. 30배 희석 처리구의 감염 세포 수(6.6개)와 40배 희석 처리구의 감염 세포 수(10.5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50배 희석 처리구의 감염 세포 수(30.2개) 보다 적었다.
10% 젖산과 9.5% 염산 혼합액은 희석배율이 증가할수록 감염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30배, 40배, 50배 희석액 처리 시의 감염 세포 수는 각각 60.6개, 73.8개, 89.8개로 대조군의 감염 세포 수 98.6개에 비해 61~91% 수준이었다. 50배 희석처리 시의 감염 세포 수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붉은갯병에 대해서는 젖산이 함유된 희석액이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낭균에 대해서는 젖산의 희석액이 프로피온산에 비해 효과가 낮았다.
2) 젖산, 프로피온산 및 염산 혼합액 처리에 따른 감염 분석
젖산, 프로피온산 및 염산을 하기 표 3의 농도가 되도록 혼합하여 활성저해제를 제조한 후 희석액을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1)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낭균병 감염 저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도 11에 도시하였다.
Figure pat00003
난균성 갯병 방제용 조성물의 농도에 따른 붉은갯병과 낭균병의 방제 효과 확인
붉은갯병과 낭균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조성물의 최적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9.5% 염산 및 젖산과 프로피온산의 혼합물을 젖산과 프로피온산의 비율을 변화시키며 방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도 12는 30배 희석액을 사용한 처리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로, LA는 젖산을 CP는 프로피온산을 나타낸다. 도 12로부터 프로피온산과 젖산의 중량비가 7:5~3:5인 경우 붉은갯병과 낭균병을 동시에 우수한 효율로 방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Claims (4)

  1. 프로피온산 및 염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균병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2. 프로피온산 및 염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젖산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 젖산과 프로피온산의 중량비는 1:9~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KR1020230081221A 2020-01-29 2023-06-23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KR202300981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27 2020-01-29
KR20200010527 2020-01-29
KR1020210006201A KR102549525B1 (ko) 2020-01-29 2021-01-15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201A Division KR102549525B1 (ko) 2020-01-29 2021-01-15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121A true KR20230098121A (ko) 2023-07-03

Family

ID=77315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201A KR102549525B1 (ko) 2020-01-29 2021-01-15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KR1020230081221A KR20230098121A (ko) 2020-01-29 2023-06-23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201A KR102549525B1 (ko) 2020-01-29 2021-01-15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95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026B1 (ko) 2022-10-14 2023-12-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병성 변이참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004B2 (ja) 1978-03-15 1984-02-02 東洋紡績株式会社 中空糸型膜分離装置
JPS631466B2 (ko) 1976-06-04 1988-01-12 Linde Ag
KR20000060843A (ko) 1999-03-19 2000-10-16 곽효섭 김양식용 유기산 처리제
KR101752610B1 (ko) 2016-12-08 2017-06-29 명지테크 주식회사 김 양식용 활성처리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1466B2 (ja) * 2002-01-31 2005-03-23 扶桑化学工業株式会社 養殖海苔用処理剤並びに養殖海苔用処理液及び養殖海苔の処理方法
JP4717424B2 (ja) * 2004-12-01 2011-07-06 第一製網株式会社 海苔の雑藻駆除及び病害防除のための海苔処理方法及び海苔処理剤
KR100856757B1 (ko) * 2008-04-28 2008-09-05 (주)대성케미칼 김양식용 유기산 고염처리제
KR20200000147A (ko) * 2018-06-22 2020-01-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레이저 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66B2 (ko) 1976-06-04 1988-01-12 Linde Ag
JPS595004B2 (ja) 1978-03-15 1984-02-02 東洋紡績株式会社 中空糸型膜分離装置
KR20000060843A (ko) 1999-03-19 2000-10-16 곽효섭 김양식용 유기산 처리제
KR101752610B1 (ko) 2016-12-08 2017-06-29 명지테크 주식회사 김 양식용 활성처리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024A (ko) 2021-08-06
KR102549525B1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98121A (ko) 김의 낭균병 및 붉은갯병의 동시 방제를 위한 활성처리제 조성물
JP4977011B2 (ja) バチルス・ズブチリスを用いた甲殻類カビ病および魚介類カビ病の予防方法
Granke et al. Effects of temperature, concentration, age, and algaecides on Phytophthora capsici zoospore infectivity
US9115012B2 (en) Method of improving the water quality in aquatic ecosystems
KR100856757B1 (ko) 김양식용 유기산 고염처리제
Czeczuga et al. Aquatic fungi developing on the eggs of certain fresh water fish species and their environment
US20050158840A1 (en) Biological process for colour reduction of pulp and paper effluent
CN106259511B (zh) 一种生物除藻剂
KR102489018B1 (ko) 마이크로시스티스 에루지노사에 대한 살조활성을 가지는 파우시박터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10027750A (ko) 산 처리제를 이용한 김 양식 방법
Mohamed et al. Evaluating the in vivo efficacy of copper-chitosan nanocomposition for treating vascular wilt disease in date palm
KR101752610B1 (ko) 김 양식용 활성처리제
Wang et al. Allelopathic effects of macroalga Corallina pilulifera on the red-tide forming alga Heterosigma akashiwo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R102351383B1 (ko) 픽티바실러스 속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적조 방제용 조성물
Mincuzzi et al. Effectiveness of alternative means for controlling pomegranate postharvest pathogens
KR20100089956A (ko) 나노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방제방법
CN112661275A (zh) 一种蓝藻去除自然水体富营养化消除生物复混净水材料
Zhang et al. Aspergillus niger produces lethal compounds against nematodes
KR102556901B1 (ko) 담수에서 분리한 항균력 및 식물생장촉진능을 가지는 에드니아 속 nnibrfg151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651204B1 (ko) 스클레로티움 속 진균에 대한 선택배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i Antifungal activity of sodium chloride on Saprolegnia diclina and Aphanomyces sp.
CN111392787A (zh) 消除裸藻并快速修复养殖水体环境的制剂及其制备方法
Hamed et al. Biosynthesis of Copper Oxide Nanoparticles by Marine Streptomyces MHM38 and their Preventive Efficacy Against Paracetamol-Inducing Hepatic Damage of Albino Rats
KR20230021881A (ko) 과산화아세트산을 함유한 김 붉은갯병 구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김 붉은갯병 구제방법
KR100621917B1 (ko) 둥굴레속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해조류 및개구리밥 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