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541A -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 Google Patents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541A
KR20230097541A KR1020210187149A KR20210187149A KR20230097541A KR 20230097541 A KR20230097541 A KR 20230097541A KR 1020210187149 A KR1020210187149 A KR 1020210187149A KR 20210187149 A KR20210187149 A KR 20210187149A KR 20230097541 A KR20230097541 A KR 2023009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ap
header tank
receiver dryer
condens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홍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541A/ko
Publication of KR2023009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1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ontaining a drier or a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25B2400/162Receivers characterised by the plug or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덴서의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의 건조재를 교환하는데 있어서,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 제2헤더탱크,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 양단이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에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결합되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및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를 밀폐시키는 탑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Condenser including top cap}
본 발명은 콘덴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정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콘덴서(Condenser)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튜브를 통해 콘덴서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로 보내어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장치다.
도 1은 종래 콘덴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콘덴서의 측면에는 리시버 드라이어(10)가 위치한다. 리시버 드라이어(10) 내부에는 냉매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재가 위치하며, 리시버 드라이어(10)의 하부에는 건조재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바텀 캡 어셈블리(20)가 결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바텀 캡 어셈블리(2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캡 어셈블리(20)는 리시버 드라이어(10)의 하부를 맞는 역할의 캡 부(21), 캡 부(21)의 상부에 형성되는 필터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캡 부(21)와 필터부(22)의 경계면에는 오링이 적용되어 리시버 드라이어(10)의 하부를 씰링한다. 필터부(22)는 필터가 결합되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러한 리시버 드라이어(10)는 장치의 사용에 따라 리시버 드라이어(10) 내부에 수용된 건조재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건조재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리시버 드라이어(10)의 하부에 위치한 바텀 캡 어셈블리(20)를 빼고, 리시버 드라이어(10)의 하부로 건조재를 교환한 후, 바텀 캡 어셈블리(20)를 다시 결합해야 했다. 이러한 방식은 정비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0424호("열교환기용 콘덴서의 구조". 공고일 2003.07.2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목적은, 콘덴서의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의 건조재를 교환하는데 있어서,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 제2헤더탱크,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 양단이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에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결합되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및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를 밀폐시키는 탑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지지부를 포함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지지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 상단의 외경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내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필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의 상단 외경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내경 이상이며, 상기 확장부는, 상단 중 일부분이 절개되거나 제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인접한 헤더탱크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유로를 연결하되, 상하로 이격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측 일단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로 돌출되는 두 개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두 개의 커넥터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 캡은, 상하로 분리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파트, 제2파트 및 제1파트와 제2파트가 서로 만나는 경계에 위치하는 제1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 캡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의 중단에 위치하는 제1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 캡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되는 바텀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지지부의 하단은 상기 바텀 캡의 상단과 맞닿아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지지부는, 일부분이 내측으로 연장되어 평면을 형성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면부 중 일부분은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지지부의 내측 하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단 높이는 상기 평면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필터부를 설치하기 위한 보조도구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및 상기 바의 하단에 형성되며, 하면의 형상이 상기 평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에 의하면,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단에 탑 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자가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의 건조재를 교환하는데 있어서 정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지지부의 상단 외경이 리시버 드라이어의 내경 이상으로 형성되고, 필터 지지부가 리시버 드라이어에 삽입되어 억지 끼움 되어, 별도의 장치 없이도 필터 지지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헤더탱크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연결하는 두 개의 커넥터 사이에 필터 지지부의 상단이 위치해, 필터 지지부를 고정시켜, 고정을 위한 별도의 구성 없이도 필터 지지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확장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필터 지지부가 리시버 드라이버에 고정될 때, 확장부 중 노치 사이가 노치를 완충공간으로 하여 내측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확장부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지지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높이가 필터 지지부의 상단 높이 또는 확장부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필터 지지부의 상부에서 필터측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보다 용이하게 필터 측으로 유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지지부에 형성되는 평면부와, 보조도구를 통해 필터부를 용이하게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억지 끼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부의 일부분이 함몰 형성되고, 보조도구의 하면이 평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필터부를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로 억지끼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텀 캡의 상단이 필터부의 하단을 지지하여, 필터부가 더욱 안정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탑 캡이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탑 캡을 결합/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탑 캡이 제1파트와 제2파트로 구성되고, 제1파트와 제2파트가 서로 융착되어 결합되어, 제1파트와 제2파트를 사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파팅라인으로 인해, 제1파트와 제2파트의 경계선에 위치한 제1오링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콘덴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콘덴서에 적용된 바텀 캡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필터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설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탑 캡의 설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탑 캡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탑 캡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탑 캡과 필터부를 설치하는 보조도구의 사용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는, 제1헤더탱크(101), 제2헤더탱크(102), 입구파이프(103), 출구파이프(104), 튜브(105), 리시버 드라이어(200), 탑 캡(300) 및 필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들 중, 제1헤더탱크(101), 제2헤더탱크(102), 입구파이프(103), 출구파이프(104) 및 튜브(105) 자체는 종래 콘덴서에 포함되는 구성들이고, 종래 콘덴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1헤더탱크(101)와 제2헤더탱크(102)는 냉매의 통로 역할을 하며,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입구파이프(103)는 제1헤더탱크(101)에 형성되어, 냉매를 유입시키며, 출구파이프(104) 또한 제1헤더탱크(101)에 형성되어 냉매를 배출시킬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입구파이프(103)와 출구파이프(104)의 위치를 제1헤더탱크(101)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입구파이프(103)와 출구파이프(104)가 제2헤더탱크(102)에만 형성되거나, 제1헤더탱크(101) 및 제2헤더탱크(102) 각각에 나눠 형성되는 등의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
튜브(105)는 양단이 제1헤더탱크(101) 및 제2헤더탱크(102)에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한다. 튜브(105)는 다수개가 높이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번을 표시하지 않았지만,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튜브(105)들 사이에는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입구파이프(103)에서 유입된 냉매는 제1헤더탱크(101), 튜브(105), 제2헤더탱크(102)를 거쳐 출구파이프(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리시버 드라이어(200)는 제2헤더탱크(102)의 일측에 결합되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한다. 리시버 드라이어(200)는 일종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건조재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매는 제1헤더탱크(101)의 상단의 입구파이프(103)를 통해 유입되어, 튜브(105)가 형성하는 유로상에서 지그재그로 통과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튜브(105) 내부에서 냉매의 유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하게 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냉매가 통과하는 경로 중 가장 마지막 유로의 상측 유로에서는 냉매가 커넥터(제2헤더탱크와 리시버 드라이어를 연결하며 유로를 형성하는 부재)를 통해 리시버 드라이어(200)측으로 유입되고,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가장 하단에서 다시 커넥터를 통해 제2헤더탱크(102)와 튜브(105)가 형성하는 유로측으로 이동한 후, 제1헤더탱크(101)의 하측으로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냉매의 이동경로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를 참고한다.
탑 캡(300)은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리시버 드라이어(200)를 밀폐시킨다.
본 발명은 탑 캡(300)이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탑 캡(300)을 결합/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내부의 하측에는 필터부(400)가 삽입되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때 필터부(400)는 상술한 커넥터와 인접해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필터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400)는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와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지지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필터 지지부(4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 다공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예로 필터는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터 지지부(420)는 일정정도 이상의 강성과 탄성을 함께 가지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필터 지지부(420)를 구성하는 재질의 몇몇 예로는, 합성수지 및 금속이 있을 수 있으며, 경제성 및 제작 편의성을 고려할 때, 필터 지지부(42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지지부(420)는 필터가 결합되고, 필터를 통해 냉매가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프레임(421), 프레임(421)의 상단 상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확장부(422) 및 프레임(421)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423)는 프레임(421)의 하부에 기둥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확장부(422) 상단의 외경은 필터부(400)가 삽입되는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내경 이상일 수 있다. 이는 필터부(400)가 리시버 드라이어(200) 내부에 삽입될 때, 확장부(422)의 탄성력을 통해 필터부(400)가 리시버 드라이어(200)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억지 끼움되어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단, 확장부(422) 상단의 외경이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내경 이상일 경우, 필터부(400)가 삽입되면서 확장부(422)의 상단이 내측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확장부(422)의 상단이 변형 또는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확장부(422)의 상단에 노치(424)가 형성될 수 있다. 노치(424)는 확장부(422)의 상단 중 일부분이 절개되거나 일정 부분이 제거된 형상으로, 본 실시예에서 노치(424)는 다수개가 확장부(422)의 전체에 걸쳐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400)는 확장부(422)에 형성된 노치(424)를 통해, 손상 및 변형 없이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내부에 억지끼움 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지지부(420)는 평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440)는 확장부(422)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평면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평면부(440)는 후술할 필터부(400)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도구를 위한 부분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400)는 돌출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30)는 필터 지지부(420)의 내측 하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서 돌출부(430)의 상단 높이는 평면부(440) 보다 높게 형성되는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며, 돌출부(430)의 상단 높이가 필터 지지부(420)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는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고, 평면부(440)와 필터 지지부(420)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는 등의 실시예 또한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돌출부(430)의 높이가 적어도 평면부(440)보다 높게 형성되는 이유는, 필터부(400)의 상측에서 필터 지지부(4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필터 지지부(420)에 결합된 필터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필터부(400)의 설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는 커넥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500)는 제2헤더탱크(102)와 리시버 드라이어(200)를 서로 연결해 냉매가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커넥터(500)는 두 개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500)의 양단 중 리시버 드라이어(200)측 일단은,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필터 지지부(420)의 확장부(422)는 두 개 커넥터(500)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필터부(400)는 리시버 드라이어(20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는, 바텀 캡(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캡(600)은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된다. 이때 바텀 캡(600)의 상단은 필터부(400)의 하단과 맞닿아 필터부(400)를 지지한다. 바텀 캡(600)은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리시버 드라이어(200)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바텀 캡(600)이 리시버 드라이어(200)와 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으며, 바텀 캡(600)의 결합 방법의 몇몇 예로, 나사결합, 억지끼움결합, 용접, 브레이징와 같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탑 캡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탑 캡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캡(300)은 제1파트(310), 제2파트(320) 및 제1오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310)와 제2파트(320)는 상하로 분리되어 서로 결합된다. 제1파트(310)와 제2파트(32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제1파트(310)와 제2파트(320)는 서로 융착될 수 있다. 여기서 융착이란 열융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탑 캡(300)을 제1파트(310)와 제2파트(320)로 나누어 융착하는 이유는, 탑 캡(300)을 일체로 사출하여 형성할 경우, 금형의 구조에 따라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지 않는 파팅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팅 라인은 제1오링(330)에 의한 기밀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탑 캡(300)을 제1파트(310) 및 제2파트(320)로 나누어 제조하고, 두 개를 서로 열융착시켜 파팅라인에 의한 제1오링(330)의 기밀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파트(310)와 제2파트(320)가 서로 만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도되어 공간이 형성되며, 제1오링(330)은 해당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탑 캡(300)에는 제1오링(330) 외에도 상측에 제2오링(340)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상단을 씰링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명확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탑 캡(300)의 제1파트(310) 또는 제2파트(32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상단 내주면에는 탑 캡(300)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탑 캡(300)이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상단에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탑 캡(300)이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작업자가 보다 간편하게 탑 캡(300)을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상단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탑 캡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에서 탑 캡(30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는 달리 전체가 제1파트(310)로 구성되고, 제1오링(330)과 제2오링(340)이 제1파트(310)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탑 캡(300)은 상황에 따라 서로 결합되는 제1파트(310) 및 제2파트(320)로 구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제1파트(31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보조도구의 사용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보조도구(700)는 필터부(4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도구로, 바(710) 및 누름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710)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부재로, 직경이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누름부(720)는 바(7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술한 필터 지지부(420)와 맞닿아 필터 지지부(420)를 하측으로 눌러, 필터부(400)를 리시버 드라이어(200) 내부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누름부(720)의 직경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200)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누름부(720)의 하면은 필터 지지부(420)에 형성된 평면부(4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필터 지지부(420)를 보다 안정적으로 리시버 드라이어(200) 내부에 위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에서 필터 지지부(420)에 형성된 평면부(440)는,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평면부(440)에서 함몰부를 포함하는 이유는, 보조도구(700)를 사용해 필터부(400)를 보다 용이하게 리시버 드라이어(200) 내부에 위치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필터부(400)는 억지끼움방식으로 리시버 드라이어(200) 내부에 위치시키기 때문에, 보조도구(70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필터부(400)가 어긋난 자세로 배치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평면부(440)가 함몰부를 포함하고, 보조도구(700)의 누름부(720)의 하면이 평면부(440)와 함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필터부(400)가 기울어지지 않게 리시버 드라이어(20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함몰부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누름부(720)의 하면 또한 함몰부가 형성된 평면부(44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함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리시버 드라이어
20 : 바텀 캡 어셈블리
21 : 캡 부
22 : 필터부
101 : 제1헤더탱크
102 : 제2헤더탱크
103 : 입구파이프
104 : 출구파이프
105 : 튜브
200 : 리시버 드라이어
300 : 탑 캡
310 : 제1파트
320 : 제2파트
330 : 제1오링
340 : 제2오링
400 : 필터부
420 : 필터 지지부
421 : 프레임
422 : 확장부
423 : 하단부
424 : 노치
430 : 돌출부
440 : 평면부
500 : 커넥터
600 : 바텀 캡
700 : 보조도구
710 : 바
720 : 누름부

Claims (13)

  1.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구비되는 제1헤더탱크; 제2헤더탱크;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냉매가 배출되는 출구파이프;
    양단이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에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튜브;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결합되어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및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를 밀폐시키는 탑 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에 삽입되어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결합되는 필터 지지부를 포함하는 필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부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확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부 상단의 외경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내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필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의 상단 외경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내경 이상이며,
    상기 확장부는,
    상단 중 일부분이 절개되거나 제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더탱크 및 상기 제2헤더탱크 중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와 인접한 헤더탱크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유로를 연결하되, 상하로 이격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측 일단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내부로 돌출되는 두 개의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두 개의 커넥터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캡은,
    상하로 분리되어 서로 결합되는 제1파트; 제2파트; 및
    제1파트와 제2파트가 서로 만나는 경계에 위치하는 제1오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캡은,
    일체로 형성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의 중단에 위치하는 제1오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캡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단을 막도록 결합되는 바텀 캡;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지지부의 하단은 상기 바텀 캡의 상단과 맞닿아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부는,
    일부분이 내측으로 연장되어 평면을 형성하는 평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 중 일부분은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지지부의 내측 하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의 상단 높이는 상기 평면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13.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의 필터부를 설치하는 보조도구에 있어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및
    상기 바의 하단에 형성되며, 하면의 형상이 상기 평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누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도구.

KR1020210187149A 2021-12-24 2021-12-24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KR20230097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149A KR20230097541A (ko) 2021-12-24 2021-12-24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149A KR20230097541A (ko) 2021-12-24 2021-12-24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541A true KR20230097541A (ko) 2023-07-03

Family

ID=8715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149A KR20230097541A (ko) 2021-12-24 2021-12-24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5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24Y1 (ko) 2003-04-01 2003-07-22 송희성 열교환기용 콘덴서의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424Y1 (ko) 2003-04-01 2003-07-22 송희성 열교환기용 콘덴서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070B1 (ko) 공조 시스템용 응축기
KR100485100B1 (ko) 수액기일체형응축기
ZA200406468B (en) Soldered refrigerant condenser
JPH04103973A (ja) レシーバタンク一体型コンデンサ
KR101764579B1 (ko)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조립체
US6038884A (en) Air-conditioning condenser provided with an exchangeable fluid reservoir
CN104880115A (zh) 集流管组件和换热器
KR20230097541A (ko) 탑 캡을 포함하는 콘덴서
KR200430632Y1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결합구조
US7165417B2 (en) Condenser receiver with insert
JP2002195701A (ja) 受液器
KR101409176B1 (ko) 응축기 및 라디에이터 조립체
KR100799551B1 (ko) 수액기 일체형 응축기
KR100976130B1 (ko) 리시버 드라이어를 구비한 열교환기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430670Y1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구조
JP2010175166A (ja) 熱交換器
KR101771152B1 (ko) 응축기
JP7114831B2 (ja) 熱交換器用レシーバタンク
KR200430671Y1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결합구조
KR100825711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30030501A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101389310B1 (ko) 응축기
KR101239895B1 (ko) 열교환기 고정용 고정브래킷
KR101344517B1 (ko) 응축기
KR100649437B1 (ko)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