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295A - 렌즈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295A
KR20230097295A KR1020210186658A KR20210186658A KR20230097295A KR 20230097295 A KR20230097295 A KR 20230097295A KR 1020210186658 A KR1020210186658 A KR 1020210186658A KR 20210186658 A KR20210186658 A KR 20210186658A KR 20230097295 A KR20230097295 A KR 2023009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pport member
lens support
optical axis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경호
이종기
장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6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295A/ko
Publication of KR2023009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지지부재는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고,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제3측면부 및 제4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Lens Support member and 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렌즈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렌즈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장치의 범주가 휴대용 전자기기 뿐만 아니라 초소형 및 초박형 전자기기로 확대됨에 따라, 초소형 전자기기 및 초박형 전자기기에 탑재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개선이 요구되고 이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에 탑재되는 렌즈 모듈 및 렌즈는 카메라 모듈의 박형화가 용이하도록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의 길이가 제2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형태(일명 Dcut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Dcut 형태의 렌즈 모듈은 빛의 회절이나 플레어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카메라 모듈의 촬상 품질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가능케 하면서 빛의 회절 및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는 렌즈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지지부재는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고,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제3측면부 및 제4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에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빛의 회절 및 플레어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지지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지지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지지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지지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렌즈지지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지지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렌즈지지부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렌즈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모듈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렌즈지지부재는 단축과 장축을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는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의 길이와 광축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는 대체로 직선형태인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는 제1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는 곡선형태의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연결하는 곡선 형태의 제3측면부 및 제4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에서 제1측면부로부터 제2측면부까지의 거리는 제3측면부로부터 제4측면부까지의 거리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측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제2측면부의 외측면까지의 거리는 제3측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제4측면부의 외측면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측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제2측면부의 내측면까지의 거리는 제3측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제4측면부의 내측면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는 렌즈의 비대칭 형상 또는 렌즈의 Dcut 형상으로 인한 플레이어 및 빛의 회절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의 내측면에는 빛의 회절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는 렌즈지지부재의 내측면에서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렌즈지지부재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렌즈지지부재(400)는 렌즈와 렌즈 사이 또는 렌즈의 일 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지지부재(400)는 렌즈와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유지부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지지부재(400)는 최전방 렌즈 또는 최후방 렌즈의 일 측에 배치되어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입부재(또는 압입링)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렌즈지지부재(400)의 배치형태가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0)는 물체 측 렌즈(예를 들어, 최전방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렌즈지지부재(400)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0)는 제1측면부(410), 제2측면부(420), 제3측면부(430), 제4측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부(410), 제3측면부(430), 제2측면부(420), 제4측면부(440)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개구(490)를 형성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0)는 원이 아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0)는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지지부재(400)의 제1방향의 길이(X1)는 렌즈지지부재(400)의 제2방향의 길이(Y1)와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개구(490)의 제1방향의 길이(X2)는 개구(490)의 제2방향의 길이(Y2)와 상이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0)의 외형은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0)의 제1측면부(410) 및 제2측면부(420)는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제3측면부(430) 및 제4측면부(440)는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렌즈지지부재(400)의 개구(490)는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0)의 제1내측면(412) 및 제2내측면(422)은 대체로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제3내측면(430) 및 제4내측면(442)는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0)는 렌즈의 비대칭 형상 또는 렌즈의 Dcut 형상으로 인한 플레이어 및 빛의 회절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0)의 제1측면부(410) 및 제2측면부(420)에는 돌기부(48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4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곡선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480)는 제1반지름(R1)을 갖는 제1곡선(4802)과 제2반지름(R2)을 갖는 제2곡선(4804)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480)은 일정한 형상이 반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잇다. 예를 들어, 돌기부(480)의 제1곡선(4802)과 돌기부(480)의 제2곡선(4804)은 소정의 간격(G1)을 두고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곡선(4802)과 제2곡선(4804)은 대체로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지름(R1)과 제2반지름(R2)은 오차범위 내에서 대체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반지름(R1)과 제2반지름(R2)이 반드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돌기부(480)는 요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480)의 제1곡선(4802)은 개구(490)의 면적이 감소될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되고, 돌기부(480)의 제2곡선(4804)은 개구(490)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4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C) 방향으로 따라 일정한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0)의 물체 측(object-side)에 위치한 돌기부(480)의 단부로부터 광축(C)까지의 거리(Y21)는 렌즈지지부재(400)의 상 측(image-side)에 위치한 돌기부(480)의 단부로부터 광축(C)까지의 거리(Y22)와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그러나 돌기부(480)의 형태가 도 3에 예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기부(4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렌즈지지부재(400)의 물체 측(object-side)에 위치한 돌기부(480)의 단부로부터 광축(C)까지의 거리(Y21)는 렌즈지지부재(400)의 상 측(image-side)에 위치한 돌기부(480)의 단부로부터 광축(C)까지의 거리(Y22)보다 클 수 있다. 전술된 형태의 돌기부(480)는 물체 측에 배치된 렌즈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플레어 현상과 빛의 회절현상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렌즈지지부재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변형 예에 따른 렌즈지지부재를 설명한다.
본 형태에 따른 렌즈지지부재(402)는 렌즈와 렌즈 사이 또는 렌즈의 일 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지지부재(402)는 렌즈와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유지부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지지부재(402)는 최전방 렌즈 또는 최후방 렌즈의 일 측에 배치되어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입부재(또는 압입링)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렌즈지지부재(402)의 배치형태가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2)는 물체 측 렌즈(예를 들어, 최전방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렌즈지지부재(402)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2)는 제1측면부(410), 제2측면부(420), 제3측면부(430), 제4측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부(410), 제3측면부(430), 제2측면부(420), 제4측면부(440)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개구(490)를 형성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2)는 원이 아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2)는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지지부재(402)의 제1방향의 길이(X1)는 렌즈지지부재(402)의 제2방향의 길이(Y1)와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개구(490)의 제1방향의 길이(X2)는 개구(490)의 제2방향의 길이(Y2)와 상이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2)의 외형은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2)의 제1측면부(410) 및 제2측면부(420)는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제3측면부(430) 및 제4측면부(440)는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렌즈지지부재(402)의 개구(490)는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2)의 제1내측면(412) 및 제2내측면(422)은 대체로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제3내측면(430) 및 제4내측면(442)는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2)는 렌즈의 비대칭 형상 또는 렌즈의 Dcut 형상으로 인한 플레이어 및 빛의 회절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2)의 제1측면부(410) 및 제2측면부(420)에는 돌기부(48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4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곡선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480)는 제1반지름(R1)을 갖는 제1곡선(4802), 제2반지름(R2)을 갖는 제2곡선(4804), 제3반지름(R3)을 갖는 제3곡선(4805), 제4반지름(R4)을 갖는 제4곡선(4806), 제5반지름(R5)을 갖는 제5곡선(4807), 제6반지름(R6)을 갖는 제6곡선(4808) 등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은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은 광축(C)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는 돌기부(480)가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내측면(412) 및 제2내측면(422)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수십 또는 수백 개의 곡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반지름(R1) 내지 제6반지름(R6)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은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은 제1측면부(410) 및 제2측면부(420)의 중앙으로 갈수록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곡선(4802)의 중심으로부터 제2곡선(4804)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제2곡선(4804)의 중심으로부터 제3곡선(4805)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작고, 제2곡선(4802)의 중심으로부터 제3곡선(4805)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제3곡선(4805)의 중심으로부터 제4곡선(4806)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480)는 광축(C)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선(4802, 4804, 4805, 4806, 4807, 4808)의 반지름(R1, R2, R3, R4, R5, R6)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형태로 돌기부(48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의 높이 또는 홈의 깊이(h1, h2, h3, h4, h5, h6)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지지부재(400)는 광축(C)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돌기부(480)의 형상이 광축(C)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돌기부(480)의 형상과 상이하므로, 렌즈지지부재(400)의 개구(480)를 통한 빛의 입사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렌즈의 비대칭 형상 또는 렌즈의 Dcut 형상으로 인한 플레이어 및 빛의 회절현상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2변형 예에 따른 렌즈지지부재를 설명한다.
본 형태에 따른 렌즈지지부재(404)는 렌즈와 렌즈 사이 또는 렌즈의 일 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지지부재(404)는 렌즈와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유지부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지지부재(404)는 최전방 렌즈 또는 최후방 렌즈의 일 측에 배치되어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는 압입부재(또는 압입링)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렌즈지지부재(404)의 배치형태가 전술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4)는 물체 측 렌즈(예를 들어, 최전방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렌즈지지부재(404)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4)는 제1측면부(410), 제2측면부(420), 제3측면부(430), 제4측면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면부(410), 제3측면부(430), 제2측면부(420), 제4측면부(440)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개구(490)를 형성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4)는 원이 아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4)는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지지부재(404)의 제1방향의 길이(X1)는 렌즈지지부재(404)의 제2방향의 길이(Y1)와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개구(490)의 제1방향의 길이(X2)는 개구(490)의 제2방향의 길이(Y2)와 상이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4)의 외형은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4)의 제1측면부(410) 및 제2측면부(420)는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제3측면부(430) 및 제4측면부(440)는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렌즈지지부재(404)의 개구(490)는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4)의 제1내측면(412) 및 제2내측면(422)은 대체로 직선형태로 형성되고, 제3내측면(430) 및 제4내측면(442)는 곡선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4)는 렌즈의 비대칭 형상 또는 렌즈의 Dcut 형상으로 인한 플레이어 및 빛의 회절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4)의 제1측면부(410) 및 제2측면부(420)에는 돌기부(48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4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곡선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부(480)는 제1반지름(R1)을 갖는 제1곡선(4802), 제2반지름(R2)을 갖는 제2곡선(4804), 제3반지름(R3)을 갖는 제3곡선(4805), 제4반지름(R4)을 갖는 제4곡선(4806), 제5반지름(R5)을 갖는 제5곡선(4807), 제6반지름(R6)을 갖는 제6곡선(4808) 등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은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은 광축(C)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는 돌기부(480)가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내측면(412) 및 제2내측면(422) 전체를 포괄할 수 있는 범위에서 수십 또는 수백 개의 곡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반지름(R1) 내지 제6반지름(R6)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480)는 광축(C)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곡선(4802, 4804, 4805, 4806, 4807, 4808)의 반지름(R1, R2, R3, R4, R5, R6)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형태로 돌기부(48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제1곡선(4802) 내지 제6곡선(4808)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의 높이 또는 홈의 깊이(h1, h2, h3, h4, h5, h6)는 광축(C)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돌기부(480)의 돌기는 제1측면부(410) 및 제2측면부(420)의 양단으로부터 제1측면부(410) 및 제2측면부(420)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지지부재(400)는 광축(C)으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돌기부(480)의 형상 및 크기가 광축(C)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돌기부(480)의 형상 및 크기와 상이하므로, 렌즈지지부재(400)의 개구(480)를 통한 빛의 입사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렌즈의 비대칭 형상 또는 렌즈의 Dcut 형상으로 인한 플레이어 및 빛의 회절현상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다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200), 렌즈(3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렌즈 모듈(10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렌즈지지부재(400, 402, 40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모듈(100)은 제1형태에 따른 렌즈지지부재(400)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2형태에 따른 렌즈지지부재(4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 모듈(100)은 제1형태 내지 제3형태에 따른 렌즈지지부재(400, 402, 404)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렌즈 모듈(100)은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에서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의 길이(Xm)는 광축(C)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길이(Ym)보다 클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복수의 렌즈(310, 32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10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매 렌즈(310, 32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100)에 포함되는 렌즈의 매수가 3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310, 320, 330)는 렌즈 모듈(100)과 마찬가지로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매의 렌즈(310, 320, 330) 중 적어도 1매 이상은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의 길이(XL)는 광축(C)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길이(YL)보다 클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0)는 렌즈와 렌즈 사이 또는 최후방 렌즈의 상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0)는 렌즈 배럴(200)에 배치되어 소정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렌즈지지부재(400)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지지부재(400)는 제1렌즈(310)와 제2렌즈(320) 사이 또는 제2렌즈(320)와 제3렌즈(33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렌즈들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지지부재(400)는 최후방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지지부재(400)는 제3렌즈(330)의 상 측에 배치되어 제3렌즈(330)가 렌즈 배럴(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렌즈지지부재(400)는 플레어 및 빛의 회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지지부재(400)는 제1렌즈(310)와 제2렌즈(320) 사이 또는 제2렌즈(320)와 제3렌즈(330) 사이 또는 제3렌즈(330)의 상 측에 배치되어, 물체 측 렌즈에 기인한 플레어현상 및 빛의 회절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다른 형태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매 렌즈(310, 32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100)에 포함되는 렌즈의 매수가 3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310, 320, 330)는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매의 렌즈(310, 320, 330) 중 적어도 1매 이상은 광축(C)과 교차하는 제1방향의 길이(XL)는 광축(C)과 교차하는 제2방향의 길이(YL)보다 클 수 있다(도 9 참조).
렌즈지지부재(400)는 최전방 렌즈(310)의 물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렌즈지지부재(400)는 최전방 렌즈(310)가 렌즈 배럴(2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0)와 렌즈 배럴(200) 간의 결합은 억지끼움, 접합 등의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렌즈지지부재(400)는 물체 측으로부터 상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축소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지지부재(400)에서 물체 측의 개구(YS1)는 상 측의 개구(YS2)보다 클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지지부재(400)에서 제1측면부의 제1내측면로부터 제2측면부의 제1내측면까지의 거리는 물체 측에서 상 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0 렌즈 모듈
200 렌즈 배럴
300 렌즈
400 렌즈지지부재
410 제1측면부
420 제2측면부
430 제3측면부
440 제4측면부
480 돌기부

Claims (12)

  1. 렌즈의 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광축을 중심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고,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제3측면부 및 제4측면부; 및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에 형성되는 돌기부;
    를 포함하는 렌즈지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로부터 상기 제2측면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3측면부로부터 상기 제4측면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구성되는 렌즈지지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제1반지름을 갖는 제1곡선과 제2반지름을 갖는 제2곡선이 교번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렌즈지지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지름은 상기 제2반지름과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렌즈지지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조밀하게 형성되는 렌즈지지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측면부 및 상기 제2측면부의 중앙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되는 렌즈지지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광축을 따라 연장되는 렌즈지지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광축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렌즈지지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광축 방향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렌즈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는 최전방 렌즈의 물체 측에 배치되어, 상기 최전방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의 제1내측면로부터 상기 제2측면부의 제1내측면까지의 거리는 물체 측에서 상 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렌즈 모듈.
KR1020210186658A 2021-12-24 2021-12-24 렌즈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 KR20230097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658A KR20230097295A (ko) 2021-12-24 2021-12-24 렌즈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658A KR20230097295A (ko) 2021-12-24 2021-12-24 렌즈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295A true KR20230097295A (ko) 2023-07-03

Family

ID=8715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658A KR20230097295A (ko) 2021-12-24 2021-12-24 렌즈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2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3995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20190293910A1 (en) Optical system
US20090015945A1 (en) Lens unit provided with an engaging structure and a lens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US7388721B2 (en) Imaging lens
JP5623566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7558005B2 (en) Compact lens system
US20160065811A1 (en) Optical system
CN102789043B (zh) 内对焦式镜头
JP7035508B2 (ja) 撮像光学系とそれを備える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KR20160068508A (ko) 렌즈 모듈
TWI684041B (zh) 光學成像鏡頭
US20150062727A1 (en) Lens and lens module
JPWO2018116865A1 (ja) 内視鏡用対物光学系
JP6370850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KR20210052936A (ko) 간격 유지 부재 및 카메라 모듈
JP2007101878A (ja) レンズ構造体
KR20230097295A (ko) 렌즈지지부재 및 렌즈 모듈
US9531927B2 (en) Optical system
JP2011186429A (ja) 正立等倍レンズアレイ
KR20220099220A (ko) 자가 정렬 카메라 렌즈 조립체
CN207528989U (zh) 镜头组件
JP4970366B2 (ja) 組合せ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および光学機器
KR102295109B1 (ko) 카메라 모듈
JP5704969B2 (ja) カメラ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2022005669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