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751A - 씨앗 배양 용기 - Google Patents

씨앗 배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751A
KR20230096751A KR1020210186570A KR20210186570A KR20230096751A KR 20230096751 A KR20230096751 A KR 20230096751A KR 1020210186570 A KR1020210186570 A KR 1020210186570A KR 20210186570 A KR20210186570 A KR 20210186570A KR 20230096751 A KR20230096751 A KR 20230096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heating
heating unit
soil
main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산성
주사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다이스
주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다이스, 주사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다이스
Priority to KR102021018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751A/ko
Publication of KR2023009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씨앗 배양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씨앗 배양 용기의 흙 속에 발열제를 섞어 발열제가 공기에 노출되면 발열이 일어나 씨앗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씨앗 배양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씨앗 배양 용기에 별도의 전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흙 속에 섞인 발열제가 공기 접촉과 함께 발열을 일으켜 씨앗 배양 용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씨앗 배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씨앗 배양 용기{Seed Germination Pot}
본 발명은 씨앗 배양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씨앗 배양 용기의 흙 속에 발열제를 섞어 발열제가 공기에 노출되면 발열이 일어나 씨앗의 발아를 촉진시키는 씨앗 배양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발아(發芽)란, 씨앗에 있는 유근이 종피를 뚫고 껍질 밖으로 나오는 현상이다. 씨앗이 발아를 하기 위해서는 씨앗이 살아있어야 하며, 휴면이 타파된 상태여야 한다. 또한, 씨앗이 발아하기 위한 환경 조건으로는 수분, 온도, 산소, 빛이 있어야 한다.
발아의 시작은 대부분이 씨앗은 충분한 수분 흡수를 함으로써 시작된다. 씨앗이 물을 흡수하는 것을 침윤(浸潤)이라 하고, 이 과정은 씨껍질이 팽창하여 깨지게 한다. 대부분의 식물은 씨앗 형성동안 녹말, 단백질, 지방과 같은 영양분을 저장한다. 이 영양 저장분은 배가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을 공급한다. 씨앗이 물을 흡수하면 저장 영양분을 대사반응에 쓰일 영양소로 분해하는 분해효소들이 활성화된다.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한 후 씨앗 내에서 효소 작용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수분뿐만 아니라 발아에 필요한 온도인 발아 적온의 온도 유지가 필요하다. 호냉성 식물은 20~25℃, 호온성 식물은 25~30℃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발아온도는 생육온도보다 5℃ 정도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산소는 발아하는 씨앗의 대사 반응에 필요하다. 산소는 유기호흡에 필요하며, 유묘가 자라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산소는 대기에 존재하는 기체로 흙에서 너무 깊이 씨앗을 심거나 침수되면 산소가 부족하게 된다. 어떤 씨앗은 산소가 통과하지 못하는 씨껍질을 가지고 있어 물리적 휴면상태에 있다. 이러한 씨앗이 발아하기 위해서 씨껍질이 깨지거나 제거되어야 한다.
발아시기에 빛에 반응성을 보이는 씨앗들을 광발아 종자라고 부른다. 양상추, 담배, 겨우살이 등 광발아 종자는 어둠 속에서 발아하지 않으며 발아를 위해 빛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양파, 백합, 비름 등 암발아 종자는 빛에 노출되면 발아율이 감소한다. 광발아 종자에서 가시광선의 적색광은 발아에 가장 효과적이다. 근적외선은 적색광과 반대로 작용하여 씨앗을 휴면 상태로 만든다.
위의 네 가지 발아를 위한 환경 중에서 온도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은 씨앗의 발아를 위해 아주 중요한 조건이다. 씨앗 발아를 위해 일정한 온도 유지를 위해 전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씨앗을 실내가 아닌 실외에서 발아시키는 경우에는 전열장치를 실외에 설치하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씨앗 발아를 위한 온도 유지 장치를 실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193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265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08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89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97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씨앗 배양 용기에 별도의 전열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흙 속에 섞인 발열제가 공기 접촉과 함께 발열을 일으켜 씨앗 배양 용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씨앗 배양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외부의 공기로부터 차단하여 밀폐하는 제1 뚜껑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의 중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뚜껑부를 도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외부의 공기로부터 차단하여 밀폐하며, 물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수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흙을 적재하고 있고, 상기 흙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씨앗이 심어져 있고, 상기 흙에는 상기 제1 뚜껑부가 열려서 상기 본체부에 유입되는 공기에 접촉하면 발열하는 발열제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추가 발열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도넛 형상의 추가 발열부 본체, 상기 추가 발열부 본체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폴(pole), 상기 폴의 일단에 제2 뚜껑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 뚜껑부를 열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추가 발열부 본체의 내부에 포함된 추가 발열제와 접촉하여 발열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추가 발열부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도넛 형상의 추가 발열부 본체, 상기 추가 발열부 본체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폴(pole), 상기 폴의 일단에 제2 뚜껑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2 뚜껑부를 열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추가 발열부 본체의 내부에 포함된 추가 발열제와 접촉하여 발열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폴에는 1mm 내지 3mm 크기의 암석으로 충진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폴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넛 형상의 상기 추가 발열부 본체에 위치하는 상기 추가 발열제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 내부에는 교반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의 몸체부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흙 속에 매립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는 복수의 톱니 모양의 교반체가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누름부가 위치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르면 상기 몸체부는 하부로 내려가면서 상기 교반체가 상기 본체부 내부에 흙과 함께 분산되어 있는 발열제를 교반시켜 발열을 촉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씨앗 배양 용기의 흙 속에 섞인 발열제가 공기 접촉과 함께 반응하여 씨앗 배양 용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씨앗이 조기에 발아되어 식물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열 반응이 완료된 발열제는 별도의 제거 없이 비료로 사용할 수 있어 식물의 배양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발열을 위한 전열장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실외에서도 쉽게 씨앗을 발아시켜 식물을 배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1 뚜껑부에 의하여 화분이 밀폐돤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제1 뚜껑부 및 배수 뚜껑부가 제거되어 화분의 흙이 외부 공기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추가 발열부가 연결된 화분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교반부가 연결된 화분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씨앗 배양 용기는 본체부(100), 제1 뚜껑부(200), 배수 뚜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1 뚜껑부(200)에 의하여 화분(10)이 밀폐돤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1 뚜껑부(200) 및 배수 뚜껑부(300)가 제거되어 화분(10)의 흙(400)이 외부 공기와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한 본체부(100)는 화분(10)의 본체로 윗부분은 넓고 아랫부분은 약간 좁은 일반적인 화분의 모양이거나, 원통형의 모양일 수 있다. 본체부(100)는 목재, 플라스틱, 금속, 토기, 옹기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안에 담기는 씨앗(500)의 종류에 따라 본체부(100)의 크기는 결정될 수 있다.
제1 뚜껑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부(100)의 내부에 적재된 흙(400), 씨앗(500) 및 발열제(600)가 공기와 접촉하지 못하게 본체부(100)를 밀봉한다. 제1 뚜껑부(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본체부(100)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밀폐되어야 하고, 제1 뚜껑부(200)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본체부(100)에는 공기가 자유로이 유입되어야 한다. 제1 뚜껑부(200)는 탈착의 용이를 위해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배수 뚜껑부(300)는 본체부(100)의 하부의 중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뚜껑부(200)를 도와 본체부(100)의 내부를 외부의 공기로부터 차단하여 밀폐하며, 물을 외부를 방출할 수 있다. 즉, 배수 뚜껑부(300)는 화분(10)의 배수구 역할을 하며, 동시에 본체부(100)의 하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배수 뚜껑부(300)는 제1 뚜껑부(200)과 마찬가지로 탈착의 용이를 위해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부 내부에는 흙(400)이 적재되고, 흙(400)에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씨앗(500)이 심어져 있으며, 흙(400)에는 공기와 접촉 시 발열 작용을 일으키는 발열제(600)가 분산되어 있다. 흙(400)은 씨앗(500)의 발아를 촉진하기 위해서 부식질 성분이 20% 이상 포함된 부식토를 사용하여 씨앗(500)의 발아 환경 중의 하나인 수분과 산소를 쉽게 접촉할 수 있는 환경이 바람직하다.
식물의 온도 적응성에 따라 호냉성 식물과 호온성 식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25℃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생육이 잘되는 호온성 식물의 씨앗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온성 식물의 씨앗은 25℃~30℃를 유지해야 씨앗(500)의 발아가 시작될 수 있다. 호온성 식물로는 고추, 토마토, 가지, 오이, 호박, 참외, 수박, 강남콩, 복숭아, 살구, 올리브, 무화과, 감, 대추야자, 장미, 치자, 백합, 히야신스, 아마릴리스, 난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씨앗(500)은 상기의 호온성 식물의 씨앗(500)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열제(600)는 흙(400) 속에 분산되어 있으며, 제1 뚜껑부(200)가 제거되어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와 접촉하여 발열 반응을 일으킨다. 발열제(600)는 철분, 활성탄, 수분흡수제 및 소금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외부 공기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발열제(600)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제1 뚜껑부(200)와 배수 뚜껑부(300)가 제거되면서 공기가 유입되면 비활성 상태인 철분과 수분이 반응하여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철이 산화되면서 발열 반응이 일어나 일정 시간 동안 따뜻한 온도가 유지된다. 소금은 철이 녹스는 것을 촉진하며, 활성탄은 외부 공기를 빠른 속도로 흡수하여 철과 공기가 반응하는 것을 촉진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발열제(600)는 철분의 산화 반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을 포함하는 약산염, 메타규산염 등의 수소 발생 억제제, 증점제, 부형제, 계면활성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열제(600)는 상기한 조성물의 혼합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발열 성분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발열제(600)는 호온성 식물의 종자의 발아에 필요한 온도인 25℃~30℃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정량을 흙(400)에 분산시켜야 한다. 상기에 사용된 발열제(600)는 발열 후 비료로 사용되어 식물의 발아와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흙(400)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열제(600)는 1중량부 내지 50중량부, 또는 5중량부 내지 40중량부, 또는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씨앗을 종류나 갯수에 따라 성분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추가 발열부(700)가 연결된 화분(1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추가 발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발열부(700)는 상기한 발열제(600)에 추가하여 발열 시간의 연장을 위해 추가될 수 있다. 추가 발열부(700)는 밀폐된 공간에 추가 발열제(610)를 포함하고, 추가 발열부(700)의 상부의 끝에 위치한 제2 뚜껑부(710)의 개폐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추가 발열제(610)에 접촉이 될 수 있다. 추가 발열부(700)는 비닐 재질로 내부에 추가 발열제(6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 발열부(7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도넛 형상의 추가 발열부 본체(730), 추가 발열부 본체(730)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내부가 비어 있는 폴(pole)(720), 폴(720)의 상부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뚜껑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발열부 본체(730)는 도넛 형상으로 화분(10)의 본체부(100)의 중간에 매립될 수 있고, 상기 발열제(600)의 발열 반응이 끝나도 씨앗(400)에 지속적인 온도 유지가 필요할 경우 추가 발열부 본체(730)에 내장된 추가 발열제(610)에 의해 지속적으로 온도 유지가 가능하다. 추가 발열제 본체(730)는 내부에 흙(400)과 흙(400)에 분산된 추가 발열제(610)를 포함하고, 분해가 가능한 플라스틱이나 비닐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추가 발열부(700)의 폴(720)은 1~3mm 크기의 암석으로 충진되어, 외부의 공기가 폴(720)의 내부를 통과해서 추가 발열부 본체(730)에 분산된 추가 발열제(610)에 도달되게 할 수 있다. 폴(720)은 분해가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폴(720)에 미세한 돌을 주입하여 공기가 서서히 추가 발열제(610)에 접촉되도록 하여 발열 반응이 오래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발열부를 구비하여 본체부 내에 구비된 발열제가 전부 발열된 후, 일정 기간 후에 추가 발열을 위하여 추가 발열부에 구비된 추가 발열제를 발열하여 따뜻하게 만들어준다. 예를 들어, 추가 발열부를 복수로 구비하여 씨앗에 주기적으로 발열을 지속적으로 주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제의 발열 시간 경과 후, 예를 들어 1일 내지 3일 경과 후에 물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교반부(800)가 연결된 화분(10)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교반부(800)는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교반부(800)는 몸체부(810), 누름부(820), 교반체(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810)는 본체부(100) 내부의 흙 속에 매립되고 몸체부(810)의 하단에는 복수의 톱니 모양의 교반체(830)가 연결되며, 몸체부(810)의 상부에는 누름부(820)가 위치한다. 누름부(820)를 누르면 몸체부(810)는 하부로 내려가면서 복수의 교반체(830)가 본체부(100) 내부에 흙과 함께 분산되어 있는 발열제를 교반시켜 발열을 촉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교반에 의하여 흙 속에 분산되어 있는 발열제에 공기가 쉽게 도달하게 되어 따르게 발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식토를 사용하는 것이 씨앗(500)의 공기 접촉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부식토를 사용하더라도 본체부(100) 하부에 깊숙이 분산된 발열제(600)는 공기와 접촉할 수 없어 발열이 안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교반부(800)를 두어 일정 시간의 발열이 끝나고 추가 발열이 필요한 경우, 상기 교반부(800)의 누름부(820)를 눌러 톱니 모양의 교반체(830)가 본체부(100) 하부로 내려가면서 흙 속에 분산된 발열제(600)를 몸체부(810)를 통해 들어온 공기와 접촉하게 하여 추가 발열 반응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화분(10)의 온도 유지를 위해 본체부(100)에 온도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온도를 25℃~30℃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온도를 체크해야 하고 온도가 떨어진다면 교반부(800)를 작동시켜 발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씨앗 배양 용기을 사용하여 씨앗을 배양하는 방법은 본체부 내부에 추가 발열부를 장착하는 단계; 발열제가 분산된 흙을 본체부에 넣고 제1 뚜껑부 및 배수 뚜껑부를 닫는 단계; 씨앗을 배양하려고 할 때 상기 제1 뚜껑부 및 배수 뚜껑부를 오픈하는 단계; 일정 시간 경과 후 제2 뚜껑부를 오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화분
100 : 본체부
200 : 제1 뚜껑부
300 : 배수 뚜껑부
400 : 흙
500 : 씨앗
600 : 발열제
610 : 추가 발열제
700 : 추가 발열부
710 : 제2 뚜껑부
720 : 폴
730 : 추가 발열부 본체
800 : 교반부
810 : 몸체부
820 : 누름부
830 : 교반체

Claims (3)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외부의 공기로부터 차단하여 밀폐하는 제1 뚜껑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가능하며,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결합되면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외부의 공기로부터 차단하여 밀폐하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분리되면 물을 외부로 방출하는 배수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흙을 적재하고 있고, 상기 흙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씨앗이 심어져 있고,
    상기 흙에는 상기 제1 뚜껑부가 열려서 상기 본체부에 유입되는 공기에 접촉하면 발열하는 발열제가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배양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부에는 추가 발열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추가 발열부는 밀폐된 공간에 추가 발열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밀폐된 공간은 상기 추가 발열부의 상부에 위치한 제2 뚜껑부의 개폐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와 상기 밀폐된 공간의 추가 발열제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배양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가 발열부는 도넛 형상의 추가 발열부 본체, 상기 추가 발열부 본체의 상부면에 연결되어 있는 폴(pole), 상기 폴의 일단에 연결된 제2 뚜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뚜껑부를 열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추가 발열부 본체의 내부에 포함된 추가 발열제와 접촉하여 발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앗 배양 용기.
KR1020210186570A 2021-12-23 2021-12-23 씨앗 배양 용기 KR20230096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570A KR20230096751A (ko) 2021-12-23 2021-12-23 씨앗 배양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570A KR20230096751A (ko) 2021-12-23 2021-12-23 씨앗 배양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751A true KR20230096751A (ko) 2023-06-30

Family

ID=8696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570A KR20230096751A (ko) 2021-12-23 2021-12-23 씨앗 배양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675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931B1 (ko) 2017-12-15 2018-08-24 도현민 새싹 재배장치
KR101959722B1 (ko) 2018-10-02 2019-03-19 김정훈 식물 재배 용기 장치
KR20190040882A (ko) 2017-10-11 2019-04-19 (주)보은 다중 열선을 이용한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수경재배방법
KR20190128975A (ko) 2018-05-09 2019-11-19 주식회사 쉘파스페이스 식물 속성 재배장치
KR102182650B1 (ko) 2018-03-05 2020-11-25 농업회사법인 한국슈퍼파낙스 주식회사 새싹재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882A (ko) 2017-10-11 2019-04-19 (주)보은 다중 열선을 이용한 발열시스템과, 이의 제작 방법, 및 발열시스템을 이용한 수경재배방법
KR101891931B1 (ko) 2017-12-15 2018-08-24 도현민 새싹 재배장치
KR102182650B1 (ko) 2018-03-05 2020-11-25 농업회사법인 한국슈퍼파낙스 주식회사 새싹재배기
KR20190128975A (ko) 2018-05-09 2019-11-19 주식회사 쉘파스페이스 식물 속성 재배장치
KR101959722B1 (ko) 2018-10-02 2019-03-19 김정훈 식물 재배 용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6235A (en) Horticultural improvements
CN106717933A (zh) 一种芹菜的种植方法
EP3642173A1 (en) A com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promotion of soil health
CN101147459B (zh) 旱土作物干湿两段托盘育苗方法
CN106069471A (zh) 一种苗木的培育方法
CN203884297U (zh) 一种植物育苗套件
KR20230096751A (ko) 씨앗 배양 용기
CN106212180A (zh) 濒危植物大果青冈的人工育苗方法
CN210008373U (zh) 一种带施肥棒的防基质洒落的种植杯
CN111492918A (zh) 一种绿色生态有机大米种植技术
JP2021119746A (ja) 野菜の栽培方法
CN111990131A (zh) 一种育苗装置及育苗工艺
RU2539206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овощных и бахчевых культур
CN108782098A (zh) 一种烟草小苗抗旱保温早生快发栽培方法
JPH06327366A (ja) 水耕栽培用装置
CN110476539A (zh) 一种治沙胶囊及其内含物及内含物的制备方法
CN2358675Y (zh) 自降解保水育苗营养钵
CN108243929B (zh) 油松育苗方法
KR100684586B1 (ko) 관상용 연꽃의 화분 재배방법
CN2925075Y (zh) 一种植物土培兼水培的种植器
KR100292360B1 (ko) 원예용 배지셀
JP2011087564A (ja) 宿根野菜類の栽培方法
JP2005328740A (ja) 植物矮化栽培装置及び植物矮化栽培方法
RU2221357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благоприятных условий, обеспечивающих своевременное прорастание семян культурных растений, внесенных в мерзлую почву до весеннего снеготаяния
Shah et al. Effect of various amended organic media on the tuberization of caladium cultiv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