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365A - 하수, 폐기물, 분뇨, 기타 악취원의 악취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 - Google Patents

하수, 폐기물, 분뇨, 기타 악취원의 악취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365A
KR20230096365A KR1020210185787A KR20210185787A KR20230096365A KR 20230096365 A KR20230096365 A KR 20230096365A KR 1020210185787 A KR1020210185787 A KR 1020210185787A KR 20210185787 A KR20210185787 A KR 20210185787A KR 20230096365 A KR20230096365 A KR 20230096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genus
microbial agent
nlf2
nlf4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703B1 (ko
Inventor
이미화
한국일
정지영
남영호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filed Critical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Priority to KR102021018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70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Abstract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95BP의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 수탁번호 KCTC 14796BP의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 및 수탁번호 KCTC 14797BP의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축분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에 대한 우수한 저감 활성을 나타내는 바, 축산업 분야의 다양한 기반기술 개발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하수, 폐기물, 분뇨, 기타 악취원의 악취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Microbial agent for removal or reduction of odors from sewage, waste, manure, and other odor sources}
본 발명은 하수, 폐기물, 분뇨, 기타 악취원의 악취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에 관한 것이다.
축산 분뇨는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logical oxygen demand), SS(suspended solids), T-N(total nitrogen) 및 T-P(total phosphate)가 매우 높은 오염 수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경처리 방식의 수처리 방식으로 쉽게 정화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 더구나 축산 분뇨는 유기물 함량이 높고 저장용량이 많아 심한 악취가 발생하며, 이러한 악취는 생활환경을 오염시켜 민원의 원인이 될 뿐 아니라, 가축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켜서 폐사율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축산 분뇨에서 악취를 발생하는 원인 성분으로는 암모니아 태 질소, 황화수소를 포함한 황 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아민류, 지방산, 탄화수소 및 케톤류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암모니아 태 질소와 황화수소를 포함한 황화합물 및 지방산이 악취의 주된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돈분에는 요소(urea)가 많고, 계분에는 요산(uric acid)이 많아 혐기상태에서 암모니아로 전환됨으로써 악취를 발생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축산 분뇨의 악취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유기산제 살포, 생균제 급여 및 살포, 광합성 균의 사용, 식물 추출물 급여 및 살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축산 분뇨의 악취를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축산 악취의 저감을 위해 개발되고 있는 제품들은 암모니아 저감에 효과적인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어, 보다 실질적으로 향후 축산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복합 취기의 저감에 효과적인 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욱이, 친환경농업의 확산과 화학 제제의 문제점이 대두됨에 따라 보다 환경 친화적인 가축사육과 환경개선에 대한 요구가 절실하다.
KR 10-2009-0109246 A1 KR 10-1854277 B
본 발명자들은 복합 취기의 저감에 효과적인 자연친화적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자 연구하던 중, 축산 폐수로부터 항산화, 아질산염 산화 배지에서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된 균주의 축분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에 대한 우수한 저감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Aquamicrobium sp. NLF2-7, 기탁번호 KCTC 14795BP)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Stenotrophomonas sp. NLF4-10, 기탁번호 KCTC 14796BP)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Alcaligenes sp. NLF5-7, 기탁번호 KCTC 14797BP) 균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미생물비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Aquamicrobium sp. NLF2-7, 기탁번호 KCTC 14795BP)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Stenotrophomonas sp. NLF4-10, 기탁번호 KCTC 14796BP)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Alcaligenes sp. NLF5-7, 기탁번호 KCTC 14797BP) 균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복합 취기의 저감에 효과적인 자연친화적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축분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에 대한 우수한 저감 활성을 나타내는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Aquamicrobium sp.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Alcaligenes sp. NLF5-7) 균주를 구축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축분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에 대한 우수한 저감 활성을 나타내는 수탁번호 KCTC 14795BP의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은 공시 균주인 Aquamicrobium lusatiense KM210272.1과 99.86%의 상동성을 가지고, 양 균주간 1%의 상이성이 인정되어 신규한 균주로 판명되었다.
상기 수득된 신규한 균주를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로 명명하고, 2021년 11월 29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14795BP를 부여받았다.
상기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는 축산폐수로부터 분리 및 동정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축분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에 대한 우수한 저감 활성을 나타내는 수탁번호 KCTC 14796BP의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4-10 균주는 서열번호 2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은 공시 균주인 Stenotrophomonas daejeonensis JCM 16244와 99.86%의 상동성을 가지고, 양 균주간 1%의 상이성이 인정되어 신규한 균주로 판명되었다.
상기 수득된 신규한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로 명명하고, 2021년 11월 29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14796BP를 부여받았다.
상기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는 축산폐수로부터 분리 및 동정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축분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에 대한 우수한 저감 활성을 나타내는 수탁번호 KCTC 14797BP의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알칼리게네스 속 NLF5-7 균주는 서열번호 3의 16s rR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은 공시 균주인 Alcaligenes faecalis subsp. Phenolicus CP048039.1과 99.58%의 상동성을 가지고, 양 균주간 1%의 상이성이 인정되어 신규한 균주로 판명되었다.
상기 수득된 신규한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로 명명하고, 2021년 11월 29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14797BP를 부여받았다.
상기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는 축산폐수로부터 분리 및 동정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는 축분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에 대한 우수한 저감 활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는 암모니아 악취 발생원에 살포한 후 12시간 이내에 암모니아 농도를 50% 이상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는 암모니아 악취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는 1:1-3:0.5-3의 중량비, 1:2:3의 중량비, 1:3:2의 중량비, 1:1.5:0.5의 중량비, 1:0.5:1.5의 중량비, 또는 1: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혼합 시 3종 균주 혼합에 따른 악취 저감에 있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는 TSB(Tryptic Soy Broth) 배지에서 배양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배지에서 배양 시 배양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 및/또는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취 제거 또는 저감용 미생물제제/가축사료/미생물비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미생물제제/가축사료/미생물비료를 처리함으로서, 악취 제거 또는 저감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양물은 특정 미생물을 배양 배지 또는 배양액에서 배양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배양물은 특정 미생물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나, 미생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물은 그 제형이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양물은 균주를 배양한 보통 한천배지(또는 영양 한천배지; Nutrient agar), 또는 TSA(tryptic soy agar) 배지로부터 분리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건조분말 형태 또는 액상비료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제제는 액상 비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증량제를 첨가하여 가루분말의 형태로 이용하거나 이를 제형화하여 과립화시킬 수도 있으나,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는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에 첨가제, 증량제, 영양제 등의 부가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소듐 리그노설포네이트, 칼슘 리그노설포네이트, 소듐 다이알킬 설포석시네이트, 소듐 알킬 아릴 설포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포스포릭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아릴 폴리머, 폴리옥시알킬온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노닐 페닐 에테르, 소듐 설포네이트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트리톤 100 및 트윈 8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증량제 및 영양제로는 skim milk(배지), 콩가루, 쌀, 밀, 황토, 규조토, 벤토나이트(bentonite), 덱스트린, 포도당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며, 붕해제로는 벤토나이트(bentonite), 탈크(talc), 다이아라이트(dialite), 카올린(kaolin) 및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술한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사료는 옥수수, 소맥, 밀, 대두, 콩 또는 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얻어지는 분쇄물과 이들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쌀겨, 밀겨, 보리겨와 같은 가공 부산물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축 사료에는 상술한 미생물제제가 사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3 중량%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생물 제제가 0.1 중량% 미만 포함되는 경우 가축 사료의 악취 제거 효능이 미미할 수 있으며, 0.3 중량% 초과하는 경우 효과가 그 이하일 경우와 거의 동일하며 효과 대비 비경제적이다.
상기 가축 사료는 소, 돼지, 양, 염소 등의 포유류와 꿩, 닭, 오리, 칠면조 등의 가금류에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축 사료를 가축이 섭취하는 경우 가축 배설물의 냄새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며 축분의 퇴비화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술한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미생물 비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비료는 축산 폐수 또는 음식물 쓰레기에 상기 균주,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처리하여 고체 또는 액상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활성이 있는 상기 균주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균주 이외에 종래의 기술을 응용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비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와 혼합하고 분말, 펠렛, 과립 또는 용액 등으로 제형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물, 셀라이트,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피트모스, 탈크, 카올리나이트, 벤토나이트, 피그더스트, 피쉬더스트, 치큰더스트, 라이스더스트, 래이프더스트, 본더스트 및 카올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균주는 상기 시판되는 담체를 이용하여 제제화가 가능하고, 제제화된 후에도 활성을 유지하므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Aquamicrobium sp. NLF2-7, 기탁번호 KCTC 14795BP)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Stenotrophomonas sp. NLF4-10, 기탁번호 KCTC 14796BP)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Alcaligenes sp. NLF5-7, 기탁번호 KCTC 14797BP) 균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균주의 배양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으로 배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양 배지(TSB 배지)에서 30 ℃의 온도 하에 48 시간 동안 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의 배양은 10 내지 40 ℃의 온도, pH 5 내지 10, 0 내지 7 %의 NaCl 농도 조건 중 하나 이상의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 균주의 경우 대량생산 배양 조건으로 배양은 10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7 ℃의 온도, pH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pH 6, 0 내지 5 %의 NaCl 농도, 바람직하게는 0 %의 NaCl 농도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균주의 성장에 가장 적합한 최적 조건이다.
또한,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 균주의 경우 대량생산 배양 조건으로 배양은 10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0 ℃의 온도, pH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pH 5.5 내지 6, 0 내지 5 %의 NaCl 농도, 바람직하게는 0 %의 NaCl 농도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균주의 성장에 가장 적합한 최적 조건이다.
끝으로, 알칼리게네스 속 NLF5-7 균주의 경우 대량생산 배양 조건으로 배양은 10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37 ℃의 온도, pH 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pH 6, 0 내지 7 %의 NaCl 농도, 바람직하게는 0 %의 NaCl 농도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균주의 성장에 가장 적합한 최적 조건이다.
본 발명의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에 있어, 3종의 미생물을 각각 배양 후 혼합할 수도 있고, 3종의 미생물을 혼합한 후 배양할 수도 있다.
상기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의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술한 미생물제제를 축사에 처리함으로써 악취를 제거 또는 저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처리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행하고 있는 방법, 즉 살포(예를 들면 분무, 미스팅, 아토마이징, 분말 살포, 과립 살포, 수면시용, 상시용 등), 토양시용(예를 들면 혼입, 관주 등), 표면사용(예를 들면 도포, 도말법, 피복 등), 침지, 독이, 훈연 시용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 사용량은, 그 제형, 피해상황, 적용방법, 적용장소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95BP의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 균주, 수탁번호 KCTC 14796BP의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 균주, 및 수탁번호 KCTC 14797BP의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축분에서 발생하는 악취 가스에 대한 우수한 저감 활성을 나타내는 바, 축산업 분야의 다양한 기반기술 개발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 균주가 도말된 배지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 균주(도 2a),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 균주(도 2b)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 균주(도 2c)의 16S rRNA를 암호화하고 있는 유전자(rDNA)의 염기서열을 공지 균주와 비교하여 계통분류학적 모식도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 균주의 실험실 규모의 악취 저감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 균주의 현장적용 규모의 악취 저감 효과를 확인한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균주 분리
악취 저감 미생물제제로써 활용 가능한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논산 공동자원화 시설(축산폐수 처리시설)에서 축산폐수를 확보하였다. 폐수 시료를 단계별 희석(1/10)하여 TSA(Tryptic Soy Agar) 배지에 도말하였다. 단일 콜로니로 자란 미생물들은 콜로니 외형을 이용한 형태학적 분류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하고, 분리한 균주는 항산화 배지, 아질산염 산화 한천 배지에서 활성을 평가하여 최종 분리 균주를 선정하였다(도 1 참조).
균주 동정
최종 분리된 균체로부터 유전체 DNA(genomic DNA)를 추출한 후, 분리한 유전체 DNA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에 의하여 16S rRNA gene을 증폭하였다. 이 때 다용도 프라이머(universal primer)는 785F(5'-GGATTAGATACCCTGGTA-3')와 907R(5'-CCGTCAATTCMTTTRAGTTT-3')을 사용하였다. 증폭한 PCR 산물은 PCR 정제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한 PCR 산물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한 염기서열분석(sequencing)은 thermo fisher xl3730 DNA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분석한 염기서열 결과는 NCBI의 BLASTN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염기서열의 상동성 및 계통발생학적 모식도(phylogenetic tree)는 Mega X 프로그램을 통해 인접결합방법(neighbor-joining method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2a 내지 2c에 나타내었다.
분리한 균주(NLF2-7)는 기존에 보고된 공시 균주인 Aquamicrobium lusatiense KM210272.1과 99.86%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균주는 기존의 Aquamicrobium lusatiense KM210272.1과 1% 상이하기 때문에,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에 속하는 신규한 균주로 인정받아, 이를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Aquamicrobium sp.) NLF2-7로 명명하고, 상기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4795BP). 본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 균주의 16S r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rDNA)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에 나타내었다.
또한, 분리한 균주(NLF4-10)는 기존에 보고된 공시 균주인 Stenotrophomonas daejeonensis JCM 16244와 99.86%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균주는 기존의 Stenotrophomonas daejeonensis JCM 16244와 1% 상이하기 때문에,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에 속하는 신규한 균주로 인정받아, 이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Stenotrophomonas sp.) NLF4-10으로 명명하고, 상기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47964BP). 본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 균주의 16S r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rDNA)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에 나타내었다.
끝으로, 분리한 균주(NLF5-7)는 기존에 보고된 공시 균주인 Alcaligenes faecalis subsp. Phenolicus CP048039.1과 99.58%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균주는 기존의 Alcaligenes faecalis subsp. Phenolicus CP048039.1과 1% 상이하기 때문에, 알칼리게네스 속에 속하는 신규한 균주로 인정받아, 이를 알칼리게네스 속(Alcaligenes sp.) NLF5-7으로 명명하고, 상기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4796BP). 본 알칼리게네스 속 NLF5-7 균주의 16S r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rDNA)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균주의 유전체 분석
바이오닉스(BIONICS, KOREA)에 의뢰하여, PacBio(Pacific Bioscience) single molecule real time(SMRT) 시퀀싱 시스템으로 전장 유전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NLF2-7 NLF5-7 NLF4-10
Genome size(bp) 5,201,486 4,431,204 3,655,310
Number of contig 12 1 4
G+C content(%) 62 56 68
Total genes 5,032 4,154 3,376
Protein-coding genes(CDS) 4,971 4,084 3,298
rRNAs (5S, 16S, 23S) 6 9 9
tRNAs 53 60 68
tmRNA 1 1 1
본 발명의 균주(NLF2-7, NLF5-7 및 NLF4-10) 3종 모두 암모니아 산화와 관련된 petC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NLF2-7 및 NLF5-7는 황산화와 관련된 sqr, sat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균주의 최적 배양조건 확인
온도
200 ㎖ 삼각 플라스크에 TSB(Tryptic Soy Broth) 배지 97 ㎖를 넣고, 전 배양된 각 균주를 O.D 600 nm에서 1.0으로 맞춘 후 3 %(v/v)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10, 20, 30, 37, 40 또는 50 ℃에서 1 ㎖씩 취하여 7일간 OD(Optical density)를 측정하였다.
pH, NaCl
Biolog phenotype arrays를 이용하여 최적 pH 및 NaCl 농도 범위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50 ㎖ 삼각 플라스크에 상업용 배지 5종(Luria-Bertani broth(LB, Difco), Nutrient Broth(NB, Difco), Tryptic Soy Broth(TSB, Difco), Yeast peptone dextrose(YPD, Difco), R2A Broth) 97 ㎖를 넣고 배양된 균주를 O.D 600 nm에서 1.0로 맞춘 후 3 %(v/v)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배지의 초기 pH는 7로 설정하였으며, 30 ℃에서 130 rpm으로 72 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 성장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한 본 발명의 균주(NLF2-7, NLF5-7 및 NLF4-10) 3종에 대한 최적 배양 조건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NLF-2-7 NLF-5-7 NLF-4-10
온도(℃) 10-40 10-40 10-40
pH 5-10 5-10 5-10
NaCl(%) 0-4 0-7 0-5
실시예 4. 균주의 악취 저감 효과 확인(실험실)
본 발명의 균주(NLF2-7, NLF5-7 및 NLF4-10) 3종에 대하여, 단독, 또는 비율을 달리하여 2종 혼합 또는 3종 혼합하여 TSB 액체 배지에서 30 ℃, 120 rpm, 2 일간 배양 후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도 3 참조).
암모니아 및 아민
멸균된 1L bottle에 돈분 슬러리 30 mL, 증류수 60 mL, 혼합 미생물배양액(O.D 4 처리) 10 mL를 첨가하고, bottle 마개에 튜빙관을 삽입하고 클램프로 밀봉 후 30 ℃, 24 시간 정치배양하였다. 가스 측정기(Gastec GV110S)를 이용하여, 검지관 암모니아(3La), 아민(180)으로 악취 성분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의 경우 총 부피를 맞추기 위해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황화수소 및 메틸메캅탄
멸균된 1L bottle에 유박 1 g, 증류수 90 mL, 혼합 미생물배양액(O.D 4 처리) 10 mL를 첨가하고, bottle 마개에 튜빙관을 삽입하고 클램프로 밀봉 후 35 ℃, 72 시간 정치배양하였다. 가스 측정기(Gastec GV110S)를 이용하여, 검지관 황화수소(4L), 메틸메캅탄(71)으로 악취 성분 농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마찬가지로 대조군의 경우 총 부피를 맞추기 위해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상기에서 측정된 악취 성분 농도를 바탕으로, 하기 식을 이용하여 악취 저감률(%)을 계산하였다.
저감률(%) = (A-B)/A Х 100 (A: 대조군 측정 값, B: 처리군 측정 값)
그 결과,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대부분의 처리군에서 각 악취 성분이 60 % 이상 저감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3종 균주를 1:1:1로 혼합한 경우, 황화수소, 메틸메캅탄을 100 % 저감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균주의 악취 저감 확인(현장적용)
상기 실시예 4의 결과에 기초하여, 현장적용 가능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3종 균주의 돈사 악취 저감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대상: 비육사(430두)
- 형태: 개방형 돈사
- 품종: 요크셔(Yorkshire)와 렌드레이스(Lacdrace) 교배종
- 기간: 2주
- 악취 측정 방법: 검지관 측정, GC-MS(SFIT-MS 분석)
이때, 미생물은 하기 방법으로 제조 후 살포하였다:
TSB 액체 배지에 본 발명의 균주(NLF2-7, NLF5-7 및 NLF4-10) 3종을 각각 접종한 후 30 ℃, 120 rpm, 72 시간 조건으로 미생물 발효기에서 배양. 각 배양액을 1:1:1 비율로 혼합 후, 혼합 배양액 450 L를 축사 내부에 고르게 분무 살포. (1차 살포: 검증 1일차, 2차 살포: 검증 8일차)
성 분 역치
(ppb)
1차 처리 2차 처리
저감율(%) 저감율(%)
질소
화합물
암모니아 1500.00 9.76 4.72 ▽51.6 12.31 6.21 ▽49.53
트리메틸아민 0.03 1390.63 1043.75 ▽24.9 1938.54 1694.79 ▽12.57
황화합물 황화수소 0.41 9829.27 3780.49 ▽61.6 14138.21 7471.54 ▽47.15
메틸메르캅탄 0.07 697.14 2523.81 -262.02 1150.00 2580.95 -124.43
다이메틸설파이드 3.00 4.27 6.13 -43.75 8.13 9.58 -17.76
다이메틸디설파이드 2.20 277.58 312.27 -12.50 235.30 214.55 ▽8.82
알데하이드 화합물 아세트알데히드 186.00 0.39 0.62 -60.71 0.39 0.48 -23.81
프로피온알데히드 1.00 14.13 17.37 -22.88 9.85 4.90 ▽50.22
부틸알데히드 8.91 3.22 3.47 -7.66 2.93 1.85 ▽36.89
발레르알데히드 0.41 43.50 51.95 -19.44 44.39 47.89 -7.88
휘발성 유기 화합물 스티렌 35.00 0.42 0.25 ▽39.15 0.41 0.22 ▽45.96
톨루엔 1550.00 0.00 0.00 0.00 0.00 0.00 0.00
자일렌 490.00 0.00 0.00 0.00 0.00 0.00 0.00
메틸에틸케톤 7760.00 0.00 0.00 -66.00 0.00 0.00 -58.05
메틸이소부틸케톤 537.00 0.00 0.00 0.00 0.00 0.00 0.00
부틸아세테이트 195.00 0.01 0.01 0.00 0.01 0.01 0.00
아이소부틸알코올 832.00 0.00 0.04 -1,940.0 0.00 0.04 -2,513.33
휘발성 지방산 프로피온산 5.70 11.15 12.73 -14.16 11.04 2.91 ▽73.63
뷰티르산 0.19 152.98 171.93 -12.39 170.00 86.86 ▽48.91
아이소발레르산 0.08 256.84 329.49 -28.29 233.76 77.01 ▽67.06
악취기여도 12691.0 8259.0 17955.3 12199.8
감소율(%) 34.9 32.1
본 발명의 균주(NLF2-7, NLF5-7 및 NLF4-10) 3종 모두 암모니아 산화와 관련된 petC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NLF2-7 및 NLF5-7는 황산화와 관련된 sqr, sat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탁기관]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4795BP
수탁일자 : 20211129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4796BP
수탁일자 : 20211129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4797BP
수탁일자 : 20211129
[서열목록]
<110>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20> Microbial agent for removal or reduction of odors from sewage, waste, manure, and other odor sources
<130> NNIBR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5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quamicrobium sp. NLF2-7 16s rRNA
<400> 1
tcagccgcag gttcccctac ggctaccttg ttacgacttc accccagtcg ctgaccctac 60
cgtggtcgcc tgcctccctt gcgggttagc gcagcgcctt cgggtaaaac caactcccat 120
ggtgtgacgg gcggtgtgta caaggcccgg gaacgtattc accgcagcat gctgatctgc 180
gattactagc gattccaact tcatgcactc gagttgcaga gtgcaatccg aactgagatg 240
gcttttggag attagctcga cctcgcggtc tcgctgccca ctgtcaccac cattgtagca 300
cgtgtgtagc ccagcccgta agggccatga ggacttgacg tcatccccac cttcctctcg 360
gcttatcacc ggcagtcccc ttagagtgcc taactgaata agggcaacta agggcgaggg 420
ttgcgctcgt tgcgggactt aacccaacat ctcacgacac gagctgacga cagccatgca 480
gcacctgtca ccgatccagc ctaactgaag gacaatgtct ccactgtccg cgatcgggat 540
gtcaagggct ggtaaggttc tgcgcgttgc ttcgaattaa accacatgct ccaccgcttg 600
tgcgggcccc cgtcaattcc tttgagtttt aatcttgcga ccgtactccc caggcgggaa 660
gcttaatgcg ttaactgcgc caccgaacag taaactgccc gacggctagc ttccatcgtt 720
tacggcgtgg actaccaggg tatctaatcc tgtttgctcc ccacgctttc gcacctcagc 780
gtcagtatcg agccagtgag ccgccttcgc cactggtgtt cctccgaata tctacgaatt 840
tcacctctac actcggaatt ccactcacct ctctcgaact cgagatcgac agtattagag 900
gcagttccag ggttgagccc tgggatttca cccctaactg atcgatccgc ctacgtgcgc 960
tttacgccca gtaattccga acaacgctag cccccttcgt attaccgcgg ctgctggcac 1020
gaagttagcc ggggcttctt ctacggttac cgtcattatc ttcaccgttg aaagagcttt 1080
acaaccctag ggccttcatc actcacgcgg catggctgga tcaggcttgc gcccattgtc 1140
caatattccc cactgctgcc tcccgtagga gtctgggccg tgtctcagtc ccagtgtggc 1200
tgatcatcct ctcagaccag ctatggatcg tcgccttggt gagcctttac ctcaccaact 1260
agctaatcca acgcgggctc atcctttgcc gataaatctt tcccccgaag ggcacatacg 1320
gtattagcac aagtttccct gagttattcc gtagcaaaag gtagattccc acgcgttact 1380
cacccgtctg ccgctcccct tgcggggcgc tcgacttgca tgtgttaagc ctgccgccag 1440
cgttcgttct aa 1452
<210> 2
<211> 150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enotrophomonas sp. NLF4-10 16s rRNA
<400> 2
caccttccga tacggctacc ttgttacgac ttcaccccag tcatcggcca caccgtggca 60
agcgccctcc cgaaggttaa gctacctgct tctggtgcaa caaactccca tggtgtgacg 120
ggcggtgtgt acaaggcccg ggaacgtatt caccgcagca atgctgatct gcgattacta 180
gcgattccga cttcatggag tcgagttgca gactccaatc cggactgaga tagggtttct 240
gggattggct caccgtcgcc ggcttgcagc cctctgtccc taccattgta gtacgtgtgt 300
agccctggcc gtaagggcca tgatgacttg acgtcatccc caccttcctc cggtttgtca 360
ccggcggtct ccttagagtt cccaccatta cgtgctggcc aactaaggac aagggttgcg 420
ctcgttgcgg gacttaaccc aacatctcac gacacgagct gacgacagcc atgcagcacc 480
tgtgtcacgg ttcccgaagg cacctatcca tctctggaaa gttccgtgca tgtcaaggcc 540
aggtaaggtt cttcgcgttg catcgaatta aaccacatac tccaccgctt gtgcgggccc 600
ccgtcaattc ctttgagttt cagtcttgcg accgtactcc ccaggcggcg aacttaacgc 660
gttagcttcg gatactgcgt gccaaagtgc acccaacatc cagttcgcat cgtttagggc 720
gtggactacc agggtatcta atcctgtttg ctccccacgc tttcgtgcct cagtgtcagt 780
gttggcccag gcagtcgcct tcgccacgga tgttcctcct gatctctacg catttcactg 840
ctacaccagg aattccacta ccctctgcca cactctagtc aaccagtttc catcgcaatt 900
cccaggttga gcccagggct ttcacgacag acttaatcaa ccacctacgc acgctttacg 960
cccagtaatt ccgagtaacg cttgcaccct tcgtattacc gcggctgctg gcacgaagtt 1020
agccggtgct tattctttgg gtaccgtcag aacaatcggg tattaaccga ctgcttttct 1080
ttcccaacaa aagggcttta caacccgaag gccttcttca cccacgcggt atggctggat 1140
caggcttgcg cccattgtcc aatattcccc actgctgcct cccgtaggag tctggaccgt 1200
gtctcagttc cagtgtggct gatcatcctc tcagaccagc tacggatcgt cgccttggtg 1260
ggcctttacc ccgccaacta gctaatccga catcggctca ttcaatcgcg ccaggcccga 1320
aggtccccgg ctttcacccg taggtcgtat gcggtattag cgcaagtttc cctgcgttat 1380
cccccacgac aaagtagatt ccgatgtatt cctcacccgt ccgccactcg ccacccagag 1440
agcaagctct cctgtgctgc cgttcgactt gcatgtgtta ggcctaccgc cagcgttact 1500
ct 1502
<210> 3
<211> 150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caligenes sp. NLF5-7 16s rRNA
<400> 3
cagccgcacc ttccgatacg gctaccttgt tacgacttca ccccagtcat gaatcccacc 60
gtggtaagcg ccctccttgc ggttaggcta cctacttctg gtgaaaccca ctcccatggt 120
gtgacgggcg gtgtgtacaa gacccgggaa cgtattcacc gcgacattct gatccgcgat 180
tactagcgat tccgacttca cgcagtcgag ttgcagactg cgatccggac tacgatcggg 240
tttctgagat tggctccccc tcgcgggttg gcgaccctct gtcccgacca ttgtatgacg 300
tgtgaagccc tacccataag ggccatgagg acttgacgtc atccccacct tcctccggtt 360
tgtcaccggc agtctcatta gagtgctctt gcgtagcaac taatgacaag ggttgcgctc 420
gttgcgggac ttaacccaac atctcacgac acgagctgac gacagccatg cagcacctgt 480
gttccggttc tcttgcgagc acggccaaat ctcttcggct ttccagacat gtcaagggta 540
ggtaaggttt ttcgcgttgc atcgaattaa tccacatcat ccaccgcttg tgcgggtccc 600
cgtcaattcc tttgagtttt aatcttgcga ccgtactccc caggcggtca acttcacgcg 660
ttagctgcgc tactaaggcc taacggcccc aacagctagt tgacatcgtt tagggcgtgg 720
actaccaggg tatctaatcc tgtttgctcc ccacgctttc gtgtctgagc gtcagtatta 780
tcccaggggg ctgccttcgc catcggtatt cctccacata tctacgcatt tcactgctac 840
acgtggaatt ctacccccct ctgacatact ctagctcggc agttaaaaat gcagttccaa 900
ggttgagccc tgggatttca catctttctt tccgaaccgc ctacacacgc tttacgccca 960
gtaattccga ttaacgcttg caccctacgt attaccgcgg ctgctggcac gtagttagcc 1020
ggtgcttatt ctgcagatac cgtcagcagt atcccgtatt aggggatacc ttttcttctc 1080
tgccaaaagt actttacaac ccgaaggcct tcatcataca cgcgggatgg ctggatcagg 1140
gtttccccca ttgtccaaaa ttccccactg ctgcctcccg taggagtctg ggccgtgtct 1200
cagtcccagt gtggctggtc gtcctctcaa accagctacg gatcgttgcc ttggtgagcc 1260
tttaccccac caactagcta atccgatatc ggccgctcca atagtgagag gtcttgcgat 1320
cccccccttt cccccgtagg gcgtatgcgg tattagccac tctttcgagt agttatcccc 1380
cgctactggg cacgttccga tatattactc acccgtccgc cactcgccgc caagagagca 1440
agctctctcg cgctgccgtt cgacttgcat gtgtaaagca tcccgctagc gtcaatctaa 1500
<110>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20> Microbial agent for removal or reduction of odors from sewage, waste, manure, and other odor sources <130> NNIBR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5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quamicrobium sp. NLF2-7 16s rRNA <400> 1 tcagccgcag gttcccctac ggctaccttg ttacgacttc accccagtcg ctgaccctac 60 cgtggtcgcc tgcctccctt gcgggttagc gcagcgcctt cgggtaaaac caactcccat 120 ggtgtgacgg gcggtgtgta caaggcccgg gaacgtattc accgcagcat gctgatctgc 180 gattactagc gattccaact tcatgcactc gagttgcaga gtgcaatccg aactgagatg 240 gcttttggag attagctcga cctcgcggtc tcgctgccca ctgtcaccac cattgtagca 300 cgtgtgtagc ccagcccgta agggccatga ggacttgacg tcatccccac cttcctctcg 360 gcttatcacc ggcagtcccc ttagagtgcc taactgaata agggcaacta agggcgaggg 420 ttgcgctcgt tgcgggactt aacccaacat ctcacgacac gagctgacga cagccatgca 480 gcacctgtca ccgatccagc ctaactgaag gacaatgtct ccactgtccg cgatcgggat 540 gtcaagggct ggtaaggttc tgcgcgttgc ttcgaattaa accacatgct ccaccgcttg 600 tgcgggcccc cgtcaattcc tttgagtttt aatcttgcga ccgtactccc caggcgggaa 660 gcttaatgcg ttaactgcgc caccgaacag taaactgccc gacggctagc ttccatcgtt 720 tacggcgtgg actaccaggg tatctaatcc tgtttgctcc ccacgctttc gcacctcagc 780 gtcagtatcg agccagtgag ccgccttcgc cactggtgtt cctccgaata tctacgaatt 840 tcacctctac actcggaatt ccactcacct ctctcgaact cgagatcgac agtattagag 900 gcagttccag ggttgagccc tgggatttca cccctaactg atcgatccgc ctacgtgcgc 960 tttacgccca gtaattccga acaacgctag cccccttcgt attaccgcgg ctgctggcac 1020 gaagttagcc ggggcttctt ctacggttac cgtcattatc ttcaccgttg aaagagcttt 1080 acaaccctag ggccttcatc actcacgcgg catggctgga tcaggcttgc gcccattgtc 1140 caatattccc cactgctgcc tcccgtagga gtctgggccg tgtctcagtc ccagtgtggc 1200 tgatcatcct ctcagaccag ctatggatcg tcgccttggt gagcctttac ctcaccaact 1260 agctaatcca acgcgggctc atcctttgcc gataaatctt tcccccgaag ggcacatacg 1320 gtattagcac aagtttccct gagttattcc gtagcaaaag gtagattccc acgcgttact 1380 cacccgtctg ccgctcccct tgcggggcgc tcgacttgca tgtgttaagc ctgccgccag 1440 cgttcgttct aa 1452 <210> 2 <211> 1502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enotrophomonas sp. NLF4-10 16s rRNA <400> 2 caccttccga tacggctacc ttgttacgac ttcaccccag tcatcggcca caccgtggca 60 agcgccctcc cgaaggttaa gctacctgct tctggtgcaa caaactccca tggtgtgacg 120 ggcggtgtgt acaaggcccg ggaacgtatt caccgcagca atgctgatct gcgattacta 180 gcgattccga cttcatggag tcgagttgca gactccaatc cggactgaga tagggtttct 240 gggattggct caccgtcgcc ggcttgcagc cctctgtccc taccattgta gtacgtgtgt 300 agccctggcc gtaagggcca tgatgacttg acgtcatccc caccttcctc cggtttgtca 360 ccggcggtct ccttagagtt cccaccatta cgtgctggcc aactaaggac aagggttgcg 420 ctcgttgcgg gacttaaccc aacatctcac gacacgagct gacgacagcc atgcagcacc 480 tgtgtcacgg ttcccgaagg cacctatcca tctctggaaa gttccgtgca tgtcaaggcc 540 aggtaaggtt cttcgcgttg catcgaatta aaccacatac tccaccgctt gtgcgggccc 600 ccgtcaattc ctttgagttt cagtcttgcg accgtactcc ccaggcggcg aacttaacgc 660 gttagcttcg gatactgcgt gccaaagtgc acccaacatc cagttcgcat cgtttagggc 720 gtggactacc agggtatcta atcctgtttg ctccccacgc tttcgtgcct cagtgtcagt 780 gttggcccag gcagtcgcct tcgccacgga tgttcctcct gatctctacg catttcactg 840 ctacaccagg aattccacta ccctctgcca cactctagtc aaccagtttc catcgcaatt 900 cccaggttga gcccagggct ttcacgacag acttaatcaa ccacctacgc acgctttacg 960 cccagtaatt ccgagtaacg cttgcaccct tcgtattacc gcggctgctg gcacgaagtt 1020 agccggtgct tattctttgg gtaccgtcag aacaatcggg tattaaccga ctgcttttct 1080 ttcccaacaa aagggcttta caacccgaag gccttcttca cccacgcggt atggctggat 1140 caggcttgcg cccattgtcc aatattcccc actgctgcct cccgtaggag tctggaccgt 1200 gtctcagttc cagtgtggct gatcatcctc tcagaccagc tacggatcgt cgccttggtg 1260 ggcctttacc ccgccaacta gctaatccga catcggctca ttcaatcgcg ccaggcccga 1320 aggtccccgg ctttcacccg taggtcgtat gcggtattag cgcaagtttc cctgcgttat 1380 cccccacgac aaagtagatt ccgatgtatt cctcacccgt ccgccactcg ccacccagag 1440 agcaagctct cctgtgctgc cgttcgactt gcatgtgtta ggcctaccgc cagcgttact 1500 ct 1502 <210> 3 <211> 1500 <212> R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lcaligenes sp. NLF5-7 16s rRNA <400> 3 cagccgcacc ttccgatacg gctaccttgt tacgacttca ccccagtcat gaatcccacc 60 gtggtaagcg ccctccttgc ggttaggcta cctacttctg gtgaaaccca ctcccatggt 120 gtgacgggcg gtgtgtacaa gacccgggaa cgtattcacc gcgacattct gatccgcgat 180 tactagcgat tccgacttca cgcagtcgag ttgcagactg cgatccggac tacgatcggg 240 tttctgagat tggctccccc tcgcgggttg gcgaccctct gtcccgacca ttgtatgacg 300 tgtgaagccc tacccataag ggccatgagg acttgacgtc atccccacct tcctccggtt 360 tgtcaccggc agtctcatta gagtgctctt gcgtagcaac taatgacaag ggttgcgctc 420 gttgcgggac ttaacccaac atctcacgac acgagctgac gacagccatg cagcacctgt 480 gttccggttc tcttgcgagc acggccaaat ctcttcggct ttccagacat gtcaagggta 540 ggtaaggttt ttcgcgttgc atcgaattaa tccacatcat ccaccgcttg tgcgggtccc 600 cgtcaattcc tttgagtttt aatcttgcga ccgtactccc caggcggtca acttcacgcg 660 ttagctgcgc tactaaggcc taacggcccc aacagctagt tgacatcgtt tagggcgtgg 720 actaccaggg tatctaatcc tgtttgctcc ccacgctttc gtgtctgagc gtcagtatta 780 tcccaggggg ctgccttcgc catcggtatt cctccacata tctacgcatt tcactgctac 840 acgtggaatt ctacccccct ctgacatact ctagctcggc agttaaaaat gcagttccaa 900 ggttgagccc tgggatttca catctttctt tccgaaccgc ctacacacgc tttacgccca 960 gtaattccga ttaacgcttg caccctacgt attaccgcgg ctgctggcac gtagttagcc 1020 ggtgcttatt ctgcagatac cgtcagcagt atcccgtatt aggggatacc ttttcttctc 1080 tgccaaaagt actttacaac ccgaaggcct tcatcataca cgcgggatgg ctggatcagg 1140 gtttccccca ttgtccaaaa ttccccactg ctgcctcccg taggagtctg ggccgtgtct 1200 cagtcccagt gtggctggtc gtcctctcaa accagctacg gatcgttgcc ttggtgagcc 1260 tttaccccac caactagcta atccgatatc ggccgctcca atagtgagag gtcttgcgat 1320 cccccccttt cccccgtagg gcgtatgcgg tattagccac tctttcgagt agttatcccc 1380 cgctactggg cacgttccga tatattactc acccgtccgc cactcgccgc caagagagca 1440 agctctctcg cgctgccgtt cgacttgcat gtgtaaagca tcccgctagc gtcaatctaa 1500 1500

Claims (8)

  1.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Aquamicrobium sp. NLF2-7, 기탁번호 KCTC 14795BP)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Stenotrophomonas sp. NLF4-10, 기탁번호 KCTC 14796BP)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Alcaligenes sp. NLF5-7, 기탁번호 KCTC 14797BP) 균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제는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제는 악취 발생원에 살포한 후 12시간 이내에 암모니아 농도를 50% 이상 저감하는 것인,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제는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 균주가 1:1-3:0.5-3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인,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TSB 배지에서 배양된 것인,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미생물비료.
  8. 아쿠아마이크로비움 속 NLF2-7(Aquamicrobium sp. NLF2-7, 기탁번호 KCTC 14795BP) 균주, 스테노트로포모나스 속 NLF4-10(Stenotrophomonas sp. NLF4-10, 기탁번호 KCTC 14796BP) 균주, 및 알칼리게네스 속 NLF5-7(Alcaligenes sp. NLF5-7, 기탁번호 KCTC 14797BP) 균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
KR1020210185787A 2021-12-23 2021-12-23 하수, 폐기물, 분뇨, 기타 악취원의 악취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 KR102604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787A KR102604703B1 (ko) 2021-12-23 2021-12-23 하수, 폐기물, 분뇨, 기타 악취원의 악취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787A KR102604703B1 (ko) 2021-12-23 2021-12-23 하수, 폐기물, 분뇨, 기타 악취원의 악취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365A true KR20230096365A (ko) 2023-06-30
KR102604703B1 KR102604703B1 (ko) 2023-11-20

Family

ID=8695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787A KR102604703B1 (ko) 2021-12-23 2021-12-23 하수, 폐기물, 분뇨, 기타 악취원의 악취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7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246A (ko) 2008-04-15 2009-10-20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악취저감 효과를 갖는 신규한 슈도모나스 스튜즈제리nist―1 균주
KR20130058089A (ko) * 2011-11-22 2013-06-04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호기적 상태에서 종속영양 질산화와 탈질화가 동시에 가능한 악취 저감 스테노트로포모나스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저감방법
CN103275899A (zh) * 2013-05-29 2013-09-04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水微菌及其在脱除含硫恶臭物质中的应用
KR20150121429A (ko) * 2014-04-21 2015-10-29 (주)케비젠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악취 저감 효과를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1854277B1 (ko) 2016-11-03 2018-05-10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246A (ko) 2008-04-15 2009-10-20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악취저감 효과를 갖는 신규한 슈도모나스 스튜즈제리nist―1 균주
KR20130058089A (ko) * 2011-11-22 2013-06-04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호기적 상태에서 종속영양 질산화와 탈질화가 동시에 가능한 악취 저감 스테노트로포모나스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악취 저감방법
CN103275899A (zh) * 2013-05-29 2013-09-04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水微菌及其在脱除含硫恶臭物质中的应用
KR20150121429A (ko) * 2014-04-21 2015-10-29 (주)케비젠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악취 저감 효과를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1854277B1 (ko) 2016-11-03 2018-05-10 대한민국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703B1 (ko)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98229B (zh) 具有畜禽粪尿臭味减少效果的发酵液肥制造用制剂及畜禽粪尿臭味减少用发酵液肥循环装置
JP7057965B2 (ja) コンポスト化処理促進材及びコンポストの製造方法
KR101799750B1 (ko)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8823B1 (ko) 축사 악취 제거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미생물 제제를 포함하는 양돈용 사료
KR101854277B1 (ko) 암모니아 악취 저감용 혼합 미생물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84817B (zh) 具有酶活性、减少氨及硫化氢的功效的枯草芽孢杆菌菌株及其用途
CN107345213B (zh) 一种降解奶牛粪便酸臭物的赖氨酸芽孢杆菌及其应用
WO2016030441A1 (en) Essential amino acids provided by bacillus in liquid feed
KR102150330B1 (ko) 축산분뇨에 대한 악취저감 효능을 갖는 오시아노바실러스 속 신규 균주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가축분뇨 악취저감 조성물
CN109679869B (zh) 一种对虾肠道肠球菌菌株及其筛选方法和应用
KR101450019B1 (ko) 미생물을 잣 부산물추출물에 배양하여 악취 감소 효과를 갖는 가축분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축분비료
KR101549191B1 (ko) 악취가스 감소처리제
TW201925453A (zh) 用於廢棄物生物降解的方法和產品
CN103221532A (zh) 微生物和含有其的除臭剂
CN1333072C (zh) 巨大芽孢杆菌
KR102604703B1 (ko) 하수, 폐기물, 분뇨, 기타 악취원의 악취 제거 또는 저감을 위한 미생물제제
CN109337842B (zh) 一株具有吲哚降解能力的不动杆菌nta1-2a及其应用
KR20120041419A (ko) 악취 제거능을 갖는 엔테로코커스 패시움 srod 및 이의 이용
KR101580780B1 (ko)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악취 저감 효과를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KR101898660B1 (ko)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 sn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음식물쓰레기처리제제
KR101851151B1 (ko) 악취가스 감소용 조성물
KR20160004259A (ko) 혼합된 박테리아 개체군에 의한 암모니아화를 통한 유기물로부터의 질소의 추출
KR101336980B1 (ko) 반추 동물의 반추위 내 메탄 생성 억제능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이용
KR102121493B1 (ko) 다기능 신규 균주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 ub28-30
CN113355265B (zh) 一种植物乳杆菌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