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771A - 통합된 블랙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통합된 블랙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771A
KR20230095771A KR1020220058526A KR20220058526A KR20230095771A KR 20230095771 A KR20230095771 A KR 20230095771A KR 1020220058526 A KR1020220058526 A KR 1020220058526A KR 20220058526 A KR20220058526 A KR 20220058526A KR 20230095771 A KR20230095771 A KR 20230095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polarizer
display
linear polarize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롱-화 리
시-하오 첸
춘-용 장
Original Assignee
티피케이 오토 테크 (샤먼)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피케이 오토 테크 (샤먼)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피케이 오토 테크 (샤먼)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9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1Circular 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유닛 및 광학 보상막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부 편광기를 포함한다. 광학 보상막은 외부 환경을 향하는 상부 편광기의 측면에 위치된다. 광학 보상막은 선형 편광기를 포함한다. 선형 편광기와 상부 편광기 사이의 축 각도 차이의 절대값이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이다.

Description

통합된 블랙 디스플레이 장치{INTEGRATED BLACK DISPLAY APPARATUS}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차폐 영역(shield area)의 반사도(reflectance)와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가 유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통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와 차폐 영역의 반사도 사이의 큰 반사도 차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분명한 계면을 갖는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이 턴오프되거나 턴온되지 않을 때 빈약한 외관을 갖는다.
일부 현재의 방법에서, 광학 접착층의 투과도(transmittance)를 감소시킴으로써 반사도가 감소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영역의 밝기가 감소될 것이다. 다른 방법에서, 차폐 영역의 잉크 컬러를 조정하여 차폐 영역과 디스플레이 영역이 균일한 컬러를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외관 품질이 충분히 좋지 않고, 차폐 영역이 이 컬러 조정으로 인해 그레이 컬러를 보일 수 있다. CIELAB 컬러 공간 데이터(L,a,b)로부터 획득된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컬러 차이들이, 그러한 방법이 위에서 언급된 문제들을 여전히 해결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반사도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계면이 불분명할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산업계에 대한 발전 방향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광학 보상막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부 편광기를 포함한다. 광학 보상막은 외부 환경을 향하는 상부 편광기의 측면(side)에 위치된다. 광학 보상막은 선형 편광기를 포함한다. 선형 편광기와 상부 편광기 사이의 축 각도 차이의 절대값이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형 편광기와 상부 편광기 사이의 축 각도 차이의 절대값이 0도 내지 5도 범위 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차폐 영역을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컬러 차이가 1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온되지 않았을 때,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로부터 차폐 영역의 반사도를 감산한 것으로부터 획득된 차이의 절대값이 1%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형 편광기의 불투명도(opacity)가 21%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선형 편광기의 불투명도가 10%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광학 보상막이 리타데이션막(retardation film)을 포함한다.
이전에 언급된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컬러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광학 보상막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가 차폐 영역의 반사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한 설계로, 블랙 전체 효과(black overall effect)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계면이 불투명해지고, 따라서 그러한 설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외관을, 백라이트 모듈이 턴오프되었을 때 미화(beautify)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음과 같은 첨부한 도면들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지면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라인(2-2)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서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적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적 측면도이다.
도 5는 플라스틱막들을 커팅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동축인 선형 편광기와 상부 편광기의 개략도이다.
이제 본 개시의 본 실시예들에 대해 참조가 상세히 이루어질 것이며, 그 예시들이 첨부한 도면들에 예시된다. 가능하면 언제나,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칭하기 위해 도면들 및 설명에서 사용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1000) 및 차폐 영역(100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들(1000)의 수는 2개이며, 차폐 영역(1001)이 이 2개의 디스플레이 영역들(1000)을 분리하지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영역들(1000)의 수가 3개 이상일 수 있고, 차폐 영역(1001)이 이 디스플레이 영역들(1000)을 분리한다.
도 2는 도 1에서의 라인(2-2)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버 플레이트(110), 광학 보상막(120), 디스플레이 유닛(130), 및 백라이트 모듈(15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보상막(120)은 커버 플레이트(110)와 디스플레이 유닛(130) 사이에 위치된다. 광학 보상막(120)은 광학 접착층(140)을 통해 커버 플레이트(110)에 접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광학 접착층(142)을 통해 광학 보상막(120)에 접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10)는 커브드 플레이트이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를 편리하게 설명하기 위해, 2개의 디스플레이 영역들(1000)을 맞물리는 하우징과 같은 메커니즘(들)이 도 2에서 생략된다. 광학 보상막(120)은 선형 편광기 또는 원형 편광기일 수 있다. 원형 편광기는 선형 편광기와 리타데이션막의 조합이다. 리타데이션막은 1/4λ 리타데이션막일 수 있다. 광학 보상막(120)은 반투명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면 처리층(112)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처리층(112)은 광학 보상막(120)을 등지는 커버 플레이트(110)의 표면 상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면 처리층(112)은 반사방지막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면 처리층(112)은 지문방지막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면 처리층(112)은 눈부심방지막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면 처리층(112)은 이전에 언급된 막들 중 2개의 또는 3개의 조합일 수 있다. 표면 처리층(112)은 광학 보상막(120)을 등지는 커버 플레이트(110)의 표면 상에 증발, 스퍼터링, 또는 접착을 통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인셀 디스플레이 유닛(in-cell display unit), 온셀 디스플레이 유닛(on-cell display unit), 또는 아웃셀 디스플레이 유닛(out-cell display unit)일 수 있다. 상세한 구조들이 다음 단락들 및 첨부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a는 도 1에서의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하부 편광기(131), 상부 편광기(132),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33), 액정층(134), 컬러 필터층(135), 커버 글래스 기판(136), 및 센서층(13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인셀 디스플레이 유닛이다. 센서층(138)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33)과 액정층(134) 사이에 위치되고, 커버 글래스 기판(136)은 더미 글래스이다. 하부 편광기(131)의 편광 방향은 상부 편광기(132)의 편광 방향에 직교한다. 하부 편광기(131), 상부 편광기(132),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33), 액정층(134), 컬러 필터층(135), 및 커버 글래스 기판(136)이 대안적으로 광학 접착층들(미도시)을 통해 조합될 수 있고, 이후부터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다.
도 3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30a)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30)은 온셀 디스플레이 유닛이다. 커버 글래스 기판(136)과 상부 편광기(132) 사이에 센서층(138)이 배치된다.
도 3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30b)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30b)은 아웃셀 디스플레이 유닛이다. 다른 광학 접착층(144)을 통해 상부 편광기(132) 상에 센서층(138)이 접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층(138)이 임의의 회로들(즉, 더미 글래스) 없이 글래스 기판에 의해 변위될 수 있다. 또는, 광학 접착층(144)을 통해 상부 편광기(132) 상에 글래스 기판이 접착되고, 이어서 센서층(138)이 글래스 기판 상에 이후에 배치된다(또는 접착층 또는 광학 접착층을 통해 접착됨).
도 4a는 도 2에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분적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광학 보상막(120)은 원형 편광기이다. 선형 편광기(122)와 리타데이션막(124)이 광학 접착층(126)을 통해 접착된다. 선형 편광기(122)는 광학 접착층(126)과 커버 플레이트(110) 사이에 위치된다. 광학 보상막(120)은 광학 접착층(142)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30)에 접착된다. 대안적으로 언급하면, 광학 보상막(120)은, 외부 환경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30)의 상부 편광기(132)의 측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부 편광기(132), 선형 편광기(122), 또는 원형 편광기가 공급자들에 의해 제조자들에게 판매될 때, 상부 편광기(132), 선형 편광기(122), 또는 원형 편광기가 번들 내에 있다. 상부 편광기(132), 선형 편광기(122), 또는 원형 편광기가 플라스틱막들이기 때문에, 상부 편광기(132), 선형 편광기(122), 또는 원형 편광기가 스트레치 프로세스(stretch process) 동안 가로 방향(transverse direction ; TD) 및 세로 방향(machine direction; MD)으로 스트레치될 것이다. 상부 편광기(132), 선형 편광기(122), 또는 원형 편광기가 광학막들이기 때문에, 0도 이상의 각도가 형성될 수 있다. 각도들은 각각의 제조자의 제조 프로세스 및 재료들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상이할 수 있다.
도 5는 플라스틱막들(200)을 커팅한 개략도이다. 플라스틱막(200)은 본원에서 원형 편광기, 상부 편광기, 하부 편광기, 또는 선형 편광기와 같은 임의의 광학막을 지칭하지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급자들에 의해 제공되는 플라스틱막(200)은 각도를 갖고, 플라스틱막(200)은, 플라스틱막(200)이 커팅 머신 상에 위치될 때 디폴트 각도를 갖는다. 커팅 머신의 커터(300)가 플라스틱막(200)의 베이스 방향(base direction)에 대해 커팅 각도(θ)만큼 회전된다. 베이스 방향은 플라스틱막(200)이 그 위에 위치되는 위치에 의해 결정되고, 따라서 베이스 방향은 TD 방향 또는 MD 방향일 수 있다. 커팅 각도(θ)는 디폴트 각도와 이전에 언급된 각도의 합이다. 따라서, 커팅되고 있는 플라스틱막의 각도가 디폴트 각도이다. 예를 들어, 커팅되고 있거나 커팅된 플라스틱막(200)이 45도의 각도를 가지면, 커팅 각도(θ)는 45도와 이전에 언급된 각도의 합이다.
플라스틱막(200) 또는 커팅되고 있거나 커팅된 플라스틱막(200)(임의의 광학 박막)의 각도 측정이 흡수축 검출기(absorbing axis detector), 전폭 광학막 축 검출기(whole-width optical film axis detector), 편광기 축 검출기 등에 의해 수행된다. 각도 측정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회전 플랫폼 상에 플라스틱막(200)을 배치하는 단계, 광원 모듈에 의해 광을 제공하는 단계, 플라스틱막(200) 및 회전 플랫폼을 통과한 광을 광학 수신 센서 모듈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광학 수신 센서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제어 모듈에 전달하여 플라스틱막(200)의 각도가 제어 모듈로부터 도출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은 동축인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의 개략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4a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는 실질적으로 동축이다.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의 동축 각도는 -5도 내지 +5도 범위 내이고, 상부 편광기(132)의 불투명도는 허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팅되고 있거나 커팅된 플라스틱막들이 각각 선형 편광기(122) 및 상부 편광기(132)이며, 디폴트 각도는 45도이다. 선형 편광기(122)는 적어도 하나의 제1의 긴 에지(long edge)(12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의 짧은 에지(1221)를 포함하고, 제1의 긴 에지(1220)는 제2의 짧은 에지(1221)에 수직이다. 상부 편광기(132)는 적어도 하나의 제3의 긴 에지(1320) 및 적어도 하나의 제4의 짧은 에지(1321)를 포함하고, 제3의 긴 에지(1320)는 제4의 짧은 에지(1321)에 수직이다. 따라서, 선형 편광기(122)가 상부 편광기(132) 상에 배치되었을 때, 선형 편광기(122)의 제1의 긴 에지(1220)가 상부 편광기(132)의 제3의 긴 에지(1320)와 정렬되고, 선형 편광기(122)의 제2의 짧은 에지(1221)가 상부 편광기(132)의 제4의 짧은 에지(1321)와 정렬된다. 이와 같이,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가 동축이고, 따라서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 사이의 동축 각도가 0도일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막의 각도, 커팅 각도, 또는 제조 편차(manufacturing deviation)로 인해 동축 각도가 0도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가 동축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획득된 상부 편광기(132)에 대한 선형 편광기(122)의 각도가 양의 각도이고,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획득된 상기 각도가 음의 각도이다. 구체적으로,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 사이의 축 각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0도 내지 5도 범위 내이다. 그러한 상태 하에,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모듈(150)이 턴온되었을 때, 백라이트 모듈(150)에 의해 제공되는 광이 디스플레이 유닛(130)[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들(130, 130a, 130b)이 본원에 포함되지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상부 편광기(132), 및 선형 편광기(122)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광이 이전에 언급된 디스플레이 유닛(130), 상부 편광기(132), 및 선형 편광기(122)를 통과할 때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력 손실이 본 개시에서 강조되는 것은 아니다.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 사이의 축 각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0도 내지 5도 범위보다 크면, 백라이트 모듈(150)이 턴온되었을 때 백라이트 모듈(150)로부터의 광 또는 소량의 광이 선형 편광기(122)를 통과할 수 없어서 광 강도가 감소된다.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 사이의 각도 변화에 대한 불투명도를 설명하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 사이의 동축 각도가 0도일 때, 다수의 내지 수십개의 실험 결과들로부터 획득된 투과도가 0% 내지 3%이며, 이는 백라이트 모듈(150)이 턴온되었을 때 광 강도가 최상이거나 가장 강함을 의미한다.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 사이의 동축 각도가 5도로부터 점점 증가될 때, 광 강도가 감소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비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턴온되었을 때, 적격 제품(qualified product)의 외부 환경을 향하는 선형 편광기(122)의 측면으로부터 측정된 불투명도는 10%보다 작아야 한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가 동축이고 선형 편광기(122)와 상부 편광기(132) 사이의 축 각도의 차이의 절대값이 0도 내지 5도 범위 내일 때, 선형 편광기(122)의 불투명도는 10% 아래이다. 따라서, 그러한 결과들은 소비자 제품에 대해 허용가능하다. 동축 각도 차이의 절대값이 5도보다 클 때, 선형 편광기(122)의 불투명도는 10%보다 크다. 따라서, 그러한 결과들은 소비자 제품에 대해 허용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일부 소비자 디스플레이 제품들은 선형 편광기(122)의 불투명도가 21% 아래일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1
선형 편광기와 상부 편광기 사이의 각도 변화에 대한 불투명도
도 1, 도 2, 및 도 4a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외부의 편광되지 않은 광(L)이 선형 편광기(122)를 통과한 후 선형의 편광된 광이 형성된다. 선형 편광기(122) 및 리타데이션막(124)을 통과했고 원형의 편광된 광을 형성한 광(L) 이후에 1/4 파장 위상차를 갖는 편광된 광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편광된 광은 145도 ± 10도 또는 140도 ± 10도의 위상차를 갖는다. 광은 파동 입자 이중성(wave-particle duality)을 갖고, 따라서 광은 위상차가 논의될 때 자기파로 간주된다. 2개의 광들의 위상들 간의 차이가 위상차이다. 원형의 편광된 광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반사 매질(가령 반사기, 미도시)을 통과한 후, 역의 원형의 편광된 광이 형성된다(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따라서, 반사된 원형의 편광된 광이 리타데이션막(124)을 다시 통과한 후, 선형 편광기(122)의 광학축 방향의 역의 방향을 따르는 선형의 편광된 광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광(L)은 선형 편광기(122)를 통과할 수 없고,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1000)의 반사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백라이트 모듈(150)이 턴오프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백라이트 모듈(150)의 외관을 미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영역들(1000)과 차폐 영역(1001) 사이의 계면이 불분명할 것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a)의 부분적 측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차이점은 광학 보상막(120)이 적층(stack)된 방향의 역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a)의 광학 보상막(120a)이 배열된다는 점이다. 환언하면, 광학 보상막(120a)의 리타데이션막(124)이 광학 접착층(126)과 커버 플레이트(110) 사이에 위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술적 이점들과 동일한 기술적 이점들을 갖고, 따라서 이후부터 설명이 반복되지 않는다.
표 2는 컬러 차이의 데이터이다. 컬러 차이(ΔE)의 값이 높을 때, 컬러는 트루 컬러와 비교하여 더 왜곡된다. 퍼펙트 컬러의 컬러 차이는 0이며, 이는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 사람의 눈에 보이는 최소 컬러 차이는 1부터 2.5까지이다. 컬러 차이가 1보다 작으면, 컬러 차이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에 의해 관찰될 수 없다.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보상막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들(번호 1 내지 3)의 컬러 차이들은 컬러 차이 식으로부터 획득된 컬러 차이(ΔE)의 값들에 기초하면 약 10이며:
Figure pat00002
, 이는 디스플레이 영역들(1000)과 차폐 영역(1001) 사이의 계면이 분명하며 사람들에 의해 관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학 보상막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들(번호 4 내지 6)의 컬러 차이들(ΔE)은 1보다 작게 감소되며, 따라서 그러한 컬러 차이들은 사람들에 의해 관찰될 수 없다. 따라서,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블랙 전체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들(1000)과 차폐 영역(1001) 사이의 계면을 불투명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그러한 설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외관을, 백라이트 모듈이 턴오프되었을 때 미화할 수 있다.
표 2
Figure pat00003
컬러 차이의 데이터
표 3은 광학 보상막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광학 보상막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도의 데이터이다. 반사도의 데이터는 Konica Minolta의 Spectrophotometer CM-700D를 사용함으로써 측정된다. 실제 제품들이 측정 샘플들로서 사용되고, 측정들은 측정 샘플들 상의 다수의 지점들에서 수행된다. 데이터는 이 측정된 결과들의 평균이다. 이전에 언급된 반사방지막, 지문방지막, 눈부심방지막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플레이트의 표면 상의 광학 코팅이 있다. 더 높은 파장(700 nm 이상) 또는 더 낮은 파장(400 nm 이하)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 측정 결과들이 광학 코팅으로 인해 영향받을 것이며, 따라서, 700 nm보다 많거나 400 nm보다 적은 범위는 측정들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방법은, 디스플레이 영역(1000)에서의 5개의 지점들이 동일한 거리 또는 동일한 영역으로 선택되고, 반사도가 측정 파장들로 이 5개의 지점들로부터 측정된다. 차폐 영역(1001)이 비정사각 형상이거나 비균일한 형상을 가지면, 차폐 영역(1001)에서의 8개의 지점들이 동일한 거리로 선택될 수 있고, 반사도가 이 8개의 지점들로부터 측정된다. 차폐 영역(1001)이 정사각 형상을 가지면, 차폐 영역(1001)이 긴 변 및 짧은 변으로 분할될 수 있고, 반사도 측정들을 위해 긴 변과 짧은 변이 서로 마주하는 모서리들 또는 긴 변 및 짧은 변에 대한 위치들로부터 8개의 지점들이 선택될 수 있다.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보상막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광학 보상막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오프되었을 때 반사도 측정들이 획득된다. 표 3은 450 nm부터 650 nm까지의 파장들을 갖는 가시광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된 다수의 샘플들의 디스플레이 영역들 및 차폐 영역들의 반사도를 도시한다. 광학 보상막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들(번호 1 내지 3)이 450 nm부터 650 nm까지의 파장들을 갖는 가시광을 사용함으로써 측정되었을 때, 광학 보상막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반사도 차이가 상당하다. 바람직한 관찰 영역은 500 nm 내지 600 nm 사이이다. 표 3에서의 1VA는 샘플 번호(1)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나타내고, 1NA는 샘플 번호(1)의 차폐 영역을 나타내며, |1VA-1NA|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로부터 차폐 영역의 반사도를 감산한 것으로부터 획득된 차이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유사하게, 표의 나머지는 상이한 번호매김된 샘플들의 디스플레이 영역, 차폐 영역, 및 차이들의 절대값을 각각 나타낸다.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보상막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차이들의 절대값은 1.07% 내지 1.68% 사이이다. 광학 보상막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차이들의 절대값의 최소 이용가능 범위는 1%보다 작으며, 본원에서의 측정된 결과는 0.01 % 내지 0.06 % 사이이다.
표 3
Figure pat00004
광학 보상막이 없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광학 보상막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반사도의 데이터
요약하면,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컬러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광학 보상막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가 차폐 영역의 반사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한 설계로, 블랙 전체 효과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 영역과 차폐 영역 사이의 계면이 불투명해지고, 따라서 그러한 설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의 외관을, 백라이트 모듈이 턴오프되었을 때 미화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이의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당히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가 본원에 포함된 실시예들의 설명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의 범위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개시의 구조에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전의 관점에서, 본 개시가 본 개시의 수정들 및 변형들을 이들이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한다면 커버한다는 점이 의도된다.

Claims (11)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부 편광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외부 환경을 향하는 상기 상부 편광기의 측면(side)에 위치된 광학 보상막 - 상기 광학 보상막은 선형 편광기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선형 편광기와 상기 상부 편광기 사이의 축 각도 차이의 절대값이 0도 내지 10도 범위 내인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기와 상기 상부 편광기 사이의 축 각도 차이의 절대값이 0도 내지 5도 범위 내인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차폐 영역(shielding regi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차폐 영역 사이의 컬러 차이가 1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온되지 않았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reflectance)로부터 상기 차폐 영역의 반사도를 감산한 것으로부터 획득된 차이의 절대값이 1%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기의 불투명도(opacity)가 21%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기의 불투명도가 10%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차폐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차폐 영역 사이의 컬러 차이가 1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턴온되지 않았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반사도로부터 상기 차폐 영역의 반사도를 감산한 것으로부터 획득된 차이의 절대값이 1%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기의 불투명도가 21%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편광기의 불투명도가 10%보다 작은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보상막은 리타데이션막(retardation film)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58526A 2021-12-22 2022-05-12 통합된 블랙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957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581473.1A CN116339005A (zh) 2021-12-22 2021-12-22 显示装置
CN202111581473.1 2021-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771A true KR20230095771A (ko) 2023-06-29

Family

ID=8164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526A KR20230095771A (ko) 2021-12-22 2022-05-12 통합된 블랙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02541A1 (ko)
JP (1) JP2023093293A (ko)
KR (1) KR20230095771A (ko)
CN (1) CN116339005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288B1 (ko) * 2016-12-02 202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39005A (zh) 2023-06-27
JP2023093293A (ja) 2023-07-04
EP4202541A1 (en)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6195B2 (en) Mirror with built-in display
CN112602002B (zh) 对于基于平面透镜的ar/vr眼镜的透射改善
JPH05100114A (ja) 積層波長板及び円偏光板
US20030072078A1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polarizing plate
US10437095B2 (en) Continuous optical film laminate, roll of continuous optical film laminate and IP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70183037A1 (en) Mirror with built-in-display
JPH11149015A (ja) 積層波長板、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H0527118A (ja) 位相差板及び円偏光板
JPH1068816A (ja) 位相差板及び円偏光板
EP3730291B1 (en) Protective film and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 protective film
KR101821732B1 (ko)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US113339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030007215A (ko) 원편광판 및 액정 표시장치
JP2000075132A (ja) 散乱型楕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20230095771A (ko) 통합된 블랙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115996A (ko)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JP2021063984A (ja)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20230229039A1 (en) Integrated black display apparatus
TWI795147B (zh) 顯示裝置
KR100294822B1 (ko) 반사형 액정표시소자.
US20120140150A1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474388B2 (en) Display panel and rollable display device
CN216351638U (zh) 电可控偏振光源系统
WO2023189090A1 (ja) 検査方法
KR20230081577A (ko) 통합 터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터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