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459A - 시스템 벽체 - Google Patents

시스템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459A
KR20230095459A KR1020210184953A KR20210184953A KR20230095459A KR 20230095459 A KR20230095459 A KR 20230095459A KR 1020210184953 A KR1020210184953 A KR 1020210184953A KR 20210184953 A KR20210184953 A KR 20210184953A KR 20230095459 A KR20230095459 A KR 20230095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connector
skirt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9169B1 (ko
Inventor
김진
조인환
이해성
김제원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916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8495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916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5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9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한 쌍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및 좌, 우로 한 쌍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이 결합되어 벽체틀을 형성하는 벽체 프레임; 상기 벽체틀의 내부 공간을 채우는 패널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삽입 고정홈을 형성하는 걸레받이 커넥터; 상기 걸레받이 커넥터의 하부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레일; 및 상기 삽입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바닥레일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걸레받이가 부착되는 걸레받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스템 벽체{SYSTEM WALL}
본 발명은 시스템 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조립구조를 가지며, 걸레받이의 결합이 용이한 시스템 벽체에 관한 것이다.
벽체는 건축물, 예를 들어, 학교, 사무실, 전시장, 휴게실, 문화공간, 주거공간 및 작업장 등의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벽체는 블록이나 벽돌을 쌓아 시공하는 습식벽체 공법 또는 칸막이나 패널 등으로 시공하는 건식벽체 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건식벽체는 습식벽체에 비해 설치가 간편하여, 사무실, 병원 등의 실내공간을 요구하는 작업공간으로 간편하게 구획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식벽체의 하부에는 높낮이 조절부가 구비된다. 높낮이 조절부는 벽체부의 상면이 천장에 맞닿을 수 있도록 벽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높낮이 조절부는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벽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벽체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높낮이 조절부로 인해 바닥면과 벽체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먼지 및 이물질 등이 이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바닥면과 벽체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유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시스템 벽체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시스템 벽체에 콘센트, 스위치 등을 설치하여 전기공사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이루어진 시스템 벽체에 대한 연구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92971호(2021.01.0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단순한 조립구조를 가지며, 걸레받이의 결합이 용이한 시스템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한 쌍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및 좌, 우로 한 쌍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이 결합되어 벽체틀을 형성하는 벽체 프레임; 상기 벽체틀의 내부 공간을 채우는 패널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삽입 고정홈을 형성하는 걸레받이 커넥터; 상기 걸레받이 커넥터의 하부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레일; 및 상기 삽입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바닥레일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걸레받이가 부착되는 걸레받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이동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레일에 안착되며, 상기 바닥레일로부터 상기 벽체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전기 배선이 관통하는 제1 배선 타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 내에는 전기 배선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배선레일이 구비되되, 상기 배선레일은 상기 제1 배선 타공홀과 정렬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프레임 바디부; 및 상기 프레임 바디부의 가상의 중앙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 바디부의 하부 양측에 결합된 체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지지부에는 상기 걸레받이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격된 상기 체결 지지부는 체결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 커넥터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삽입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걸레받이 고정부; 및 이격된 상기 걸레받이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지지부의 양측에는 끼움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끼움 결합부는 상기 커넥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 결합부는, 상기 바닥레일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상기 걸레받이가 부착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부착 결합부; 상기 부착 결합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날개부; 및 상기 부착 결합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날개부 또는 제2 날개부는 상기 삽입 고정홈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장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벽체 프레임을 결합하는 벽체 연결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걸레받이 커넥터에는 제2 배선 타공홀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걸레받이 커넥터에 형성된 상기 제2 배선 타공홀은 정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벽체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벽체에 결합이 용이한 걸레받이는 바닥레일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먼지 및 이물질 등이 바닥레일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벽체는 단순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작업이 간편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벽체는 전기작업을 위한 타공홀이 형성되어 있어 전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커넥터와 걸레받이 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레일에 안착된 조절좌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선 타공홀이 형성된 벽체 프레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과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에 결합된 걸레받이 결합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형태로 결합된 벽체 프레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배선 타공홀이 형성된 시스템 벽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벽체(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벽체(1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스템 벽체(1000)는 벽체 프레임(100), 걸레받이 커넥터(200), 바닥레일(300), 걸레받이 결합부(400), 패널부(500) 및 천장레일(600)을 포함할 수 있다.
벽체 프레임(100)은 시스템 벽체(1000)의 뼈대를 이룬다.
벽체 프레임(100)은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및 수직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은 한 쌍을 이루고, 수직 프레임(130)은 좌, 우로 한 쌍을 이룬다. 벽체 프레임(100)은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및 수직 프레임(130)이 고정평철(101)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벽체 프레임(100)은 내부에 패널부(500)가 설치되는 벽체틀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은 수직 프레임(130)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및 수직 프레임(130)은 제조상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프로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120)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하부 프레임(120)은 프레임 바디부(121) 및 체결 지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부(12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 바디부(121)에는 단턱을 이루는 보강라인(123)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라인(123)은 프레임 바디부(121)의 강도를 높이도록 이루어진다.
체결 지지부(122)는 프레임 바디부(12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 지지부(122)는 프레임 바디부(121)의 가상의 중앙 수직선(V)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한 쌍을 이루는 체결 지지부(122)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체결공간(S1)을 형성한다. 그리고 체결 지지부(122)는 고무패킹(20)이 삽입되는 패킹 삽입홈(124)과 걸레받이 커넥터(200)에 구비된 끼움 결합부(221)가 삽입되는 커넥터 결합홈(12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및 수직 프레임(130)은 제조상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프로파일로 형성된 것일 뿐,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에 형성된 패킹 삽입홈(124)에는 고무패킹(20)이 삽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고무패킹(20)은 수직 프레임(130)에 형성된 패킹 삽입홈(124)에 삽입된다. 이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의 연결 시, 고무패킹(20)은 벽체 프레임(100)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막아주어 진동, 소음 및 냄새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130)에 형성된 패킹 삽입홈(124)에 고무패킹(20)이 삽입된 형태는 도 8a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커넥터(20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걸레받이 커넥터(200)는 걸레받이 고정부(210)와 연결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레받이 고정부(210)는 한 쌍을 이루되,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걸레받이 고정부(210)는 걸레받이 결합부(400)에 구비된 제1 날개부(420) 또는 제2 날개부(430)가 삽입되는 삽입 고정홈(211)을 형성한다. 이에, 걸레받이 결합부(400)는 걸레받이 고정부(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걸레받이 고정부(210)는 제1 날개부(420) 또는 제2 날개부(43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삽입 가이드(2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삽입 가이드(212)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 날개부(420) 또는 제2 날개부(430)가 걸레받이 고정부(210)의 내부로 간편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 지지부(220)는 이격 배치된 걸레받이 고정부(210)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 지지부(22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끼움 결합부(221)는 연결 지지부(22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 결합부(221)는 하부 프레임(120)과 걸레받이 커넥터(200)의 결합 시, 커넥터 결합홈(125)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 커넥터(200)와 걸레받이 결합부(400)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로, 걸레받이 커넥터(200)와 걸레받이 결합부(400)의 결합 상태를 도 5a 내지 도 5c로 구분지어 도시하였다.
도 5a 내지 도 5c 참고하면, 걸레받이 결합부(400)는 바닥레일(30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걸레받이(900)를 부착시킨다.
걸레받이 결합부(400)는 부착 결합부(410), 제1 날개부(420) 및 제2 날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결합부(410)는 이격된 제1 날개부(420)와 제2 날개부(430)를 연결하며, 바닥레일(30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걸레받이(900)가 부착되는 지지면을 형성한다. 이에, 인테리어 마감재인 걸레받이(900)는 부착 결합부(410)에 부착되어, 바닥레일(30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의 개방된 공간으로 공기 및 먼지 등이 드나드는 것을 차단한다.
제1 날개부(420)는 부착 결합부(410)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 날개부(430)는 부착 결합부(4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날개부(420) 또는 제2 날개부(430)는 걸레받이 고정부(210)에 형성된 삽입 고정홈(2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날개부(420)와 제2 날개부(430)는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날개부(420)가 제2 날개부(430)보다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제1 날개부(420)가 삽입 고정홈(211)에 삽입된 형태이고, 도 5b는 제2 날개부(430)가 삽입 고정홈(211)에 삽입된 형태이다.
도 5a에서와 같이, 제1 날개부(420)가 삽입 고정홈(211)에 삽입된 경우, 부착 결합부(410)에 결합되는 걸레받이(900)의 외측면은 하부 프레임(120)의 외측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에서와 같이, 제2 날개부(430)가 삽입 고정홈(211)에 삽입된 경우, 부착 결합부(410)에 결합된 걸레받이(900)의 외측면은 하부 프레임(120)의 외측면보다 더 돌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도 5c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걸레받이 고정부(210)에는 도 5a에서와 같이 제1 날개부(420)가 삽입된 형태이고, 도 5c에서 좌측에 위치되는 걸레받이 고정부(210)에는 도 5b에서와 같이 제2 날개부(430)가 삽입된 형태로, 작업자는 삽입 고정홈(211)에 제1 날개부(420) 또는 제2 날개부(430)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걸레받이(900)의 마감 방식을 달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날개부(420) 또는 제2 날개부(430)가 삽입 고정홈(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레받이 결합부(4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날개부는 바닥레일(300)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레일(300)에 안착된 조절좌(700)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바닥레일(300)은 벽체 프레임(100)을 설치하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 바닥레일(300)은 'ㄷ'자 형상을 이루며, 이동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조절좌(700)는 벽체 프레임(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조절좌(700)의 상부는 하부 프레임(120)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져, 풀림과 조임을 통해 벽체 프레임(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좌(700)의 하부는 이동공간(S2)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레일(30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바닥레일(300)에 지지되는 조절좌(70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테두리가 라운드진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조절좌(700)가 원뿔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시공 시, 바닥레일(300)의 어느 위치라도 조절좌(700)를 간편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바닥레일(300)에는 이탈 방지턱(310)이 구비되어, 이동공간(S2) 내에 배치된 조절좌(70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바닥에 결합된 바닥레일(300)과 천장에 결합된 천장레일(600)은 벽체 프레임(100)을 요구되는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천장레일(600)은 상부 프레임(110)에 형성된 체결공간(S1)에 삽입된 상태에서 벽체 프레임(100)의 이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천장레일(600)은 바닥레일(300)과 함께 벽체 프레임(100)이 설치방향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의 (b)에서와 같이, 조절좌 이탈 방지부(320)는 벽체 프레임(100)이 최종 설치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조절좌(7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바닥레일(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배선 타공홀(h1)이 형성된 벽체 프레임(100)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수직 프레임(130)은 전기 배선(10)이 관통하는 제1 배선 타공홀(h1)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벽체(1000)는 종래의 시스템 벽체와 달리, 전기 배선(10)이 바닥면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바닥 청소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물기 등이 전기 배선(10)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패널부(500)는 벽체틀을 형성하는 벽체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채우도록 이루어진다.
패널부(500)는 덮개부(510) 및 제1 보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510)는 벽체 프레임(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가리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덮개부(510)는 예를 들어, 석고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보강부(520)는 벽체 프레임(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이격된 덮개부(510)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덮개부(510)를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보강부(520)는 벽체내부에 충진되는 구조재로써, 덮개부(510)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덮개부(510)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강부(520)는 예를 들어, 벌집 모양의 골판지인 허니컴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허니컴은 종이재질로 된 가벼운 충진재로 벽체 자체의 무게를 줄여 양중 및 시공 시, 작업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배선레일(530)은 벽체 프레임(100)의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이격된 덮개부(510) 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선레일(530)은 패널부(500)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배선레일(530)은 제1 배선 타공홀(h1)을 통해 패널부(500)의 내부로 삽입된 전기 배선(1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배선레일(530)은 제1 보강부(520)의 상면에 안착되되, 수직 프레임(130)에 형성된 제1 배선 타공홀(h1)과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이에, 도 7에서의 우측에 배치된 수직 프레임(130)의 제1 배선 타공홀(h1)을 통해 삽입된 전기 배선(10)은 배선레일(530)을 경유한 후, 좌측에 배치된 수직 프레임(130)의 제1 배선 타공홀(h1)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프레임(130)에 제1 배선 타공홀(h1)이 형성됨에 따라, 전기 배선(10)은 시스템 벽체(10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프레임(130)에 형성된 제1 배선 타공홀(h1)은 수직 프레임(130)의 하단부로부터 330 ~ 370mm 지점에 형성될 수 있고, 직경은 40 ~ 50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선 타공홀(h1)의 위치 및 직경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형태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과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로, 도 8a는 벽체 연결 커넥터(800)에 의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과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8b는 천장레일(600)에 의해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과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벽체 프레임(100)은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벽체 연결 커넥터(800)는 예를 들어,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벽체 프레임(100)을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벽체 연결 커넥터(800)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을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벽체 연결 커넥터(800)의 일측은 수직 프레임(130)에 형성된 체결공간(S1)에 결합되되, 체결공간(S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벽체 연결 커넥터(800)의 타측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30)의 체결공간(S1)에 삽입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은 벽체 연결 커넥터(8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무패킹(20)은 수직 프레임(130)에 형성된 패킹 삽입홈(12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고무패킹(20)은 벽체 프레임(100)의 연결 시, 벽체 프레임(100) 사이의 틈새를 긴밀하게 막아주어, 진동, 소음 및 냄새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8b는 벽체 연결 커넥터(800)를 대신하여 천장레일(600)이 사용된 형태이다. 즉, 천장레일(600)은 수직 프레임(130)에 형성된 체결공간(S1)에 결합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을 결합하는 벽체 연결 커넥터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에 결합된 걸레받이 결합부(400)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레받이 결합부(400)는 이웃하게 배치되는 벽체 프레임(100)의 결합 시, 횡방향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1개의 걸레받이 결합부(400)가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벽체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직 형태로 결합된 벽체 프레임을 보여주는 예시도로, 도 10a는 벽체 연결 커넥터(800)에 의해 수직 형태로 결합된 벽체 프레임(100)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10b는 바닥레일(300)에 의해 수직 형태로 결합된 벽체 프레임(100)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 연결 커넥터(800)의 일측이 복수개의 벽체 프레임(100) 중 어느 하나의 벽체 프레임(100)의 패널부(5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벽체 프레임(100)은 수직한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벽체 프레임(100)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직선 형태로 결합할 수도 있고,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직한 형태로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스템 벽체(1000)는 다양한 형태로 조립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레일(300)은 벽체 연결 커넥터(800)를 대신하여 수직하게 결합되는 벽체 프레임(100)을 결합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500')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500')는 덮개부(510) 및 제2 보강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5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50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내용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배선레일(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강부(540)는 보강판(541) 및 보강 지지바(5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판(541)은 덮개부(51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보강판(541)은 예를 들어, 합판 석고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 지지바(542)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보강판(541)에 결합된다. 이러한 보강 지지바(542)는 예를 들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사각의 스틸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지지바(54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500')의 강도를 높이도록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2 배선 타공홀(h2)이 형성된 시스템 벽체(1000)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및 걸레받이 커넥터(200)에는 제2 배선 타공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선 타공홀(h2)은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및 걸레받이 커넥터(200)에 각각 형성되되, 시스템 벽체(10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및 걸레받이 커넥터(200)에 형성된 제2 배선 타공홀(h2)은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2 배선 타공홀(h2)은 전기작업을 위한 유연한 플라스틱 관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으로, 예를 들어, 천장에서 미리 뽑아놓은 전기작업관(30)은 제2 배선 타공홀(h2)을 통해 시스템 벽체(100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스템 벽체(1000)에 제2 배선 타공홀(h2)이 형성됨에 따라, 시스템 벽체(1000)의 내부로 안내된 전기작업관(30)은 시스템 벽체(1000)의 주변에 배치되는 스위치 및 콘센트 등과의 전기적 연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10)에 형성된 제2 배선 타공홀(h2)을 통해 시스템 벽체(1000)의 내부로 안내된 전기작업관(30)은 하부 프레임(120)과 걸레받이 커넥터(200)에 형성된 제2 배선 타공홀(h2)을 관통한 후, 이웃하게 배치된 시스템 벽체(1000)로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벽체 프레임 110: 상부 프레임
120: 하부 프레임 121: 프레임 바디부
122: 체결 지지부 124: 패킹 삽입홈
125: 커넥터 결합홈 130: 수직 프레임
200: 걸레받이 커넥터 210: 걸레받이 고정부
211: 삽입 고정홈 212: 삽입 가이드
220: 연결 지지부 221: 끼움 결합부
300: 바닥레일 400: 걸레받이 결합부
410: 부착 결합부 420: 제1 날개부
430: 제2 날개부 500, 500': 패널부
510: 덮개부 520: 제1 보강부
530: 배선레일 540: 제2 보강부
600: 천장레일 700: 조절좌
800: 벽체 연결 커넥터 900: 걸레받이
1000: 시스템 벽체

Claims (11)

  1. 한 쌍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및 좌, 우로 한 쌍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이 결합되어 벽체틀을 형성하는 벽체 프레임;
    상기 벽체틀의 내부 공간을 채우는 패널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며, 삽입 고정홈을 형성하는 걸레받이 커넥터;
    상기 걸레받이 커넥터의 하부에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레일; 및
    상기 삽입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바닥레일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걸레받이가 부착되는 걸레받이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인 시스템 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고, 하부는 상기 이동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레일에 안착되며, 상기 바닥레일로부터 상기 벽체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전기 배선이 관통하는 제1 배선 타공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 내에는 전기 배선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배선레일이 구비되되, 상기 배선레일은 상기 제1 배선 타공홀과 정렬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프레임 바디부; 및
    상기 프레임 바디부의 가상의 중앙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상기 프레임 바디부의 하부 양측에 결합된 체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지지부에는 상기 걸레받이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격된 상기 체결 지지부는 체결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 커넥터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삽입 고정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걸레받이 고정부; 및
    이격된 상기 걸레받이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지지부의 양측에는 끼움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끼움 결합부는 상기 커넥터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 결합부는,
    상기 바닥레일과 하부 프레임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차단하는 상기 걸레받이가 부착되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부착 결합부;
    상기 부착 결합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날개부; 및
    상기 부착 결합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날개부 또는 제2 날개부는 상기 삽입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천장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10. 제1 항에 있어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벽체 프레임을 결합하는 벽체 연결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걸레받이 커넥터에는 제2 배선 타공홀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걸레받이 커넥터에 형성된 상기 제2 배선 타공홀은 정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벽체.
KR1020210184953A 2021-12-22 시스템 벽체 KR10267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953A KR102679169B1 (ko) 2021-12-22 시스템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953A KR102679169B1 (ko) 2021-12-22 시스템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459A true KR20230095459A (ko) 2023-06-29
KR102679169B1 KR102679169B1 (ko) 2024-06-28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034A (ja) * 1992-12-24 1994-10-11 Natl House Ind Co Ltd パネルの構造
KR100679933B1 (ko) * 2006-11-15 2007-02-08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립식 걸레받이구조
KR100934933B1 (ko) * 2009-05-07 2010-01-06 광건티앤씨(주) 칸막이 벽체의 티형 연결 조립장치
KR200461304Y1 (ko) * 2009-10-29 2012-07-04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상ㆍ하부 구조
KR200492971Y1 (ko) 2020-07-24 2021-01-11 전상태 높이조절 가능한 인테리어 가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034A (ja) * 1992-12-24 1994-10-11 Natl House Ind Co Ltd パネルの構造
KR100679933B1 (ko) * 2006-11-15 2007-02-08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립식 걸레받이구조
KR100934933B1 (ko) * 2009-05-07 2010-01-06 광건티앤씨(주) 칸막이 벽체의 티형 연결 조립장치
KR200461304Y1 (ko) * 2009-10-29 2012-07-04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경량 칸막이 패널의 상ㆍ하부 구조
KR200492971Y1 (ko) 2020-07-24 2021-01-11 전상태 높이조절 가능한 인테리어 가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3572B1 (en) Multifunctional beam for sub-ceilings, sub-ceiling structure and modular system for customized sub-ceiling structure incorporating such beam
US4881352A (en) Wall panel arrangement
US20060130422A1 (en) Modular buildings
JP2006522885A (ja) 構造的に統合されたアクセス可能な床システム
KR102249951B1 (ko) 건축용 발코니 난간의 핸드레일 고정장치
US20170051505A1 (en) Channel for interior glass panel
JP6006551B2 (ja) 建物
JP6349207B2 (ja) バルコニーの耐火構造
KR20230095459A (ko) 시스템 벽체
KR102679169B1 (ko) 시스템 벽체
JP6288959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20180104364A (ko) 방음터널용 패널파이프 지지장치
JP4460874B2 (ja) 天井装置
EP2031142A1 (en) Modular partition system
JP5347557B2 (ja) 柱梁架構
JP6782144B2 (ja) 野縁固定部材、吊り天井構造及び吊り天井構造の構築方法
JP6535635B2 (ja) 建物の空調設備
JP7028392B2 (ja) 陸屋根の設備設置構造
KR102031114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갖는 천정패널
JP3123701B2 (ja) オフィス構造
KR102616862B1 (ko)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KR102621874B1 (ko) 무달대 천장 시스템
JPH0216218Y2 (ko)
JP2009097255A (ja) 集合住宅
KR102661116B1 (ko) 설치가 간편한 우물천장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