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290A - 창호용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Google Patents
창호용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95290A KR20230095290A KR1020210184621A KR20210184621A KR20230095290A KR 20230095290 A KR20230095290 A KR 20230095290A KR 1020210184621 A KR1020210184621 A KR 1020210184621A KR 20210184621 A KR20210184621 A KR 20210184621A KR 20230095290 A KR20230095290 A KR 202300952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cover
- window frame
- assembly
- decor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25 thermoplas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42 thermoplastic vulcaniz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74 Styrene-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0—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창호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커버 조립체는, 창짝 및 창틀을 포함하는 창호에 마련되어 창호의 색상을 교체하기 위한 창호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창틀에는 제1 조립부가 장착되고, 제1 조립부는, 창틀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장착되는 제1 데코 플레이트 및 창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되, 제1 데코 플레이트를 덮도록 배치되며, 내측면에 창틀 및 제1 데코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하는 결속 부재가 마련된 제1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 커버 조립체는, 창짝 및 창틀을 포함하는 창호에 마련되어 창호의 색상을 교체하기 위한 창호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창틀에는 제1 조립부가 장착되고, 제1 조립부는, 창틀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장착되는 제1 데코 플레이트 및 창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되, 제1 데코 플레이트를 덮도록 배치되며, 내측면에 창틀 및 제1 데코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하는 결속 부재가 마련된 제1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창호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창호의 색상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창호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창호는 건물 건축 시 최초에 선택된 단일 색상의 창틀 또는 창짝을 제작하여 시공한다. 이에 따라, 건축시 시공된 창틀 및 창짝은 교체하기 전까지 동일 색상으로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어서, 방의 분위기나 계절에 따른 변화를 주기 어렵다.
만약, 창호를 방 분위기나 계절 변화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변화시키 위해서는 창호전체를 뜯어낸 후 재시공하여야 한다. 이때, 창호를 교체하는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호 표면에 필름지를 부착하여 창호의 색상을 변경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창호에 필름을 부착하는 방식은 미숙련자가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작업을 하고 난 이후의 결과물이 미관을 해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문 필름 시공자를 고용하여 창호에 필름지를 부착하여 창호의 색상을 변경하고 있다. 참고로, 전문 필름 시공자를 고용하는 경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필름지를 창호 표면에 부착하게 되면 창호 표면이 긁히는 등 손상이 발생되어 내구성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창호에 색상 변경을 위한 착탈형 부자재를 이용하는 기술들도 많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착탈형 부자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교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전문 시공자를 고용하여 창호를 탈착하여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창호의 색상을 교체하는 데에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므로,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창호의 색상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창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 창호 커버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색상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창호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색상 변경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창호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짝 및 창틀을 포함하는 창호에 마련되어 창호의 색상을 교체하기 위한 창호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창틀에는 제1 조립부가 장착되고, 제1 조립부는, 창틀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장착되는 제1 데코 플레이트 및 창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되, 제1 데코 플레이트를 덮도록 배치되며, 내측면에 창틀 및 제1 데코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하는 결속 부재가 마련된 제1 커버를 포함하는, 창호 커버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커버는, 내측 일면에 대해 움푹 패여진 함몰부가 형성되고, 함몰부에는 결속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결속 부재는 제1 커버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커버에는, 제1 커버가 창틀에 일면에 대해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 체결부가 추가로 마련되고, 제1 커버는 결합수단이 제1 체결부 및 제1 데코 플레이트를 차례로 관통하여 창틀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부는, 2개의 창틀 프레임이 결합되어 형성된 결합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에는, 2개의 창틀 프레임에 걸쳐서 장착되며, 창틀의 내측 모서리의 형상에 대응되는 코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창짝에는 제2 조립부가 장착되고, 제2 조립부는, 창짝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마련되는 제2 데코 플레이트 및 제2 데코 플레이트와 창짝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창틀에 장착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코 플레이트에는 제2 커버가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는, 제2 데코 플레이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부의 돌기는 제2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부의 돌기와 대응되도록 마련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의 돌기는 제2 데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제2 커버의 결합홈은 제2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커버에는, 제2 커버의 일면을 관통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제2 커버는 결합수단이 제2 체결부를 관통하여 창짝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는 제2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데코 플레이트에는, 제2 데코 플레이트의 최상단부에 형성되며, 제2 데코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되 창짝이 위치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가 마련되고, 절곡부는 창짝의 모서리에 의해 얹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틀, 창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짝 및 창틀 또는 창짝에 마련되어 창호의 색상을 교체하기 위한 창호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고, 창호 커버 조립체는, 창틀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장착되는 제1 데코 플레이트 및 창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되, 제1 데코 플레이트를 덮도록 배치되며, 내측면에 창틀 및 제1 데코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하는 결속 부재가 마련된 제1 커버를 갖는 제1 조립부를 갖는 제1 조립부를 포함하는, 창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창틀, 창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짝 및 창틀 또는 창짝에 마련되어 창호의 색상을 교체하기 위한 창호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고, 창호 커버 조립체는, 창짝의 일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제2 데코 플레이트와, 제2 데코 플레이트의 측면과 창짝의 바닥면을 감싸도록 창짝과 결합되는 제2 커버를 갖는 제2 조립부를 포함하는, 창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는, 조립부를 창호에 장착함으로써 창호의 색상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조립부를 창호에 설치하더라도 창틀이나 창짝의 틈새 벌어짐이 없기 때문에 창호에 발생되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는, 조립부를 창호에 간단히 장착하여 창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창호의 색상 변경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는, 사용자가 조립부를 이용하여 창호에 장착하기가 용이하므로 직접 조립하여 창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고, 창호의 형상을 바꾸지 않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창호용 커버 조립체가 장착된 창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창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결속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창틀에 장착된 제1 조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창짝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창짝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창짝에 장착된 제2 조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창틀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결속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창틀에 장착된 제1 조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창짝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창짝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창짝에 장착된 제2 조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커버 조립체(100)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10)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10)는 창틀(12), 창틀(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짝(14), 창틀(12) 또는 창틀(12)에 마련되어 창호(10)의 색상을 교체하기 위한 창호 커버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창호(10)에 부착되는 창호 커버 조립체(100)는 제1 조립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창호 커버 조립체(100)는 제2 조립부(12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창호 커버 조립체(100)의 제1 조립부(1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조립부(110)는 창틀(12)에 장착되어 창틀(12)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조립부(110)는 제1 데코 플레이트(111)와 제1 마감커버(113)를 포함한다.
제1 데코 플레이트(111)는 창틀(12)의 일면을 덮도록 장착된다.
제1 데코 플레이트(111)는 창틀(12)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어 창틀(12)의 일면을 커버한다.
여기서, 제1 데코 플레이트(111)는 교환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변경하거나 필름지 등을 씌운 후에 창틀(12)에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데코 플레이트(111)는 PVC 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 사출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데코 플레이트(111)는 이러한 재질을 이용하여 압출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마감커버(113)는 창틀(12)의 코너 영역을 커버한다.
이러한, 제1 마감커버(113)는 창틀(12)의 일면을 덮도록 마련된 제1 데코 플레이트(111)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제1 마감커버(113)의 내측면에는 함몰부(114)가 형성된다.
함몰부(114)는 제1 마감커버(113)의 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움푹 패여진 형태를 갖는다.
이때, 함몰부(114)에는 결속 부재(114a)가 마련된다.
결속 부재(114a)는 창틀(12)의 일면 및 제1 데코 플레이트(111)와 각각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특히, 결속 부재(114a)는 창틀(12)의 일면 및 제1 데코 플레이트(111)와 제1 마감커버(113)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이를 위해, 결속 부재(114a)는 제1 마감커버(113)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마감커버(113)는 제1 데코 플레이트(111)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결속 부재(114a)는 제1 마감커버(113) 및 제1 데코 플레이트(111)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결속 부재(114a)는 제1 마감커버(113)가 창틀(12) 및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대해 부착된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창틀(12) 및 제1 데코 플레이트(111)와 제1 마감커버(113)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결속 부재(114a)는 제1 마감커버(113)와 창틀(12) 및 제1 데코 플레이트(111)와의 마찰력이 높여서 결속할 수 있는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천연고무, 합성고무(SBR; Styrene Butadiene Rubber), 실리콘(Sillico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TPE(Thermo Plastic Elastomer), TPV(Thermo Plastic Vulcanizat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마감커버(113)에는 결속 부재(114a)가 별도로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마감커버(113)에는 접착제 등과 같이 부착력(접착력)을 가지는 소재를 일면에 도포하여 창틀(12) 및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마감커버(113)의 함몰부(114)의 함몰 깊이는 함몰부(114)에 부착되는 결속 부재(114a)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약, 결속 부재(114a)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 함몰부(114)에 결속 부재(114a)가 부착된 상태에서 창틀(12)의 모서리부에 위치되면 결속 부재(114a)가 부착된 부분은 제1 데코 플레이트(111) 및 창틀(12)의 일면과 접촉되지만 결속 부재(114a)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은 제1 데코 플레이트(111) 및 창틀(12)의 일면과 접촉되지 않고 그 사이가 벌어져서 틈새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틈새로 먼지가 유입되거나 물이 스며들 수도 있으므로 그에 따라 창호(10)에 손상을 입혀서 결국은 창호(10)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1 마감커버(113)는 창틀(12)의 모서리 영역에 볼팅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마감커버(113)에는 제1 체결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115)는 홀(hole)의 형태로, 제1 마감커버(113)에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체결부(115)에는 볼트(bolt)와 같은 결합수단(미도시)가 체결되어 제1 마감커버(113)를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대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결국 제1 데코 플레이트(111) 및 창틀(12)에 대해 그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제1 마감커버(113)는 결합수단이 제1 체결부(115) 및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차례로 관통되어 창틀(12)과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결합 수단이 관통될 수 있는 별도의 홀(hole)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제1 마감커버(113)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형성된 홀과 제1 마감커버(113)에 형성된 제1 체결부(115)의 위치가 달라짐에 따른 조립 공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결합 수단이 관통될 수 있도록 별도의 홀을 형성하는 것 보다는, 결합 수단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제1 데코 플레이트(111)를 관통시켜 제1 마감 커버(113)와 함께 창틀(12)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마감커버(113)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115)는 제1 마감커버(113)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창틀(12)은 4개의 창틀 프레임이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인접한 2개의 창틀 프레임의 사이에는 용접 결합 방식에 의해 약 45도 각도를 갖는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참고로, 창틀 프레임의 각 단부는 약 45도 절단각도로 절단되어 서로 인접한 창틀 프레임 사이를 용접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부가 45도의 각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때, 제1 체결부(115)가 제1 마감커버(113)에 형성될 때, 제1 체결부(115)는 결합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1 체결부(115)가 결합부의 위치에 형성되면 결합수단에 의해 2개의 창틀 프레임의 결합부에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서로 인접한 2개의 창틀 프레임 사이가 벌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제1 마감커버(113)는 창틀(12)에 대해 접착제 등을 통한 접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마감커버(113)에 제1 체결부(115)와 같은 홀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제1 마감커버(113)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제1 마감커버(113)가 제1 데코 플레이트(111) 및 창틀(12)과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한번 설치된 창호(10)는 꽤 오랜시간 동안 교체없이 사용되므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마감커버(113)를 창틀(12)과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부착시키는 것 보다는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제1 데코 플레이트(111)와 결합되도록 하여 창틀(12)의 모서리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마감커버(113)에는 코너부(116)가 형성된다.
제1 마감커버(113)는 창틀(12)의 측부면과 하부면에 걸쳐서 장착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마감커버(113)는 2개의 창틀 프레임에 걸쳐서 장착되며, 2개의 창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창틀(12)의 내측 모서리의 형상에 대응되는 대응되는 코너부(116)가 형성된다.
코너부(116)는 2개의 창틀 프레임이 연결된 창틀(12)의 내측 모서리 부분의 형태와 동일하도록 90도로 꺽인 절곡면의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 마감커버(113)가 창틀(12)의 코너에 위치되더라도 창틀(12)의 내측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게 된다.
참고로, 제1 마감커버(113)는 PVC 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함몰부(114), 제1 체결부(115) 및 코너부(116)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이 제1 마감커버(113)에 한번에 형성됨으로써, 제1 마감커버(113)의 가공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창호 커버 조립체(100)의 제1 조립부(110)를 창짝(14)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제1 데코 플레이트(111)를 창틀(12)의 일면에 위치시킨다.
그 다음, 제1 마감커버(113)를 창틀(12)의 모서리 영역에 위치시키고,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제1 데코 플레이트(111)에 대하여 제1 마감커버(113)를 고정시킨다.
이때, 제1 마감커버(113)는 코너부(116)를 이용하여 위치를 잡은 다음, 볼트 등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창틀(12)에 대해 제1 데코 플레이트(111) 및 제1 마감커버(113)가 고정되도록 한다.
특히, 결합 수단은 제1 마감커버(113)의 제1 체결부(115)를 관통한 이후에 제1 데코 플레이트(111)를 관통하고, 최종적으로 창틀(12)에 결합되게 된다.
참고로, 결합 수단의 볼팅 부위는 별도의 원형 모양의 커버(cover)를 삽입하여 외부에서 결합 수단이 보이지 않도록 마감된다.
이하, 도 1,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창호 커버 조립체(100)의 제2 조립부(1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 조립부(120)는 창짝(14)에 장착되어 창짝(14)의 색상을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조립부(120)는 제2 데코 플레이트(121)와 제2 마감커버(123)를 포함한다.
제2 데코 플레이트(121)는 창짝(14)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장착된다.
제2 데코 플레이트(121)는 교환하고자 하는 색상으로 변경하거나 필름지 등을 씌운 후에 창짝(1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창짝(14)은 4개의 창짝 프레임이 용접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인접한 2개의 창짝 프레임의 사이에는 용접 결합 방식에 의해 약 45도 각도를 갖는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참고로, 창짝 프레임의 각 단부는 약 45도 절단각도로 절단되어 서로 인접한 창짝 프레임 사이를 용접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부가 45도의 각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여기서, 하나의 제2 데코 플레이트(121)는 4개의 창짝 프레임 중에서 하나의 장착 프레임 만을 덮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데코 플레이트(121)에는 절곡부(125)가 형성된다.
절곡부(125)는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최상단부에 형성되며, 제2 데코 플레이트(121)에서 연장되되 창짝(14)이 위치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125)는 창짝(14)의 내측 모서리에 얹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데코 플레이트(121)는 절곡부(125)에 의해 창짝(14)의 일면에 대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제2 마감커버(123)는 제2 데코 플레이트(121)와 창짝(14)의 일측면을 커버한다.
다시 말해서, 제2 마감커버(123)는 두 부재 사이가 90도의 각도를 갖는 수직한 형태로 마련되어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일부 영역과 창짝(14)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한편, 제2 마감커버(123)는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일부 영역과 접촉된 상태로 제2 데코 플레이트(121)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데코 플레이트(121)에는 장착부(122)가 형성된다.
장착부(122)는 제2 데코 플레이트(121)에 제2 마감커버(123)가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장착부(122)는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착부(122)의 돌기(122a)는 제2 마감커버(123)의 내측면에 장착부(122)의 돌기(122a)와 대응되도록 마련된 결합홈(124)에 삽입 지지된다.
즉, 장착부(122)의 돌기(122a)는 창짝(14)의 위치와는 반대 방향 또는 제2 마감커버(123)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장착부(122)의 돌기(122a)는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다. 이때, 장착부의 돌기(122a)는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마감커버(123)의 결합홈(124)은 제2 마감커버(123)의 일면에 대해 내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참고로, 결합홈(124)의 크기 및 형태는 돌기(122a)의 크기 및 그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마감커버(123)의 결합홈(124)은 제2 마감커버(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2 마감커버(123)의 결합홈(124)은 제2 마감커버(123)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데코 플레이트(121)와 제2 마감커버(123)는 돌기(122a) 및 결합홈(124)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서 결합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 데코 플레이트(121)에는 돌기 형상의 장착부(122)가 형성되지 않고,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즉,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장착부(122)가 접착제 등과 같이 부착력(접착력)을 가지는 소재가 일면에 도포된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데코 플레이트(121)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장착부(122)에 의해 제2 마감커버(123)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접착제가 도포된 장착부(123)는 제2 마감커버(123)와 접촉되는 하부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접착제가 도포된 장착부(123)가 형성되면, 제2 마감커버(123)에 결합홈(124)도 형성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제2 마감커버(123)는 창짝(14)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로 마련되어 창짝(14)의 일측면, 즉 창짝(14)의 측면의 외측 모서리를 커버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마감커버(123)에는 제2 체결부(126)가 형성된다.
제2 체결부(126)는 홀(hole)의 형태로서, 제2 마감커버(123)에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체결부(126)는 제2 마감커버(123) 및 제2 데코 플레이트(121)가 결합홈(124)과 돌기(122a)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마감커버(123)의 단부가 창짝(14)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2 체결부(126)는 제2 마감커버(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마감커버(123)는 볼트(bolt)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창짝(14)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제2 마감커버(123)는 결합수단이 제2 체결부(126)를 관통하여 창짝(14)과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결합수단은 창짝(14)의 바닥면에서 제2 체결부(126)를 관통하여 제2 마감커버(123)가 창짝(14)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제2 마감커버(123)의 일측은 결합홈(124)에 제2 데코 플레이트(121)의 돌기(122a)가 걸림으로써 고정되고, 제2 마감커버(123)의 타측은 결합수단에 의해 창짝(14)과 결합됨으로써 고정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창호 커버 조립체(100)의 제2 조립부(120)를 창짝(14)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제2 마감커버(123)를 창짝(14)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2 마감커버(123)의 측부는 창짝(14)의 측부와 대략 3mm 정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창짝(14)의 바닥부와 결합된다.
제2 마감커버(123)의 측부를 창짝(14)의 측부와 3m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창짝(14)과 결합되는 것은 창짝(14)에 위치되는 제2 데코 플레이트(121)를 위한 것이다.
그 다음, 창짝(14)에 제2 데코 플레이트(121)를 위치시킨다.
이때, 제2 데코 플레이트(121)는 절곡부(125)가 창짝(14)의 내측 모서리에 제2 마감커버(123)의 측부와 창짝(14)의 측부 사이의 공간에 인입되어 위치된다.
참고로, 제2 데코 플레이트(121)와 제2 마감커버(123)는 장착부(122)의 돌기(122a)와 결합홈(124)에 의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 커버 조립체(100)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10)는, 조립부를 창호에 장착함으로써 창호의 색상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조립부를 창호에 설치하더라도 창틀이나 창짝의 틈새 벌어짐이 없기 때문에 창호에 발생되는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 커버 조립체(100)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10)는, 조립부를 창호에 간단히 장착하여 창호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창호의 색상 변경을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창호
12: 창틀 14: 창짝
100: 창호 커버 조립체
110: 제1 조립부 111: 제1 데코 플레이트
113: 제1 커버 114: 함몰부
114a: 결속 부재 115: 제1 체결부
116: 코너부 120: 제2 조립부
121: 제2 데코 플레이트 122: 장착부
122a: 돌기 123: 제2 커버
124: 결합홈 125: 절곡부
126: 제2 체결부
12: 창틀 14: 창짝
100: 창호 커버 조립체
110: 제1 조립부 111: 제1 데코 플레이트
113: 제1 커버 114: 함몰부
114a: 결속 부재 115: 제1 체결부
116: 코너부 120: 제2 조립부
121: 제2 데코 플레이트 122: 장착부
122a: 돌기 123: 제2 커버
124: 결합홈 125: 절곡부
126: 제2 체결부
Claims (15)
- 창짝 및 창틀을 포함하는 창호에 마련되어 창호의 색상을 교체하기 위한 창호 커버 조립체에 있어서,
창틀에는 제1 조립부가 장착되고,
제1 조립부는,
창틀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장착되는 제1 데코 플레이트; 및
창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되, 제1 데코 플레이트를 덮도록 배치되며, 내측면에 창틀 및 제1 데코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하는 결속 부재가 마련된 제1 커버를 포함하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버는,
내측 일면에 대해 움푹 패여진 함몰부가 형성되고,
함몰부에는 결속 부재가 배치되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결속 부재는 제1 커버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되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버에는,
제1 커버가 창틀에 일면에 대해 고정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 체결부가 추가로 마련되고,
제1 커버는 결합수단이 제1 체결부 및 제1 데코 플레이트를 차례로 관통하여 창틀에 고정되도록 하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제1 체결부는,
2개의 창틀 프레임이 결합되어 형성된 결합부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되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제1 커버에는,
2개의 창틀 프레임에 걸쳐서 장착되며, 창틀의 내측 모서리의 형상에 대응되는 코너부가 형성되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창짝에는 제2 조립부가 장착되고,
제2 조립부는,
창짝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마련되는 제2 데코 플레이트; 및
제2 데코 플레이트와 창짝의 일측면을 감싸도록 창짝에 장착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제2 데코 플레이트에는 제2 커버가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되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장착부는,
제2 데코 플레이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부의 돌기는 제2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부의 돌기와 대응되도록 마련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마련된, 창호 커버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장착부의 돌기는 제2 데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제2 커버의 결합홈은 제2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제10항에 있어서,
제2 커버에는,
제2 커버의 일면을 관통하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제2 커버는 결합수단이 제2 체결부를 관통하여 창짝과 결합되도록 마련된, 창호 커버 조립체.
- 제11항에 있어서,
제2 체결부는 제2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된, 창호 커버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제2 데코 플레이트에는,
제2 데코 플레이트의 최상단부에 형성되며, 제2 데코 플레이트에서 연장되되 창짝이 위치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가 마련되고,
절곡부는 창짝의 모서리에 의해 얹혀지는, 창호 커버 조립체.
- 창틀;
창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짝; 및
창틀 또는 창짝에 마련되어 창호의 색상을 교체하기 위한 창호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고,
창호 커버 조립체는,
창틀의 일부 영역을 덮도록 장착되는 제1 데코 플레이트 및 창틀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되되, 제1 데코 플레이트를 덮도록 배치되며, 내측면에 창틀 및 제1 데코 플레이트와 각각 접촉하는 결속 부재가 마련된 제1 커버를 갖는 제1 조립부를 포함하는, 창호.
- 창틀;
창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짝; 및
창틀 또는 창짝에 마련되어 창호의 색상을 교체하기 위한 창호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고,
창호 커버 조립체는,
창짝의 일면을 덮도록 마련되는 제2 데코 플레이트와, 제2 데코 플레이트의 측면과 창짝의 바닥면을 감싸도록 창짝과 결합되는 제2 커버를 갖는 제2 조립부를 포함하는, 창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4621A KR20230095290A (ko) | 2021-12-22 | 2021-12-22 | 창호용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4621A KR20230095290A (ko) | 2021-12-22 | 2021-12-22 | 창호용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95290A true KR20230095290A (ko) | 2023-06-29 |
Family
ID=8694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4621A KR20230095290A (ko) | 2021-12-22 | 2021-12-22 | 창호용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9529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553Y1 (ko) | 2003-10-08 | 2004-02-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양한 외부색상 연출이 가능한 합성수지 창호 |
-
2021
- 2021-12-22 KR KR1020210184621A patent/KR20230095290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553Y1 (ko) | 2003-10-08 | 2004-02-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양한 외부색상 연출이 가능한 합성수지 창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88462B1 (en) | A pane module for use in a window | |
KR100892694B1 (ko) | 차량용 도어 프레임 | |
AU2007313070B2 (en) | Barrier assembly for building openings | |
US5430981A (en) | Device for installing decorative panels in front of existing window panes | |
JP2016169502A (ja) | 止水部材及び外壁構造 | |
EP3252249A1 (en) | A roof window refurbishment system and method for refurbishing a roof window | |
EP1471203A2 (en) | Frame for casings, doors or windows and the like, particularly for outdoor use | |
KR20230095290A (ko) | 창호용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 |
EP2105566B1 (en) | Window assembly with a cover panel assembly to cover window opening | |
WO2016027605A1 (ja) | 自動車用バックドア構造 | |
US9945131B2 (en) | Slidable snap-in trim system | |
US7877951B2 (en) | Caulk free window trim | |
GB2565255A (en) | Seal element, assembly, and method | |
US10125532B2 (en) | Replacement window jamb extender | |
US5003738A (en) | Article and method of improving exterior building appearance | |
RU176748U1 (ru) | Конструкция деревянного оконного и балконного блока | |
JP2006257773A (ja) | 採光パネル | |
EP1929911B1 (en) | Section bar for shower box, sauna box and the like, door frame comprising said section 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section bar | |
KR20140004502U (ko) | 창호용 방풍부재 | |
KR200397838Y1 (ko) | 창문유리 실리콘 오염방지캡 | |
CA2643557C (en) | Window cladding | |
US10641033B2 (en) | Sash for doors or windows and door or window obtained with the sash | |
JP5000953B2 (ja) | 開口部周り構造、開口部周り施工方法および開口部周り化粧部材 | |
JP6108692B2 (ja) | 内窓の取付構造 | |
CN201915754U (zh) | 一种板式自由组合门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