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146A - 폐기물 저장 설비 - Google Patents

폐기물 저장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146A
KR20230095146A KR1020210183611A KR20210183611A KR20230095146A KR 20230095146 A KR20230095146 A KR 20230095146A KR 1020210183611 A KR1020210183611 A KR 1020210183611A KR 20210183611 A KR20210183611 A KR 20210183611A KR 20230095146 A KR20230095146 A KR 2023009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torage tank
tank
disposed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웅
조재석
김민정
정우진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5146A/ko
Publication of KR2023009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09B1/006Shafts or wells in waste d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물 저장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이 반입되는 폐기물 반입장; 상기 폐기물 반입장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폐기물이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조; 및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폐기물이 처리되는 폐기물 처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조는, 상기 폐기물 반입장에서 반입되는 상기 폐기물이 저장되고, 지표면에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터파기된 제1 저장조; 및 상기 제1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이 이송되어 저장되고, 지표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저장조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는 상기 제2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처리조로 이송시키는 제1 크레인 장치가 설치된,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폐기물 저장 설비{WASTE STORAGE INSTALLATION}
본 발명은 폐기물 저장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생활 폐기물을 저장하고 처리하는 설비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폐기물 저장 설비에 대한 발명이다.
최근 폐자원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확보하고자 하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유럽이나 미국 등과 더불어 국내에서도 원자력발전소 및 화력발전소를 중단하거나 감소하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자원을 재활용하는 방안 중 하나로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가연성 쓰레기와 토사 및 골재 등의 건설 폐기물을 선별하여 재활용이 불가능한 쓰레기를 소각하거나 매립하여 처리함으로써, 쓰레기 처리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생활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설에서, 폐기물 반입장을 통해 반입된 폐기물을 폐기물 저장조에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폐기물 저장조에 저장된 폐기물을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폐기물 처리를 위한 폐기물 처리조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폐기물 저장조는 폐기물이 대량으로 저장될 수 있게 폐기물 반입장에 비해 소정의 깊이로 터파기될 필요가 있다. 폐기물 반입장은 폐기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차량이 진입되도록 지표면 상에 배치되는데, 폐기물 저장조는 지표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터파기된다. 이렇게 폐기물 저장조에 터파기되는 정도는 약 12m 내지 15m의 깊이로 터파기될 수 있다.
이렇게 폐기물 저장조가 소정의 깊이로 터파기될 때 폐기물이 지표면보다 상부로 올라오지 않도록 크레인 장치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폐기물 저장조에서 폐기물 처리조로 이송시켜야 한다. 폐기물 처리조의 처리 장치는 지표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배치됨에 따라 폐기물 저장조는 지표면에서 폐기물 처리조의 처리 장치의 높이까지 비어있는 공간으로 발생한다.
이렇게 폐기물 저장조에 발생된 빈 공간은 크레인 장치가 동작되는 공간으로만 활용되어 공간 활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폐기물 저장조에 더 많은 폐기물을 저장하고자 하려면, 폐기물 저장조에 터파기 깊이가 더 깊어져야 하는데, 터파기 공사의 경우 토질의 성상에 따라 터파기 난이도가 상이하여 폐기물 저장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2509호 (2020.10.2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폐기물 저장 설비에서 폐기물 저장조에 폐기물을 저장할 때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폐기물 저장 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폐기물이 반입되는 폐기물 반입장; 상기 폐기물 반입장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폐기물이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조; 및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폐기물이 처리되는 폐기물 처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조는, 상기 폐기물 반입장에서 반입되는 상기 폐기물이 저장되고, 지표면에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터파기된 제1 저장조; 및 상기 제1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이 이송되어 저장되고, 지표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저장조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는 상기 제2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처리조로 이송시키는 제1 크레인 장치가 설치된,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저장조는, 상기 제1 저장조 및 상기 제2 저장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저장조 및 상기 제2 저장조를 분리하는 분리벽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크레인 장치는, 상기 제1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을 상기 제2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는, 상기 제1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2 크레인 장치를 더 설치되는,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저장조는, 상기 분리벽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크레인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폐기물이 상기 제2 저장조로 이송되기 위해 상기 제2 저장조를 향해 하향 경사진 덤핑 슈트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는, 상기 폐기물이 제2 저장조(220)로 이송되도록 상기 폐기물을 적재한 차량을 승하강하는 반입 장치가 설치된,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입 장치는 상기 제1 저장조에 설치된,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이 적재될 수 있는 승하강기; 및 상기 분리벽에 설치되는 상기 승하강기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기는 상기 차량이 상기 폐기물 반입장과 상기 승하강기를 오가도록 상기 이송기에 의해 하강된 하강상태에 놓이거나, 상기 차량에 적재된 상기 폐기물이 제2 저장조로 방출되도록 상기 이송기에 의해 상승된 상승상태에 놓이는,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기가 상승상태일 때, 상기 승하강기의 상면은 상기 분리벽의 상단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폐기물 저장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폐기물 저장조를 제1 저장조와 제2 저장조로 분리하고, 제1 저장조를 일시적으로 폐기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제2 저장조의 높이를 지표면보다 높게 설치함으로써, 폐기물 저장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조는 지표면 상에 배치시키고, 제1 저장조에만 터파기를 함으로써, 폐기물 저장조 전체가 아닌 일부만 터파기하여 터파기 공사에 대한 공기 및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터파기 및 구조물 최소 설치에 따라 안정성이 더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10)는, 폐기물 반입장(100), 폐기물 저장조(200) 및 폐기물 처리조(300)를 포함한다.
폐기물 반입장(100)은 차량 등에 의해 폐기물이 폐기물 저장 설비(10) 내에 반입되기 위한 공간이다. 이러한 폐기물 반입장(100)은 폐기물 저장조(200)와 분리된 공간으로 배치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이 있는 실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폐기물 반입장(100)은 실외에 배치될 수도 있다.
폐기물 반입장(100)과 폐기물 저장조(200) 사이에 반입 도어(110)가 배치될 수 있다. 반입 도어(110)는 차량 등에 의해 폐기물이 폐기물 반입장(100)에 이송되어 폐기물 저장조(200)에 폐기물이 이송될 때 개방되며, 그 이외에 폐쇄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반입 도어(110)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개폐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폐기물 저장조(200)는 폐기물이 폐기물 처리조(300)로 이송되기 위해 일시적으로 폐기물을 저장한다. 폐기물 저장조(200)는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 및 분리벽(230)을 포함하고, 제1 크레인 장치(2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저장조(210)는 폐기물 반입장(100)에서 폐기물이 반입되는 공간이며, 소정의 너비와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저장조(210)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지표면에서 터파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장조(210)는 약 3.5m의 깊이를 가지도록 터파기될 수 있다.
제1 저장조(210)는 종래에 비해 터파기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를 가질 수 있으며, 폐기물 저장조(200) 전체가 아닌 일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저장조(210)는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터파기된 공간이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조(210)의 바닥면은 제2 저장조(220)의 바닥면과 폐기물 반입장(100)의 바닥변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저장조(210)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저장조(220)의 좌우방향으로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2 저장조(200)에서 폐기물 반입장(100)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일 수 있다.
제2 저장조(220)는 제1 저장조(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지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저장조(220)는 제1 저장조(210)에 반입된 폐기물이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저장조(220)는 지표면 상에 배치되고 지표면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폐기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분리벽(230)으로 둘러싸인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2 저장조(220)의 바닥면은 폐기물 반입장(100)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저장조(220)는 폐기물이 소정의 높이까지 쌓이도록 폐기물을 저장할 수 있어, 폐기물 저장조(200)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분리벽(230)은 제2 저장조(2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분리벽(230)은 제1 저장조(210)와 제2 저장조(22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벽(230)은 지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저장조(220)에 폐기물이 소정의 높이까지 저장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크레인 장치(240)는 폐기물 저장조(200) 내에 배치되고, 폐기물을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크레인 장치(240)는, 제1 저장조(210)에서 제2 저장조(220)로 폐기물을 이송시킬 수 있고, 또한, 제2 저장조(220)에서 폐기물 처리조(300)로 폐기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1 크레인 장치(240)는 제1 거더(242), 제1 너클 크레인(244) 및 제1 크레인 와이어(246)를 포함한다.
제1 거더(242)는 폐기물 저장조(200)의 천정에 인접한 위치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제1 너클 크레인(244)이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거더(242)는 제1 너클 크레인(244)이 이동될 수 있는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거더(242)는 제1 너클 크레인(244)이 제1 저장조(210), 제2 저장조(220) 및 폐기물 처리조(300)의 처리 장치(31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폐기물 저장조(2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너클 크레인(244)은 폐기물을 집어 이송할 수 있으며, 제1 저장조(210)에 저장된 폐기물을 제2 저장조(220)로 이송시키고, 제2 저장조(220)에 저장된 폐기물을 폐기물 처리조(300)의 처리 장치(310)로 이송시킨다.
제1 크레인 와이어(246)는 제1 너클 크레인(244)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제1 크레인 와이어(246)는 제1 저장조(210)에 지표면 보다 아래에 저장된 폐기물까지 제1 너클 크레인(244)이 이동되도록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폐기물 처리조(300)는 폐기물 저장조(20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폐기물 처리조(300)의 일부가 폐기물 저장조(200)에 노출될 수 있다. 폐기물 처리조(300)는 폐기물 저장조(200)에서 이송된 폐기물을 소각하거나 선별하는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렇게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 장치(310)가 배치될 수 있다.
처리 장치(310)는,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폐기물 처리조(300) 내에 배치되고, 처리 장치(310)의 상단은 폐기물 저장조(200)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 저장조(200)에 배치된 제1 크레인 장치(240)가 구동되어 폐기물은 제2 저장조(220)에서 처리 장치(310)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10)는, 폐기물 저장조(200)에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가 배치되고,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가 분리벽(230)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크레인 장치(240)가 구동되어 제1 저장조(210)에 저장된 폐기물을 제2 저장조(220)로 이송시키고, 또한, 제2 저장조(220)에 저장된 폐기물을 폐기물 처리조(3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렇게 폐기물을 지표면에서 소정의 높이까지 저장할 수 있도록 제2 저장조(220)가 배치됨에 따라 폐기물 저장조(20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표면보다 하부 방향으로 터파기가 이루어지는 제1 저장조(210)가 배치됨에 따라 폐기물 저장조(200) 전체가 아닌 제1 저장조(210)만 터파기가 이루어짐에 따라 터파기를 위한 공기가 단축될 수 있으며, 또한, 폐기물 저장 설비(10)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10)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이용하며,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10)는, 폐기물 반입장(100), 폐기물 저장조(200) 및 폐기물 처리조(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폐기물 저장조(200)는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 분리벽(230) 및 분리부(250)를 포함하고, 제1 크레인 장치(240) 및 제2 크레인 장치(260)가 설치될 수 있다.
폐기물 저장조(200)는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치되고,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 사이에 분리벽(230)이 설치된다.
분리부(250)는 분리벽(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벽(252), 하부벽(254) 및 덤핑 슈트(dumping chute, 256)를 포함한다.
상부벽(252) 및 하부벽(254)은 분리벽(23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의 상부 공간을 분리한다. 따라서 제2 저장조(220)에는 폐기물이 분리벽(230)의 높이보다 상부 공간까지 저장될 수 있다.
덤핑 슈트(256)는 상부벽(252) 및 하부벽(254)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저장조(220)를 향해 하방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덤핑 슈트(256)의 상면에 폐기물이 배치되는 경우 폐기물이 제2 저장조(22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덤핑 슈트(256)는 상부벽(252) 및 하부벽(254) 사이에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지만, 상부벽(252) 및 하부벽(254)이 하나의 구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중간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크레인 장치(240)는 제2 저장조(220)에 저장된 폐기물을 폐기물 처리조(300)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제1 크레인 장치(240)의 제1 거더(242)는 폐기물 저장조(200)의 천정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일단이 폐기물 저장조(200)의 내벽에 배치되며 타단이 상부벽(25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크레인 장치(260)는 제1 저장조(210)에 저장된 폐기물을 덤핑 슈트(256) 상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제1 저장조(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 크레인 장치(260)는, 제2 거더(262), 제2 너클 크레인(264) 및 제2 크레인 와이어(266)를 포함한다.
제2 거더(262)는 일단이 상부벽(252)에 배치되고 타단이 폐기물 저장조(200)의 내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거더(262)는 폐기물 저장조(200)의 천정에 인접한 위치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배치되되, 제1 저장조(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거더(262)는 제2 너클 크레인(264)이 제1 저장조(21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너클 크레인(264)은 폐기물을 집어 이송할 수 있으며, 제1 저장조(210)에 저장된 폐기물을 덤핑 슈트(256) 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덤핑 슈트(256) 상에 이송된 폐기물은 덤핑 슈트(256)가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제2 저장조(220)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크레인 와이어(266)는 제2 너클 크레인(264)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제2 크레인 와이어(266)는 제1 저장조(210)에 지표면 보다 아래에 저장된 폐기물까지 제2 너클 크레인(264)이 이동되도록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크레인 장치(260)가 배치됨에 따라 제1 크레인 장치(240)는 제2 저장조(220)에서 폐기물 처리조(300)로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역할만 하고, 제2 크레인 장치(260)가 제1 저장조(210)의 폐기물을 제2 저장조(220)로 이송시킴에 따라 제2 크레인 장치(260)가 과도하게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10)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이용하며,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저장 설비(10)는, 폐기물 반입장(100), 폐기물 저장조(200) 및 폐기물 처리조(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폐기물 저장조(200)는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 및 분리벽(230)을 포함하고, 제1 크레인 장치(240) 및 반입 장치(270)가 설치될 수 있다.
폐기물 저장조(200)는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치되고, 제1 저장조(210) 및 제2 저장조(220) 사이에 분리벽(2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 크레인 장치(240)는 제2 저장조(220)에 저장된 폐기물을 폐기물 처리조(300)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제1 크레인 장치(240)의 제1 거더(242)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저장조(210), 제2 저장조(220) 및 처리 장치(310)의 상부까지 수평 방향으로 제1 너클 크레인(244)이 이동될 수 있게 폐기물 저장조(200)에 배치되지만, 제1 크레인 장치(240)는 제2 저장조(220)에 저장된 폐기물을 폐기물 처리조(300)로 이송시키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
반입 장치(270)는 제1 저장조(210)에 설치되며, 폐기물이 제2 저장조(220)로 이송되도록 폐기물을 적재한 차량을을 승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반입 장치(270)는 이송기(272) 및 승하강기(274)를 포함한다.
이송기(272)는 분리벽(230)에 설치되어 승하강기(274)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기(27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기(274)는 이송기(272)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승하강기(274)에는 차량이 적재될 수 있으며, 승하강기(274)가 승하강되면 차량도 승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기(274)는 하강되어 차량이 폐기물 반입장(100)과 승하강기(274)를 오갈 수 있는 하강상태에 놓이거나, 상승되어 차량에 적재된 폐기물이 제2 저장조(220)로 방출될 수 있는 상승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승하강기(274)가 하강상태일 때, 차량이 후진하여 폐기물 반입장(100)에서 승하강기(274)에 적재될 수 있다. 또한, 승하강기(274)가 상승상태일 때, 차량이 폐기물이 적재된 적재함을 기울여 폐기물을 제2 저장조(220)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승하강기(274)가 하강상태일 때, 승하강기(274)의 상면과 폐기물 반입장(100)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승하강기(274)가 상승상태일 때, 승하강기(274)의 상면은 분리벽(230)의 상단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하강기(274)는 상승상태일 때, 승하강기(274)에 적재된 차량 바퀴의 상단과 차량 바퀴의 중심축 사이에 분리벽(230)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상승할 수 있다. 즉, 승하강기(274)가 상승상태일 때, 후진하는 차량이, 분리벽(230)의 상단에 걸려 제2 저장조(220)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폐기물 저장 설비
100: 폐기물 반입장 110: 반입 도어
200: 폐기물 저장조
210: 제1 저장조 220: 제2 저장조
230: 분리벽
240: 제1 크레인 장치 242: 제1 거더
244: 제1 너클 크레인 246: 제1 크레인 와이어
250: 분리부 252: 상부벽
254: 하부벽 256: 덤핑 슈트
260: 제2 크레인 장치 262: 제2 거더
264: 제2 너클 크레인 266: 제2 크레인 와이어
270: 반입 장치
272: 이송기 274: 승하강기
300: 폐기물 처리조 310: 처리 장치

Claims (9)

  1. 폐기물이 반입되는 폐기물 반입장;
    상기 폐기물 반입장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폐기물이 저장되는 폐기물 저장조; 및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폐기물이 처리되는 폐기물 처리조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 저장조는,
    상기 폐기물 반입장에서 반입되는 상기 폐기물이 저장되고, 지표면에서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터파기된 제1 저장조; 및
    상기 제1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이 이송되어 저장되고, 지표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저장조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는 상기 제2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처리조로 이송시키는 제1 크레인 장치가 설치된,
    폐기물 저장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저장조는, 상기 제1 저장조 및 상기 제2 저장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저장조 및 상기 제2 저장조를 분리하는 분리벽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저장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레인 장치는, 상기 제1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을 상기 제2 저장조로 이송시키는,
    폐기물 저장 설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는, 상기 제1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2 크레인 장치를 더 설치되는,
    폐기물 저장 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저장조는,
    상기 분리벽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크레인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폐기물이 상기 제2 저장조로 이송되기 위해 상기 제2 저장조를 향해 하향 경사진 덤핑 슈트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저장 설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저장조에는, 상기 폐기물이 제2 저장조(220)로 이송되도록 상기 폐기물을 적재한 차량을 승하강하는 반입 장치가 설치된,
    폐기물 저장 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 장치는 상기 제1 저장조에 설치된,
    폐기물 저장 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 장치는,
    상기 차량이 적재될 수 있는 승하강기; 및
    상기 분리벽에 설치되는 상기 승하강기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기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기는 상기 차량이 상기 폐기물 반입장과 상기 승하강기를 오가도록 상기 이송기에 의해 하강된 하강상태에 놓이거나, 상기 차량에 적재된 상기 폐기물이 제2 저장조로 방출되도록 상기 이송기에 의해 상승된 상승상태에 놓이는,
    폐기물 저장 설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기가 상승상태일 때, 상기 승하강기의 상면은 상기 분리벽의 상단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폐기물 저장 설비.

KR1020210183611A 2021-12-21 2021-12-21 폐기물 저장 설비 KR20230095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611A KR20230095146A (ko) 2021-12-21 2021-12-21 폐기물 저장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611A KR20230095146A (ko) 2021-12-21 2021-12-21 폐기물 저장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146A true KR20230095146A (ko) 2023-06-29

Family

ID=8694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611A KR20230095146A (ko) 2021-12-21 2021-12-21 폐기물 저장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514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509B1 (ko) 2019-08-29 2020-11-03 주식회사 삼원에스티지 가연성 폐기물 대량 선별 전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509B1 (ko) 2019-08-29 2020-11-03 주식회사 삼원에스티지 가연성 폐기물 대량 선별 전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69946A2 (en) Stacker and reclaimer system and stacking method for iron and steel raw material
CN106179699A (zh) 一种半固定破碎站及布置方法
KR20230095146A (ko) 폐기물 저장 설비
KR101345143B1 (ko) 건축용 안전 데크 및 그 운용 방법
CN109625752B (zh) 一种封闭料场
US10329099B2 (en) Transfer bridge for coarse bulk materials
KR100961711B1 (ko) 팔레트 출하 시스템
JP2007217104A (ja) ごみ処理施設
CN213474801U (zh) 一种应用于翻车机系统的煤底回收装置
JP5325351B1 (ja) 掘削土砂・資機材搬入出システム及び掘削土砂・資機材搬入出方法
JP4971516B1 (ja) 浚渫土砂の水面落下防止装置
KR101357926B1 (ko) 출토운반차량용 리프트장치
KR101230470B1 (ko) 리크레이머 시스템
JP6905423B2 (ja) ダムの構築方法
CN106347934B (zh) 双体组合链式土方垂直提升装置
WO2010032039A1 (en) Overburden discharge conveyor system and method
US4408945A (en) Stationary or mobile receiving bunker
JP2003012107A (ja) ごみ処理システム
CN109132256B (zh) 多层集装箱设施
JP2000177804A (ja) ごみ処理施設におけるごみ受入貯留設備
JP2005154039A (ja) ゴミ処理設備のゴミ搬入装置およびゴミ搬入方法
WO2007143213A2 (en) Transport discharge material flow regulation device and method
JP3711280B2 (ja) 移動式全天候型作業用建屋
KR101523550B1 (ko) 폐기물 이송장치
JPH05346096A (ja) シールド工事における掘削土砂連続搬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