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006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006A
KR20230095006A KR1020220176888A KR20220176888A KR20230095006A KR 20230095006 A KR20230095006 A KR 20230095006A KR 1020220176888 A KR1020220176888 A KR 1020220176888A KR 20220176888 A KR20220176888 A KR 20220176888A KR 20230095006 A KR20230095006 A KR 20230095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ody
positive electrode
terminal
insulating memb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6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키 오시마
요시노리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 앤드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9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71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M50/474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inside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71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M50/477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other than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6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in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여기에서 개시되는 이차 전지는, 전극체와, 전극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개구에 설치된 덮개를 갖고 있다. 덮개는, 전해액을 주액하기 위한 주액구와, 덮개의 내측면에 설치된 절연 부재와, 절연 부재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주액구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한 절연 홀더를 갖고 있다. 절연 홀더는, 주액구와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 액 받침부와, 액 받침부보다도 전극체측에 배치된 전극체 보호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9-129129호 공보에는,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체와, 전극체를 수용한 외장체와, 외장체의 개구를 막는 덮개와, 전극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덮개로부터 외장체의 밖으로 일부를 노출시킨 전극 단자를 구비한 축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동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축전 장치의 덮개는, 외장체 내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액 구멍을 갖고 있다. 덮개에는, 덮개의 외측면과 전극체 사이에 배치되어서 덮개의 전극체측의 면에 있어서의 주액 구멍의 개구를 포위하도록 덮개로부터 전극체를 향하여 연장된 통체가 마련되어 있다. 통체에는, 주액 구멍 및 전극체의 사이에 개재한 차폐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액 구멍을 통하여 전해액을 외장체 내에 공급할 때, 차폐부에 의해, 외장체 내에 있어서 전해액이 전극체에 충돌할 때의 전해액 유속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극체의 재료의 손상, 박리 및 활락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9-129129호 공보
그런데, 본 발명자는, 전지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는 전극체의 손상을 억제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이차 전지는, 전극체와, 전극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의 개구에 설치된 덮개를 갖고 있다. 덮개는, 전해액을 주액하기 위한 주액구와, 덮개의 내측면에 설치된 절연 부재와, 절연 부재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주액구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한 절연 홀더를 갖고 있다. 절연 홀더는, 주액구와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 액 받침부와, 액 받침부보다도 전극체측에 배치된 전극체 보호부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액 시의 전해액의 기세를 약화시킬 수 있어, 전극체의 손상이 방지된다.
전극체 보호부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절연 홀더는, 주액구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주액구로부터 주액된 전해액이 통과하는 구멍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절연 홀더는, 전극체 보호부로부터 덮개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액 받침부로부터 전극체를 향하여, 탭을 칸막이하기 위한 칸막이부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은,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절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절연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 전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이차 전지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는, 당연하겠지만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반드시 실물을 반영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작용을 발휘하는 부재,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차 전지」란, 전해질을 통하여 한 쌍의 전극(정극과 부극) 간에서 전하 담체가 이동함으로써 충방전 반응이 발생하는 축전 디바이스 일반을 말한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등의 소위 축전지 이외에,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등의 캐패시터 등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이차 전지 중,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대상으로 한 경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차 전지(10)>
도 1은, 이차 전지(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대략 직육면체의 전지 케이스(30)의 편측의 광폭면을 따라서 내부를 노출시킨 상태의 부분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대략 직육면체의 전지 케이스(30)의 편측의 협폭면을 따라서 내부를 노출시킨 상태의 부분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차 전지(10)는, 전극체(20)(도 2 참조)와, 전지 케이스(30)를 갖고 있다. 전지 케이스(30)는, 케이스 본체(31)와, 덮개(40)로 구성되어 있다. 이차 전지(1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자(50)와, 집전 단자(60)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50)는 정극 단자(50a)와, 부극 단자(50b)를 구비하고 있다. 집전 단자(60)는 정극 집전 단자(60a)와, 부극 집전 단자(60b)를 구비하고 있다. 전극체(20)는 정극 집전 단자(60a)를 통하여 정극 단자(50a)와 접속되어 있다. 전극체(20)는 부극 집전 단자(60b)를 통하여 부극 단자(50b)와 접속되어 있다.
<전극체(20)>
전극체(20)는 이차 전지(10)의 발전 요소이다. 전극체(20)는 정극 요소로서의 정극 시트(21)와, 부극 요소로서의 부극 시트(22)와, 시트상의 세퍼레이터(23)를 구비하고 있다. 세퍼레이터(23)는 정극 시트(21)와 부극 시트(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체(20)에서는, 정극 시트(21)와 부극 시트(22)와 세퍼레이터(23)가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전극체(20)는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형성된 정극 시트(21)와 부극 시트(22)가 세퍼레이터(23)를 개재시켜서 겹쳐진 적층형 구조이다.
정극 시트(21)는 직사각 형상의 정극 집전박과, 정극 집전박의 양면에 형성된 정극 활물질층과, 정극 활물질층으로부터 돌출된 정극 집전 탭(21a)을 갖고 있다. 정극 집전박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이다. 정극 활물질층에는, 정극 활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정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리튬 전이 금속 복합 재료와 같이, 충전 시에 리튬 이온을 방출하고, 방전 시에 리튬 이온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이다. 정극 활물질은, 일반적으로 리튬 전이 금속 복합 재료 이외에도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정극 집전 탭(21a)은 정극 집전박의 일부이며, 정극 활물질층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정극 집전 탭(21a)은 정극 활물질층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정극 집전 탭(21a)에는 정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부극 시트(22)는 직사각 형상의 부극 집전박과, 부극 집전박의 양면에 형성된 부극 활물질층과, 부극 활물질층으로부터 돌출된 부극 집전 탭(22a)을 갖고 있다. 부극 집전박은, 예를 들어, 구리박이다. 부극 활물질층에는 부극 활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부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서는, 천연 흑연과 같이, 충전 시에 리튬 이온을 흡장하고, 충전 시에 흡장한 리튬 이온을 방전 시에 방출할 수 있는 재료이다. 부극 활물질은, 일반적으로 천연 흑연 이외에도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부극 집전 탭(22a)은 부극 집전박의 일부이며, 부극 활물질층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부극 집전 탭(22a)은 부극 활물질층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부극 집전 탭(22a)에는 부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세퍼레이터(23)는 예를 들어, 필요한 내열성을 갖는 전해질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질의 수지 시트이다. 세퍼레이터(23)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를 포함하는 다공질 시트(예를 들어 필름, 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20)는 세퍼레이터(23)를 개재시켜서, 정극 시트(21)와 부극 시트(22)가 적층됨으로써 제작된다. 복수의 정극 집전 탭(21a) 및 복수의 부극 집전 탭(22a)은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정극 집전 단자(60a)와 부극 집전 단자(60b)에 접속된다.
<전지 케이스(30)>
전지 케이스(3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스 본체(31)와, 덮개(4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31)는 일부가 개구한 케이스이다. 케이스 본체(31)는 전극체(2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32)를 갖고 있다. 덮개(40)는 케이스 본체(31)의 개구(32)에 설치되어 있다. 전지 케이스(30)에는, 전극체(20)가 수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30)에는, 2개의 전극체(20)가 수용되어 있다. 전지 케이스(30)에는, 전극체(20)와 함께, 전해액이 수용되어 있다. 전해액으로서는, 예를 들어, 비수계 용매에 지지염을 용해시킨 비수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비수계 용매의 일례로서, 에틸렌카르보네이트, 디메틸카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등의 카르보네이트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지지염의 일례로서, LiPF6 등의 불소 함유 리튬염을 들 수 있다.
전지 케이스(3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지 케이스(30)는 각형 형상이다(도 1 참조). 전지 케이스(30)를 형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지 케이스(3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주체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덮개(40)>
덮개(40)는 케이스 본체(31)의 개구(32)에 마련된 판상의 부재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40)는 소정의 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본 명세서에서는 장방 형상)이다. 덮개(40)는 개구(32)에 설치된 상태에서, 덮개(40)의 주연부가, 케이스 본체(31)의 개구(32)의 테두리에 접합되어 있다. 당해 접합은, 예를 들어, 간극이 없는 연속된 용접에 의해 실현되면 된다. 케이스 본체(31)와 덮개(40)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덮개(40)를 형성하는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덮개(40)는 케이스 본체(31)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을 주체로 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40)에는, 가스 배출 밸브(43)가 마련되어 있다. 가스 배출 밸브(43)는 이차 전지(10)의 내압이 소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파단되어, 전지 케이스(30) 내의 가스를 전지 케이스(3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박육부이다.
덮개(40)는 주액구(41)와, 절연 부재(80)와, 절연 홀더(90)를 갖고 있다. 또한, 덮개(40)에는, 단자(50)와, 집전 단자(60)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50)는 정극 단자(50a)와 부극 단자(50b)를 구비하고 있다. 집전 단자(60)는 정극 집전 단자(60a)와 부극 집전 단자(60b)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40)에는, 설치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 구멍(45)에는, 단자(50)가 삽입된 상태에서 덮개(40)에 설치되어 있다.
<단자(50)>
단자(50)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부(51)와, 통부(52)와, 코킹부(53)를 갖고 있다. 헤드부(51)는 전지 케이스(30)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헤드부(51)는 설치 구멍(45)보다도 큰 대략 평판상의 부위이며, 덮개(40)의 외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통부(52)는, 외부 절연 부재(70)를 개재하여 설치 구멍(45)에 삽입되는 부위이다. 통부(52)는 헤드부(51)의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통부(52)는 상하로 연장한 통 형상의 부위이다. 코킹부(53)는 제1 집전 단자(61)에 대하여 코킹할 수 있는 부위이다. 환언하면, 코킹부(53)는 덮개(40)에 대하여 코킹할 수 있는 부위이다. 코킹부(53)는 통부(52)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고, 통부(52)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 구멍(45)의 테두리와, 단자(50) 사이에는 외부 절연 부재(70)가 개재하고 있다.
<외부 절연 부재(70)>
외부 절연 부재(70)는, 덮개(40)의 설치 구멍(45)의 내주면으로부터 덮개(40)의 외측의 면에 걸쳐서 설치된다. 외부 절연 부재(70)는, 베이스부(71)와, 절연 통부(72)와, 측벽(73)을 갖고 있다. 베이스부(71)는 설치 구멍(45)의 주위에 있어서 덮개(40)의 외측의 면에 장착되는 판상의 부위이다. 베이스부(71)에는, 단자(50)의 헤드부(51)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 통부(72)는 베이스부(7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통 형상의 부위이다. 절연 통부(72)는 설치 구멍(45)에 삽입되는 부위이다. 절연 통부(72)에는, 단자(50)의 통부(52)가 삽입된다. 측벽(73)은 베이스부(71)의 주연으로부터 상승되어 있다. 단자(50)의 헤드부(51)는 외부 절연 부재(70)의 측벽(73)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외부 절연 부재(70)는 덮개(40)와 단자(50)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의 절연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외부 절연 부재(70)는 덮개(40)의 설치 구멍(45)의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외부 절연 부재(70)는 내약품성이나 내후성이 우수한 재료가 사용되면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절연 부재(70)에는, PFA가 사용되고 있다. PFA는, 사불화에틸렌과 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의 공중합체(Tetrafluoroethylene-Perfluoroalkylvinylether Copolymer)이다. 단, 외부 절연 부재(70)에 사용되는 재료는, PFA에 한정되지 않는다.
<집전 단자(60)>
집전 단자(60)는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집전 단자(60)는 제1 집전 단자(61)와, 제2 집전 단자(65)로 구성되어 있다. 정극 제1 집전 단자(61a)는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있어서, 정극 단자(50a)와 접속되어 있다. 부극 제1 집전 단자(61b)는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있어서, 부극 단자(50b)와 접속되어 있다. 정극 제2 집전 단자(65a)는 전극체(20)로부터 연장되는 정극 집전 탭(21a)과 접속되어 있다. 부극 제2 집전 단자(65b)는 전극체(20)로부터 연장되는 부극 집전 탭(22a)과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정극 집전 탭(21a) 및 부극 집전 탭(22a)은 이차 전지(10)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구부러지고, 각각 정극 제2 집전 단자(65a) 및 부극 제2 집전 단자(65b)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집전 단자(61)>
제1 집전 단자(61)는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집전 단자(61)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상의 부재이다. 제1 집전 단자(61)는 덮개(40)의 내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제1 집전 단자(61)는 설치 구멍(45)의 주위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집전 단자(61)는 관통 구멍(62)을 갖고 있다. 관통 구멍(62)은 절연 통부(72)의 내경과 대응한 형상이다. 관통 구멍(62)에는, 단자(50)가 관통하고 있다. 제1 집전 단자(61)는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서 제2 집전 단자(65)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집전 단자(65)>
제2 집전 단자(65)는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집전 단자(65)는 덮개(40)의 내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극 제2 집전 단자(65a)에는, 후술하는 주액부(42)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65a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집전 단자(65)는 제1 플레이트부(66)와, 제2 플레이트부(67)와, 단차부(68)를 갖고 있다. 제1 플레이트부(66)는 제1 집전 단자(61)의 표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부위이다. 제1 플레이트부(66)는 제1 집전 단자(61)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부(66)는 평판상의 부위이다. 제2 플레이트부(67)는 덮개(40)의 내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부위이다. 제2 플레이트부(67)는 평판상의 부위이다. 제2 집전 단자(65)는 집전 탭에 접속되어 있다. 정극 제2 집전 단자(65a)의 제2 플레이트부(67)는 정극 집전 탭(21a)에 접합되어 있다. 부극 제2 집전 단자(65b)는 부극 집전 탭(22a)에 접합되어 있다. 단차부(68)는 제1 플레이트부(66)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제2 플레이트부(67)의 하나의 단부를 향하여 상승되어, 제1 플레이트부(66)와 제2 플레이트부(67)를 연결하는 부위이다. 단차부(68)는 제2 집전 단자(65)의 단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주액구(41)>
주액구(41)는 케이스 본체(31)에 덮개(40)를 설치한 후에, 전해액을 전지 케이스(30) 내에 주액하기 위한 구멍이다. 주액구(4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덮개(40)에 설치된 통 형상의 주액부(42)에 형성되어 있다. 주액부(42)는 덮개(40)의 관통 구멍(44)을 관통하고 있다. 주액부(42)는 상단부가 관통 구멍(44)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다. 주액부(42)의 상단부는, 전지 케이스(3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주액부(42)의 하단은,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 돌출되어 있다. 주액구(41)는 주액부(42)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관통하고 있다. 주액구(41)에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노즐이 삽입 관통되어, 전해액이 전지 케이스(30) 내에 전해액이 주액될 수 있다. 주액 후에는, 주액구(41)는 마개가 설치되어, 밀봉된다.
<절연 부재(80)>
절연 부재(80)는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서 정극 집전 단자(60a)와 덮개(40)를 절연하는 부재이다. 도 4는, 절연 부재(8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절연 부재(80)는 덮개(40)의 내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80)는 평판부(81)와, 측벽(82)과, 단자 삽입 관통 구멍(83)과, 주액부 삽입 관통 구멍(84)을 구비하고 있다.
평판부(81)는 덮개(40)에 설치되는 부위이다. 평판부(81)는 직사각형의 평판상이다. 평판부(81)의 한쪽 면(81a)은 덮개(40)(도 2 참조)에 설치된다. 평판부(81)의 다른 쪽 면(81b)은 전지 케이스(30)의 내측을 향할 수 있다. 평판부(81)의 면(81b)에는, 정극 집전 단자(60a)(도 2 참조)가 배치된다. 면(81b)에는, 정극 집전 단자(60a)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돌기(81b1)와 오목부(81b2)가 마련되어 있다. 평판부(81)는 정극 집전 단자(60a)를 수용할 수 있도록, 평면으로 보아, 정극 집전 단자(60a)보다도 한층 큰 치수를 갖고 있다. 정극 집전 단자(60a)는 평판부(81)에 의해 덮개(40)와 절연되어 있다.
평판부(81)의 긴 변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는, 가스 배출 밸브(43)의 단부의 형상에 맞춘 오목부(8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평판부(81)는 가스 배출 밸브(43)의 단부로부터 설치 구멍(45)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도 2 참조).
평판부(81)의 주연부으로부터는, 측벽(82)이 연장되어 있다. 측벽(82)은 평판부(81)의 면(81b)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측벽(82)은 직사각형의 프레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82)은 정극 집전 단자(60a)의 측면을 둘러싸고 있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정극 집전 단자(60a)가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서 다른 부재 등과 접촉하여 도전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측벽(82)의 높이는 일정하지 않다. 측벽(82)은 오목부(81c)가 형성되어 있는 짧은 변측과, 긴 변측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높이가 높게 되어 있다.
평판부(81)에는, 단자 삽입 관통 구멍(83)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 삽입 관통 구멍(83)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극 단자(50a)의 통부(52)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단자 삽입 관통 구멍(83)은 전지 케이스(30)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극 단자(50a)의 통부(52)의 외경 및 제1 집전 단자(61)의 관통 구멍(62)과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다.
평판부(81)에는 주액부 삽입 관통 구멍(84)이 형성되어 있다. 주액부 삽입 관통 구멍(84)에는, 전지 케이스(30) 내부에 돌출되어 있는 주액부(42)의 하단이 삽입 관통되어 있다. 주액부 삽입 관통 구멍(84)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액부(42)의 하단의 외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액부 삽입 관통 구멍(84)의 테두리에는, 측벽(84a)이 마련되어 있다. 측벽(84a)은 주액부 삽입 관통 구멍(84)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이다. 측벽(84a)은 평판부(81)의 면(81b)측에 마련되어 있다. 측벽(84a)은 정극 제2 집전 단자(65a)의 삽입 관통 구멍(65a1)(도 2 참조)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삽입 관통 구멍(65a1)은, 측벽(84a)과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84a)은 전지 케이스(30) 내부에 돌출되어 있는 주액부(42)를 둘러싸고 있다. 측벽(84a)은 절연 부재(80)가 설치된 때에 주액부(42)(도 2 참조)의 하단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액부(42)가 전지 케이스(30)(도 2 참조)의 내부에서 다른 부재 등과 접촉하여 도전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정극 집전 탭(21a)은 덮개(40)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 주액구(41)의 위치에서 정극 제2 집전 단자(65a)에 접속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극 집전 탭(21a)은 주액부(42)를 사이에 두도록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정극 제2 집전 단자(65a)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전극체(20)로부터 연장되는 정극 집전 탭(21a)과, 다른 하나의 전극체(20)로부터 연장되는 정극 집전 탭(21a)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정극 제2 집전 단자(65a)에 접속되어 있다.
측벽(84a)의 외주면에는 평탄면(84a1)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84a1)은, 측벽(84a)의 외주에 있어서, 절연 부재(80)의 폭 방향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84a1)은 측벽(82)과 대향하고 있다. 측벽(84a)의 외주면에는, 평탄면(84a1)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극 집전 탭(21a)의 단부가 접촉한 경우에도, 정극 집전 탭(21a)이 깨질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평탄면(84a1)에 의해, 정극 집전 탭(21a)의 단부가 위치 결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80)에는, 절연 홀더(90)가 설치된다. 절연 부재(80)와 절연 홀더(90)의 접속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부재(80)와 절연 홀더(90)는 스냅 피트에 의해 접속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연 부재(80)는 갈고리(85)와, 끼워 맞춤부(86)를 갖고 있다. 갈고리(85)와 끼워 맞춤부(86)는 측벽(82)에 마련되어 있다.
갈고리(85)는 오목부(81c)가 형성되어 있는 짧은 변측의 측벽(82)에 마련되어 있다. 갈고리(85)는 당해 측벽(82)을 따라서 2개 마련되어 있다. 갈고리(85)는 측벽(82)의 높이가 높게 되어 있는 부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86)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긴 변측의 측벽(82)의 높이가 높게 되어 있는 부위에 형성된 구멍이다. 끼워 맞춤부(86)는 절연 부재(80)의 길이 방향이 긴 직사각형의 구멍이다. 끼워 맞춤부(86)는 양쪽의 긴 변측의 측벽(82)에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갈고리(85)는 후술하는 절연 홀더(90)(도 5 참조)의 끼워 맞춤부(95)(도 5 참조)와 끼워 맞춤한다. 끼워 맞춤부(86)는 절연 홀더(90)의 갈고리(96)(도 5 참조)와 끼워 맞춤한다. 이에 의해, 절연 부재(80)와 절연 홀더(90)는 접속된다.
또한, 절연 부재(80)로서는, 내전해액성이 있고, 융점이 전지의 사용 시의 온도 이상(예를 들어, 7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절연 부재(80)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폴리페닐렌술피드(PP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절연 홀더(90)>
절연 홀더(9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덮개(40)에 설치된 부재(예를 들어, 주액부(42)나 절연 부재(80))와, 전극체(20) 사이에 마련되는, 절연성을 갖는 부재이다. 절연 홀더(90)는 절연 부재(80)에 설치되어 있다. 절연 홀더(90)로서는, 절연 부재(80)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절연 홀더(9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연 홀더(90)는 액 받침부(91)와, 구멍(92)과, 전극체 보호부(93)를 갖고 있다. 절연 홀더(90)는 단차부(94)를 구비하고 있다. 액 받침부(91)와, 구멍(92)은 단차부(94)에 마련되어 있다. 전극체 보호부(93)는 단차부(94)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전극체 보호부(93)와 단차부(94)는 다른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체 보호부(93)에는 지지부(98, 99)가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연 홀더(90)는 덮개(40)의 긴 변 방향에 있어서, 가스 배출 밸브(43)와 정극 단자(50a)의 일부를 덮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절연 홀더(90)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전극체 보호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체 보호부(93)는 단차부(94)보다도 하방(전극체(20)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극체 보호부(93)는 예를 들어, 전지 케이스(30)에 전극체(20)를 수용할 때에 전극체(20)를 보호하는 부위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 보호부(93)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극체(20)와 대향하는 평판상의 부위이다. 전극체 보호부(93)는 덮개(40)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전극체 보호부(93)는 전극체(20)의 정극 집전 탭(21a)과 부극 집전 탭(22a)이 돌출되어 있는 상방의 면과 대향하고 있다. 전극체 보호부(93)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 보호부(93)의 폭은, 절연 부재(80)의 폭보다도 넓다.
전극체 보호부(93)는, 단자(50)나 주액부(42)보다도 전극체(20)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체 보호부(93)는 단자(50)나 주액부(42)와 같은, 덮개(4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재보다도 전극체(20)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극체(20)가 덮개(4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재에 접촉하여 전극체(20)가 손상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단차부(94)는 전극체 보호부(93)보다도 상방(덮개(40)측)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평판상의 부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차부(94)는 전극체 보호부(93)(도 5 참조)나 정극 제2 집전 단자(65a)보다도 폭이 좁다. 단차부(94)의 폭 방향의 외측에는, 전극체(20)로부터 연장되는 정극 집전 탭(21a)이 통과하고 있다. 정극 집전 탭(21a)은 단차부(94)를 돌아 들어가도록 하여 정극 제2 집전 단자(65a)에 접속되어 있다. 정극 집전 탭(21a)은 단차부(94)를 돌아 들어가서 정극 제2 집전 단자(65a)에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극단적으로 절곡되는 등의 부하가 저감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차부(94)에는, 액 받침부(91)와, 구멍(92)이 마련되어 있다. 액 받침부(91)와 구멍(92)은 전극체 보호부(93)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전극체 보호부(93)는 액 받침부(91)나 구멍(92)보다도 전극체(20)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액 받침부(91)는 전지 케이스(30)에 전해액이 주액될 때의 기세를 약화시키는 부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 받침부(91)는 절연 부재(80)에 설치된 때에 주액구(41)와 대향한 위치에 마련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액 받침부(91)는 단차부(94)에 있어서, 주액구(41)와 대향하고 있는 면이다. 전해액이 주액될 때에는, 전해액이 액 받침부(91) 부딪히고 나서 전지 케이스(30) 내에 주액된다. 단차부(94)에는 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92)에는 주액구(41)로부터 주액된 전해액이 통과한다. 구멍(92)은 주액구(41)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환언하면, 구멍(92)은 액 받침부(91)보다도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구멍(92)은 직사각 형상이다. 구멍(92)은 액 받침부(91)를 사이에 두도록, 단차부(94)의 긴 변 방향을 따라서 2군데 형성되어 있다. 구멍(92)이 액 받침부(91)보다도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전해액은, 주액 시에 먼저 액 받침부(91)에 부딪힌다. 그리고, 전해액은, 기세가 약해진 상태에서 구멍(92)을 통과하여, 전지 케이스(30) 내부에 주액된다. 또한, 구멍(92)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멍(92)은 예를 들어, 원 형상이어도 된다. 구멍(92)은 액 받침부(91)보다도 외측에 2군데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멍(92)에는, 예를 들어, 그물눈상의 필터 등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해액은 구멍(92)을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차부(94)의 단부에는, 전해액이 통과하는 절결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단차부(94)는 폭 방향의 단부로부터 전해액이 흘러내리도록, 폭 방향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부재(80)와 절연 홀더(90)의 가공 용이성의 관점이나, 정극 집전 탭(21a)을 정극 집전 단자(60a)에 접합할 때의 접합 용이성의 관점에서, 절연 홀더(90)는 절연 부재(80)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연 홀더(90)는 끼워 맞춤부(95)와, 갈고리(96)를 갖고 있다. 절연 홀더(90)는 끼워 맞춤부(95)와, 갈고리(96)를 통하여 절연 부재(80)(도 4 참조)에 설치된다. 절연 홀더(90)의 끼워 맞춤부(95)는 절연 부재(80)의 갈고리(85)가 끼워 맞춤한다. 절연 홀더(90)의 갈고리(96)는 절연 부재(80)의 끼워 맞춤부(86)와 끼워 맞춤한다.
끼워 맞춤부(95)는 단차부(94)와, 덮개(40)(도 2 참조)의 길이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극체 보호부(93)의 경계부에 마련되어 있다. 당해 전극체 보호부(93)와 단차부(94)의 경계부에는, 전극체 보호부(93)로부터 단차부(94)보다도 상방을 향하여 판상의 부위(97a)가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끼워 맞춤부(95)는 판상의 부위(97a)에 있어서 단차부(94)보다도 상방으로 형성된 구멍이다. 끼워 맞춤부(95)는 절연 홀더(90)의 폭 방향이 긴 직사각형의 구멍이다. 절연 부재(80)에 2개의 갈고리(85)(도 4 참조)는, 단차부(94)측으로부터 끼워 맞춤부(95)에 끼워 맞춤한다.
갈고리(96)는 덮개(40)의 길이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극체 보호부(93)에 마련되어 있다. 갈고리(96)는 당해 전극체 보호부(93)의 폭 방향의 단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당해 전극체 보호부(93)의 폭 방향의 단부으로부터는, 판상의 부위(97b)가 연장되어 있다. 갈고리(96)는 판상의 부위(97b)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96)는 각각 절연 부재(80)의 끼워 맞춤부(86)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끼워 맞춤한다.
지지부(98, 99)는, 절연 홀더(90)가 절연 부재(80)에 설치된 때에, 덮개(40)나 정극 집전 단자(60a)와 맞닿는 부위이다. 지지부(98, 99)는, 전극체 보호부(93)로부터 덮개(40)를 향하여 연장되는 평판상의 부위이다. 지지부(98, 99)는 각각, 다른 전극체 보호부(93)에 1쌍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98)는 단차부(94)와의 경계에 판상의 부위(97a)가 마련되어 있는 전극체 보호부(93)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98)는 당해 전극체 보호부(93)의 폭 방향의 양단부의 일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98)의 높이는, 절연 홀더(90)를 절연 부재(80)에 설치한 때에 덮개(40)와 맞닿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99)는 판상의 부위(97b)가 마련되어 있는 전극체 보호부(93)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99)는, 당해 전극체 보호부(93)에 있어서, 한 쌍의 판상의 부위(97b)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99)의 높이는, 절연 홀더(90)를 절연 부재(80)에 설치한 때에 정극 집전 단자(60a)와 맞닿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99)는 지지부(98)보다도 높이가 낮게 되어 있다.
<절연 부재(80A)>
절연 부재(80A)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지 케이스(30)의 내부에서 부극 집전 단자(60b)와 덮개(40)를 절연하는 부재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부재(80A)는 평판부(81A)와, 측벽(82A)과, 단자 삽입 관통 구멍(83A)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 부재(80A)로서는, 절연 부재(80)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평판부(81A)와 측벽(82A)은 부극 집전 단자(60b)와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다. 부극 집전 단자(60b)는 단자 삽입 관통 구멍(83A)에 삽입 관통된 부극 단자(50b)와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40)는 전해액을 주액하기 위한 주액구(41)와, 덮개의 내측면에 설치된 절연 부재(80)와, 절연 부재(80)에 설치된 절연 홀더(90)를 갖고 있다. 절연 홀더(90)는 주액구(41)와 대향한 액 받침부(91)와, 액 받침부(91)보다도 외측에 형성되고, 주액된 전해액이 통과하는 구멍(92)을 갖고 있다. 전해액은, 액 받침부(91)에 부딪혀서 기세가 약해진 상태에서 구멍(92)을 통과하여, 전지 케이스(30) 내부에 주액된다. 이 때문에, 주액 시에 전해액이 전극체(20)에 강하게 부딪히는 것이 억제되어, 전극체(20)의 손상이 억제된다.
또한, 절연 홀더(90)는 액 받침부(91)보다도 전극체(20)측에 배치된 평판상의 전극체 보호부(93)를 갖고 있다. 평판상의 전극체 보호부(93)는 전극체(20)의 상방의 면과 대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차 전지(10)가 진동한 경우, 진동이 전극체(20)에 전해지고, 전극체(20)가 전지 케이스(30) 내에서 움직이고, 절연 홀더(90)에 접촉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평판상의 전극체 보호부(93)가 전극체(20)와 대향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전극체(20)는 면에서 접촉한다. 그 때문에, 전극체(20)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부하가 걸리기 어려워, 전극체(20)의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체 보호부(93)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체 보호부(93)가 전극체(20)와 면으로 부딪히기 쉬워져, 전극체(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홀더(90)는 주액구(41)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주액구(41)로부터 주액된 전해액이 통과하는 구멍(92)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액 받침부(91)에서 전해액의 기세가 약화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주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는, 정극 집전 탭(21a)은 주액부(42)를 사이에 두도록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정극 제2 집전 단자(65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액구(41)와 대향하는 액 받침부(91)가 마련되어 있는 단차부(94)는 정극 제2 집전 단자(65a)보다도 폭이 좁다. 그 때문에, 정극 집전 탭(21a)은 단차부(94)의 외측으로부터 돌아 들어가서 정극 집전 단자(60a)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극 집전 탭(21a)의 형상이 안정되어, 정극 집전 탭(21a)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그런데, 상술한 이차 전지(10)의 제조 공정에는, 전해액을 주액하기 전의 이차 전지(10)의 형태까지 조립된 전지 조립체를 구축하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 조립체를 구축하는 공정은, 대략 이하의 수순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31)와 덮개(40)를 준비한다. 집전 탭(21a, 22a)을 통하여 집전 단자(60)에 설치된 전극체(20)를 준비한다. 덮개(40)에 절연 부재(80)를 설치한다. 전극체(20)가 설치된 집전 단자(60)를 절연 부재(80)에 배치한다. 절연 홀더(90)를 절연 부재(80)에 설치한다. 집전 탭(21a, 22a)을 구부려서 전극체(20)를 케이스 본체(31)에 수용하면서, 덮개(40)로 케이스 본체(31)를 닫는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홀더(90)는 전극체 보호부(93)로부터 덮개(40)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부(98, 99)를 갖고 있다. 지지부(98)의 높이는, 덮개(40)와 맞닿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99)의 높이는, 정극 집전 단자(60a)와 맞닿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절연 홀더(90)를 절연 부재(80)에 설치할 때에, 지지부(98)는 덮개(40)에 맞닿고, 지지부(99)는 정극 집전 단자(60a)에 맞닿는다. 그 때문에, 전극체 보호부(93)는 만곡하거나, 기울어지는 등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워, 형상이 안정된다. 그 결과, 전극체 보호부(93)로 전극체(20)를 누르면서 전극체(20)를 케이스 본체(31)에 수용하기 쉬워진다. 또한, 전극체(20)가 전지 케이스(30) 내에서 움직일 때에도, 전극체(20)가 전극체 보호부(93)의 평탄한 면에서 압박되기 쉬워져, 전극체(20)의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이상, 여기에서 개시되는 이차 전지에 대해서 여러가지 설명하였다.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기에서 예를 든 이차 전지의 실시 형태 등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여기에서 개시되는 전지는, 여러가지 변경할 수 있고,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나 여기에서 언급된 각 처리는 적절하게 생략되거나, 또는,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94)에 마련되어 있는 액 받침부(91)는 주액구(41)와 대향하고 있는 평탄한 면이다. 그러나, 액 받침부(91)의 형상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 받침부(91)는 주액구(41)와 대향하는 면에, 전해액에 흐르기 쉽게 하기 위한 볼록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액 받침부(91)는 예를 들어, 높이 방향을 따른 단면이 삼각 형상이나 원호상일 수 있다. 이러한 액 받침부(91)에 의해, 액 받침부(91)로 주액 시의 전해액의 기세를 약화시키면서도, 주액 속도가 느려지기 어렵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차부(94)는 액 받침부(91)와, 구멍(92)이 마련된 직사각형의 평판상의 부위이다. 그러나, 단차부(94)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차 전지(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과 마찬가지로 이차 전지(10)의 협폭면을 따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단차부(94)로부터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탭을 칸막이하기 위한 칸막이부(94a)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칸막이부(94a)는 액 받침부(91)로부터 전극체(20)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칸막이부(94a)는 하나의 전극체(20)로부터 연장되는 정극 집전 탭(21a)과, 다른 하나의 전극체(20)로부터 연장되는 정극 집전 탭(21a)을 칸막이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칸막이부(94a)는 이차 전지(10)의 협폭면을 따른 단면이 삼각 형상이다. 칸막이부(94a)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단차부(94)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전극체(20)를 향하여 연장되는 판이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부재(80)와 절연 홀더(90)는, 갈고리(85, 96) 및 끼워 맞춤부(86, 95)를 통하여 스냅 피트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절연 부재(80)와 절연 홀더(90)의 접속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볼상의 스냅 피트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절연 부재(80)와 절연 홀더(90)는 각각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절연 부재(80)나 절연 홀더(90)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절연 홀더(90)의 전극체 보호부(93)와 단차부(94)는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5)

  1. 전극체와,
    상기 전극체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에 설치된 덮개
    를 갖고,
    상기 덮개는,
    전해액을 주액하기 위한 주액구와,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설치된 절연 부재와,
    상기 절연 부재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액구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한 절연 홀더
    를 갖고,
    상기 절연 홀더는,
    상기 주액구와 대향한 위치에 배치된 액 받침부와,
    상기 액 받침부보다도 상기 전극체측에 배치된 전극체 보호부
    를 갖는,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체 보호부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차 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홀더는, 상기 주액구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상기 주액구로부터 주액된 상기 전해액이 통과하는 구멍을 갖는, 이차 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홀더는, 상기 전극체 보호부로부터 상기 덮개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부를 갖는, 이차 전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 받침부로부터 상기 전극체를 향하여, 탭을 칸막이하기 위한 칸막이부가 연장되어 있는, 이차 전지.
KR1020220176888A 2021-12-21 2022-12-16 이차 전지 KR20230095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207390A JP2023092256A (ja) 2021-12-21 2021-12-21 二次電池
JPJP-P-2021-207390 2021-1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006A true KR20230095006A (ko) 2023-06-28

Family

ID=8453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6888A KR20230095006A (ko) 2021-12-21 2022-12-16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98112A1 (ko)
EP (1) EP4203174A1 (ko)
JP (1) JP2023092256A (ko)
KR (1) KR20230095006A (ko)
CN (1) CN1163151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33164A (ja) * 2022-08-30 2024-03-13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池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9129A (ja) 2018-01-26 2019-08-01 三洋電機株式会社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8682B2 (ja) * 2017-05-24 2021-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9129A (ja) 2018-01-26 2019-08-01 三洋電機株式会社 蓄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8112A1 (en) 2023-06-22
EP4203174A1 (en) 2023-06-28
CN116315117A (zh) 2023-06-23
JP2023092256A (ja)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9130B2 (ja) 二次電池及びその形成方法
KR100551887B1 (ko) 이차전지
JP7064695B2 (ja) 密閉型電池、組電池、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CN109565014A (zh) 可再充电电池
CN106058134B (zh) 可再充电电池
US8399125B2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WO2021153439A1 (ja) 蓄電装置
US20170025667A1 (en) Secondary battery
US20090098445A1 (en) Cap assembly,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methods of manufacturing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CN105932192B (zh) 可再充电电池
JP6743417B2 (ja) 蓄電素子
KR20140101228A (ko) 전지 모듈
CN107039678B (zh) 二次电池
KR20230095006A (ko) 이차 전지
JP2015185470A (ja) 蓄電素子
JP4451654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EP3136471B1 (en) Battery
JP2017157352A (ja) 蓄電素子の製造方法及び蓄電素子
KR101142682B1 (ko) 배터리 팩
JP6156728B2 (ja) 蓄電素子及び蓄電装置
JP7459025B2 (ja) 電池および電極体ホルダ
KR100624935B1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EP2927994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778978B1 (ko) 리튬 이차전지의 캔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7014171B2 (ja) 角形二次電池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