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813A -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813A
KR20230094813A KR1020210184250A KR20210184250A KR20230094813A KR 20230094813 A KR20230094813 A KR 20230094813A KR 1020210184250 A KR1020210184250 A KR 1020210184250A KR 20210184250 A KR20210184250 A KR 20210184250A KR 20230094813 A KR20230094813 A KR 2023009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elded steel
austenitic
less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1018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813A/ko
Priority to PCT/KR2022/020872 priority patent/WO2023121243A1/ko
Publication of KR2023009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8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7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Mn as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의 한 가지 측면에 따르면,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용접부의 고온균열을 최소화 가능한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Austenitic welded steel tube having wear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강관 소재의 강 조성 및 미세조직과, 강관 제조공정을 최적화함으로써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용접부의 고온균열을 최소화 가능한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마모 환경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구조물은 작업 안전성 및 작업 건전성 등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적인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하다. 부품 및 구조물을 점검 및 교체하기 위해서는 해당 산업 시설의 운용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어야 하므로, 부품 및 구조물의 잦은 점검 및 교체는 생산성 및 경제성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내마모 환경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으며, 해당 부품 및 구조물을 구성하는 소재 자체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광산 산업, 오일 및 가스 산업(Oil and Gas Industries)이 성장함에 따라 채굴, 수송, 정제 및 저장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접강관의 마모가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최근 오일 샌드(Oil Sands)에 대한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으나, 오일 및 가스 산업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API 규격의 강재로 제조한 용접강관은 오일, 암석, 자갈, 모래 등이 포함된 슬러리를 장기간 수송할 수 있는 수준의 내마모성을 확보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우수한 내마모성을 구비한 용접강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측면은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용접부의 고온균열을 최소화 가능한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의 제조방법은,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을 관형으로 성형하여 맞대기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4.3kJ/mm 이하의 입열양으로 상기 맞대기부를 용접하여 용접강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중량%로, C: 0.6~1.3%, Si: 0.1~1.0%, Mn: 11~28%, Cr: 5.0% 이하(0% 포함), P: 0.025% 이하, S: 0.025%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아래의 관계식 1에 의해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가 10~40mJ/m2의 범위를 만족하며, 미세조직으로 80면적% 이상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관계식 1]
적층결함에너지(SFE) = -24.9 + 0.814*[Mn] + 44.3*[C] - 0.62*[Si] + 1.06*[Cu] +7.9*[Al] - 0.555*[Cr]
상기 관계식 1에서, [Mn], [C], [Si], [Cu], [Al] 및 [Cr]은 각각 상기 강판에 포함되는 Mn, C, Si, Cu, Al 및 Cr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0을 대입한다.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의 성형방법은 스파이럴 성형법, UOE 프레스법, 롤밴딩법 및 JCO 성형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맞대기부의 용접방법은, SMAW(shield metal arc welding), GMAW(gas metal arc welding), GTAW(gas tungsten arc welding), FCAW(flux cored arc welding) 및 SAW(sub-merged arc welding)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크용접이거나, 전기저항용접(ERW, electric resistance weldin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의 제조방법은, 오스테나이트가 기지조직인 용접강관모재부; 및 상기 용접강관모재부의 양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부에 형성된 고온균열의 최대 균열 길이가 0.5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접강관모재부는, 중량%로, C: 0.6~1.3%, Si: 0.1~1.0%, Mn: 11~28%, Cr: 5.0% 이하(0% 포함), P: 0.025% 이하, S: 0.025%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아래의 관계식 1에 의해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가 10~40mJ/m2의 범위를 만족하며, 미세조직으로 80면적% 이상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관계식 1]
적층결함에너지(SFE) = -24.9 + 0.814*[Mn] + 44.3*[C] - 0.62*[Si] + 1.06*[Cu] +7.9*[Al] - 0.555*[Cr]
상기 관계식 1에서, [Mn], [C], [Si], [Cu], [Al] 및 [Cr]은 각각 상기 용접강관모재부에 포함되는 Mn, C, Si, Cu, Al 및 Cr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0을 대입한다.
ASTM G65에서 규정하는 내마모 시험 시 상기 용접강관의 마모량은 4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구현예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용접부의 고온균열을 최소화 하여 수명을 극대화한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사항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 가능한 사항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구현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용접강관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강 조성의 함량과 관련하여 기재된 %는 중량을 기준으로 하며, 미세조직의 분율과 관련하여 기재된 %는 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중량%로, C: 0.6~1.3%, Si: 0.1~1.0%, Mn: 11~28%, Cr: 5.0% 이하(0% 포함), P: 0.025% 이하, S: 0.025%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C): 0.6~1.3%
탄소(C)는 강의 강도 확보 및 내마모성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성분이다. 또한, 탄소(C)는 강의 경화능을 향상시키는 성분이며, 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에도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성분이다. 본 발명은 용접강관의 모재 뿐만 아니라 용접이음부의 강도 및 오스테나이트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에 포함되는 탄소(C)의 함량을 0.6% 이상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탄소(C)의 함량은 0.7%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탄소(C) 함량은 0.8% 이상일 수 있다. 반면, 탄소(C)가 과다하게 첨가되는 경우 탄화물이 다량 석출되어 강의 내마모성 및 연신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탄소(C) 함량의 상한을 1.3%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탄소(C) 함량의 상한은 1.2%일 수 있다.
실리콘(Si): 0.1~1.0%
실리콘(Si)은 탈산제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고용강화에 의한 강의 강도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성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이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0.1% 이상의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리콘(Si) 함량의 하한은 0.2%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실리콘(Si) 함량의 하한은 0.2%일 수 있다. 다만, 실리콘(Si)은 고온 및 저온 성형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성분이므로, 본 발명은 실리콘(Si) 함량의 상한을 1.0%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리콘(Si) 함량의 상한은 0.9%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실리콘(Si) 함량의 상한은 0.8%일 수 있다.
망간(Mn): 11~28%
망간(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성분으로, 강의 가공경화도를 높임과 동시에 강도, 충격인성 및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성분이다. 또한, 망간(Mn)은 강의 가공 후 비자성 유지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성분일 뿐만 아니라, 강 중의 황(S)가 결합하여 MnS를 형성하므로 효과적인 탈황이 가능한 성분이기도 한다.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이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11% 이상의 망간(Mn)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망간(Mn) 함량의 하한은 12%일 수 있다. 한편, 망간(Mn)이 과도하게 첨가되는 경우 제조비용의 상승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강의 내식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망간(Mn) 함량의 상한을 28%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망간(Mn) 함량의 상한은 26%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망간(Mn) 함량의 상한은 24%일 수 있다.
크롬(Cr): 5.0% 이하(0% 포함)
크롬(Cr)은 페라이트 안정화 원소로서, 크롬(Cr)이 첨가됨에 따라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의 함량을 낮출 우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크롬(Cr)은 MC 또는 M23C6와 같은 탄화물 생성에 핵심적인 성분으로 작하므로, 일정량 이상의 크롬(Cr)이 첨가되는 경우 보다 높은 수준의 석출 경화도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크롬(Cr)은 강력한 내산화방지 성분이므로, 일정 수준의 크롬(Cr)이 첨가되는 경우 강의 내식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이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크롬(Cr)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크롬(Cr) 함량의 하한은 0.5%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크롬(Cr) 함량의 하한은 1.0%일 수 있다. 한편, 크롬(Cr)이 과도하게 첨가되는 경우 조대한 입계 탄화물을 형성하여 오히려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크롬(Cr) 함량의 상한은 5.0%로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한 크롬(Cr) 함량의 상한은 4.5%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크롬(Cr) 함량의 상한은 4.0%일 수 있다.
인(P): 0.025% 이하(0% 포함)
인(P)은 강의 제조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유입되는 불순물이며, 2차 편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성분이므로, 최대한 그 첨가량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인(P)의 함량은 0%이지만, 인(P)의 첨가량을 0%로 제어하는 것은 과도한 공정부하를 야기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인(P) 함량을 고려하여 그 상한은 0.025%로 제한한다.
황(S): 0.025% 이하(0% 포함)
황(S) 역시 강의 제조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유입되는 불순물이며, 용접시 고온 균열(crack)을 조장하는 성분이므로, 최대한 그 첨가량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적으로 가장 바람직한 황(S)의 함량은 0%이지만, 황(S)의 첨가량을 0%로 제어하는 것은 과도한 공정부하를 야기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황(S) 함량을 고려하여 그 상한은 0.025%로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텐나이트계 강판은 전술한 성분 이외에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전면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전술한 성분 이외에 유효한 성분의 추가적인 첨가가 전면적으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아래의 관계식 1에 의해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가 10~40mJ/m2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관계식 1]
적층결함에너지(SFE) = -24.9 + 0.814*[Mn] + 44.3*[C] - 0.62*[Si] + 1.06*[Cu] +7.9*[Al] - 0.555*[Cr]
상기 관계식 1에서, [Mn], [C], [Si], [Cu], [Al] 및 [Cr]은 각각 상기 강판에 포함되는 Mn, C, Si, Cu, Al 및 Cr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0을 대입한다.
적층결함에너지(SFE)가 낮은 경우, 낮은 연신율로 인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가공 유기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됨에 따라 충격취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관계식 1에 의해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를 10mJ/m2 이상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적층결함에너지(SFE)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항복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관계식 1에 의해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를 40mJ/m2 이하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텐나이트계 강판은 오스테나이트를 기지조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은 80면적% 이상일 수 있으며, 90면적% 이상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외에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기타 조직의 형성을 전면적으로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탄화물 등의 석출물 등을 포함한 기타 잔부조직은 20면적% 이하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을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의 제조방법은, 중량%로, C: 0.6~1.3%, Si: 0.1~1.0%, Mn: 11~28%, Cr: 5.0% 이하(0% 포함), P: 0.025% 이하, S: 0.025%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하기의 관계식 1을 만족하는 슬라브를 1000~130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된 슬라브를 850~950℃의 마무리 압연 온도에서 열간압연하여 열연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열연재를 10~100℃/s의 냉각속도로 600℃ 이하의 온도범위까지 냉각하여 최종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관계식 1]
적층결함에너지(SFE) = -24.9 + 0.814*[Mn] + 44.3*[C] - 0.62*[Si] + 1.06*[Cu] +7.9*[Al] - 0.555*[Cr]
상기 관계식 1에서, [Mn], [C], [Si], [Cu], [Al] 및 [Cr]은 각각 상기 슬라브에 포함되는 Mn, C, Si, Cu, Al 및 Cr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0을 대입한다.
슬라브 가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제공되는 슬라브는, 전술한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의 강 조성과 대응하므로, 슬라브의 강 조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의 강 조성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전술한 강 조성으로 제공되는 슬라브를 1000~1300℃의 온도범위에서 가열할 수 있다. 가열 온도가 일정 범위 미만인 경우, 열간압연 중에 과도한 압연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합금성분이 충분히 고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슬라브 가열 온도의 하한을 1000℃로 제한할 수 있다. 반면, 가열 온도가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결정립이 과도하게 성장하여 강도가 저하되거나, 강의 고상선 온도를 초과하여 열간압연성이 열위해질 수 있으므로, 슬라브 가열 온도의 상한을 1300℃로 제한할 수 있다.
열간압연
열간압연 공정은 조압연 공정 및 마무리 압연 공정을 포함하며, 가열된 슬라브는 열간압연되어 열연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마무리 열간압연 850~950℃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가 과도하게 낮은 경우, 과도한 압연 부하가 우려되므로,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를 850℃ 이상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 강판의 강도 저하가 우려되므로,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를 950℃ 이하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열간압연 완료된열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비 제한적인 예로서 열연재의 두께는 6~30mm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냉각
열간압연된 열간재는 10~100℃/s의 냉각속도로 600℃ 이하의 냉각정지 온도까지 냉각될 수 있다. 냉각속도가 일정 범위 미만인 경우 냉각 도중 입계에 석출된 탄화물에 의해 강재의 연성 감소 및 이로 인한 내마모성의 열화가 문제될 수 있으므로, 열연재의 냉각속도를 10℃/s 이상의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다만,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탄화물 석출 억제 효과에는 유리하지만, 통상의 냉각에 있어서 100℃/s를 초과하는 냉각속도는 설비 특성상 구현하기 어려우므로, 냉각속도의 상한을 100℃/s로 제한할 수 있다. 냉각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가속냉각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80면적 이상의 오스테나이트를 기지조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은 90면적%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의 제조방법은,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을 관형으로 성형하여 맞대기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4.3kJ/mm 이하의 입열양으로 상기 맞대기부를 용접하여 용접강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단계
전술한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을 준비한 후, 용접강관을 관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을 관형으로 성형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접강관 제조 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성형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스파이럴 성형법, UOE 프레스법, 롤밴딩법 및 JCO 성형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형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을 관형으로 성형하기 전에 맞대기부를 형성하는 양 단부를 개선 가공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접단계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을 관형으로 성형한 후 맞대기부를 용접하여 용접강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용접방법은 특별히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접강관의 제조 시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용접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SMAW(shield metal arc welding), GMAW(gas metal arc welding), GTAW(gas tungsten arc welding), FCAW(flux cored arc welding) 및 SAW(sub-merged arc welding)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크용접 또는 전기저항용접(ERW, electric resistance welding)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용접에 적용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이 제한하는 성분계를 만족하는 강판을 이용하여 용접을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시 인가되는 용접입열량이 용접부의 고온균열 발생 여부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도출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용접강관의 제조방법은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의 용접시에 인가되는 용접입열량을 4.3kJ/mm 이하의 범위로 제어하므로, 용접라인에서 발생하는 고온균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용접입열량은 4.2kJ/mm 이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용접입열량은 4.1kJ/mm 이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은, 오스테나이트가 기지조직인 용접강관모재부; 및 상기 용접강관모재부의 양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부에 형성된 고온균열의 최대 균열 길이가 0.5mm 이하이고, ASTM G65에서 규정하는 내마모 시험 시 상기 용접강관의 마모량은 4g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접강관모재부는 전술한 오스테나이트계 강판과 대응하는 강 조성 및 미세조직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용접강관에 대해 ASTM G65에서 규정하는 내마모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의 마모량이 4g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마모량을 2g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접부는 4.3kJ/mm 이하의 용접입열량이 적용되어 형성되므로, 용접부에서 고온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즉, 용융라인 상에 고온균열이 형성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며, 고온균열이 발생하더라도 고온균열의 최대 균열 길이가 0.5mm 이하의 수준으로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은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용접부에서의 고온균열 형성을 최소화 하므로, 가혹한 내마모 환경에 적용되더라도 그 수명을 효과적으로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며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된다.
(실시예 1)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합금성분을 가지는 슬라브를 준비한 후, 전술한 공정조건을 적용하여 각각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강종 합금성분(wt%)
C Si Mn Cr P S 관계식 1
발명강 1 1.0 0.2 18 3 0.001 0.0007 33
발명강 2 0.8 0.2 16 1 0.001 0.0007 23
발명강 3 0.6 0.5 24 2 0.001 0.0007 28
비교강 1 0.6 0.2 1.5 1 0.001 0.0007 2.2
각 시편을 절단한 후 경면을 제작하고, 2vol%의 나이탈 에칭액을 이용하여 부식시킨 후 광학현미경과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하였으며, 각 시편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을 표 2에 기재하였다. 또한, ASTM G65의 규정에 따라 각 시험에 대한 마모시험을 실시한 후 마모량을 측정하여 내마모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시편 No. 강종 오스테나이트 분율
(면적%)
ASTM G65 마모량
(g)
1 발명강 1 90 0.5
2 발명강 2 91 0.5
3 발명강 3 98 0.9
4 비교강 1 5 2.9
표 1 및 표 2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한하는 합금성분 및 미세조직을 만족하는 발명강 1 내지 3의 경우 우수한 내마모 특성을 구비하는 반면, 본원발명이 제한하는 합금성분 및 미세조직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강 1은 상대적으로 열위한 내마모 특성을 구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발명강 1의 시편에 대해 다음의 용접 조건으로 용접을 실시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용접부의 고온균열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790A*38V를 이용하여 4.4kJ/mm의 입열양으로 SAW(sub-merged arc welding) 용접을 실시한 조건 1의 경우, 최대 균열 길이가 0.5mm를 초과하는 고온균열이 용접부에서 확인되었다. 반면, 650A*35V를 이용하여 3.5kJ/mm의 입열양으로 SAW(sub-merged arc welding) 용접을 실시한 조건 2의 경우, 최대 균열 길이가 0.5mm를 초과하는 고온균열이 용접부에서 확인되지 않았는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은 용접부에서의 균열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7)

  1.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을 관형으로 성형하여 맞대기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 및
    4.3kJ/mm 이하의 입열양으로 상기 맞대기부를 용접하여 용접강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은,
    중량%로, C: 0.6~1.3%, Si: 0.1~1.0%, Mn: 11~28%, Cr: 5.0% 이하(0% 포함), P: 0.025% 이하, S: 0.025%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아래의 관계식 1에 의해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가 10~40mJ/m2의 범위를 만족하며,
    미세조직으로 80면적% 이상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관계식 1]
    적층결함에너지(SFE) = -24.9 + 0.814*[Mn] + 44.3*[C] - 0.62*[Si] + 1.06*[Cu] +7.9*[Al] - 0.555*[Cr]
    상기 관계식 1에서, [Mn], [C], [Si], [Cu], [Al] 및 [Cr]은 각각 상기 강판에 포함되는 Mn, C, Si, Cu, Al 및 Cr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0을 대입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강판의 성형방법은 스파이럴 성형법, UOE 프레스법, 롤밴딩법 및 JCO 성형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대기부의 용접방법은,
    SMAW(shield metal arc welding), GMAW(gas metal arc welding), GTAW(gas tungsten arc welding), FCAW(flux cored arc welding) 및 SAW(sub-merged arc welding)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아크용접이거나,
    전기저항용접(ERW, electric resistance welding)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5. 오스테나이트가 기지조직인 용접강관모재부; 및
    상기 용접강관모재부의 양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용접부를 포함하는 용접강관으로,
    상기 용접부에 형성된 고온균열의 최대 균열 길이가 0.5mm 이하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강관모재부는,
    중량%로, C: 0.6~1.3%, Si: 0.1~1.0%, Mn: 11~28%, Cr: 5.0% 이하(0% 포함), P: 0.025% 이하, S: 0.025%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아래의 관계식 1에 의해 정의되는 적층결함에너지(SFE)가 10~40mJ/m2의 범위를 만족하며,
    미세조직으로 80면적% 이상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관계식 1]
    적층결함에너지(SFE) = -24.9 + 0.814*[Mn] + 44.3*[C] - 0.62*[Si] + 1.06*[Cu] +7.9*[Al] - 0.555*[Cr]
    상기 관계식 1에서, [Mn], [C], [Si], [Cu], [Al] 및 [Cr]은 각각 상기 용접강관모재부에 포함되는 Mn, C, Si, Cu, Al 및 Cr 함량(중량%)을 의미하며, 해당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0을 대입한다.
  7. 제5항에 있어서,
    ASTM G65에서 규정하는 내마모 시험 시 상기 용접강관의 마모량은 4g 이하인,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KR1020210184250A 2021-12-21 2021-12-21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4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250A KR20230094813A (ko) 2021-12-21 2021-12-21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PCT/KR2022/020872 WO2023121243A1 (ko) 2021-12-21 2022-12-20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250A KR20230094813A (ko) 2021-12-21 2021-12-21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813A true KR20230094813A (ko) 2023-06-28

Family

ID=86903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250A KR20230094813A (ko) 2021-12-21 2021-12-21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4813A (ko)
WO (1) WO20231212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735B1 (ko) * 2012-12-21 2014-11-14 주식회사 포스코 피삭성과 연성이 우수한 내마모 오스테나이트계 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27989B1 (ko) * 2015-08-28 2017-04-18 주식회사 세아제강 고망간강 강관 제조방법
KR101817085B1 (ko) * 2015-09-23 2018-01-10 (주)휴스틸 전기저항 용접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강관의 제조방법
KR20190050926A (ko) * 2017-12-26 2019-05-14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강을 이용한 슬러리 파이프 제조방법
BR112020014123A2 (pt) * 2018-03-29 2020-12-01 Nippon Steel Corporation chapa de aço austenítica resistente ao desg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1243A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397B1 (ko) 내수소 유기 균열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 파이프용 강판 및 고강도 라인 파이프용 강관
TWI530572B (zh) Ferrous iron - Ma Tian San iron 2 - phase stainless ste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643271B1 (ko) 내마모 용접 강관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0209461A (ja) 耐水素誘起割れ性に優れた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板及び高強度ラインパイプ用鋼管
KR20210143296A (ko) Tig 용접용 용가재
KR20210099627A (ko) 고강도 강 제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42371A (ko) 용접 조인트 및 용접 조인트의 제조 방법
JP7016345B2 (ja) マイクロ合金鋼およびその鋼の生産方法
CN108368585B (zh) 韧性和内部品质优异的耐磨钢材及其制造方法
JP4751341B2 (ja) 溶接熱影響部のctodが優れた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49210B2 (ja)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が優れた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76574B2 (ja) 大入熱溶接熱影響部の靭性に優れた厚鋼板
KR100957961B1 (ko) 용접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라인파이프 강재 및 그제조방법
KR20230094813A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EP3795708A1 (en) High chromium creep resistant weld metal for arc welding of thick walled steel members
US20210292876A1 (en) Austenitic Heat Resistant Alloy and Welded Joint Including the Same
KR20170046588A (ko) 강판 및 접합체
KR102112172B1 (ko)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4814A (ko) 슬러리 이송용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5051A (ko) 박벽 강 부재의 아크 용접을 위한 고크롬 크리프 내성 용접 금속
KR20230094823A (ko) 고경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4815A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KR102134310B1 (ko)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94846A (ko) 고경도 용접강관 및 그 제조방법
JP4513311B2 (ja) 疲労強度特性に優れた溶接継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