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809A - 이미지 센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809A
KR20230094809A KR1020210184246A KR20210184246A KR20230094809A KR 20230094809 A KR20230094809 A KR 20230094809A KR 1020210184246 A KR1020210184246 A KR 1020210184246A KR 20210184246 A KR20210184246 A KR 20210184246A KR 20230094809 A KR20230094809 A KR 20230094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sensor
sensor system
lens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삼
강승열
주철웅
피재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809A/ko
Publication of KR20230094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Abstract

이미지 센서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시스템은, 기판, 기판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기판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하되, 광 수신부는, 반사된 빛을 포커싱하는 제1 렌즈, 제1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 스위칭부로부터 투과된 빛을 시준하는 시준기, 시준기로부터 전달된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필터막, 필터막을 투과한 빛을 포커싱하는 제2 렌즈 및 제2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포토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 시스템{Image Sensor System}
기재된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우리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TV를 시청하는 시간보다 휴대폰을 통해 영상을 감상하거나 게임을 즐기는 시간이 더 많은 사람들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전화와 문자 기능만을 가졌던 구시대의 휴대폰은 인터넷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큰 변화를 맞이하였으며, 이제는 카메라, 게임, 음악, 네비게이션, 신용카드 결재, 계좌 이체 등 다양한 기능들이 휴대폰에 집중적으로 추가되고 있다.
소비자들이 휴대폰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양 중의 하나가 카메라 성능이다. 다양한 휴대폰 광고들을 보면 고화질과 떨림 방지 뿐만 아니라 야간촬영, 파노라마 촬영 등 다양한 기능들이 강조되고 있다.
한편, 초분광 이미지는 기존의 적색(red), 녹색(green)과 청색(blue), 3원색을 활용한 사물의 상태나 이미지가 아닌, 많은 수의 전자기파 스펙트럼 밴드(spectrum band)에 따라 이미지 정보를 초분광 큐브(hypercube)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상태(state), 조성(composition), 특징(feature) 및 변이(transform) 등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하천의 녹조화를 예로 든다면, 기존의 사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하천에서 녹조가 발생된 영역만을 검출할 수 있다. 반면, 초분광 이미지로는 녹조 발생 물질의 농도 뿐만 아니라 하천의 수질 상태까지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초분광 이미지 센서 시스템은 가뭄, 환경오염, 수자원 분석, 농작물 분석 등의 환경 분야와, 정보와 감시 등의 국방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진단 등의 의료분야 등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이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초분광 이미지 센서 시스템은 중형 혹은 대형 크기로서 별개의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다른 기기와의 일체화를 위한 집적화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한국 등록번호: 10-4146561
기재된 실시예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소형 모바일(mobile) 기기로의 적용이 가능한 초분광 이미지 센서 시스템(hyperspectral image sensor system)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시스템은, 기판, 기판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기판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하되, 광 수신부는, 반사된 빛을 포커싱하는 제1 렌즈, 제1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 스위칭부로부터 투과된 빛을 시준하는 시준기, 시준기로부터 전달된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필터막, 필터막을 투과한 빛을 포커싱하는 제2 렌즈 및 제2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포토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판은,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투명 재질들 중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기판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유연 소재들 중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광원은, 광원은, LED 또는 OLED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는, 전기장에 의해 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액정 및 액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들은, 투명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필터막은, 금속막 또는 유전체 막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소정 파장은, 막의 종류 또는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포토디텍터는, 제2 렌즈로부터 전달된 빛을 흡수하여 광 흡수층 및 광 흡수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 흡수층은, 실리콘 또는 유기 화합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전극들은, 투명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이때, 포토디텍터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시스템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포커싱하는 제1 렌즈, 제1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 스위칭부로부터 투과된 빛을 시준하는 시준기, 시준기로부터 전달된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필터막, 필터막을 투과한 빛을 포커싱하는 제2 렌즈 및 제2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포토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부는, 전기장에 의해 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액정 및 액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막은, 금속막 또는 유전체 막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소정 파장은, 막의 종류 또는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포토디텍터는, 제2 렌즈로부터 전달된 빛을 흡수하여 광 흡수층 및 광 흡수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토디텍터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소형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피사체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이 설치된 기판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부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그램은, 광원 및 이미지 센서부를 제어하여 소정 피사체의 초분광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미지 센서부는, 반사된 빛을 포커싱하는 제1 렌즈, 제1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 스위칭부로부터 투과된 빛을 시준하는 시준기, 시준기로부터 전달된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필터막, 필터막을 투과한 빛을 포커싱하는 제2 렌즈 및 제2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포토 디텍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 따라, 초분광 이미지 센서 시스템을 소형 모바일 기기 내로 집적화가 가능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 따라, 초분광 이미지를 얻기 위해 별도의 부피가 큰(bulky) 시스템을 구입할 필요가 없으며, 큰 비용의 추가 지불없이 소비자는 초분광 이미지를 손쉽게 얻을 수 있고 쉽게 활용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 집적화 되므로 소비자가 초분광 이미지를 손쉽게 얻을 수 있고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높은 접근성과 높은 편이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220)의 상세 구성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포토 디텍터(260)의 상세 구성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또는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같은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기판, 생체 인식 필름, 및 광 굴절 층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시스템 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시스템(10)은, 기판(20), 기판(20)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100) 및 기판(20)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판(20)은,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투명 재질들 중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기판(20)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유연(flexible) 소재들 중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광원(100)은, LED 또는 OLED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광원(100)은, 이미지 센서 시스템(10)에 내장된 것일 수도 있으나, 휴대폰이나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소형 모바일(mobile) 기기에 구비된 광원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광 수신부(200)는 소형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광원으로부터 피사체를 향해 조사된 빛의 반사광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피사체는, 사물 혹은 생체(living body)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광 수신부(200)는, 제1 렌즈(210), 스위칭부(220), 시준기(230), 필터막(240), 제2 렌즈(250) 및 포토디텍터(260)가 순차적으로 일렬로 이격 배치되어 구성될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이 광 수신부(2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투과하여 포토 디텍터(26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제1 렌즈(210)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포커싱(focusing)할 수 있다.
이때, 제1 렌즈(210)는, fused silica 등의 무기소재 또는 N,N′-Di(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NPB) 등의 유기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210)는, 몰딩(molding), 마스크(mask) 및 코팅(coating) 중 하나의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스위칭부(220)는, 제1 렌즈(210)에 의해 포커싱된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킨다. 이때, 스위칭부(220)은, 전기장(electric field)과 평행한 방향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220)의 상세 구성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부(220)는, 전기장에 의해 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액정(221) 및 액정(2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222, 22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극들(222, 223)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221)의 배열 방향이 변화되고, 이와 같이 변화되는 액정(221)의 배열 방향에 따라 빛이 투과 또는 차단되어, 스위칭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전극들(222, 223)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되는 스위칭 온/오프는, 광원(100)의 온/오프와 동기화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100)이 장착되는 기기, 즉, 휴대폰이나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소형 모바일(mobile) 기기의 동작의 필요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초분광 이미지를 필요로 하는 것일 경우, 이미지 센서 시스템의 광원(100) 및 스위칭부(220)의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222) 및 제2 전극(223)은, 액정(22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전극(222) 및 제2 전극(223)이 빛이 투과되는 위치에 배치될 경우, 빛이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전극(222) 및 제2 전극(223)는 빛의 투과 경로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액정(221)은, 네마틱(nematic)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극들(222, 223)은, 투명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즉, 제1 전극(222) 및 제2 전극(223)은, ITO(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산화물 전극이거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전극일 수 있다.
시준기(230)는, 스위칭부(220)로부터 투과된 빛을 시준(collimate)한다. 이때, 시준기(230)는, 볼록 렌즈로 제작될 수 있다.
필터막(240)은, 시준기(230)로부터 전달된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킨다. 이때, 필터막(240)은, 금속막 또는 유전체 막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필터막(240)은, 광학 가변필터(optical tunable filter), 특히 패브리 페롯(Fabry-perot) 간섭계 필터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많은 수의 파장을 갖는 빛이 필터막(240)으로 입사되면, 필터막(240) 내에서 발생되는 다중 간섭 현상에 의해 소정 파장만이 투과될 수 있다.
이때, 소정 파장은, 필터막(240)의 종류 또는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금속막 혹은 유전체막의 굴절률 값 또는 금속막 혹은 유전체 막의 두께의 조절을 통해, 금속막 혹은 유전체막을 투과하여 제2 렌즈로 전달되는 빛의 파장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제2 렌즈(250)는, 필터막(240)을 투과한 빛을 포커싱(focusing)한다.
이때, 제2 렌즈(250)는, fused Silica 등의 무기소재 혹은 NPB 등의 유기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250)는, 몰딩, 마스크, 코팅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포토 디텍터(260)는, 제2 렌즈(250)에 의해 포커싱된 빛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포토 디텍터(260)의 상세 구성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토 디텍터(260)는, 제2 렌즈(250)로부터 전달된 빛을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광 흡수층(light absorption layer)(261) 및 광 흡수층(26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262, 264)을 통해 외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 흡수층(261)은, 실리콘 또는 유기 화합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전극들(262, 263)은, 투명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즉, 제3 전극(262) 및 제4 전극(263)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산화물 전극이거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전극일 수 있다.
이때, 제3 전극(262) 및 제3 전극(263)은, 광흡수층(26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3 전극(262) 및 제3 전극(263)이 빛이 투과되는 위치에 배치될 경우, 빛이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3 전극(262) 및 제3 전극(263)은 빛의 투과 경로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포토 디텍터(26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즉, 도 1에서 포토디텍터(260)는 1개로 도시되었지만,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토 디텍터(260)는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와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이미지 센서 시스템(10)의 광원(100)에서 출발한 빛은 이미지 센서 시스템의 외부에 위치한 사물 혹은 생체와 같은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후, 이미지 센서 시스템(10) 내부로 입사된다.
그러면, 이미지 센서 시스템(10)의 광 수신부(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에서 차례로 빛이 투과됨으로써, 초분광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즉,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빛은 제1 렌즈(210)에 의해 포커싱되고, 스위칭부(220), 시준기(230) 및 필터막(240)을 통과하면서, 소정 파장의 빛만이 투과된다.
그런 후, 필터막(240)을 투과한 소정 파장의 빛은 제2 렌즈(250)에 의해 다시 포커싱되어, 포토 디텍터(260)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어, 초분광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소형 모바일(mobile) 기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0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버스(10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0), 메모리(10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0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050) 및 스토리지(10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000)은 네트워크(1095)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030)나 스토리지(10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030) 및 스토리지(1060)는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매체, 비분리형 매체, 통신 매체, 또는 정보 전달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030)는 ROM(1031)이나 RAM(103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피사체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1080) 및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부(10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원(1080) 및 이미지 센서부(1090)은 도 1에 도시된 광원(100) 및 광 수신부(200)와 같이 기판의 상면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광원(1080) 및 이미지 센서부(109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면, 프로그램은, 광원(1080) 및 이미지 센서부(1090)를 제어하여 소정 피사체의 초분광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이미지 센서 시스템 20 : 기판
100 : 광원 200 : 광 수신부
210 : 제1 렌즈 220 : 스위칭부
221 : 액정 222 : 제1 전극
223 : 제2 전극 230 : 시준기
240 : 필터막 250 : 제2 렌즈
260 : 포토디텍터 261 : 광흡수층
262 : 제3 전극 263 : 제4 전극

Claims (19)

  1. 기판;
    기판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기판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광 수신부를 포함하되,
    광 수신부는,
    반사된 빛을 포커싱하는 제1 렌즈;
    제1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
    스위칭부로부터 투과된 빛을 시준하는 시준기;
    시준기로부터 전달된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필터막;
    필터막을 투과한 빛을 포커싱하는 제2 렌즈; 및
    제2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포토 디텍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기판은,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투명 재질들 중 하나로 제작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기판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는 유연 소재들 중 하나로 제작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광원은,
    LED 또는 OLED 중 하나인, 이미지 센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스위칭부는,
    전기장에 의해 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액정; 및
    액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전극들은,
    투명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인, 이미지 센서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필터막은,
    금속막 또는 유전체 막으로 제작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소정 파장은,
    막의 종류 또는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포토디텍터는,
    제2 렌즈로부터 전달된 빛을 흡수하여 광 흡수층; 및
    광 흡수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광 흡수층은,
    실리콘 또는 유기화합물로 제작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전극들은,
    투명 산화물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인, 이미지 센서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포토디텍터는,
    복수 개인, 이미지 센서 시스템.
  13.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포커싱하는 제1 렌즈;
    제1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
    스위칭부로부터 투과된 빛을 시준하는 시준기;
    시준기로부터 전달된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필터막;
    필터막을 투과한 빛을 포커싱하는 제2 렌즈; 및
    제2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포토 디텍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14. 제13 항에 있어서, 스위칭부는,
    전기장에 의해 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액정; 및
    액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필터막은,
    금속막 또는 유전체 막으로 제작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16. 제13 항에 있어서, 소정 파장은,
    막의 종류 또는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17. 제13 항에 있어서, 포토디텍터는,
    제2 렌즈로부터 전달된 빛을 흡수하여 광 흡수층; 및
    광 흡수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전극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시스템.
  18. 제13 항에 있어서, 포토디텍터는,
    복수 개인, 이미지 센서 시스템.
  19.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피사체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광원이 설치된 기판의 상면의 타측에 배치되어,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신하는 이미지 센서부;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그램은,
    광원 및 이미지 센서부를 제어하여 소정 피사체의 초분광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미지 센서부는,
    반사된 빛을 포커싱하는 제1 렌즈;
    제1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부;
    스위칭부로부터 투과된 빛을 시준하는 시준기;
    시준기로부터 전달된 빛으로부터 소정 파장의 빛을 투과시키는 필터막;
    필터막을 투과한 빛을 포커싱하는 제2 렌즈; 및
    제2 렌즈에 의해 포커싱된 빛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포토 디텍터를 포함하는, 소형 단말 장치.
KR1020210184246A 2021-12-21 2021-12-21 이미지 센서 시스템 KR202300948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246A KR20230094809A (ko) 2021-12-21 2021-12-21 이미지 센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246A KR20230094809A (ko) 2021-12-21 2021-12-21 이미지 센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809A true KR20230094809A (ko) 2023-06-28

Family

ID=8699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246A KR20230094809A (ko) 2021-12-21 2021-12-21 이미지 센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8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0988B (zh) 一种显示面板及电子设备
US11514709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using a light detection apparatus with light blocking layer/diaphragm
CN106845451A (zh) 一种指纹成像的光学系统
Gruev et al. CCD polarization imaging sensor with aluminum nanowire optical filters
WO2020220305A1 (zh) 屏下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JP5828371B2 (ja) 画像取得装置、生体認証装置、電子機器
CN209765529U (zh)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KR102641339B1 (ko) Nfv 시준기 및 tft/유기 이미저를 갖는 언더-디스플레이 광학 지문 센서
US20150234102A1 (en) Dynamically focusable multispectral light field imaging
US20200301187A1 (en) Image capture a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in-cell display apparatus
WO2021035622A1 (zh)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CN111052140A (zh)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WO2020220298A1 (zh)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WO2021077406A1 (zh)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CN110716369B (zh) 光圈、摄像头及电子装置
CN112082644A (zh) 屏下环境光传感器和终端设备
CN206470786U (zh) 一种指纹成像的光学系统
WO2020243934A1 (zh) 光学图像采集装置和电子设备
CN110770747B (zh) 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JP2007208587A (ja) カメラの撮像構造
CN111936907A (zh) 一种光学镜头和光学设备
CN107924082B (zh) 将短波红外光上转换为可见光的光学系统
KR20230094809A (ko) 이미지 센서 시스템
US2022032652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head-mounted display, image display system, and patterned polarizer
JP6065083B2 (ja) 画像取得装置、生体認証装置、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