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345A -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345A
KR20230094345A KR1020210183452A KR20210183452A KR20230094345A KR 20230094345 A KR20230094345 A KR 20230094345A KR 1020210183452 A KR1020210183452 A KR 1020210183452A KR 20210183452 A KR20210183452 A KR 20210183452A KR 20230094345 A KR20230094345 A KR 20230094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celia
mononuclear
sawdust
spores
highly concent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성
Original Assignee
김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성 filed Critical 김태성
Priority to KR1020210183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345A/ko
Publication of KR2023009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은, 버섯으로부터 수집된 포자를 배양하고, 1핵 균사를 선별하는 (a)단계, 톱밥을 발효시키는 (b)단계, 상기 (b)단계에 의해 발효된 톱밥에 상기 (a)단계에서 선별된 1핵 균사를 주입하는 (c)단계 및 발효된 톱밥에 주입된 1핵 균사를 배양하여 사료화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eed for Insects Using Mycelium with Highly Concentrated Nutrition}
본 발명은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포자 분리 방식을 통해 1핵 균사만을 골라내어 사료화함에 따라 유통기한이 길고, 영양분이 보다 진하게 농축되어 있는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곤충을 취미로서 사육하는 것에 그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약용, 식용 또는 관련 산업의 자원 등 다양한 목적으로 곤충의 대량 사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곤충의 대량 사육에는 필수적으로 곤충이 섭식해야 할 사료가 필요하며, 사용되는 사료의 품질은 곤충의 번식, 건강 상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톱밥 및 균사를 이용하여 곤충의 애벌레를 사육하는 기술이 보급되어 있다. 여기서 균류인 버섯은 포자가 발아해 자실체를 생성하고, 그 자실체가 포자를 만들어 뿌림으로써 번식하는 번식 기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포자의 발아에 의해 1핵 균사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1핵 균사는 일정하게 생장하면 다른 1핵 균사와 만나 세포벽을 융해해 서로 접합하고, 접합부를 통해 한쪽 핵이 다른 균사 세포로 이동, 2개의 핵을 갖는 2핵 균사를 형성하게 된다.
다만, 2핵 균사는 적절한 환경이 갖춰진 행태에서 자극(온도 급변, 습도 급변, 물리적 충격 등)이 가해지면 버섯이 피게 되고, 영양분이 모두 버섯을 생장시키는 데 이용된다.
따라서 2핵 균사로 곤충용 사료를 만들게 되면 버섯이 피기 전까지만 사료로서 활용도가 높으므로 사료의 유통기한이 짧고, 영양분 급격한 저하와 균사의 급격한 노화로 인하여 사료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1핵 균사는 어떠한 자극이 가해져도 버섯이 피지 않는 고자 균이므로, 영양분이 항상 균사에 농축된 상태로 유지되며, 버섯이 피지 않아 유통기한이 길고, 그만큼 긴 시간 동안 농축 배양을 시킬 수 있어 영양분 농축도가 더 진해질 수 있다.
다만, 현재까지는 1핵 균사만을 선별하여 대량으로 배양하는 기술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113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버섯의 포자로부터 1핵 균사만을 골라내어 사료화함에 따라 유통기한이 길고, 영양분이 보다 진하게 농축되어 있는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은, 버섯으로부터 수집된 포자를 배양하고, 1핵 균사를 선별하는 (a)단계, 톱밥을 발효시키는 (b)단계, 상기 (b)단계에 의해 발효된 톱밥에 상기 (a)단계에서 선별된 1핵 균사를 주입하는 (c)단계 및 발효된 톱밥에 주입된 1핵 균사를 배양하여 사료화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단계는, 버섯으로부터 포자를 수집하는 (a-1)단계, 상기 (a-1)단계에 의해 수집된 포자를 배양하여 포자에 포함된 균사의 밀도를 낮추는 (a-2)단계, 상기 (a-2)단계에 의해 배양된 포자에서 1핵 균사를 1차 선별하여 배양하는 (a-3)단계 및 상기 (a-3)단계를 통해 1차 선별되어 배양된 1핵 균사를 검증하여 클램프가 존재하지 않는 1핵 균사만을 2차 선별하는 (a-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2)단계는, 수집된 포자를 멸균수에서 복수 회 희석하고, 배지에서 배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a-4)단계에 의해 2차 선별된 1핵 균사를 복수 회 배양하고, 각 배양 과정에서 기 설정된 균활력기준값 이상으로 균활력이 강하고, 기 설정된 오염도기준값 미만으로 오염도가 낮은 우량 1핵 균사를 선별하는 (a-5)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b)단계는, 톱밥에 영양제 및 물을 혼합 교반하여 발효시키는 (b-1)단계, 상기 (b-1)단계에 의해 발효된 톱밥에 영양제 및 물을 혼합 교반하여 기 설정된 크기로 소분하는 (b-2)단계 및 상기 (b-2)단계에 의해 소분된 상태의 발효된 톱밥에 대해 상압 살균을 진행하는 (b-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는, 상기 (b-3)단계에 의해 멸균 처리된 상태의 발효된 톱밥을 냉각시키는 (b-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단계는, 발효된 톱밥에 주입된 1핵 균사를 30일 내지 90일 동안 배양하여 영양분을 농축시켜 사료화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은, 버섯의 포자로부터 1핵 균사만을 선별하여 배양하고, 이를 발효된 톱밥에 주입하여 사료화함에 따라, 유통기한이 길고, 영양분이 보다 진하게 농축되어 있는 곤충용 식용 균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곤충용 식용 균사는 타 방식에 비해 곤충이 섭식을 하였을 때 소화, 흡수 작용을 매우 효과적으로 이끌어 개체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영양을 공급해 곤충의 최적 성장 상태와 사료 유지력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의 전체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a)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버섯의 포자, 2핵 균사 및 1핵 균사의 사진을 각각 첨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b)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b)단계의 각 과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을 각각 첨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의 전체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은 전체적으로 (a)단계 내지 (d)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a)단계는 버섯으로부터 수집된 포자를 배양하고, 1핵 균사를 선별하는 과정이다.
즉 본 과정에서는 버섯으로부터 포자를 수집한 뒤, 이를 배양하는 과정에서 1핵 균사와 2핵 균사를 분리하고, 1핵 균사만을 선별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a)단계는, 세부적인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a)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단계는, 먼저 버섯으로부터 포자를 수집하는 (a-1)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a-1)단계에서는, 준비된 버섯의 포자를 수집하기 위해 빈 페트리 디쉬 등과 같은 기자재에 버섯을 올린 상태로, 수일간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시설에 두어 포자를 수집하는 방식이 수행될 수 있다.
본 과정의 경우 버섯의 갓의 아래에서 나오는 포자를 수집하게 되며, 시설에 버섯을 두고 포자를 수집하는 기간은 약 5일일 수 있다.
다음으로, (a-1)단계에 의해 수집된 포자를 배양하여 포자에 포함된 균사의 밀도를 낮추는 (a-2)단계가 수행된다.
(a-2)단계에서는 전술한 (a-1)단계에서 수집한 포자를, 임의의 도구를 활용하여 멸균수에 넣어 복수 회 희석하고, 배지에 수일간 배양을 수행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PDA배지일 수 있으며, 또한 배양을 수행하는 기간은 약 10일일 수 있다.
본 과정에서 포자를 희석하는 이유는, (a-1)단계에서 수집된 포자의 양이 상당히 많을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많은 균사가 얽혀 1핵 균사와 2핵 균사의 구분이 힘들기 때문에, 가시성 확보를 위하여 이들을 흩뜨려 밀도를 낮추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a-3)단계에서는, (a-2)단계에 의해 배양된 포자에서 1핵 균사를 1차 선별하여 배양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과정에서는 (a-2)단계에서 오염이 없이 배양이 잘 된 배지를 골라 최대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포자, 즉 1핵 균사를 선별하여 미리 준비된 PDA배지 등에서 수일간 배양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과정에서는 1차 필터링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배양하는 이유는 포자의 크기를 키우거나 더 성숙시켜 1차 선별된 포자가 진짜 1핵 균사인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a-2)단계에서 배양을 수행하는 기간은 약 10일일 수 있다.
다음으로, (a-3)단계를 통해 1차 선별되어 배양된 1핵 균사를 검증하여 클램프가 존재하지 않는 1핵 균사만을 2차 선별하는 (a-4)단계가 수행된다.
본 과정에서는 (a-3)단계에서 오염이 없이 계대 배양이 잘 된 배지를 골라 고배율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클램프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클램프가 존재하지 않는 포자만을 구별하여 2차 선별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가 존재하는 균사는 2핵 균사이고, 클램프가 존재하지 않는 균사는 1핵 균사이므로, 클램프가 존재하지 않는 1핵 균사만을 구별하여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a-4)단계 이후에는, (a-4)단계에 의해 2차 선별된 1핵 균사를 복수 회 배양하고, 각 배양 과정에서 기 설정된 균활력기준값 이상으로 균활력이 강하고, 기 설정된 오염도기준값 미만으로 오염도가 낮은 우량 1핵 균사를 선별하는 (a-5)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과정에서는 현미경으로 최종 확인이 된, 클램프가 존재하지 않은 1핵 균사만을 모아 PDA배지에 약 3회 배양을 진행한다. 이때 3회를 기준으로 균활력이 강하고 오염되지 않은 포자를 최종 우량 종균으로 지정할 수 있다.
즉 (a-5)단계를 통해, (a-4)단계의 2차 필터링 단계를 통해 진정한 1핵 균사를 뽑아낸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1핵 균사 중에서도 균활력이 강한 우수한 균사를 골라낸다.
이는 1핵 균사의 균활력이 우수해야 사료의 원재료가 되는 종균 배양 기간이 짧으며, 이에 따라 사료 대량생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1핵 균사의 균활력이 우수해야 영양분 농축의 정도도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도 3은 버섯의 포자, 2핵 균사 및 1핵 균사의 사진을 각각 첨부한 도면이다.
도 3의 좌측 상부에 첨부된 사진은 배양된 포자의 모습을 담고 있으며, 좌측 하부에 첨부된 사진은 클램프가 존재하는 2핵 균사의 모습을, 우측에 첨부된 사진은 클램프가 존재하지 않는 1핵 균사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a)단계에 의해 1핵 균사를 선별한 후, 1핵 균사를 사료화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톱밥을 발효시키는 (b)단계가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b)단계의 세부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b)단계의 각 과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을 각각 첨부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단계는 먼저 톱밥에 영양제 및 물을 혼합 교반하여 발효시키는 (b-1)단계를 포함한다.
본 과정에서는 도 5의 좌측 상부에 첨부된 사진과 같이 벌목되어 톱밥화된 나무를 영양제와 물(45~50%)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발효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효 기간은 약 20일일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우측 상부 및 좌측 하부에 각각 첨부된 사진과 같이 (b-1)단계에 의해 발효된 톱밥에 영양제 및 물을 혼합 교반하여 기 설정된 크기로 소분하는 (b-2)단계가 수행된다. 도 5의 우측 상부 사진은 입봉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좌측 하부 사진은 입봉이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b-2)단계에 의해 소분된 상태의 발효된 톱밥에 대해 상압 살균을 진행하는 (b-3)단계가 각각 수행된다.
(b-3)단계에서는 도 5의 우측 하부에 첨부된 사진과 같이 발효된 후 소분된 톱밥을 다시 영양제와 물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적정 수분(45~50%) 을 맞춘 후, 상압 살균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압 살균은 소분된 톱밥을 살균기에 적재 후 문을 닫고, 고압 스팀 보일러 증기를 이용하여 102℃의 고온 분위기에서 약 9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한편 (b)단계는, (b-3)단계에 의해 멸균 처리된 상태의 발효된 톱밥을 냉각시키는 (b-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b-4)단계에서의 냉각 온도는 약 18℃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냉각을 수행하는 이유는 박테리아 등이 중간에 성장할 시간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b)단계에 의해 발효된 톱밥에 (a)단계에서 선별된 1핵 균사를 주입하는 (c)단계와, 발효된 톱밥에 주입된 1핵 균사를 배양하여 사료화하는 (d)단계가 각각 수행된다.
즉 (c)단계에서는 곤충용 식용균사를 사료화하기 위해 발효된 톱밥에 1핵 균사를 주입하며, (d)단계에서는 발효된 톱밥에 주입된 1핵 균사를 수십일간 배양하여 영양분을 농축시켜 사료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발효된 톱밥에 주입된 1핵 균사의 배양 기간은 먼저 약 30일간 배양을 진행하고, 오염이 없는 1핵 균사를 선별하여 추가로 약 30일 내지 90일간 배양할 수 있다.
여기서 1핵 균사만을 선별하지 않은 종래 다른 사료의 경우에는 최대 15일 정도밖에 배양시킬 수 없다. 이는 종래 다른 사료는 1핵 균사만을 별도로 구분해내지 않은 것이므로 15일 이상 배양시키면 버섯이 필 확률이 높아지고, 따라서 유통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30일 동안 배양을 진행한 뒤 추가로 30일 내지 90일간 배양하더라도 1핵 균사만을 가지고 있는 특성 상 버섯이 피지 않으며, 배양 시간이 늘어날수록 영양분이 더 농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곤충용 식용균사는, 곤충이 종래 다른 사료에 비해 더 적은 양을 먹고도 잘 자랄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곤충용 식용균사의 제조가 완료되며, 이는 이후 저온에서 보관하여 균 활동을 둔하게 만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7)

  1. 버섯으로부터 수집된 포자를 배양하고, 1핵 균사를 선별하는 (a)단계;
    톱밥을 발효시키는 (b)단계;
    상기 (b)단계에 의해 발효된 톱밥에 상기 (a)단계에서 선별된 1핵 균사를 주입하는 (c)단계; 및
    발효된 톱밥에 주입된 1핵 균사를 배양하여 사료화하는 (d)단계;
    를 포함하는,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버섯으로부터 포자를 수집하는 (a-1)단계;
    상기 (a-1)단계에 의해 수집된 포자를 배양하여 포자에 포함된 균사의 밀도를 낮추는 (a-2)단계;
    상기 (a-2)단계에 의해 배양된 포자에서 1핵 균사를 1차 선별하여 배양하는 (a-3)단계; 및
    상기 (a-3)단계를 통해 1차 선별되어 배양된 1핵 균사를 검증하여 클램프가 존재하지 않는 1핵 균사만을 2차 선별하는 (a-4)단계;
    를 포함하는,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2)단계는,
    수집된 포자를 멸균수에서 복수 회 희석하고, 배지에서 배양을 수행하는,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a-4)단계에 의해 2차 선별된 1핵 균사를 복수 회 배양하고, 각 배양 과정에서 기 설정된 균활력기준값 이상으로 균활력이 강하고, 기 설정된 오염도기준값 미만으로 오염도가 낮은 우량 1핵 균사를 선별하는 (a-5)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톱밥에 영양제 및 물을 혼합 교반하여 발효시키는 (b-1)단계;
    상기 (b-1)단계에 의해 발효된 톱밥에 영양제 및 물을 혼합 교반하여 기 설정된 크기로 소분하는 (b-2)단계; 및
    상기 (b-2)단계에 의해 소분된 상태의 발효된 톱밥에 대해 상압 살균을 진행하는 (b-3)단계;
    를 포함하는,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b-3)단계에 의해 멸균 처리된 상태의 발효된 톱밥을 냉각시키는 (b-4)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발효된 톱밥에 주입된 1핵 균사를 30일 내지 90일 동안 배양하여 영양분을 농축시켜 사료화를 진행하는,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KR1020210183452A 2021-12-21 2021-12-21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KR20230094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452A KR20230094345A (ko) 2021-12-21 2021-12-21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452A KR20230094345A (ko) 2021-12-21 2021-12-21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345A true KR20230094345A (ko) 2023-06-28

Family

ID=8699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452A KR20230094345A (ko) 2021-12-21 2021-12-21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3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30B1 (ko) 2012-11-05 2014-05-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의 성장발달과 영양성 증가를 위한 기능성 곤충 사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30B1 (ko) 2012-11-05 2014-05-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곤충의 성장발달과 영양성 증가를 위한 기능성 곤충 사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g et al. Tropical mushrooms: biological nature and cultivation methods
Rasmussen Terrestrial orchids: from seed to mycotrophic plant
CN105794495B (zh) 一种与天麻共生的蜜环菌菌种及其应用
CN102037849B (zh) 一种银耳菌种培育方法
CN101608213A (zh) 一种真姬菇交配型基因的鉴别方法
CN111793567B (zh) 胶膜菌科真菌及其促进白旗兜兰种子萌发形成幼苗的应用
CN110301291A (zh) 一种羊肚菌菌种的培育方法
CN102119629A (zh) 一种低温型草菇新菌株的诱变方法和应用
CN102173883A (zh) 一种杏鲍菇工厂化栽培的培养料新配方
Adedokun et al. Spawn production and cultivation of Pleurotus tuber-regium on agricultural wastes
CN102845218A (zh) 一种冬虫夏草菌中国被毛孢的原生态分离法
Shishikura et al. Four mycelial strains of Entoloma clypeatum species complex form ectomycorrhiza-like roots with Pyrus betulifolia seedlings in vitro, and one develops fruiting bodies 2 months after inoculation
CN111019835A (zh) 一种从箭麻内生真菌中分离蜜环菌的方法
CN101985617A (zh) 一种草菇和杏鲍菇原生质体融合的方法
Díaz et al. Production of Pinus halepensis seedlings inoculated with the edible fungus Lactarius deliciosus under nursery conditions
Scrase et al. Biology and technology of mushroom culture
US6803226B2 (en) Method of forming an artificial Shiro of Matsutake
Weerarathne et al.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is less competitive on rice (Oryza sativa L.) when phosphorus (P) is applied to deeper layers in P-deficient and moisture-limited soils
KR20230094345A (ko)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사료 제조방법
CN105519353B (zh) 一种双孢菇菌种的制备方法
CN108770593B (zh) 一种紫丁香蘑菌株及其子实体栽培方法
KR20230094352A (ko) 고농축 영양 균사를 이용한 곤충용 발효 사료 제조방법
CN110229757A (zh) 一株有效促进作物生长的桔绿木霉js84及其研制的生物有机肥
CN106754487B (zh) 一种解磷菌pc05及其分离筛选方法
CN110122182A (zh) 一种油茶菇菌糠配制灰树花栽培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