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4268A - 교반용 임펠러 - Google Patents

교반용 임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4268A
KR20230094268A KR1020210183278A KR20210183278A KR20230094268A KR 20230094268 A KR20230094268 A KR 20230094268A KR 1020210183278 A KR1020210183278 A KR 1020210183278A KR 20210183278 A KR20210183278 A KR 20210183278A KR 20230094268 A KR20230094268 A KR 20230094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agitation
connection hole
blade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
정진호
김명균
하원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4268A/ko
Publication of KR2023009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on the free end of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01F27/1125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having holes in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ir rotating shafts
    • B01F27/2122Hollow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0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 B01F33/402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comprising supplementary stirring elements
    • B01F33/4021Mixers using gas or liquid agitation, e.g. with air supply tubes comprising supplementary stirring elements the gas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shaft of the stir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용 임펠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는 내부에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교반축; 상기 교반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측둘레면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홀에 연결되며 상기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이 구비되는 임펠러 본체; 및 상기 연결홀 내부에 위치되고, 상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는 유입구 및 하단면에서 상기 유입구의 홀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구를 갖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구성을 통해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 간의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교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교반용 임펠러{IMPELLER FOR STIRRING}
본 발명은 교반용 임펠러에 관한 것이다.
교반용 임펠러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다른 적어도 2 개의 물질 간 혼합 및 반응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교반축 및 교반축에 연결된 임펠러 본체를 포함한다. 일 예로, 가스와 액체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펠러에는 가스 유입부가 구비되어 가스를 액체가 수용된 반응탱크 내부로 유입시켜 가스와 액체 간의 혼합 및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교반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임펠러에 구비된 가스 유입부의 구조에 대해 가스와 액체 간의 혼합 및 반응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유입되는 가스와 액체 간의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설계 및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액체를 포함한 이종물질 간의 혼합 시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교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반용 임펠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교반용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교반축; 상기 교반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측둘레면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홀에 연결되며 상기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이 구비되는 임펠러 본체; 및 상기 연결홀 내부에 위치되고, 상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는 유입구 및 하단면에서 상기 유입구의 홀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구를 갖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교반용 임펠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구성에 따르면,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이 교반축의 유입홀, 임펠러 본체의 연결홀 및 배출부를 통과 시 배출부의 유입구의 홀경보다 작은 복수 개의 배출구를 통해 방사상으로 분산되며 작은 버블의 형태로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로 투입되기 때문에 투입대상물의 버블 사이즈 미세화를 구현할 수 있어 투입대상물의 표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미세화된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를 포함한 교반대상물의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교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를 포함한 교반대상물들의 반응을 촉진시켜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임펠러 본체를 통해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간의 교반성능 뿐만 아니라 고체와 액체 간의 교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하부를 나타낸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에서 배출부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하부를 나타낸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단', '하', '하단', '측면', '내측', '외측'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도 1 내지 도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하부를 나타낸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에서 배출부의 구조 개략도로서, 도 4a는 배출부의 정면 개략도이고, 도 4b는 배출부의 평면 개략도이며, 도 4c는 배출부의 저면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1)는 교반축(10), 교반축(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임펠러 본체(20) 및 임펠러 본체(20)의 연결홀(23) 내부에 위치되는 배출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1)에서, 교반축(10)은 내부에 교반용 임펠러(1)의 축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홀(11)이 형성되고 교반축(10)의 하부에는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를 포함한 교반대상물을 교반하기 위한 임펠러 본체(20)가 연결된다.
여기서, 교반축(10)의 유입홀(11)은 교반축(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교반축(10)의 상단에 교반용 임펠러(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교반축(10)의 유입홀(11)을 통해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이 공급될 수 있다.
도면에서 유입홀(11)은 교반용 임펠러(1)의 축방향(X)으로 관통 형성된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교반축(10)의 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축방향(X)을 따라 연장된 유입홀(11)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1)에서, 임펠러 본체(20)는 내부에 유입홀(11)에 연결되며 축방향(X)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23)이 구비된다. 또한, 임펠러 본체(20)는 교반축(10)이 연결된 상단면, 하단면 및 상단면과 하단면을 연결하며, 교반대상물에 대해 교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블레이드(22)가 배치되는 외측둘레면(21)을 갖는다. 여기서, 교반대상물은 교반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 교반축(10)의 유입홀(11)을 통해 투입되는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 외부에서 교반용기 내부로 투입되는 액체 또는 고체 등 이종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본체(20)의 상단면은 교반축(10)에서 외측둘레면(21)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단경사면(24)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수평방향에 대한 상단경사면(24)의 경사각도는 5 도 내지 30 도의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임펠러 본체(20)의 상단경사면(24)을 통해 교반용 임펠러(1)의 교반축(10)으로부터 액체의 유동이 임펠러 본체(20)의 외측둘레면(21)에 배치된 블레이드(22)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임펠러 본체(20)의 하단면은 연결홀(23)에서 외측둘레면(21)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단경사면(25)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하단경사면(25)에 의해 임펠러 본체(20)의 하단면에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공간을 구성하는데 이는 임펠러 본체(20)의 연결홀(23) 및 배출부(30)으로 유입되는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이 과다 투입되거나 일시적으로 밀려나가지 못하는 경우, 큰 버블로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에 투입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작은 버블의 형태로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로 투입될 수 있다.
나아가, 교반대상물의 교반 촉진을 이루기 위해, 임펠러 본체(20)의 하단경사면(25)에는 복수 개의 슬릿(26)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슬릿(26)은 연결홀(23)에서 외측둘레면(21)을 향해 방사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26)의 구성은 임펠러 본체(20)의 블레이드(22)에 의해 하부로 유도된 교반대상물의 유동이 회전방향으로 더 잘 교반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슬릿(26)은 임펠러 본체(20)의 하단경사면(25)에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져 가공이 용이하여 경제적이고, 교반 과정에서의 교반대상물과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마모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임펠러 본체(2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임펠러 본체(20)의 외측둘레면(21)에 배치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22)는 임펠러 본체(20)의 외측둘레면(21)에서 축방향(X)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블레이드(22)는 동일하게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교반용 임펠러(1)의 축방향(X)에 대한 각각의 블레이드(22)의 경사진 각도는 15도 내지 45 도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교반용 임펠러(1)의 회전방향의 교반과 수직방향(축방향)의 교반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교반용 임펠러(1)를 통해 교반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를 포함한 교반대상물이 임펠러 본체(20)의 블레이드(22)의 경사진 구조를 통해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확보하면서 하측방향으로의 교반대상물의 유동을 함께 유도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교반대상물에 대해 효과적인 교반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를 포함한 교반대상물의 반응을 촉진시켜 반응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임펠러 본체(20)를 통해,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간의 교반성능 뿐만 아니라 고체와 액체 간의 교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블레이드(22)는 임펠러 본체(20)의 외측둘레면(21)에서 축방향(X)을 따라 복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사진 복수 개의 블레이드(22)를 축방향(X)을 따라 복수 층으로 동일하게 반복 배치됨으로써, 부상하는 투입대상물의 버블 미세화 및 분쇄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임펠러 본체(20)의 복수 개의 블레이드(22) 사이의 공간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도 회전방향으로 임펠러 본체(20)의 블레이드(22)가 액체 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임펠러 본체(20)의 각 층의 블레이드(22)는 4 개 내지 8 개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 층으로 배치된 임펠러 본체(20)의 블레이드(22)의 경우, 모두 8 개 내지 16 개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제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구성될 수 도 있으며, 임펠러 본체(20)의 블레이드(22)는 단층구조, 3 개 층 이상의 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1)에서, 배출부(30)는 임펠러 본체(20)의 연결홀(23) 내부에 위치된다. 배출부(30)의 하단면(35)은 임펠러 본체(20)의 하단면(즉 하단경사면(25))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30)는 임펠러 본체(20)의 연결홀(23) 내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거나, 임펠러 본체(20)의 연결홀(23)의 내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부(30)가 임펠러 본체(20)의 연결홀(23)의 내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의 경우, 상기 연결홀(23)은 상부에 위치되며 교반축(10)의 유입홀(11)에 연결되는 제1 연결홀(27) 및 하부에 위치되며 배출부(30)의 유입구(32)에 연결되고 제1 연결홀(27)의 홀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연결홀(28)을 포함하고, 배출부(30)는 제2 연결홀(28)의 내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배출부(30)와 임펠러 본체(20)의 제2 연결홀(28)과의 용이한 탈착 및 정위치로의 정확한 장착을 구현하기 위해, 배출부(30)의 측벽(36)은 하향으로 확장되면서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연결홀(28)의 내주면은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지만, 본 발명에서 이러한 배출부(30)의 측벽(36) 및 제2 연결홀(28)의 내주면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부(30)의 측벽(36)은 수직으로 연장되어 동일 직경을 갖는 원주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연결홀(280)의 내주면도 이와 대응되는 원주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출부(30)의 측벽(36)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임펠러 본체(20)의 제2 연결홀(28)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30)의 정확한 장착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제1 연결홀(27)과 제2 연결홀(28)의 연결부위에는 배출부(30)의 상단면(34)가 맞닿게 배치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부(30)의 측벽(36)과 임펠러 본체(20)의 제2 연결홀(28)의 나사연결에 의해 배출부(30)가 임펠러 본체(20)의 제2 연결홀(28)에 용이하게 체결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배출부(30)를 쉽게 교체하여 유지보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임펠러 본체(20)로부터 배출부(30)를 이탈시켜 교반용 임펠러(1)의 내부 청결을 정기적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어, 임펠러(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출부(30)는 배출통로(31)를 포함한다. 배출통로(31)는 유입구(32) 및 복수 개의 배출구(33)를 갖는다. 배출통로(31)의 유입구(32)는 배출부(30)의 상단면(34)에 형성되며 임펠러 본체(20)의 연결홀(23)에 연결된다. 배출통로(31)의 복수 개의 배출구(33)는 배출부(30)의 하단면(35)에 형성되며 배출통로(31)의 유입구(32)의 홀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통로(31)의 유입구(32)를 통해 유입된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은 각각의 배출통로(31)의 배출구(33)를 통해 작은 버블 형태로 미세화됨으로써 투입되는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 간의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교반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를 포함한 교반대상물의 반응을 촉진시켜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출통로(31)의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유입구(32)에서 배출구(33)를 향해 점차 확장된 사다리꼴 형태로 구성될 수 있거나, 동일 직경을 갖는 원주 형태, 사각형 등 다각형 형태 등일 수 있다. 배출통로(31)의 배출구(33)는 원형, 타원형 등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않으며, 배출통로(31)의 유입구(32)의 홀경보다 작게 구성하며 유입되는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의 버블 사이즈 미세화를 구현할 수 있는 한, 배출통로(31)의 배출구(33)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상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화시키기 위해, 배출통로(31)의 배출구(33)는 6 개 내지 12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배출부(30)에서 배출통로(31)는 상단면(34)에서 하단면(35)을 향해 점차 확장된 테어퍼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배출통로(31)의 배출구(33)는 교반용 임펠러(1)의 축방향(X)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교반축(10)의 유입홀(11)을 통해 유입되는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이 임펠러 본체(20)의 연결홀(23)(제1 연결홀(27))을 지나 배출부(30)를 통과 시, 배출부(30)의 유입구(32)의 홀경보다 작은 복수 개의 배출구(33)를 통해 방사상으로 분산되면서 작은 버블의 형태로 교반용기 내부로 투입되기 때문에 버블 사이즈 미세화를 구현할 수 있어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의 표면적을 극대화킬 수 있으며, 나아가,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와 미세화된 투입대상물의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여 교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를 포함한 교반대상물들의 반응을 촉진시켜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임펠러 본체(20)를 통해, 기체와 액체, 액체와 액체 간의 교반성능 뿐만 아니라 고체와 액체 간의 교반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 본체의 블레이드를 제외한 구성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에 대해 아래에서 중복 설명하지 않고 상기 실시예와 다른 임펠러 본체의 블레이드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구조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의 하부를 나타낸 구조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1a)는 상기 실시예의 교반축(10) 및 배출부(3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교반축(40) 및 배출부(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교반용 임펠러(1a)는 교반축(40)의 하부에 연결되는 임펠러 본체(50)를 포함한다. 임펠러 본체(50)는 내부에 교반축(40)의 유입홀에 연결되며 교반용 임펠러(1a)의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이 구비된다. 배출부(60)는 연결홀의 내부에 위치된다.
임펠러 본체(50)는 외측둘레면(51)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52)가 배치된다. 블레이드(52)는 임펠러 본체(50)의 외측둘레면(51)에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며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경사 블레이드(53) 및 복수 개의 수직 블레이드(5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경사 블레이드(53)는 동일하게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교반용 임펠러(1a)의 축방향에 대한 각각의 경사 블레이드(53)의 경사진 각도는 15도 내지 45 도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경사 블레이드(53)와 복수 개의 수직 블레이드(54)가 둘레방향 즉 회전방향으로 교차 배치된 구성을 통해, 교반용 임펠러(1a)의 회전방향의 교반과 수직방향(축방향)의 교반 성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교반용 임펠러(1a)를 통해 교반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과 교반용기 내부의 액체를 포함한 교반대상물이 임펠러 본체(50)의 경사 블레이드(53)와 수직 블레이드(54)의 교차 배치된 구조를 통해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확보하면서 하측방향으로의 교반대상물의 유동을 함께 유도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교반대상물에 대해 효과적인 교반작용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교반 또는 반응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경사 블레이드(53) 및 복수 개의 수직 블레이드(54)는 임펠러 본체(50)의 외측둘레면(51)에서 축방향을 따라 복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복수 개의 경사 블레이드(53)와 복수 개의 수직 블레이드(54)의 교차 배치된 구조를 축방향을 따라 복수 층으로 동일하게 반복 배치됨으로써, 부상하는 투입대상물의 버블 미세화 및 분쇄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임펠러 본체(50)의 인접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52) 사이의 공간을 적정하게 유지하면서도 회전방향으로 임펠러 본체(50)의 블레이드(52)가 액체 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임펠러 본체(50)의 각 층의 블레이드(52)는 4 개 내지 8 개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사 블레이드(53) 및 수직 블레이드(54)는 각각 동일하게 2 개 내지 4 개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2개 층으로 배치된 임펠러 본체(20)의 블레이드(52)의 경우, 모두 8 개 내지 16 개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경사 블레이드(53) 및 수직 블레이드(54)는 각각 동일하게 4 개 내지 8 개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제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임펠러 본체(50)의 블레이드(52)는 단층구조, 3 개 층 이상의 구조로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1a 교반용 임펠러 10, 40 교반축
11 유입홀 20, 50 임펠러 본체
21, 51 외측둘레면 22, 52 블레이드
23 연결홀 24 상단경사면
25 하단경사면 26 슬릿
27 제1 연결홀 28 제2 연결홀
30, 60 배출부 31 배출통로
32 유입구 33 배출구
34 상단면 35 하단면
36 측벽 53 경사 블레이드
54 수직 블레이드 X 축방향

Claims (10)

  1. 내부에 교반용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액상 또는 기상의 투입대상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교반축;
    상기 교반축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측둘레면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유입홀에 연결되며 상기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연결홀이 구비되는 임펠러 본체; 및
    상기 연결홀 내부에 위치되고, 상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는 유입구 및 하단면에서 상기 유입구의 홀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배출구를 갖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교반용 임펠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단면에서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교반용 임펠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은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홀에 연결되는 제1 연결홀 및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홀의 홀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 연결홀의 내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교반용 임펠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본체의 하단면은 상기 연결홀에서 상기 외측둘레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하단경사면을 이루는, 교반용 임펠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경사면에는 상기 연결홀에서 상기 외측둘레면을 향해 방사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는, 교반용 임펠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본체의 상단면은 상기 교반축에서 상기 외측둘레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단경사면을 이루는, 교반용 임펠러.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임펠러 본체의 외측둘레면에서 상기 축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교반용 임펠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에 대한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의 경사진 각도는 15 도 내지 45 도 범위인, 교반용 임펠러.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임펠러 본체의 외측둘레면에서 둘레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며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경사 블레이드 및 복수 개의 수직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교반용 임펠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임펠러 본체의 외측둘레면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복수 층으로 배치되는, 교반용 임펠러.
KR1020210183278A 2021-12-21 2021-12-21 교반용 임펠러 KR20230094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278A KR20230094268A (ko) 2021-12-21 2021-12-21 교반용 임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278A KR20230094268A (ko) 2021-12-21 2021-12-21 교반용 임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268A true KR20230094268A (ko) 2023-06-28

Family

ID=8699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278A KR20230094268A (ko) 2021-12-21 2021-12-21 교반용 임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42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0621A (en) Agitator
KR101002216B1 (ko) 배플을 이용한 교반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반능력이 향상된 교반기
KR20140082940A (ko) 교반 장치
US10865459B2 (en) Reactor for gas-liquid mass transfer
EP2070588A1 (en) Stirrer and stirring method
US20130160878A1 (en) Vortex reduction cap
US3942770A (en) Device for stirring a liquid
KR101024842B1 (ko) 수중 교반펌프
KR20230094268A (ko) 교반용 임펠러
JP6869414B1 (ja) 攪拌装置
KR200441163Y1 (ko) 마그네틱 교반기용 임펠러
KR101266470B1 (ko) 교반형 산기장치
JP4754586B2 (ja) 曝気攪拌機
US1726125A (en) Agitator aerator for liquids
KR20060084459A (ko) 분말혼합용 믹서
CN105457528B (zh) 一种快速混合搅拌器
KR200431631Y1 (ko) 원추형 교반기
CN214131431U (zh) 一种化工设备用混合液体搅拌装置
US2143652A (en) Positively controlled vertical agitator and conditioner
US20210178347A1 (en) Chemistry vessel agitator
JP2008284492A (ja) 撹拌装置
CN213113263U (zh) 白酒勾兑罐
CN211865022U (zh) 反应罐
CN215901571U (zh) 一种调浆搅拌槽
US20230191341A1 (en) Liquid and slurry mix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