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882A -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 Google Patents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882A
KR20230093882A KR1020210182872A KR20210182872A KR20230093882A KR 20230093882 A KR20230093882 A KR 20230093882A KR 1020210182872 A KR1020210182872 A KR 1020210182872A KR 20210182872 A KR20210182872 A KR 20210182872A KR 20230093882 A KR20230093882 A KR 20230093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elevating
carriage
fall prevention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호
이상봉
김진욱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1018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882A/ko
Publication of KR2023009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Abstract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는, 물류품이 안착되는 승하강 캐리지(carriage)가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마스트; 승하강 캐리지에 마련되며, 승하강 캐리지의 업/다운(up/down) 이동이 가능한 정상상황과,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나 벨트가 파단되었을 때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비상상황 사이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공압으로 동작하는 공압식추락방지유닛;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하는 파단감지센서유닛; 및 파단감지센서유닛에서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한 경우 공압식추락방지유닛이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비상상황으로 동작하도록 공압식추락방지유닛에 공압을 제공하는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 with pneumatic fall arrester}
본 발명은,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나 벨트가 파단되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여 제품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에 관한 것이다.
물류란 원래 물적 유통의 줄임말이었으나 그 의미가 확장되어 화물의 시간적 가치와 공간적 가치를 창출하는 제반 활동을 의미한다.
최근 온라인 유통이 급증하면서, 각 화물들의 물동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화물유통 산업의 활성화에 따라서 효율적인 물류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즉 화물의 시간적 가치와 공간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것이 기업 경영의 경쟁력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업 경영에 있어 물류관리는 비용절감의 수단뿐만 아니라, 고객서비스 극대화를 통한 경쟁력 향상의 차별화된 전략적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물류시스템의 효율화를 통한 물류처리 속도의 고속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물류처리 속도의 고속화를 위하여, 물류창고 내의 각 설비들의 수용 용량의 증대가 요구되고 있다.
일 예의 물류시스템은 화물의 보관 공간을 갖는 랙(Rack)과, 화물 이동레일과, 화물을 정해진 보관 공간에 승하강하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을 구비하고, 물류시스템내의 스태커 크래인이 입고 대차에서 제품, 부품 등을 인수해 지시된 랙에 수납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일 예의 물류시스템의 경우에는 동시에 여러 화물을 처리하는데, 어느 환경에서는 양적 한계 및 상대적으로 낮은 처리 속도로 인한 물동량 저하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일 예의 물류시스템에서는 고속(100m/min 이상)으로 수직 반송하는 리프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프터에 있어서는 고속 구동을 위하여 승하강 벨트로 승하강 캐리지를 상승 및 하강시키고 있는데,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된 벨트가 파단 시 자유 낙하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이와 같이 승하강 캐리지가 추락 시 승하강 캐리지를 멈추게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리프터에 있어서는, 1차적으로 벨트 파단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사전 위험 요소를 인지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있으나, 안전장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직 승하강되는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되는 조속기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협소한 공간적 제약과 함께 장치 구성 시 상부에서 유지 보수를 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위험요소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현재 특히 화물 이송용 고속 리프터에는 국내 및 해외에서 아직까지 별도의 추락방지장치를 적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4044호(2018.04.2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와이어나 벨트가 파단되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여 제품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크기가 종래보다 작아서 종래보다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가능 공간이 좁거나 제한이 있어 종래 기술의 추락방지장치를 적용할 수 없는 리프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류품이 안착되는 승하강 캐리지(carriage)가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마스트;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마련되며,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업/다운(up/down) 이동이 가능한 정상상황과,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나 벨트가 파단되었을 때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비상상황 사이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공압으로 동작하는 공압식추락방지유닛;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하는 파단감지센서유닛; 및 상기 파단감지센서유닛에서 상기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공압식추락방지유닛이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상기 비상상황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공압식추락방지유닛에 공압을 제공하는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압식추락방지유닛은,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결합되며, 상기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의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공압실린더에 연결되며, 상기 공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작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락방지작동모듈은,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대향되는 상기 마스트의 대향면을 향해 마련되되 상기 마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상기 마스트의 상기 대향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쐐기형성가이드블록; 및 상기 공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에 의해 전진 및 후진가능하며,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과 상기 마스트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락방지쐐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은, 상기 파단감지센서유닛에서 상기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한 경우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을 상기 마스트와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과 상기 마스트 사이에 끼움되어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압실린더에 공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은, 상기 공압실린더에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펌프; 및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상기 공압실린더에 제공되는 공압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은, 상기 공압실린더와 상기 방향제어밸브 사이의 공압 파이프에 마련되어 상기 공압실린더의 공압을 급속으로 배기하는 급속배기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락방지작동모듈은,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결합되며,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이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에는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캠팔로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에는 상기 마스트의 대향면과 접촉하는 면에 우레탄 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단감지센서유닛은,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결합되되, 상기 방향제어밸브에 공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상상황 시 상기 와이어나 벨트에 접촉을 유지하되 상기 와이어나 벨트가 파단되었을 때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동작시킴으로써 공압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을 전진시키는 파단감지트리거밸브일 수 있다. 상기 파단감지트리거밸브는, 상기 와이어나 벨트에 접촉 시 접힌 상태가 되고 상기 와이어나 벨트에 접촉해제 시 펼친 상태가 되는 센싱압축레버; 및 상기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나 벨트에 상기 센싱압축레버가 펼친 상태가 되면 상기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하여 상기 방향제어밸브로 공압을 제공하여 상기 방향제어밸브가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이 전진하는 공압을 상기 공압실린더로 제공하는 상태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전환시키는 트리거밸브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캐리지는, 캐리지프레임; 및 상기 캐리지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화물을 지지하는 캐리지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지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프레임이 상기 마스트에 마련되는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캐리지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및상기 캐리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트에 마련되는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을 주행하는 캐리지주행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캐리지를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은,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승하강모터; 그 일 단부가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마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경유하여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승하강벨트; 상기 승하강모터와 결합되되 상기 승하강모터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승하강감속기; 상기 승하강감속기와 결합되는 승하강커플링; 및 상기 승하강커플링과 결합되며 상기 승하강벨트에 상기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승하강구동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커플링은, 상기 승하강감속기와 연결되는 제1 축연결허브; 상기 승하강구동풀리와 연결되는 제2 축연결허브; 상기 제1 축연결허브와 상기 제2 축연결허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디스크; 및 상기 중앙디스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복수 개의 링크이며, 상기 복수 개의 링크는 상기 제1 축연결허브 및 상기 제2 축연결허브에 대향하는 상기 중앙디스크의 양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 축연결허브 및 상기 제2 축연결허브에는, 상기 링크와 링크 결합되는 링크결합부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스트는, 지면에 접촉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승하강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주행을 안내하는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이 마련되되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 캐리지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컬럼; 및 상기 컬럼과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나 벨트가 파단되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여 제품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크기가 종래보다 작아서 종래보다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가능 공간이 좁거나 제한이 있어 종래 기술의 추락방지장치를 적용할 수 없는 리프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가 포함된 물류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프터의 승하강 캐리지와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리프터의 승하강 캐리지, 공압식추락방지유닛, 파단감지센서유닛 및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리프터의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리프터의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의 승하강커플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A'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B'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리프터의 공압식추락방지유닛, 파단감지센서유닛 및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의 개략적인 공압회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가 포함된 물류시스템의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물류품은 입고컨베이어(30)로 입고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1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입고컨베이어(30)는 물류품의 입고 방식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며, 물류품의 입고 방식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고, 입고컨베이어(30)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입고컨베이어(30)가 물류품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10)로 이송시키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10)는 물류품을 적재타워(50)에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적재타워(50)는 물류품을 적재하여 보관하는 장소를 의미하며, 적재타워(50)는 다수의 물류품이 다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재타워(5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물류품이라 함은 운반할 수 있는 물품의 총칭을 뜻한다. 또한 각 층 또는 각 단에는 스태커 크레인이나 이송 셔틀(60)이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이송 셔틀(60)이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프터의 승하강 캐리지와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리프터의 승하강 캐리지, 공압식추락방지유닛, 파단감지센서유닛 및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10)는, 마스트(1000)와, 승하강 캐리지(2000)와,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과, 공압식추락방지유닛(4000)과, 파단감지센서유닛(5000)과,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6000)을 포함한다.
마스트(1000)는, 물류품이 안착되는 승하강 캐리지(carriage)(2000)가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마스트(1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고컨베이어(30)와 적재타워(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트(1000)은, 도 2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01)과, 한 쌍의 컬럼(1002)과, 상부프레임(100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1001)은, 지면에 접촉하여 리프터(10)의 안정성을 높이며, 리프터(10)가 물류품을 고속 이송할 수 있도록 지지구조 역할을 한다.
컬럼(1002)은 하부프레임(1001)과 결합된다. 또한 컬럼(1002)은 승하강 캐리지(2000)의 승하강 방향으로 마련되어 승하강 캐리지(2000)의 주행을 안내하는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1003)을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1003)은, 승하강 캐리지(2000)가 안정되게 고속 승하강 가능하도록 한다.
한 쌍의 컬럼(1002)은 승하강 캐리지(200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되, 승하강 캐리지(2000)을 양측에서 지지하여 승하강 캐리지(2000)이 고속 승하강시에 임의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지주 역할을 하여, 승하강 캐리지(2000)의 고속 승하강시에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컬럼(1002)은 리프터(10)에 의한 물류품의 고속 이송시 승하강 캐리지(2000)을 지지하고, 전술한 하부프레임(1001)은 지면에 접촉되어 리프터(10)에 의한 물류품의 고속 승하강시 리프터(10)의 안정성을 높인다.
상부프레임(1004)은 한 쌍의 컬럼(1002)을 상호 연결하여 컬럼(1002)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한편, 승하강 캐리지(2000)에는 물류품이 안착된다. 이러한 승하강 캐리지(2000)는, 캐리지프레임(2010)과, 캐리지컨베이어(2020)와, 가이드롤러(2030)와, 캐리지주행롤러(2040)와, 스토퍼(2050)를 포함한다.
캐리지프레임(2010)은 골격을 형성하며, 캐리지컨베이어(2020)는 캐리지프레임(2010)에 마련되며, 캐리지컨베이어(2020)이 물류품을 직접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캐리지컨베이어(2020)는 1단으로 마련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리지컨베이어(2020)는, 캐리지프레임(2010)에 결합되는 제1 캐리지컨베이어와, 제1 캐리지컨베이어와 이격되어 캐리지프레임(2010)에 결합되는 제2 캐리지컨베이어를 포함하여 다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캐리지주행롤러(2040)는 캐리지프레임(2010)에 결합되어 마스트(1000)에 마련되는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1003)을 주행한다.
다음으로 가이드롤러(2030)는 본 실시 예에서 복수 개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2030)는 캐리지프레임(20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캐리지프레임(2010)이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1003)을 이탈하지 않도록 캐리지프레임(201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롤러(2030)가 캐리지프레임(2010)의 이동 시에 캐리지프레임(2010)이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1003)을 이탈하지 않도록 캐리지프레임(2010)의 이동을 가이드하므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리프터(10)가 물류품을 고속 승하강 하는 경우에도, 리프터(10)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고속 물류품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스토퍼(2050)는 적어도 하나가 캐리지프레임(20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캐리지프레임(2010)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2050)가 캐리지프레임(2010)의 이동을 멈추게 할 수 있으므로, 고속의 물류품 승하강으로 캐리지프레임(2010)의 정지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완충 성질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리프터의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리프터의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의 승하강커플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과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은 마스트(1000)의 일측에 마련되며, 승하강 캐리지(2000)를 마스트(1000)의 상하방향을 따라 승하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은 마스트(1000)의 하단부에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은 마스트(1000)의 적절한 부분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은, 승하강모터(3010)와, 벨트(3020)와, 승하강감속기(3030)와, 승하강커플링(3040)과, 승하강구동풀리(30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은 승하강모터(3010)에서 회전력(Torque)를 발생시키고, 승하강모터(3010)는 승하강감속기(3030)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승하강감속기(3030)는 회전력을 증폭시켜 물류품의 승하강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승하강감속기(3030)는 물류품의 승하강 구동력을 승하강커플링(3040)으로 전달시키며, 승하강커플링(3040)은 승하강구동풀리(3050)로 구동력을 전달시키며, 승하강구동풀리(3050)는 벨트(3020)로 구동력을 전달시키고, 벨트(3020)는 승하강 캐리지(2000)을 마스트(1000)의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킨다.
승하강모터(30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력을 발생시켜 승하강감속기(3030)로 회전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 승하강모터(3010)는 서보모터(Servomotor)로 마련된다.
승하강감속기(3030)는 승하강모터(3010)와 결합되며, 승하강모터(301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되, 회전력을 증폭시켜 물류품의 승하강 구동력을 승하강커플링(3040)에 전달시키는 장치이다.
즉, 승하강감속기(3030)는 승하강모터(3010)의 회전속도를 정해진 감속비(Reduction gear ratio)로 감속시키되 회전력을 증폭시켜 승하강커플링(3040)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감속기능 외에 동력 전달 기능을 가지므로, 회전력을 감속비 만큼 증폭시키고, 물류품의 승하강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물류품의 승하강 구동력을 승하강커플링(3040)에 전달시킨다.
도 5 및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감속기(3030)와 결합하는 승하강커플링(3040)은, 제1 축연결허브(3041)와, 제2 축연결허브(3042)와, 중앙디스크(3043)와, 링크(3044)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커플링(3040)은 물류품의 승하강 구동력을 승하강구동풀리(3050)에 전달시키며 각 구성요소들의 오정렬(Misalignment) 현상을 보정 한다.
오정렬은, 두 구성요소가 축중심이 평행하지 않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나, 축중심이 어긋나거나 비뚤어지게 조립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각 구성요소들의 오정렬은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의 고장원인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은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의 각 구성요소들의 오정렬로 인해서 손상 받기 쉬우므로, 보다 정확한 정렬(Alignment) 작업이 요구된다.
제1 축연결허브(3041)는 승하강감속기(3030)와 연결되고, 제2 축연결허브(3042)는 승하강구동풀리(3050)와 연결되며, 중앙디스크(3043)는 제1 축연결허브(3041)와 제2 축연결허브(3042)의 사이에 배치되고, 링크(3044)는 중앙디스크(3043)에 적어도 하나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1 축연결허브(3041)는 승하강감속기(3030)로부터 물류품의 승하강 구동력을 전달받아 중앙디스크(3043)에 전달시킨다. 중앙디스크(3043)는 승하강 구동력을 제2 축연결허브(3042)에 전달시킨다. 중앙디스크(3043)에 배치된 복수의 링크(3044)는, 중앙디스크(3043)가 승하강 구동력을 제1 축연결허브(3041)로부터 제2 축연결허브(3042)에 전달시키는 경우에 축 오정렬(Shaft Misalignment)을 보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링크(3044)는, 제1 축연결허브(3041)의 대항면에 2개가 마련되고 제2 축연결허브(3042)의 대항면에 2개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 축연결허브(3041)의 대항면에 2개가 마련된 링크(3044)와 제2 축연결허브(3042)의 대항면에 2개가 마련된 링크(3044)는 중앙디스크(3043)에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축연결허브(3041)와 제2 축연결허브(3042)에는 링크(3044)와 링크 결합되는 링크결합부(3045)가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승하강커플링(3040)은 복원력 없이 오정렬을 보정시킨다. 이와 같이 승하강감속기(3030)로부터 승하강구동풀리(3050)로 구동력의 전달시에 승하강커플링(3040)에 복원력 발생이 없으면, 승하강커플링(3040)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발생을 없애고, 공진 현상까지 제거하여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3020)는 그 일 단부가 승하강 캐리지(200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마스트(1000)의 적어도 일부를 경유하여 승하강 캐리지(200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3020)의 구조는, 하나로 연결된 폐루프 구조보다 설치가 용이하고, 리프터(10)를 설치 및 보수하는 경우 작업이 단순화되고, 리프터(10)를 통한 물류품 승하강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벨트(3020)의 치형은,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경사진 치형이 대칭으로 배치되는 더블헬리컬(Double helical) 타입의 치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승하강구동풀리(3050)는 벨트(3020)의 치형과 맞물리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벨트(3020)의 치형을 이와 같이 더블헬리컬 타입으로 마련하면, 물류품의 고속 승하강 시에 물류품의 승하강 속도를 높이는 경우에도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즉, 벨트(3020)의 더블헬리컬 타입 치형은,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대칭되게 경사진 치형으로 마련되므로, 벨트(3020)의 일 방향으로 외력이 가하여진 경우에도 대칭되게 경사진 치형으로 인하여 벨트(3020)가 승하강구동풀리(30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물류품의 고속 이송시에도 승하강구동풀리(3050)로부터 벨트(3020)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예방하며, 물류품의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류품의 흔들림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류품의 고속 이송시에 승하강구동풀리(3050)로부터 벨트(3020) 자체의 이탈 및 흔들림을 방지하며, 벨트(3020)의 이탈 또는 흔들림 발생시에 일어날 수 있는, 벨트(3020) 자체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3020)의 파손을 예방함으로써, 벨트(3020)의 사용 수명이 늘어나며, 벨트(3020)의 교체 주기를 늘려 리프터(10)의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벨트(3020)의 파손 예방으로 벨트(3020)의 파티클(Particle)이 발생되는 것을 막아, 벨트(3020)의 파티클 발생으로 인한 리프터(10)의 파손을 예방하며, 리프터(10)의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도 4의 'A' 영역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B' 영역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리프터의 공압식추락방지유닛, 파단감지센서유닛 및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의 개략적인 공압회로도이다. 이들 도면들과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공압식추락방지유닛(4000)은 승하강 캐리지(2000)에 마련된다. 이러한 공압식추락방지유닛(4000)은, 승하강 캐리지(2000)의 업/다운(up/down) 이동이 가능한 정상상황과, 승하강 캐리지(2000)에 연결된 벨트(3020)가 파단되었을 때 승하강 캐리지(2000)의 추락을 방지하는 비상상황 사이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공압으로 동작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압식추락방지유닛(4000)은, 승하강 캐리지(2000)에 결합되며,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6000)의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공압실린더(4010)와, 공압실린더(4010)에 연결되며, 공압실린더(4010)에 의해 구동되어 승하강 캐리지(2000)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작동모듈(402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압실린더(4010)가 비상상황 시에 설정된 상태로 구동되면 추락방지작동모듈(4020)이 작동하여 비상상황 시 승하강 캐리지(2000)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추락방지작동모듈(4020)은, 승하강 캐리지(2000)에 연결되며, 승하강 캐리지(2000)에 대향되는 마스트(1000)의 대향면을 향해 마련되되 마스트(1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마스트(1000)의 대향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과,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 로드(4011)에 연결되어 피스톤 로드(4011)에 의해 전진 및 후진가능하며,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과 마스트(1000) 사이에 배치되는 추락방지쐐기블록(4025)과, 승하강 캐리지(2000)에 결합되며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이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4027)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추락방지작동모듈(4020)은 쐐기 방식의 추락방지작동모듈(4020)로서, 승하강 캐리지(2000)가 낙하할 때 추락방지작동모듈(4020)의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이 쐐기방향으로 진입하여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과 마스트(1000) 사이에 끼워져 승하강 캐리지(2000)의 낙하를 정지시키는 작동 과정을 갖는다.
이러한 쐐기 방식을 구현하는 새로운 구조로 인하여 크기를 종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는 공압식으로 공압실린더(4010)를 작동시킴으로써 크기를 더욱 컴팩트(compact)하게 구현함으로써 설치 공간이 좁거나 제한이 있어서 종래 기술의 추락방지장치를 적용할 수 없는 리프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추락방지작동모듈(4020)이 승하강 캐리지(2000)에 결합되는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승하강 캐리지(2000)에 결합플레이트(4027)가 결합되고 이 결합플레이트(4027)에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이 결합된다. 여기서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은 쐐기 작동의 프레임을 구현한다.
그리고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이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마스트(1000)와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비상상황 시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 로드(4011)가 전진하게 되면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이 마스트(1000)와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과 마스트(1000) 사이에 끼움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에는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4022)이 마련되며,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에는 가이드 레일(4022)을 따라 이동하는 캠팔로우(4026)가 마련된다.
또한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에는 비상상황 시 마스트(1000)의 대향면과 접촉하는 면에 우레탄 패드(4023)가 마련된다.
한편,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6000)은, 파단감지센서유닛(5000)에서 벨트(3020)의 파단을 감지한 경우,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을 마스트(1000)와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과 마스트(1000) 사이에 끼움되어 승하강 캐리지(2000)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공압실린더(4010)에 공압을 제공한다.
이러한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6000)은, 공압실린더(4010)에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펌프(미도시)와,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공압실린더(4010)에 제공되는 공압의 방향을 전환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6010)와, 공압실린더(4010)와 방향제어밸브(6010) 사이의 공압 파이프에 마련되어 공압실린더(4010)의 공압을 급속으로 배기하는 급속배기밸브(60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압펌프에서 제공되는 공압은 방향제어밸브(6010)에 의하여 공압실린더(4010)에 공압이 제공되는데, 정상상황 시에는 방향제어밸브(6010)는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 로드(4011)가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공압을 제공하다가 만약 벨트(3020)가 파단된 경우 방향제어밸브(6010)는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 로드(4011)를 전진시키는 공압을 제공하도록 공압의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급속배기밸브(6020)는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4013)의 전방 영역과 연통되어 피스톤(4013)이 전진할 때 피스톤(4013) 전방 영역의 압축 공기를 급속히 배출시킴으로써, 피스톤(4013)과 이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4011)가 급속히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급속배기밸브(6020)는 공압실린더(4010)의 속도를 증가시켜 급속히 작동되도록 하여 추락하는 승하강 캐리지(2000)에 대하여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파단감지센서유닛(5000)은 승하강 캐리지(2000)에 연결된 벨트(3020)의 파단을 감지한다. 파단감지센서유닛(5000)에서 벨트(3020)의 파단을 감지한 경우 공압식추락방지유닛(4000)이 승하강 캐리지(2000)의 추락을 방지하는 비상상황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공압을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6000)이 제공하도록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6000)에 공압을 제공한다.
이러한 파단감지센서유닛(5000)은, 본 실시 예에서, 승하강 캐리지(2000)에 결합되되, 방향제어밸브(6010)에 공압으로 연결되어 정상상황 시 벨트(3020)에 접촉을 유지하되 벨트(3020)가 파단되었을 때 그에 의해 접촉이 해제되고 또한 상태가 전환되어 방향제어밸브(6010)의 상태를 전환시키는 구조로서 방향제어밸브(6010)의 상태 전환으로 인하여 공압의 방향이 전환되고 이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을 전진시키는 파단감지트리거밸브(5000)일 수 있다.
이러한 파단감지트리거밸브(5000)는, 벨트(3020)에 접촉 시 접힌 상태가 되고 벨트(3020)에 접촉해제 시 펼친 상태가 되는 센싱압축레버(5010)와, 벨트(3020)의 파단에 의하여 벨트(3020)에 센싱압축레버(5010)가 펼친 상태가 되면 벨트(3020)의 파단을 감지하여 방향제어밸브(6010)로 공압을 제공하여 방향제어밸브(6010)가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이 전진하는 공압을 공압실린더(4010)로 제공하는 상태로 방향제어밸브(6010)를 전환시키는 트리거밸브몸체(50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벨트(3020)가 파단되면 벨트(3020)에 접촉하고 있던 센싱압축레버(5010)는 펼쳐지게 되고 이에 의하여 트리거밸브몸체(5020)는 방향제어밸브(6010)로 공압을 제공하여 방향제어밸브(6010)를 비상상황 시로 동작시키고 이에 의하여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 로드(4011)가 전진하게 되고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 로드(4011)가 전진함에 따라 추락방지쐐기블록(4025)도 전진하게 된다.
즉 파단감지트리거밸브(5000)는 벨트(3020)가 파단되게 되면 그 구조에 의하여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 로드(4011)가 전진하도록 방향제어밸브(601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10)는 물류품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입고컨베이어(30)는 물류품을 리프터(10)로 이송 시킬 수 있으며, 리프터(10)는 물류품을 승하강 캐리지(2000)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다.
한편, 업/다운(up/down) 구동유닛(300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승하강 캐리지(2000)로 구동력을 전달시키며, 마스트(1000)은 승하강 캐리지(2000)을 지지하고, 승하강 캐리지(2000)은 물류품을 지지하며 승하강한다.
승하강 캐리지(2000)가 물류품을 지지하며 정상적으로 승하강하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공압식추락방지유닛(4000)은 정상상황 시로서 이 때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은 처음 배치된 위치를 유지한다. 즉 마스트(1000)와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나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은 마스트(1000)와 접촉하지 않고 있게 된다.
그러나 만약 승하강 캐리지(2000)를 승하강시키는 벨트(3020)가 파단되면 벨트(3020)에 접촉하고 있던 센싱압축레버(5010)는 펼쳐지게 되고 이에 의하여 트리거밸브몸체(5020)는 방향제어밸브(6010)로 공압을 제공하여 방향제어밸브(6010)를 전환 동작시키고 이에 의하여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 로드(4011)가 전진하게 된다. 이때 급속배기밸브(6020)는 피스톤(4013)이 전진할 때 피스톤(4013) 전방 영역의 압축 공기를 급속히 배출시킴으로써 피스톤(4013)과 이에 연결된 피스톤 로드(4011)가 급속히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압실린더(4010)의 피스톤 로드(4011)가 전진함에 따라 추락방지쐐기블록(4025)도 전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추락방지쐐기블록(4025)이 마스트(1000)와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전진하여 쐐기형성가이드블록(4021)과 마스트(1000) 사이에서 우레탄 패드(4023)가 마스트(1000)에 접촉된 상태로 끼움되고 이에 의하여 승하강 캐리지(2000)의 하강은 멈추게 되고 결과적으로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벨트(3020)가 파단되는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여 제품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크기가 종래보다 작아서 종래보다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가능 공간이 좁거나 제한이 있어 종래 기술의 추락방지장치를 적용할 수 없는 리프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승하강 캐리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하여 벨트가 사용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와이어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
1000 : 마스트 2000 : 승하강 캐리지
3000 : 업/다운(up/down) 구동유닛 4000 : 공압식추락방지유닛
5000 : 파단감지센서유닛 6000 :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

Claims (17)

  1. 물류품이 안착되는 승하강 캐리지(carriage)가 업/다운(up/down)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마스트;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마련되며,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업/다운(up/down) 이동이 가능한 정상상황과,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나 벨트가 파단되었을 때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비상상황 사이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공압으로 동작하는 공압식추락방지유닛;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하는 파단감지센서유닛; 및
    상기 파단감지센서유닛에서 상기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한 경우 상기 공압식추락방지유닛이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상기 비상상황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공압식추락방지유닛에 공압을 제공하는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식추락방지유닛은,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결합되며, 상기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의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공압실린더; 및
    상기 공압실린더에 연결되며, 상기 공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작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작동모듈은,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대향되는 상기 마스트의 대향면을 향해 마련되되 상기 마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상기 마스트의 상기 대향면과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쐐기형성가이드블록; 및
    상기 공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에 의해 전진 및 후진가능하며,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과 상기 마스트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추락방지쐐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은, 상기 파단감지센서유닛에서 상기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한 경우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을 상기 마스트와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과 상기 마스트 사이에 끼움되어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공압실린더에 공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은,
    상기 공압실린더에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펌프; 및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의 전진 및 후진을 위하여 상기 공압실린더에 제공되는 공압의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공압제공유닛은,
    상기 공압실린더와 상기 방향제어밸브 사이의 공압 파이프에 마련되어 상기 공압실린더의 공압을 급속으로 배기하는 급속배기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작동모듈은,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결합되며,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이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에는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캠팔로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성가이드블록에는 상기 마스트의 대향면과 접촉하는 면에 우레탄 패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감지센서유닛은,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결합되되, 상기 방향제어밸브에 공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상상황 시 상기 와이어나 벨트에 접촉을 유지하되 상기 와이어나 벨트가 파단되었을 때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동작시킴으로써 공압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을 전진시키는 파단감지트리거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감지트리거밸브는,
    상기 와이어나 벨트에 접촉 시 접힌 상태가 되고 상기 와이어나 벨트에 접촉해제 시 펼친 상태가 되는 센싱압축레버; 및
    상기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나 벨트에 상기 센싱압축레버가 펼친 상태가 되면 상기 와이어나 벨트의 파단을 감지하여 상기 방향제어밸브로 공압을 제공하여 상기 방향제어밸브가 상기 추락방지쐐기블록이 전진하는 공압을 상기 공압실린더로 제공하는 상태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전환시키는 트리거밸브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캐리지는,
    캐리지프레임; 및
    상기 캐리지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화물을 지지하는 캐리지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프레임이 상기 마스트에 마련되는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을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캐리지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캐리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마스트에 마련되는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을 주행하는 캐리지주행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캐리지는,
    상기 캐리지프레임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Lifter).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 캐리지를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up/down) 구동유닛은,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승하강 캐리지에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승하강모터;
    그 일 단부가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마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경유하여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승하강벨트;
    상기 승하강모터와 결합되되 상기 승하강모터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승하강감속기;
    상기 승하강감속기와 결합되는 승하강커플링; 및
    상기 승하강커플링과 결합되며 상기 승하강벨트에 상기 구동력을 전달시키는 승하강구동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커플링은,
    상기 승하강감속기와 연결되는 제1 축연결허브;
    상기 승하강구동풀리와 연결되는 제2 축연결허브;
    상기 제1 축연결허브와 상기 제2 축연결허브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디스크; 및
    상기 중앙디스크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링크는 복수 개의 링크이며,
    상기 복수 개의 링크는 상기 제1 축연결허브 및 상기 제2 축연결허브에 대향하는 상기 중앙디스크의 양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 축연결허브 및 상기 제2 축연결허브에는, 상기 링크와 링크 결합되는 링크결합부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는,
    지면에 접촉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승하강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승하강 캐리지의 주행을 안내하는 승하강 캐리지주행레일이 마련되되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 캐리지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컬럼; 및
    상기 컬럼과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KR1020210182872A 2021-12-20 2021-12-20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KR202300938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872A KR20230093882A (ko) 2021-12-20 2021-12-20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872A KR20230093882A (ko) 2021-12-20 2021-12-20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882A true KR20230093882A (ko) 2023-06-27

Family

ID=8694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872A KR20230093882A (ko) 2021-12-20 2021-12-20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388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044B1 (ko) 2016-10-31 2018-05-02 세메스 주식회사 텐션 롤러를 갖는 타워 리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044B1 (ko) 2016-10-31 2018-05-02 세메스 주식회사 텐션 롤러를 갖는 타워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0293B1 (ko) 물품 반송 장치
CN101336205B (zh) 一种控制调节结构、输送机装置以及起重机装置
US5107963A (en) Spring loaded guide rollers
JP20073318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DE102013015458B4 (de)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Regalbediengerät, Regalbediengerät sowie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Regalbediengeräts
CN113879791A (zh) 多层输送系统
KR20230093882A (ko) 공압식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리프터
KR20170140967A (ko) 리프터
KR20230093883A (ko) 쐐기형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는 수직 반송 장치
KR20140053439A (ko) 반송 시스템 및 그 대차승강장치
KR20180017373A (ko) 중량물 운반용 공압식 리프트 장치
JP4302062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230219754A1 (en) Device for securing a shuttle, shuttle and shelf system
KR20170140968A (ko) 물류시스템
JP3166610B2 (ja) 揚重ジャッキシステム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KR102464079B1 (ko) 건물용 운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20766221U (zh) 一种具备安全门的升降平台
CN220867006U (zh) 一种框架式单层提升机
JP7452236B2 (ja) 搬送システム
CN219009823U (zh) 意外坠落缓冲机构及防坠式光伏组件层压机
KR102051603B1 (ko) 대형복합가공기의 엘리베이터 이송작동시스템
JP3399898B2 (ja) 短昇降高積載荷重能力のリフトテ−ブル
CN108584754B (zh) 一种多绳摩擦提升机过卷、过放时的钢丝绳抓捕装置
KR100853237B1 (ko) 간이 권동식 화물 리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