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840A - 고온수전해 설비 - Google Patents

고온수전해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840A
KR20230093840A KR1020210182777A KR20210182777A KR20230093840A KR 20230093840 A KR20230093840 A KR 20230093840A KR 1020210182777 A KR1020210182777 A KR 1020210182777A KR 20210182777 A KR20210182777 A KR 20210182777A KR 20230093840 A KR20230093840 A KR 20230093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electrolysis
temperature water
vessel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수
박치록
이성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8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840A/ko
Publication of KR2023009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25B9/73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1/042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by electrolysis of stea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05Pressure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는, 가압베슬; 상기 가압베슬 내에 배치되며, 양극챔버와 음극챔버가 반복적층된 고온수전해 스택; 및 상기 가압베슬과 스택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극챔버와 가압베슬이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고온수전해 설비{APPARATUS FOR SOLID OXIDE ELECTROLYSIS}
본 발명은 고온수전해 설비로서, 고온수전해 방식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고온수전해 설비에 관한 것이다.
고온수전해(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SOEC) 기술은 고온의 증기를 직접 전기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얻는 것으로써, 상온 및 저온 물의 전기분해보다 그 효율이 더 높다.
그 이유는 상온의 물보다 고온의 증기에 들어가는 전기분해 에너지 소모량이 적어지기 때문인데, 이와 같이 고온수전해 기술은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전기분해 에너지가 적게 소모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온의 물의 온도를 올릴 수 있는 저가의 열원을 확보할 경우, 고온수전해 기술은 이론적으로 가장 고효율의 수소 제조 기술이 될 수 있다.
고온수전해 시스템은 크게 고온수전해 스택과 주변기기(Balance Of Plant, BOP)로 나누어질 수 있다.
고온수전해 스택은 고온수전해 셀과 분리판, 밀봉재, 집전체가 여러 층으로 반복적층되어 제작되며, BOP는 크게 MBOP(Mechanical Balance Of Plant)와 EBOP (Electrical Balance Of Plant)로 구성된다.
MBOP는 스택 모듈에 스팀, 공기를 공급하고 수소, 산소를 포집하는 장치로써, 블로워, 열교환기, 기액분리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EBOP는 신재생 및 원자력 전기를 스택에 공급하는 장치로써, 전력변환장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온수전해 스택이 압력에 매우 취약하기에, 별도의 가압베슬이 사용된다. 이때 고온수전해 스택의 양극챔버와 음극챔버, 그리고 가압베슬의 내부압력이 동일하게 계속해서 유지되어야지만, 스택이 고압 운전 시에도 파괴되지 않는다. 이에 세 군데의 모두의 압력을 측정하며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유압시스템(압력제어 시스템)이 필요함에 따라, 그 복잡성으로 인하여 시스템의 효율 및 안전성이 저하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5206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압시스템이 복잡하지 않고 간소하게 구성되는 고온수전해 설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는, 가압베슬; 상기 가압베슬 내에 배치되며, 양극챔버와 음극챔버가 반복적층된 고온수전해 스택; 및 상기 가압베슬과 스택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극챔버와 가압베슬이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음극챔버 내의 음극에서 발생된 산소가 상기 가압베슬 내부로 자연유동되도록, 상기 음극챔버가 오픈 매니폴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극챔버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관과, 상기 가압베슬을 지나 외부로 스팀과 함께 수소가 배출되는 스팀수소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베슬에는 외부로 산소가 배출되는 산소배출관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제어부는, 상기 스팀수소배출관에 설치된 제1 압력측정부재와 제1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제1 압력제어유닛; 및 상기 산소배출관에 설치된 제2 압력측정부재와 제2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제2 압력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가압베슬 내에 복수 개의 상기 고온수전해 스택이 배치되고, 복수 개 상기 고온수전해 스택의 복수 개의 양극챔버는 매니폴드 연결배관에 의해 하나의 상기 스팀공급관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는, 음극챔버와 가압베슬이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 즉 음극챔버가 오픈 매니폴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음극챔버와 가압베슬에 공기를 유입시키지 않고도 양극챔버, 음극챔버, 및 가압베슬의 차압을 0으로 유지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 있어서, 양극챔버의 스팀수소배출관과 가압베슬의 산소배출관, 이렇게 2군데의 압력에 대해서만 측정 및 조절을 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차압유지 시스템이 복잡하지 않게 되어 종래기술보다 시스템의 전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수소 폭발에 대한 안전성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가압베슬 내부의 복수 개 고온수전해 스택에서의 복 수개 양극챔버들을 매니폴드 연결배관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스팀공급관만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한 개의 공급펌프만이 필요함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공급펌프의 수도 줄여서 차압유지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화하게 되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온수전해 스택(20)에서는 스팀의 전기분해 반응이 일어나는데, 양극챔버(21)에서는 스팀이 수소와 산소 이온으로 분해되는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음극챔버(22)에서는 양극챔버(21)로부터 전해질을 통해 넘어온 산소 이온이 산소 가스로 전환되는 산화반응이 일어난다.
전기화학적 관점에서는 고온수전해 스택(20)의 음극챔버(22)에 공기를 주입시킬 필요가 없으나, 고온수전해 스택(20)의 온도 유지 및 양극챔버(21)와의 압력 균형을 위해 고온의 공기가 주입된다.
대부분의 고온 스팀은 생성될 때 압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팀의 유동 및 원할한 공급을 위해 이 압력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제철소 경우, 공정열로써 190℃, 10bar~11bar 정도의 스팀을 보유하고 있어 제철소 내의 다양한 수요처에서 사용되고 있다.
고온수전해 시스템의 고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입되는 스팀의 압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그대로 시스템을 구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제조된 수소를 저장할 때 고압이 필요한데, 상압의 수소를 제조할 경우 저장 시 다시 압력을 올려야 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고온수전해 스택(20)이 압력에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다. 고온수전해 스택(20)은 일반적으로 1mm 두께 이내의 얇은 세라믹 셀을 사용하며, 유리 기반의 밀봉재로 수소와 산소가 누설되지 않게 밀봉된다. 세라믹 소재의 특성 상 주어지는 응력에 쉽게 깨어지는 문제가 있는데, 이 때문에 고온수전해 스택(20)에 유입되는 가스는 상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시스템 구동과 수소 제조의 측면에서 고압의 스팀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데, 고온수전해 스택(20)이 고압의 가스에 취약하기 때문에 별도의 가압베슬(10)(Pressure Vessel)이 사용된다.
일례로서 5bar의 압력으로 시스템을 구동할 경우, 3개의 압력을 동일하게 5bar로 유지해야 한다. 첫째는 유입되는 스팀의 압력, 둘째는 고온수전해 스택(20) 내부 음극챔버(22)의 공기 압력, 마지막으로 고온수전해 스택(20)을 감싸고 있는 가압베슬(10) 자체의 압력이다. 이 3군데의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경우, 양극챔버(21)와 음극챔버(22) 사이의 차압 ΔP1, 가압베슬(10)과 양극챔버(21)의 차압 ΔP2, 가압베슬(10)과 음극챔버(22) 간의 차압 ΔP3가 0의 값으로 유지되면서, 스택의 고압 운전에도 파괴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3군데의 압력을 측정하며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유압시스템(압력제어유닛)이 3개가 필요하여 시스템 전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3군데의 차압유지 시스템의 복잡성으로 인해 차압이 일정하게 0으로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수소 폭발에 대한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고온수전해 스택(20)의 양극챔버(21)에는 스팀공급관(21a)과 스팀수소배출관(21b)이 구성되고, 음극챔버(22)에는 공기공급관(22a)과 공기산소배출관(22b)이 구성되고, 가압베슬(10)에는 공기공급관(10a)과 공기배출관(10b)이 구성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는 스팀공급관(21a)과 2개의 공기공급관(10a)(22a) 각각에는 공급펌프(P)가 설치된다.
아울러 종래기술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의 압력제어부(30)는, 스팀수소배출관(21b)에 제1 압력제어유닛(31)이 설치되고, 공기산소배출관(22b)에 제2 압력제어유닛(32)이 설치되고, 공기배출관(10b)에 제3 압력제어유닛(3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압력제어유닛(31)은 제1 압력측정부재(31a)와 제1 압력조절부재(31b)를 구비하고, 제2 압력제어유닛(32)은 제2 압력측정부재(32a)와 제2 압력조절부재(32b)를 구비하고, 제3 압력제어유닛(33)은 제3 압력측정부재(33a)와 제3 압력조절부재(33b)를 구비함으로써, 압력제어구성인 압력제어유닛(31)(32)(33)이 3개가 구성됨으로써, 시스템 전체 효율이 저하되고 수소 폭발에 대한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는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군데의 압력을 동일한 상태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유압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성하여 시스템 전체의 효율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압베슬(100), 고온수전해 스택(200), 및 압력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베슬(100)은 고온수전해 스택(200)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즉 가압베슬(100)은 고온수전해 스택(200)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적정한 수용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가압베슬(100)은 내부가 고압상태가 되더라고 이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견고한 구조를 가지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어떠한 고압용기의 구조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고온수전해 스택(200)은 가압베슬(100) 내에 배치되며, 내부에 양극챔버(210)와 음극챔버(220)가 반복적층된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제어부(300)는 가압베슬(100)과 고온수전해 스택(200)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전해 설비의 주요 구성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양극챔버(210)와 음극챔버(220)의 차압,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의 차압, 그리고 양극챔버(210)와 가압베슬(100)의 차압이 0이 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압력제어부(300)(유압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종래에는 압력제어부(도 1의 30)에 있어서 양극챔버(도 1의 21), 음극챔버(도 1의 22), 및 가압베슬(도 1의 10) 3곳에 압력제어유닛(도 1의 31, 32, 33)이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양극챔버(210)와 가압베슬(100) 2곳에 압력제어유닛(310)(320)이 구성되어 압력제어부(300)가 종래에 비해 복잡성이 저하되도록 함에 따라, 유압시스템 전체 효율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압력제어부(300)의 간단한 구성을 위해, 즉 양극챔버(210)와 가압베슬(100) 2곳에만 압력제어를 하는, 다시 말해 음극챔버(220)에 대한 압력제어가 필요 없는 구성을 구현하도록,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이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온수전해 스택(200)은 음극챔버(220)의 음극에서 자체적으로 산소를 생성시키는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음극챔버(220)에 별도의 공기를 불어넣을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공기를 고온수전해 스택(200)으로 주입시키지 않고 발생하는 산소의 압력만 조절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에서의 공기공급관(도 1의 10a, 22a)과 이러한 공기공급관(도 1의 10a, 22a)의 공급펌프(도 1의 P)가 없어도 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의 공급가스는 스팀만 존재하고, 배출가스는 스팀과 수소, 산소의 두 종류만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음극챔버(도 1의 22)와 가압베슬(도 1의 10) 각각에 공기를 공급하는 종래기술과 다르게, 본 발명은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 각각에 공기를 유입시키지 않도록 구성되고 이 대신에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이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음극챔버(220) 내의 음극에서 발생된 산소가 가압베슬(100) 내부로 자연유동되도록,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의 연통된 구조로서 음극챔버(220)가 오픈 매니폴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음극챔버(220)의 매니폴드 구조가 종래와 같은 폐쇄 구조가 아닌 오픈 구조를 취함으로써, 다시 말해 음극챔버(220) 측의 분리판에는 매니폴드 홀이 없고 외부와 개방된 구조를 지님으로써, 음극챔버(220) 내의 음극에서 발생된 산소가 가압베슬(100) 내부로 자연유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의 압력은 계속해서 동일한 산소 압력으로 유지된다.
상술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에 대한 공기공급관이 구성되지 않고 양극챔버(210)에만 인렛(In-let)관으로서 스팀공급관(211)이 설치되며, 또한 음극챔버(220)에 외부로의 공기배출관이 구성되지 않고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이 연통되며, 아울러 가압베슬(100)에 외부로의 공기배출관이 구성되지 않고 산소배출관(101)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팁공급관은 양극챔버(210)에 스팀이 공급되도록 양극챔버(210)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수소배출관(212)은 양극챔버(210)로부터 가압베슬(100)을 지나 외부로 스팀과 함께 수소가 배출되도록 양극챔버(210)로부터 가압베슬(100)을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된 구조를 취하며, 상기 산소배출관(101)은 가압베슬(100)로부터 외부로 산소가 배출되도록 가압베슬(100)의 일측부에 형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된 구성에 의하여 압력제어부(300)가 2곳에만 구성되는 간단한 구성을 취한다.
즉, 종래에는 배출관(도 1의 21b, 22b, 10b)이 양극챔버(도 1의 21), 음극챔버(도 1의 22), 및 가압베슬(도 1의 10) 이렇게 3군데나 있기 때문에 압력제어부의 압력제어유닛(30)도 대응되게 3곳의 배출관에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배출관(212)(101)이 양극챔버(210)와 가압베슬(100)에만 구성됨에 따라 이와 대응되게 압력제어부(300)는 양극챔버(210)의 스팀수소배출관(212), 가압베슬(100)의 산소배출관(101) 이렇게 2곳에 압력제어유닛(310)(320)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제어부(300)는 제1 압력제어유닛(310)과, 제2 압력제어유닛(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압력제어유닛(310)은 스팀수소배출관(212)에 설치된 제1 압력측정부재(311)와 제1 압력조절부재(31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 압력제어유닛(320)은 산소배출관(101)에 설치된 제2 압력측정부재(321)와 제2 압력조절부재(32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 압력측정부재(311)와 제2 압력측정부재(321)는 압력을 측정하는 기기이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아울러 제1 압력조절부재(312)와 제2 압력조절부재(322)도 밸브 타입 등 압력을 조절할 수 기기이면 될 뿐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압력제어부(300)가 제1 압력제어유닛(310)과 제2 압력제어유닛(320)을 포함함으로써 2군데의 압력에 대해서만 측정 및 조절을 하는 구성을 취함에 따라, 차압유지 시스템이 복잡하지 않게 되어 3군데에 구성된 종래기술보다 시스템의 전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수소 폭발에 대한 안전성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압베슬(100) 내에 복수 개의 고온수전해 스택(20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복수 개 고온수전해 스택(200)의 복수 개의 양극챔버(210)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매니폴드 연결배관(미도시)에 의해 하나의 스팀공급관(21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베슬(100)은 한 개의 스팀수소배출관(212)과 함께 스팀공급관(211)도 한 개만이 구성되어 한 개의 공급펌프(P)만이 필요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공급펌프의 수도 줄여서 차압유지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화하게 되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이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 즉 음극챔버(220)가 오픈 매니폴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음극챔버(220)와 가압베슬(100)에 공기를 유입시키지 않고도 양극챔버(210), 음극챔버(220), 및 가압베슬(100)의 차압을 0으로 유지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 있어서, 양극챔버(210)의 스팀수소배출관(212)과 가압베슬(100)의 산소배출관(101), 이렇게 2군데의 압력에 대해서만 측정 및 조절을 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차압유지 시스템이 복잡하지 않게 되어 종래기술보다 시스템의 전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수소 폭발에 대한 안전성도 보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가압베슬(100) 내부의 복수 개 고온수전해 스택(200)에서의 복 수개 양극챔버(210)들을 매니폴드 연결배관으로 연결시켜 하나의 스팀공급관(211)만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한 개의 공급펌프(P)만이 필요함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공급펌프(P)의 수도 줄여서 차압유지 시스템의 구성을 간소화하게 되어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가압베슬 101 : 산소배출관
200 : 고온수전해 스택 210 : 양극챔버
211 : 스팀공급관 212 : 스팀수소배출관
220 : 음극챔버 300 : 압력제어부
310 : 제1 압력제어유닛 311 : 제1 압력측정부재
312 : 제1 압력조절부재 320 : 제2 압력제어유닛
321 : 제2 압력측정부재 322 : 제2 압력조절부재
P : 공급펌프

Claims (5)

  1. 가압베슬;
    상기 가압베슬 내에 배치되며, 양극챔버와 음극챔버가 반복적층된 고온수전해 스택; 및
    상기 가압베슬과 스택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극챔버와 가압베슬이 연통된 구조로 이루어진 고온수전해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챔버 내의 음극에서 발생된 산소가 상기 가압베슬 내부로 자연유동되도록, 상기 음극챔버가 오픈 매니폴드 구조로 이루어진 고온수전해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챔버에는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관과, 상기 가압베슬을 지나 외부로 스팀과 함께 수소가 배출되는 스팀수소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베슬에는 외부로 산소가 배출되는 산소배출관이 설치된 고온수전해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부는,
    상기 스팀수소배출관에 설치된 제1 압력측정부재와 제1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제1 압력제어유닛; 및
    상기 산소배출관에 설치된 제2 압력측정부재와 제2 압력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제2 압력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고온수전해 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베슬 내에 복수 개의 상기 고온수전해 스택이 배치되고,
    복수 개 상기 고온수전해 스택의 복수 개의 양극챔버는 매니폴드 연결배관에 의해 하나의 상기 스팀공급관과 연결된 고온수전해 설비.
KR1020210182777A 2021-12-20 2021-12-20 고온수전해 설비 KR20230093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777A KR20230093840A (ko) 2021-12-20 2021-12-20 고온수전해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777A KR20230093840A (ko) 2021-12-20 2021-12-20 고온수전해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840A true KR20230093840A (ko) 2023-06-27

Family

ID=8694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777A KR20230093840A (ko) 2021-12-20 2021-12-20 고온수전해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38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0685A (ja) 2014-06-06 2017-07-27 サンファイア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SunFire GmbH 再循環する洗浄媒体を用いる電解法及び電解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0685A (ja) 2014-06-06 2017-07-27 サンファイア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SunFire GmbH 再循環する洗浄媒体を用いる電解法及び電解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6529B2 (en) Electrolyzer system to produce gas at high pressure
US8419910B2 (en) Electrolyzer cell stack system
US11299808B2 (en) Electrolysis uni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electrolysis unit
US10141586B2 (en) Fuel cell module,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fuel cell power generation section
US20190140293A1 (en) Fuel cell module arrangement with leak recovery and methods of use
CN209571492U (zh) 一种燃料电池系统
CN101546839B (zh) 利用氢充注燃料电池阳极供应歧管以用于启动的方法
JP2020519767A (ja) 加圧動作に適したクランプシステムを有する、加圧動作用の水電解または共電解反応器(soec)または燃料セル(sofc)
KR20140039195A (ko) 전체의 크기가 감소된 연료전지
US2016020445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uel Cell Stack
CN101989665B (zh) 自循环燃料电池控制系统及其方法
JP7466167B2 (ja) 高圧の燃料電池排ガスをフィルタリングする窒素ガス生成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6926981B2 (en) Fuel cell system for operation at pressures below the press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08010311A (ja) 燃料電池の運転方法
KR20230093840A (ko) 고온수전해 설비
JP2005180545A (ja) 高圧水素製造装置
CN106207241B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多堆集成结构
JP2014120468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水素供給装置
US1017739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fuel cell and associated fuel cell system
CN109830715A (zh) 一种燃料电池系统
KR102625513B1 (ko) 분리형 bop 적용 수전해장치
US11500401B1 (en) Passive dual modulating regulator for hydrogen generation
KR102083442B1 (ko) 팽창탱크를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KR101442977B1 (ko) 버퍼 탱크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JP2015082408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の停止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