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327A - 지속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 - Google Patents

지속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327A
KR20230093327A KR1020237017994A KR20237017994A KR20230093327A KR 20230093327 A KR20230093327 A KR 20230093327A KR 1020237017994 A KR1020237017994 A KR 1020237017994A KR 20237017994 A KR20237017994 A KR 20237017994A KR 20230093327 A KR20230093327 A KR 20230093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article
fibrous web
clothing
nonwoven tex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댈러스 룬드
데렉 스코룹스키
데이비드 터너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1/055838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093596A1/en
Publication of KR2023009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74Rags; Fabric scra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orientated, e.g. in parallel (anisotropic fle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2017/0089Recycling systems, wherein the flow of products between producers, sellers and consumers includes at least a recycling step, e.g. the products being fed back to the sellers or to the producers for recyc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76Cutting or tearing members, e.g. spiked or toothed cylinders or intermesh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지속 가능하고 지속 가능하게 제조되는 부직 텍스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원 주제는 하나 이상의 관점에서 지속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 텍스타일은 재활용되는 재료들에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사례들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추가 또는 후속 부직 물품들을 생산하기 위해 그 자체가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조 공정들은 다른 제조 공정들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속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지속 가능한 부직 의복 물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복 물품을 위한 것처럼, 단열을 제공하는 것을 의도로 하는 다양한 종래 텍스타일들은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텍스타일들[예컨대, 종래 플리스(fleece)]은, 보통, 그 지속 가능성이 더 낮고, 그리고/또는 다른 텍스타일 제조 공정들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동일한 공정들[예컨대, 편성(knitting), 직조(weaving)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더욱이, 종래 텍스타일들의 구조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범주의 재활용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재활용된 상품들에서 파생되는 섬유들을 내포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예컨대 부직 텍스타일을 위한 경우처럼 일부 종래 섬유 얽힘 공정들이 다른 공정들[예컨대, 편성, 직조, 편조(braiding) 등]보다 에너지를 더 적게 소모할 수 있기는 하지만, 상기 공정들에 의해 생성되는 부직 텍스타일들은 일반적으로 의복 물품을 구성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예를 들면,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은 보통 신장 및 회복 특성이 부족하고, 너무 무겁고, 드레이프성(drapability)이 부족하고, 질감도 거칠며, 그리고 단열성 증가가 의도되는 일부 사례에서는 단열 특성도 부족하다. 더욱이, 부적합성에도 불구하고,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이 의복 물품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들도 한가지 이상의 사항에서 적합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지속 가능하고 지속 가능하게 제조되는 부직 텍스타일에 관한 것이다. 본 요약 내용은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개념들의 선택을 간소화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요약 내용은 청구되는 주제의 핵심 특징들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확인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닐뿐더러, 청구되는 주제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으로서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것도 아니다.
본원 개시의 주제의 예시의 양태들은 바로 하기에서 간단하게 설명되고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도면들은 본원 개시와 함께 제출된다.
도 1은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라서 부직 물품들을 지속 가능하게 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라서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을 포함하는 도 1에서의 시스템의 부분들의 일부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라서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들을 포함하는, 도 1의 시스템의 부분들의 일부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르는 제1 섬유 웨브(fiber we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르는 제2 섬유 웨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르는 제3 섬유 웨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르는 탄성중합체 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르는,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예시의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 데이터를 포함하여 나타낸 표이다.
도 9는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르는 지속 가능한 물품의 일부 양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르는 지속 가능한 시스템의 타임 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법에 명시된 요건들을 충족하기 위해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설명 자체는 본원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원 발명자들은, 청구되거나 개시되는 주제가, 다른 현재 또는 향후 기술들과 함께, 본원 문헌에서 설명되는 것들과 유사한 상이한 단계들 또는 단계들의 조합들을 포함하기 위해, 다른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또한, 비록 "단계" 및/또는 "블록"이란 용어들이 채용된 방법들의 상이한 요소들을 함축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용어들은, 개별 단계들의 순서가 분명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리고 언급될 때를 제외하고,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단계들 중 또는 그 단계들 간에 임의의 특정한 순서를 암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의복 물품을 위한 것처럼, 단열을 제공하는 것을 의도로 하는 다양한 종래 텍스타일들은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텍스타일들[예컨대, 종래 플리스(fleece)]은, 보통, 그 지속 가능성이 더 낮고, 그리고/또는 다른 텍스타일 제조 공정들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동일한 공정들[예컨대, 편성(knitting), 직조(weaving)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더욱이, 종래 텍스타일들의 구조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범주의 재활용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재활용된 상품들에서 파생되는 섬유들을 내포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예컨대 부직 텍스타일을 위한 경우처럼 일부 종래 섬유 얽힘 공정들이 다른 공정들[예컨대, 편성, 직조, 편조(braiding) 등]보다 에너지를 더 적게 소모할 수 있기는 하지만, 상기 공정들에 의해 생성되는 부직 텍스타일들은 일반적으로 의복 물품을 구성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예를 들면,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은 보통 신장 및 회복 특성이 부족하고, 너무 무겁고, 드레이프성(drapability)이 부족하고, 질감도 거칠며, 그리고 단열성 증가가 의도되는 일부 사례에서는 단열 특성도 부족하다. 더욱이, 부적합성에도 불구하고,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이 의복 물품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도, 상기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들도 한가지 이상의 사항에서 적합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다.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의복 및 다른 물품에서의 사용을 위해 적합하고 재활용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부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얽힘형 섬유 웨브(entangled web of fibers)로 형성되거나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제1 면(face);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얽힘형 섬유 웨브로 형성되거나 실질적으로 형성되는 맞은편의 제2 면;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실질적으로(substantially)"란 용어는 약 51%에서부터 100%까지를 의미한다. 의복 물품 안쪽에 형성될 때, 제1 면은 의복 물품의 바깥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고, 제2 면은 의복 물품의 안쪽 대향 표면을 형성한다. 또한, 일부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와 제2 얽힘형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체 층도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층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신장 및 회복 특성을 부여하며, 이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상체 의복 및 하체 의복과 같은 의복 물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한다. 또한, 일부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탄성중합체 층과 함께 적층되는 추가 얽힘형 웨브들(예: 제3 얽힘형 섬유 웨브, 제4 얽힘형 섬유 웨브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이한 웨브들의 특성들 및/또는 웨브들의 개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면들 각각을 위해 의도되는 상이한 최종 특성들을 포함하는 부직 텍스타일의 의도되는 상이한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개시되는 부직 텍스타일은, 종래 부직 텍스타일들과 대조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지속 가능하게 생산된다. 예를 들면, 본원 개시의 일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이질적인 재활용 섬유 소스들(fiber sources)에서 기인하는 섬유들을 내포하며, 이는 다양한 수명 말기의 물품들에 대한 추가적인 활용 옵션들을 제공한다. 그에 반해, 종래 텍스타일들 및 시스템들은 재활용된 섬유들을 인정하는 출처가 되는 소스들을 제한할 수 있고 다양한 유형들의 상품들에 대해 비매립 처리(non-landfill disposal) 옵션들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본원 개시는, 물품을 생산하기 위해 원료(예: 중합체 재료)를 사용하고 후속 세대의 물품들을 생산하기 위해 동일한 원료(예컨대, 동일한 중합체 재료)를 반복해서 재사용하는 영구적인 시스템(예컨대, 거의 영구적인 시스템)을 포함한다. 무엇보다, 이러한 양태들은, 그렇지 않을 경우 매립지에 폐기될 수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고 재사용함으로써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에 기여한다.
본원 개시의 다른 양태들은, 의복 물품을 구성하기 위한 유용성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보유한 부직 텍스타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 개시의 일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재활용된 섬유들을 내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경량일 수 있으며; 그리고 우수한 열적 특성, 신장성 및 회복성, 드레이프성, 마모에 대한 저항성 및 부드러운 질감을 보유할 수 있고; 이는 부직 텍스타일이 다양한 조건들(예컨대, 서늘한 날씨 조건들; 또는 보온이 의도될 때; 또는 다른 조건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의복 물품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 가능하게 한다. 또한, 부직 텍스타일의 특성들은 상대적으로 큰 중량 퍼센트의 의복 물품들을 구성하기 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부직 텍스타일은, 보통 지속 가능성이 보다 더 낮고, 그리고/또는 생산 동안 보다 더 높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적어도 일부 종래 텍스타일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속 가능성은, 생산 동안 보다 더 적은 양의 에너지를 소모하는, 보다 더 높은 중량 퍼센트의 부직 텍스타일로 물품들을 구성함으로써 개선된다. 또한, 본원 개시의 양태에서, 의복 물품들 및 기타 물품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직 텍스타일은 상대적으로 낮은 탄소 발자국을 보유한다.
추가 양태들은 파쇄된 물품 섬유들로 구성되는 지속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한다. 일부 사례에서, 지속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의 요소들(예컨대, 섬유들의 얽힘 구조)은, 부직 텍스타일 내에서 바람직한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해, 파쇄된 물품 섬유들의 특성들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사례들에서, 지속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의 요소들은, 전체 부직 텍스타일에 대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의 잠재적으로 보다 덜 의도되는 특성들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통,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펠릿화(pelletizing) 및 압출 없이, 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공정들을 통해 파생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면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내포하는 부직 텍스타일들은 보다 더 낮은 탄소 발자국을 가질 수 있다.
본원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재활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며, 그리고 일부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완전하게 재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얽힘형 웨브들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되는 섬유들은, 보통 폴리에스테르 섬유들로서 공지된 재활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들을 포함한 재활용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한, 탄성중합체 층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되는 재료들은 완전하게 재활용될 수 있다. 재활용된 섬유들 및 재료들의 사용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탄소 발자국을 감소시킨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의복 물품(article of apparel)"이란 용어는 착용자가 착용하는 물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다. 예들 들면, 상기 의복 물품은 상체 의복들[예: 탑스(tops), 티셔츠, 풀오버, 후드 티, 재킷, 코트 등] 및 하체 의복들(예: 팬티, 반바지, 팬티스타킹, 카프리 바지, 유니타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복 물품들은 모자, 장갑, 소매(예: 팔 소매, 종아리 슬리브 등), 신발류 물품들(예: 신발의 갑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의복 물품과 관련될 때 "안쪽 대향 표면(inner-facing surface)이란 용어는, 의복 물품이 의도되는 방식으로 착용되어 있을 때, 착용자의 신체 표면을 향해 있도록 구성되는 표면 또는 면을 의미하며, 그리고 "바깥쪽 대향 표면(outer-facing surface)"이란 용어는, 의복 물품이 의도되는 방식으로 착용되어 있을 때, 착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그리고 외부 환경으로 향해 있도록 구성되는 표면 또는 면을 의미한다. "최안쪽 대향 표면(innermost-facing surface)"이란 용어는 의복 물품의 다른 층들에 대하여 착용자의 신체 표면에 가장 가깝게 있는 표면 또는 면을 의미하며, 그리고 "최바깥쪽 대향 표면(outermost-facing surface)"이란 용어는 의복 물품의 다른 층들에 대하여 착용자의 신체 표면으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가장 멀리 위치되는 표면 또는 면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부직 텍스타일(nonwoven textile)"이란 용어는 편성(knit), 직조(woven), 편조(braided) 구성 또는 다른 구조화된 구성의 형태인 것을 제외한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서로 파지되는 섬유들을 나타낸다. "부직 물품들"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직 텍스타일로 구성되는 마감된 상품(finished goods), 롤 상품, 제조 부산물 등과 같은 물품들을 나타낸다. 부직 물품은, 단일 부직 텍스타일, 다수의 부직 텍스타일, 또는 다른 텍스타일들(예컨대 편성, 직조, 편조 텍스타일 등) 또는 재료들과 결합되는 부직 텍스타일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한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은 매트(mat)형 재료를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조작된 섬유들의 집합체(collection)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부직 텍스타일은 섬유들로 직접적으로 제작된다. 부직 텍스타일은 결속 구조 내에 형성된 상이한 층들을 포함할 수 있되, 상이한 층들은 섬유들의 상이하거나 유사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의 웨브(web of fibers)" 또는 "섬유 웨브(fiber web)"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섬유 층과의 기계적 얽힘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의 층을 나타낸다. 섬유 웨브는, 일반적으로 x, y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공통 방향으로 섬유들을 정렬시키는 소면 및 래핑 공정(carding and lapping process)으로 처리된 섬유들을 포함한다. 또한, 섬유 웨브들은, 섬유 웨브가 조작(manipulation)될 수 있는(예컨대 롤러 상에 감기거나, 롤러에서 풀리거나, 적층되는 등) 결속 구조를 형성하는 정도로, 층의 섬유들을 얽히게 하는 라이트 재봉 공정(light needling process) 또는 기계적 얽힘 공정으로 처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섬유 층과 관련될 때 "섬유들의 얽힘형 웨브" 또는 "얽힘형 섬유 웨브"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층과의 기계적 얽힘으로 처리된 이후의 층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얽힘형 섬유 층은, 층을 형성하는 섬유 웨브 내에 원래 존재하는 섬유들뿐만 아니라, 얽힘 공정을 통해 얽힘형 섬유 층 안쪽으로 이동된 다른 층들 내에 존재하는 섬유들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부직 텍스타일을 생산하기 위해 본원에서 고려되는 기계적 얽힘 공정은 가시 바늘(barbed needle) 또는 구조화된 바늘을 사용한 (보통 니들 펀칭으로서 알려진) 바늘 얽힘 공정, 또는 유체 얽힘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들에서, 니들 펀칭은 사용되는 섬유들의 작은 데니어; 및 니들 펀칭 공정과 관련된 상이한 매개변수들의 미세 조정 능력;을 기반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니들 펀칭은 일반적으로 수평인 배향(x, y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배향)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인 배향(z-방향 배향)으로 섬유들의 백분율을 변위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시 바늘 또는 스파이크 바늘(spiked needle)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니들 펀칭 공정과 관련하여, 소면형(carded), 래핑형(lapped) 및 사전 재봉형(pre-needled) 웨브들이 다른 소면형, 래핑형 및 사전 재봉형 웨브들과 함께 적층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적층된 웨브 구조의 맞은편 측면들 상에 위치되는 베드 플레이트(bed plate)와 스트리퍼 플레이트(stripper plate) 사이로 통과될 수 있다. 니들 보드(needle board)에 고정되는 가시 바늘들은 적층된 웨브 구조를 안쪽 및 바깥쪽으로 통과하며, 그리고 스트리퍼 플레이트는, 바늘들이 적층된 웨브 구조의 안쪽 및 바깥쪽으로 이동한 후에, 바늘들에서 섬유들을 벗긴다. 스트리퍼 플레이트와 베드 플레이트 간의 간격은 재봉(needling) 동안 웨브 압축(web compression)을 제어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니들 보드는, 적층된 웨브 구조의 길이가 재봉되도록, 적층된 웨브 구조가 이송 시스템을 따라서 기계 방향 또는 재료 유동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적층된 웨브 구조와 반복해서 맞물리거나 그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본원 양태들은 이송 시스템을 따르는 상이한 지점들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니들 보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되, 상이한 니들 보드들은, 적층된 웨브 구조가 기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적층된 웨브 구조의 상이한 면들(예컨대, 상부 면 및 하부 면)에서부터 적층된 웨브 구조와 맞물릴 수 있다. 적층된 웨브 구조와 니들 보드의 각각의 맞물림은 본원에서는 "패스(pass)"로서 이해된다. 특정한 니들 보드들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은 결과에 따른 재봉된 부직 텍스타일의 의도되는 특성들(예: 평량, 두께 등)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상이한 매개변수들은 얽힘 패스(entanglement pass) 동안 사용되는 cm2당 바늘의 개수인 스티치 밀도(SD); 및 바늘이 적층된 웨브 구조로부터 당겨지기 전에 적층된 웨브 구조를 얼마나 멀리 통과하는지 나타내는 침투 깊이(P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니들 펀칭 공정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은 일반적으로 베드 플레이트와 스트리퍼 플레이트 간의 간격 및 적층된 웨브 구조의 이송 속도처럼 조정될 수 있다.
본원 양태들은, 비록 다른 바늘 유형들이 여기서 고려되기도 하지만, 가시 바늘(바늘의 길이를 따라 배치된 5개의 가시를 포함한 바늘)을 사용하는 점을 고려한다. 바늘 상의 가시들은, 가시가 적층된 웨브 구조의 제1 면에서부터 맞은편의 제2 면으로 이동할 때, 섬유들을 "포착"한다. 적층된 웨브 구조를 통과하는 바늘의 이동은 제1 면에 가까운 위치 또는 그곳에서부터 제2 면에 가까운 위치 또는 그곳으로 가시들에 의해 포착된 섬유들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밀며, 그리고 추가로 다른 섬유들과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야기하여 이동되는 섬유들을 제자리에 "잠금 고정"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과 상호작용하는 바늘 상의 가시들의 개수는 바늘의 침투 깊이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 5개의 가시는, 침투 깊이가 제1 양(amount)일 때 섬유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침투 깊이가 감소함에 따라 총 5개의 가시보다 더 적은 수의 가시(예컨대 4개의 가시, 3개의 가시, 2개의 가시, 하나의 가시)가 섬유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추가 예시의 양태들에서, 가시의 크기는 웨브(들)에서 사용되는 섬유들의 데니어를 기반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시 크기는, 작은 데니어 섬유들의 선택적인 이동을 야기하지만, 그러나 큰 데니어 섬유들의 선택적인 이동은 야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은 데니어(예컨대 미세한) 섬유들과 맞물리지만, 그러나 큰 데니어 섬유들과는 맞물리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가시 크기는, 웨브들을 통해 작은 데니어 섬유 및 큰 데니어 섬유 모두의 이동을 야기하도록 하기 위해 두 섬유 모두와 맞물리도록 선택될 수 있다.
얽힘 공정 이후, 부직 텍스타일은 제1 면 및 맞은편의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되, 이들 두 면은 부직 텍스타일의 내부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향해 있으면서 부직 텍스타일의 최바깥쪽 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부직 텍스타일을 볼 때, 제1 면 및 제2 면은 각각 완전하게 보일 수 있다. 제1 면과 제2 면은 모두 일반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상호 간에 오프셋되어 있는 x, y 평면들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면은 제1 x, y 평면으로 배향될 수 있고, 제2 면은 일반적으로 제1 x, y 평면에 대해 평행하고 그로부터 오프셋된 제2 x, y 평면으로 배향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탄성중합체 층(elastomeric layer)"이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배향축(orientational axis)에서 신장 및 회복 특성을 보유하는(즉, 탄력성이 있는) 층을 나타내되, 이러한 층은 단일의 배향축에서 신장성 및 회복성을 갖는 층과 다수의 배향축에서 신장성 및 회복성을 갖는 층 모두를 포함한다.  배향축의 예시들은 길이 방향, 폭 방향, x 방향, y 방향, 그리고 길이 방향, 폭 방향, x 방향 및 y 방향으로부터 임의의 방향 각도 오프셋을 포함한다. 탄성중합체 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탄성중합체(TPEE), TPU와 TPEE의 조합물 등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들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층은 스펀본드 층(spunbond layer), 멜트블로운 층(meltblown layer), 필름, 웨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층은 재활용된 TPEE(rTPEE)일 수 있다.
섬유와 관련할 때, 데니어 또는 섬유당 데니어란 용어는 섬유의 선형 질량 밀도에 대한 측정 단위이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섬유의 9000미터당 그램 단위의 질량이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의 데니어는 ASTM D1577-07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섬유의 dtex는 섬유 길이의 10,000미터당 그램 단위인 개별 섬유의 질량이다. 섬유의 지름은 섬유의 데니어 및 섬유의 밀도를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리미터 단위인 섬유 지름(d)은 d =dtex를 100으로 나눈 제곱근인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텍스타일 내 섬유들의 중량 퍼센트와 관련할 때, 중량 퍼센트는, 필름들을 포함한 모든 코팅층 또는 추가 첨가제를 제외한 섬유들을 기반으로 한다.
여기서 고려되는 섬유들은, 보통 폴리에스테르로서 공지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여, 다수의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PET 섬유들은 버진(virgin) PET 섬유들(재활용되지 않은 섬유들) 및 재활용된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재활용된 PET 섬유들은 "파쇄된 물품 섬유들" 및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섬유 함유 물품을 파쇄한 직접적인 부산물들(예: 편성, 직조, 부직 등)인 섬유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은, 중합체 함유 소스들(예컨대, PET 병 또는 용기; 편성되거나 직조되거나 부직된 PET 섬유 물품들; 롤 상품들; 텍스타일 제조 스크랩; 등)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되거나 칩(chip)화된 부산물에서 압출되는 섬유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실리콘 코팅 섬유(silicone-coated fiber)"란 용어는, 실리콘 코팅이 섬유 길이를 따라서 섬유를 완전하게 덮도록 연속 실리콘 코팅을 포함하는 섬유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에서, 섬유는 코어(core)를 형성할 수 있고, 실리콘은 코어를 에워싸는 외피(sheath)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의 양태들에서, "실리콘 코팅 섬유"란 용어는 섬유의 길이를 따라서 적어도 일부 구역에 간헐적인 실리콘 코팅을 포함하는 섬유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는 실리콘 코팅으로 분무될 수 있다. 본 양태에서, 특정한 섬유 웨브가 100중량 퍼센트의 실리콘 코팅 섬유를 포함한다면, 여기서는 웨브를 형성하는 섬유들이 실리콘 코팅을 포함하지 않은 구역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여기서는, 실리콘 코팅 섬유들이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섬유 웨브 안쪽에 내포되는 점이 고려된다. 달리 말하면, 섬유 상의 실리콘 코팅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이 예컨대 실리콘 분무 마감을 사용하여 형성된 이후에는 섬유들에 도포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색상" 또는 "색상 특성(색 특성)"은, 부직 텍스타일과 관련될 때, 일반적으로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섬유들의 식별 가능한 색상을 나타낸다. 상기 양태들은, 색상이 당업계에서 공지된 염료, 안료, 및/또는 착색제를 사용하여 섬유에 제공될 수 있는 임의의 색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들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흰색, 검은색 및 이들의 암청색(shade)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색상을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색상은, 섬유가 형성될 때 섬유에 부여될 수 있다[보통 원액착색(dope dyeing)으로서 공지됨]. 원액착색에서, 색상은, 이 색상이 섬유에 통합되도록, 섬유가 압출될 때 섬유에 부가되지만, 사후 형성(post-formation) 단계에서는 섬유에 부가되지 않는다.
색상과 관련된 양태들은 일측 색상이 타측 색상과 다른지를 결정하는 점을 더 고려한다. 이러한 양태들에서, 색상은, 색상의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표준화하고, 그리고/또는 정량화함으로써 객체의 색상의 색상값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는 계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는 수치 색상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기들은 분광복사기, 분광광도계, 색채계 등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양태들은, 섬유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직 텍스타일의 "색상"이 분광복사기 및/또는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그리고/또는 계산되는 수치 색상값을 포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 또한, 수치 색상값들은, 수치 색상값의 색상 표현(color representation)을 제공하는 색상들의 특정한 편성(organization)인 색공간 또는 색 모델과 관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각각의 수치 색상값은 색공간 또는 색 모델에서 표현되는 단일의 색상에 상응한다.
이러한 양태들에서, 색상은, 각각의 색상의 수치 색상값이 다르다면, 다른 색상과 다르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은, 예를 들면, 분광복사기 또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제1 색상을 갖는 제1 텍스타일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고; 동일한 계기를 이용하여 제2 색상을 갖는 제2 텍스타일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며(즉, 분광광도계가 제1 색상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면, 분광광도계는 제2 색상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함); 그리고 제2 색상의 수치 색상값과 제1 색상의 수치 색상값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결정은, 분광복사기 또는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텍스타일의 제1 구역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고; 동일한 계기를 이용하여 제2 색상을 갖는 텍스타일의 제2 구역의 수치 색상값을 측정하고, 그리고/또는 계산하며; 그리고 제2 색상의 수치 색상값과 제1 색상의 수치 색상값을 비교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수치 색상값들이 동일하지 않으면, 제1 색상 또는 제1 색상 특성은 제2 색상 또는 제2 색상 특성과 다르며,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도 다르다.
또한, 2개의 색상 간의 시각적 변별성(visual distinction)은 제1 색상 및 제2 색상의 수치 색상값들 간의 백분율 차이와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시각적 변별성은 색상값 증가치들 간의 백분율 차이처럼 더 커지게 될 것이다. 또한, 시각적 변별성은 색공간 또는 색 모델에서 색상값들의 색상 표현들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색상이 검은색 또는 네이비색인 표현된 색상에 상응하는 수치 색상값을 갖고, 제2 색상은 빨간색 또는 노란색인 표현된 색상에 상응하는 수치 색상값을 갖는다면, 제1 색상과 제2 색상 간의 시각적 변별성은 빨간색인 표현된 색상을 갖는 제1 색상과 노란색인 표현된 색상을 갖는 제2 색상 간의 시각적 변별성보다 더 크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필(pill)" 또는 "필링(pilling)"은 부직 텍스타일의 대향면 상의 섬유들 또는 섬유 끝단들의 작은 공 모양들의 형성을 나타낸다. 필은 텍스타일의 표면 평면으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필들은 일반적으로 섬유 끝단들이 부직 텍스타일의 면을 통과하여 이동하여 다른 섬유 끝단들과 얽히게 하는 힘(예컨대, 마모력)으로 인해 보통의 세척 및 마모 동안 형성된다. 필링에 대한 텍스타일의 저항성은 랜덤 텀블 및 마틴달 필링 테스트(Random Tumble and Martindale Pilling test)와 같은 표준화된 시험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전 얽혀진 웨브들 및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하여 다양한 측정치들이 제공된다. 결과에 따른 부직 텍스타일의 두께는 정밀 두께 게이지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예를 들면, 텍스타일은 플랫 앤빌(flat anvil)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압력 푸트(pressure foot)는 표준 고정 하중 아래쪽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텍스타일 상에 압착된다. 정밀 두께 게이지 상의 다이얼 인디케이터는 밀리미터(mm) 단위의 두께 표시를 제공한다. 평량은 ISO3801 시험 표준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제곱미터당 그램(gsm) 단위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드레이프(drape)에 상응하는 텍스타일 강성은 ASTMD4032(2008) 시험 표준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킬로그램 힘(Kgf) 단위를 갖는다. 직물 성장률(growth) 및 회복률(recovery)은 ASTM2594 시험 표준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신장성(stretch)"이란 용어는 규정된 장력 조건에서 명시된 거리의 증가로서 측정되는 텍스타일 특성을 의미하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원래의 벤치마크 거리(즉, 휴지 길이 또는 폭)의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성장률(growth)"이란 용어는 시간 간격 동안 규정된 장력으로 연장하고 이어서 장력을 해제한 후 명시된 벤치마크의 거리(즉, 휴지 길이 또는 폭)의 증가를 의미하며, 그리고 보통 원래의 벤치마크 거리의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회복성(recovery)"은 텍스타일의 원래의 벤치마크 거리(즉, 그의 휴지 길이 또는 폭)로 복귀하는 텍스타일의 능력을 의미하며, 그리고 원래의 벤치마크 거리의 백분율로서 표현된다. 일반적으로 단연 특징에 상응하는 열 저항성은 ISO11092 시험 표준을 사용하여 측정되고 RCT의 단위(M2*K/W)를 갖는다.
부직 텍스타일의 지속 가능성과 관련된(예컨대,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과 관련된) 탄소 발자국 및 기타 측정치들은 관련 데이터가 가용할 때 히그 지수(Higg Index)를 기반으로 한다.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정에 대해 히그 지수 하에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상기 공정에서 기인하는 탄소 발자국은, 재료의 질량(kg)을 계산하기 위해 텍스타일의 6,000미터(60gsm, 1.65미터의 폭)를 제조함으로써 "kg CO2e 수동 평가(manual assessment)"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제조 단계들에서 소모되는 에너지(kwh)는 측정되어 KWH/kg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KWH/kg 값은 (국제 에너지 협회에 의해 할당된 관련 위치에 대한) 탄소 에너지 그리드 배출 계수와 곱해져 kg CO2e 값이 결정된다.
달리 언급이 없으면, 본원에서 제공되는 모든 측정치는 표준 주변 온도 및 압력(섭씨 25도 또는 298.15K 및 1bar)에서 측정된다.
도 1에는, 부직 물품들(112)의 생산 및 재활용을 위한 지속 가능한 시스템(110)의 높은 수준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부직 물품들(112)은 마감된 상품, 롤 상품, 제조 부산물 및 기타 상기 품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10)은, 부직 물품들(112)을 생산하기 위해,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116)(예컨대 공정들 및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지속 가능한 원료들(114)(예컨대, 텍스타일 섬유들)을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110)은, 후속 물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들(114)을 생산하기 위해 부직 물품들(112)뿐만 아니라 외부 물품들(120)도 재활용하는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도 포함한다.
본원 개시의 양태에서, 시스템(110)은 향후 제품들을 위한 원료를 생성하기 위해 다종다양한 범주에서 기인하는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을 재사용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110)은 시스템(110)에 의해 제조되는 "흐름 내(in-stream)" 부직 물품들(112)을 재활용한다. 또한,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은 다종다양한 범주들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 예컨대 의복 물품들(122); 복장(gear), 장비 및 가방(124); 및 롤 상품들(126)[예컨대 사장 재고(deadstock), 잉여분, 이전 시즌 스타일, 스크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10)은, 제조 공정(116)에 의해 생산되지 않고 원료를 생성하기 위해 시스템(110)에 의해 여전히 사용될 수 있거나 흡수될 수 있는 외부 또는 "추가 흐름(extra-stream)" 물품들(120)을 재활용한다. 이런 의미에서, 추가 흐름 물품들(120)은 또 다른 상이하고 이질적인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을 나타내며, 그리고 추가 흐름 물품들(120)은 흐름 내 물품들(112)과 유사한 적어도 일부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 범주뿐만 아니라, 다른 재활용 가능한 상품 범주들[예컨대, 플라스틱 병들(128)]도 포함할 수 있다. 다종다양한 범주들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을 사용함으로써,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그렇지 않을 경우 매립지에 폐기될 수도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고 재사용하여 다양한 수명 말기의 물품들에 대한 추가적인 활용 옵션들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에서, 시스템(110)은, 일부 물품들의 적어도 부분들을 제작하기 위해, 새로운 버진 재료들(virgin materials)(예컨대, 묘사되지 않은 버진 PET)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시스템(110)에 통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가능한 후속 물품들에서 재사용된다. 다른 양태들에서, 시스템(110)은,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을 활용하지 않거나, 또는 일부 다른 역할에서 재사용될 수 없는 재료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유형의 패스너가 물품(112)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패스너는 수명 말기의 물품에서 제거될 수 있고 가능하면 후속 물품들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묘사된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의 일부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 및 추가 흐름 물품들(120)은 투입물(inputs)로서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에 제공된다. 일부 양태에서,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은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116)에 의해 제조되는 마감된 상품들(130)[예컨대, 의복 물품(122), 가방(124) 등]; 및/또는 롤 상품들; 및/또는 롤 상품들(126)을 제작에 따른 그 제조 부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흐름 물품들(120)은 지속 가능한 제조 시스템의 외부에서 제조되는 마감된 상품들; 롤 상품들; 및 제조 부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마감된 상품들(finished goods)"은 의복 물품들, 가방과 같은 장비, 및 기타 상기 품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롤 상품들 및 그 제조 부산물들"은,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116)에 의해 제조되는, 예를 들면 사용되지 않은 텍스타일 롤, 롤들에서 절단된 스크랩, 제조 공정의 부산물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은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비자는 다시 시스템(110) 내로 포함시키기 위해 물품들(112)을 반환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소비자는 외상 물품들, 각각 수명 말기에 있는 물품들 등을 반환할 수 있다. 또한, 소매업자 및/또는 제조업체는 수거 프로그램, 기부, 인센티브 프로그램 등을 통해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을 적극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텍스타일 제조업체들은 사용되지 않는 롤들(예컨대, 여분, 과잉재고, 사장재고, 이전 시즌 롤, 등)을 반환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들은 시스템 내로의 재투입을 위해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을 통해 생산된 부산물들을 적극적으로 수거할 수도 있다.
비록 추가 흐름 물품들(120)은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116)을 통해 제작되지는 않긴 하지만, 이들 추가 흐름 물품도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에서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추가 흐름 물품들(120) 중 적어도 일부는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에 대해 상기에서 설명한 방식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양태에서, 추가 흐름 물품(120)의 제조업체 및/또는 소매업자는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의 제조업체 및/또는 소매업자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추가 흐름 물품(120)은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을 위한 투입물로서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추가 흐름 물품들(120) 중 하나 이상은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의 범주와 다른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의 범주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추가 흐름 물품들(120)은, 병류, 클램쉘류 및 기타 용기류와 같은 비-웨어(non-ware) PET 함유 물품들(136)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은 웨어들(wares)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웨어(ware)"란 용어는, 마감된 제품 또는 상품(finished product or good)의 포장과는 대조적으로, 의복 물품, 가방, 천 덮개(upholstery) 등과 같은 실제 마감된 제품 또는 상품을 나타낸다. 정반대로,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비-웨어(non-ware)"란 용어는 마감된 상품 또는 제품은 아니지만, 마감된 상품 또는 제품과 관련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포장, 전시품 등과 같은 마감된 제품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물품들을 나타낸다. 일부 양태에서, 추가 흐름 물품들(120)은, 편성 텍스타일 및 직조 텍스타일처럼, 부직 텍스타일이 아닌 텍스타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소스들에서 기인하는 다종다양한 범주들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을 사용함으로써,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그렇지 않을 경우 매립지에 폐기될 수도 있는 재료들을 사용하고 재사용하여 다양한 수명 말기의 물품들에 대한 추가적인 활용 옵션들을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은 재료 재활용 단계(137) 및 재료 회수 단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재활용 단계(137)의 일 양태에서, 흐름 내 부직 물품들(112) 및/또는 추가 흐름 물품들(120) 내에 포함되는 재료(예컨대, PET, rPET, TPEE 또는 rTPEE)는, 예컨대 재료를 (예컨대, 파쇄, 용융 등을 통해) 칩들(chips) 또는 펠릿들(pellets)로 변형함으로써 재-펠릿화된다(138). 그 다음, 펠릿들 또는 칩들은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원료(114)의 상이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펠릿화된 중합체는 압출(140)되어 섬유들(142)로 형성되고, 이런 섬유들은 스테이플들(staples)로 절단되거나 필라멘트들(filaments)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섬유들의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추가 단계들이 실행될 수 있는 점도 고려된다. 예를 들면, 일부 사례에서, 결정성 개질제(crystallinity modifier)[예컨대, 이소프탈산(IPA)]는, 연신능(drawability), 선명도(clarity), 착색성(colorability)(의도되는 색상을 취하는 능력) 등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물품을 칩들 또는 펠릿들로 변형할 때 중합체에 다양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압출된 섬유들(142)은, 약 3%에서부터 약 13%까지, 약 5%에서부터 약 10%까지의 범위, 또는 약 5%의 중량 퍼센트의 결정성 개질제를 함유한다. 다른 사례들에서, 중합체 압출 단계(140)는 섬유에 색상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액 착색 공정(1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약"이란 용어는 지시값(indicated value)의 ±5% 이내를 의미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IPA의 중량 퍼센트는 ASTM D2690-98 테스트 표준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개념은, 실선 섬유(146)가 제1 색상을 갖는 섬유를 나타내고 파선 섬유(148)는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갖는 섬유를 나타내는 것인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재료 재활용 단계(137)에 포함되는 공정의 제어 가능성을 기반으로, 압출된 섬유들(142)은, 전형적으로, 데니어 및 스테이플 길이와 같은 특정한 특성들에 대하여 공차 이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양의 균일성을 보유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은, 재료 또는 원료가 기계적 분리(예컨대, 물품 파쇄)에 의해 물품으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수되는 것인 재료 회수 단계(15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물품은, 재료들[예컨대, 섬유들, 잉크들, 웨브들, 섬유 클럼프들(fiber clumps) 등]이 소면(carding)될 수 있을 때까지, 파쇄될 수 있다(또는 그렇지 않으면 기계적으로 분리되거나 조작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소면될 수 있는(cardable)"이란 용어는 파쇄된 재료가 소면되도록 허용하는 크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기계적 분리 단계(152)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154)을 생산하되, 이들 섬유는 기계적으로 분리되거나 사후에 혼합되는 물품들의 유형 및/또는 스타일에 따라서 크기, 길이, 색상 등을 가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의 길이는 전형적으로 압출된 섬유들보다 훨씬 더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들은 기계적 분리 단계(152) 동안 무작위로, 그리고 불균일하게 파손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섬유들보다 더 짧고, 그리고/또는 더 긴 일부 섬유를 생성한다. 전형적으로, 일단 물품 내에 내포되면,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압출된 섬유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표준 편차를 보유하게 된다. 예를 들면, 파쇄된 물품 섬유들(154)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의 범위는 약 40mm에서부터 약 60mm까지, 약 45mm에서부터 약 55mm까지일 수 있거나, 또는 약 51mm일 수 있으며; 그리고 표준 편차의 범위는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 약 5mm에서부터 약 20mm까지, 또는 약 5mm에서부터 약 10mm까지일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다른 양태들에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154)은, 전체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지만, 여전히 소면될 수 있는 섬유들(158)의 클럼프들뿐만 아니라, 다른 재료들(160)(예컨대, 잉크, 실리콘, 탄성중합체 재료들 등)과 파쇄된 물품 섬유들(154)의 조합물들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파쇄 공정으로 인해 불균일한 섬유 끝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진(virgin) 또는 재-압출된 섬유들은, 일반적으로 섬유들의 측면들에 대하여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표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평면인 표면을 보유한 섬유 끝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대조적으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섬유들의 측면들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90도보다 크거나 또는 그보다 더 작은 각도를 이루는 비-평면 표면들 및/또는 평면 표면들을 갖는 섬유 끝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파쇄된 물품 섬유들(154)은 다양한 지속 가능성 장점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섬유들은, 그렇지 않을 경우 매립지에서 처리될 수도 있는 이전 물품들을 재사용한다. 또한, 재료 생성과 관련된 특정한 공정들(예컨대, 재-펠릿화, 압축, 착색 등)을 생략함으로써,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물품들의 탄성 발자국은 보다 더 적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116)이 도시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 압출된 섬유들(142), 파쇄된 물품 섬유들(154), 또는 임의의 조합물은 섬유 웨브 형성 공정(162)에 의해 섬유 웨브로 변형된다. 예를 들면, 섬유들(142 및 154)은 다른 공정들 중에서 소면 공정(164), 크로스 래핑 공정(166), 재봉 공정(168) 및 슬리팅 공정(170)(slitting process)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재사용 가능한 부산물들(172)은 섬유 웨브 형성 공정(162)에서 포착되어 다시 시스템(110) 안쪽으로, 예컨대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 및/또는 지속 가능한 원료들(114) 안쪽으로 투입된다. 재사용 가능한 부산물들(172)의 일례는 섬유 웨브 형성 공정(162)에 들어가지만, 그러나 충분히 얽히지 않고, 그에 따라 섬유 웨브에서 빠져나오는 느슨한 섬유들(174)을 포함한다. 느슨한 섬유들(174)은 소면 단계(164)를 포함한 다양한 단계들에서 시스템에 재도입(re-introduction)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웨브의 에지들 근처에 배열되는 섬유들은, 부직 텍스타일 안쪽의 내포를 위해 바람직한 방식으로 얽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들은 보다 더 적은 양의 얽힘 및/또는 일관되지 않은 얽힘으로 처리되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는, 웨브의 각각의 에지를 따르는 여유부(margin)(176)가 제거되는 것인 슬리팅 공정(170)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여유부(176)(예컨대, 얽힘의 양)의 구성은, 여유부(176)가 사전 기계적 분리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소면 단계(164)에서 재도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섬유 웨브들은 섬유 웨브 형성 공정(162)을 통해 구성된다. 섬유 웨브들은 의도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특성들을 보유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다수의 섬유 웨브[예컨대, 스택(180)(stack)]는, 부직 텍스타일(198) 또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얽힘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섬유 웨브의 하나 이상의 특성은 부직 텍스타일(198)의 전체 특성들에 기여하도록 선택되거나 제어된다. 예를 들면, 도 4, 5 및 6에는, 부직 텍스타일(198)(도 3)로 구성될 때처럼, 다른 웨브들과 얽히기 이전 상태로, 상이한 섬유 웨브들(200, 300 및 400)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제1 섬유 웨브(200)와 관련된 특성들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에 대해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웨브들과 얽혀질 때, 여기서는, 제1 섬유 웨브(200)가 부직 텍스타일(198)의 제1 면을 형성하는 점이 고려되며; 그리고 부직 텍스타일(198)이 의복 물품 안쪽에 형성될 때, 여기서는 제1 면이 의복 물품의 바깥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고, 일부 양태에서는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는 점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제1 섬유 웨브(200)와 관련된 특성들은 예컨대 내구성, 마모 저항성 및 단정성(modesty)에 대한 커버리지를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섬유 웨브(200)는 제곱미터당 약 35그램(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약 35gsm에서부터 약 65gsm까지, 약 40gsm에서부터 약 60gsm까지, 약 45gsm에서부터 약 55gsm까지, 또는 약 50gsm의 평량을 보유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약"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지시값의 ±10% 이내를 의미한다. 제1 섬유 웨브(200)에 대해 상기 범위의 평량을 목표로 함으로써, 제1 섬유 웨브(200)가 다른 웨브들 및/또는 탄성중합체 층들과 결합된 이후 의도되는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결과에 따른 부직 텍스타일이 제공된다.
제1 섬유 웨브(200)는, 소면 및 크로스 래핑 공정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공통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섬유들(210)로 형성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210)은, 비록 다른 버진 및 재활용된 비-코팅 섬유 유형들(예: 폴리아미드, 면섬유 등)이 여기서 고려된다고 하더라도, (재활용된 또는 버진) 비-코팅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들(210)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PET 섬유들과 같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비-코팅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210)은 100중량 퍼센트의 버진 섬유들, 또는 의도한 바대로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들의 다른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210)의 스테이플 길이(staple length)의 범위는 약 40mm에서부터 약 60mm까지, 약 45mm에서부터 약 55mm까지일 수 있거나, 또는 약 51mm일 수 있다. 이러한 섬유 길이의 사용은 의도되는 얽힘이 달성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가 40mm 미만일 때, 섬유들은, 얽혀지기에 충분한 길이를 보유하지 않을 수 있고, 길이가 60mm를 초과할 때에는, 바늘이 얽힘 공정 동안 부직 텍스타일로부터 인출될 때 섬유들은 실제로 얽혀지지 않을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210)은, 이 섬유들이 버진 압출 PET 또는 재압출된 PET로 형성되어 정의된 길이로 재단될 때처럼, 균일한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210)은, 이 섬유들(210)이 파쇄된 섬유 소스로부터 파생될 때처럼, 스테이플 길이의 변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210)은 약 1.2D보다 크거나 같은 데니어, 또는 약 1.2D에서부터 약 3.5D까지, 약 1.2D에서부터 약 1.7D까지, 약 1.3D에서부터 약 1.6D까지의 데니어, 또는 약 1.5D의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활용하면, 섬유들(210)이 파손에 대해 보다 덜 민감하게 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제1 면의 내구성 및 마모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여전히 제1 섬유 웨브(200)의 평량을 달성하면서, 상기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선택하면, 제1 면의 우수하고 균일한 커버리지를 제공하며, 이는 제1 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여전히 제1 섬유 웨브(200)에 대한 평량을 유지하면서, 예컨대, 3.5D보다 더 큰 데니어를 선택하면, 일례에서 제1 면에 대해 균일한 커버리지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섬유 웨브(20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210)은 제1 색상 또는 제1 색상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색상 특성은, 예컨대 섬유들(210)이 원액 착색되도록 섬유들(210)이 형성되고 있을 때, 예컨대 압출 공정 동안 섬유들(210)에 부여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색상 특성은, 비록 다른 색상들도 여기서 고려되기는 하지만, 흰색일 수 있다. 원액 착색된 섬유들을 사용하여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을 형성하면, 사후 형성 염색 단계들은 생략되며, 이는 부직 텍스타일(198)의 탄소 발자국을 감소시키는 데 추가로 도움을 준다.
도 5에는, 다른 웨브들과 얽혀지기 이전의 제2 섬유 웨브(300)가 묘사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300)와 관련된 특성들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에 대해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웨브들과 얽혀질 때, 여기서는, 제2 섬유 웨브(300)가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맞은편의 제2 면을 형성하는 점이 고려되며; 그리고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이 의복 물품 안쪽에 형성될 때, 여기서는 제2 면이 의복 물품의 안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고, 일부 양태에서는 의복 물품의 최안쪽 대향 표면을 형성하는 점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제2 섬유 웨브(300)와 관련된 특성들은 예컨대 부드러운 질감 또는 촉감을 포함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300)는 약 20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제곱미터당 약 35그램(gsm)에서부터 약 65gsm까지, 약 40gsm에서부터 약 60gsm까지, 약 45gsm에서부터 약 55gsm까지, 또는 약 50gsm의 평량을 보유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300)는 일반적으로 제1 섬유 웨브(200)와 동일한 평량을 갖는다. 제2 섬유 웨브(300)에 대해 상기 범위의 평량을 목표로 함으로써, 제2 섬유 웨브(300)가 다른 웨브들 및/또는 탄성중합체 층들과 결합된 이후 의도되는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결과에 따른 부직 텍스타일이 제공된다.
일 양태에서, 제2 섬유 웨브(300)는, 소면 및 크로스 래핑 공정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공통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섬유들(310) 및 섬유들(312)과 같은 2가지 유형의 섬유들로 형성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310)은, 비록 다른 버진 및 재활용된 비-코팅 섬유 유형들(예: 폴리아미드, 면섬유 등)이 여기서 고려된다고 하더라도, (재활용된 또는 버진) 비-코팅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들(310)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비-코팅 PET 섬유들과 같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비-코팅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310 및/또는 312)은 100중량 퍼센트의 버진 섬유들, 또는 의도한 바대로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들의 다른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312)은 섬유들(310)과 다른 특징들을 보유한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섬유들(312)은 실리콘 코팅 섬유들을 포함한다. 섬유들(312)은, 제2 섬유 웨브(300) 안쪽에 섬유들(312)을 내포시키기 이전에 실리콘으로 코팅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300)는 약 10 내지 약 10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약 4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6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약 45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55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약 5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5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약 55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45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 또는 약 6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4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일 양태에서, 제2 섬유 웨브(300)는 약 5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0)과 약 5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섬유 웨브(300)가 약 100중량 퍼센트의 섬유들(312)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할 때, 여기서는 섬유들(312)이 그들 길이를 따라 실리콘으로 간헐적으로 코팅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된다. 상기한 범위들의 섬유들(312)을 활용하면, 제2 섬유 웨브(30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면에 우수한 촉감이 제공된다. 또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에 우수한 드레이프성도 제공된다. 달리 말하면,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청소 공간 및 개인위생 공간에서 사용되는 종래 부직 텍스타일만큼 뻣뻣하지 않다. 또한, 상기한 범위들의 섬유들(310) 및 섬유들(312)을 활용하면, 실리콘 코팅 섬유들이 얽힘 공정 동안 보다 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본원에서 설명되는 섬유 웨브를 얽히게 하기 위해 필요한 바늘 힘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들 미만의 실리콘 코팅 섬유들을 내포할 때, 제2 면은 착용 동안 건조하고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와 정반대로,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들을 초과하는 실리콘 코팅 섬유들을 내포할 때에는, 제2 면은 매끄럽게 느껴질 수 있고, 이는 또한 착용자를 불쾌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들을 초과하는 실리콘 코팅 섬유들을 사용하면, 소면 공정을 어렵게 만들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카드 와이어들(card wires)이 균일한 소면 웨브(carded web)를 달성하기 위해 섬유들과 마찰 방식으로 맞물릴 수 없기 때문이다.
실리콘 코팅 섬유들(312)을 활용하면, 사후 형성 처리 단계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에 실리콘 마감(silicone finish)을 부가할 필요성이 감소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텍스타일 공간에서 공지된 것처럼, 사후 형성 처리 단계에서 편성되거나 직조된 제품들에 실리콘 연화제 마감재를 부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이러한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탄소 발자국은 추가로 감소된다.
섬유들(310 및 312) 각각의 스테이플 길이의 범위는 약 40mm에서부터 약 60mm까지, 약 45mm에서부터 약 55mm까지일 수 있거나, 또는 약 51mm일 수 있다. 섬유들(210)과 유사하게, 상기 길이는 최적의 얽힘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310 및/또는 312)은, 이 섬유들이 버진 압출 PET 또는 재압출된 PET로 형성되어 정의된 길이로 재단될 때처럼, 균일한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310 및/또는 312)은, 이 섬유들(310 및/또는 312)이 파쇄된 섬유 소스로부터 파생될 때처럼, 스테이플 길이의 변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310 및 312) 각각은 약 1D보다 작거나 같은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니어는 약 0.1D, 약 0.2D, 약 0.3D, 약 0.4D, 약 0.5D, 약 0.6D, 약 0.7D, 약 0.8D 또는 약 0.9D일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310 및 312)의 데니어는 약 0.6D에서부터 약 1.0D까지, 약 0.7D에서부터 약 0.9D까지일 수 있거나, 또는 약 0.8D일 수 있다. 상기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활용하면, 제2 섬유 웨브(300)로 형성되는 제2 면에 부드러운 촉감 또는 질감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여전히 제2 섬유 웨브(300)의 평량을 달성하면서, 상기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선택하면, 제2 면의 우수한 커버리지가 제공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2 섬유 웨브(30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310 및 312)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색상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310 및 312) 모두는 섬유들(210)의 제1 색상 특성을 보유한다. 섬유들(210)과 유사하게, 섬유들(310 및 312) 각각은 원액 착색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 텍스타일을 위한 사후 처리 염색 단계들을 위한 필요성을 추가로 감소시킨다.
도 6에는, 다른 웨브들과 얽혀지기 이전 상태로 선택적인 것일 수 있는 제3 섬유 웨브(400)가 묘사되어 있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 안쪽에 내포될 때, 여기서는 제3 섬유 웨브(400)가 제1 섬유 웨브(200)와 제2 섬유 웨브(300) 사이에 위치되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3 섬유 웨브(400)와 관련된 특성들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에 대해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3 섬유 웨브(400)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을 위해 의도되는 평량을 달성하기 위해,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을 위해 의도되는 두께를 달성하기 위해,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을 위해 의도되는 단열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그 외 목적을 위해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 안쪽에 내포될 수 있다.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것처럼,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에 시각적인 미적 특질을 부여하기 위해, 제3 섬유 웨브(400)를 형성하는 섬유들(410)은 제1 섬유 웨브(200) 및 제2 섬유 웨브(30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과 다른 색상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제1 섬유 웨브(200) 및 제2 섬유 웨브(300)와 유사하게, 제3 섬유 웨브(400)는 약 20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제곱미터당 약 35그램(gsm)에서부터 약 65gsm까지, 약 40gsm에서부터 약 60gsm까지, 약 45gsm에서부터 약 55gsm까지, 또는 약 50gsm의 평량을 보유한다. 제3 섬유 웨브(400)에 대해 상기 범위의 평량을 목표로 함으로써, 제3 섬유 웨브(400)가 다른 웨브들 및/또는 탄성중합체 층들과 결합된 이후 의도되는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결과에 따른 부직 텍스타일이 제공된다.
제3 섬유 웨브(400)는, 소면 및 크로스 래핑 공정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공통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섬유들(410)과 같은 섬유들로 형성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410)은, 비록 다른 버진 및 재활용된 비-코팅 섬유 유형들(예: 폴리아미드, 면섬유 등)이 여기서 고려된다고 하더라도, (재활용된 또는 버진) 비-코팅 PET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섬유들(410)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비-코팅 PET 섬유들과 같은 100중량 퍼센트의 재활용된 비-코팅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410)은 100중량 퍼센트의 버진 섬유들, 또는 의도한 바대로 버진 및 재활용된 섬유들의 다른 조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210, 310 및 312)과 유사하게, 섬유들(410 및 312)의 스테이플 길이의 범위는 약 40mm에서부터 약 60mm까지, 약 45mm에서부터 약 55mm까지일 수 있거나, 또는 약 51mm일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섬유들(410)은, 이 섬유들이 버진 압출 PET 또는 재압출된 PET로 형성되어 정의된 길이로 재단될 때처럼, 균일한 길이를 보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410)은, 이 섬유들(410)이 파쇄된 섬유 소스로부터 파생될 때처럼, 스테이플 길이의 변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들(410)은 약 1.2D보다 크거나 같은 데니어, 약 1.2D에서부터 약 3.5D까지, 약 1.3D에서부터 약 1.6D까지의 데니어, 또는 약 1.5D의 데니어를 보유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활용하면, 섬유들(410)이 파손에 대해 보다 덜 민감하게 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내구성 및 마모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제3 섬유 웨브(400)는 사용될 때 제1 섬유 웨브(200)와 제2 섬유 웨브(300)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부드러운 질감을 보유하는 점은 예컨대 제2 섬유 웨브(200)만큼 중요하지 않다. 여전히 제3 섬유 웨브(400)의 평량을 달성하면서 상기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선택함으로써,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전체 커버리지 및/또는 불투명성은 향상되게 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3 섬유 웨브(400)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섬유들(410)은 제1 색상 특성과 다른 제2 색상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대각선 음영선들의 사용을 통해 도 4에 묘사되어 있다. 여기서는, 섬유들(410)이 원액 착색되어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탄소 발자국을 추가로 감소시키는 점이 고려된다.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410)이 파쇄된 물품 섬유들일 때처럼, 제2 색상 특성은, 사전에 섬유(410)에 도포되었던 잉크들, 염료들 또는 기타 착색제들에서 기인할 수 있다. 하기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제1, 제2 및 제3 섬유 웨브(200, 300 및 400)의 얽힘 동안, 섬유들(410)은, 제2 색상 특성이 제2 면에 비해 제1 면 상에서 보다 큰 정도로 시각적으로 분간될 수 있도록, 제2 면보다 제1 면을 향해 더욱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는, 섬유 웨브 형성에 의해 반드시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여전히 섬유 웨브들과 결합되거나 그 중에 적층될 수 있는 탄성중합체 층(500)이 묘사되어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탄성중합체 층(500)은 약 20gsm에서부터 약 150gsm까지, 약 50gsm에서부터 약 70gsm까지, 약 55gsm에서부터 약 65gsm까지, 또는 약 60gsm의 평량을 보유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층(500)의 평량은,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 텍스타일에 대해 의도되는 평량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원 양태들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탄성중합체(TPEE), TPU와 TPEE의 조합물 등과 같은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들로 탄성중합체 층(500)을 형성하는 점을 고려한다. 탄성중합체 층은 스펀본드 층(spunbond layer), 멜트블로운 층(meltblown layer), 필름, 웨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예시의 양태에서, 탄성중합체 층(500)은 TPEE 스펀본드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특정한 양태에서는, 탄성중합체 층(500)은 TPU 멜트블로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탄성중합체 층(500)은, 일반적으로 얽힘 공정 동안 구조적인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에 바람직한 신장 및 회복 특성들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또한, 탄성중합체 층(500)은,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로 형성되는 의복 품목의 편안한 특징에 기여하는 통기성 및 투기성(permeability)이 있도록; 그리고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강경도(stiffness)를 감소시키기 위해 유연성(pliability)이 있도록;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에 대한 낮은 평량을 유지하기 위해 낮은 평량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는, 탄성중합체 층(500)이 색상 특성을 보유하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비록 다른 색상 특성들도 여기서 고려되기는 하지만, 색상 특성은 섬유들(210, 310 및 312)과 관련된 제1 색상 특성일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도 3에는, 부직 텍스타일(198)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스택(180) 내에 섬유 웨브들(200, 300 및 400)과 탄성중합체 층(500)이 묘사되어 있다. 본원 개시의 양태에서, 층들(예: 섬유 웨브들, 탄성중합체 층들 등) 또는 "다층(multilayer)"의 스택(180)은, 다층 재봉(184) 동안 스택(180)을 이송하는 이송 시스템(182) 상에 배치된다. 본원 개시의 양태에서, 스택(180)은 제1 섬유 웨브(200), 제2 섬유 웨브(300), 선택적으로 제3 섬유 웨브(400), 및 탄성중합체 층(5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스택은 하나 이상의 층이 부가되거나 생략되는 방식으로 층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설명한 것처럼, 섬유 웨브들(200, 300 및 400) 각각은 의도되는 평량을 달성하기 위해 소면 및 래핑되었다. 또한, 웨브들(200, 300 및 400) 각각은 결속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약하게 재봉되었다. 제1, 제2 및 제3 섬유 웨브(200, 300 및 400) 각각 내의 섬유들이 일반적으로 느슨한 웨브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섬유들은 바늘 얽힘 공정 동안 이동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이송 시스템(182)은, 약 1.0m/min에서부터 약 3m/min까지, 약 2.0m/min에서부터 약 2.5m/min까지, 약 2.1m/min에서부터 약 2.4m/min까지의 속도로, 또는 약 2.3m/min의 속도로 적층 구성(180)(stacked configuration)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속도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예컨대, 평량, 두께, 성장률 및 회복률)을 생성하기 위해 니들 베드들(needle beds)을 통해 필요한 수준의 얽힘을 제공한다. 보다 더 느린 속도는, 부직 텍스타일의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는 얽힘 증가를 야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증가된 속도는 역시 부직 텍스타일(198)의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는 불충분한 얽힘을 야기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다층 재봉 단계(184)는 하나 이상의 니들 보드(needle board)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패스(pass)를 포함한다. 재봉은 스택(180)의 일측 측면에서 스택의 타측 측면을 향해, 또는 그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패스들(186)은 제1 섬유 웨브(200)에서부터 제2 및 제3 섬유 웨브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패스들(188)은 제2 섬유 웨브(300)에서부터 제3 및 제1 섬유 웨브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다층 재봉 단계(184)의 니들 보드들에서 사용되는 바늘들은 제1, 제2 및 제3 섬유 웨브(200, 300 및 400)에서 사용되는 특정한 데니어의 섬유들과 최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바늘들은 의도되는 얽힘 정도를 달성하기 위해 의도되는 개수의 가시를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패스(예: 186)는 제1 섬유 웨브(200)에서부터 제2 섬유 웨브(300)로 향하는 방향으로 일어나며, 그리고 기능적으로는 제1 섬유 웨브(200)에서부터 제3 섬유 웨브(400) 안쪽으로, 그리고 제2 섬유 웨브(300) 안쪽으로 섬유들의 이동 및 얽힘, 및 제3 섬유 웨브(400)에서부터 제2 섬유 웨브(300) 안쪽으로 추가 이동 및 얽힘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186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상기 방향으로 제1 패스가 일어나게 함으로써, 탄성중합체 층(500)과 접촉하기 전에 적어도 제1 섬유 웨브(200)에서부터 바늘들이 섬유들로 가득 차 있는 점이 보장되며, 이는, 바늘들이 탄성중합체 층(500)을 절단하고 그 결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성장 및 회복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제1 패스는 약 40n/cm2에서부터 약 60n/cm2까지, 약 45n/cm2에서부터 약 55n/cm2까지의 스티치 밀도, 또는 약 50n/cm2의 스티치 밀도를 보유할 수 있다. 제1 패스를 위한 침투 깊이는 약 10mm에서부터 약 14mm까지, 약 11mm에서부터 약 13mm까지일 수 있거나, 또는 약 12mm일 수 있다. 이러한 양의 침투 깊이는, 예시의 양태들에서, 일반적으로 바늘들의 가시들을 모두 맞물리게 한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바늘 모두는 5개의 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침투 깊이는, 섬유 웨브들(200, 300 및 400) 각각 내의 섬유들이 바늘들 상의 가시들과 맞물리도록, 적층 구성(180)을 완전히 통과하는 점을 보장한다. 달리 언급하면, 제1 패스에 대해 침투 깊이를 설명한 것처럼 설정함으로써, 제1 섬유 웨브(200)에서 기인하는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가 제3 섬유 웨브(400)의 섬유들과 얽혀지고 제2 섬유 웨브(200)의 섬유들과도 얽혀지며, 그리고 제3 섬유 웨브(400)의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섬유 웨브(200)의 섬유들과 얽혀지는 점이 보장된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스티치 밀도와 침투 깊이 사이에는 정반대의 관계가 존재한다. 이는 섬유들의 혹사(overworking) 및 섬유들의 잠재적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달리 언급하면, 침투 깊이가 높을 때, 스티치 밀도는 섬유들의 잠재적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더 낮다. 제1 패스 이후, 스택(180)은 상이한 웨브들에서 기인하는 섬유들의 z 방향 이동 및 얽힘으로 인해 감소된 두께를 보유하게 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제1 패스에 후속하여(즉, 그 후에 일시적으로) 이루어지는 제2 패스는 대안의 방식으로 적층 구성의 양측면(186 및 188 모두)에서부터 이루어진다. 달리 언급하면, 제2 패스는 제1 섬유 웨브(200)에서부터 제2 섬유 웨브(300)를 향해서뿐만 아니라, 제2 섬유 웨브(200)에서부터 제1 섬유 웨브(300)를 향해서도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패스는 제1 섬유 웨브(200)에서부터 제3 섬유 웨브(400) 안쪽으로, 그리고 제2 섬유 웨브(300) 안쪽으로 섬유들(210)을 이동시키도록 작용한다. 또한, 이는, 제3 섬유 웨브(400)에서부터 탄성중합체 층(500)을 통과하여 제2 섬유 웨브(300) 안쪽으로 섬유들(410)을 이동시킨다. 제2 패스는 섬유들(310)을 탄성중합체 층(500)을 통과하여 제1 섬유 웨브(200)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제2 패스에서 상단 및 하단에서부터의 니들 펀칭은 약 40n/cm2에서부터 약 60n/cm2까지, 약 45n/cm2에서부터 약 55n/cm2까지의 스티치 밀도, 또는 약 50n/cm2의 스티치 밀도를 보유할 수 있다. 스티치 밀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하면, 탄성중합체 층(500)의 혹사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그에 따라 결과에 따른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에 대해 의도되는 성장 및 회복 특성들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제2 패스에 대한 침투 깊이는 약 6mm에서부터 약 8mm까지이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186의 방향에서부터 제2 패스에 대한 침투 깊이는 약 6mm이며, 그리고 188의 방향에서부터의 침투 깊이는 약 8mm이다. 또 다른 예시의 양태에서, 186의 방향에서부터 제2 패스에 대한 침투 깊이는 약 8mm이며, 그리고 188의 방향에서부터의 침투 깊이는 약 6mm이다. 제2 패스 동안 적층 구성(180)의 두께는 제1 패스 때문에 이미 다소 감소되어 있기 때문에, 침투 깊이는 제2 패스에 대해 감소된다. 여기서는, 바늘이 적층 구성(180)을 완전하게 통과할 정도로 제2 패스에 대한 침투 깊이는 충분하다는 점이 고려된다. 예시의 일 양태에서, 침투 깊이가 8mm일 때, 여기서는 바늘 가시들 중 3개가 맞물리는 점이 고려되며, 그리고 침투 깊이가 6mm일 때에는, 여기서는 바늘 가시들 중 2개가 맞물리는 점이 고려된다. 제2 패스가 완료된 후에, 적층 구성(180)은 제1 패스 이후 적층 구성에 비해 훨씬 더 감소된 두께를 보유한다. 제2 패스의 최종 결과는 제1 섬유 웨브(200), 제2 섬유 웨브(300) 및 제3 섬유 웨브(400)의 추가적인 얽힘이다.
추가 양태에서, 다층 재봉 단계(184)는 제3 패스를 포함하되, 이 제3 패스는 제2 패스에 후속하여(즉, 그 후에 일시적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제2 섬유 웨브(300)에서부터 제1 섬유 웨브(200)로 향하는 188의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제3 패스의 스티치 밀도는 약 175n/cm2에서부터 약 225n/cm2까지, 약 180n/cm2에서부터 약 220n/cm2까지, 약 190n/cm2에서부터 약 210n/cm2까지이거나, 또는 200n/cm2이다. 제3 패스의 보다 더 높은 스티치 밀도는, 제1 패스 및 제2 패스와 같은, 보다 더 낮은 스티치 밀도를 갖는 패스들에 비해, 적층 구성(180)의 보다 더 균일한 표면 조직화(texturing) 또는 작용을 달성한다. 제3 패스를 위한 침투 깊이는 약 1mm에서부터 약 5mm까지, 약 2mm에서부터 약 4mm까지이거나, 또는 약 3mm이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이는 바늘의 하나의 가시를 맞물리게 한다. 제3 패스의 하나의 목적 또는 결과는, 더욱 많은 얽힘을 생성할 필요 없이, 제2 섬유 웨브(300)의 면 상에 존재하는 섬유들 중 일부를 적층 구성(180) 안쪽으로 끼워 넣는 것에 있다. 달리 언급하면, 제3 패스는, 제2 섬유 웨브(300)의 면 상에서 잔털(hairiness)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추가 양태에서, 다층 재봉 단계(184)는 제4 패스를 포함하되, 이 제4 패스는 제3 패스에 후속하여(즉, 그 후에 일시적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제1 섬유 웨브(200)에서부터 제2 섬유 웨브(300)로 향하는 186의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제3 패스와 유사하게, 제4 패스의 스티치 밀도는 약 175n/cm2에서부터 약 225n/cm2까지, 약 180n/cm2에서부터 약 220n/cm2까지, 약 190n/cm2에서부터 약 210n/cm2까지이거나, 또는 200n/cm2이다. 또한, 제3 패스와 유사하게, 제4 패스를 위한 침투 깊이는 약 1mm에서부터 약 5mm까지, 약 2mm에서부터 약 4mm까지이거나, 또는 약 3mm이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이는 바늘의 하나의 가시를 맞물리게 한다. 제4 패스의 하나의 목적 또는 결과는, 더욱 많은 얽힘을 생성할 필요 없이, 제1 섬유 웨브(200)의 면 상에 존재하는 섬유들 중 일부를 적층 구성 안쪽으로 끼워 넣는 것에 있다. 달리 언급하면, 제4 패스는, 제1 섬유 웨브(200)의 면 상에서 잔털(hairiness)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전체적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스티치 밀도는, 제1 섬유 웨브(200)로 형성되는 측면 상의 약 300의 전체 스티치 밀도와 제2 섬유 웨브(300)로 형성되는 측면 상의 약 250의 전체 스티치 밀도를 포함하여 약 550이다.
본원 개시의 추가 양태에서, 다층 재봉 단계(184)는 선택적으로 딜루어(Dilour) 유형 공정 또는 패스를 포함할 수 있되, 이런 패스는 상기에서 설명되는 제4 패스에 부가적인 것일 수 있거나, 또는 패스들 중 하나를 대체할 수 있다(예컨대 제3 패스 또는 제4 패스를 대체할 수 있다.). 딜루어 패스에서, 포크형 팁(forked tip)을 포함한 바늘들은 186의 방향에서부터 제2 섬유 웨브(300)로 향하는 경우 사용된다. 바늘들은 섬유들을 포착하며, 그리고 제2 면[섬유 웨브(300)의 바깥쪽 대향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브러쉬들(brushes)의 세트 안쪽으로 상기 섬유들을 밀어 넣는다. 적층 구성이 계속해서 기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브러쉬들의 세트에 의해 유지되는 섬유들은 브러쉬들에서 빼내어진다. 브러쉬들의 세트에서 빼내어진 이후, 브러쉬들의 세트에 의해 유지되는 섬유들 및 섬유 루프들은, 예컨대 제2 섬유 웨브(300)의 표면 평면에 대하여 z-방향으로 공통 배향을 갖는다.
제4 패스 이후, 얽힘 공정은 완료될 수 있으며, 그리고 부직 형성 단계(178)는, 유용성 및 미적 특질들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 공정들(19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들 펀칭된 스택은 다림질(192), 엠보싱(194)(embossing), 수성 또는 유성 코팅(196)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얽힘 매개변수들(예컨대, 바늘 선택, 패스들의 횟수, 패스들의 방향, 패스당 스티치 밀도 및 침투 깊이)은 모두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의도되는 최종 특성들을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제1 섬유 웨브(200), 제2 섬유 웨브(300) 및 제3 섬유 웨브(400)의 각각에 대해 선택된 특성들(평량, 섬유 데니어, 스테이플 길이, 실리콘 코팅, 섬유의 유형 등); 탄성중합체 층(500)에 대해 선택된 특성들[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유형, 구성(필름,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웨브 등)]; 및 상기에서 논의한 얽힘 매개변수들의 선택;을 기반으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의도되는 특성들을 보유한다. 예를 들면,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약 1.8mm에서부터 약 2.7mm까지, 약 1.9mm에서부터 약 2.6mm까지, 또는 약 2.0mm에서부터 약 2.5mm까지의 최종 두께를 보유할 수 있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약 40gsm에서부터 약 450gsm까지, 약 100gsm에서부터 약 350gsm까지, 약 150gsm에서부터 약 190gsm까지, 또는 약 180gsm의 평량을 보유할 수 있다. 최종 평량은 구성에서 사용되는 층들(섬유 웨브들)의 개수, 스트리핑(stripping)으로 인한 섬유 손실, 기계 드래프트(machine draft)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시의 양태들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약 50RCT에서부터 약 95RCT까지, 약 55RCT에서부터 약 90RCT까지, 약 60RCT에서부터 약 85RCT까지, 또는 약 65RCT에서부터 약 80RCT까지의 열저항성을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확인되는 것처럼,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전형적인 편성 플리스(knit fleece)와 관련된 단열 특성들을 발휘할 수 있지만, 그러나 보다 더 적은 평량을 보유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층(500)으로 인해,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최소의 성장 특성 및 우수한 회복 특성을 보유할 수 있다. ASTMD2594 시험 표준을 사용할 경우,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약 5%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4%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3%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2%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1%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0.1%보다 작거나 같거나, 또는 0%보다 작거나 같은, 길이 방향(즉, 기계 방향)에서의 성장률(growth)을 보유할 수 있다.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약 10%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9%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8%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7%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6%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5%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4%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3%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2%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1%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0.1%보다 작거나 같거나, 또는 약 0%보다 작거나 같은, 폭 방향(즉, 기계 교차 방향)에서의 성장률을 보유할 수 있다. ASTMD2594 시험 표면을 사용하면,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그 휴지 길이 및 폭(resting length and width)의 약 10% 이내, 그 휴지 길이 및 폭의 약 9% 이내, 그 휴지 길이 및 폭의 약 8% 이내, 그 휴지 길이 및 폭의 약 7% 이내, 그 휴지 길이 및 폭의 약 6% 이내, 그 휴지 길이 및 폭의 약 5% 이내, 그 휴지 길이 및 폭의 약 4% 이내, 그 휴지 길이 및 폭의 약 3% 이내, 그 휴지 길이 및 폭의 약 2% 이내, 또는 그 휴지 길이 및 폭의 약 1% 이내의 회복률(recovery)을 보유할 수 있다. 텍스타일(198)의 트레이프성과 관련이 있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강경도는 0.4Kgf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0.3Kgf보다 작거나 같거나, 약 0.2Kgf보다 작거나 같거나, 또는 0.1Kgf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특징들(예컨대, 평량, 두께, 열 저항성, 성장률과 회복률, 및 강경도)은, 일부 예시의 양태에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이 화살표 199a로 표시된 것처럼 다양한 물품들을 위해 적합하게 한다. 물품들의 예시들은 의복 물품들(예컨대, 상체 의복들, 하체 의복들, 모자들 및 신발류)뿐만 아니라, 가방들과 같은 다른 마감된 상품들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원에서 설명되는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은 시원한 날씨에서부터 추운 날씨 조건에서 사용을 위해 적합한 경량 보온성 의복 물품을 위해 적합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화살표 199b로 표시된 것처럼, 지속 가능한 물품들(112)의 패셔닝(fashioning)은 절단되어 패턴들을 형성하는 편들(177)(pieces) 또는 계속 사용되지 않는 롤 상품들(179)(예컨대, 과잉재고, 2등품, 결함이 있는 재고, 사장재고, 이전 시즌 재고 등)과 같은 일부 사용하고 남은 부직 텍스타일을 생산할 수 있다.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라서, 지속 가능한 물품들(112)과 편들(177) 및 롤 상품들(179) 모두는 다시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을 위한 시스템(110) 내로 공급되며, 그리고 이들 품목은, 상기에서 설명한 부직 섬유 구성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재료 재활용 단계(137) 또는 재료 회수 단계(150)를 위해 매우 적합하다.
상기에서 논의한 것처럼, 본원 개시의 양태들은 지속 가능성; 및 생산 동안 소모되는 에너지를 기반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탄소 발자국을 갖는 부직 텍스타일;에 관한 것이다. 도 8에는, 본원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는, 부직 형성 공정(178)의 단계들을 위한 매개변수들(kg CO2e)이 열거된 목록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섬유 웨브들(200, 300 및 400)과 탄성중합체 층(500)을 포함하는 예시의 부직 텍스타일(198)을 기반으로 하는 예시의 계산 결과들이 포함되어 있다. 일 양태에서, 섬유 웨브들(200, 300 및 400)은 부직 텍스타일 중 총체적으로 약 85에서부터 90중량 퍼센트까지를 차지하거나, 또는 부직 텍스타일 중 약 88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며, 그리고 섬유 웨브들 각각은 부직 텍스타일 중 약 25에서부터 약 35중량 퍼센트까지를 차지하거나, 또는 부직 텍스타일 중 약 29.33중량 퍼센트를 차지한다.
다른 양태들에서, 탄소 발자국(CO2e/kg)은 도 8에 도시된 탄소 발자국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적 분리 단계(152)를 포함한 재료 회수 단계(150)가 (예컨대, 재-펠릿화 및 압출을 포함한 재료 재활용 단계 대신) 섬유 부분들 중 일부 또는 모두를 위한 섬유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탄소값은, 탄소 발자국을 감소시킬 수 있었던 히그 지수(HIGG Index)를 기반으로 약 0.42kg CO2e이다. 일 사례에서, 제1 및 제2 섬유 웨브(200 및 300)는 재료 재활용 단계에 의해 생성된 섬유들을 포함하는 반면, 제3 섬유 웨브(400)는 재료 회수 단계(150)에 의해 생성된 섬유들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재료 재활용과 관련된 값[예컨대, 웨브들(200 및 300)에 대한 2/3(1.51)와 웨브(400)에 대한 1/3(0.42)을 더한 값]을 조정함으로써 탄소 발자국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섬유들이 섬유 웨브 형성 공정(162)의 부산물들(예: 174 및 176)에서 곧바로 회수될 수 있는 점이 고려되되, 이는, 해당 섬유들이 곧바로 소면 단계에 내포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원료 재생 공정(118)과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영(0)인 탄소값을 갖는다. 또한, kg CO2e 수동 평가를 기반으로 약 0.04의 탄소값을 포함하는, 엠보싱과 같은 다른 사후 처리 단계들(post-processing steps)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유성 코팅처럼, 도 8에 열거된 일부 사후 처리 단계들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 탄소 발자국은 부직 재료의 약 4.30 CO2e/kg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116)에서 파생되는 부직 텍스타일(912)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910)의 추가 양태들이 도시되어 있다. 비록, 도 9에 상체 의복이 도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도 9에 대하여 설명한 하나 이상의 양태는 다른 의복 물품들(예컨대, 하체 의복들, 신발류 등); 다른 부직 마감된 상품들; 및 부직 롤 상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는, 부직 텍스타일(912)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횡단면은, 제조 동안 딜루어 패스가 수행될 때 부직 텍스타일(912)을 나타낸 것이다. 일 양태에서, 부직 텍스타일(910)은 도 3에 대하여 설명한 합성 부직 텍스타일(198)의 하나 이상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 텍스타일(912)은 제1 얽힘형 섬유 웨브(914), 제2 얽힘형 섬유 웨브(916), 제3 얽힘형 섬유 웨브(918) 및 탄성중합체 층(920)을 포함할 수 있다. 얽힘형 섬유 웨브들(914, 916 및 918)은, 예컨대 이들이 (예시의 양태에서) 섬유 웨브들(200, 300 및 400)에 얼마나 상응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설명을 목적으로 묘사되어 별도로 식별 표시되어 있다. 도 9에 묘사된 것처럼, 상기 얽힘형 섬유 웨브들은 실제로 다층 재봉 공정(184)의 결과로서 웨브들 중 2개 또는 3개 모두와 교차하는 여러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직 텍스타일(912)은 복수 개들의 섬유(pluralities of fibers)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복수 개의 섬유(930)(first plurality of fibers)는 구속 상자(bounding box)에 의해 식별되고; 제2 복수 개의 섬유(932)는 구속 상자에 의해 식별되고; 제3 복수 개의 섬유(934)는 구속 상자에 의해 식별되고, 제4 복수 개의 섬유(936)는 구속 상자에 의해 식별되며; 그리고 제5 복수 개의 섬유(938)도 구속 상자에 의해 식별된다. 복수 개의 섬유는, 복수 개들(930, 932 및 934)처럼, 얽힘형 섬유 웨브들 중 하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섬유는, 복수 개들(936 및 938)처럼, 얽힘형 섬유 웨브들 중 하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라서, 부직 텍스타일(912)은 상이한 범주들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에서 [예컨대, 지속 가능한 원료 재생 공정(118)을 통해] 파쇄되거나 생성되는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 개(930)는 제1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예컨대, PET 병 또는 롤 상품들)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는 반면, 복수 개(934)는 제2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예컨대, PET 의복 물품들)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 복수 개들의 섬유들은 모두 동일한 생성 방법[예컨대, 재료 재활용 단계(137) 또는 재료 회수 단계(150)]을 사용하여 생성되었거나, 또는 그 대안으로 복수 개들은 상이한 생성 방법들을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예를 들면, 복수 개들의 섬유들(930 및 938)은 모두 재료 재활용 단계(137)를 사용하여 상이한 범주들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로부터 생성되었다. 다른 양태에서, 복수 개들(936 및 932)은 모두 재료 회수 단계(150)를 사용하여 상이한 범주들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예컨대, 편성 의복 및 부직 롤 상품들)에서 생성되었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복수 개(932)는 재료 회수 단계(150)를 사용하여 생성되었을 수 있는 반면, 복수 개(934)는 재료 재활용 단계(137)를 사용하여 생성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복 물품(910) 및 부직 텍스타일(912)은, 그렇지 않을 경우 매립지에 처리되었을 수 있는 다종다양한 재료들 및 제품들에 대한 사용 및 재사용 기회를 제공한다.
도 9에서, 의복 물품(910)은 최바깥쪽 표면 또는 면(922) 및 최안쪽 표면 또는 면(도 9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포함한다. 또한, 부직 텍스타일(912)은 제1 면(924) 및 제2 면(926)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라서, 최바깥쪽 표면(922)은 제1 면(924)을 포함하고, 최안쪽 표면은 제2 면(926)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의복 물품(910) 내 다른 재료들의 포함은 상대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 텍스타일(912)은, 약 50에서부터 약 100중량 퍼센트까지, 약 60에서부터 약 90중량 퍼센트까지, 또는 약 70에서부터 약 80중량 퍼센트까지 범위로 의복 물품(9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부직 텍스타일(912)은 50중량 퍼센트 이상의 의복 물품(910), 60중량 퍼센트 이상의 의복 물품, 70중량 퍼센트 이상의 의복 물품, 80중량 퍼센트 이상의 의복 물품, 또는 90중량 퍼센트의 의복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지시한 것처럼, 최바깥쪽 표면(922)은 제1 면(924)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면, 부직 텍스타일(912)은 의복 물품(910)에 시각 효과(예: 색상)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원 개시의 일 양태에서, 얽힘형 섬유 웨브(918)[이는, 예컨대, 섬유 웨브(400)에 상응할 수 있음]에서 기인하는 섬유들 중 적어도 일부분은, 제1 면(924)을 관찰할 때 보일 수 있고 시각 효과에 기여한다. 얽힘형 섬유 웨브(918)에서 기인하는 섬유들은 얽힘형 섬유 웨브(914) 내 섬유들 간의 공간들을 통해 보일 수 있다. 다른 사례들에서, 얽힘형 섬유 웨브(918)에서 기인하는 섬유들 중 보일 수 있는 부분들은, 얽힘형 섬유 웨브들(914 및 918) 사이의 경계면보다 제1 면(924)에 [예컨대 다층 재봉 단계(184)로 인해] 더욱 가깝게 위치되거나 배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면 제1 면(924)을 관찰할 때 보일 수 있다.
본원 개시의 양태에 따라서, 색상은, 얽힘형 섬유 웨브(914) 내의 색상과 다른 색상을 얽힘형 섬유 웨브(918)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최바깥쪽 표면(922)의 선택 부분들[예컨대, 최바깥쪽 표면(922)의 모든 부분]에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사례에서, 얽힘형 섬유 웨브(914)는, 원액 착색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1 색상(예: 흰색)으로 착색되는 압출된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얽힘형 섬유 웨브(918)는,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예컨대, 검은색, 회색, 빨간색 등)을 보유하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할 수 있되, 제2 색상은, 파쇄된 물품 섬유들 중에 포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색상[예컨대, 상이한 암청색들(shades) 또는 명청색들(tints)을 포함한 유사한 색조(hue)]의 조합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예시에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사용하면, 지속 가능성이 개선되는(예컨대, 탄소 발자국이 감소되는) 것과 동시에, 의도되는 미적 특질(예컨대, 색상)이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예컨대, 재료 회수 단계(150)를 사용한 파쇄된 물품 섬유들(154]의 생성이, 재료 재활용 단계(137)[예컨대, 재-펠릿화(138) 및 압출(140)]보다 더 일반적으로 더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이다. 또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이 보다 덜 바람직할 수 있는 특성들[예컨대, 클럼프들, 기타 재료들(160) 등]을 보유한다면, 상기 특성들의 효과는 감소되고, 최소화되고, 그리고/또는 제거되는데, 그 이유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이 다른 얽힘형 섬유 웨브들(914 및 916) 사이의 얽힘형 섬유 웨브(918) 내에 있기 때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에는, 시스템(110)에 의해 제공되는 지속 가능한 플랫폼(1010)에 영향을 미치는 의복 물품의 영구적인(예컨대, 거의 영구적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원 개시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영구적인 시스템(perpetual system)"은, 외부 자원들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일부 투입물을 재생하거나 자기 생성하고 반드시 무제한적이거나 무한하지 않은 반복되거나 순환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지속 가능성 플랫폼은, 지속 가능한 원료 생성 공정(118); 지속 가능한 원료(114); 및 부직 물품들을 반복해서 재순환하기 위해 오랜 시간에 걸쳐 연속해서 사용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116);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시스템(110)이 부직 물품(1012)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들을 생성하기 위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물품들(1014)을 사용한 이후 임의의 특정한 시점에, 상기 부직 물품들(1012)로부터 원료들을 생성함으로써 제조되어야 하는 잠재적 미래의 부직 물품들(1016)도 존재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물품들"은, 한번 존재했으며, 그리고 [예컨대, 폐기되거나, 거래되거나, 교환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 시스템(110)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시스템(110)에 의해 수거된 후에] 적합한 원료 생성 공정(118)을 위한 시스템(110)으로 다시 투입된 물품들(예: 112 및 120)을 나타낸다.
달리 언급하면, 영구적인 시스템은, 제1 섬유 세트로 구성되는 부직 텍스타일(예: 1018)이며, 상기 제1 섬유 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전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1014)을 형성하는 제2 섬유 세트(1020)(set of fibers)로부터 파생된 것인, 상기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제1 의복 물품[예컨대, 부직 물품들(1012)]을 포함한다. 제1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얽힘부(예: 부직 상태) 내에 배열되며, 그리고 제2 섬유 세트(1020)는, 제1 섬유 얽힘부와 다른 섬유 배열부(예컨대, 재료 재활용 단계 또는 재료 회수 단계 이전의 편성, 직조 또는 부직 상태) 내에 포함된다. 또한, 제3 섬유 세트는, 제2 부직 의복 물품(예: 1016)을 구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얽힘부(1018)와 다른 제2 섬유 얽힘부(1022) 내 배열을 위해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될 수 있다. 일부 사례에서, 섬유들은 각각의 주기로 재-펠릿화될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섬유들은, 동일한 섬유 세트가, 재-펠릿화되지 않으면서 물품들의 다중 생성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반복해서 회수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반복해서 회수되는 섬유들은 공통 섬유 세트(common set of fibers)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달리 언급하면, 공통 섬유 세트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들을 포함하여 상이한 의복 물품들에서 반복해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한다.
본원 개시의 일부 양태는 도면들에 제공된 예시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제, 출원 시점에 본원 출원의 하나 이상의 청구항 또는 항목에 포함된 관련 주제, 또는 하나 이상의 관련 출원일 수 있는 본원 개시의 추가 양태들이 설명되지만, 청구항들 또는 항목들은 이러한 설명의 하기 부분에서 설명되는 주제만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추가 양태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특징들,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특징들, 그리고 이들 특징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양태들을 설명할 때,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도면들에 의해 묘사되는 요소들이 참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그리고 하기에 열거되는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이란 용어 또는 이런 용어의 유사한 변형태들은, 청구항들/항목들의 특징들이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예시의 항목 4는, 항목 1과 항목 4의 특징들이 결합될 수 있고, 항목 2와 항목 4의 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고, 항목들 3과 4의 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고, 항목들 1, 2 및 4의 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고, 항목들 2, 3 및 4의 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고, 항목들 1, 2, 3 및 4의 요소들이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변형태들도 가능하도록 해석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항목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목의 방법/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이란 용어, 또는 상기 용어의 유사한 변형태들은, 상기에서 제공되는 예시들 중 일부에 의해 지시되는 것처럼, "항목들 중 어느 한 항목" 또는 상기 용어의 다른 변형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다.
하기 항목들은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들이다.
항목 1: 의복 물품으로서, 부직 텍스타일; 제1 복수 개의 섬유 및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구비한 부직 텍스타일; 제1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함유한 제1 복수 개의 섬유이며, 제1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는 제1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에서 기인하는 제1 이전 물품(prior article) 내에 사전에 내포되었던 것인, 상기 제1 복수 개의 섬유; 및 제2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함유한 제2 복수 개의 섬유이며, 제2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는 제1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과 다른 제2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에서 기인하는 제2 이전 물품 내에 사전에 내포되었던 것인, 상기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하는 의복 물품.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1 이전 물품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2 이전 물품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인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 항목 1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1 이전 물품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2 이전 물품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4. 항목 1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1 이전 물품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2 이전 물품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5. 항목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6. 항목 5에 있어서,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면을 차지하는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7. 항목 5 또는 항목 6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를 포함하되; 제1 섬유 웨브는 제1 복수 개의 섬유,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 및 제1 이전 물품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섬유 웨브는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하고, 제2 이전 물품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원액 착색된 제1 색상을 보유하며, 그리고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9. 항목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 및 제2 복수 개의 섬유 중 적어도 하나의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적어도 약 5중량 퍼센트의 결정성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 항목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의복 물품 중 약 50에서부터 100중량 퍼센트까지 범위의 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1. 항목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은 플라스틱병들, 의복 물품들 및 텍스타일 롤 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선택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2. 항목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은 의복 물품들 및 텍스타일 롤 상품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선택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3. 항목 1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버진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2 이전 물품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인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4.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복 물품들은 제1 섬유 세트로 구성되는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한 제1 의복 물품을 포함하되, 제1 섬유 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을 사전에 형성하는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된 것인, 상기 영구적인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얽힘부 내에 배열되고; 제2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얽힘부와 다른 섬유 배열부를 포함했으며; 그리고 제3 섬유 세트는, 제2 부직 의복 물품을 구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얽힘부와 다른 제2 섬유 얽힘부 내 배열을 위해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될 수 있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5. 항목 14에 있어서, 제1 섬유 얽힘부는 제1 섬유 웨브이고, 섬유 배열부는 제2 섬유 웨브이며, 제2 섬유 얽힘부는 제3 섬유 웨브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6. 항목 14에 있어서, 제1 섬유 얽힘부는 제1 섬유 웨브이고, 섬유 배열부는 편성 텍스타일이며, 그리고 제2 섬유 얽힘부는 제2 섬유 웨브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7. 항목 14에 있어서, 제1 섬유 얽힘부는 제1 섬유 웨브이고, 섬유 배열부는 직조 텍스타일이며, 그리고 제2 섬유 얽힘부는 제2 섬유 웨브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8. 항목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는,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이며, 그리고 제3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9. 항목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 제2 섬유 세트 및 제3 섬유 세트는 공통 섬유 세트를 공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20. 항목 14 내지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면을 차지하는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21. 부직 텍스타일 롤 상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조 방법은, 제1 섬유들을 포함한 제1 물품을 제2 섬유들로 변형하는 변형 단계이며, 제1 섬유들은 제1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하고, 제1 물품은 제1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변형 단계; 제3 섬유들을 포함한 제2 물품을 제4 섬유들로 변형하는 변형 단계이며, 제3 섬유들은 제2 폴리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하고, 제2 물품은 제1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과 다른 제2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변형 단계; 및 제4 섬유들과 제2 섬유들을 얽히게 하는 얽힘 단계이며, 부직 텍스타일 롤 상품을 형성하는 상기 얽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22. 항목 21에 있어서, 제1 물품의 변형 단계는 제1 섬유들을 펠릿화하는 펠릿화 단계 및 제2 섬유들을 압출하는 압출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2 물품의 변형 단계는 제3 섬유들을 펠릿화하는 펠릿화 단계 및 제4 섬유들을 압출하는 압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23. 항목 21에 있어서, 제1 물품의 변형 단계는 제1 물품을 파쇄하는 파쇄 단계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위 세트의 제2 섬유들은 적어도 하위 세트의 제1 섬유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물품의 변형 단계는 제2 물품을 파쇄하는 파쇄 단계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위 세트의 제4 섬유들은 적어도 하위 세트의 제3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24. 항목 21에 있어서, 제1 물품의 변형 단계는 제1 섬유들을 펠릿화하는 펠릿화 단계 및 제2 섬유들을 압출하는 압출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2 물품의 변형 단계는 제2 물품을 파쇄하는 파쇄 단계를 포함하되, 적어도 하위 세트의 제4 섬유들은 적어도 하위 세트의 제3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25. 항목 24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제1 색상을 포함하도록 제2 섬유들을 원액 착색하는 원액 착색 단계; 제1 색상을 보유한 제2 섬유들로 제1 섬유 웨브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 및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한 제4 섬유들로 제2 섬유 웨브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를 포함하되, 제4 섬유들과 제2 섬유들의 얽힘 단계는 제1 섬유 웨브 및 제2 섬유 웨브를 니들 펀칭하는 니들 펀칭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26. 항목 21 내지 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4 섬유들과 제2 섬유들의 얽힘 단계는 제2 섬유들 및 제4 섬유들로 섬유 웨브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와 섬유 웨브를 재봉하는 재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27. 항목 21 내지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은 플라스틱병들, 의복 물품들 또는 텍스타일 롤 상품들인 것인, 제조 방법.
항목 28. 항목 21 내지 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및 제2 범주의 재활용 가능한 상품들은 의복 물품들 및 텍스타일 롤 상품들인 것인, 제조 방법.
항목 29.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한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섬유는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스테이플 길이 표준 편차를 보유하되, 스테이플 길이 표준 편차의 범위는 약 5mm에서부터 약 25mm까지인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0. 항목 29에 있어서,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1. 항목 29 또는 30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섬유는 제1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되는 제1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하고, 부직 텍스타일은 제1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2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된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하고; 제1 면은 제2 섬유 웨브를 포함하고;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원액 착색된 제1 색상을 보유하며; 그리고 제1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1 색상과 다른 외관을 갖는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2. 항목 31에 있어서,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색조를 보유하며, 그리고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3. 항목 29 내지 32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섬유는 부직 텍스타일 중 약 25%에서부터 약 30%까지 범위의 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4. 항목 29 내지 3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의복 물품 중 적어도 50 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5. 항목 29 내지 3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버진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6. 제1 면 및 제2 면을 구비한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으로서, 제1 면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고; 제2 면은 의복 물품의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의복 물품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 중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섬유들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함유 제품들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PET 함유 제품들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7. 항목 36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0.3Kgf에서부터 약 0.5Kgf까지 범위의 강경도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8. 항목 36 또는 37에 있어서,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은 적어도 5중량 퍼센트의 결정성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39. 항목 36 내지 3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40. 항목 36 내지 3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를 포함하고; 제1 섬유 웨브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 및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섬유 웨브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41. 항목 36 내지 4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은 원액 착색된 제1 색상을 보유하며, 그리고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42. 항목 36 내지 4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의 섬유들은 색조를 보유하며, 그리고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43. 항목 36 내지 4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의복 물품 중 50%보다 더 큰 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44.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를 포함하는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제1 섬유 웨브는 제1 색상을 보유한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되, 제1 섬유 웨브는 제2 섬유 웨브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배향되는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섬유 웨브는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되,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과 얽혀지고 제2 색상을 보유하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면으로 향해 배향되는 관찰 위치에서부터 보일 수 있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45. 항목 44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적어도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3 섬유 웨브를 더 포함하되, 제3 섬유 웨브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고, 제2 섬유 웨브는 제1 섬유 웨브와 제3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46. 항목 44 또는 45에 있어서, 제1 섬유 웨브의 면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47. 항목 46에 있어서, 상기 면은 최바깥쪽 면 중 적어도 75%의 표면 면적을 차지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48. 항목 44 내지 4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의 섬유들은 색조를 보유하며, 그리고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49.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이며, 제1 섬유 웨브 및 제2 섬유 웨브 모두는 PET 함유 제품들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PET 함유 제품들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1 섬유 웨브; 및 제1 섬유 웨브와 제2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체 층이며, 재활용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탄성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부직 텍스타일.
항목 50. 항목 49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0.3Kgf에서부터 약 0.5Kgf까지 범위의 강경도를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51. 항목 49 또는 50에 있어서, 재-압출된 중합체 섬유들의 섬유들은 적어도 5중량 퍼센트의 결정성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52. 항목 49 내지 5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53. 항목 49 내지 5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45M2*K/W에서부터 약 95M2*K/W까지 범위의 열 저항성 값(Rct)을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54. 항목 40 내지 5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160GSM에서부터 약 200GSM까지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55. 항목 49 내지 5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파쇄된 물품 섬유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부직 텍스타일 중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56. 부직 텍스타일 롤 상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제2 섬유 웨브와 니들 펀칭되도록 제1 섬유 웨브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 제2 섬유 웨브와의 니들 펀칭 이전에 제1 섬유 웨브를 사전 재봉하는 사전 재봉 단계; 니들 펀칭 이후 및 니들 펀칭 이전에 제1 섬유 웨브의 여유부(margin)를 잘라 다듬는 트리밍 단계; 및 부직 텍스타일 롤 상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3 섬유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여유부를 소면(carding)하는 소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57. 항목 56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제4 섬유 웨브 및 제5 섬유 웨브를 구성하는 웨브 구성 단계; 제3 섬유 웨브와 제4 섬유 웨브 사이에 배열되는 탄성중합체 층, 및 탄성중합체 층과 제5 섬유 웨브 사이에 배열되는 제4 섬유 웨브를 포함하는 다층을 구성하는 다층 구성 단계; 및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다층을 재봉하는 재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58. 항목 56 또는 57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45M2*K/W에서부터 약 95M2*K/W까지 범위의 열 저항성 값(Rct)을 보유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59. 항목 56 내지 5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160GSM에서부터 약 200GSM까지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60. 항목 57에 있어서, 제5 섬유 웨브의 구성 단계는 또 다른 섬유 웨브에서 잘라 내어진 또 다른 여유부를 소면하는 소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61. 항목 57에 있어서, 제4 섬유 웨브의 구성 단계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소면하고 사전 재봉하는 소면 및 사전 재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62. 의복 물품으로서, 약 45M2*K/W에서부터 약 95M2*K/W까지 범위의 열 저항성 값(Rct) 및 약 160GSM에서부터 약 200GSM까지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상기 의복 물품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 중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섬유들은 PET 함유 제품들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압출된 중합체 섬유들, PET 함유 제품들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63. 항목 62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0.3Kgf에서부터 약 0.5Kgf까지 범위의 강경도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64. 항목 62 또는 63에 있어서, 재-압출된 중합체 섬유들은 적어도 5중량 퍼센트의 결정성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65. 항목 62 내지 6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66. 항목 62 내지 6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67. 항목 62 내지 6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면을 차지하는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68. 항목 67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를 포함하고; 제1 섬유 웨브는 재-압출된 중합체 섬유 및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섬유 웨브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69. 항목 68에 있어서, 재-압출된 중합체 섬유들은 원액 착색된 제1 색상을 보유하며, 그리고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70. 항목 66 내지 6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의복 물품 중 50%보다 더 큰 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71. 약 4.60kg CO2e/kg의 부직 텍스타일보다 더 적은 CO2e/kg 부직 텍스타일의 총량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의복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제1 섬유 웨브 및 제2 섬유 웨브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 탄성중합체 층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 제1 섬유 웨브와 제2 섬유 웨브 사이에 배열되는 탄성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다층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 다층을 재봉하는 재봉 단계이며,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상기 재봉 단계; 및 상기 공정에 의해 구성되는 부직 텍스타일로 의복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을 패셔닝하는 패셔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72. 항목 71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다림질된 부직 텍스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부직 텍스타일을 다림질하는 다림질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림질된 부직 텍스타일은 적어도 의복 물품의 부분을 패셔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73. 항목 72에 있어서, 총량은 약 4.30kg CO2e/kg 미만의 부직 텍스타일인 것인, 제조 방법.
항목 74. 항목 72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다림질된 부직 텍스타일을 엠보싱하는 엠보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림질된 부직 텍스타일은 적어도 의복 물품의 부분을 패셔닝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총량은 4.34kg CO2e/kg 미만의 부직 텍스타일인 것인, 제조 방법.
항목 75. 항목 72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다림질된 부직 텍스타일에 유성 코팅을 도포하는 도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림질된 부직 텍스타일은 적어도 의복 물품의 부분을 패셔닝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총량은 4.42kg CO2e/kg 미만의 부직 텍스타일인 것인, 제조 방법.
항목 76. 항목 71 내지 7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차지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77. 항목 71 내지 7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은 의복 물품의 최안쪽 면을 차지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78. 항목 71 내지 7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은 의복 물품 중 적어도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79. 항목 71 내지 7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제3 섬유 웨브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다층의 구성 단계는 탄성중합체 층과 제3 섬유 웨브 사이에 제2 섬유 웨브를 배열하는 배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0. 항목 71 내지 7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45M2*K/W에서부터 약 95M2*K/W까지 범위의 열 저항성 값(Rct)을 보유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1. 항목 71 내지 8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160GSM에서부터 약 200GSM까지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2. 항목 71 내지 8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0.3Kgf에서부터 약 0.5Kgf까지 범위의 강경도를 보유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3. 항목 71 내지 8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사후-소비자 PET 함유 물품들을 펠릿들로 변형하는 변형 단계 및 펠릿들에서 원액 착색된 스테이플 섬유들을 제조하는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4. 항목 71 내지 8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제3 섬유 웨브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섬유 웨브 및 제3 섬유 웨브의 구성은 사후-소비자 PET 함유 물품들을 펠릿들로 변형하는 변형 단계 및 펠릿들에서 원액 착색된 스테이플 섬유들을 제조하는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5. 항목 84에 있어서, 제2 섬유 웨브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생성하기 위해 의복 물품들을 파쇄하는 파쇄 단계,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소면하는 소면 단계, 및 제2 섬유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사전 재봉하는 사전 재봉 단계를 포함하되; 다층의 구성 단계는 탄성중합체 층과 제3 섬유 웨브 사이에 제2 섬유 웨브를 배열하는 배열 단계를 포함하며; 그리고 총량은 약 4.07 CO2e/kg 미만의 부직 텍스타일인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6. 의복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약 4.07kg CO2e/kg의 부직 텍스타일보다 더 적은 CO2e/kg 부직 텍스타일의 총량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코어 상에 감긴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한 부직 텍스타일 롤 상품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정은 제1 섬유 웨브, 제2 섬유 웨브 및 제3 섬유 웨브를 구성하는 구성 단계; 탄성중합체 층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 제1 섬유 웨브와 제2 섬유 웨브 사이에 배열되는 탄성중합체 층을 포함하고 탄성중합체 층과 제3 섬유 웨브 사이에 배열되는 제2 섬유 웨브를 포함하는 다층을 구성하는 구성 단계; 다층을 재봉하는 재봉 단계이며,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상기 재봉 단계; 및 상기 공정에 의해 구성되는 부직 텍스타일로 의복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을 패셔닝하는 패셔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7. 항목 86에 있어서, 제2 섬유 웨브의 구성 단계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생성하기 위해 의복 물품들을 파쇄하는 파쇄 단계,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소면하는 소면 단계, 및 제2 섬유 웨브를 형성하기 위해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사전 재봉하는 사전 재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8. 항목 86 또는 87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다림질된 부직 텍스타일을 생성하기 위해 부직 텍스타일을 다림질하는 다림질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다림질된 부직 텍스타일은 적어도 의복 물품의 부분을 패셔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89. 항목 86 내지 8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차지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90. 항목 86 내지 8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은 의복 물품의 최안쪽 면을 차지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91. 항목 86 내지 9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의복 물품의 적어도 일부분은 의복 물품 중 적어도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92. 항목 86 내지 9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45M2*K/W에서부터 약 95M2*K/W까지 범위의 열 저항성 값(Rct)을 보유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93. 항목 86 내지 9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160GSM에서부터 약 200GSM까지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94. 의복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제1 섬유 웨브와 제2 섬유 웨브 사이에 탄성중합체 층을 위치시키는 포지셔닝 단계이며, 탄성중합체 층은 2차원 형상을 한정하면서 탄성중합체 층의 범위에서 종결되는 주변 에지를 포함하고, 제1 섬유 웨브 및 제2 섬유 웨브 모두는 탄성중합체 층과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각각의 물품 부분 및 주변 에지를 넘어 연장되는 각각의 초과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포지셔닝 단계; 각각의 물품 부분에서 각각의 초과 부분으로의 전이부에서 제1 섬유 웨브 및 제2 섬유 웨브를 절단하는 절단 단계; 제1 의복 물품을 구성하기 위해 각각의 물품 부분 및 탄성중합체 층을 사용하는 사용 단계; 및 각각의 초과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로 적어도 제3 섬유 웨브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이며, 제3 섬유 웨브는 제2 의복 물품을 구성하는 것인, 상기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95. 항목 94에 있어서, 제3 웨브의 형성 단계는 각각의 초과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소면하는 소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96. 항목 94에 있어서, 제3 웨브의 형성 단계는 각각의 초과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된 섬유들로 파쇄하는 파쇄 단계 및 파쇄된 섬유를 소면하는 소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 방법.
항목 97.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한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섬유는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25mm까지 범위의 스테이플 길이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98. 항목 97에 있어서,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99. 항목 98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섬유는 제1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되는 제1 복수 개의 섬유, 및 제1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2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되는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하되, 제1 면은 제1 섬유 웨브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0. 항목 99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원액 착색된 제1 색상을 보유하며, 그리고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1 색상과 다른 외관을 갖는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1. 항목 100에 있어서,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색조를 보유하며, 그리고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2. 항목 97 내지 101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섬유는 부직 텍스타일 중 약 25%에서부터 약 30%까지 범위의 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3. 항목 102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의복 물품 중 적어도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4. 항목 97 내지 10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버진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5. 제1 면 및 맞은편의 제2 면을 포함한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으로서, 제1 면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고, 제2 면은 의복 물품의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의복 물품에 있어서, 부직포 텍스타일 중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섬유들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스테이플 길이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제1 복수 개의 섬유와, 약 50mm의 균일한 스테이플 길이를 보유하는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6. 항목 105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는 파쇄된 섬유 소스에서 파생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7. 항목 105 또는 106에 있어서, 제2 복수 개의 섬유는 하나 이상의 버진 압출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재-압출된 PET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8. 항목 105 내지 10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복수 개의 섬유는 원액 착색된 제1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09. 항목 108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는 제1 색상과 다른 외관을 갖는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10. 항목 109에 있어서, 제2 색상은 색조를 보유하며, 그리고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11.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스테이플 길이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제1 복수 개의 섬유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 약 50mm의 균일한 스테이플 길이를 보유하는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 제1 복수 개의 섬유 및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사용하여 제1 섬유 웨브 및 제2 섬유 웨브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 및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섬유 웨브와 제1 섬유 웨브를 얽히게 하는 얽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12. 항목 111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는 물품 파쇄 단계로 형성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13. 항목 111 또는 112에 있어서, 제1 복수 개의 섬유는 하나 이상의 섬유 클럼프 및 하나 이상의 비-섬유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14. 항목 113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비-섬유 재료는 하나 이상의 잉크 및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15. 항목 111 내지 11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복수 개의 섬유는 펠릿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재-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16. 항목 115에 있어서, 펠릿화 PET의 재-압출에 후속하여, 압출된 섬유들은 균일한 길이로 절단되어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형성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항목 117. 제1 면 및 맞은편의 제2 면을 구비한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으로서, 제1 면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고; 제2 면은 의복 물품의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의복 물품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 중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섬유들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함유 제품들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PET 함유 제품들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18. 항목 117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0.3Kgf에서부터 약 0.5Kgf까지 범위의 강경도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19. 항목 117 또는 118에 있어서,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은 적어도 5중량 퍼센트의 결정성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20. 항목 117 내지 1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21. 항목 117 내지 12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를 포함하고; 제1 섬유 웨브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 및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섬유 웨브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22. 항목 117 내지 12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은 원액 착색된 제1 색상을 보유하며, 그리고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23. 항목 122에 있어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색조를 보유하며, 그리고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24. 항목 117 내지 12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의복 물품 중 50%보다 더 큰 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의복 물품.
항목 125.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를 포함하는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제1 섬유 웨브는 제1 색상을 보유한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되, 제1 섬유 웨브는 제2 섬유 웨브로부터 이격 방향으로 배향되는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섬유 웨브는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되,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과 얽혀지고 제2 색상을 보유하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면으로 향해 배향되는 관찰 위치에서부터 보일 수 있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26. 항목 125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적어도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3 섬유 웨브를 더 포함하되, 제3 섬유 웨브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고, 제3 섬유 웨브는 제1 섬유 웨브와 제2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27. 항목 125 또는 126에 있어서, 제1 섬유 웨브의 면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28. 항목 127에 있어서, 상기 면은 최바깥쪽 면 중 적어도 75%의 표면 면적을 차지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29. 항목 125 내지 12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의 섬유들은 색조를 보유하며, 그리고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30.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이며, 제1 섬유 웨브 및 제2 섬유 웨브 모두는 PET 함유 제품들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PET 함유 제품들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1 섬유 웨브; 및 제1 섬유 웨브와 제2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체 층이며, 재활용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탄성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부직 텍스타일.
항목 131. 항목 130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0.3Kgf에서부터 약 0.5Kgf까지 범위의 강경도를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32. 항목 130 또는 131에 있어서, 재-압출된 중합체 섬유들의 섬유들은 적어도 5중량 퍼센트의 결정성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33. 항목 130 내지 13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34. 항목 130 내지 13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45M2*K/W에서부터 약 95M2*K/W까지 범위의 열 저항성 값(Rct)을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35. 항목 130 내지 13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직 텍스타일은 약 160GSM에서부터 약 200GSM까지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36. 항목 130 내지 13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파쇄된 물품 섬유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은 부직 텍스타일 중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항목 137.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복 물품들은 제1 섬유 세트로 구성되는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한 제1 의복 물품을 포함하되, 제1 섬유 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을 사전에 형성하는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된 것인, 상기 영구적인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얽힘부 내에 배열되고; 제2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얽힘부와 다른 섬유 배열부 내에 포함되며; 그리고 제3 섬유 세트는, 제2 부직 의복 물품을 구성하기 위해, 제1 섬유 얽힘부와 다른 제2 섬유 얽힘부 내 배열을 위해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될 수 있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38. 항목 137에 있어서, 제1 섬유 얽힘부는 제1 섬유 웨브이고, 섬유 배열부는 제2 섬유 웨브이며, 제2 섬유 얽힘부는 제3 섬유 웨브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39. 항목 137에 있어서, 제1 섬유 얽힘부는 제1 섬유 웨브이고, 섬유 배열부는 편성 텍스타일이며, 그리고 제2 섬유 얽힘부는 제2 섬유 웨브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0. 항목 137에 있어서, 제1 섬유 얽힘부는 제1 섬유 웨브이고, 섬유 배열부는 직조 텍스타일이며, 그리고 제2 섬유 얽힘부는 제2 섬유 웨브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1. 항목 137 내지 14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는,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이며, 그리고 제3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2. 항목 137 내지 14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 제2 섬유 세트 및 제3 섬유 세트는 공통 섬유 세트를 공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3. 항목 137 내지 14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의복 물품은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면을 차지하는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4.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에 있어서, 의복 물품들은 제1 섬유 세트로 구성되는 제1 부직 텍스타일로 형성되는 제1 의복 물품이며, 제1 섬유 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을 사전에 형성하는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었고, 제1 섬유 세트는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스테이플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섬유들; 및 균일한 스테이플 길이를 보유하는 섬유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1 의복 물품; 및 제3 섬유 세트로 구성되는 제2 부직 텍스타일로 형성되는 제2 의복 물품이며, 제3 섬유 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의복 물품의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었고, 제2 섬유 세트는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스테이플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섬유들 및 균일한 스테이플 길이를 보유하는 섬유들 중 하나 이상의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2 의복 물품;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5. 항목 144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되고, 제3 섬유 세트는 제2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6. 항목 144 또는 145에 있어서, 제2 섬유 세트는 섬유 배열부를 포함한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7. 항목 146에 있어서, 제2 섬유 세트의 섬유 배열부는 섬유 웨브, 편성 텍스타일 또는 직조 텍스타일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8. 항목 144 내지 14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는, 파쇄된 섬유들; 및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49. 항목 144 내지 14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3 섬유 세트는, 파쇄된 섬유들; 및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50. 항목 144 내지 14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의복 물품은 제1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1 의복 물품은 제1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면을 차지하는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51. 항목 144 내지 15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의복 물품은 제2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제2 의복 물품은 제2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면을 차지하는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항목 152. 의복 물품들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에서 제1 섬유 세트를 파생시키는 파생 단계이며,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은 제2 섬유 세트에서 형성된 것인, 상기 파생 단계; 제1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한 제1 섬유 웨브 내에 제1 섬유 세트를 배열하는 배열 단계; 제1 의복 물품 내에 제1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 제1 의복 물품의 형성 단계에 후속하여, 제1 의복 물품에서 제3 섬유 세트를 파생시키는 파생 단계; 제1 섬유 웨브와 다른 제2 섬유 웨브 내에 제3 섬유 세트를 배열하는 배열 단계이며, 제2 섬유 웨브는 제2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배열 단계; 및 제2 의복 물품 내에 제2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항목 153. 항목 152에 있어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은 제2 섬유 세트의 섬유 배열부를 포함한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항목 154. 항목 153에 있어서, 섬유 배열부는 섬유 웨브, 편성 텍스타일 및 직조 텍스타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항목 155. 항목 152 내지 15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 제2 섬유 세트 및 제3 섬유 세트는 공통 섬유 세트를 공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항목 156. 항목 152 내지 15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섬유 세트는,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이며, 그리고 제3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주제는 명백하면서도 구조에 내재되는 다른 장점들과 함께 상기에서 제시된 모든 목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잘 적응된다는 점을 알게 될 것이다. 특정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은 유용하며,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하위 조합들에 대한 참조 없이 채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는 청구범위에 의해 고려되고 그 범위 내에 존재한다. 많은 가능한 실시예는 본원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 주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본원에서 제시되거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제한하는 의미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0)

  1.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한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섬유는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 범위의 스테이플 길이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은 상기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형성하는 것인, 의복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섬유는 제1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되는 제1 복수 개의 섬유, 및 상기 제1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2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되는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섬유 웨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형성하는 것인, 의복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섬유는 원액 착색된 제1 색상을 보유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복수 개의 섬유의 섬유들은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 개의 섬유는 색조, 및 상기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상기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섬유는 상기 부직 텍스타일 중 약 25중량 퍼센트에서부터 약 30중량 퍼센트까지를 차지하는 것인, 의복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상기 의복 물품 중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인 것인, 의복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섬유는 버진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9. 제1 면 및 맞은편의 제2 면을 포함한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으로서, 제1 면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형성하고, 제2 면은 의복 물품의 최안쪽 면을 형성하는 것인, 상기 의복 물품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 중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를 차지하는 섬유들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스테이플 길이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제1 복수 개의 섬유와, 약 50mm의 균일한 스테이플 길이를 보유하는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섬유는 파쇄된 섬유 소스에서 파생되는 것인, 의복 물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 개의 섬유는 하나 이상의 버진 압출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재-압출된 PET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 개의 섬유는 원액 착색된 제1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섬유는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색상은 색조, 및 상기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상기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15. 부직 텍스타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스테이플 길이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제1 복수 개의 섬유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 약 50mm의 균일한 스테이플 길이를 보유하는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 제1 복수 개의 섬유 및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사용하여 제1 섬유 웨브 및 제2 섬유 웨브를 형성하는 형성 단계; 및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섬유 웨브와 제1 섬유 웨브를 얽히게 하는 얽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섬유는 물품 파쇄 단계로 형성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 개의 섬유는 하나 이상의 섬유 클럼프 및 하나 이상의 비-섬유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섬유 재료는 하나 이상의 잉크 및 탄성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복수 개의 섬유는 펠릿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재-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화 PET의 재-압출에 후속하여, 상기 압출된 섬유들은 균일한 길이로 절단되어 상기 제2 복수 개의 섬유를 형성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의 제조 방법.
  21. 제1 면 및 맞은편의 제2 면을 구비한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의복 물품으로서, 제1 면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고; 제2 면은 의복 물품의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의복 물품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 중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함유 제품들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및 PET 함유 제품들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선택되는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약 0.3Kgf에서부터 약 0.5Kgf까지 범위의 강경도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은 적어도 5중량 퍼센트의 결정성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섬유 웨브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섬유 웨브는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2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은 제1 색상을 보유하며, 그리고 상기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2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색조, 및 상기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상기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보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상기 의복 물품 중 50중량 퍼센트 초과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
  29. 제1 면 및 맞은편의 제2 면을 포함하는 부직 텍스타일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섬유 웨브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섬유 웨브는 제1 색상을 보유한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섬유 웨브는 실질적으로 제2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섬유 웨브는 제1 색상과 다른 제2 색상을 보유한 파쇄된 물품 섬유들을 포함하며; 상기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과 얽혀지고 제2 색상을 보유하는 상기 파쇄된 물품 섬유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면 상에서 보일 수 있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3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적어도 상기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3 섬유 웨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섬유 웨브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섬유 웨브는 상기 제1 섬유 웨브와 상기 제2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3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웨브의 면은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3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상기 의복 물품의 최바깥쪽 면 중 적어도 75%의 표면 면적을 차지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3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색조, 및 상기 색조의 복수 개의 암청색, 상기 색조의 복수 개의 명청색, 또는 이들의 조합을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34. 부직 텍스타일로서, 제2 섬유 웨브와 얽혀진 제1 섬유 웨브이며, 제1 섬유 웨브 및 제2 섬유 웨브 모두는 PET 함유 제품들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및 PET 함유 제품들의 파쇄된 부산물들인 파쇄된 물품 섬유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선택되는 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1 섬유 웨브; 및 상기 제1 섬유 웨브와 상기 제2 섬유 웨브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중합체 층이며, 재활용된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탄성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부직 텍스타일.
  3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약 0.3Kgf에서부터 약 0.5Kgf까지 범위의 강경도를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3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압출된 중합체 섬유들은 적어도 5중량 퍼센트의 결정성 개질제를 함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3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된 물품 섬유들은 약 50mm의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3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약 45M2*K/W에서부터 약 95M2*K/W까지 범위의 열 저항성 값(Rct)을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3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약 160GSM에서부터 약 200GSM까지 범위의 평량을 보유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4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 텍스타일은 적어도 약 50중량 퍼센트의 상기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상기 파쇄된 물품 섬유들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부직 텍스타일.
  41.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으로서, 상기 의복 물품들은 제1 섬유 세트로 구성되는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한 제1 의복 물품을 포함하되, 제1 섬유 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을 사전에 형성하는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며, 상기 제2 섬유 세트는 섬유 배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섬유 세트는 상기 섬유 배열부와 다른 제1 섬유 얽힘부 내에 배열되며; 그리고 제3 섬유 세트는, 제2 부직 의복 물품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섬유 얽힘부와 다른 제2 섬유 얽힘부 내 배열을 위해 상기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될 수 있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얽힘부는 제1 섬유 웨브이고, 상기 섬유 배열부는 제2 섬유 웨브이며, 상기 제2 섬유 얽힘부는 제3 섬유 웨브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4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얽힘부는 제1 섬유 웨브이고, 상기 섬유 배열부는 편성 텍스타일이며, 그리고 상기 제2 섬유 얽힘부는 제2 섬유 웨브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4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얽힘부는 제1 섬유 웨브이고, 상기 섬유 배열부는 직조 텍스타일이며, 그리고 상기 제2 섬유 얽힘부는 제2 섬유 웨브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4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세트는, 상기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이며, 그리고 상기 제3 섬유 세트는 상기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4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세트, 상기 제2 섬유 세트 및 상기 제3 섬유 세트는 공통 섬유 세트를 공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4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복 물품은 상기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의복 물품은 상기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면을 차지하는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48.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의복 물품들은 제1 섬유 세트로 구성되는 제1 부직 텍스타일로 형성되는 제1 의복 물품이며, 제1 섬유 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을 사전에 형성하는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고, 상기 제1 섬유 세트는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스테이플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섬유 및 균일한 스테이플 길이를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1 의복 물품; 및 제3 섬유 세트로 구성되는 제2 부직 텍스타일로 형성되는 제2 의복 물품이며, 제3 섬유 세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의복 물품의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고, 상기 제3 섬유 세트는 평균 스테이플 길이 및 약 5mm에서부터 약 30mm까지의 스테이플 표준 편차를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섬유 및 균일한 스테이플 길이를 보유하는 하나 이상의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제2 의복 물품;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4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세트는 제1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3 섬유 세트는 제2 섬유 웨브 내에 배열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5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의 제2 섬유 세트는 섬유 배열부를 포함한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5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 세트의 섬유 배열부는 섬유 웨브, 편성 텍스타일 또는 직조 텍스타일 중 하나를 포함한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5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세트는, 파쇄된 섬유들; 및 상기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5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섬유 세트는, 파쇄된 섬유들; 및 상기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5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의복 물품은 상기 제1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의복 물품은 상기 제1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면을 차지하는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5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의복 물품은 상기 제2 부직 텍스타일의 제1 면을 차지하는 최바깥쪽 면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의복 물품은 상기 제2 부직 텍스타일의 제2 면을 차지하는 최안쪽 면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영구적인 시스템.
  56. 의복 물품들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에서 제1 섬유 세트를 파생시키는 파생 단계이며, 상기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은 제2 섬유 세트에서 형성된 것인, 상기 파생 단계; 제1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한 제1 섬유 웨브 내에 상기 제1 섬유 세트를 배열하는 배열 단계; 제1 의복 물품 내에 상기 제1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 상기 제1 의복 물품의 형성 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제1 의복 물품에서 제3 섬유 세트를 파생시키는 파생 단계; 제2 부직 텍스타일을 포함하는 제2 섬유 웨브 내에 상기 제3 섬유 세트를 배열하는 배열 단계; 및 제2 의복 물품 내에 상기 제2 부직 텍스타일을 형성하는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5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의복 물품은 상기 제2 섬유 세트의 섬유 배열부를 포함한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5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배열부는 섬유 웨브, 편성 텍스타일 및 직조 텍스타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5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세트, 상기 제2 섬유 세트 및 상기 제3 섬유 세트는 공통 섬유 세트를 공유하는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6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세트는, 상기 제2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이며, 그리고 상기 제3 섬유 세트는 상기 제1 섬유 세트에서 파생되는 펠릿화된 부산물들로 압출되는 재-펠릿화된 중합체 섬유들인 것인, 의복 물품들의 제조 방법.
KR1020237017994A 2020-10-30 2021-10-20 지속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 KR202300933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08203P 2020-10-30 2020-10-30
US63/108,203 2020-10-30
US202063125797P 2020-12-15 2020-12-15
US63/125,797 2020-12-15
PCT/US2021/055838 WO2022093596A1 (en) 2020-10-30 2021-10-20 Sustainable nonwoven text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327A true KR20230093327A (ko) 2023-06-27

Family

ID=8138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994A KR20230093327A (ko) 2020-10-30 2021-10-20 지속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20220136148A1 (ko)
EP (1) EP4237609A1 (ko)
JP (1) JP2023549071A (ko)
KR (1) KR20230093327A (ko)
CA (1) CA3198200A1 (ko)
MX (1) MX2023005051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532A (en) * 1972-01-28 1976-02-24 The Fiberwoven Corporation Needled textile fabric with a thin polymeric coating thereon
US4416936A (en) * 1980-07-18 1983-11-22 Phillips Petroleum Company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US6096668A (en) * 1997-09-15 2000-08-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film laminates
US6671936B1 (en) * 2000-06-23 2004-01-06 Polymer Group, Inc. Method of fabricating fibrous laminate structures with variable color
JP2005029924A (ja) * 2003-07-07 2005-02-03 E I Du Pont De Nemours & Co 気候保護用複合生地から作られた衣服
US20100279085A1 (en) * 2009-04-30 2010-11-04 Gabriel Hammam Adam Nonwoven Composite Including Post-Consumer Recycled Material
ES2913239T3 (es) * 2017-06-19 2022-06-01 Lydall Inc Bloque fibroso multicapa con solapado cruzado y método para fabricarl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9071A (ja) 2023-11-22
US20220136148A1 (en) 2022-05-05
US20220136152A1 (en) 2022-05-05
EP4237609A1 (en) 2023-09-06
MX2023005051A (es) 2023-07-18
US20220136151A1 (en) 2022-05-05
CA3198200A1 (en)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1587B (zh) 利用载体网形成的纤维结合工程化材料
US11832681B2 (en) Fiber-bound engineered materials formed using engineered scrims
CN110446601B (zh) 使用元件垫料形成的纤维结合工程化材料
CN114606644B (zh) 通过使用化学粘合剂提高抗起球性的复合非织造织物
KR20230070494A (ko) 의복을 위해 적합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93327A (ko) 지속 가능한 부직 텍스타일
US20220380953A1 (en) Nonwoven entanglement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220378129A1 (en) Nonwoven textile garment array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EP4382651A2 (en) Sustainable nonwoven textile
CN116507769A (zh) 可持续非织造纺织品
WO2022093596A1 (en) Sustainable nonwoven textile
CN206030654U (zh) 新型化纤和玻纤混纺丝束织物
US20220378130A1 (en) Nonwoven textile with non-linear entangled seams suitable for garments
TWI835401B (zh) 具有不同旦數的可回收的非對稱飾面的複合非織造織物及製造非對稱飾面的複合非織造織物的方法
KR20240026516A (ko) 의복에 적합한 인쇄된 합성 부직 텍스타일용 디보싱 및 주름 마감 및 그 제조 방법
CN117087294A (zh) 非对称饰面的复合非织造织物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