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973A - 변압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압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973A
KR20230092973A KR1020237016759A KR20237016759A KR20230092973A KR 20230092973 A KR20230092973 A KR 20230092973A KR 1020237016759 A KR1020237016759 A KR 1020237016759A KR 20237016759 A KR20237016759 A KR 20237016759A KR 20230092973 A KR20230092973 A KR 2023009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network
control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타루 야마모리
고이치 하마마츠
게이이치 가네다
다카후미 마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에너지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에너지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23009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an electric power subs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8Islanding, i.e. disconnection of local power supply from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은, 검출부와, 제어부와, 전환부를 가진다. 검출부는, 전력 계통에 관한 계통 정보를 검출한다.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계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기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전력 계통 내의 모선의 전압인 모선 전압의 계측과 상기 전력 계통 내의 각 변압기의 운용 상태의 감시를 행한다. 전환부는, 상기 모선에 접속되는 변압기의 탭의 전환을 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계측한 상기 모선 전압이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환부에 상기 탭의 전환을 지시한다.

Description

변압기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전소 구내에 배치되는 변압기마다 제어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제어 장치는, 각 변압기와 메탈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어 장치는, 변전소 내의 전력 계통의 전기량 연산을 행하고, 각 변압기의 탭의 전환을, 메탈 케이블를 통하여 행함으로써 모선 전압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었다.
근래의 정보 통신 기술 및 디지털 제어 기술의 진보에 수반하여, 각 장치간의 네트워크화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변전소용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에서는, 국제 표준 규격 IEC 61850의 제정에 수반하여, 각 장치간의 접속이 메탈 케이블으로부터 통신 케이블로의 기술의 전환이 제안되고, 변전소 구내의 네트워크화가 진행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력 계통 내의 변압기의 제어에 관해서는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은 현상이었다.
일본국 특개2013-164731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력 계통 내의 모선 전압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은, 검출부와, 제어부와, 전환부를 가진다. 검출부는, 전력 계통에 관한 계통 정보를 검출한다.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계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기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전력 계통 내의 모선의 전압인 모선 전압의 계측과 상기 전력 계통 내의 각 변압기의 운용 상태의 감시를 행한다. 전환부는, 상기 모선에 접속되는 변압기의 탭의 전환을 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계측한 상기 모선 전압이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환부에 상기 탭의 전환을 지시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변압기를 센싱 대상으로 하는 센싱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개폐 장치를 센싱 대상으로 하는 센싱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계측 장치를 센싱 대상으로 하는 센싱 단말의 구성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IED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전력 계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압기 제어 시스템(1)은, 변전소 등의 전력 설비 내의 전력 계통(E)에 포함되는 각 변압기(120)의 탭의 전환을,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제어함으로써 전력 계통(E)을 안정화시킨다.
전력 계통(E)은, 모선(110), 변압기(120), 개폐 장치(130), 계측 장치(140) 등의 각종 설비를 구비한다. 개폐 장치(130)는, 가스 절연 개폐 장치(Gas Insulated Switchgear)나 차단기, 단로기 등이다. 변압기(120)는, 변압비를 전환하는 탭을 구비한다. 계측 장치(140)는, 예를 들면, 계기용 변압기(Voltage Transformer)나 계기용 변류기(Current Transformer)이다. 또, 전력 계통(E)에서는, 2개 이상의 변압기(120)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도 1에 나타내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1)은, 예를 들면, 복수의 센싱 단말(200)과, 2대의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300)와, TC(원방 감시 제어 장치)(400)와, HMI(human machine interface)(500)를 구비한다.
복수의 센싱 단말(200)은, 네트워크(NW1)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센싱 단말(200)은, 프로세스 레벨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NW1)는,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NW1)는, 국제 표준 규격 IEC61850에서 규정되어 있는 프로세스 버스이다. 복수의 센싱 단말(200)은, 각종 설비를 통하여 전력 계통(E)의 계통 정보를 검출한다. 복수의 센싱 단말(200)은, 검출한 계통 정보를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각 IED(300)에 송신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센싱 단말(200)로부터 각 IED(300)로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송신되는 계통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센싱 단말(200)은, 머징 유닛(Merging Unit)의 기능을 구비한다.
계통 정보는, 전력 계통(E)의 전기량, 전력 계통(E)의 전력의 수급 상태, 전력 계통(E)의 접속 상태, 전력 계통(E) 내의 변압기(120)의 운용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계통(E)의 전기량은, 전력 계통(E)에 있어서의 각 모선(110)의 전압 레벨이나 전류 레벨, 위상각(位相角) 등에 관한 정보이다. 전력의 수급 상태란, 전력 계통(E)의 부하의 정보나 전력 계통(E)에 접속되는 발전기의 발전량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전력 계통(E)의 접속 상태란, 전력 계통(E)에 포함되는 차단기나 단로기의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변압기(120)의 운용 상태는, 변압기(120)가 정지하고 있는지 혹은 작동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나, 변압기(120)의 탭 전압, 변압기(120)에 있어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탭의 정보(이하, 「탭값」이라고 한다.) 등을 포함한다. 또, 예를 들면, 탭값은, 변압비, 권선비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센싱 단말(200)은, 전력 계통(E) 내의 설비마다 대응하여 설치된다. 센싱 단말(200)은, 대응하는 설비를 센싱 대상으로 하여, 그 센싱 대상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센싱 단말(200)은,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IED(300)로부터 얻어지는 지령에 의거하여, 각 개폐 장치(130)의 개폐 제어, 각 변압기(120)의 탭의 전환, 각 변압기(120)의 운용의 개시나 정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센싱 대상이 변압기(120)인 센싱 단말(200)을 「센싱 단말(200LR)」이라고 칭한다. 또한, 센싱 대상이 개폐 장치(130)인 센싱 단말(200)을 「센싱 단말(200S)」이라고 칭한다. 또한, 센싱 대상이 계측 장치(140)인 센싱 단말(200)을 「센싱 단말(200M)」이라고 칭한다.
2대의 IED(300) 중, 한쪽의 IED(300)가 현용계(現用系)이고, 다른 쪽의 IED가 대기계(待機系)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현용계의 IED(300)를 「IED(300-1)」이라고 칭하고, 대기계의 IED(300)를 「IED(300-2)」라고 칭한다. 단, 제1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1)은, 현용계의 IED(300-1)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대기계의 IED(300-2)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IED(300-1)와 IED(300-2)는, 동일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IED(300)라고 칭한다. 또, IED(300)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현용계와 대기계 각각의 IED(300)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계통 정보를 수집한다.
IED(300)는, 네트워크(NW1)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IED(300)는, 베이 레벨에 배치된다. IED(300)는, 복수의 센싱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계통 정보를 수집한다. IED(300)는,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전력 계통(E)의 보호나 감시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IED(300)는, 수집한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전력 계통(E) 내의 모선(110)의 전압인 모선 전압을 계측한다. 또한, IED(300)는,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전력 계통(E) 내의 모든 변압기(120)의 제어 및 운용 상태의 감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IED(300)는, 계측한 모선 전압이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네트워크(NW1) 및 센싱 단말(200LR)을 통하여 전력 계통(E) 내의 단독 운전 중인 변압기의 탭의 전환 제어, 또는, 병렬 운전 중인 복수 변압기의 탭의 전환을 일괄하여 제어하는 제1 기능을 실행한다.
IED(300)는, 네트워크(NW2)를 통하여 TC(400)에 접속된다. IED(300)는, 네트워크(NW2)를 통하여 계통 정보를 TC(400)로 송신해도 된다. 또한, IED(300)는, 네트워크(NW2)를 통하여 TC(4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네트워크(NW2)는,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LAN, WAN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NW2)는, 국제 표준 규격 IEC61850에서 규정되어 있는 스테이션 버스이다.
TC(400)는, 네트워크(NW2)에 접속된다. 또한, TC(400)는, HMI(50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TC(400)는, 스테이션 레벨에 배치된다. TC(400)는, HMI(500)와 IED(300) 사이의 정보를 중계한다. 또, 용장화(冗長化)를 위하여, 현용계와 대기계의 2대의 TC(400)가 네트워크(NW2)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HMI(500)는, TC(400)를 통하지 않고 네트워크(NW2)를 경유하여 IED(300)에 접속되어도 된다.
HMI(500)는, 예를 들면, 워크 스테이션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이다. HMI(500)는, 예를 들면, 조작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고, 그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를 TC(400) 및 네트워크(NW2)를 통하여 IED(300)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의 센싱 단말(200LR)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센싱 단말(200LR)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싱 단말(200LR)은, 예를 들면, 검출부(210)와, 통신부(211)와, 전환부(212)를 구비한다.
검출부(210)는, 전력 계통(E)의 변압기(120)로부터 아날로그 데이터를 검출한다. 검출부(210)는, 검출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검출부(210)는, 변압기(120)의 운용 상태, 변압기(120)의 2차측 전압, 또는, 모선 전압, 및 탭값 등의 정보인 변압기 정보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통신부(211)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IED(3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11)는, 검출부(210)에서 변환된 변압기 정보의 디지털 데이터를,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IED(300)에 일정 주기마다, 혹은, 상태 변화 시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211)는, IED(300)로부터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탭의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그 제어 지령을 전환부(212)로 송신한다.
전환부(212)는, 변압기(120)의 탭을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전환부(212)는, 제어 지령에 의거하여 변압기(120)의 탭을 전환함으로써 변압기(120)의 변압비를 변조정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센싱 단말(200S)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싱 단말(200S)은, 예를 들면, 검출부(220)와, 통신부(221)와, 개폐 제어부(222)를 구비한다.
검출부(220)는, 개폐 장치(130)의 개폐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부(220)는, 검출한 개폐 장치(130)의 개폐 상태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통신부(221)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IED(3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21)는, 검출부(220)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IED(300)에 일정 주기마다, 혹은, 상태 변화 시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221)는, IED(300)로부터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개폐 장치(130)를 도통(導通) 상태(온 상태)로 하는 개폐(온/오프)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그 개폐 장치(130)를 도통 상태로 하는 개폐(온/오프) 제어 지령을 개폐 제어부(222)로 송신한다. 통신부(221)는, IED(300)로부터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개폐 장치(130)를 차단 상태(오프 상태)로 하는 차단 지령을 수신하면, 그 차단 지령을 개폐 제어부(222)로 송신한다.
개폐 제어부(222)는, 개폐 장치(130)를 도통 상태로 하는 개폐(온/오프) 제어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센싱 대상의 개폐 장치(130)를 도통 상태로 전환한다. 개폐 제어부(222)는, 차단 지령을 수신했을 경우에는, 센싱 대상의 개폐 장치(130)를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센싱 단말(200M)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싱 단말(200M)은, 예를 들면, 검출부(230)와, 통신부(231)를 구비한다.
검출부(230)는, 계기용 변성기나 계측 설비·장치인 계측 장치(140)의 계측값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검출한다. 검출부(230)는, 검출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통신부(231)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IED(3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231)는, 검출부(230)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IED(300)에 일정 주기마다, 혹은, 상태 변화 시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의 IED(300)의 구성예에 대하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IED(3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ED(300)는, 통신부(310)와, 통신부(320)와, 정보 처리부(330)를 구비한다. 이들 구성 요소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하드웨어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소프트웨어)을 실행함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이들 구성 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는, LSI(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등의 하드웨어(회로부; circuitry를 포함함)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협동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프로그램은, 미리 HDD(Hard Disk Drive)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비일과성(非一過性)의 기억 매체를 구비하는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도 되고, DVD나 CD-ROM 등의 착탈 가능한 기억 매체(비일과성 기억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기억 매체가 드라이브 장치에 장착됨으로써 기억 장치에 인스톨되어도 된다. 기억 장치는, 예를 들면, HDD, 플래시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ROM(Read Only Memory),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부(310)는, 네트워크(NW1)에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각 센싱 단말(200)과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부(320)는, 네트워크(NW2)에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NW2) 및 TC(400)를 통하여 HMI(5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정보 처리부(330)는, 통신부(310)로부터 얻어진 각종 디지털 신호인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전력 계통(E)에 포함되는 복수의 변압기(120)를 집중 제어한다. 정보 처리부(330)는,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모선 전압을 계측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부(330)는, 모선 전압이 제1 설정값과 제2 설정값의 범위 내가 되도록,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탭의 전환을 제어한다. 또, 제2 설정값은, 제1 설정 값보다도 작은 값이어도 되고 제1 설정값과 동일 값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부(330)는, 계측한 모선 전압이 제1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변압기(120)의 변압비를 낮추는 제어 지령을,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센싱 단말(200LR)에 송신함으로써, 센싱 단말(200LR)에 변압기(120)의 탭의 전환을 지시하여 변압기(120)의 2차 전압, 또는, 모선 전압을 낮춘다. 또한, 정보 처리부(330)는, 계측한 모선 전압이 제2 설정값을 하회했을 경우에는, 변압기(120)의 변압비를 높이는 제어 지령을,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센싱 단말(200LR)에 송신함으로써 센싱 단말(200LR)에 변압기(120)의 탭의 전환을 지시하여 탭 전압을 높인다.
정보 처리부(330)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전력 계통(E) 내의 복수의 변압기(120)의 운전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개폐 장치(130)의 개폐 상태나 각 변압기(120)의 운전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복수의 변압기(120)의 운전이 병렬 운전인지 단독 운전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정보 처리부(330)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개폐 장치(130)의 개폐 상태를 차단 상태 또는 도통 상태로 제어하거나, 복수의 변압기(120)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변압기(120)의 운전을 병렬 운전과 단독 운전 중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지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변압기(120)가 병렬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변압기(120) 중 어느 하나에 이상(異常)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정보 처리부(330)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복수의 변압기(120)를 단독 운전으로 전환시킨다. 정보 처리부(330)는, 복수의 변압기(120)를 단독 운전으로 전환한 후에, 이상이 있는 변압기(120)의 운전을 정지시켜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정보 처리부(330)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수집한 계통 정보에 포함되는 각 변압기(120)의 운전 상태에 의거하여, 각 변압기(120)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변압기(120)가 단독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복수의 변압기(12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정보 처리부(330)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이상이 발생한 단독 운전 중인 변압기(120)에 접속되어 있는 부하(예를 들면 전력을 공급하는 송전선 등)를 건전(健全)한 다른 변압기(120)(이하, 「건전 변압기」라고 한다)의 부하로서 옮길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부(330)는, 복수의 변압기(120)를 병렬 운전으로 전환한 후에, 이상이 있는 변압기(120)의 운전을 정지시켜도 된다.
정보 처리부(330)는,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단독 운전 중인 변압기(120)를 병렬 운전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을 금지한다. 예를 들면,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경우란, IED(300), 센싱 단말(200)이나 네트워크(NW1) 등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나 병렬 운전을 행하는 변압기(120)의 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 등이다.
정보 처리부(330)는,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병렬 운전 중인 변압기(120)의 수인 병렬 운전수를 관리하고, 그 병렬 운전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값에 도달했을 경우에는, 단독 운전하고 있는 변압기(120)의 병렬 운전으로의 이행을 금지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정보 처리부(330)는, 미리 설정된 대수를 초과하여 변압기(120)가 병렬 운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부(330)는,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변압기(120)의 계속 운전이 곤란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당해 변압기(120)의 운전의 정지를 네트워크(NW1)를 경유하여 행하고,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변압기(120)의 병렬 운전이 곤란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부하(예를 들면 전력을 공유하는 송전선 등)를 나머지의 건전 변압기로 옮긴 후에, 병렬 운전이 곤란하다고 판정된 변압기(120)를 병렬 운전 중인 변압기 군으로부터 분리하여 정지시킨다. 또한, 정보 처리부(330)는,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변압기(120)의 병렬 운전이 곤란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부하를 분산시킨 후에 변압기(120)의 병렬 운전으로부터 단독(분리) 운전으로의 전환을 네트워크(NW1)를 경유하여 행해도 된다.
변압기(120)의 계속 운전이 곤란한 경우란, 예를 들면, 변압기(120)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이다. 변압기(120)의 병렬 운전이 곤란한 경우란, 병렬 운전 중인 변압기(120)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이다.
정보 처리부(330)는, 변압기(120)의 운전이 단독 운전인 경우에 있어서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변압기(120)의 병렬 운전의 가부(可否)를 판정하고, 병렬 운전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을 금지해도 된다. 정보 처리부(330)는,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병렬 운전하고 있는 변압기(120)의 수인 병렬 운전수를 관리하고, 그 병렬 운전수가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단독 운전하고 있는 변압 장치(120)의 병렬 운전으로의 이행을 금지해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변전소 구내에 있는 전력 계통(E)에 적용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1)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전력 계통(E)은, 예를 들면, 2개의 모선(110-1, 110-2)과, 2대의 변압기(120-1, 120-2)와, 20대의 개폐 장치(130-1~130-20)와 4개의 계측 장치(140-1~140-4)를 구비한다.
모선(110-1)은, 갑(甲)모선(110-1a)과 을(乙)모선(110-1b)을 포함하는 이중 모선 방식의 모선이다. 모선(110-2)은, 갑모선(110-2a)과 을모선(110-2b)을 포함하는 이중 모선 방식의 모선이다. 예를 들면, 모선(110-1)이 275[kV] 계통의 모선이고, 모선(110-2)이 500[kV] 계통의 모선이다.
변압기(120-1)와 변압기(120-2)는, 전압 계급이 서로 다른 모선(110-1)과 모선(110-2) 사이에 접속된다. 변압기(120-1)와 변압기(120-2)는, 서로 병렬로 접속이 가능하다.
개폐 장치(130-1)는, 변압기(120-1)와 변압기(120-2) 사이의 갑모선(110-1a)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1)가 차단 상태일 경우에는, 갑모선(110-1a)은 2개의 갑모선(111, 112)으로 분리된다. 개폐 장치(130-2)는, 변압기(120-1)와 변압기(120-2) 사이의 을모선(110-1b)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2)가 차단 상태일 경우에는, 을모선(110-1b)은, 2개의 을모선(113, 114)으로 분리된다. 또,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가 병렬 운전일 경우에는, 개폐 장치(130-1)와 개폐 장치(130-2)는 모두 도통 상태이다.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가 모두 단독 운전일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개폐 장치(130-1)와 개폐 장치(130-2)는 모두 차단 상태이다.
개폐 장치(130-3)는, 변압기(120-1)와 변압기(120-2) 사이의 갑모선(110-2a)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3)는, 갑모선(110-2a)을 2개의 갑모선(115, 116)으로 분리 가능하다. 개폐 장치(130-4)는, 변압기(120-1)와 변압기(120-2) 사이의 을모선(110-2b)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4)는, 을모선(110-2b)을 2개의 을모선(117, 118)으로 분리 가능하다.
개폐 장치(130-5)는, 갑모선(111)과 을모선(11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6)는, 갑모선(112)과 을모선(114)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7)는, 갑모선(115)과 을모선(117)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8)는, 갑모선(116)과 을모선(118)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9)는, 변압기(120-1)와 갑모선(111) 및 을모선(113)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10)는, 변압기(120-1)와 갑모선(115) 및 을모선(117)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11)는, 변압기(120-2)와 갑모선(112) 및 을모선(114)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12)는, 변압기(120-2)와 갑모선(116) 및 을모선(118)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장치(130-13)(예를 들면, 단로기)는, 개폐 장치(130-9)와 갑모선(111) 사이에 접속된다. 개폐 장치(130-14)(예를 들면, 단로기)는, 개폐 장치(130-9)와 을모선(113) 사이에 접속된다.
개폐 장치(130-15)(예를 들면, 단로기)는, 개폐 장치(130-11)와 갑모선(112) 사이에 접속된다. 개폐 장치(130-16)(예를 들면, 단로기)는, 개폐 장치(130-11)와 을모선(114) 사이에 접속된다.
개폐 장치(130-17)(예를 들면, 단로기)는, 개폐 장치(130-10)와 갑모선(115) 사이에 접속된다. 개폐 장치(130-18)(예를 들면, 단로기)는, 개폐 장치(130-10)와 을모선(117) 사이에 접속된다.
개폐 장치(130-19)(예를 들면, 단로기)는, 개폐 장치(130-12)와 갑모선(116) 사이에 접속된다. 개폐 장치(130-20)(예를 들면, 단로기)는, 개폐 장치(130-12)와 을모선(118) 사이에 접속된다.
계측 장치(140-1)는, 갑모선(111)의 전압을 계측하는 계기용 변압기이다. 계측 장치(140-2)는, 을모선(113)의 전압을 계측하는 계기용 변압기이다. 계측 장치(140-3)는, 갑모선(112)의 전압을 계측하는 계기용 변압기이다. 계측 장치(140-4)는, 을모선(114)의 전압을 계측하는 계기용 변압기이다. 또, 계측 장치(140)는, 모선(110-2)에 대해서도 접속되어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모선(110-2)에 접속되어 있는 계측 장치(140)의 설명을 생략한다.
변압기 제어 시스템(1)은, 2대의 센싱 단말(200LR-1, 200LR-2)과, 2대의 센싱 단말(200M-1~200M-12)과, 6대의 센싱 단말(200S-1~200S-12)을 구비한다.
센싱 단말(200LR-1)은, 변압기(120-1)를 센싱 대상으로 하여, 탭의 전환이나 변압기(120-1)의 운용 상태의 검출을 행한다. 센싱 단말(200LR-2)은, 변압기(120-2)를 센싱 대상으로 하여, 탭의 전환이나 변압기(120-2)의 운용 상태의 검출을 행한다.
센싱 단말(200S-k)(k=1,2,...12)은, 개폐 장치(130-k)를 센싱 대상으로 하여 개폐 장치(130-k)의 개폐 상태의 검출이나 개폐 장치(130-k)의 개폐를 행한다.
센싱 단말(200M-1)은, 계측 장치(140-1) 및 계측 장치(140-2)를 센싱 대상으로 하여 계측 장치(140-1) 및 계측 장치(140-2)의 계측값의 검출을 행한다. 센싱 단말(200M-2)은, 계측 장치(140-3) 및 계측 장치(140-4)를 센싱 대상으로 하여 계측 장치(140-3) 및 계측 장치(140-4)의 계측값의 검출을 행한다.
이하에서, 도 6이 나타내는 전력 계통(E)의 각 변압기(120)를 제어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1)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7에서는, 변압기(120-1)와 변압기(120-2)가 병렬 운전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센싱 단말(200M-1)은, 계측 장치(140-1) 및 계측 장치(140-2)의 각 계측값을 AD 변환하고, AD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를,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IED(300)에 상시 송신하고 있다. IED(300-1)는, 현용계로서 동작하고 있으며,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를 수집하고(스텝 S101), 그 디지털 데이터에 의거하여 모선(110-1)의 모선 전압을 상시 계측한다(스텝 S102). IED(300-1)는, 계측한 모선 전압이 사전에 설정된 제1 설정값과 제2 설정값 사이의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IED(300-1)는, 계측한 모선 전압이 제1 설정값을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3). IED(300-1)는, 계측한 모선 전압이 제1 설정값을 초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모선 전압이 제2 설정 값을 하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4).
IED(300-1)는, 스텝(S103)의 판정의 결과, 계측한 모선 전압이 제1 설정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변압기(120)의 변압비를 낮추는 제어 지령을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센싱 단말(200LR-1) 및 센싱 단말(200LR-2)로 송신한다(스텝 S105). 이것에 의해, IED(300-1)는, 각 센싱 단말(200LR)에 대해서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의 탭의 전환을 지시하고, 탭값을 높이는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싱 단말(200LR-1)은, 스텝 S105에 의해 송신된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변압기(120-1)의 탭을 전환하여 탭값을 낮춘다. 또한, 센싱 단말(200LR-2)은, 스텝 S105에 의해 송신된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변압기(120-2)의 탭을 전환하여 탭값을 낮춘다.
스텝 S104에 있어서, IED(300-1)는, 계측한 모선 전압이 제2 설정값을 하회했을 경우에는, 변압기(120)의 변압비를 높이는 제어 지령을,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센싱 단말(200LR-1) 및 센싱 단말(200LR-2)로 송신한다(스텝 S106). 이것에 의해, IED(300-1)는, 각 센싱 단말(200LR)에 대해서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의 탭의 전환을 지시하여, 탭값을 높이는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센싱 단말(200LR-1)은, 스텝 S106에 의해 송신된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변압기(120-1)의 탭을 전환하여 탭값을 높인다. 또한, 센싱 단말(200LR-2)은, 스텝 S106에 의해 송신된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변압기(120-2)의 탭을 전환하여 탭값을 높인다.
센싱 단말(200LR-1)은, 변압기(120-1)의 탭을 전환한 후, 변압기(120-1)의 탭값을 취입하고, 네트워크(MW1)를 통하여 IED(300)로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센싱 단말(200LR-2)은, 변압기(120-2)의 탭을 전환한 후, 변압기(120-2)의 탭값을 취입하고, 네트워크(MW1)를 통하여 IED(300)로 송신한다.
IED(300-1)는, 네트워크(MW1)를 통하여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의 각각의 탭값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탭값의 정보에 의거하여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의 각각의 탭의 전환을 확인한다(스텝 S107). IED(300-1)는, 변압기(120)의 탭의 전환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변압기(120)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 모두가 단독 운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IED(300-1)는, 센싱 단말(200M-1)로부터의 계측값에 의거하여 갑모선(111) 또는 을모선(113)의 모선 전압이 소정의 범위 내가 되도록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센싱 단말(200LR-1)에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마찬가지로, IED(300-1)는, 센싱 단말(200M-2)로부터의 계측값에 의거하여 갑모선(112) 또는 을모선(114)의 모선 전압이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센싱 단말(200LR-2)로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IED(300-1)는, 단독 운전하고 있는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의 각 탭값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모선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의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의 제어 방법의 일례를,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IED(300-1)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센싱 단말(200LR-1) 및 센싱 단말(200LR-2)로부터 각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의 각 탭값의 정보를 수집한다(스텝 S201). IED(300-1)는, 각 탭값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센싱 단말(200LR-1) 및 센싱 단말(200LR-2)과 통신하여 각 탭값을 맞춘다(스텝 S202). 예를 들면, IED(300-1)는, 변압기(120-1)의 탭값의 쪽이 높은 경우에는, 변압기(120-1)의 탭값을 낮춰서 변압기(120-2)의 탭값과 동일하게 되도록, 센싱 단말(200LR-1)로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
IED(300-1)는, 변압기(120-1)의 탭값과 변압기(120-2)의 탭값이 맞춰지면, 센싱 단말(200S-1) 및 센싱 단말(200S-2)에 대해서 개폐 장치(130)를 도통 상태로 하는 개폐(온/오프) 제어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S203). 이것에 의해, 센싱 단말(200S-1)은, 개폐 장치(130)를 도통 상태로 하는 개폐(온/오프)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개폐 장치(130-1)를 차단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한다. 센싱 단말(200S-2)은, 개폐 장치(130)를 도통 상태로 하는 개폐(온/오프) 제어 지령을 수신하면 개폐 장치(130-2)를 차단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의 운전이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 전환된다. 또, IED(300-1)는,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의 계기가 변압기(120-1) 및 변압기(120-2) 중 어느 하나의 이상의 발생인 경우에는, 스텝 S203의 후에,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이상이 발생한 변압기(120)를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정지란, 예를 들면, 개폐 장치(130-9) 혹은 개폐 장치(130-11)를 차단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변압기 제어 시스템(1)에서는, IED(300)와 센싱 단말(200LR)이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접속된다. 그리고, IED(300)는, 모선 전압이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및 센싱 단말(200LR)에 변압기(120)의 탭의 전환을 지시함으로써, 네트워크(NW1)을 이용하여 전력 계통(E) 내의 모선 전압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1대의 IED(300)에 의해 전체 대수의 변압기(120)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메탈 케이블을 포함한 하드웨어가 삭감된다.
또,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현용계의 IED(300-1)와 대기계의 IED(300-2) 중, 한쪽의 IED(300)(예를 들면, IED(300-1))는, 계측한 모선 전압이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변압기(120) 탭의 전환을 제어하고, 다른 쪽의 IED(300)(예를 들면, IED(300-2))는, 상위(上位)로부터 조작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변압기(120)의 탭의 전환을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면, IED(300-1)는,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으로 변압기(120)의 탭을 전환한다. 한편, IED(300-2)는, 조작자가 변압기(120)를 전환하는 수동 조작을 행했을 경우에, 변압기(120)의 탭을 전환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IED(300-2)는, HMI(500)로부터 네트워크(NW2)를 통하여 탭값을 높이는 조작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센싱 단말(200LR)에 대해서 탭값을 높이는 제어 지령을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송신한다. 한편, 예를 들면, IED(300-2)는, HMI(500)로부터 네트워크(NW2)를 통하여 탭값을 낮추는 조작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센싱 단말(200LR)에 대해서 탭값을 낮추는 제어 지령을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의 수동에 의해서도 변압기(120)의 탭을 전환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1A)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내용과 마찬가지인 기능을 가진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고, 그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1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압기 제어 시스템(1A)은,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1)과 비교하면, 대기계의 IED(300-2)가 아니라, IED(300)와는 독립하여 동작하는 IED(600)를 구비하는 점이 다르다. IED(600)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1A)의 구성 내에 있어서, IED(300)와는 별도로, 다른 제어나 감시를 행하는 것을 주로 배치한다. 예를 들면, IED(300)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전력 계통(E) 내의 모든 변압기(120)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1 기능을 실행하고, IED(600)가 제1 기능과는 다른 제2 기능을 실행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1A)은, 예를 들면, 복수의 센싱 단말(200)과, IED(300)와, TC(400)와, HMI(500)와, IED(600)를 구비한다. IED(600)는, 「기능 분담부」의 일례이다.
IED(600)는, 네트워크(NW1)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IED(600)는, 베이 레벨에 배치된다. 네트워크(NW1)에 접속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1A)에 있어서, IED(300)와는 별도로 분산 배치되는 IED(600)는, 복수의 센싱 단말(200)로부터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계통 정보를 수집한다. IED(600)는, IED(300)와의 사이에서 전력 계통(E)에 대한 제1 기능과 제2 기능을 분담하고, IED(300)와는 독립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면, IED(600)는, 제2 기능으로서 개폐 장치(130-5~130-8)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 IED(600)는, 제1 기능을 갖고 있지만, IED(3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제1 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제2 기능을 실행한다. IED(300)에 이상이 발생하면, IED(300)로부터 네트워크(NW2)를 통하여 IED(600)에 이상의 발생이 통지된다. IED(600)는, IED(300)로부터 이상의 발생의 통지를 수신하면, IED(300)의 기능을 인계하여 실행한다. 예를 들면, IED(600)는, IED(300)에 이상이 발생하면, 제1 기능과, 제1 기능(탭 제어)과 함께 IED(600)가 주로 하여 실행하고 있는 제2 기능을 실행한다. 또, IED(300)와 IED(600)는 상호 감시해도 된다.
또한, 변압기 제어 시스템(1A)에 있어서의 변압기(120)의 제어 방법은, 도 7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변압기 제어 시스템(1A)에 있어서의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 방법은, 도 8과 마찬가지의 처리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IED(300)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IED(600)는, 제2 기능에 더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변환기 제어 기능이나 도 8에 나타내는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을 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1A)은, 제1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 이외에, IED(300)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여도 대기계의 IED(300)를 이용하지 않고 제1 기능을 계속하여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현용계와 대기계의 2계통의 센싱 단말(200)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1)은,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IED(600)를 더 구비해도 된다. 또한, IED(600)의 대기계를 더 구비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형태의 변압기 제어 시스템(1, 1A)은, 네트워크(NW3)를 통하여 TC(400)에 접속되는 급전소(또는 제어소)(700)가 접속된다. 도 10은, 급전소(700)를 구비한 변압기 제어 시스템(1B)의 일례이다. 변압기 제어 시스템(1B)에서는, TC(400)는, 변전소 구외에 배치되어 있는 급전소(700)(계통 운용)에 배치된 계산기 시스템과 접속된다. IED(300)는, 변전소 구내에 배치된 계통·설비·장치의 운용 상태를 TC(400)를 경유하여 급전소(700)에 통지함과 함께, 급전소(700)로부터의 각종 지령에 의해 변전소 구내에 배치된 기기의 개폐 제어나, 변압기(120)의 탭 제어를 행한다. 개폐 제어나 탭 제어 등의 각종 제어는, 「원방(遠方) 제어 방식」과 「직접 제어 방식」 중 어느 하나로 실시된다. 「원방 제어 방식」이란, TC(400)를 경유하여 급전소(700)의 원방에 배치된 계산기 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가 가능한 방식이다. 「직접 제어 방식」이란, 변전소 구내에 배치된 HMI(500)로부터의 제어가 가능한 방식이다. 예를 들면, 「원방 제어 방식」과 「직접 제어 방식」중 어느 하나에 제어권이 부여되며, 그 제어권이 부여된 방식으로, 개폐 제어나 탭 제어 등의 각종 제어가 실시된다. 예를 들면, 이 제어권은, 스위치 등에 의해서 「원방 제어 방식」과 「직접 제어 방식」의 어느 하나로 전환 가능하다. 또한, HMI(500)와 TC(400)는, 일체 구성이어도 되고, 각각 분리되어 배치되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수집한 시스템 정보에 의거하여 계측한 모선 전압이 소정 범위 내로 되도록 네트워크(NW1)를 통하여 전환부(212)와 통신하여 변압기(120)의 탭의 전환을 제어함에 의해, 네트워크(NW1)을 이용하여 전력 계통(E) 내의 모선 전압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의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들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9)

  1. 전력 계통에 관한 계통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계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기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전력 계통 내의 모선(母線)의 전압인 모선 전압의 계측과 상기 전력 계통 내의 각 변압기의 운용 상태의 감시를 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모선에 접속되는 변압기의 탭의 전환을 행하는 전환부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계측한 상기 모선 전압이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환부에 상기 탭의 전환을 지시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력 계통 내의 복수의 변압기의 운전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변압기의 운전을 병렬 운전과 단독 운전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현용계(現用系)와 대기계(待機系)의 2계통의 상기 제어부를 구비하며,
    현용계와 대기계의 각각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검출부로부터 상기 계통 정보를 수집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전력 계통에 대한 기능을 분담하는 기능 분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능 분담부는, 상기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기 탭의 전환을 제어하는 기능을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계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현용계의 상기 제어부와 대기계의 상기 제어부 중, 현용계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변압기의 운용 상태를 상시 감시하여 상기 모선 전압이 소정 범위 내가 되도록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환부에 상기 탭의 자동 전환을 지시하고, 대기계의 상기 제어부는, 조작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상위(上位)로부터 송신된 조작 신호를 수신했을 경우에 상기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전환부에 상기 탭의 수동 전환을 지시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각 현용계와 대기계의 2계통의 상기 검출부 및 상기 전환부를 구비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압기의 운전이 단독 운전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압기의 병렬 운전의 가부(可否)를 판정하고, 병렬 운전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상기 단독 운전으로부터 병렬 운전으로의 전환을 금지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병렬 운전하고 있는 상기 변압기의 수인 병렬 운전수를 관리하고, 상기 병렬 운전수가 소정값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단독 운전하고 있는 상기 변압기의 병렬 운전으로의 이행을 금지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변압기의 계속 운전이 곤란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당해 변압기의 운전의 정지를 상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행하고, 상기 계통 정보에 의거하여 병렬 운전 중인 상기 변압기의 병렬 운전이 곤란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병렬 운전이 곤란하다고 판정된 상기 변압기를 상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변압기의 병렬 운전으로부터 분리하는
    변압기 제어 시스템.
KR1020237016759A 2020-12-01 2020-12-01 변압기 제어 시스템 KR20230092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0/044613 WO2022118363A1 (ja) 2020-12-01 2020-12-01 変圧器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973A true KR20230092973A (ko) 2023-06-26

Family

ID=8185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759A KR20230092973A (ko) 2020-12-01 2020-12-01 변압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WO2022118363A1 (ko)
KR (1) KR20230092973A (ko)
WO (1) WO202211836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4731A (ja) 2012-02-10 2013-08-22 Toshiba Corp 変電所自動化システム及び端末の自動認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9624A (ja) * 1993-12-14 1995-07-04 Toshiba Corp 変圧器用タップ切換制御装置
JPH10336898A (ja) * 1997-06-03 1998-12-18 Toshiba Corp 変圧器のタップ切換制御装置
JP5726467B2 (ja) * 2010-09-10 2015-06-03 株式会社東芝 変圧器並列運転防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変電所監視制御システム
US20120203874A1 (en) * 2011-02-08 2012-08-09 General Electric Company Smart substation management
JP2017034752A (ja) * 2015-07-29 2017-02-09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監視制御システム
US11196261B2 (en) * 2017-02-14 2021-12-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entralized voltage controller and centralized voltage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4731A (ja) 2012-02-10 2013-08-22 Toshiba Corp 変電所自動化システム及び端末の自動認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118363A1 (ko) 2022-06-09
WO2022118363A1 (ja)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2705B1 (en) Coordinated control of multi-terminal hvdc systems
US9941739B2 (en) Process bus associated protective control system, merging unit, and calculation device
US8346404B2 (en) Determining a bus bar voltage
JP6554109B2 (ja) 配電系統用の電力系統接続点、電力系統接続点用の調整変圧器、及び電力系統接続点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WO2015047641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opology control and switching loads or sources between phases of a multi-phase power distribution system
EP2593952B1 (en) Control arrangement
CN108110726A (zh) 船岸等电位保护装置
JP2009273323A (ja) 配電線地絡電流抑制装置の制御方法、及び配電線地絡電流抑制装置
KR20230092973A (ko) 변압기 제어 시스템
KR20190128296A (ko) 표준값을 이용한 방향성 보호 계전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972397A (zh) 充气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EA021000B1 (ru) Трансформаторная подстанция
CN113632334B (zh) 使用直流互联系统的馈电线故障响应
KR102182117B1 (ko) 엘브이디씨용 스마트 분전반 및 운영 방법
JP2010166667A (ja) 地絡方向継電器
WO2023112352A1 (ja) 保護制御端末及び分散型保護制御システム
EP4165745B1 (en) 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
CN107706761A (zh) 充气式交流金属封闭开关设备
KR102617698B1 (ko) 충전식 직류공급기기가 내장된 가스절연개폐장치
CN114069569B (zh) 一种使配电箱在故障状态下减少电量损失的方法
US20230135520A1 (en) Network protector for secondary distribution network that includes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US20230138521A1 (en) Switch device for a distribution network fed by more than one independent power source
US20240022112A1 (en) Breaker control unit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207977721U (zh) 船岸等电位保护装置
EP3937344A1 (en) Method for operating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a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